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2564B1 - 숯불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숯불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564B1
KR100512564B1 KR10-2004-0097119A KR20040097119A KR100512564B1 KR 100512564 B1 KR100512564 B1 KR 100512564B1 KR 20040097119 A KR20040097119 A KR 20040097119A KR 100512564 B1 KR100512564 B1 KR 10051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heating chamber
grill
smoke
cook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460A (ko
Inventor
전봉진
Original Assignee
전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진 filed Critical 전봉진
Priority to KR10-2004-009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56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5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등의 피조리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리하는 숯불구이장치가 개시된다.
종래에는 가열실의 하측에 숯불이 위치되고 그 상측에 피조리물이 위치됨에 따라 조리시 피조리물에서 낙하되는 육즙이나 기름 등이 타서 연기나 냄새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 내에 형성되며 전면 측에는 상부 및 하부 도어가 개폐 가능케 결합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벽면 내에 형성되며 발열을 행하는 숯불이 저장된 숯불 저장부와, 상기 가열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도어를 통하여 투입된 석쇠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석쇠 고정부와, 상기 가열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석쇠 내의 피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육즙 및 기름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기름 받이판 및 상기 가열실 내의 공기 및 연기를 강제적으로 숯불 및 기름 받이판으로 공급하는 제연수단을 포함하는 숯불구이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가열된 가열실 내에 피조리물이 위치된 석쇠를 투입하여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가 용이하고 편리하며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가열실의 내측벽에 장착된 내열재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피조리물의 육질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냄새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특히 내부 공기 및 연기를 숯불 및 기름 받이판 내로 강제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연기 및 악취의 발생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숯불구이장치{Meat roasting Device using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의 열원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구이가 가능하고 연기 등의 발생을 최소화한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등의 조리는 삶거나 튀기는 조리 방법 보다는 숯불을 이용하여 굽는 조리가 더욱 맛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숯불을 이용한 구이의 경우에는 피조리물이 타거나 연기 등의 발생으로 조리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숯불구이장치는 피조리물의 하부에 숯불이 위치됨에 따라 열에 의해 가열되는 피조리물에서 발생된 육즙 등이 숯불에 낙하하여 연소됨으로써 연기나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열이나 숯불의 직접 열에 의해 피조리물이 타게 되어 사용자들이 기피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에 조리가 이루어지고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사용이 매우 편리한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장치는, 본체 내에 형성되며 전면 측에는 상부 및 하부 도어가 개폐 가능케 결합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벽면 내에 형성되며 발열을 행하는 숯불이 저장된 숯불 저장부와, 상기 가열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도어를 통하여 투입된 석쇠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석쇠 고정부와, 상기 가열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석쇠 내의 피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육즙 및 기름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기름 받이판 및 상기 가열실 내의 공기 및 연기를 강제적으로 숯불 및 기름 받이판으로 공급하는 제연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가열된 가열실 내에 피조리물이 위치된 석쇠를 투입하여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가 용이하고 편리하며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가열실의 내측벽에 장착된 내열재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피조리물의 육질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냄새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특히 내부 공기 및 연기를 숯불 및 기름 받이판 내로 강제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연기 및 악취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로서, 본체(10)의 내측에는 가열실(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실(11)의 전방에는 상부 도어(12) 및 하부 도어(13)가 개폐 가능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 도어(12) 및 하부 도어(13)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도어(12)에는 피조리물(W)이 위치된 석쇠(14)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입구(12a)에는 개폐 가능한 보조 도어(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석쇠(14)는 상측에 양측으로 절곡된 걸림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손잡이(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도어(13)는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도어(12) 및 하부 도어(13)는 본체(10)에 설치된 고정구(17)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되거나 고정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외부 공기를 가열실(11)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가열실(11) 내에서 발생된 연기 등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덕트(18)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숯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숯저장실(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열실(11)의 내측벽에는 내열재(20)가 설치되는데, 이 내열재(20)는 내측면에 고정된 브라켓(21) 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내열재(20)는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또는 옥을 포함하거나 이들이 혼합된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피조리물(W)의 육질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열실(11)의 일측에는 숯불(C)이 위치되는 숯불 저장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숯불 저장부(22)에는 직접 숯불(C)이 위치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 저장통(23) 내에 숯불(C)을 저장한 후 상기 숯불 저장부(22) 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숯불 저장통(23)은 복수 개의 통공(23a)이 전 후방에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숯불 저장부(22) 내에는 숯에 의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가스에 의한 점화나 전기 히터에 의한 점화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11)의 상측에는 석쇠(14)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석쇠 고정부(2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석쇠 고정부(24) 내에는 석쇠(14)의 상측에 외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걸림부(14a)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석쇠(14)는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열실(11)의 하측에는 조리시 피조리물(W)에서 발생된 육즙이나 기름 등이 낙하되면 이를 저장하는 기름 받이판(25)이 안착되어 있고, 상기 숯불 저장부(22)의 하측에는 숯불 저장통(23) 내에서 연소된 숯불(C)에서 발생된 재 등을 저장하는 재받이판(2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열실(11)에는 조리중에 발생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연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제연수단(30)은 덕트(18) 내의 공기 및 연기를 흡입하는 송풍기(31)와, 상기 송풍기(31) 내로 흡입된 공기 및 연기를 숯불 저장부(22) 및 기름 받이판(25)으로 공급하는 송풍관(32)(33)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40)가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실(11)의 외측 본체(10) 내에는 단열재가 충전되어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기름 받이판(25)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41)이 설치되고, 이 급수관(41)에는 급수밸브(4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반대 측에는 상기 기름 받이판(25)의 하측에서 연결된 배수관(43)이 인출되어 있고, 이 배수관(43)에는 배수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41)은 별도의 물탱크나 수도관과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는 가열실(11) 내의 배면측 내부에 형성된 숯불 저장부(22) 내에 적정량의 숯이 저장된 숯불 저장통(23)을 위치시키고 숯에 점화를 시킨 후 상부 도어(12) 및 하부 도어(13)를 닫고 고정구(17)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이 연소하면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실(1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적정의 온도로 가열실(1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석쇠(14) 내에 육류 등의 피조리물(W)을 위치시킨 후 보조 도어(15)를 개방하고 상부 도어(12)에 형성된 투입구(12a) 내로 석쇠(14)를 투입하면 석쇠(14)의 상측에 양측으로 절곡된 걸림부(14a)가 석쇠 고정부(24) 내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그 내측에 위치된 피조리물(W)은 상기 숯불 저장통(23) 내의 숯불(C)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구이가 이루어지게 된다.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석쇠(14)는 그 걸림부(14a)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세워져 상기 석쇠 고정부(24)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조리물(W)로 전달되는 열은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또는 옥을 포함하거나 이들이 혼합된 내열재(20)에서 방출되는 원전외선에 의해 육질의 맛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시 제연수단(30)을 작동시키면, 송풍기(31)의 작동에 따라 가열실(11)의 상측에 형성된 덕트(18) 내의 연기와 공기가 송풍관(32)(33)을 통하여 숯불 저장부(22) 및 기름 받이판(25) 측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송풍관(32)(33)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기와 공기는 숯불 저장부(22)를 통하여 숯불 저장통(23)으로 공급됨으로써 숯불(C)에 산소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숯불(C)에서 재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름 받이판(25)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연기는 그 내부에 저장된 물로 공급되어 탈취 및 불순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악취의 발생이나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열실(11) 내로 투입된 석쇠(14) 내에 위치된 피조리물(W)은 짧은 시간에 조리가 이루어지고, 이후 조리가 완료된 피조리물(W)은 인출한 후 다시 새로운 피조리물(W)을 투입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하면서 조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중에 피조리물(W)에서 발생된 육즙이나 기름 등은 낙하하여 기름 받이판(25) 내에 저장됨으로써 육즙이나 기름의 연소에 의한 악취나 연기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름 받이판(25) 내에 저장된 물은 배수밸브(44)를 개방하여 배수관(43)을 통하여 배출 시킬 수 있으며, 급수밸브(42)를 개방시키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관(41)을 통하여 기름 받이판(25)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가열된 가열실 내에 피조리물이 위치된 석쇠를 투입하여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가 용이하고 편리하며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가열실의 내측벽에 장착된 내열재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피조리물의 육질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냄새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특히 내부 공기 및 연기를 숯불 및 기름 받이판 내로 강제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연기 및 악취의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의 가열실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의 숯불 저장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의 전체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장치를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가열실
12: 상부 도어 12a: 투입구
13: 하부 도어 14: 석쇠
14a: 걸림부 20: 내열재
22: 숯불 저장부 23: 숯불 저장통
23a: 통공 24: 석쇠 고정부
25: 기름 받이판 26: 재받이판
30: 제연수단 31: 송풍기
32,33: 송풍관 41: 급수관
42: 급수밸브 43: 배수관
44: 배수밸브

Claims (7)

  1. 본체 내에 형성되며 전면 측에는 도어가 개폐 가능케 결합된 가열실;
    상기 가열실의 벽면 내에 형성되며 발열을 행하는 숯불이 저장된 숯불 저장부; 및
    외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걸림부를 갖는 석쇠가 상기 가열실에 투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석쇠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석쇠고정부는 상기 가열실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석쇠는 상기 걸림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세워져 상기 석쇠 고정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숯불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석쇠 내의 피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육즙 및 기름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기름 받이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의 내측벽에는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옥,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내열재 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 내의 공기 및 연기를 강제적으로 숯불 및 기름 받이판으로 공급하는 제연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연수단은 가열실 내의 연기 및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 와,
    상기 송풍기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숯불 저장부 및 기름 받이판에 위치된 송풍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일측에 외부로부터 기름 받이판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갖는 급수관 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기름 받이판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를 갖는 배수관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 저장부는 내측에 숯불이 저장된 숯불 저장통 이 위치되고, 상기 숯불 저장통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장치.
KR10-2004-0097119A 2004-11-24 2004-11-24 숯불구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1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119A KR100512564B1 (ko) 2004-11-24 2004-11-24 숯불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119A KR100512564B1 (ko) 2004-11-24 2004-11-24 숯불구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179A Division KR100644973B1 (ko) 2005-07-01 2005-07-01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60A KR20040107460A (ko) 2004-12-20
KR100512564B1 true KR100512564B1 (ko) 2005-09-06

Family

ID=3738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1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2564B1 (ko) 2004-11-24 2004-11-24 숯불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5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270B1 (ko) 2006-02-17 2007-06-29 임상훈 고기 구이장치.
KR100808533B1 (ko) 2005-07-12 2008-02-29 전봉진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제거수단을 갖는 스탠드형구이장치
KR20180019826A (ko) 2016-08-17 2018-02-27 윤종길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200491098Y1 (ko)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99B1 (ko) * 2005-07-07 2007-05-02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754492B1 (ko) * 2006-03-31 2007-09-03 주정민 이동식 조리 장치
KR102353435B1 (ko) * 2020-02-28 2022-01-19 최윤수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KR102483447B1 (ko) * 2022-02-28 2023-01-02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WO2022225273A1 (ko) * 2021-04-23 2022-10-27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KR102353355B1 (ko) * 2021-04-23 2022-01-24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KR102739466B1 (ko) * 2022-07-04 2024-12-05 박종태 숯불 소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33B1 (ko) 2005-07-12 2008-02-29 전봉진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제거수단을 갖는 스탠드형구이장치
KR100733270B1 (ko) 2006-02-17 2007-06-29 임상훈 고기 구이장치.
KR20180019826A (ko) 2016-08-17 2018-02-27 윤종길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200491098Y1 (ko)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60A (ko)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540B1 (en) Barbecue oven having circulation control
US20110275023A1 (en) Convection Oven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100923606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구이장치
JP4654096B2 (ja) 加熱調理器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835805B1 (ko)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EP1312293B1 (en) Domestic oven for barbecuing
KR200455169Y1 (ko) 훈제구이장치
KR101850525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101618604B1 (ko) 바베큐 장치
KR20110105414A (ko) 숯불 구이기
KR200387043Y1 (ko) 훈제 그릴장치를 구비한 숯불 그릴장치
KR100569211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CA3102204C (en) Removable ash clean out assembly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200372900Y1 (ko) 간접열에 의한 고기구이가마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200339468Y1 (ko) 식탁용 고기 구이장치
KR102235285B1 (ko) 복합 가스 구이기용 숯불 발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70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