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5951B1 -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951B1
KR100515951B1 KR10-2003-0000257A KR20030000257A KR100515951B1 KR 100515951 B1 KR100515951 B1 KR 100515951B1 KR 20030000257 A KR20030000257 A KR 20030000257A KR 100515951 B1 KR100515951 B1 KR 10051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butin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744A (ko
Inventor
김경진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3-000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9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9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괴화 추출물 4-6 중량% 및 알부틴 0.8-1.2 중량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도가 매우 낮으며, 특히, 괴화 추출물 또는 알부틴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또는 다른 비율로 두 성분을 사용되었을 때보다 상승적인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phorae Flos Extract and Arbuti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 성분으로서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색은 표피의 기저 세포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형성 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퀴논복합체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을 형성하는 단위체는 아미노산인 타이로신(Tyrosine)이며, 이 타이로신이 타이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해 도파(DOPA)로 전환되고 산화되어 다시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합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세포소기관에 모여 수지상돌기를 통해 각질 형성 세포로 전이된다.
멜라닌의 생성에는 수많은 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은 멜라닌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작용 기작은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단계로는 피부에 자외선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물질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고 (Fragrance J. 3:56-61(1996)), 2 단계로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자유라디칼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자유 라디칼에 의한 생체물질 (DNA, 단백질, 지질 등)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3 단계로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의 공격으로 변화된 생체물질의 수복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의 생리적 기능의 저하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J. Invest. Dermatol., 91:158-161(1998)).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물질은 상기 이유로 미백 효과를 보인다.
국내 및 일본 등에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에 대하여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기능성 화장품법에 의해 그 시장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백에 관한 메카니즘은 이미 많은 특허 및 논문 등에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의 차단에 의해 타이로시나제의 활성화를 근본적으로 막아주는 방법과 이미 활성화된 효소인 타이로시나제 (멜라닌 합성을 유도)의 억제와 염증 유발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신호전달물질 억제로 인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미백 원료로는 고산 식물인 월귤나무 잎 등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알부틴 (Arbutin), 쌀겨를 만진 사람의 손이 하얗게 되는 것으로부터 발견되어 된장, 술 등을 만드는 종균의 배양액으로부터 추출 생성된 성분인 코직산 (Kojic acid), 비타민 C를 안정화한 형태의 미백 원료, 소와 양의 태반으로부터 추출한 태반 추출물로 여러 종류의 효소, 비타민 , 아미노산을 함유, 미백효과 이외에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태반,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할 때에 캡슐과 같은 블록효과를 발휘하는 루시놀 (Rucinol), 카모마일로부터 추출해서 가오가 독자 개발한 성분인 엔도테린 (Endothelin), 정보 전달물질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초기단계에서 억제하는 미백 성분인 카모밀라 추출물 (Camomilla extracts)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1-44호 화장품법 제4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기능성화장품기준 및 시험방법에서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의 원료로는 4가지가 고시되었는데, 첫째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및 동속식물 (뽕나무과 Moraceae)의 중기 또는 뿌리를 에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얻은 가루 또는 그 가루의 2 w/v% 부틸렌글리콜 용액이다. 이 원료의 타이로시나제 억제율은 48.5-84.1%로 나와있다. 두번째로는 위에서 언급한 알부틴 그리고 에틸아스코빌에테르 (Ethyl Ascorbyl Ether)로 비타민 C의 유도체와 마지막으로 유용성 감초추출물 (Oil Soluble Licorice (Glycyrrhiza) Extract)이 고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미백제들은 미백 효과가 미약한 측면이 있고, 피부 자극과 같은 부작용을 개선하여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백 화장료와 비교하여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피부 자극도가 낮은 미백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소망하는 효과가 달성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효능을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괴화 (Sophorae Flos) 추출물 4-6 중량% 및 알부틴 0.8-1.2 중량%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 화장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자외선 흡수 효과,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및 세포 활성 촉진 효과가 탁월한 괴화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10-2001-0018657)과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제인 알부틴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또는 다른 비율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두 유효 성분에 의한 상승적 미백 효과는, 두 성분이 서로 다른 메카니즘 즉, 자외선 차단에 의한 타이로시나제의 형성 억제 및 활성 억제의 2가지 메카니즘에 의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처방에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지수 (SPF: Sun Protection Faction)가 높은 화학물질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들 물질은 피부에 강한 자극 또는 알러지 등의 피부 부작용을 유발시켜 그 사용에 많은 제한이 따르고 있다 (Acta Derm. Venereol., 66:290-294(1986)).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된 괴화 추출물의 경우 자외선 차단의 효과는 우수하지만 천연 식물 추출물이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괴화 추출물의 함량이 4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6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내에서의 변색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부틴이 0.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고,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의 함량비는 임계적 의의 (critical meaning)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함량비 내로 이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괴화 추출물의 함량은 5 중량%이고, 알부틴의 함량은 1.0 중량%이다.
상기의 괴화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괴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괴화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괴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도가 매우 낮으며, 특히, 괴화 추출물 또는 알부틴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또는 다른 비율로 두 성분을 사용되었을 때보다 상승적인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괴화 추출물과 알부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처방 A, B, C, D 및 E를 제조하였다. 처방의 특징에서 보듯이 괴화 추출물과 알부틴의 비율을 변화시켜 제조하였다.
성분 A처방 B처방 C처방 D처방 E처방 F처방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부틸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2.0
프로필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2.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밀납 4.0 4.0 4.0 4.0 4.0 4.0
마카데미아넛 오일 5.0 5.0 5.0 5.0 5.0 5.0
스쿠알란 3.0 3.0 3.0 3.0 3.0 3.0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괴화 추출물 5.0 5.0 - 1.0 8.0 -
알부틴 1.0 - 1.0 1.5 0.5 -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1: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 여 50명을 대상으로 양팔 하박부에 5 x 20 cm 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 (약 0.1g)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제거하고 1시간, 24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고, 자극도는 하기의 수학식으로 계산된 것이다:
* 판정 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처방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A 50 - - 4 46 2.7
B 50 - - 2 48 1.3
C 50 - 1 2 47 2.7
D 50 - 1 3 46 3.3
E 50 - - 3 47 2.0
F 50 - - 1 49 0.7
상기 표의 피부 자극성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처방들의 자극 정도가 일반적인 제형들과 비교하여 보통의 자극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괴화추출물을 첨가하더라도 자극의 증가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A 처방과 C 처방 비교 ).
시험예 2: 미백 효과 측정
19-40세의 한국여성 지원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특히 지원한 여성 중 검은 피부를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장비로는 Minolta CR 300을 사용하였으며 2개월의 기간동안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는 팔에다 7군데를 가로세로 1 cm씩 표시하고 꾸준히 각기 다른 처방을 6군데에 각각 바르고 하나는 비교를 위해서 대조군 값으로 두었다. 대조군과의 차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8주 후의 ΔL 값이 처방 A가 다른 처방들과 대조군에 비해 44-130% 이상의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일정 비율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도가 매우 낮으며, 특히, 괴화 추출물 또는 알부틴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또는 다른 비율로 두 성분을 사용되었을 때보다 상승적인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후 8주 경과시의 미백 효과른 보여 주는 그래프.

Claims (3)

  1.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괴화 추출물 4-6 중량% 및 알부틴 0.8-1.2 중량%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괴화 추출물의 함량은 5 중량%이고, 상기 알부틴의 함량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00257A 2003-01-03 2003-01-03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51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57A KR100515951B1 (ko) 2003-01-03 2003-01-03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57A KR100515951B1 (ko) 2003-01-03 2003-01-03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744A KR20040062744A (ko) 2004-07-09
KR100515951B1 true KR100515951B1 (ko) 2005-09-23

Family

ID=3735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2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5951B1 (ko) 2003-01-03 2003-01-03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13B1 (ko) * 2011-08-29 2013-07-26 (주) 젠셀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13B1 (ko) * 2011-08-29 2013-07-26 (주) 젠셀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744A (ko) 200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168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8694B1 (ko)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0430606B1 (ko) 락트산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47825B1 (ko) 트라마트산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6279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8713B1 (ko) 보스웰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2347A (ko) 워터민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60156A (ko) 상지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6B1 (ko) 천궁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25B1 (ko) 마나산틴 b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71685B1 (ko)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