KR100517887B1 - Karaoke scoring system, karaoke sc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Karaoke scoring system, karaoke sc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17887B1 KR100517887B1 KR1019970032484A KR19970032484A KR100517887B1 KR 100517887 B1 KR100517887 B1 KR 100517887B1 KR 1019970032484 A KR1019970032484 A KR 1019970032484A KR 19970032484 A KR19970032484 A KR 19970032484A KR 100517887 B1 KR100517887 B1 KR 1005178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signal
- signal
- scoring
- model
- accompani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3077 scor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0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라오케채점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에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기억매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memory medium incorporating a program executable by a computer.
본 발명에서는 모델의 가창음향 및 제 1의 반주음향, 그리고 채점의 대상이 되는 자가 상기의 제1 반주음향과 동일한 제 2반주음향과 함께 입력한 채점대상이 되는 음성을 웨이브렛변환( Wavelet Transform )한다.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향신호의 주파수성분과 채점대상음향정보의 해당 주파수성분은 각각 동일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비교되어 일치도가 결정된다. 채점대상자에 대한 채점은 전술한 결정에 의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avelet transform of a song, a first accompaniment sound of a model, and a voice to be scored by a person who is to be scored together with a second accompaniment sound identical to the first accompaniment sound is performed. do.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sound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frequency component of the scored sound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same frequency b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greement. Grading for the grading target is made by the above-described deci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라오케 시스템에 있어서, 가수의 가창력을 평가하는 가라오케 채점장치, 가라오케 채점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karaoke scoring method, and a storage medium for evaluating a singer's singing power in a karaoke system.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가라오케 채점장치는 레이저디스크(LD), 콤팩트디스크(CD) 등의 기억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재생된 신호로부터 추출한 모델 음성 신호를, 음조( Pitch (음정: Interval)), 음량 및 이러한 변화 등의 관점에서 가라오케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이크로 입력된 가수의 실제 음성신호와 비교하여, 그 일치하는 정도를 판단하고 가수의 가창력을 채점한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모델음성신호의 추출처리, 모델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조 추출처리 등을 디지털 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여 실행하고 있다.Conventionally, this kind of karaoke scoring apparatus uses a model voice signal extracted from a signal reproduced from data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laser disc (LD), a compact disc (CD), or the like to obtain a pitch (interval) and a volume. And from the viewpoint of such a change, the karaoke system is used to compare the actual voice signal of the mantissa inputted by the micro,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tching and to score the singer's singing power. Such a conventional system performs a process of extracting a model voice signal, extracting a tone from a model and a microphone by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히, 이러한 종래의 가라오케채점장치에서는,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에 따라서 당해 DSP를 통과하는 디지털음향신호 가운데서 모델음성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모델음성신호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의 음조를 추출하도록한다.In particular, such a conventional karaoke scoring apparatus extracts a model voice signal from a digital sound signal passing through the DSP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rogram or data, and extracts the tone of the extracted model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라오케채점장치에서는 음성신호의 추출, 음성신호의 음조추출, 동 레벨의 검출등에의한 음성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러한 처리를 모델음성신호와 마이크음성신호 각각에 대해서 수행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 및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는 대량의 연산량을 포함하고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karaoke scoring apparatus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signal by extracting the speech signal, extracting the tones of the speech signal, detecting the same level, and performing such processing for each of the model speech signal and the microphone speech signal. This includ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performed by complex configurations and algorithms.
또한, 이러한 종래의 가라오케채점장치에서 모델음성신호의 정밀도가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모델음성신호 음조의 추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such a conventional karaoke scoring apparatus, when the precision of the model voice signal is not 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extraction of the model voice signal tone is not made correctly.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인간이 그 감각에의해 행하는 가창력의 평가방식과 근사한 채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가라오케채점장치, 가라오케채점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karaoke scoring method, and a storage medium in which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human being can evaluate the singing power based on the sense and approximate scoring.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위한 수단인 첫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장치에 있어서, 모델된 자의 가창 및 제 1의 반주에 기초하여 모델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1의 변환수단과, 채점대상자의 가창 및 상기 제1의 반주와 동일한 제2의 반주에 기초한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2의 변환수단 및 상기 제1의 변환수단과 제2의 변환수단의 각 출력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채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which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first converting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ong of a modeled person and a first accompaniment, and scoring Second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a target acoustic signal based on the subject's song and a second accompaniment equal to the first accompaniment, and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outputs of the first conversion means and the second conversion means; It is obtained for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 and provides a karaoke scoring apparatus comprising a scoring means for obtaining a scoring value for the song of the grading target based on each obtained degree of concordance.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에대한 웨이브렛변환은 동일 주파수대역이 커지는 만큼 각 서브-밴드신호의 대역폭이 더 넓어지고, 그리하여 그 레벨에 관하여 결정되기가 쉬워진다. 이 결과 음향 또는 음성의 음정(Pitch)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은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장치의 배치구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음성 또는 음향의 대역폭을 분할하는 방법은 사람의 귀로 듣는 감각에 일치하게 되고, 따라서 사람이 채점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는 효과가 있다.The wavelet transform for the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becomes wider in the bandwidth of each sub-band signal as the same frequency band becomes larger, and thus it is easier to be determined in terms of its level. As a result, an algorithm for extracting the pitch of sound or voice is not necessary, thus simplifying the arrangement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method of dividing the bandwidth of the voice or sound is matched with the sense of hearing by the human ear, and thu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same method as the scoring by the person is obtained.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두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장치에 있어서, 모델된 자의 가창에 기초한 모델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1의 변환수단과,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기초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2의 변환수단 및 상기 제1의 변환수단과 제2의 변환수단의 각 출력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채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first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a model voice signal based on a song of a modeled person, and a scoring target voice based on a song of a scoring target A second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signal and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outputs of the first conversion means and the second conversion means are obtained for each same frequency band, and the sco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obtained correspondence degrees. It provides a karaoke scoring apparatus comprising a scoring means for obtaining a scoring value for the subject song.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세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장치에 있어서,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모델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1의 변환수단과,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로부터 당해 모델된 자의 가창에 기초한 모델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인출하는 모델음성신호제거수단과,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가창음성변환수단과, 상기 음성신호제거수단에 의해서 인출한 반주만의 음향신호와, 상기 가창음성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출력하는 혼합수단과, 출력된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2의 변환수단 및 상기 제1의 변환수단과 제2의 변환수단의 각 출력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채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a karaoke scoring apparatus, reproducing means for reading out and reproducing a model sound signal from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ong and an accompaniment of a modeled person is recorded and reproduced; First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modeled sound signal, model sound signal removing means for removing the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ong of the modeled person from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and extracting only the accompaniment sound signal; A singing voice converting means for inputting a singing voice of a scored subject and converting it into a scoring target voice signal, an acoustic signal only for accompaniment drawn by the voice signal removing means, and a scoring target voice signal converted by the singing voice converting means Mixing means for outputting a scored sound signal by mixing a wavelet, and second conversion number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outputted sound signal for scoring. And scoring means for obtaining a coincidence degree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rting means in each same frequency band, and obtaining a score value for the song of the grading target based on the obtained correspondence degree. It provides a karaoke sco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네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장치에 있어서,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모델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를 입력하고, 입력신호로부터 당해 모델된 자의 가창에 기초한 모델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인출하는 모델음성신호제거수단과, 상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로부터 모델음성신호제거수단에 의해 인출한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감산하여 모델음성신호를 인출하는 모델음성신호인출수단과, 상기 인출된 모델음성신호를 웨이브렛 변환하는 제 1 변환수단과,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가창음성변환수단과,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2 변환수단 및 상기 제1의 변환수단과 제2의 변환수단의 각 출력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채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our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a karaoke scoring apparatus, reproducing means for reading out and reproducing a model sound signal from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inger's accompaniment and accompaniment of a modeled person is recorded, A model sound signal removing means for inputting the model sound signal and removing the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ong of the modeled person from the input signal, and extracting the sound signal only for accompaniment, and removing the model sound signal from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A model voice signal extracting means for subtracting the acoustic signal of only the accompaniment drawn by the means and extracting the model voice signal, a first converting means for wavelet converting the extracted model voice signal, and a singing voice of the scorer A singing voice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scored speech signal to a scored speech signal, and a second transform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converted scored speech signal. And scoring means for obtaining the coincidence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rting means in each same frequency band, and for obtaining a scoring value for the song of the grading target based on the obtained correspondences. It provides a karaoke sco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다섯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장치에 있어서,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한 쪽의 채널에 기록되고, 반주만의 음향신호가 다른쪽의 채널에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각 채널에서 모델음향신호 및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1의 변환수단과,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가창음성변환수단과, 상기 재생된 반주만의 음향신호와, 상기 가창음성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채점대상음향신호 출력수단과, 출력된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2의 변환수단 및 상기 제1의 변환수단과 제2의 변환수단의 각 출력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채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f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inger and accompaniment of the modeled person is recorded in one channel, and the acoustic signal of the accompaniment is in the other channel. Playback means for reading out and reproducing the model sound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ound signal from each recording medium recorded in the recording medium; first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Inputting a song voice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o a scored voice signal, a sound signal of the reproduced accompaniment, and a scored voice signal converted by the song voice converting means to output a scored sound signal; Of the target sound signal output means, the second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output target sound signal, and the first conversion means and the second conversion means. Seeking the degree of match between the output from the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 on the basis of the respective degree of match calculated provides a karaoke scoring apparatus comprising a scoring means to obtain values for the scoring of the singing person scoring.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여섯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장치에 있어서,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한 쪽의 채널에 기록되고, 반주만의 음향신호가 다른쪽의 채널에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각 채널에서 모델음향신호 및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로부터 상기 재생된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감산하여 모델음성신호를 인출하는 모델음성신호인출수단과, 상기 인출된 모델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1의 변환수단과,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가창음성변환수단과, 상기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제 2의 변환수단 및 상기 제1의 변환수단과 제2의 변환수단의 각 출력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채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inger's song and accompaniment of the modeled person is recorded in one channel, and the acoustic signal of the accompaniment is in the other channel. Playback means for reading out and reproducing the model sound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ound signal from each channel from the recording medium recorded in the recording medium; and extracting the model sound signal by subtracting the reproduced acoustic signal only from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A model voice signal extracting means, first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extracted model voice signal into wavelet transform, and a song speech converting means for inputting a singing voice of a scoring target and converting it into a scoring target speech signal; The second conversion means for wavelet transforming the target audio signal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s of the first conversion means and the second conversion means, respectively; Seeking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n the basis of the respective degree of match calculated provides a karaoke scoring apparatus comprising a scoring means to obtain values for the scoring of the singing person scoring.
한편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웨이브렛 변환은 직교 웨이브렛변환(Orthogonal Wavelet Transform )인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above-described wavelet transform is an orthogonal wavelet transform.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일곱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방법에 있어서,a) 모델된 자의 가창 및 제 1반주에 기초하여 모델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와, b) 채점대상자의 가창 및 상기 제 1반주와 동일한 제 2반주에 기초하여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향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과 웨이브렛변환된 채점대상음향신호와의 각 주파수성분 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ven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karaoke scoring method, a) wavelet transforming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ong and a first accompaniment of a modeled person; and b) a song of a scorer. And wavelet transforming a scored acoustic signal based on the same second accompaniment as the first accompaniment; and (c) between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acoustic signal and the wavelet transformed scored acoustic signal. And obtaining a score value for the song of the scorer based on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s, wherein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each frequency component is obtained for each same frequency band.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여덟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방법에 있어서,a) 모델된 자의 가창에 기초하여 모델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와, b)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기초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성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과 웨이브렛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와의 각 주파수성분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igh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karaoke scoring method, a) wavelet transforming a model voice signal based on a song of a modeled person; and b) scoring based on a song of a scorer. Wavelet transforming a target speech signal and c) obtaining a correspondence between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speech signal and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scoring target audio signal at each same frequency band, And obtaining a scoring value for the song of the grading target based on the obtained degree of concordance with each other.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아홉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방법에 있어서,a)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모델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단계와, b)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와, c)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로부터 당해 모델된 자의 가창에 기초한 모델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인출하는 단계와, d)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e) 상기 인출된 반주만의 음향신호와, 상기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f) 출력된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 및 g) 상기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향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과 웨이브렛변환된 채점대상음향신호와의 각 주파수성분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nin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karaoke scoring method, a) reading and reproducing a model sound signal from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ong and accompaniment of a modeled person is recorded; b) wavelet transforming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c) removing the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inger's song from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and extracting an accompaniment only sound signal; d) scoring Converting a voice of a subject into a scored voice signal, e) mixing the extracted accompaniment sound signal with the converted scored voice signal and outputting a scored sound signal; f Wavelet transforming the output target acoustic signal and g) between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sound signal and the wavelet transformed sound target signal. Seeking a matching degree between each frequency component in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 there is provided a karaoke sco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value of the scoring for the singing person scoring the basis of the respective degree of match calculated.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열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방법에 있어서, a)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모델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단계와,b)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를 입력하고, 입력신호로부터 당해 모델된 자의 가창에 기초한 모델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인출하는 단계와, c)상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로부터 인출된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감산하여 모델음성신호를 인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인출된 모델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와,e)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f)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 및 g)상기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성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과 웨이브렛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와의 각 주파수성분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ten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karaoke scoring method, a) reading and reproducing a model sound signal from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ong and an accompaniment of a modeled person is recorded; b) inputting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and removing the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inger's song based on the input signal from the input signal, and extracting only the accompaniment sound signal; c) accompaniment drawn from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Subtracting only the acoustic signal and extracting the model voice signal; d) converting the extracted model voice signal into a wavelet transform; and e) converting the voice of the scorer into a scored voice signal. And f) wavelet transforming the converted graded speech signal, and g)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speech signal and the wavelet transformed graded object. Obtaining a matching value for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s with each frequency component, and obtaining a scoring value for the song of the scorer based on the obtained each matching degree. to provide.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열한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방법에 있어서, a)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한 쪽의 채널에 기록되고, 반주만의 음향신호가 다른쪽의 채널에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각 채널에서 모델음향신호 및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단계와, b) 상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와, c)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d) 상기 재생된 반주만의 음향신호와, 상기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e) 출력된 채점대상음향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 및 f) 상기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향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과 웨이브렛변환된 채점대상음향신호와의 각 주파수성분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leven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karaoke scoring method, a)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the singer and accompaniment of the modeled person is recorded in one channel, and the acoustic signal of the accompaniment is the other. Reading and reproducing a model sound signal and an accompaniment sound signal in each channel from a recording medium recorded on a channel of b), b) wavelet transforming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and c) singing a scorer's song. Converting an audio signal to a scored voice signal by inputting a voice; d) outputting a scored sound signal by adding the reproduced acoustic signal of the accompaniment and the converted scored voice signal; Wavelet transforming a scored acoustic signal and f) one between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sound signal and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sound target signal. And obtaining a score value for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s, and obtaining a score value for the song of the scorer based on each obtained degree of concordance.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위한 열두 번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채점방법에 있어서,a)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한 모델음향신호가 한 쪽의 채널에 기록되고, 반주만의 음향신호가 다른쪽의 채널에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각 채널에서 모델음향신호 및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읽어내어 재생하는 단계와, b) 상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로부터 상기 재생된 반주만의 음향신호를 감산하여 모델음성신호를 인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출된 모델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와, d) 채점대상자의 가창음성을 입력하여 채점대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e) 상기 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를 웨이브렛변환하는 단계 및 f) 상기 웨이브렛변환된 모델음성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과 웨이브렛변환된 채점대상음성신호와의 각 주파수성분사이의 일치도를 각각의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구하며, 이 구해진 각각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륵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채점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twelfth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the karaoke scoring method, a) a model sound signal based on a song and an accompaniment of a modeled person is recorded in one channel, and the acoustic signal of only the accompaniment is in the other. Reading and reproducing a model sound signal and an accompaniment sound signal from each channel from a recording medium recorded in a channel of b), and b) subtracting the reproduced acoustic signal only from the reproduced model sound signal. Extracting a signal, c) wavelet transforming the extracted model voice signal, d) converting a voice of a scorer into a scored voice signal, and e) converting the scored voice signal; Wavelet transforming a speech signal; and f) one between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model speech signal and each frequency component of the wavelet transformed scored speech signal. The method provides a karaoke scoring method comprising: obtaining a score for each same frequency band, and obtaining a score value for the song of the scorer based on each obtained match degree.
또한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전술한 제 일곱 번째 내지 열두 번째의 발명으로 기술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각각의 기억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ethod described in the seventh to twelfth invention described above, each storage medium containing a program executable in a computer to provi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 가라오케채점방법 및 기억매체의 구성,작동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와함께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karaoke scoring apparatus, the karaoke scoring method, and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적용한 가라오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이 가라오케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1A)와 가라오케채점부(2)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라오케채점장치(1A)는 콤팩트디스크 (CD)(3)에 스테레오로 기억된 모델의 가창을 기초로 만들어진 모델음성신호(Vr) 및 반주신호(A)로 된 디지털의 모델음향신호(Vr+ A)를 입력가능하도록 된다. 이 CD로부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Vr +A )의 좌측채널(L)는 좌측채널디지털 입력단자(4a)로 입력되고 우측채널(R)는 우측채널디지털 입력단자(4b)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araoke system to which a karaoke scoring apparatus is appli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karaoke system is a
가라오케채점장치(1A)는 양 입력단자(4a)(4b)에 접속된 제 1의 혼합회로(5a) 및 음성제거부(6)와, 마이크로폰(7)로부터 채점대상자인 가수의 열창에 기초한 아날로그의 채점대상음성신호(Vm)를 입력하는 아날로그입력단자(8)과,아날로그입력단자(8)로부터의 아날로그 채점대상음성신호(Vm)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9)와, 음성제거부(6) 및 A/D변환기(9)에 접속된 제 2 혼합회로(5b)와, 제1 혼합회로(5a)에 접속된 제 1 웨이브렛변환부(10a)와, 제2 혼합회로(5b)에 접속된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와, 상기 제 1웨이브렛변환부 및 제2웨이브렛변환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채점값을 구하는 채점부(11)와, 채점부(11)에 접속되며 채점부(11)에의한 채점값을 표시하는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1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The
가라오케신호처리부(2)는 A/D변환기(9)의 출력에 에코를 부여하는 에코처리부(20)와, 음성제거부(6)의 출력을 입력하는 가라오케신호처리부(21)과, 에코처리부(20)의 출력과 가라오케신호처리부(21)의 출력을 혼합하는 제3 혼합회로(22)와, 제3의 혼합회로(22)의 출력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도시되지 않은 사운드시스템으로 출력하는 D/A변환기(23)을 구비하도록 한다.The karaoke
상기 가라오케채점장치(1A)의 제1 혼합회로(5a)는 CD로부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Vr+A)의 좌측채널신호(L)와 우측채널신호(R)를 혼합하고,이를 제 1웨이브렛변환부(10a)로 출력한다.The
도 2는,상기 가라오케채점장치(1A)의 음성제거부(6)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음성제거부(6)는 각 입력단자(4a)(4b)로부터 좌측채널신호(L) 및 우측채널신호(R)를 입력하고, 모델음향신호(Vr+A)로부터 모델음성신호(Vr)을 제거하고 반주만의 음악신호(A)를 출력한다.The
음성제거부(6)는 CD(3)으로부터 재생된 좌측채널신호(L)가 각각 입력되는 고역통과필터(HPF)(60a),저역통과필터(LPF)(61a) 및 승산기(62a)와, CD(3)으로부터 재생된 우측채널신호(R)가 각각 입력되는 고역통과필터(HPF)(60b),저역통과필터(LPF)(61b) 및 승산기(62b)와, 두 승산기(62a)(62b)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63)와, 좌측채널신호용 HPF(60a)의 출혁 및 LPF(61a)의 출력을 가산기(63)의 출력과 가산하는 좌채널신호가산용 가산기(64a)와, 우측채널신호용 HPF(60b)의 출력 및 LPF(61b)의 출력을 가산기(63)의 출력과 가산하는 우채널신호가산용 가산기(64b)를 구비하고 있다.The
고역통과필터(HPF)(60a)(60b)는 CD(3)으로부터 재생된 좌측채널신호(L) 및 우측채널신호(R) 가운데 예를 들면 7KHz이상의 고주파성분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저역통과필터(LPF)(61a)(61b)는 CD(3)으로부터 재생된 좌측채널신호(L) 및 우측채널신호(R) 가운데 예를 들면 100Hz 이하의 저주파성분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필터의 주파수특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신호(목소리)가 가능한한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 pass filters (HPF) 60a and 60b pass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for example, 7 KHz or more among the left channel signal L and the right channel signal R reproduced from the
승산기(62a)는 CD(3)으로부터 재생된 좌측채널신호(L)에 +1의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기(62b)는 CD(3)으로부터 재생된 우측채널신호(L)에 -1의 계수를 승산하는 것이다.The
이러한 구성의 음성제거부(6)에서, 좌측채널신호용의 승산기(62a)에 +1의 계수가 승산된 좌측채널신호(L)과, 우측채널신호용의 승산기(62b)에 -1의 계수가 승산된 우측채널신호(R)를 가산기(63)에 의해 가산하고 가산기(64a) 및 (64b)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중앙정립하고 있는 모델음성신호(Vr)은 상쇄되고, 음성대역중의 반주신호(A)만이 얻어지게되고 이러한 반주신호가 후단으로 출력된다.In the
제 2 혼합회로(5b)는 음성제거부(6)로부터의 디지털의 반주신호(A)를 A/D변환기(9)로부터의 디지털의 채점대상음성신호(Vm)와 혼합하고, 채점대상음향신호(Vm+A)로서 제2웨이브렛변환부(10b)로 출력한다.The
도 3은 제 1 및 제2의 웨이브렛변환부(10a)(10b)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제 1 및 제2의 웨이브렛변환부는 같은 형태로 구성되었으므로 한가지만을 대표로 설명하도록 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용어 "웨이브렛변환( Wavelet Transform)"은 수학적인 정의로서 시간, 주파수에서 산재하는 기본함수(모 웨이브렛:Mother Wavelet )를 (1)신장 또는 압축,(2)쉬프트(Shift) 함으로서 형성되는 기본함수군을 기초로 수행되는 신호변환으로 정의된다. 특히, 기본함수를 신축, 쉬프트함으로서 형성되는 기본함수군이 모두 서로 완전히 직교하는 경우, 이 변환을 "직교 웨이브렛변환(Orthogonal Wavelet Transform)"이라 한다. 하드웨어로서 이러한 웨이브렛변환을 이용하려면 (2)의 쉬프트를 사용하기위하여 필터를 사용하고,한편,(1)의 신축에 관해서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갖는 필터를 재귀적으로 반복사용하는 것으로 실현가능하다.The term "Wavelet Transform" is a mathematical definition that is formed by (1) stretching or compressing and (2) shifting a basic function (mother wavelet) interspersed in time and frequency. It is defined as a signal transformation performed based on a group of functions. In particular, when the basic function groups formed by stretching and shifting the basic functions are completely orthogonal to each other, this transformation is referred to as an "Orthogonal Wavelet Transform." To use this wavelet transform as hardware, it is possible to use a filter to use the shift of (2), and recursively use a filter having the same algorithm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1).
도 3에 도시된 웨이브렛변환부(10: 10a, 10b)는 상기의 웨이브렛변환을 실현하는 것으로서, 특히 웨이브렛변환부(10)는 기본단위로서 직교웨이브렛변환을 행하는 2분할 서브-밴드필터(100a),(100b), ... (100g)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각 서브-밴드필터는 이전 필터의 저주파수신호출력측에 재귀적으로 접속되어, 각 필터로의 입력신호의 주파수밴드를 고주파측 서브-밴드와 저주파측 서브-밴드로 나누고, 저주파측 서브-밴드는 계속해서 고주파측 서브-밴드와 저주파측 서브-밴드로 서브-샘플링(Sub-Sample)되어 결국 복수의 주파수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그리고 E7 으로 출력되도록 한다.각 2분할 서브-밴드필터(100)은 고역통과 서브샘플링필터(101)과 저역통과 서브샘플링필터(102)를 포함하며, 각각은 서로가 완전한 직교상태이다. 이러한 필터(101)(102)는 본질적인 완전직교조건을 만족하는 선형필터(QMF)이어도 좋다.The wavelet transform unit 10 (10a, 10b) shown in Fig. 3 realizes the wavelet transform, and in particular, the
도 3은 웨이브렛변환부(10)의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여기서 원래의 입력신호는 차례로 접속된 7개의 2분할 서브-밴드필터 (100a)내지(100b)를 사용함으로서 8개의 주파수 서브-밴드로 분할된다.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7단의 고역통과 서브-샘플링 필터(101a)내지 (101g)로부터는 고역통과신호(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가 채점부(11)로 출력되고 ,7단구성의 저역통과 서브-샘플링 필터(102)로부터는 저역통과신호(서브-밴드신호) E7이 채점부(11)로 출력된다. 이러한 직교웨이브렛변환에서는 동일한 구성(알고리즘)이 재귀적으로 이용 가능하므로 구성(알고리즘)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From the high
도 4는 이러한 웨이브렛변환부(10)의 출력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output signal of the
도시한바와 같이, 제 1단에서 제7단까지의 각 고역통과형 서브-샘플링 필터(101a) 내지 (101g)으로부터 출력된 신호 W1 내지 W7 은 각각 2KHz이상, 1KHz이상 2KHz이하, 500Hz 이상 1KHz이하, 250Hz 이상 500Hz이하, 125Hz 이상 250Hz이하, 62Hz 이상 125Hz이하, 31Hz 이상 63Hz이하 이며, 제 7단의 저역통과 서브-샘플링필터(102g)의 출력인 서브-밴드 신호 E7은 주로 31Hz이하의 주파수성분을 갖는다. 즉, 직교웨이브렛변환을 행함으로서, 제 1 및 제2 웨이브렛변환부(10a) (10b)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주파수특성은, 각 출력신호가 서브-밴드신호에 의해 결정된 복수개의 주파수대역폭을 가지며, 서브-밴드신호의 주파수대역이 커짐에 따라 각 서브-밴드 신호의 대역폭은 넓어지게 되는 대역분할 특성을 갖는다.As shown, the signals W1 to W7 output from the high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 대역에서 결정된 모델신호와 마이크로폰 입력신호사이의 일치정도는 동일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결정되며, 서브-밴드신호가 커질수록 각 서브-밴드신호의 대역폭은 넓어진다는 전술한 설명의 제1 및 제 2의 웨이브렛변환부(10a),(10b)의 출력주파수특성은 음향신호의 음정-주파수특성과 일치한다. 즉, 직교웨이브렛변환하여 얻어진 동일주파수대역사이의 비교는 단순히 주파수사이의 비교가 아닌, 음악의 음정비교를 하는 것에 해당되며 인간의 청감특성비교와 일치하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model signal and the microphone input signal determined in the same band is determined in each of the same frequency bands, and as the sub-band signal increases, the bandwidth of each sub-band signal increases. The outpu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도 5는 채점부(1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채점부(11)는 제 1 및 제 2웨이브렛변환부(10a)(10b)의 출력간의 일치정도를 동일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해 결정하고, 이 때 얻어진 일치정도를 기초로 채점대상자의 가창에 대한 채점값을 결정하도록 한다.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즉, 채점부(11)는 제 1웨이브렛변환부(10a)로부터의 신호 W1 내지 W7 및 E7의 절대값을 각각 검출하는 절대치검출부(ABS) (110a)내지(110h)와, 제 2웨이브렛변환부(10b)로부터의 신호 W1 내지 W7 및 E7 의 절대값을 각각 검출하는 절대치검출부(ABS) (111a)내지(111h)와, 절대치검출부(ABS)(110a) 내지 (110h) 각각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평활처리하는 평활처리부(112a) 내지 (112h)와,절대치검출부(ABS)(111a) 내지 (111h) 각각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평활처리하는 평활처리부(113a) 내지 (113h)와, 제1웨이브렛변환부(10a)로부터의 서브-밴드신호와 제2웨이브렛변환부(10b)측으로부터의 서브-밴드신호와의 사이에서 동일 주파수대역별로 그일치 유무를 결정하는 일치검출부(114a) 내지 (114h)와, 각 일치검출부(114a) 내지 (114h)가 상기 서브-밴드신호사이의 일치상태를 검출할 때마다 그 회수를 세는 카운터(CNT)(115a) 내지 (115h)와, 카운터(CNT)(115a) 내지 (115h)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정규화하는 정규화부(116a) 내지 (116h)와, 예를 들면 0에서 1범위의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부(200)와,정규화부(116a) 내지 (116h)의 출력신호에 파라미터 a 내지 h를 승산하는 승산기(117a) 내지 (117h) 및 난수발생부(200)로부터의 출력에 파라미터 i를 승산하는 승산기(117i)와, 승산기(117a) 내지 (117i)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118)와, 수행된 비교회수(K)를 세는 카운터(CNT)(1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채점부(11)은 가산기(118)으로부터 출력된 가산치(x)를 기초로 증감을 행하는 증감치변환부(201) 및 증감치변환부(201)에서 증감된 가산치(x)의 증감치(y)를 누적연산하는 누적연산부(202)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이 누적연산부(202)에서 누적된 값은 가라오케 가창자의 최종적인 채점치로 표시부(12)에 출력된다.That is, the
정규화부(116)은 카운터(CNT)(119)로부터의 비교회수(K)에 기초해서 카운터(CNT)(115)의 출력을 1/K 로 정규화한다.The normalization unit 116 normalizes the output of the counter (CNT) 115 to 1 / K based on the comparison count K from the counter (CNT) 119.
파라미터 a 내지 h 및 i 는 도시되지 않은 파라미터 설정부에 의해 합계가 1이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서 임의로 설정 또는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 이것에 의해 채점평가의 기준이 변경가능하도록 된다.The parameters a to h and i can be arbitrarily set or varied as a condition that satisfies the relation of which the sum is 1 by the parameter setting unit (not shown), thereby changing the criteria for scoring evaluation.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가라오케채점장치(1A)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먼저, 가라오케채점장치(1A)에 입력된 모델음향신호(Vr+A)등의 신호가 입력단자 (4a), (4b), 및 (8)로부터 제 1 및 제2 웨이브렛변환부(10a)(10b)에 도달할 때 까지의 가라오케채점장치(1A)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signal such as a model sound signal Vr + A, which is input to the
우선, CD (3)으로부터 재생된 디지털형식의 모델음향신호(Vr+A)는 두 개의 입력단자 (4a), (4b)를 통해 가라오케채점장치(1A)로 입력된다. 또한 채점재상자의 가창에 의해, 아날로그 입력단자(8)에는 마이크로폰(7)로 부터의 채점대상자의 실제 입력에 의해 발생된 음성신호 (Vm)가 가라오케채점장치(1A)로 입력된다.First, the digital model sound signal Vr + A reproduced from the
입력단자 (4a) 및 (4b)으로 입력된 모델음향신호(Vr+A)의 좌측채널신호(L)와 우측채널신호(R)는 제 1혼합회로(5a)에서 혼합되고 ,제 1웨이브렛변환부(10a)로 입력된다.제 1웨이브렛변환부(10a)는 모델음향신호(Vr+A)를 웨이브렛변환해서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채점부(11)로 출력한다.The left channel signal L and the right channel signal R of the model sound signal Vr + A input to the
또한, 입력단자 (4a) 및 (4b)으로 입력된 모델음향신호(Vr+A)는 음성제거부(6)에 의해 모델음성신호(Vr)가 제거되고 , 반주만의 음향신호(A)가 제2혼합회로(5b)로 입력된다. 한편, 아날로그 입력단자(8)로 입력된 채점대상음성신호(Vm)는 A/D변환기(9)에 의해 디지털변환되고 제2혼합회로(5b)로 입력된다. 제2혼합회로(5b)는 음성제거부(6)로부터의 반주만의 음향신호(A)와 A/D변환기(9)로부터의 채점대상음성신호(Vm)를 혼합하고, 채점대상음향신호(Vm+A)로서 제2웨이브렛변환부(10b)로 출력한다.제2웨이브렛변환부(10b)는 채점대상음향신호(Vm+A)를 웨이브렛변관해서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채점부(11)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del sound signal Vr + A inputted to the
다음으로, 채점부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processing operation in the scoring unit will be described.
제1 웨이브렛변환부(10a)로부터의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는 우선 채점부(11)의 절대치검출부(ABS)(110a)내지(110h)에서 절대값화된 후, 그 결과는 평활처리부(112a)내지(112h)에서 평활처리된다. 평활처리된 후의 각 신호는 일치검출부(114a)내지(114h)로 입력된다The sub-band signals W1 to W7 and E7 from the first
또한 제 2웨이브렛변환부(10b)로부터의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는 우선 채점부(11)의 절대치검출부(ABS)(111a)내지(111h)에서 절대값화된 후, 그 결과는 평활처리부(113a)내지(113h)에서 평활처리된다. 평활처리된 후의 각 신호는 상기 제1웨이브렛변환부(10a)측으로부터의 신호와 동일하게 각각 일치검출부(114a)내지 (114h)로 입력된다.Further, the sub-band signals W1 to W7 and E7 from the second wavelet transform section 10b are first absolute valued by the absolute value detection units (ABS) 111a to 111h of the
일치검출부(114a) 내지 (114h)는 제 1 웨이브렛변환부(10a)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와 제 2웨이브렛변환부(10b)축으로부터 송신된 각각의 해당 신호가 그 동일 주파수대역에서 서로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일치검출부(114a) 내지 (114h) 중 해당되는 하나에서 동일주파수대역에서의 두 신호가 일치하는 것이 검출되면, 카운터(CNT)(115a) 내지 (115h)중 특정주파수 대역에 대해 관련된 하나는 신호들사이의 일치발생회수를 세어 이를 기록한다. 이 때, 각 카운터(CNT)에서 세어진 결과로서 카운트값은 카운터(119)에서 세어진 비교회수(K)에 기초해서 정규화부(116a) 내지(116h)에서 1/K 로서 정규화된다. 이 정규화된 값은 예를 들면 0 내지 1 의 값을 가지며, 승산기(117a) 내지 (117h)로 출력되어 파라미터 a 내지 h 가 승산된다. 이 승산기(117a) 내지 (117h)의 출력인 승산된 값은 가산기(118)로 출력된다.The
한편, 난수발생부(200)에서 발생된 0 내지 1 사이의 임의의 난수가 승산기(117i)에서 파라미터 i 로 승산되고, 승산기(117a) 내지 (117h)로부터의 출력신호와 같은 형태로 가산기(118)로 출력된다. 또한, 난수발생부(200)로부터의 난수치의 출력은 최종적인 채점값에 대하여 인간적인 채점요소를 부가하기위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종래의 가라오케 채점장치에서 기계적인 채점을 인간적인 채점에 근사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라미터 a 내지 h 및 i 는 합계가 1 되도록 하는 관계(a + b + c + .... + i = 1)를 만족하는 것을 조건으로 도시한 파라미터 설정부에 의해 임의로 설정 또는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며, 이것에 의해 채점기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ny random number between 0 and 1 generated by the
가산기(118)에 출력된 승산기(117a) 내지 (117h) 및 승산기 (117i)로부터의 승산치는 가산기(118)에서 각각 가산된 결과치 x (예를 들면 0 내지 1) 로서 증감치변환부(201)로 송출된다. 증감치변환부(201)는 복수의 변환테이블 또는 연산수단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가산치 x 에 대응하는 증감치 y를 결정하여 누산부(202)로 출력한다. 또한 증감치변환부(201)에서 가산치 x 로부터 증감치y 로의 변화처리는 복수개의 변환 테이블 또는 연산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증감률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서도 채점평가기준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증감치변환부(201)로부터 출력된 증감치y 는 누산부(202)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초기치 (예 : 50 점)에 누적되고, 이 "초기치 + 증감치 y "는 최종적인 채점결과로서 표시부(12)에 출력된다. 또한 표시부(12)에 출력된 채점결과는 최종적인 채점결과만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경시적인 채점치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채점대상자는 가창도증에 중간득점을 확인할 수 있다.The increase / decrease value y outputted from the increase / decrease
전술한 구성의 가라오케채점장치(1A)에 따르면, CD(3)으로부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Vr+A)의 직교웨이브렛변환출력과 마이크로폰(7)로부터 입력된 채점대상음향신호(Vm+A)의 직교 웨이브렛변환출력을 동일한 주파수대역마다에서 일치정도를 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음조(Pitch)를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불필요하게되어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직교웨이브렛변환을 행하는 것이므로 인간의 청취감에 대응하는 채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첨부된 제 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제 6도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1B)는 제 1실시예와 유사한 것으로, 좌측채널디지탈 입력단자(4a)와, 우측채널디지탈 입력단자(4b)와, 제 1 및 제2 혼합회로( 5a), (5b)와, 음성제거부(6)과, 아날로그 입력단자 (8)와, A/D변환기(9)와, 제 1 웨이브렛변환부(10a) 및 제2 웨이브렛변환부(10b)와,채점부(11) 및 표시부(12)를 구비하고 있지만, 접속관계가 제 1의 실시예와 다르다.The
특히, 이 가라오케채점장치(1B)는 제 1의 혼합회로(5a)의 출력신호와 제 2 혼합회로(5b)의 출력신호의 부호를 바꾼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13)을 구비하고 , 이 가산기(13)의 출력은 제 1웨이브렛변환부(10a)의 입력으로하고 A/D변환기(9)를 제2 웨이브렛변환부(10b)의 입력으로 한다.In particular, this
다음으로, 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1B)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한 제 1실시예의 동작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첫 번째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디지털입력단자 (4a),(4b)에는 디지털의 모델음향신호(Vr+A)가 입력된다. 동시에 아날로그 입력단자 (8)에는 아날로그의 채점대상음성신호(Vm)가 입력된다.First, as in the first embodiment, digital model sound signals Vr + A are input to two
두 개의 입력단자 (4a)(4b)에 입력되는 모델음향신호(Vr+A)의 좌측채널신호(L)와 우측채널신호(R)는 제 1 혼합회로(5a)에 의해 혼합된다. 이와 동시에 두 입력단자(4a)(4b) 에 입력되는 모델음향신호(Vr+A)는 음성제거부(6)에 의해 모델음성신호가 제거되고, 반주만의 음향신호(A)가 제 2혼합회로(5b)로 출력된다. 제 2 혼합회로(5b)는 음성제거부(6)로부터의 반주만의 음향신호(A)의 좌우의 신호를 혼합하여 가산기(13)으로 출력한다. 가산기(13)는 제 1혼합회로(5a)로부터의 모델음향신호(Vr+A)와 제2 혼합회로(5b)로부터의 반주만의 음향신호(A)를 신호반전한 신호와 가산하여 모델음성신호(Vr)를 제1의 웨이브렛변환부(10a)로 입력한다. 제 1의 웨이브렛변환부(10a)는 모델음성신호(Vr)를 웨이브렛변환하여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채점부(11)로 출력한다.The left channel signal L and the right channel signal R of the model sound signal Vr + A input to the two
한편, 아날로그 입력단자 (8)로 입력된 채점대상음성신호(Vm)는 A/D변환기(9)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제2웨이브렛변환부(10b)로 입력된다.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는 채점대상음성신호(Vm)를 웨이브렛변환하여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채점부(11)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oring target audio signal Vm input to the
채점부(11)은 제 1웨이브렛변환부(10a)로부터의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 와 제 2웨이브렛변환부(10b)로부터의 해당되는 서브-밴드신호 W1 내지 W7 및 E7 각각 사이의 일치정도를 결정하고 그 일치정도를 기초로 가창자의 채점값을 구하여서 표시부(12)로 표시한다.The marking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가라오케채점장치(1B)에 따르면, CD(3)으로부터 재생된 모델음성신호(Vr)의 직교웨이브렛변환출력을 마이크로폰(7)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는 채점대상음성신호(Vm)의 직교웨이브렛변환출력과 동일 주파수대역마다의 일치도를 구하고 있으므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게된다.According to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채점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 채점장치(1C)는 레이저디스크(L/D)(14)로부터 재생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는 좌측 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15a) 및 우측 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15b)와, 좌측 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15a)로부터의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6a)와, 마이크로폰(7)으로부터의 아날로그의 채점대상 음성신호(Vm)를 입력하는 아날로그 입력단자(8)와, 아날로그 입력단자(8)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와 우측 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15b)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17)와, 가산기(17)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6b)와, A/D 변환기(16a)에 접속된 제1 웨이브렛변환부(10a)와 A/D 변환기(16b)에 접속된 제2 웨이브렛 변환부(10b)와 제1 실시예의 채점부와 동일한 형식의 표시부(1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의 레이저디스크(LD)(14)의 아날로그 오디오 채널은 모델된 자의 가창 및 반주에 기초하여 모델 음향신호(Vr+A)가 좌측 채널에 기록되고 반주만의 음향신호(A)가 우측 채널에 기록된다.The analog audio channel of the laser disc (LD) 14 records a model sound signal Vr + A in the left channel based on the singer and accompaniment of the modeled person, and the acoustic signal A of the accompaniment sound in the right channel. Is recorded.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가라오케 채점장치(1C)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우선 레이저디스크(LD)(14)의 재생에 의해 좌측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15a)에는 아날로그의 모델음향신호(Vr+A)가 입력되고, 우측 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15b)에는 반주만의 아날로그 음향신호(A)가 입력된다. 채점 대상자의 실제 가창에 의해 아날로그 입력단자(8)에는 마이크로폰(7)로부터 아날로그 채점대상음성신호(Vm)이 입력된다.First, analog model sound signal Vr + A is inputted to the left channel
좌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a)에 입력된 아날로그의 모델음향신호(Vr+A)는 A/D변환기(16a)에의해 디지털변환되고 제 1웨이브렛변환부(10a)에 입력된다. 제1의 웨이브렛변환부(10a)는 모델음향신호(Vr+A)를 웨이브렛변환하여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을 채점부(11)로 출력한다.The analog model sound signal Vr + A input to the left channel
한편, 우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b)로 입력된 반주만의 음향신호(A)와 아날로그 입력단자(8)로 입력된 채점대상음성신호(Vm)는 가산기 (17)에서 가산되고 , 채점대상음향신호(Vm + A)로서 A/D변환기(16b)에 입력된다. A/D변환기(16b)는 채점대상음향신호(Vm + A)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그 결과인 디지털신호를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로 입력한다.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는 채점대상음향신호(Vm + A)를 웨이브렛변환하여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채점부(11)로 출력한다. 채점부(11)는 제 1 웨이브렛변환부(10a)로부터의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 신호와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로부터의 해당되는 각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 사이에서 일치정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하여 채점치를 구하고 채점결과를 표시부(12)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oustic signal A only for the accompaniment inputted to the right channel
상술한바와 같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1C)에 의하면, 레이져디스크(LD)(14)로부터 재생된 모델음향신호(Vr+A)의 직교웨이브렛변환 결과와, 마이크로폰(7)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채점대상음향신호(Vm + A)의 직교웨이브렛 변환의 결과를 동일주파수대역별로 각각 비교하여 일치정도를 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가라오케채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가라오케채점장치(1D)는 제 3의 실시예와 유사한 것으로서 좌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a)와, 우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b)와, A/D변환기(16a),(16b)와, 아날로그 입력단자(8)와, 제1 및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a),(10b)와, 채점부(11) 및 표시부(1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각 구성요소간의 접속의 형태는 전술한 제 3의 실시예와 다르다.The
즉, 이 가라오케채점장치(1D)는 좌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a)로 부터의 모델음향신호(Vr+A)와 우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b)로부터의 반주만의 음향신호(A)를 부호변환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18)을 구비하고, 이 가산기(18)에 A/D변환기(16a)를 매개해서 제 1의 웨이브렛변환부(10a)를 접속하고, 아날로그 입력단자(8)에 A/D변환기(16b)를 매개로 제 2웨이브렛변환부(10b)를 접속한 것이다.That is, this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1D)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우선, 제 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좌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a)에는 아날로그 모델음향신호(Vr+A)가 입력되고, 우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b)에는 아날로그의 반주만의 음향신호(A)가 입력된다. 또한 아날로그 입력단자(8)에는 아날로그의 채점대상음성신호(Vm)가 입력된다.First,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analog model sound signal Vr + A is input to the left channel
가산기(18)는 좌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a)에 입력된 모델음향신호(Vr+A)와, 우측채널아날로그입력단자(15b)에 입력된 반주만의 음향신호(A)를 부호전환한 신호를 입력하여 가산하고, 모델음성신호(Vr)를 구하여 이를 A/D변환기(16a)로 입력한다. A/D변환기(16a)는 모델음성신호(Vr)를 아날로그로부터 디지털로 변환하여 제 1의 웨이브렛변환부(10a)로 입력한다. 제 1의 웨이브렛변환부(10a)는 모델음성신호(Vr)를 웨이브렛변환하여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채점부로 출력한다.The adder 18 performs a code conversion of the model sound signal Vr + A inputted to the left channel
한편, 아날로그 입력단자(8)로 입력된 채점대상음성신호(Vm)는 A/D변환기(16h)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제 2웨이브렛변환부(10b)로 입력된다.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는 채점대상음성신호(Vm)를 웨이브렛변환하여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를 얻고, 이 결과를 채점부(11)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oring target audio signal Vm input to the
채점부(11)는 제 1 웨이브렛변환부(10a)로부터의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 신호와 제 2 웨이브렛변환부(10b)로부터의 해당되는 각 서브-밴드 신호 W1 내지 W7 및 E7 사이에서 일치정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하여 채점치를 구하고 채점결과를 표시부(12)로 출력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1D)에 의하면, 레이져디스크(LD)(14)로부터 재생된 모델음성신호(Vr)의 직교웨이브렛변환 결과와, 마이크로폰(7)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채점대상음성신호(Vm )의 직교웨이브렛변환의 결과를 동일주파수대역별로 각각 비교하여 일치정도를 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4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변형된 실시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u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예를들면, 전술한 웨이브렛변환에서의 대역분할수는 8개의 대역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다.For example, the band division in the above-described wavelet transform is not limited to eight bands,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가라오케채점장치로만 하여 하드웨어로만 실현하였으나, 이 것에 한정되지않고 개인용 컴퓨터등의 범용장치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도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cidentally, 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only by hardware using only the karaoke scoring apparatu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implemented by general-purpose apparatus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Moreo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as software rather than hardware.
즉,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여,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CPU 또는 MPU )가 기억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That is, the storage medium on which the program of the software for realizing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supplied to the system or the device, and the computer (CPU or MPU) of the system or the device reads and executes the program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Needless to sa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chieved.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자체는 본 발명의 새로운 기능을 실현하는 것으로 되며,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는 본 발명의 구성이 된다.In this case, the program itself read out from the storage medium realizes the new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become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는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Magneto-Optic) 디스크, CD-ROM, CD-R, 자기테이프, 비휘발성메모리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다른 MIDI장치, 또는 서버-컴퓨터 등에 의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As a recording medium for supplying a program, a floppy disk, a hard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 disk, a CD-ROM, a CD-R, a magnetic tape, a nonvolatile memory card, a ROM, or the like can be used. The program may also be provided by another MIDI device, server-computer, or the lik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또한, 컴퓨터가 읽어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위에서 가동하고 있는 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는 것 역시 다시 언급할 필요가 없다.Furthermore, not only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realized by executing a program read by the computer, but also an OS or the like running on the computer performs part or all of the actual processing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progra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ss also includes a case where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realized.
더욱이, 기억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용 보드 및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용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억된 후,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용 보드 및 기능 확장용 유닛을 구비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하여 상술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전술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Furthermore, after the program read from the storage medium is stored in the memory included in the function expansion board inserted into the computer and the function expansion unit connected to the computer, the function expansion board and the function expansion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program. The CPU or the like having a unit for performing some or all of the actual processing, and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re realized by the processing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작동하는 가라오케채점장치, 가라오케채점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인간이 그 감각에의해 행하는 가창력의 평가방식과 근사한 채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By providing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 karaoke scoring method, and a storage medium operating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scoring similar to the evaluation method of singing power performed by the human sens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를 적용한 가라오케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araoke system to which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의 음성제거부에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removing unit of the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도 1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의 두 개의 웨이브렛(Wavelet)변환부중 하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of the two wavelet (Wavelet) converting portion of the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4는 도 3의 웨이브렛변환부의 출혁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도시한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 signal of the wavelet transform unit of FIG.
도 5는 도 1의 채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coring unit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채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araoke sc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CD 4a : 좌측채널디지털 입력단자3:
4b :우측 채널 디지털 입력단자 7:마이크로폰4b: Right channel digital input terminal 7: Microphone
8 : 아날로그 입력단자 Vr + A : 모델 음향신호8: Analog input terminal Vr + A: Model sound signal
Vr : 모델 음성신호 A : 반주신호Vr: Model Audio Signal A: Accompaniment Signal
Vm :채점대상 음성신호 Vm + A :채점대상 음향신호Vm: Voice signal to be scored Vm + A: Sound signal to be scored
Claims (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337596A JP3707135B2 (en) | 1996-07-12 | 1996-07-12 | Karaoke scoring device |
JP96-183375 | 1996-07-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11000A KR980011000A (en) | 1998-04-30 |
KR100517887B1 true KR100517887B1 (en) | 2005-12-01 |
Family
ID=1613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24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7887B1 (en) | 1996-07-12 | 1997-07-12 | Karaoke scoring system, karaoke sc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707135B2 (en) |
KR (1) | KR100517887B1 (en) |
CN (1) | CN1165890C (en) |
TW (1) | TW33364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25547B1 (en) | 1998-10-30 | 2001-05-01 | Konami Co., Ltd. | Rhythm game apparatus, rhythm game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strumental device |
JP4091892B2 (en) * | 2003-09-30 | 2008-05-28 | ヤマハ株式会社 | Singing voice evaluation device, karaoke scor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
CN100359559C (en) * | 2004-04-01 | 2008-01-02 |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 automatic sound source similarity comparison method and device |
CN1763840B (en) * | 2004-10-19 | 2010-06-02 |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 Singing Scoring Method and System |
CN107103912A (en) * | 2017-04-24 | 2017-08-29 | 行知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student for imparting knowledge to students and checking and rating sings performance points-scoring system |
CN112331227B (en) * | 2020-09-17 | 2022-05-24 | 武汉大学 | A method of laser simulation of human voic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4695A (en) * | 1985-12-09 | 1987-06-1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corer |
JPH05183385A (en) * | 1991-12-27 | 1993-07-23 | Nec Corp | Wavelet converter |
KR950009692A (en) * | 1993-09-28 | 1995-04-24 | 이헌조 | Automatic scoring system of laser disc player (LDP) |
KR950012422A (en) * | 1993-10-08 | 1995-05-16 | 배순훈 | Voice automatic control circuit of karaoke system |
KR950015359A (en) * | 1993-11-09 | 1995-06-16 | 배순훈 | Karaoke scoring system |
KR0136740B1 (en) * | 1993-12-27 | 1998-05-15 | 구자홍 | Method of score examination in karaoke system |
KR0127218Y1 (en) * | 1992-08-13 | 1998-10-15 | 강진구 | Score evaluation displaying apparatus of karaoke system |
KR0154991B1 (en) * | 1993-11-15 | 1998-11-16 | 김광호 | Singing stat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song half cycle |
-
1996
- 1996-07-12 JP JP18337596A patent/JP370713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7-08 TW TW086109628A patent/TW33364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7-12 KR KR1019970032484A patent/KR10051788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7-14 CN CNB97112227XA patent/CN1165890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4695A (en) * | 1985-12-09 | 1987-06-1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corer |
JPH05183385A (en) * | 1991-12-27 | 1993-07-23 | Nec Corp | Wavelet converter |
KR0127218Y1 (en) * | 1992-08-13 | 1998-10-15 | 강진구 | Score evaluation displaying apparatus of karaoke system |
KR950009692A (en) * | 1993-09-28 | 1995-04-24 | 이헌조 | Automatic scoring system of laser disc player (LDP) |
KR950012422A (en) * | 1993-10-08 | 1995-05-16 | 배순훈 | Voice automatic control circuit of karaoke system |
KR950015359A (en) * | 1993-11-09 | 1995-06-16 | 배순훈 | Karaoke scoring system |
KR0154991B1 (en) * | 1993-11-15 | 1998-11-16 | 김광호 | Singing stat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song half cycle |
KR0136740B1 (en) * | 1993-12-27 | 1998-05-15 | 구자홍 | Method of score examination in karaok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0925A (en) | 1998-01-21 |
TW333641B (en) | 1998-06-11 |
CN1165890C (en) | 2004-09-08 |
JPH1026994A (en) | 1998-01-27 |
KR980011000A (en) | 1998-04-30 |
JP3707135B2 (en) | 2005-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52586B2 (en) | Identifying music from peaks of a reference sound fingerprint | |
Feiten et al. | Automatic indexing of a sound database using self-organizing neural nets | |
JP406796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a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dex signal | |
KR101669302B1 (en) | Control device | |
US6140568A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set of fundamental frequencies simultaneously present in an audio signal | |
KR101101384B1 (en) | Parameterized Time Characterization | |
CN1148230A (en) | Method and system for karaoke scoring | |
JP2004530153A6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a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dex signal | |
KR101534346B1 (en) | Music playback apparatus, music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JP3344195B2 (en) | Karaoke scoring device | |
KR100517887B1 (en) | Karaoke scoring system, karaoke sc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JP3306784B2 (en) | Bone conduction microphone output signal reproduction device | |
US619563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implementing a masking function in a psycho-acoustic modeler | |
JP2007271977A (en) | Evaluation standard decis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JP4185984B2 (en) |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 |
JP3512398B2 (en) | Audio processing device | |
Knees et al. | Basic methods of audio signal processing | |
KR20040000796A (en) | Device for music reproduction based on melody | |
JP2008006218A (en) | Music game machine | |
Marentakis et al. | Sinusoidal Synthesis Optimization | |
Kummer-Landau et al. | Vocal Audio Frequency Analyzer for MIDI and Instrument Production | |
JP2674219B2 (en) | Scoring device | |
KR0136740B1 (en) | Method of score examination in karaoke system | |
JPS59136800A (en) | Voice recognition equipment | |
CN119601023A (en) | A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data of a Bluetooth 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