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860B1 -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 Google Patents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15860B1 KR100515860B1 KR10-1998-0008256A KR19980008256A KR100515860B1 KR 100515860 B1 KR100515860 B1 KR 100515860B1 KR 19980008256 A KR19980008256 A KR 19980008256A KR 100515860 B1 KR100515860 B1 KR 1005158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electrical connector
- terminal
- terminals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0)
- 제1 삽입축에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1 개구와, 제2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2 개구를 갖고 있는 하우징과,하우징 내의 접촉 단자 어레이를 포함하며,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서로 인접해 있고, 제2 개구의 삽입축은 제1 개구의 삽입축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상기 어레이는 나란한 관계로 있는 적어도 2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단자들 중 제1 단자의 결합부는 제1 개구 내에 수용된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제1 개구 내로 연장되며, 단자들 중 제2 단자의 결합부는 제2 개구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삽입축과 제2 삽입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삽입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체는 제1 개구와 제2개구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 어레이는 제1 접촉 단자 그룹과 제2 접촉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제1 그룹의 접촉 단자는 제1 개구와 관련되고, 제2 그룹의 접촉 단자는 제2 개구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에는,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가 사이에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끼워진 접촉 단자는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끼워진 접촉 단자에 바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들은 제1 그룹을 형성하는 위치 1, 2, 3 및 6에 있는 단자와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위치 5, 8, 9 및 10에 있는 단자를 구비하는 10개의 단자들의 직선 어레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위치 4의 단자는 제1 그룹에 있고, 위치 7의 단자는 제2 그룹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중간부를 갖고 있고, 상기 중간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미부와 결합하는 회로 기판을 가지며, 상기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8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된 미부와 결합하는 회로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부는 회로 기판과 결합하기 위한 표면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RJ 시리즈 리셉터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적층 관계에 있고,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9 ㎝(0.90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1 ㎝(0.87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제1 개구와,제1 개구에 대해 적층 관계에 있으며,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제2 개구와,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상호 끼워진 접촉 단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각각의 접촉 단자들은 제1 개구와 제2 개구에 삽입 가능한 결합 커넥터의 접촉자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의 결합부는 제1 개구에 배치되고,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의 결합부는 제2 개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중간부에서 연장되는 외팔보형 부분을 형성하는 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접촉 단자들을 지지하는 절연 삽입체와, 삽입체를 하우징 내에서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보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8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삽입체를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9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삽입체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개구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 삽입축을 갖고 있는 RJ 시리즈 리셉터클로 구성되며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9 ㎝(0.90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1 ㎝(0.87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제1 개구의 삽입축은 제2 개구의 삽입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들은 미부와 결합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제2 삽입축을 따라 결합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하우징 내에 보유된 복수개의 접촉 단자들을 포함하며,제2 개구는 제1 개구에 적층 관계로 있고,각각의 접촉 단자는 결합부와,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과 결합하기 위한 미부와,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의 어레이로 배열된 중간부를 갖고 있으며,접촉 단자들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접촉 단자의 제1 그룹의 결합부는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며, 접촉 단자의제2 그룹의 결합부는 제2 개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촉 단자들의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 제25항에 있어서, 단자를 보유하기 위한 단자 보유 부재와, 보유 부재를 하우징 내에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7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의 중간부는 단자 보유 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5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는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가 상호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9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제2 개구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5항에 있어서, 제1 개구의 기부는 제2 개구의 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31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제2 개구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 제25항에 있어서, 각각의 결합부는 관련된 개구 내로 연장되는 외팔보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이며,결합면 및 회로 기판 접촉면을 갖는 하우징과,적층 관계로 배열된 결합면 내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개구 내로 삽입된 결합 RJ 시리즈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위치된 각각의 개구 내의 접촉 단자들을 포함하며,상기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9 ㎝(0.90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높이는 약 2.21 ㎝(0.87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4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는 개구들 사이에 위치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의 어레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4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의 어레이는 두 그룹으로 나뉘고, 제1 그룹은 제2 개구에 배치되는 결합 단자부분을 갖고, 제2 그룹은 제2 개구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6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에는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가 상호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6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 어레이는 제1 그룹을 구성하는 어레이 중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및 제6 단자와,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제5 단자, 제8 단자, 제9 단자 및 제10 단자를 포함하는 10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9항에 있어서, 어레이의 제4 단자는 제1 그룹에 있고, 어레이의 제7 단자는 제2 그룹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1 열에 배열된 복수개의 제1 개구와, 제2 열에 배열된 제2 개구를 포함하며, 제1 열과 제2 열은 적층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4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구는 기부를 갖고, 제1 열을 형성하는 개구의 기부는 제2 열의 개구의 기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42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의 어레이는 제1 개구 쌍과 제2 개구 쌍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어레이의 접촉 단자들 중 제1 그룹은 개구 쌍의 제1 개구 내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갖고, 접촉 단자들 중 제2 그룹은 개구 쌍의 제2개구 내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접촉 단자 보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접촉 단자의 각각의 어레이는 상기 보유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유 수단을 하우징 내에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44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을 하우징 안으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45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복수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부재는 상기 접촉 단자 어레이들 중 하나의 어레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41항에 있어서, 제1 열의 개구는 제2 열의 개구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3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는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과 접촉하기 위한 미부를 포함하고 있고, 모든 미부는 단일 라인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 시리즈 모듈 잭 리셉터클.
- 제27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공유된 복수개의 접촉 단자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49항에 있어서, 공유된 접촉 단자들은 접촉 단자 보유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8256A KR100515860B1 (ko) | 1997-03-13 | 1998-03-12 |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816,846 | 1997-03-13 | ||
KR10-1998-0008256A KR100515860B1 (ko) | 1997-03-13 | 1998-03-12 |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4771A Division KR100517842B1 (ko) | 1997-03-13 | 2005-03-25 | 향상된 혼선 방지 기능을 갖는 슬림형 더블 데크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15860B1 true KR100515860B1 (ko) | 2005-11-25 |
Family
ID=4367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82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5860B1 (ko) | 1997-03-13 | 1998-03-12 |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586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09757A (en) * | 1989-01-27 | 1990-03-20 | The Siemon Company | Modular jack patch block |
EP0658953A2 (en) * | 1993-12-14 | 1995-06-21 | The Whitaker Corporation | Multi-port modular jack assembly |
US5562507A (en) * | 1994-11-25 | 1996-10-08 | Kan; Bright | Two-layer type multi-wire connection socket structure |
WO1997010625A1 (en) * | 1995-09-12 | 1997-03-20 | Berg Technology, Inc. | Double row modular gang jack for board edge application |
US5639267A (en) * | 1996-01-26 | 1997-06-17 | Maxconn Incorporated | Modular jack assembly |
-
1998
- 1998-03-12 KR KR10-1998-0008256A patent/KR10051586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09757A (en) * | 1989-01-27 | 1990-03-20 | The Siemon Company | Modular jack patch block |
EP0658953A2 (en) * | 1993-12-14 | 1995-06-21 | The Whitaker Corporation | Multi-port modular jack assembly |
US5562507A (en) * | 1994-11-25 | 1996-10-08 | Kan; Bright | Two-layer type multi-wire connection socket structure |
WO1997010625A1 (en) * | 1995-09-12 | 1997-03-20 | Berg Technology, Inc. | Double row modular gang jack for board edge application |
US5639267A (en) * | 1996-01-26 | 1997-06-17 | Maxconn Incorporated | Modular jack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17842B1 (ko) | 향상된 혼선 방지 기능을 갖는 슬림형 더블 데크 커넥터 | |
EP1622234B1 (en) | Low-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 |
US6923673B2 (en) |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 |
US6511348B1 (en) | Modular jack assembly with signal conditioning | |
US7357673B2 (en) | Shielded cag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 |
US6419526B1 (en) | High frequency bi-level offset multi-port jack | |
US6231391B1 (en) | Connector apparatus | |
US6146202A (en) | Connector apparatus | |
US5879197A (en) | Jack module | |
US6592395B2 (en) |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 |
US5772472A (en) |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 |
CA2298409A1 (en) | Dual multiport rj connector arrangement | |
US8096839B2 (en) |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panel with interport crosstalk isolation | |
NZ299112A (en) | Terminal block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and shield plates in transverse walls between chambers | |
KR100515860B1 (ko) |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 |
KR100662677B1 (ko) | 내부 차폐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 |
CA2688179C (en) |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panel with interport crosstalk isolation | |
HK1028845B (en) |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3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2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8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