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5348B1 -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348B1
KR100515348B1 KR10-2002-0062900A KR20020062900A KR100515348B1 KR 100515348 B1 KR100515348 B1 KR 100515348B1 KR 20020062900 A KR20020062900 A KR 20020062900A KR 100515348 B1 KR100515348 B1 KR 10051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c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signal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679A (ko
Inventor
고미야나오아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3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3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other tha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 G09G2310/0256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other tha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the purpose of reversing the voltage across a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within a pix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선, 제1 및 제2 주사선, 그리고 화소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 회로는 제1 내지 제3 스위칭 소자,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는 제1 주사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고, 캐패시터는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트랜지스터는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고, 제2 스위칭 소자는 제2 주사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의 제1 레벨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 스위칭 소자는 제2 주사 신호의 제2 레벨에 대응하여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영 바이어스 전압 또는 역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비표시 기간에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역 바이어스가 걸린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t, 이하 EL이라 함)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표시 장치로서, M ×N 개의 유기 발광셀들을 전압 구동 혹은 전류 구동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셀은 애노드(ITO), 유기 박막, 캐소드 레이어(metal)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기 박막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좋게 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을 포함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별도의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셀을 구동하는 방식에는 단순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TFT를 이용한 능동 구동(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데 비해, 능동 구동 방식은 TFT를 각 ITO 화소 전극에 접속하고 TFT의 게이트에 접속된 캐패시터 용량에 의해 유지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유기 EL 소자를 TFT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한 종래의 화소 회로로서, M×N 개의 화소 중 하나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EL 소자(OLED)에 구동용 트랜지스터(Mb)가 연결되어 발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한다. 구동용 트랜지스터(Mb)의 전류량은 스위칭 트랜지스터(Ma)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인가된 전압을 일정 기간 유지하기 위한 캐패시터(C)가 트랜지스터(Mb)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a)의 게이트에는 주사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 측에는 데이터선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화소의 동작을 살펴보면, 스위칭 트랜지스터(Ma)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선택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Ma)가 온 되면, 데이터선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구동용 트랜지스터(Mb)의 게이트(노드A)에 인가된다. 그리고, 게이트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Mb)를 통해 유기 EL 소자(OLED)에 전류가 흘러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때, 유기 EL 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IOLED는 유기 EL 소자에 흐르는 전류, VGS는 트랜지스터(Mb)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의 전압, VTH는 트랜지스터(Mb)의 문턱전압, VDATA는 데이터 전압, β는 상수 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화소 회로에 의하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EL 소자(OLED)에 공급되고, 공급된 전류에 대응하여 유기 EL 소자가 발광하게 된다. 이때,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계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일정 범위에서 다단계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한 프레임동안 유기 EL 소자를 계속 발광시키므로, 낮은 전력을 유지하지 위해 데이터 구동부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낮은 레벨의 전압이 사용된다. 구동용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이 낮은 전압 레벨이므로 구동용 트랜지스터는 낮은 전류 영역에서 동작하게 된다. 그런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낮은 전류 영역에서 동작할수록 편차가 크게 발생하므로,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편차가 크고 이로 인해 고계조를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기 전에 완전히 방전되지 않아서 잔상이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발광시에는 유기 EL 소자의 애노드에서 캐소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유기 EL 소자 내에 공간 전하가 저장되고, 이로 인해 유기 EL 소자의 수명이 줄어든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높은 전류 영역에서 동작시켜 화질 불균형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유기 EL 소자에 역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수명을 향상하고 잔상 현상을 없애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펄스 방식으로 구동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는, 제1 신호선,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2 및 제3 신호선, 그리고 제1 신호선과 제2 및 제3 신호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에서, 제1 스위칭 소자는 제2 신호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고, 캐패시터는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는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제1 레벨일 때 유기 EL 소자는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에 대응하여 발광하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제2 레벨일 때 유기 EL 소자는 발광하지 않는다.
유기 EL 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비표시 기간에는 유기 EL 소자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선과 제1 및 제2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가 제1 레벨인 동안, 제1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이 캐패시터에 충전된다. 다음,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에 따라 유기 EL 소자가 발광한다. 그리고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1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유기 EL 소자에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비표시 기간에는 유기 EL 소자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유기 EL 소자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는, 데이터선, 데이터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1 및 제2 주사선, 그리고 데이터선과 제1 및 제2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는 제1 내지 제3 스위칭 소자,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EL 소자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는 제1 주사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고, 캐패시터는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트랜지스터는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고, 제2 스위칭 소자는 제2 주사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의 제1 레벨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유기 EL 소자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 스위칭 소자는 제2 주사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의 제2 레벨에 대응하여 유기 EL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애노드 전극에 인가된 전압은 유기 EL 소자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 이하의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패널(100), 데이터 구동부(200), 주사 구동부(300) 및 휘도 제어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유기 EL 표시 패널(100)에는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Y1-Yn), 화소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주사선(X1-Xm) 및 유기 EL 소자의 발광 기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주사선(Z1-Zm)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선(Y1-Yn)과 제1 및 제2 주사선(X1-Xm, Z1-Zm)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화소 회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선(Y1-Yn)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주사 구동부(300)는 제1 주사선(X1-Xm)에 화소 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휘도 제어 구동부(400)는 화소 회로(110)의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주사 신호를 제2 주사선(Z1-Zm)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 회로(110)는 유기 EL 소자(OLED), 트랜지스터(M1-M4) 및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1)는 그 세 단자가 제1 주사선(Xi), 데이터선(Yj) 및 캐패시터(C)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주사선(Xi)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Yj)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VDATA)을 캐패시터(C)로 전달한다. 캐패시터(C)는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 전압(Vdd1)과 데이터선(Yj)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VDATA)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트랜지스터(M2)에서는 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Vdd1-VDATA)에 따라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M3)는 트랜지스터(M2)와 유기 EL 소자(OLED) 사이에 연결되며, 제2 주사선(Zi)으로부터의 로우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2)와 유기 EL 소자(OLED)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유기 EL 소자(OLED)는 트랜지스터(M3)와 캐소드 전압(Vc)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M3)를 거쳐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발광한다. 트랜지스터(M4)는 제2 주사선(Zi)으로부터의 하이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애노드 전압(Va)을 유기 EL 소자(OLED)의 애노드에 인가한다.
도 3에서는 트랜지스터(M1, M2, M3)를 PMOS 트랜지스터로, 트랜지스터(M4)를 NMOS 트랜지스터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의 조합을 바꿀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주사선에 각각 인가되는 제1 및 제2 주사 신호의 타이밍도이며, 도 4b는 제1 및 제2 주사 신호의 타이밍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제어 구동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제어 구동부에 인가되는 블랭킹 펄스의 파형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사선(Xi, Xi+1, Xi+2)에는 트랜지스터(M1)를 턴온하기 위한 제1 주사 신호가 차례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제1 주사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되면 데이터선(Y1-Yn)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VDATA)이 캐패시터(C)에 충전된다.
그리고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제2 주사선(Zi, Zi+1, Zi+2)에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바뀐다. 제2 주사선(Zi, Zi+1, Zi+2)에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유기 EL 소자(OLED)에 공급되고, 이 전류에 대응하여 유기 EL 소자(OLED)는 발광하게 된다[발광 기간(Pon)]. 제2 주사선(Zi, Zi+1, Zi+2 )에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어 애노드 전압(Va)이 유기 EL 소자(OLED)의 애노드에 인가된다. 이때, 애노드 전압(Va)은 유기 EL 소자(OLED)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캐소드 전압(Vc)과 동일 레벨의 전압이며, 캐소드 전압(Vc)은 접지 전압 또는 음의 레벨의 전압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EL 소자(OLED)는 영 바이어스(zero bias)되어 발광하지 않는다[비발광 기간(Poff)]. 이러한 애노드 전압(Va)은 캐소드 전압(Vc)보다 작은 전압이 되어 유기 EL 소자(OLED)에 역 바이어스(reverse bias)가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비발광 기간(Poff) 동안 제1 주사선(Xi)에 트랜지스터(M1)를 턴온하기 위한 제1 주사 신호가 인가되어, 데이터선(Y1-Yn)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VDATA)에 대응하는 전압이 캐패시터(C)에 충전된다[기록 기간(Pw)]. 기록 기간(Pw)이 끝나고 약간의 타이밍 이후에 제2 주사선(Zi)에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의 레벨이 로우 레벨로 되어 발광 기간(Pon)이 시작된다. 일정 시간동안 발광이 이루어진 후에 제2 주사 신호의 레벨이 하이 레벨로 되어 유기 EL 소자의 캐소드 및 애노드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Poff)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휘도 제어 구동부(400)에서 공급되는 제2 주사 신호의 듀티에 따라 발광 기간(Pon)과 비발광 기간(Poff)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휘도가 제어된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발광 기간(Pon)에서만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되면 되므로, 캐패시터(C)에 높은 레벨의 전압을 충전시켜도 소모되는 전력의 양이 종래에 비해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소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크기 때문에, 트랜지스터(M2)는 높은 전류 영역에서 동작하게 되어 문턱 전압의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비발광 기간(Poff)에서는 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므로 잔상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 제어 구동부(400)는 제2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410), 트랜지스터(MB1-MBm, MN1-MNm) 및 버퍼(buf1-bufm)를 포함한다. 버퍼(bufi)에는 트랜지스터(MBi, MNi)가 병렬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MN i)는 제2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신호 생성부(410)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Bi)에는 하이 레벨의 전압(Vdd3)이 연결되고, 트랜지스터(MBi, MN i)의 게이트에는 블랭킹 펄스(SVB)가 인가된다. 표시 기간에는 로우 레벨의 블랭킹 펄스(SVB)에 의해 트랜지스터(MN1-MNm)가 턴온되어, 주사 신호 생성부(410)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제2 주사선(Z1-Zm)에 공급된다.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화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비표시 기간(PVB)에는 블랭킹 펄스(SVB)가 하이 레벨(Vdd2)로 되어 트랜지스터(MB1-MBm)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하이 레벨의 블랭킹 전압(Vdd3)이 제2 주사선(Z1-Zm)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 회로(110)에서 트랜지스터(M3, M4)가 각각 턴오프 및 턴온되어 애노드 전압(Va)이 유기 EL 소자(OLED)의 애노드에 인가된다. 그리고 비표시 기간(PVB)에서 캐소드 전압(Vc)을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증가시킨다. 그러면, 유기 EL 소자(OLED)의 캐소드에 애노드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므로 유기 EL 소자(OLED)에는 역 바이어스가 걸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OLED)에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정공 수송층(HTL)과 발광층(EML) 사이 또는 전자 수송층(ETL)과 발광층(EML) 사이에 공간 전하가 저장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비표시 기간(PVB)에 유기 EL 소자(OLED)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면 저장된 공간 전하가 방전되게 되어, 유기 EL 소자(OLED)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화소 회로는 트랜지스터(M2, M3)의 연결 상태를 제외하면 도 3에 나타낸 화소 회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캐패시터(C)가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이 유기 EL 소자(OLED)의 애노드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3)는 트랜지스터(M2)의 소스, 제2 주사선(Zi) 및 전원 전압(Vdd1)에 연결되어, 제2 주사선(Zi)으로부터의 로우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Vdd1)을 트랜지스터(M2)의 소스에 공급한다. 도 7에 나타낸 화소 회로도 제2 주사선(Z1-Zm)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의 듀티에 따라 발광 기간과 비발광 기간이 조절된다. 이 화소 회로의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한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트랜지스터가 높은 전류 영역에서 동작하게 되어 문턱 전압의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화질 불균일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비표시 기간에 유기 EL 소자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어 저장된 공간 전하가 방전되므로 유기 EL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잔상 현상도 개선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주사선에 각각 인가되는 제1 및 제2 주사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제1 및 제2 주사 신호의 타이밍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제어 구동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제어 구동부에 인가되는 블랭킹 펄스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Claims (14)

  1. 삭제
  2.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신호선,
    제1 및 제2 주사 신호를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2 및 제3 신호선, 그리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상기 제2 주사 신호는 한 프레임동안 제1 및 제2 레벨 사이를 전환하는 펄스이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1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2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1 레벨일 때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상기 전류가 공급되도록 턴온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3.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신호선,
    제1 및 제2 주사 신호를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2 및 제3 신호선, 그리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상기 제2 주사 신호는 한 프레임동안 제1 및 제2 레벨 사이를 전환하는 펄스이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1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2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애노드와 애노드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며,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캐소드에는 상기 애노드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4.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신호선,
    제1 및 제2 주사 신호를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2 및 제3 신호선, 그리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상기 제2 주사 신호는 한 프레임동안 제1 및 제2 레벨 사이를 전환하는 펄스이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1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2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2 레벨일 때 상기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5.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신호선,
    제1 및 제2 주사 신호를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2 및 제3 신호선, 그리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및 제3 신호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상기 제2 주사 신호는 한 프레임동안 제1 및 제2 레벨 사이를 전환하는 펄스이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1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제3 신호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2 레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로 전달되지 않으며,
    비표시 기간에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기간에,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캐소드에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애노드에 인가되는 애노드 전압보다 큰 전압이 인가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신호를 상기 제3 신호선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표시 기간에서 상기 제2 주사 신호의 상기 제2 주사선으로의 공급을 차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회로는, 상기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1 레벨일 때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상기 전류가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제2 주사 신호가 상기 제2 레벨일 때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애노드에 상기 애노드 전압이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블랭킹 펄스에 의해 상기 비표시 기간에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기 위한 블랭킹 전압을 공급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 신호선과 상기 제2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제4 신호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제3 신호선과 상기 블랭킹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5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랭킹 펄스에 의해 상기 제4 및 제5 스위칭 소자가 각각 턴오프 및 턴온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10. 삭제
  11. 데이터선과 제1 및 제2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가 제1 레벨인 동안, 상기 제1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이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단계,
    상기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기 제1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상기 전류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 이상의 전압이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데이터선과 제1 및 제2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가 제1 레벨인 동안, 상기 제1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이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단계,
    상기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제2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단계,
    상기 제2 주사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기 제1 레벨의 제2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상기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단계, 그리고
    외부로부터 화상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비표시 기간에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제1 및 제2 주사 신호를 각각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선과 교차하고 있는 제1 및 제2 주사선, 그리고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제1 및 제2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주사선으로부터의 제1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 유기 전계발광 소자, 상기 제2 주사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의 제1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제2 주사선으로부터의 제2 주사 신호의 제2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애노드 전압을 인가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애노드 전압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 이하의 전압인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화상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비표시 기간에,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가 각각 턴오프 및 턴온되고,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애노드 전압보다 큰 전압까지 증가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2002-0062900A 2002-10-15 2002-10-15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1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900A KR100515348B1 (ko) 2002-10-15 2002-10-15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900A KR100515348B1 (ko) 2002-10-15 2002-10-15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679A KR20040033679A (ko) 2004-04-28
KR100515348B1 true KR100515348B1 (ko) 2005-09-15

Family

ID=3733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900A Expired - Lifetime KR100515348B1 (ko) 2002-10-15 2002-10-15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581B2 (ja) * 2004-07-16 2013-06-12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または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752289B1 (ko) * 2004-12-28 2007-08-2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단위 회로, 그 제어 방법, 전자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152120B1 (ko) 2005-03-1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09055B1 (ko) 2005-09-30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61142B1 (ko) * 2005-12-01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24854B1 (ko) 2006-12-21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833756B1 (ko) 2007-01-15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985275B1 (ko) * 2008-02-15 2010-10-04 권문 모듈형 led램프
CN116486746B (zh) * 2023-04-28 2024-04-12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835A (ja) * 1994-08-09 1996-02-27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電流制御型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2000221942A (ja) * 1999-01-29 2000-08-11 Nec Corp 有機el素子駆動装置
KR20020044269A (ko) * 2000-12-05 2002-06-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73116A (ko) * 2002-03-08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835A (ja) * 1994-08-09 1996-02-27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電流制御型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2000221942A (ja) * 1999-01-29 2000-08-11 Nec Corp 有機el素子駆動装置
KR20020044269A (ko) * 2000-12-05 2002-06-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73116A (ko) * 2002-03-08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679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351B1 (ko) 표시 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42956B1 (ko) 화소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599726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KR100592636B1 (ko) 발광표시장치
KR100515305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KR100673760B1 (ko) 발광 표시장치
KR100673759B1 (ko) 발광 표시장치
JP4153855B2 (ja) 発光表示装置,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発光表示装置の表示パネル
JP4195337B2 (ja)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パネルと駆動方法
KR100560479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JP4070696B2 (ja) 発光表示装置,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発光表示装置の表示パネル
JP2004334163A (ja) 画像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画素回路
KR10074197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529077B1 (ko) 화상 표시 장치, 그 표시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778409B1 (ko) 화상 표시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51534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035580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89382B1 (ko) 표시 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073688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40021753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515307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90062B1 (ko) 발광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68585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9826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41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