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6979B1 - 여과집진시설 - Google Patents

여과집진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979B1
KR100516979B1 KR10-2004-0003369A KR20040003369A KR100516979B1 KR 100516979 B1 KR100516979 B1 KR 100516979B1 KR 20040003369 A KR20040003369 A KR 20040003369A KR 100516979 B1 KR100516979 B1 KR 10051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rotary valve
blade
filter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821A (ko
Inventor
김종화
김병길
이인섭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공단
(주)대성공영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공단, (주)대성공영환경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04-000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9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9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집진기(100)는, 폐목재나 톱밥(200)이 인입덕트(132)를 통해 유입되는 호퍼(131)와; 상기 호퍼(131)의 상부에 내장된 다수의 필터(135)와; 상기 필터(135) 상부에 연결된 배기덕트(133)에 구비되어 호퍼(131)내의 공기를 배기덕트(133)를 통해 배출시키는 송풍기(134)와; 상기 호퍼(131) 하부의 통체의 케이스(16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일한 길이의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시 케이스(160)내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로터리밸브(150)와; 상기 로터리밸브(150) 하부에 폐목재나 톱밥(200)이 집진되는 더스트박스(112)와; 상기 더스트박스(112)에 구비되어 집진되어 쌓인 톱밥(200)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여과집진시설{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여과집진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밸브와 더스트박스내에 쌓인 톱밥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을 갖는 여과집진시설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여과집진시설의 일례로서 목재집진기를 들어 설명하고, 이 목재집진기의 여과부에는 일반적인 로터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부분의 로터리밸브(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집진된 톱밥 외에 폐목재가 케이스(13)와 블레이드(12) 사이에 끼였을 때에는 블레이드(12)가 회전되지 않는 오작동이 발생되고, 정지된 블레이드(12)에 의해서 톱밥이 블레이드(12)를 통과하지 못하고 블레이드(12) 위로 계속해서 쌓이게 되고, 결국에는 목재집진기 내부로 쌓여 인입덕트가 막히게 됨으로써 인입덕트로 톱밥이 더 이상 이송되지 않아 목재집진기내의 톱밥을 수동으로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로터리밸브(10)의 하부에 집진된 톱밥이 산과 같은 형태로 로터리밸브(10)측을 향해 볼록하게 쌓여 톱밥을 제거하지 않을 시에는 톱밥이 로터리밸브(10)를 통해 여과부측으로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로터리밸브(10)의 하부에 쌓인 톱밥을 제거할 시에는 반드시 목재집진기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그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로터리밸브(10)를 제거하던지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목재집진기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여과필터에 톱밥이 끼어 필터의 통기도를 저하시켜 여과필터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집진기에 사용되는 로터리밸브(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구형의 케이스(13)내에 샤프트(11)로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방사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2)가 사용되는데, 블레이드(12)는 그 단부가 케이스(13)에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정밀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이는 로터리밸브(10) 하부의 집진부내에 집진된 톱밥의 제거시 기밀유지된 로터리밸브(10)에 의해서 집진부내에 양압이 발생하여 작동중인 집진부의 문을 열면 톱밥이 집진부밖으로 비산되어 배출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그로 인해 반드시 목재집진기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톱밥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업중지로 인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스트박스내에 음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블레이드 선단부에 수지블레이드를 설치한 로터리밸브와, 더스트박스내에 쌓인 톱밥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을 갖는 여과집진시설을 구성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톱밥 및 폐목재가 로터리밸브에 걸리지 않고, 그로 인해 톱밥이 여과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더스트박스내에 쌓인 톱밥이 상부의 로터리밸브로 역류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일정높이 이상으로 쌓임을 방지하고, 더스트박스내에 음압이 작용하여 목재집진기의 작동시에도 톱밥이 더스트박스 외부로 비산되지 않아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여과집진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과집진시설에 있어서, 상기 여과집진시설의 호퍼와 더스트박스 사이에는 로터리밸브가 구성되되, 상기 로터리밸브는 원통 내지 사각통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한 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금속블레이드 선단부에는 수지블레이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집진시설의 더스트박스에는 입자상물질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분산수단은, 상기 더스트박스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출입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톱밥을 밀어 분산시키는 밀판과; 상기 실린더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판의 행정은, 로터리밸브의 케이스보다 길게 형성되어 밀판이 케이스를 완전히 지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콤프레서와 실린더 사이에는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집진기와 로터리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재집진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여과부(130)와, 집진부(110)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목재집진기(100)의 여과부(130)는, 작업시설 또는 작업대로부터의 폐목재나 톱밥(200)을 인입하는 인입덕트(132)가 연결된 호퍼(131)가 구비되고, 이 호퍼(131)의 상,하부에는 각각 필터(135)와 로터리밸브(15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호퍼(131) 상부에 내장된 필터(135)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이 필터(135) 상부에는 배기덕트(133)가 연결되며, 배기덕트(133)의 일측에는 호퍼(131)내의 오염된 공기를 필터(135)와 배기덕트(133)를 통해 정화시켜 배출하는 송풍기(13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135) 상부의 배기덕트(133)에는 필터(135)에 집진된 톱밥(200)을 탈진시키기 위한 탈진수단(140)이 구성된다.
상기 탈진수단(140)은, 필터(135) 상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콤프레서(125)와 연결되는 분사헤드(141)와, 상기 분사헤드(141)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각각의 필터(135)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142)과, 상기 분사헤드(141)에 설치되어 에어노즐(142)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콤프레서(125)의 토출압은, 송풍기(134)의 흡입압력보다 수십배 이상의 큰 압력을 갖는다.
상기 밸브수단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솔레노이드밸브가 부착되어 있는 다이아프램밸브(143)로 구성되고, 이 다이아프램밸브(143)는 콤프레서(125)와 연결된 그 일단부와 이에 인접한 일측의 에어노즐(142)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퍼(131) 하부에 구비되는 로터리밸브(150)는, 호퍼(131)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원통 내지는 사각통형상의 케이스(16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터리밸브(150)는, 케이스(160)에 샤프트(153)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샤프트(153)는 감속모터(154)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로터리밸브(150)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이 블레이드는 금속블레이드(151)와, 이 금속블레이드(151)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플렉시블한 수지블레이드(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지블레이드(152)는 20㎜ 이상의 길이로 구비되고, 이 수지블레이드(152)의 선단부는 일정각도에서 케이스(160)의 내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60)와 수지블레이드(152) 사이에 톱밥이나 폐목재가 유입되어도 플렉시블한 수지블레이드(152)에 의해서 끼임이 방지되면서 로터리밸브(150)가 계속 회전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지블레이드(152)는, 회전되면서 케이스(160)의 내면에 접하였다가 떨어져 케이스(160)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없앴다가 다시 형성하여 로터리밸브(150) 하부의 더스트박스(112)에 송풍기(134)에 의한 음압이 작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목재집진기(100)의 집진부(110)는, 로터리밸브(150) 하부에 구성된다.
상기 집진부(110)는, 폐목재나 톱밥(200)을 집진하는 더스트박스(112)가 구성되고, 상기 더스트박스(112)내에는 집진되어 쌓인 톱밥(200)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120)이 구성된다.
상기 분산수단(120)은, 더스트박스(112)의 내측 상부에 지지브라켓(121a)을 개재하여 설치된 에어실린더(121)와, 상기 에어실린더(121)에 출입되는 피스톤(122)과, 상기 피스톤(12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톱밥(200)을 밀어 분산시키는 밀판(123)과, 상기 에어실린더(12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125)와, 상기 콤프레서(125)와 에어실린더(121) 사이에 개재되어 에어실린더(121)의 작동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는데,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가장 적합한 일례로는 솔레노이드밸브(124)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판(123)의 행정은, 로터리밸브(150)의 케이스(160)보다 길게 형성되어 밀판(123)이 케이스(160)를 완전히 통과하여 지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헤드(141)와 콤프레서(125), 솔레노이드밸브(124), 에어실린더(121)는 모두 에어호스(126)로서 연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목재집진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재집진기(100)를 작동시키면, 송풍기(134)가 작동하여 작업시설 또는 작업대상의 폐목재나 톱밥(200)이 인입덕트(132)로 인입된다.
인입덕트(132)로 인입된 폐목재나 톱밥(200)은 송풍기(134)의 흡입력에 의해서 필터(135)에 부착되어 걸러지고, 톱밥(200)이 걸러진 공기만이 배기덕트(133)를 통해서 집진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탈진수단(140)을 작동시켜 분사헤드(141)에 구비된 다이아프램밸브(143)를 대략 10초∼1분마다 0.15초 동안 개방시킨다.
따라서, 콤프레서(125)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는 에어호스(126)를 통해 분사헤드(141)로 유입되고, 유입된 압축공기는 각각의 에어노즐(142)을 통해서 각각의 필터(135)로 고압 고속으로 분사되어 필터(135)에 흡착된 톱밥(200)을 탈진시켜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면, 필터(135)로부터 탈진된 톱밥(200)은 로터리밸브(150)의 케이스(160)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목재나 톱밥(200)은 플렉시블한 수지블레이드(152)에 의해 케이스(160)내에 끼임이 방지되면서 로터리밸브(150)의 케이스(160)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하부의 더스트박스(112)내로 집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더스트박스(112)내로 집진되어 쌓인 톱밥(200)은 더스트박스(112)내의 분산수단(120)에 의해서 분산된다. 즉, 콤프레서(125)의 압축공기가 에어호스(126)와 솔레노이드밸브(124)를 통해 에어실린더(121)로 유입되면, 에어실린더(121)로부터 피스톤(122)이 전,후로 출입되는 왕복운동을 하면서 그 선단의 밀판(123)이 쌓인 톱밥(200)을 밀어내 톱밥(200)을 평탄하게 골라 어떠한 경우에도 톱밥이 로터리밸브(15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밀판(123)은 로터리밸브(150)의 케이스(160)를 완전히 통과하여 지나는 행정을 가지고 작동됨으로써 로터리밸브(150)를 향해 쌓인 톱밥(200)을 더욱 고르게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더스트박스(112)내의 집진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터리밸브(150)의 회전시,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블레이드(152)와 케이스(160) 사이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어 송풍기(134)의 흡입력이 더스트박스(112)내에 작용하기 때문에, 더스트박스(112)내에는 음압이 작용하여 목재집진기(100)의 작동 중에 더스트박스(112)를 개방시켜도 톱밥(200)이 더스트박스(112) 외부로 비산되지 않아, 목재집진기를 가동하면서도 더스트박스(112)를 청소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터리밸브(150)는, 케이스(160)에 수지블레이드(152)가 접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금속블레이드(12)는 마모시 금속블레이드(12) 전체를 교체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금속블레이드(151)의 마모는 발생되지 않고 수지블레이드(152)만 마모되기 때문에, 수지블레이드(152)만 간단하게 교체하면 됨으로써 로터리밸브(15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재집진기에 의하면, 톱밥 및 폐목재가 로터리밸브에 걸리지 않아 톱밥이 여과부내에 쌓이지 않게 되고, 더스트박스내에 쌓인 톱밥을 분산시켜 공간효율을 높이며, 로터리밸브와 케이스간에 미세하게 형성되는 유로에 의해서 더스트박스내에 음압이 작용하여 목재집진기의 작동 중 더스트박스의 문을 개방시켜도 톱밥이 비산되지 않아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로터리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시설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시설에 구성된 로터리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터리밸브 11 : 샤프트
12 : 블레이드 13 : 케이스
100 : 목재집진기 110 : 집진부
112 : 더스트박스 120 : 분산수단
121 : 실린더 121a : 지지브라켓
122 : 피스톤 123 : 밀판
124 : 솔레노이드밸브 125 : 콤프레서
126 : 에어호스 130 : 여과부
131 : 호퍼 132 : 인입덕트
133 : 배기덕트 134 : 송풍기
135 : 필터 140 : 탈진수단
141 : 분사헤드 142 : 에어노즐
143 : 다이아프램밸브 150 : 로터리밸브
151 : 금속블레이드 152 : 수지블레이드
153 : 샤프트 154 : 감속모터
160 : 케이스 200 : 톱밥

Claims (4)

  1. 여과집진시설에 있어서,
    상기 여과집진시설(100)의 호퍼(131)와 더스트박스(112) 사이에는 로터리밸브(150)가 구성되되, 상기 로터리밸브(150)는 원통 내지 사각통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한 케이스(16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금속블레이드(151) 선단부에는 수지블레이드(15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집진시설(100)의 더스트박스(112)에는 입자상물질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120)이 구성되되, 상기 분산수단(120)은,
    상기 더스트박스(112)에 설치된 실린더(121)와;
    상기 실린더(121)에 출입되는 피스톤(122)과;
    상기 피스톤(12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톱밥(200)을 밀어 분산시키는 밀판(123)과;
    상기 실린더(12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125)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시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123)의 행정은, 로터리밸브(150)의 케이스(160)보다 길게 형성되어 밀판(123)이 케이스(160)를 완전히 지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시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서(125)와 실린더(121) 사이에는 실린더(121)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시설.
KR10-2004-0003369A 2004-01-16 2004-01-16 여과집진시설 Expired - Fee Related KR100516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369A KR100516979B1 (ko) 2004-01-16 2004-01-16 여과집진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369A KR100516979B1 (ko) 2004-01-16 2004-01-16 여과집진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282U Division KR200347321Y1 (ko) 2004-01-16 2004-01-16 여과집진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821A KR20050075821A (ko) 2005-07-22
KR100516979B1 true KR100516979B1 (ko) 2005-09-26

Family

ID=3726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3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6979B1 (ko) 2004-01-16 2004-01-16 여과집진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07A (ko) 2017-11-23 2019-05-31 박동철 분리회수용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9910B (zh) * 2016-06-29 2018-01-26 河南龙成煤高效技术应用有限公司 一种飞灰过滤器除尘装置
KR101982395B1 (ko) * 2017-05-01 2019-05-24 주식회사 세림기계 톱밥 분리배출장치
KR102037669B1 (ko) * 2018-02-13 2019-10-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식 집진기용 더스트 후처리 설비
KR102712740B1 (ko) * 2022-01-07 2024-10-02 한국기계연구원 탈착 입자의 배출 기능을 갖는 선박용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여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07A (ko) 2017-11-23 2019-05-31 박동철 분리회수용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821A (ko) 200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333A1 (en) Dust collector
JP2009078307A (ja) 粉塵回収装置付き研磨作業用テーブル装置
KR102083354B1 (ko) 다기능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봉인식 터널 환기방법
KR100729571B1 (ko) 폐합성수지를 분쇄 및 분리하는 처리장치
CN108619811A (zh) 高效粉尘回收仓
KR100516979B1 (ko) 여과집진시설
KR200443516Y1 (ko) 청소기능이 부가된 집진기
DE19517197A1 (de) Selbstreinigender Staubsauger
CN200998629Y (zh) 除尘器的预处理装置
KR100460666B1 (ko)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
KR200347321Y1 (ko) 여과집진시설
KR100925779B1 (ko) 다연식 집진기 구조
US20220288709A1 (en) Environment-friendly dust-free desktop cutting machine
CN105709519A (zh) 一种单机袋式除尘器
CN217341997U (zh) 一种具有废气处理功能的钢构件加工用喷涂装置
CN109432891A (zh) 一种脉冲除尘器防堵装置
CN215742656U (zh) 一种用于滤袋除尘设备的预除尘旋流式气流分布装置
CN215389684U (zh) 投料装置
CN208694538U (zh) 一种粉尘呼吸器
CN102101119B (zh) 制样室除尘系统
KR101171229B1 (ko)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CN212349073U (zh) 一种除尘磨粉机
CN102037187B (zh) 外部过滤器室和摇动装置
CN105661619B (zh) 一种切丝机除尘过滤箱
KR102210187B1 (ko) 산업용 집진 장치의 흡입 배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809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91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