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714B1 -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측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측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13714B1 KR100513714B1 KR10-2000-0031662A KR20000031662A KR100513714B1 KR 100513714 B1 KR100513714 B1 KR 100513714B1 KR 20000031662 A KR20000031662 A KR 20000031662A KR 100513714 B1 KR100513714 B1 KR 100513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band
- signal
- envelope
- component
- sound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04R25/353—Frequency, e.g. frequency shift or compr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입력된 소리 신호를 소정의 수의 주파수 밴드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주파수 밴드의 소리 신호를 대응하는 이득에 의해 조정한 후, 각 주파수 밴드의 소리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 상기 이득을 구하기 위한 각 주파수 밴드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입력된 소리 신호의 각 주파수 밴드별 신호를 해당 주파수 밴드의 중심 주파수 만큼 쉬프팅(shifting)하고, 상기 쉬프팅된 각 주파수 밴드별 신호의 직류 성분의 크기를 구하여 각 주파수 밴드별로 상기 입력된 소리 신호의 엔벨로프(envelope) 크기를 산출하는 엔벨로프 크기 계산부; 및시간에 따른 상기 산출된 엔벨로프 크기의 변화 추이에 따라 상기 산출된 엔벨로프 크기를 제어하는 어택/릴리스 시간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 크기 계산부는 각 주파수 밴드별로입력된 소리 신호에 상기 주파수 밴드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파와 사인파를 각각 곱하여 실수 변조 성분 및 허수 변조 성분을 생성하는 변조파 생성부;상기 실수 변조 성분 및 상기 허수 변조 성분 각각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검출하는 피크값 검출부;상기 실수 변조 성분 및 상기 허수 변조 성분별로 상기 검출된 최대값과 상기 검출된 최소값을 평균한 결과를 평균신호로서 출력하는 평균신호 생성부; 및상기 실수 변조 성분의 평균신호와 상기 허수 변조 성분의 평균신호를 합하여 변조된 주파수 밴드의 직류 성분의 크기를 구하는 합산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 크기 계산부는 각 주파수 밴드별로상기 실수 변조 성분의 평균 신호와 상기 허수 변조 성분의 평균 신호를 각각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택/릴리스시간 제어부는 상기 엔벨로프의 크기 mag[n]을 계산함에 있어,입력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있을 때는mag[n] = actrl×mag[n-1] + (1-actrl)×(해당 주파수 밴드 소리 신호의 엔벨로프 크기),입력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고 있을 때는mag[n] = rctrl×mag[n-1] + (1-rctrl)×(해당 주파수 밴드 소리 신호의 엔벨로프 크기)에 의해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장치(여기서, mag[n-1]은 직전 시간의 엔벨로프의 크기이고, actrl 및 rctrl은 각각 상승 시간 및 하강 시간을 결정하는 상수이며, 상기 상승 시간은 상기 엔벨로프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제1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고, 상기 하강 시간은 상기 엔벨로프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하강하여 제2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 입력된 소리 신호를 소정의 수의 주파수 밴드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주파수 밴드의 소리 신호를 대응하는 이득에 의해 조정한 후, 각 주파수 밴드의 소리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 상기 이득을 구하기 위한 각 주파수 밴드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입력된 소리 신호의 각 주파수 밴드별 신호를 해당 주파수 밴드의 중심 주파수 만큼 쉬프팅(shifting)하고, 상기 쉬프팅된 각 주파수 밴드별 신호의 직류 성분의 크기를 구하여 각 주파수 밴드별로 상기 입력된 소리 신호의 엔벨로프(envelope)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시간에 따른 상기 산출된 엔벨로프 크기의 변화 추이에 따라 상기 산출된 엔벨로프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각 주파수 밴드별로입력된 소리 신호에 상기 주파수 밴드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파와 사인파를 각각 곱하여 실수 변조 성분 및 허수 변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실수 변조 성분 및 상기 허수 변조 성분 각각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검출하는 단계;상기 실수 변조 성분 및 상기 허수 변조 성분별로 상기 검출된 최대값과 상기 검출된 최소값을 평균한 결과를 평균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및상기 실수 변조 성분의 평균신호와 상기 허수 변조 성분의 평균신호를 합하여 변조된 주파수 밴드의 직류 성분의 크기를 구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각 주파수 밴드별로상기 실수 변조 성분의 평균 신호와 상기 허수 변조 성분의 평균 신호를 각각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엔벨로프의 크기 mag[n]을 계산함에 있어,입력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있을 때는mag[n] = actrl×mag[n-1] + (1-actrl)×(해당 주파수 밴드 소리 신호의 엔벨로프 크기),입력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고 있을 때는mag[n] = rctrl×mag[n-1] + (1-rctrl)×(해당 주파수 밴드 소리 신호의 엔벨로프 크기)에 의해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 측정방법(여기서, mag[n-1]은 직전 시간의 엔벨로프의 크기이고, actrl 및 rctrl은 각각 상승 시간 및 하강 시간을 결정하는 상수이며, 상기 상승 시간은 상기 엔벨로프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제1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고, 상기 하강 시간은 상기 엔벨로프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하강하여 제2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1662A KR100513714B1 (ko) | 2000-06-09 | 2000-06-09 |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측정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1662A KR100513714B1 (ko) | 2000-06-09 | 2000-06-09 |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측정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12564A KR20010112564A (ko) | 2001-12-20 |
KR100513714B1 true KR100513714B1 (ko) | 2005-09-07 |
Family
ID=1967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16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3714B1 (ko) | 2000-06-09 | 2000-06-09 |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측정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37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6167B1 (ko) * | 2008-01-28 | 2010-05-06 | 주식회사베토벤보청기 | 한국어 주파수 특성에 맞는 다채널 디지털 보청기의 채널설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디지털 보청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50007206A (ko) * | 1984-04-11 | 1985-12-02 | 마틴 제이. 슬라빈 | 컴퓨터식 청력 측정기 |
US4637402A (en) * | 1980-04-28 | 1987-01-20 | Adelman Roger A |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a hearing defect |
JPH08322873A (ja) * | 1995-05-31 | 1996-12-10 | Bertin & Cie | 内耳蝸牛殻移植を含む補聴器 |
KR19980021549A (ko) * | 1996-09-17 | 1998-06-25 | 김광호 | 디지털 난청 시뮬레이션 방법 |
KR20010001863A (ko) * | 1999-06-09 | 2001-01-05 | 이희영 | 디지탈 보청기의 자동 피팅방법 |
-
2000
- 2000-06-09 KR KR10-2000-0031662A patent/KR10051371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37402A (en) * | 1980-04-28 | 1987-01-20 | Adelman Roger A |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a hearing defect |
KR850007206A (ko) * | 1984-04-11 | 1985-12-02 | 마틴 제이. 슬라빈 | 컴퓨터식 청력 측정기 |
JPH08322873A (ja) * | 1995-05-31 | 1996-12-10 | Bertin & Cie | 内耳蝸牛殻移植を含む補聴器 |
KR19980021549A (ko) * | 1996-09-17 | 1998-06-25 | 김광호 | 디지털 난청 시뮬레이션 방법 |
KR20010001863A (ko) * | 1999-06-09 | 2001-01-05 | 이희영 | 디지탈 보청기의 자동 피팅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12564A (ko) | 2001-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0190B2 (en) | Method for sound processing in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 |
US7181034B2 (en) | Inter-channel communication in a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instrument | |
EP2009786B1 (en) | Feedback limiter with adaptive control of time constants | |
KR101164937B1 (ko) | 오디오 신호의 인식된 라우드니스를 계산 및 조정하는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JP4402977B2 (ja) | 補聴器における動的圧縮 | |
US8005246B2 (en) | Hearing aid apparatus | |
EP2122828B1 (en) | Hybrid digital/analog loudness-compensating volume control | |
CN101790758B (zh) | 用于控制音频信号的信号处理的设备和方法 | |
CN109473115B (zh) | 数字音频信号音量等响度调节方法 | |
US9832562B2 (en) | Hearing aid with probabilistic hearing loss compensation | |
EP1538868B1 (en) | Audio amplification apparatus | |
JP2002536930A (ja) | 適応ダイナミックレンジ最適化サウンドプロセッサ | |
US20030223597A1 (en) | Adapative noise compensation for dynamic signal enhancement | |
JPH10242780A (ja) | オーディオ機器のひずみを自動的に制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回路装置 | |
EP1472786A2 (en) | A method for de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a signal and electronic circuit | |
US7076073B2 (en) | Digital quasi-RMS detector | |
KR100513714B1 (ko) | 다중 채널 보청기에서의 주파수 밴드별 소리 신호의 세기측정장치 및 그 방법 | |
US20020191800A1 (en) | In-situ transducer modeling in a digital hearing instrument | |
Kuk et al. | Variables affecting the use of prescriptive formulae to fit modern nonlinear hearing aids | |
Buchholz | A real-time hearing-aid research platform (HARP): Realization, calibration, and evaluation | |
EP2871858B1 (en) | A hearing aid with probabilistic hearing loss compensation | |
US20110268285A1 (en) | Sound image localization estimating device,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system, sound image localization estimation method, and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method | |
Kates | Cross-correlation procedures for measuring noise and distortion in AGC hearing aids | |
KR102511377B1 (ko) | 라우드스피커들을 위한 저음 향상 | |
RU2819779C1 (ru) | Усиление низких частот для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