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0205B1 -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205B1
KR100510205B1 KR10-2002-0062316A KR20020062316A KR100510205B1 KR 100510205 B1 KR100510205 B1 KR 100510205B1 KR 20020062316 A KR20020062316 A KR 20020062316A KR 100510205 B1 KR100510205 B1 KR 10051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elease
forming
die
ro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951A (ko
Inventor
김충열
Original Assignee
김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열 filed Critical 김충열
Priority to KR10-2002-006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2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2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01L21/4842Mechanical treatment, e.g. punching, cutting, deforming, cold w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92Treatment of the terminal leads as a separa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부품소재로 사용되는 리드후레임(LEAD FRAME)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트렌지스터(POWER TRANSISTOR)등에서 열방출부는 후부로 코넥타(CONNELTOR)부는 박부로 형성된 단면을 갖인 이형스트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형스트립은 스트립 단면 중앙부는 후부로 양측부는 박부로 또는 중앙부는 박부로 양측부는 후부로 요철(凹凸)형상으로 성형된 스트립이다.
이러한 스트립은 일반 압연방법으로는 성형이 불가하여 종래, 성형을 위한 특별한 방법과 장치들이 고안되여 전용기로 이형성형을 행하였으며, 이형성형 이후 공정은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야만 이형 스트립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범용 프레스와 금형을 이용하여 순차 연속 성형으로 이형성형을 2열 이상 성형하며, 모델및 규격이 다른 2 품종 이상을 동시 병행하여 성형을 행하며, 이형 성형후 종래 압연기에서 행하던 압연을 이형성형과 병행하여 연속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TION OF MULTI GAUGE STRIP}
본 발명은 전자(기)부품 소재로 사용되는 리드후레임(LEAD FRAME)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트렌지스터(POWER TRANSISTOR)등에서 히트싱크(HEAT SINK)부인 중앙부는 후부로, 코넥타(CONNECTOR)부는 양측부가 박부로 형성된 단면을 갖인 이형스트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형스트립은 장재의 스트립 중앙부는 두꺼운 후부로 되여 있고, 중앙부 양측부는 박부로 되여 있으며 그 비율은 박부의 두께가 중앙부 후부두께의 35% 정도로 후박부의 단차가 큰 제품이다.
때문에 일반 압연으로는 폭방향 옆으로 늘이는 박부 성형이 불가하여 스트립 중앙부는 성형을 하지 않고 양측부만 박부로 성형하기 위하여 스트립 양측부만 좌우 폭방향으로 넓히는 특별한 방법 및 설비와 장치들이 고안되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식들은 연질재의 평스트립 소재 중앙부 양측을 박부로 성형한후 1차 중간 압연을 행한다. 이것은 이형성형으로 후부와 박부의 경계가 선명하고 단차가 크게 성형되여 후부와 박부의 기계적 성질이 현저히 다르므로, 연질재로 남아있는 조직을 박부의 가공조직과 동일한 조직으로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1차 압연을 행한 이형스트립을 소둔과 산세를 한 후 마지막 압연으로 2차 압연을 행하는데 이것은 완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프레스를 이용한 타발재료가 되기때문에 반경질재 정도로 만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이형스트립 제조공정은 도 8 의 도시와 같이 1)평소재에서 이형성형, 2)이형성형재 중간압연, 3)소둔, 4)산세, 5)완제 압연 공정으로 제조되며, 1)의 이형성형 공정은 반복이 안되지만, 압연과 소둔 및 산세는 필요에 따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1)의 공정에서 후부와 박부의 두께 비율과 폭이 필요한 규격으로 성형되면 이후 압연공정은 통상의 압연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1)의 이형성형 공정에서 비교적 큰두께로 후부와 박부의 두께 비율로 성형 하면 2)의 압연공정을 1회 이상 추가하여도 폭변화가 없어 압연길이 증가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제시된 이형성형 방식의 설비능력은 전연성 좋은 순동계 재료로도 두께 1.5mm 정도며 생산속도는 일열 작업으로 2m/분 정도로 저조하다.
또 이형성형 설비는 모두 전용 설비이며, 이형성형 이후는 압연설비를 필수적용하여야 하므로, 이형성형 자체가 이형스트립의 생산능력이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적용소재를 베리움 또는 닉켈과 크롬계 합금과 같이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경화합금이나 철계 합금 적용시에는 성형에 어려움이 더 크며 특히, 파워트렌지스터의 경우 기능 향상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열방출 역활을 하는 이형스트립의 후부두께는 두껍게 리드역활을 하는 박부 두께는 얇게 요구되는 추세이므로 결국 이형스트립의 후부와 박부 단차는 종래보다 크게 되여 생산성이 더욱 저조해 지며, 또한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순동계가 아닌 철동 합금으로 대체 되므로 인한 제조의 난이는 제조원가 상승의 주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이와같은 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시도로서, 미국특허 등록된 제 4037445와 제 4523364 호에는 스트립을 연속 진행시키면서 바이트와 밀링으로 또는 바이트와 밀링을 병용하여 해당부위를 면삭하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공보 제 소 52-36512호에는 중앙에 형성한 凹(凸)홈상부 양측에 V 자로 형성한 경사면을 갖인 다이위에서 스트립 소재를 평압연롤로 왕복 운동을 하며 압축을 행하여 제조하는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평3-193232호에는 롤(ROLL)중앙에 요(凹)홈이 형성된 상롤과 철(凸)홈이 형성된 하롤 사이를 스트립이 통과하여 스트립 중앙부를 굴곡형상( )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굴곡형상을 평면형상( )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8회이상 반복하여 양측 단부를 박부로 압연을 행하는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 4037445와 제 4523364호에 기재된 제조방법은 적용 소재폭을 완성 제품폭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면삭으로 절삭되는 부분의 손실로 재료 이용율이 낮으며, 스트립 길이가 장재인 경우는 절삭 공구의 수명이 제한적이어서 품질문제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길이가 단재인 스트립에만 적용된다.
또 일본 특허공보 제 소52-36512호에 기재된 V형 다이와 평롤을 이용한 성형방법은 소재폭 방향을 전연 시키는 방법으로는 이점이 있으나, 평롤의 운동방향이 수평상태에서 왕복운동을 행하여야 하므로, 왕복운동시 소재를 변형 시키기 위한 압압력과 소재 이송등 설비구조상 제한을 받아 소재 공급(이송)량이 짧어 생산성이 낮으며 T(凸)형과 U(凹)형 및 W( )형 등의 형상별 또는 두께 규격별로 적용에 제한을 받는 경향이 크며 설비는 전용설비로 제작되여 범용성이 없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평3-193232호에 기재된 상하롤이 요철(凹凸)형상을 갖인 구(溝)압연방법은 상,하롤 사이로 연속 성형이 이루어져 단일규격 생산에는 이점이 있으나, 압연롤 스텐드 8대 이상을 압연 방향으로 배열하여야 하므로 설비비가 높으며, 성형에 필요한 규격별 요철(凹凸)롤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공구비가 높으며, 凸홈의 양 직각부를 수차에 걸쳐 성형을 하면 금속분 발생으로 발생된 금속분이 직각부에 모여 품질문제가 발생하며,소량 다품종으로 규격이 다양하므로 매품종별 공구 교환의 번잡함과 높은 난이도는 제조원가를 높이는 이유가 된다.
상기의 여러방법 중 V자형 다이와 평롤을 이용한 방식이 제조방법의 주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롤의 수평왕복운동은 예를 들면 프레스기와 같이 플라이 휠에 축적한 큰 힘을 크랑크를 통해 하향 직선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구조상 큰 힘을 갖일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평롤의 전진시 성형에 필요한 압압부하를 주고 후진시 압압부하를 해제 시키며 동시에 소재를 이송시켜야 하는 등의 복잡한 동작을 동조시켜야 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설비가가 높고 작업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형스트립 제조방법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스에 취부한 상,하 금형의 하형 좌측에서 평형스트립 소재를 하향하여 우측으로 상향 이송되게 하며, 상형의 하강 방향 양측부에서 동시에 성형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동일설비와 동일 금형에서 동시에, 2열 이상을 성형할 수 있게 하며, 2품종이상을 성형할 수 있으며, 이형 성형과 압연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 투자의 경제성, 소량 다품종 생산에 대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형스트립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스트립소재를 상형과 하형 사이를 이송시키며 스트립 중앙 좌우측부에 박부를 성형하는 이형스트립 제조방업에 있어서, 상형에 부착한 펀치의 성형롤은, 하형 좌측세로판내의 성형다이와 이동안내대의 지지롤사이로 이송하는 평스트립 소재를 프레스가공하여 1 차이형스트립으로 성형하고, 상기이형스트립은 하향우회하여, 우측세로판(22b) 내의 성형다이와 이동안내대의 지지롤사이로 상향 이송하는 상기이형스트립을,프레스가공하여 압연스트립으로 2차 성형을 행한 후, 상기 과정을 반복 행하여 1 차와 2 차 성형이 연속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서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참조부호 (20)는 프레스 볼스터(90,BOLSTER)위에 착설된 하형이며, 상형(10)은 스라이드램(80,SLIDE RAM)하면에 착설 되여 있다.
하형(20)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동일 가로판(21a, 21b)2매와 세로판(22a, 22b)2매로 외주변 4각형을 이루고 양세로판 좌,우 내측에는 공구 조립부(24)와 조립홀(26)을 갖으며, 가로판(21a, 21b)양측은 조립봉(23)과 넛트(25)로 체결 조립하여 중앙에 4 각형의 관통 공간(27)을 갖으며, 공간(27)하부에는 관통 공간(28)을 갖은 받침판(29)으로 구성되여 조립 분해와 가공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 세로판(22a, 22b)좌우 내측벽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경사면(71)을 갖으며 좌우판(73,74)이 마주하며 직 4 면체형의 판을 형성한 좌우 조정판(70)앞에 도 9에 이형성형다이(40)와 도5에 압연 성형다이(50)를 직립 배설시켰다.
상기 조정판(70)은 승강에 따라 경사면(71)을 상하이동하며 점선 위치로 이동하는 조정판(74a)에 의해 성형다이(40,50)는 전후로 위치이동(72)을 할 수 있게 되여 성형재의 두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이 작용은 규격이 다른 두품종 이상의 규격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좌우규격이 다른 제품을 동시성형 할 수 있다.
상기 좌측이형성형다이(40)와 우측압연성형다이(50)좌우전면에는 좌우지지롤(61)이 측압을 갖고 대면 한다. 상기 지지롤(61)은 도 6 에 도시와 같이 압축스프링(65)을 외장한 직립로드(66)상단에 홀더(63)가 부착되고, 홀더내 중간에 횡방향으로 압축스프링(64)을 내장하고, 압축스프링(64)양단에는 선단에 지지롤(61)을 부착한 지지롤축(62)후단이 맞대어 구성된 이동안내대(60)에 구비된 것이다.
상기 지지롤(61)은 상형의 펀치(11)승강에 따라 압축스프링(64)의 반력으로 측압을 유지하며 상하운동을 하므로서 이형성형다이(40)와 압연 성형다이(50)좌우 앞면의 성형소재(M,P')의 성형과 이송되는 과정에서 안정된 위치 유지 역활을 한다.
볼스터(90)하부에는 상형(10)펀치(11)의 상승시 성형된 이형 스트립(P')을 우회 또는 상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롤(32a,32b)이 좌우에 배설 되였다.
상형(10)하면에는 도 2 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에 경사면(17,17')과 단차부(15,15')를 갖인 펀치(11)가 조립 부착되었으며, 펀치(11)좌우측에는 성형롤(12a,12b)을 구비한 성형롤 홀더(13)가 배설되고, 성형롤 홀더 좌우 후면에는 경사면(16,16')과 단차부(14,14')가 형성되여져, 상기 편치(11)좌우측 경사면(17,17')과 단차부(15,15')가 상호 대면하며 펀치(11)의 단차부(15,15')까지 상승하여 점선표기의 성형롤 홀더(13')와 성형롤(12'b)과 같이 앞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었다.
금형 좌측에는 송급 이송롤(30a)과 우측에는 인출이송롤(30b)이 구비되였다. 소재 연결을 위해 리드(LEAD)스트립(도시생략)을 좌측 안내판(31)을 통해 하형(20)의 좌측세로판(22a)의 공구조립부(24)에 조립한 이형성형다이(40)와 이동안내대(60)의 지지롤(61)사이를 통해 볼스터(90)하측 안내롤(32a,32b)을 하향 우회하여 우측 세로판(22b)의 공구 조립부(24)에 압연 성형다이(50)와 지지롤(61)사이를 상향통과하여 우측안내판(31)을 거쳐 우측의 인출이송롤(30b)에 연결 시키고, 리드스트립 좌측단은 스트립소재(M)앞단에 연결한다.
리드스트립에 연결한 평스트립 소재(M)는 두께 2.0mm에 폭 46mm의 연질의 철합금 동재료이다.
상형 하강시에는 성형롤은 성형작업을 행하고 상승시에는 스트립소재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리드스트립의 진행과 같이 이송되며, 이송롤과 성형롤은 상형의 상,하운동에 따라 동조 동작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형을 동작시키면 리드스트립에 연결된 평스트립 소재(M)는 하형(20)좌측의 이형성형다이(40)로 진입하며, 이때 상형의 펀치(11)좌측의 성형롤(12a)은 상기 진입된 평스트립 소재(M)를 중앙부는 도 1 의 a 단면 점선표기와 같이 후부(Pa)로 양측부는 박부(Pb)로 형성된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한다.
동시에 우측 압연성형다이(50)에서는 상기에서 성형되여 상향 진입한 이형스트립(P')을 상형펀치(11)우측의 성형롤(12b)이 성형을 하여, 상기 이형스트립(P')의 후부와 박부의 두께 체적 비율이 동일하게 얇아진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한다.
상기의 과정을 살펴보면, 상형이 하강하면 펀치(11)의 하단은 이동 안내대(60)상측의 홀더(63)상면을 압축하며 하강을 진행한다.
이때 이동안내대(60)의 좌우측에 배설된 지지롤(61)은 좌우측 성형다이(40,50)앞의 성형소재를 측압을 가한 상태에서 하강하며 스트립 소재의 위치를 고정유지하여 주며 동시에, 펀치(11)좌우측에 배설된 성형롤(12a,12b)은 좌우측 성형 소재(M,P')표면과 접촉 회전하며 하강을 진행하고, 하강의 진행에 따라 성형롤(12a,12b)은 점차 측압부하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압부하가 커지면서 부하는 성형롤 홀더(13)에 전달되고 부하를 전달받은 성형롤 홀더(13)는 성형롤 홀더 후면에 경사면(16,16')이 펀치(11)측면의 경사면(17,17')을 따라 상승하여 펀치(11)측면의 단차(15,15')에서 멈추며 좌우전면으로 돌출한 성형롤 홀더(13')와 성형롤 (12'a)위치로 되여 하강하면서, 좌우측 성형소재(M,P')를 이형스트립(P',P)으로 성형한다.이때 서서히 높아지는 성형롤의 측압부하는, 성형롤이 소재 표면과 접촉을 완만히하여 소재표면에 나타나는 성형롤 흔적을 없게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좌우측 이형스트립 성형을 마친 성형롤(12a,12b)은 상형(10)의 상승과 함께 상승한다.
이때 상승하는 성형롤(12a,12b)은 부하가 해소되여 성형롤 홀더(13')와 함께 자중에 의해 펀치(11)의 양측면 경사(17,17')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며 성형된 성형품(P',P)표면과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성형롤 상승과 동시에 이송롤(30a,30b)은 작동되여 소재를 하,상향으로 이송시키며 좌우의 성형다이(40,50)로 송급한다.
이때, 하,상향으로 이송되는 스트립 소재는 상기에서 소재 표면과 성형롤이 틈새를 유지한 상태이므로 이송에 간섭을 받지 않으며, 우측 상향으로의 이송은 성형롤과 진행방향이 동일하여 더욱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이형성형을 완성한 성형롤(12a,12b)은 상승한 후 다시 하강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이형스트립(P)의 연속 성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이형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과정은 도 9의 도시에서와 같이 이형 성형다이(40)중앙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凹홈(42)이 형성되고, 凹홈 앞면 양측단부는 예각의 모서리(41)를 갖으며, 모서리(41)양측은 경사(43)를 이루며, 중앙부 凹홈(42)상측에서 하측으로 V 자 형상으로 형성되여 V 자 형상 상측은 하측 보다 낮게 형성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형성형다이(40)위에 스트립 소재(M)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시키며, 성형롤(12a,12b)을 하강시키면 성형롤(12a)의 측압으로 스트립 소재(M)중앙부는 성형다이(40)중앙 凹홈(42)으로 삽입되고, 스트립 소재 양측부는 양모서리(41)에서 양측 경사면(43)을 따라 변형 되면서 양폭방향으로 전신된다.
상기의 성형과정을 반복행하여 성형다이(40)상측부에서는 소재(M)가 단면 a 와 같이 성형되고, 중간부분에서는 단면 b와 같이 성형되고, 상기 성형과정이 진행하면서 단면 C의 과정을 거쳐 후부(Pa)와 박부(Pb)를 형성한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형성형과 동시에 우측에서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중앙부에 이형스트립 형상과 대응하는 凹홈(52)이 형성되고 凹홈 상단 모서리(51)는 좌우면이 평행으로 형성된 압연 성형다이(50)로 상기에서 성형된 이형스트립(P')의 후부와 박부 두께 체적을 동일 비율로 얇게, 성형롤(12b)이 압연성형을 행하여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상의 성형결과를 살펴보면 철 0.1%의 동합금재로 두께 2.0mm 폭 46mm 의 평스트립 소재(M)가 후부두께(Pa)1.48mm 박부두께(Pb)0.56mm,폭은 후부가 28.28mm 박부가 47.72mm 의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 하였다. 성형조건은 소재 1회 이송거리 40mm에 300회/분 로 하였다. 이것은 72%의 두께 감소가 있었으며, 박부폭은 17.72mm 에서 2.7배가 전신된 것이며, 전체폭은 76mm로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가공도는 추가 성형이 불가할 정도의 극압성형이므로 추가 압연을 하기 위해서는 열처리가 필요하다
이후 공정의 용도는 타발용이므로 열처리를 한 후 전술한 성형 방법으로 경압연을 행하여 후부두께 1.3mm 박부두께 0.5mm의 완성된 이형스트립으로 성형하였다.
종래의 수평 왕복성형으로는 상기와 같은 높은 가공율이 불가하나, 이러한 성형을 1회에 행할 수 있는 것은 가압방향이 하향으로 재료의 변형 저항이 평압보다 유리하며, 수평운동에서의 가압력 정도를 프레스기에서는 상,하수직운동을 행하는 등의 구조상 특성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일례로는 도1 에서의 수직운동은 프레스를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수평왕복운동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좌측 성형품은 좌측(L)으로, 우측 성형품은 우측(R)으로 송출 시킬 수도 있다.
이때 좌우의 공구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공구로 또는 각각 다른 타품종 공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일열의 성형만이 필요할 경우는 좌우 일측에 상형의 성형롤과 간극이 없도록 평다이를 조립해 준다.
또한 일열에 국한 하지 않고 프레스 능력 허용범위 내에서 좌우측 각각 다수열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범용 프레스와 통상정도의 금형만으로 이형 성형 전용설비와 압연설비를 대체할 수 있으며, 두께 2.0mm 이상의 소재를 일시에 70% 이상의 높은 가공율로 성형할 수 있으며, 동일 설비에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2열 이상의 성형과, 2품종 이상의 성형을 행할 수 있으며, 이형 성형과 압연 성형을 병행할 수 있으며, 1 차 압연과 2 차 압연을 행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장치를 제시하므로서 설비 투자 효과를 극대화 하고, 소량 다품종에 대비하고,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일예를 보여주는 제조과정 구성도
도 2 은 도 1 에 적용된 상형의 측면도
도 3 는 도 1 에 적용된 하형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에 적용된 하형의 측면도
도 5 은 도 1 에 적용된 압연다이
도 6 은 도 1 에 적용된 이동 안내대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1 에 적용된 조정판의 측면도
도 8 는 종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제조 공정도
도 9 는 이형 성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성형과정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상형 11 : 펀치 12 : 성형롤
13 : 성형롤 홀더 20 : 하형 21 : 가로판
22 : 세로판 23 : 조정봉 25 : 넛트
29 : 받침판 30 : 이송롤 31 : 안내판
32 : 안내롤 40 : 이형성형다이 50 : 압연성형다이
60 : 이동안내대 70 : 조정판 80 : 스라드램
90 : 볼스터(BOLSTER) M : 소재 P.P': 이형스트립

Claims (4)

  1. 평스트립 소재를 상형과 하형 사이를 이송시키며 프레스 가공을 하여 스트립폭 중앙좌우측부에 박부폭을 넓게 성형하는 이형스트립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형좌측성형롤(12a)은 하형좌측 이형성형다이(40)앞의 평스트립 소재(M)를 가압하여 단면a형상의 스트립으로 성형하는 과정과 단면 b와 단면 c의 스트립 형상으로의 성형과정을 거쳐 스트립 폭방향에 후부(Pa)와 박부(Pb)를 갖는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형우측성형롤(12b)은 하형우측 압연성형다이(50)앞의 이형스트립(P')을 가압하여 이형스트립(P')의 후부와 박부두께의 체적을 동일 비율로 얇게 성형한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하는 단계가 연속적으로 동시에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스트립(P)의 제조방법.
  2. 프레스기에 결합되어 작동되며 순차적 복수단계의 상하형으로 이루어져 소재가 상하형 사이를 이송하며 성형되는 이형스트립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형(10)은 좌우경사면(17,17')과 단차부(15, 15')를 갖인 펀치(11) 좌우하측 전면에 성형롤(12a, 12b)을 갖고 상기경사면과 단차부에 대응하는 경사면(16, 16')과 단차부(14, 14')를 갖인 성형롤홀더(13)의 후면이 접면하며, 하형(20)은 중앙에 공간(27)과 공간 좌우측면에 조립부(24)를 형성시키여 좌우판(73, 74)이 경사면(71)으로 대면하는 조정판(70)과 조정판 좌우전면에 이형성형다이(40)와 압연성형다이(50)를 조립하고, 상기성형다이(40,50)전면에는 압축스프링(65)을 외장한 로드(66)상단에 홀더(63)가 부착되고 홀더내에는 압축스프링(64)과 압축스프링 좌우단에 지지축(62)후부가 내장되고 지지축 선단에는 지지롤(61)이 조립되여 대면하며, 불스터(90)하측에는 안내롤(32a, 32b)을 구비시키여, 상형(10)의 왕복운동시 지지롤(61)은 성형다이(40,50)전면의 스트립을 고정시키며, 성형롤(12a, 12b)은 성형다이(40, 50)전면의 스트립에 단면 a, b, c의 성형단계를 거쳐 이형스트립(P)으로 성형하며, 안내롤(32a, 32b),은 스트립을 좌우, 상하향으로 이송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스트립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2-0062316A 2002-10-12 2002-10-12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1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316A KR100510205B1 (ko) 2002-10-12 2002-10-12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316A KR100510205B1 (ko) 2002-10-12 2002-10-12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951A KR20040035951A (ko) 2004-04-30
KR100510205B1 true KR100510205B1 (ko) 2005-08-31

Family

ID=3733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3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0205B1 (ko) 2002-10-12 2002-10-12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4517A3 (en) * 2009-06-09 2011-04-07 Shiloh Industr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ar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615B1 (ko) * 2005-12-29 2007-03-14 김충열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977A (en) * 1974-04-22 1976-11-23 Olin Corporation Production of multiple gauge strip by draw-shaving
US4147089A (en) * 1977-09-01 1979-04-03 Olin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ultiple gauge strip by draw shaving
US4458413A (en) * 1981-01-26 1984-07-10 Olin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multi-gauge strip
KR870017375U (ko) * 1986-04-23 1987-11-30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각끼세이사꾸쇼 이형 단면판의 제조장치
JPS6478689A (en) * 1987-06-22 1989-03-24 Polymetallurgical Corp Continuous manufacture of multiple gage composite metallic strip from at least two metallic strip having different thickness and flat metallic strip
JPH03193232A (ja) * 1989-12-22 1991-08-23 Hitachi Cable Ltd 異形断面条の製造方法
KR200186267Y1 (ko) * 2000-01-21 2000-06-15 김충열 이형재 스트립의 제조장치
KR20010049431A (ko) * 1999-06-07 2001-06-15 니시무라 요우사끼 과부하 방지 장치가 구비된 체인 호이스트
KR20020000582A (ko) * 2000-06-23 2002-01-05 김충열 스트립의 압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977A (en) * 1974-04-22 1976-11-23 Olin Corporation Production of multiple gauge strip by draw-shaving
US4147089A (en) * 1977-09-01 1979-04-03 Olin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ultiple gauge strip by draw shaving
US4458413A (en) * 1981-01-26 1984-07-10 Olin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multi-gauge strip
KR870017375U (ko) * 1986-04-23 1987-11-30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각끼세이사꾸쇼 이형 단면판의 제조장치
JPS6478689A (en) * 1987-06-22 1989-03-24 Polymetallurgical Corp Continuous manufacture of multiple gage composite metallic strip from at least two metallic strip having different thickness and flat metallic strip
JPH03193232A (ja) * 1989-12-22 1991-08-23 Hitachi Cable Ltd 異形断面条の製造方法
KR20010049431A (ko) * 1999-06-07 2001-06-15 니시무라 요우사끼 과부하 방지 장치가 구비된 체인 호이스트
KR200186267Y1 (ko) * 2000-01-21 2000-06-15 김충열 이형재 스트립의 제조장치
KR20020000582A (ko) * 2000-06-23 2002-01-05 김충열 스트립의 압연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4517A3 (en) * 2009-06-09 2011-04-07 Shiloh Industr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arts
CN102458709A (zh) * 2009-06-09 2012-05-16 夏伊洛工业公司 用于制造金属零件的机构、系统和方法
CN102458709B (zh) * 2009-06-09 2014-07-30 夏伊洛工业公司 用于制造金属零件的机构、系统和方法
US9032605B2 (en) 2009-06-09 2015-05-19 Shiloh Industr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951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977B1 (ko) 금속 판재 성형용 프레스 성형장치
US541709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ss forming
CN206643204U (zh) 一种电机安装板冲孔模具
CN109092996B (zh) 一种防变形机械加工模具
KR100510205B1 (ko)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19304024A (zh) 一种导电片的成型设备及其工艺
CN118162531A (zh) 一种连续冲压机构
CN206898189U (zh) 一种冲压级进模成套装置
CN110216194B (zh) 支撑管连续模具
CN110277319B (zh) 一种异型材的引线框架的制作方法
CN102861813A (zh) 一种异形零件加工方法及其模具
JP5035116B2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0826397B1 (ko) 이형 스트립의 제조방법
CN111618152A (zh) 一种挤压半剪式成型凸包的工艺
KR100903266B1 (ko) 이형 스트립 제조방법
CN110790491A (zh) 一种热弯装置和玻璃热弯成型的方法
CN105149444A (zh) 一种悬浮式芯模连续冲压u形卷圆筒的模具
KR20210017804A (ko) 프레스 장치
CN214556691U (zh) 一种具有产品修整功能的模具
CN220278007U (zh) 一种防位置偏移的冲压模具
CN109590390B (zh) 一种拉深模具及带筋的零件拉深成型方法
CN212792668U (zh) 横梁冲压侧成型模
JPH06102238B2 (ja) 閉塞鍛造装置
CN211027763U (zh) 一种侧冲模具
KR101431900B1 (ko) 이형스트립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808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81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