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6692B1 -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692B1
KR100516692B1 KR10-2003-0017836A KR20030017836A KR100516692B1 KR 100516692 B1 KR100516692 B1 KR 100516692B1 KR 20030017836 A KR20030017836 A KR 20030017836A KR 100516692 B1 KR100516692 B1 KR 10051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read
sensing
b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3250A (en
Inventor
강희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1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692B1/en
Publication of KR2004008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69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73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75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93Ti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서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 레벨을 증폭하고, 시간축을 기준으로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시점에서 셀 데이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드 동작 모드시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된 리드 데이타를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에 저장하고, 라이트 동작 모드시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 또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셀 어레이 블럭에 저장하며,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을 시간축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센싱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mplify a sensing voltage level of cell data at a sensing sensing threshold voltage, and to apply a reference timing strobe based on a time axis. A technique for determining cell data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read data applied from the cell array block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through the read data bus unit in the read operation mode, and read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in the write operation mode.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is stored in the cell array block through the write data bus unit, and the 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ime axis to improve the sensing margin.

Description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본 발명은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을 시간축을 기준으로 변환하고,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셀 데이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verting a sensing voltage of cell data with respect to a time axis, and to determine cell data in a reference timing strobe section. Technology.

일반적으로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즉,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은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고, 전원의 오프시에도 데이타가 보존되는 특성 때문에 차세대 기억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In general,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r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eRAM), has a data processing speed of about DRAM (DRAM)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memory device due to its characteristic that data is preserv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have.

이러한 FRAM은 디램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 기억소자로써 캐패시터의 재료로 강유전체를 사용하여 강유전체의 특성인 높은 잔류 분극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잔류 분극 특성으로 인하여 전계를 제거하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The FRAM is a memory device having a structu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a DRAM, and uses a ferroelectric material as a capacitor material to utilize high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ferroelectric material. Due to this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ata is not erased even when the electric field is removed.

상술된 FRAM에 관한 기술내용은 본 발명과 동일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제 2002-85533호에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FRAM에 관한 기본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FRAM has been disclosed in the application number 2002-85533 filed by the same inventor as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FRAM and its operation will be omitted.

이러한 종래의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에서 셀 데이타 센싱시, 센싱 레퍼런스 전압의 레벨을 적정한 레벨로 설정해야 한다. When sensing cell data in such a conventional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the level of the sensing reference voltage should be set to an appropriate level.

하지만, FeRAM의 칩 동작 전압이 저 전압화 되면서 셀을 센싱하기 위한 레퍼런스 전압의 레벨이 점점 감소하게 되었다.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 레벨이 낮을 경우 레퍼런스 전압과의 전압 마진이 작아지게 되어 데이타 판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퍼런스 전압 자체의 전압 레벨 변동에 의해 센싱 마진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the chip operating voltage of FeRAM became low,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for sensing the cell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sensing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is low, the voltage margin with the reference voltage becomes smal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scriminate data.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nsing margin is reduced by the voltage level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itself.

따라서, 1T1C(1transistor, 1capacitor) 구조의 FeRAM 칩에서 빠른 동작 속도의 구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high operating speed in the FeRAM chip of 1T1C (1transistor, 1capacitor)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the following object.

첫째, 데이타를 리드 및 라이트 하기 위한 버스의 구조를 개선하고, 레지스터를 통해 리드 및 라이트된 데이타를 저장하여 데이타 엑세스 시간이 향상된 칩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irs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 structure of a bus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and to implement a chip having improved data access time by storing data read and written through a register.

둘째, 셀 데이타의 셀프 센싱 전압을 레퍼런스 타이밍 구간에서 증폭하고, 시간축을 기준으로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저전원 전압이나 빠른 엑세스 타임의 칩의 구현시 센싱 전압의 마진을 확보하고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econd, the self-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is amplified in the reference timing section,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is determined based on the time axis, so that the margin of the sensing voltage is secured and the operating speed is increased when the low power supply voltage or fast access time chip is implemented. Its purpose is to improve i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고,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되는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와;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리드 데이타를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출력하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the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each of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the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reaches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a sensing voltage of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for storing read data applied from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upon activation of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and for storing read data or input data to be written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upon activation of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ealth; A read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outputting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nd a write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outputting read data or input data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또한, 본 발명은,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고,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및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과;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되는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와;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리드 데이타를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와;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리드 데이타를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및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에 출력하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each of the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n the basis of a specific time point in a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in which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reaches a sensing sensing threshold voltage. A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and a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sensing voltage;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stored in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section for storing read data or input data to be written; An upper read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to output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 lower read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to output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nd a write data bus unit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and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to output read data or input data to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do.

또한, 본 발명은,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 및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되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은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셀프 센싱 전압을 변환하고, 상기 특정 시점에서 변환된 상기 셀프 센싱 전압을 증폭하는 센스 앰프 어레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each hav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section for storing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storing input data written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wherein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have voltages of the main bit lines. A sense for converting the self 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i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reaching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nd amplifying the self sensing voltage converted at the specific time point. And an amplifier array unit.

또한, 본 발명은,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 및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 되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를 구비하고;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는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풀업시키는 리드 버스 풀업부와; 리드 락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버스 스위치부와;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와; 리드 데이타 및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래치부와;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출력하는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each hav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section for storing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via the read data bus section, and storing input data written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via the write data bus sectio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includes: a read bus pull-up unit which pulls up the read data bus unit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A read bus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read data in accordance with a state of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A data input switch section for selectively outputting input data applied from the data buffer bus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A data latch unit for storing read data and input data; A write bus switch unit for outputting read data or input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And a data output switch unit configured to output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메인 비트라인의 센싱 전압이 로직 문턱전압으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 메인 비트라인의 셀 데이타 하이의 센싱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레벨 센싱부와;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레벨 센싱부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센싱 버퍼부; 및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리드된 리드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센싱 출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evel sensing unit for amplifying a sensing voltage level of cell data high of a main bit line when the sensing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set as a logic threshold voltage when enabling the sensing enable signal. ; A sensing buffer unit configured to buffer an output voltage of the level sensing unit based on a logic threshold voltage; And a sensing output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read data rea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an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리드/라이트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를 구비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의 메인 비트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센싱하는 단계와;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이 센싱 감지 임계 전압 이하에 도달하면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증폭하여 리드 데이타 버스부에 증폭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동안, 일정 시간축 상에서 증폭전압의 전압 레벨을 센싱하여, 센싱된 레벨에 따라 유효한 셀 데이타의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ntrol method having the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through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 read data bus unit and a write data bus unit.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ntrol method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having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for storing read / write data, the method comprising: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cell data applied from a main bit line of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Sensing; Amplifying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and outputting an amplified voltage to the read data bus unit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reaches a sensing sensing threshold voltage or less; And sensing a voltage level of an amplification voltage on a predetermined time axis during the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and storing valid cell data values according to the sensed leve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와,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와,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와,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500)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a data buffer bus unit 200,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a read data bus unit 400, and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 500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는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와 연결된다.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500)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를 공유한다.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와 연결된다.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500 share the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The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re connected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리드 동작 모드시 셀 어레이 블럭(500)에서 리드된 데이타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는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로 출력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data read in the cell array block 500 is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rough the read data bus unit 400 in the read operation mode. The read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s output to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반면에, 라이트 동작 모드시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타는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 입력 데이타 또는 리드 데이타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를 통해 셀 어레이 블럭(500)에 라이트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rite operation mode,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is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Input data or read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s written to the cell array block 500 through the write data bus unit 600.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와,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와,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와,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와,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와,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 및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a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500, a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502, and a write data bus unit 600.

여기서, 도 2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과 연결된 데이타 버스가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이고,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와 연결된 데이타 버스가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이다. Here, the data bus connected to the upper cell array block 500 of FIG. 2 is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data bus connected to the lower cell array block 502 is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는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와 연결된다.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은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를 공유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은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 및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를 공유한다. 또한,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와,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와 연결된다.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500 share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502 share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nd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In addition,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re connected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리드 동작 모드시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 또는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에서 출력된 리드 데이타가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 또는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는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로 출력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d operation mode, the read data output from the upper cell array block 500 or the lower cell array block 502 is stored in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or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s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e read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s output to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여기서,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와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는 둘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즉,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동작시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는 동작 경로가 차단되고,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의 동작시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동작 경로가 차단된다. In this case, only one of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operates selectively. That is, the operation path of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is blocked when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path of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is operated when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is operated. Is blocked.

반면에, 라이트 동작 모드시 리드/라이트 데이타 버퍼부(1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타는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 입력 데이타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를 통해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 또는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에 라이트 된다. 이때,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 또는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에 재저장 할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rite operation mode,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read / write data buffer unit 100 is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he input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s written to the upper cell array block 500 or the lower cell array block 502 through the write data bus unit 600. In this case, read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may be re-stored in the upper cell array block 500 or the lower cell array block 502.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 및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다.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upper cell array block 500 and the lower cell array block 502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셀 어레이 블럭(500)과 하부 셀 어레이 블럭(502)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셀 어레이 블럭(500)의 구성을 그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s of the upper cell array block 500 and the lower cell array block 502 are the same, the configuration of the cell array block 5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셀 어레이 블럭(500)은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와, MBL(Main Bit Line) 풀업(Pull Up) 제어부(520)와, 복수개의 서브 셀 어레이(530) 및 라이트 스위치(540)를 구비한다. The cell array block 500 includes a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a main bit line (MBL) pull up control unit 520, a plurality of sub cell arrays 530, and a write switch 540. .

여기서, 센스앰프 어레이부(510)는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에 연결되고, 라이트 스위치부(540)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연결된다. Here,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is connected to the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write switch unit 540 is connected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도 4는 도 3의 MBL 풀업 제어부(52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BL pull-up control unit 520 of FIG. 3.

MBL 풀업 제어부(520)는 프리차지시 메인 비트라인 MBL을 풀업 시키기 위한 PMOS트랜지스터 P1을 구비한다. PMOS트랜지스터 P1의 소스 단자는 전원전압 VCC(혹은 VPP) 인가단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는 메인 비트라인 MBL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를 통해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신호 MBLPUC가 인가된다. The MBL pull-up control unit 520 includes a PMOS transistor P1 for pulling up the main bit line MBL upon precharging. The source terminal of the PMOS transistor P1 is connected to the supply voltage VCC (or VPP) applying terminal,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signal MBLPUC is applied through the gate terminal.

도 5는 도 3의 라이트 스위치부(54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light switch unit 540 of FIG. 3.

라이트 스위치부(540)는 NMOS트랜지스터 N1 및 PMOS트랜지스터 P2를 구비한다. NMOS트랜지스터 N1은 메인 비트라인 MBL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를 통해 라이트 스위치 제어신호 WSN가 인가된다. 또한, PMOS트랜지스터 P2는 메인 비트라인 MBL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를 통해 라이트 스위치 제어신호 WSP가 인가된다. The write switch unit 540 includes an NMOS transistor N1 and a PMOS transistor P2. The NMOS transistor N1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to receive the write switch control signal WSN through the gate terminal. In addition, the PMOS transistor P2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to receive the write switch control signal WSP through the gate terminal.

이러한 구성을 갖는 라이트 스위치부(540)는 라이트 동작시에만 사용되고, 리드 동작 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리드 동작시에는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의 증폭 데이타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 출력된다. The light switch unit 5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only during the write operation, and maintains the off state during the read operation. In the read operation, the amplified data of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is output to the read data bus unit 400.

도 6은 도 3의 서브 셀 어레이(53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ubcell array 530 of FIG. 3.

서브 셀 어레이(530)의 각각의 메인 비트라인 MBL은 복수개의 서브 비트라인 SBL 중에서 하나의 서브 비트라인 SBL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서브 비트라인 선택 신호 SBSW1의 활성화시 NMOS트랜지스터 N6가 턴온되어 하나의 서브 비트라인 SBL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하나의 서브 비트라인 SBL에는 복수개의 셀 C이 연결된다. Each main bit line MBL of the sub cell array 53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sub bit line SBL among the plurality of sub bit lines SBL. That is, when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1 is activated, the NMOS transistor N6 is turned on to activate one sub bit line SBL. In addition, a plurality of cells C are connected to one sub bit line SBL.

서브 비트라인 SBL은 서브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SBPD의 활성화시 NMOS트랜지스터 N4의 턴온에 따라 그라운드 레벨로 풀다운 된다. 그리고, 서브 비트라인 풀업 신호 SBPU는 서브 비트라인 SBL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저전압에서는 전원전압 VCC 보다 높은 전압을 생성하여 서브 비트라인 SBL에 공급한다. The sub bit line SBL is pulled down to the ground level according to the turn-on of the NMOS transistor N4 when the sub bit line pull-down signal SBPD is activated. The sub bit line pull-up signal SBPU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sub bit line SBL. That is, at a low voltage, a voltage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sub bit line SBL.

그리고, 서브 비트라인 선택 신호 SBSW2는 NMOS트랜지스터 N5의 스위칭에 따라 서브 비트라인 풀업 신호 SBPU 인가단과 서브 비트라인 SBL 사이의 연결을 제어한다.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2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 bit line pull-up signal SBPU applying terminal and the sub bit line SB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NMOS transistor N5.

또한, NMOS트랜지스터 N3는 NMOS트랜지스터 N2와 메인 비트라인 MBL 사이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서브 비트라인 SBL과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 N2는 접지전압단과 NMOS트랜지스터 N3 사이에 연결되고, 게이트를 통해 메인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MBPD가 인가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의 센싱 전압을 조정한다. In addition, the NMOS transistor N3 is connected between the NMOS transistor N2 and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ub bit line SBL. The NMOS transistor N2 is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the NMOS transistor N3, and the main bit line pull-down signal MBPD is applied through the gate to adjust the sensing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MBL.

도 7은 도 3의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다.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of FIG. 3.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는 레벨 센싱부(511)와, 센싱 버퍼부(512) 및 센싱 출력부(513)를 구비한다.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includes a level sensing unit 511, a sensing buffer unit 512, and a sensing output unit 513.

여기서, 레벨 센싱부(511)는 PMOS트랜지스터 P3,P4와, NMOS트랜지스터 N7,N8를 구비한다. PMOS트랜지스터 P3는 전원전압 VCC 인가단과 메인 비트라인 MBL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가 노드 SL에 연결된다. PMOS트랜지스터 P4는 전원전압 VCC 인가단과 노드 SL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에 접지전압이 인가된다. Here, the level sensing unit 511 includes PMOS transistors P3 and P4 and NMOS transistors N7 and N8. The PMOS transistor P3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ly voltage VCC supply terminal and the main bit line MBL so that the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ode SL. The PMOS transistor P4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ly voltage VCC supply terminal and the node SL to apply a ground voltage to the gate terminal.

또한, NMOS트랜지스터 N7은 노드 SL과 NMOS트랜지스터 N8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가 메인 비트라인 MBL과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 N8은 NMOS트랜지스터 N7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에 센싱 인에이블 신호 S_EN가 인가된다. In addition, the NMOS transistor N7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SL and the NMOS transistor N8 so that the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bit line MBL. The NMOS transistor N8 is connected between the NMOS transistor N7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a sensing enable signal S_EN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레벨 센싱부(512)는 레벨 센싱부(511)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인버터 IV1,IV2를 구비한다. 인버터 IN1,IV2는 노드 SL의 출력전압을 로직 Vt(문턱전압)의 값을 기준으로 감지하여 버퍼링한다. The level sensing unit 512 includes inverters IV1 and IV2 for buff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evel sensing unit 511. The inverters IN1 and IV2 sense and buffer the output voltage of the node SL based on the logic Vt (threshold voltage) value.

센싱 출력부(513)는 NMOS트랜지스터 N9,N10을 구비한다. NMOS트랜지스터 N9는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와 NMOS트랜지스터 N10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가 노드 SLO에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 N10는 NMOS트랜지스터 N9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에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 SOUT_EN가 인가된다. The sensing output unit 513 includes NMOS transistors N9 and N10. The NMOS transistor N9 is connected between the read data bus unit 400 and the NMOS transistor N10 so that a gate terminal thereof is connected to the node SLO. The NMOS transistor N10 is connected between the NMOS transistor N9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SOUT_EN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에 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통상 모드일 경우 레벨 센싱부(511)의 NMOS트랜지스터 N8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리드 동작 모드시 센싱 인에이블 신호 S_EN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면, NMOS트랜지스터 N8이 턴온되어 노드 SL에 접지전압을 인가한다. 여기서, NMOS트랜지스터 N7의 게이트 단자는 메인 비트라인 MBL에 연결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에 의해 NMOS트랜지스터 N7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어된다. First, in the normal mode, the NMOS transistor N8 of the level sensing unit 511 maintains the off stat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S_EN is enabled in the read operation mode, the NMOS transistor N8 is turned on to apply a ground voltage to the node SL. Here, the gate terminal of the NMOS transistor N7 is connected to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NMOS transistor N7 is controlled by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MBL.

PMOS트랜지스터 P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노드 SL의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노드 SL가 그라운드 레벨일 경우 PMOS트랜지스터 P3가 턴온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에 전원전압 VCC를 공급한다. 이때, PMOS트랜지스터 P4는 항상 턴온되어 일정한 전류를 노드 SL에 공급함으로써 로드(Load)로 작용하게 된다.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MOS transistor P3 is determined by the voltage of the node SL. Therefore, when the node SL is at the ground level, the PMOS transistor P3 is turned on to supply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the main bit line MBL. At this time, the PMOS transistor P4 is always turned on and serves as a load by supplying a constant current to the node SL.

만약, 메인 비트라인 MBL이 전원전압 VCC 레벨일 경우 노드 SL의 전압은 로우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메인 비트라인 MBL이 그라운드 레벨일 경우 노드 SL 의 전압은 하이 상태를 나타낸다. If the main bit line MBL is at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level, the voltage of the node SL indicates a low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it line MBL is at the ground level, the voltage of the node SL indicates a high state.

즉, 메인 비트라인 MBL이 하이 레벨일 경우에는 노드 SL의 전압이 로우 상태가 되어 PMOS트랜지스터 P3의 전류 공급 능력이 큰 상태가 된다. 그리고,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이 서서히 감소하면, 노드 SL의 전압이 서서히 상승하여 PMOS트랜지스터 P3의 전류 공급 능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 하강 속도는 점점 빨라지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main bit line MBL is at a high level, the voltage of the node SL becomes low, resulting in a large current supply capability of the PMOS transistor P3.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MBL gradually decreases, the voltage of the node SL gradually rises, so that the current supply capability of the PMOS transistor P3 decreases. Therefore, the smaller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MBL becomes, the faster the voltage drop rate of the main bit line MBL becomes.

이로 인해, 메모리 셀의 셀 데이타 중에서 데이타 "하이"의 경우가 데이타 "로우"에 비해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 하강 속도가 빠르게 된다. 따라서, 노드 SL에서의 전압 상승 속도를 비교해 볼때, 셀 데이타 "하이"에서의 전압 상승 속도가 셀 데이타 "로우"에서의 전압 상승 속도에 비해 크게 된다. For this reason, the voltage drop rate of the main bit line MBL is faster in the case of data "high" in the cell data of the memory cell than in the data "low". Therefore, when comparing the voltage rising rate at the node SL, the voltage rising rate at the cell data "high" becomes larger than the voltage rising rate at the cell data "low".

이후에, 인버터 IV1,IV2는 로직 문턱전압 Vt을 기준으로 노드 SL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한다. 결국, 시간축을 기준으로 할때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가 인가되는 로직 문턱전압 Vt의 임계값에서 셀 데이타 "하이"와 "로우" 사이의 전압 레벨 차이를 더욱 크게 증폭할 수 있게 된다. Afterwards, the inverters IV1 and IV2 buffer the output voltage of the node SL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Vt. As a result, the voltag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cell data “high” and “low” may be further amplified at the threshold value of the logic threshold voltage Vt to which the reference timing strobe is applied based on the time axis.

이때, 인버터 IV1,IV2의 로직 문턱전압 Vt값을 조절하여 센싱 전압 레벨의 마진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rgin of the sensing voltage level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ogic threshold voltages Vt of the inverters IV1 and IV2.

NMOS트랜지스터 N10는 통상 동작 모드시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리도 동작 모드시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 SOUT_EN가 인에이블 되어 NMOS트랜지스터 N10가 턴온된다. 따라서, 노드 SLO의 전압 레벨 상태에 따라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전압 레벨이 결정된다. The NMOS transistor N10 remains off in normal operation mode. In the Lido operation mode,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SOUT_EN is enabled and the NMOS transistor N10 is turned on. Therefore, the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bus unit 4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state of the node SLO.

즉,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는 후술하는 리드 버스 풀업부에 의해 하이 레벨로 프리차지 상태를 유지하고, 노드 SLO의 전압 레벨에 의해 풀 다운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노드 SLO의 전압 레벨이 하이일 경우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는 로우 레벨로 풀다운 된다. 반면에, 노드 SLO의 전압 레벨이 로우일 경우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는 그대로 하이 레벨 상태를 유지한다. That is, the read data bus unit 400 maintains the precharge state at a high level by the read bus pull-up unit described later,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ull-down is determined by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SLO. If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SLO is high, the read data bus unit 400 is pulled down to a low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SLO is low, the read data bus unit 400 maintains the high level.

도 8은 본 발명의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에 관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8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related to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T0 구간은 워드라인 WL 및 플레이트 라인 PL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메인 비트라인 MBL 및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를 하이 레벨로 프리차지 하는 구간이다. 여기서, 서브 비트라인 SBL 및 노드 SL는 로우 레벨로 프리차지 된다. 그리고, 센싱 인에이블 신호 S_EN 및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 SOUT_EN가 모두 디스에이블 상태이다. First, the T0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word line WL and the plate line PL are inactive and precharge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read data bus unit 400 to a high level. Here, the sub bit lines SBL and the node SL are precharged to a low level. The sensing enable signal S_EN and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SOUT_EN are both disabled.

이후에, T1 구간에서는 워드라인 WL 및 플레이트 라인 PL이 하이 레벨로 활성화 된다. 이와 동시에, 서브 비트라인 SBL과 메인 비트라인 MBL에 셀 데이타의 데이타 "하이" 또는 데이타 "로우"가 인가된다. Thereafter, the word line WL and the plate line PL are activated to a high level in the T1 section. At the same time, data "high" or data "low" of the cell data is applied to the sub bit line SBL and the main bit line MBL.

또한, 센스앰프의 제어신호인 센싱 인에이블 신호 S_EN 및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 SOUT_EN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 된다. 따라서,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는 데이타 증폭 및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 레벨은 센싱 감지 임계 전압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nsing enable signal S_EN and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SOUT_EN, which are control signals of the sense amplifier, are activated to a high level. Accordingly,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performs data amplification and sensing operations. At this time, the voltage level of the main bit line MBL is reduced until the sensing sense threshold voltage level is reached.

다음에, T2 구간에서는 셀 데이타 "하이"의 전압 레벨이 먼저 센싱 감지 임계 전압에 도달한다. 즉, 셀 데이타가 "하이"일 경우 노드 SL의 전압이 인버터 INV1의 로직 문턱전압 Vt 레벨에 먼저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 SLO의 전압 레벨이 하이로 천이하여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에 먼저 로우 레벨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노드 SL의 전압 레벨 증가시 PMOS트랜지스터 P3의 구동 전류가 저하되는 시점부터 PMOS트랜지스터 P3의 전압 레벨이 급격이 강하하게 된다. Next, in the T2 period,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high" first reaches the sensing sensing threshold voltage. That is, when the cell data is "high", the voltage of the node SL reaches the logic threshold voltage Vt level of the inverter INV1 first. Therefore,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SLO transitions high to output the low level to the read data bus unit 400 first. Here,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SL increases, the voltage level of the PMOS transistor P3 drops rapidly from the point where the driving current of the PMOS transistor P3 decreases.

또한, T2 구간에서는 셀 데이타 "로우"의 전압 레벨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의 레벨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Further, in the T2 period,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low" does not reach the level of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따라서, 셀 데이타 "하이"와 셀 데이타 "로우"가 각각 센싱 감지 임계 전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은 시간축을 기준으로 할때 T2구간 동안의 시간차를 갖게 된다. 결국, T2 구간 동안에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를 인가하여 셀 데이타 "하이" 또는 셀 데이타 "로우"를 구별함으로써 셀 데이타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는 후술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의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이다. Therefor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ell data "high" and the cell data "low" respectively reach the sensing sensing threshold voltage level has a time difference during the T2 period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cell data can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reference timing strobe during the T2 period to distinguish the cell data "high" or the cell data "low". The signal for determining the application timing of the reference timing strobe is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described later.

즉,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인 T2구간에서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전압 레벨이 로우일 경우 셀 데이타는 "하이"를 나타낸다. 반대로 T2 구간에서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전압 레벨이 하이일 경우 셀 데이타는 "로우"를 나타낸다. That is,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bus unit 400 is low in the T2 section, which is a reference timing strobe section, the cell data indicates “high”. On the contrary,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bus unit 400 is high in the T2 period, the cell data indicates “low”.

이후에, T3 구간에서 셀 데이타가 "로우"일 경우 노드 SL의 전압 레벨이 로직 문턱전압 Vt의 전압 레벨에 도달하게 된다. T3 구간에서는 노드 SL 및 노드 SLO의 전압 레벨이 셀 데이타 "하이" 또는 셀 데이타 "로우"의 전압 레벨과 상관없이 모두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 된다. 따라서,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전압 레벨이 모두 로우 레벨로 디스에이블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cell data is "low" in the T3 period,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SL reaches the voltage level of the logic threshold voltage Vt. In the T3 section, the voltage levels of the node SL and the node SLO are all enabled at a high level regardless of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high" or the cell data "low". Therefore, all of the voltage levels of the read data bus unit 400 are disabled to the low level.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FIG. 9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는 리드 버스 풀업부(310)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0)와, 데이타 래치부(330)와,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0)와,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0) 및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360)를 구비한다.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ncludes a read bus pull-up unit 310, a read bus switch unit 320, a data latch unit 330, a data input switch unit 340, and a write bus switch unit. And a data output switch unit 360.

여기서, 리드 버스 풀업부(310)는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를 풀업시킨다. 리드 버스 스위치부(320)는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에 따라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데이타 래치부(330)에 출력한다. Here, the read bus pull-up unit 310 pulls up the read data bus unit 400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The read bus switch unit 320 outputs data applied from the read data bus unit 400 to the data latch unit 330 according to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데이타 래치부(330)는 리드 버스 스위치부(32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 및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한다.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0)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데이타 래치부(330)에 출력한다. The data latch unit 330 stores read data applied from the read bus switch unit 320 and input data applied from the data input switch unit 340. The data input switch unit 340 outputs input data applied from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o the data latch unit 330 according to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0)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에 따라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 데이타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출력한다.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360)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에 따라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 데이타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에 출력한다. The write bus switch unit 350 outputs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The data output switch unit 360 outputs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to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도 10은 도 9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FIG. 9.

먼저, 리드 버스 풀업부(310)는 전원전압 인가단과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를 통해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가 인가되는 PMOS트랜지스터 P5를 구비한다. First, the read bus pull-up unit 310 includes a PMOS transistor P5 connected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applying terminal and a read data bus unit 400 to which a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is applied through a gate terminal.

리드 버스 스위치부(320)는 전송게이트 T1,T2 및 인버터 IV3를 구비한다. 인버터 IV3는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1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와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에 따라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2는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와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에 따라 인버터 IV5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reed bus switch unit 320 includes the transfer gates T1 and T2 and the inverter IV3. Inverter IV3 inverts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The transfer gate T1 selectively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read data bus unit 400 according to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The transfer gate T2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5 according to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and the inverted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데이타 래치부(330)는 래치 회로로 구성된 인버터 IV4, IV5를 구비한다. The data latch unit 330 includes inverters IV4 and IV5 configured as latch circuits.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0)는 인버터 IV6 및 전송게이트 T3,T4를 구비한다. 인버터 IV6은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를 반전한다. The data input switch unit 340 includes inverters IV6 and transfer gates T3 and T4. Inverter IV6 inverts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전송게이트 T3는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 및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에 따라 인버터 IV4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4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 및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의 출력신호를 데이타 래치부(33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transfer gate T3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4 according to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and the inverted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The transfer gate T4 selectively selects the output signal of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o the data latch unit 330 according to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Will print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0)는 인버터 IV7~IV9 및 전송게이트 T5를 구비한다. 인버터 IV7,IV8은 전송게이트 T3의 출력신호를 지연한다. 인버터 IV9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5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 및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에 따라 인버터 IV8의 출력신호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write bus switch unit 350 includes inverters IV7 to IV9 and a transmission gate T5. Inverters IV7 and IV8 delay the output signal of transfer gate T3. Inverter IV9 inverts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The transfer gate T5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8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write enable signal W_EN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360)는 인버터 IV10~IV12 및 전송게이트 T6를 구비한다. 인버터 IV10,IV11는 전송게이트 T3의 출력신호를 지연한다. 인버터 IV12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6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 및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에 따라 인버터 IV11의 출력신호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data output switch unit 360 includes inverters IV10 to IV12 and a transfer gate T6. Inverters IV10 and IV11 delay the output signal of transfer gate T3. Inverter IV12 inverts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The transfer gate T6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11 to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output enable signal OUT_EN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도 11은 본 발명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11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T1 구간에서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가 인에이블 되면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셀 센싱 데이타가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다. 즉,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가 하이인 구간에서는 리드 데이타가 계속해서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다. First,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is enabled in the T1 section, the cell sensing data applied from the read data bus unit 400 is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That is, in the period where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is high, read data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이후에, T2 구간에서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가 로우로 천이하면, 리드 데이타가 더이상 데이타 래치부(330)에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에서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시 데이타 래치부(330)에 기저장된 데이타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transitions low in the T2 period, the read data is no longer input to the data latch unit 330. Therefore,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is disabl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he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is applied.

다음에, T3 구간에서는 데이타 "하이" 또는 데이타 "로우"의 전압 레벨이 모두 로우 상태가 되므로 데이타 래치(330)에 더이상 리드 데이타를 저장할 수 없게 된다. 결국, T2의 데이타 유효 구간 동안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 시점에서 입력된 데이타가 최종적으로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다. Next, in the T3 section, since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high" or the data "low" is all low, the read data can no longer be stored in the data latch 330. As a result, the data input at the time of applying the reference timing strobe during the data valid period of T2 is final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FIG. 1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는 상부 리드 버스 풀업부(311)와, 하부 리드 버스 풀업부(312)와, 상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1)와, 하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2)와, 데이타 래치부(331)와,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1)와,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1) 및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361)를 구비한다.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ncludes an upper lead bus pull-up unit 311, a lower lead bus pull-up unit 312, an upper lead bus switch unit 321, a lower lead bus switch unit 322, And a data latch section 331, a data input switch section 341, a write bus switch section 351, and a data output switch section 361.

여기서, 상부 리드 버스 풀업부(311)는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를 풀업시킨다. 상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1)는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에 따라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데이타 래치부(331)에 출력한다. Here, the upper read bus pull-up unit 311 pulls up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The upper read bus switch unit 321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to the data latch unit 331 according to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또한, 하부 리드 버스 풀업부(312)는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를 풀업시킨다. 하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2)는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에 따라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데이타 래치부(331)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lower read bus pull-up unit 312 pulls up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The lower read bus switch unit 322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to the data latch unit 331 according to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데이타 래치부(331)는 상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1), 하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2)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 및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1)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한다.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1)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데이타 래치부(331)에 출력한다. 이때,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는 데이타 재저장시 또는 라이트 동작 모드시 인에이블 된다. The data latch unit 331 stores the read data applied from the upper reed bus switch unit 321 and the lower reed bus switch unit 322 and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data input switch unit 341. The data input switch unit 341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o the data latch unit 331 according to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t this time,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is enabled when data is restored or in the write operation mode.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1)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에 따라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 데이타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출력한다.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361)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에 따라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 데이타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에 출력한다. The write bus switch unit 351 outpu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The data output switch unit 361 outpu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to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도 13은 도 12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1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FIG. 12.

먼저, 상부 리드 버스 풀업부(311)는 전원전압 인가단과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를 통해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가 인가되는 PMOS트랜지스터 P6를 구비한다. First, the upper read bus pull-up unit 311 includes a PMOS transistor P6 connected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applying terminal and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to which a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is applied through a gate terminal.

그리고, 하부 리드 버스 풀업부(312)는 전원전압 인가단과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를 통해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가 인가되는 PMOS트랜지스터 P7를 구비한다. The lower read bus pull-up unit 312 includes a PMOS transistor P7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ying terminal and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to which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is applied through the gate terminal.

상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1)는 전송게이트 T7,T8 및 인버터 IV13를 구비한다. 인버터 IV13는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7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와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에 따라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upper reed bus switch unit 321 includes transfer gates T7 and T8 and an inverter IV13. Inverter IV13 inverts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The transfer gate T7 selectively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according to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do.

전송게이트 T8는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와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에 따라 전송게이트 T9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transfer gate T8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fer gate T9 according to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and the inverted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또한, 하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322)는 전송게이트 T9,T10 및 인버터 IV14를 구비한다. 인버터 IV14는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9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와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에 따라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lower reed bus switch unit 322 includes transmission gates T9 and T10 and an inverter IV14. Inverter IV14 inverts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The transfer gate T9 selectively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according to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do.

전송게이트 T10는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와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에 따라 인버터 IV16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transfer gate T10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16 according to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and the inverted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데이타 래치부(331)는 래치 회로로 구성된 인버터 IV15, IV16를 구비한다. The data latch unit 331 includes inverters IV15 and IV16 constituted by latch circuits.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341)는 인버터 IV17 및 전송게이트 T11,T12를 구비한다. 인버터 IV17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를 반전한다. The data input switch section 341 includes inverters IV17 and transfer gates T11 and T12. Inverter IV17 inverts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전송게이트 T11는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 및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에 따라 인버터 IV15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12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 및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의 출력신호를 데이타 래치부(331)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transfer gate T11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15 according to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and the inverted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The transfer gate T12 selectively selects an output signal of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o the data latch unit 331 according to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Will print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1)는 인버터 IV18~IV20 및 전송게이트 T13를 구비한다. 인버터 IV18,IV19는 전송게이트 T11의 출력신호를 지연한다. 인버터 IV20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13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 및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에 따라 인버터 IV19의 출력신호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write bus switch unit 351 includes inverters IV18 to IV20 and a transmission gate T13. Inverters IV18 and IV19 delay the output signal of transfer gate T11. Inverter IV20 inverts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The transfer gate T13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19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write enable signal W_EN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361)는 인버터 IV21~IV23 및 전송게이트 T14를 구비한다. 인버터 IV21,IV22는 전송게이트 T11의 출력신호를 지연한다. 인버터 IV23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를 반전한다. 전송게이트 T14는 N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 및 PMOS게이트를 통해 인가되는 반전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에 따라 인버터 IV22의 출력신호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data output switch unit 361 includes inverters IV21 to IV23 and a transfer gate T14. Inverters IV21 and IV22 delay the output signal of transfer gate T11. Inverter IV23 inverts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The transfer gate T14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V22 to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applied through the NMOS gate and the inverted output enable signal OUT_EN applied through the PMOS gate.

도 14는 본 발명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서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14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is select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T1 구간에서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가 인에이블 되면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셀 센싱 데이타가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즉,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가 하이인 구간에서는 리드 데이타가 계속해서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이때,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는 로우 상태를 유지한다. First, when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is enabled in the T1 section, the cell sensing data applied from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is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That is, in the period where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is high, read data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At this time,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is kept low.

이후에, T2 구간에서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가 로우로 천이하면, 리드 데이타가 더이상 데이타 래치부(331)에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에서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시 데이타 래치부(331)에 기저장된 데이타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transitions low in the T2 section, read data is no longer input to the data latch unit 331. Therefore, at the time when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is disabl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he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is applied.

다음에, T3 구간에서는 데이타 "하이" 또는 데이타 "로우"의 전압 레벨이 모두 로우 상태가 되므로 데이타 래치(331)에 더이상 리드 데이타를 저장할 수 없게 된다. 결국, T2의 데이타 유효 구간 동안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 시점에서 입력된 데이타가 최종적으로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Next, in the T3 section, since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high" or the data "low" is all low, the read data can no longer be stored in the data latch 331. As a result, the data input at the application timing of the reference timing strobe during the data valid period of T2 is final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서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15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is select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T1 구간에서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가 인에이블 되면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700)로부터 인가되는 셀 센싱 데이타가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즉,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가 하이인 구간에서는 리드 데이타가 계속해서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이때,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T는 로우 상태를 유지한다. First, when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is enabled in the T1 section, the cell sensing data applied from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700 is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That is, in the period where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is high, read data continues to be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At this time,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T is kept low.

이후에, T2 구간에서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가 로우로 천이하면, 리드 데이타가 더이상 데이타 래치부(331)에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_B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에서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시 데이타 래치부(331)에 기저장된 데이타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transitions low in the period T2, read data is no longer input to the data latch unit 331. Therefore, at the time when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_B is disabl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he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is applied.

다음에, T3 구간에서는 데이타 "하이" 또는 데이타 "로우"의 전압 레벨이 모두 로우 상태가 되므로 데이타 래치(331)에 더이상 리드 데이타를 저장할 수 없게 된다. 결국, T2의 데이타 유효 구간 동안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의 인가 시점에서 입력된 데이타가 최종적으로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Next, in the T3 section, since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high" or the data "low" is all low, the read data can no longer be stored in the data latch 331. As a result, the data input at the application timing of the reference timing strobe during the data valid period of T2 is finally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한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의 라이트 모드시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16 is a timing diagram of an operation in the write mode of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ntrol method having the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t0구간에서 어드레스가 천이하고,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E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면, 라이트 모드 엑티브 상태가 된다. t1구간의 진입시 메인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MBPD가 하이로 인에이블 된다. 그리고,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신호 MBLPUC 및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이 하이로 프리차지 된다. First, when the address changes in the t0 section and the write enable signal / WE is disabled low, the write mode is activated. The main bit line pulldown signal MBPD is enabled high when entering the t1 section. The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signal MBLPUC and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 are disabled low, and the main bit line MBL is precharged high.

이때, 워드라인 WL 및 플레이트 라인 PL이 활성화 되기 이전에 t0,t2 구간에서는 메인 비트라인 MBL과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전압 레벨이 하이로 풀업된다. At this time, before the word line WL and the plate line PL are activated, the voltage level of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read data bus unit 400 is pulled up in the period t0 and t2.

이후에, t2구간의 진입시 워드라인 WL이 인에이블 되고, 서브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SBPD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셀의 저장 노드가 그라운드 레벨로 초기화된다. 그리고,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 및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신호 MBLPUC가 하이로 인에이블 된다. 이때, t2구간에서 워드라인을 플레이트 라인 PL보다 먼저 활성화된다. 따라서, 초기 동작시 셀의 저장 노드의 상태를 안정시킴으로써 센싱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reafter, the word line WL is enabled upon entering the t2 section, the sub bit line pull-down signal SBPD is disabled low, and the storage node of the cell is initialized to the ground level.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and the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signal MBLPUC are enabled high. At this time, the word line is activated before the plate line PL in the period t2. Accordingly, the sensing margin can be improved by stabilizing the state of the storage node of the cell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다음에, 데이타 센싱 구간인 t3 구간의 진입시 플레이트 라인 PL이 펌핑전압 VPP 레벨로 인에이블 되고, 메인 비트라인 MBL에 셀 데이타가 인가된다. 그리고, 버스 풀업 제어신호 BUSPUC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어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400)의 풀업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Next, upon entering the t3 section, which is a data sensing section, the plate line PL is enabled at the pumping voltage VPP level, and cell data is applied to the main bit line MBL. In addition,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BUSPUC is enabled high to stop the pull-up operation of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400.

여기서, t4 구간의 진입시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가 디스에이블 되면,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가 인가되는 시점에서 센스 앰프 어레이부(510)의 증폭 데이타가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하게 된다. Here,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is disabled when the t4 period is entered, the amplified data of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510 is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whe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is applied.

이어서, t5구간의 진입시 플레이트 라인 PL의 전압 레벨이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고, 서브 비트라인 선택신호 SBSW2가 펌핑전압 VPP 레벨로 인에이블 된다. 그리고, 서브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SBPD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어 서브 비트라인 SBL의 전압 레벨이 그라운드 레벨이 된다. 또한, 메인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MBPD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이 하이로 인에이블 된다. Subsequently, upon entering the t5 section, the voltage level of the plate line PL is disabled low, and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2 is enabled to the pumping voltage VPP level. Then, the sub bit line pull-down signal SBPD is enabled high so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sub bit line SBL becomes the ground level. In addition, the main bit line pull-down signal MBPD is disabled low, thereby enabling the main bit line MBL high.

다음에, t6 구간의 진입시 워드라인 WL의 전압 레벨이 상승되어, 셀 데이타 "하이"를 라이트하게 된다. 그리고, 서브 비트라인 풀업신호 SBPU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고, 서브 비트라인 선택신호 SBSW2의 전압 레벨이 상승하여 서브 비트라인 SBL의 전압 레벨이 펌핑전압 VPP 레벨로 상승한다. 또한, 서브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SBPD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된다. Next, upon entering the t6 section, the voltage level of the word line WL is raised to write the cell data "high". Then, the sub bit line pull-up signal SBPU is enabled high, the voltage level of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2 rises,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sub bit line SBL rises to the pumping voltage VPP level. Also, the sub bit line pulldown signal SBPD is disabled low.

이때,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면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타가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그리고,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351)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의 인에이블시 데이타 래치부(311)에 저장된 데이타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출력한다. At this time,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is enabled high, input data input from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is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The write bus switch unit 351 outpu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11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when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is enabled.

또한, 라이트 스위치 제어신호 WSN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면,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의 데이타가 메인 비트라인 MBL에 출력된다. In addition, when the write switch control signal WSN is enabled high, the data of the write data bus unit 600 is output to the main bit line MBL.

이후에, t7 구간의 진입시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E 및 플레이트 라인 PL이 하이로 인에이블 되면 데이타 유효구간 동안 셀 데이타 "0"을 재저장한다. 또한,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데이타 입력 스위치(341)로 입력된 입력 데이타가 데이타 래치부(331)에 저장된다. Subsequently, if the write enable signal / WE and the plate line PL are enabled when entering the t7 section, the cell data “0” is re-stored during the data validity period. In additio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is disabled so that the input data inputted to the data input switch 341 is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1.

이때,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 레벨이 로우로 디스에이블 된다. 그리고, 서브 비트라인 선택신호 SBSW1의 전압 레벨이 펌핑전압 VPP 레벨로 상승하고, 서브 비트라인 선택신호 SBSW2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의 데이타가 서브 비트라인 SBL에 출력된다. At this time, the voltage level of the main bit line MBL is disabled low. Then, the voltage level of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1 rises to the pumping voltage VPP level,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2 is disabled low, and the data of the main bit line MBL is output to the sub bit line SBL.

여기서, 셀의 데이타가 "하이"일 경우, 센싱시 서브 비트라인 SBL의 전압이 높은 레벨이 된다. 따라서, 셀 C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전류가 커지게 되어 셀 데이타 "로우"에서 유기된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Here, when the data of the cell is "high", the voltage of the sub bit line SBL becomes high when sensing. Thus, the current of the switching transistor of the cell C becomes large, so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main bit line MBL induced in the cell data "low" is lowered.

반대로, 셀의 데이타가 "로우"일 경우, 리드시 서브 비트라인 SBL의 전압이 낮은 레벨이 된다. 따라서, 셀 C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전류가 작아지게 되어 셀 데이타 "하이"에서 유기된 메인 비트라인 MBL의 전압 레벨이 높아진다. On the contrary, when the data of the cell is " low ", the voltage of the sub bit line SBL at the read becomes low. Therefore, the current of the switching transistor of the cell C becomes small, so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main bit line MBL induced in the cell data "high" becomes high.

따라서, 새로운 데이타를 라이트 하기 위해 서브 비트라인 선택신호 SBSW1가 인에이블 되어 있는 동안에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300)에 저장된 데이타를 서브 비트라인 SBL 및 메인 비트라인 MBL에 각각 인가하게 된다. 이때, 기록 데이타가 "0"일 경우 메모리 셀에 데이타 로우 레벨이 저장된다. Therefore, while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1 is enabled to write new data, the data stored 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300 is applied to the sub bit line SBL and the main bit line MBL, respectively. At this time, when the write data is "0", the data low level is stored in the memory cell.

다음에, t8구간의 진입시 워드라인 WL이 플레이트 라인 PL 보다 먼저 디스에이블 된다. Next, upon entering the t8 section, the word line WL is disabled before the plate line PL.

이어서, t9구간의 진입시 플레이트 라인 PL의 전압 레벨, 서브 비트라인 선택신호 SBSW1 및 서브 비트라인 풀업신호 SBPU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된다. 그리고, 서브 비트라인 풀다운 신호 SBPD 및 메인 비트라인이 하이로 인에이블 된다. Subsequently, upon entering the t9 section, the voltage level of the plate line PL, the sub bit line selection signal SBSW1 and the sub bit line pull-up signal SBPU are disabled low. The sub bit line pull-down signal SBPD and the main bit line are enabled high.

이때, 라이트 스위치 제어신호 WSN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메인 비트라인 MBL과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의 연결을 차단한다. 그리고,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_EN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어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600)에 더이상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write switch control signal WSN is disable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it line MBL and the write data bus unit 600. Then, the write enable signal W_EN is disabled low so that data is no longer input to the write data bus unit 600.

한편,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의 리드 모드시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17 is a timing diagram of an operation in the read mode of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ntrol method having the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리드 모드시에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WE가 전원전압 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t6 구간 이후에 데이타 출력 유효 구간을 유지한다. First, in the read mode, the write enable signal / WE maintains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The data output valid section is maintained after the t6 section.

이때, 라이트 락 제어신호 W_LOCK는 로우 레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타를 셀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다시 셀에 재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W_LOCK maintains a low level. Therefore, instead of writing input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to the cell,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is re-stored in the cell.

또한, t4구간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 OUT_EN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어 리드 락 제어신호 R_LOCK에 의해 데이타 래치부(330)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데이타 버퍼 버스부(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utput enable signal OUT_EN is enabled high in the period t4 so that the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330 can be output through the data buffer bus unit 200 by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R_LOC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데이타를 리드 및 라이트 하기 위한 버스의 구조를 개선하고, 레지스터를 통해 리드 및 라이트된 데이타를 저장하여 데이타 엑세스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First, i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bus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and improves data access time by storing data read and written through registers.

둘째, 셀프 레퍼런스 센싱회로에 의해 별도의 레퍼런스 전압 발생회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저전압에서 센싱 전압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고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Second, since a separate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is unnecessary by the self-reference sensing circuit, a margin of the sensing voltage can be secured at a low voltage and the operation speed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의 제 1실시예. 1 is a first embodiment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의 제 2실시예. 2 is a second embodiment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셀 어레이 블럭에 관한 상세 구성도.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ell array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MBL 풀업 제어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BL pull-up control unit of FIG.

도 5는 도 3의 라이트 스위치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light switch unit of FIG. 3. FIG.

도 6은 도 3의 서브 셀 어레이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ubcell array of FIG. 3. FIG.

도 7은 도 3의 센스 앰프 어레이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of FIG. 3. FIG.

도 8은 도 7의 센스 앰프 어레이부에 관한 동작 타이밍도. 8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relating to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의 상세 구성도. 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of FIG. 9; FIG.

도 11은 도 9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에 관한 동작 타이밍도. FIG. 11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relating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of FIG. 9;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의 상세 구성도. 1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1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of FIG. 12; FIG.

도 14 및 도 15는 도 12의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에 관한 동작 타이밍도. 14 and 15 are operation timing diagrams related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of FIG.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의 라이트 모드시 동작 타이밍도. 16 is a timing diagram of operation in a write mode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ntrol method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의 리드 모드시 동작 타이밍도. 17 is a timing diagram of operation in a read mode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ntrol method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8)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고,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Each of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ies is provided, and amplifies the 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in a reference timing strobe section in which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reaches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되는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 A read / write for storing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upon activation of a read lock control signal, and for storing the read data or input data to be written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upon activation of a write lock control signal; A data register array unit;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를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A read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to output the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nd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출력하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And a write data bus unit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or input data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상기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로직 문턱전압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서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센스 앰프 어레이부;A sense amplifier array unit configured to amplify a voltage level of cell data at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set by a logic threshold voltage based on the specific time point;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비트라인을 풀업시키는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 A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unit which pulls up the main bit line according to a state of a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signal;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서브 셀 어레이; 및 A plurality of subcell arrays having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to store the read data or input data; And 라이트 스위치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비트라인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라이트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write switch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main bit line and the write data bus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a write switch control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 앰프 어레이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센싱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 이하일 경우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셀 데이타 하이의 센싱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레벨 센싱부;A level sensing unit configured to amplify a sensing voltage level of cell data high of the main bit line when the sensing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is enabled; 상기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벨 센싱부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센싱 버퍼부; 및 A sensing buffer unit configured to buffer an output voltage of the level sensing unit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And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센싱 출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nsing output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bus unit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싱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vel sensing unit 상기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제 1노드에 그라운드 전압을 출력하는 제 1구동소자;A first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ground voltage to a first nod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is enabled;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노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제 2구동소자;A second driving element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node by a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상기 제 1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제 3구동소자; 및 A third driving element selectively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node to control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main bit line; And 상기 제 1노드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4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fourth driving device for supplying a constant current to the first node.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버퍼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ing buffer unit 상기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노드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복수개의 인버터 체인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plurality of inverter chains for buffe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node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출력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ing output unit 상기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에 그라운드 전압을 출력하는 제 5구동소자; 및 A fifth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ground voltage to the read data bus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And 상기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제 6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ixth driving element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an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bus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는 The dat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of claim 1,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풀업시키는 리드 버스 풀업부;A read bus pull-up unit configured to pull up the read data bus unit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a bus pull-up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버스 스위치부;A read bus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applied from the read data bus unit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of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상기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A data input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input data applied from a data buffer bus unit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of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데이타 및 상기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래치부;A data latch unit for storing the read data and the input data;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출력하는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 및 A write bus switch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ad data or input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write data bus unit when a write enable signal is activated; And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data output switch unit for outputting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when an output enable signal is activa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버스 풀업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ad bus pull-up unit 상기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전원전압으로 풀업시키는 제 7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venth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pull up the read data bus unit to a power supply voltage in response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버스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ed bus switch unit 상기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전송게이트; 및 A first transfer gate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리드 락 제어신호의 비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cond transfer gat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read data to the data latch section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input switch unit 상기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3전송게이트; 및 A third transmission gate selectively outputting the input data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비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4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fourth transfer gat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input data to the data latch section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래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latch unit 서로의 출력신호가 각각의 입력신호로 입력되며 병렬 연결된 제 1인버터 및 제 2인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wherein the output signals are inputted to respective input signals and have a first inverter and a second inverter connected in parall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ght bus switch unit 상기 데이타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며 인버터 체인으로 연결된 제 1지연부; 및 A first delay unit connected to an inverter chain by delaying an output signal of the data latch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5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fifth transfer gat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delay unit to the write data bus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the write enable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output switch unit 상기 데이타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며 인버터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2지연부; 및 A second delay unit delaying an output signal of the data latch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nected to an inverter chain; And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제 6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ixth transfer gate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delay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고,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센싱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및 하부 셀 어레이 블럭;Each of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ies is provided, and amplifies the 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in a reference timing strobe section in which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reaches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and lower cell array blocks;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되는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 Store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when the read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s.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for storing the read data or input data written to a cell array block;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를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 An upper read data bus unit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to output the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를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A lower read data bus unit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to output the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nd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상기 입력 데이타를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에 출력하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A write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and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or the input data to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 각각은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and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상기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로직 문턱전압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서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센스 앰프 어레이부;A sense amplifier array unit configured to amplify a voltage level of cell data at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set by a logic threshold voltage based on the specific time point;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비트라인을 풀업시키는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 A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unit which pulls up the main bit line according to a state of a main bit line pull-up control signal;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서브 셀 어레이; 및 A plurality of subcell arrays having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라이트 스위치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비트라인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라이트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write switch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main bit line and the write data bus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a write switch control sig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 앰프 어레이부는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센싱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 이하일 경우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셀 데이타 하이의 센싱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레벨 센싱부;A level sensing unit configured to amplify a sensing voltage level of cell data high of the main bit line when the sensing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is enabled; 상기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벨 센싱부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센싱 버퍼부; 및 A sensing buffer unit configured to buffer an output voltage of the level sensing unit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And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 또는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센싱 출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nsing output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or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according to an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싱부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evel sensing unit 상기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제 1노드에 그라운드 전압을 출력하는 제 1구동소자;A first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ground voltage to a first nod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is enabled;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노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제 2구동소자;A second driving element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node by a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상기 제 1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제 3구동소자; 및 A third driving element selectively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node to control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main bit line; And 상기 제 1노드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4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fourth driving device for supplying a constant current to the first node.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버퍼부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nsing buffer unit 상기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노드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복수개의 인버터 체인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plurality of inverter chains for buffe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node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출력부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nsing output unit 상기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에 그라운드 전압을 출력하는 제 5구동소자; 및 A fifth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ground voltage to the read data bus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And 상기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 또는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제 6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ixth driving element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an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or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는 15. The memory device of claim 14, where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상기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풀업시키는 상부 리드 버스 풀업부;An upper read bus pull-up unit configured to pull up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a bus pull-up control signal; 상기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상기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풀업시키는 하부 리드 버스 풀업부;A lower read bus pull-up unit configured to pull up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상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An upper read bus switch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read data applied from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of an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하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A lower read bus switch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read data applied from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of a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상기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A data input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input data applied from a data buffer bus unit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of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데이타 및 상기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래치부;A data latch unit for storing the read data and the input data;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출력하는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 및 A write bus switch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ad data or input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write data bus unit when a write enable signal is activated; And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data output switch unit for outputting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when an output enable signal is activate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드 버스 풀업부는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upper lead bus pull-up portion 상기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전원전압으로 풀업시키는 제 7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venth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pull up the upper read data bus unit to a power supply voltage in response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드 버스 풀업부는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lower lead bus pull-up portion 상기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전원전압으로 풀업시키는 제 8구동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n eighth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pull up the lower read data bus unit to a power supply voltage in response to the bus pull-up control signal.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upper reed bus switch unit 상기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전송게이트; 및 A first transfer gate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when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의 비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cond transfer gate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data latch unit when the upper read lock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드 버스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lower reed bus switch unit 상기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3전송게이트; 및 A third transfer gate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when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의 비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4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fourth transfer gate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data latch unit when the lower read lock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data input switch unit 상기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5전송게이트; 및 A fifth transmission gate selectively outputting the input data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비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6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ixth transfer gat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the input data to the data latch unit when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래치부는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data latch unit 서로의 출력신호가 각각의 입력신호로 입력되며 병렬 연결된 제 1인버터 및 제 2인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wherein the output signals are inputted to respective input signals and have a first inverter and a second inverter connected in parallel.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는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light bus switch unit 상기 데이타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며 인버터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1지연부; 및 A first delay unit delaying an output signal of the data latch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nected to an inverter chain; And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7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venth transfer gat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delay unit to the write data bus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write enable signal.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는 21. The apparatus of claim 20, wherein the data output switch unit 상기 데이타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며 인버터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2지연부; 및 A second delay unit delaying an output signal of the data latch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nected to an inverter chain; And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제 8전송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n eighth transfer gate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delay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enable signal.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상부 리드 락 제어신호 및 상기 하부 리드 락 제어신호는 The upper lead lock control signal and the lower lead lock control signal are 상기 복수개의 상부 셀 어레이 블럭 또는 상기 복수개의 하부 셀 어레이 블럭의 동작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리드 락 제어신호 중 하나만 인에이블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only one of the read lock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upper cell array blocks or the plurality of lower cell array blocks is enabled.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 및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each hav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되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를 구비하고,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configured to store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to store input data written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은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셀프 센싱 전압을 변환하고 상기 특정 시점에서 변환된 상기 셀프 센싱 전압을 증폭하는 센스 앰프 어레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The self-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is converted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i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reaches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nd the self-sensing converted at the specific time point is converted.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sense amplifier array unit for amplifying a voltage. 제 3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를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로 출력하는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A read data bus unit common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to output the read data to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And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공통 연결되어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상기 입력 데이타를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출력하는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And a write data bus unit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or the input data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 앰프 어레이부는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sense amplifier array unit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센싱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 이하일 경우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셀 데이타 하이의 센싱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레벨 센싱부;A level sensing unit configured to amplify a sensing voltage level of cell data high of the main bit line when the sensing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is enabled; 상기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벨 센싱부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센싱 버퍼부; 및 A sensing buffer unit configured to buffer an output voltage of the level sensing unit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And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센싱 출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nsing output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bus unit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는 32. The memory device of claim 31, wherein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풀업시키는 리드 버스 풀업부;A read bus pull-up unit configured to pull up the read data bus unit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a bus pull-up control signal; 리드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버스 스위치부;A read bus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applied from the read data bus unit according to an activation state of a read lock control signal;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A data input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data buffer bus uni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tate of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데이타 및 상기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래치부;A data latch unit for storing the read data and the input data;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출력하는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 및 A write bus switch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ad data or input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write data bus unit when a write enable signal is activated; And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data output switch unit for outputting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when an output enable signal is activated.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 및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each hav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리드 데이타를 저장하고,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라이트 되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를 구비하고,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configured to store read data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through a read data bus unit, and to store input data written to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through a write data bus unit; 상기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는 The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unit 버스 풀업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를 풀업시키는 리드 버스 풀업부;A read bus pull-up unit configured to pull up the read data bus unit in an initial state according to a bus pull-up control signal; 리드 락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리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버스 스위치부;A read bus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read data according to a state of a read lock control signal; 라이트 락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데이타 버퍼 버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입력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입력 스위치부;A data input switch section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data buffer bus s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rite lock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데이타 및 상기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래치부;A data latch unit for storing the read data and the input data;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리드 데이타 또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에 출력하는 라이트 버스 스위치부; 및 A write bus switch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ad data or input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write data bus unit when a write enable signal is activated; And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데이타 래치부에 저장된 리드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 버퍼 버스부에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 스위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data output switch unit for outputting read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unit to the data buffer bus unit when an output enable signal is activated.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 각각은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메인 비트라인의 전압이 센싱 감지 임계전압에 도달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센싱된 셀 데이타의 셀프 센싱 전압을 변환하고 상기 특정 시점에서 변환된 상기 셀프 센싱 전압을 증폭하는 센스 앰프 어레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The self-sensing voltage of the cell data sense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is converted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in the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reaches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nd the self-sensing converted at the specific time point is converted.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sense amplifier array unit for amplifying a voltage. 센싱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메인 비트라인의 센싱 전압이 로직 문턱전압으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메인 비트라인의 셀 데이타 하이의 센싱 전압 레벨을 증폭하는 레벨 센싱부;A level sensing unit configured to amplify the sensing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high of the main bit line when the sensing voltage of the main bit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et as a logic threshold voltage when the sensing enable signal is enabled; 상기 로직 문턱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벨 센싱부의 출력 전압을 버퍼링하는 센싱 버퍼부; 및 A sensing buffer unit configured to buffer an output voltage of the level sensing unit based on the logic threshold voltage; And 센싱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시 상기 센싱 버퍼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로부터 리드된 리드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센싱 출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And a sensing output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voltage level of the read data read from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buffer unit when the sensing output enable signal is enabled. Memory device.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과, 리드 데이타 버스부 및 라이트 데이타 버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에 리드/라이트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데이타 레지스터 어레이부를 구비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nonvolatile ferroelectric having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and a read / write data register array section for storing data read / write in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through a read data bus section and a write data bus section. In the memory control method, 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럭의 메인 비트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센싱하는 단계;Sensing a voltage level of cell data applied from main bit lines of the plurality of cell array blocks; 상기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이 센싱 감지 임계 전압 이하에 도달하면 상기 셀 데이타의 전압 레벨을 증폭하여 상기 리드 데이타 버스부에 증폭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Amplifying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and outputting an amplified voltage to the read data bus unit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cell data reaches a sensing sensing threshold voltage or less; And 레퍼런스 타이밍 스트로브 구간동안, 일정 시간축 상에서 상기 증폭전압의 전압 레벨을 센싱하여, 센싱된 레벨에 따라 유효한 셀 데이타의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And sensing a voltage level of the amplified voltage on a predetermined time axis during a reference timing strobe period, and storing a value of valid cell data according to the sensed level. Control method. 제 3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셀 데이타가 하이 데이타일 경우 로우 데이타 보다 일정 시간 먼저 상기 센싱 감지 임계 전압에 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레퍼런스 제어 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방법.And a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for reaching the sensing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t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low data when the cell data is the high data.
KR10-2003-0017836A 2003-03-21 2003-03-21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0516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36A KR100516692B1 (en) 2003-03-21 2003-03-21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36A KR100516692B1 (en) 2003-03-21 2003-03-21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50A KR20040083250A (en) 2004-10-01
KR100516692B1 true KR100516692B1 (en) 2005-09-22

Family

ID=3736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6692B1 (en) 2003-03-21 2003-03-21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69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5407A (en) * 1998-10-13 1999-11-30 Celi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f-referencing ferroelectric memory
KR20000033071A (en) * 1998-11-19 2000-06-15 김영환 Nan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ell an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JP2001160286A (en) * 1999-10-20 2001-06-12 Infineon Technologies Ag Apparatus for self-referencing of ferroelectric memory cells
US6459609B1 (en) * 2001-12-13 2002-10-01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lf referencing 1T/1C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KR20030002489A (en)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Reference device in Ferroelectric memor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40020342A (en)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vice for controll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5407A (en) * 1998-10-13 1999-11-30 Celi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f-referencing ferroelectric memory
KR20000033071A (en) * 1998-11-19 2000-06-15 김영환 Nan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ell an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JP2001160286A (en) * 1999-10-20 2001-06-12 Infineon Technologies Ag Apparatus for self-referencing of ferroelectric memory cells
KR20030002489A (en)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Reference device in Ferroelectric memor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459609B1 (en) * 2001-12-13 2002-10-01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lf referencing 1T/1C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KR20040020342A (en)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vice for controll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50A (en)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6877B2 (en) Low voltage sense amplifier and sensing method
US6504761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mproved sense amplification configuration
US20070195624A1 (en)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0506458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multi-bit
KR2010005288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92800B1 (en) Device for controll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KR100546179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with Multibit Control
KR100506456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multi-bit
KR100492774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Write Protected Region
US7120041B2 (en) Memory device with programmable parameter controller
KR100546100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Cell Array Circuit with Hierarchical Transfer Sensing Structure
KR100492782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JP4383927B2 (en) Register array having timing reference sensing functio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using the array, and data sensing method using timing reference
KR100571645B1 (en)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cell at high speed without voltage loss and memory device therefor
KR100516692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iming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KR100583112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with Single-Ended Sensing Structure
KR20040092743A (en) Semiconductor test circuit
KR100583117B1 (en)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including a sense amplifier array having a data bus pull down sensing function,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including a sense amplifier array having a data bus pull down sensing function, and a sense amplifier array having a data bus pull down sensing function. Data Sensing Method
JP4486836B2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ell array block an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using the memory cell array block
KR100669548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