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8647B1 -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647B1
KR100508647B1 KR10-1999-0058974A KR19990058974A KR100508647B1 KR 100508647 B1 KR100508647 B1 KR 100508647B1 KR 19990058974 A KR19990058974 A KR 19990058974A KR 100508647 B1 KR100508647 B1 KR 10050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s
portion formed
curvatur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704A (ko
Inventor
백순덕
강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6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6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80°반전되는 광 튜브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부채꼴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다수의 제 1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일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제 3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일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제 4 부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 1 부재의 결합에 의해 반원형을 이루고, 제 1 부재의 일측 또는 사이에 결합된 제 2 부재에 의해 튜브 접속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반원형을 이루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양끝단에 결합된 제 3 부재에 의해 광 튜브의 도입부와 배출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80° 반전되는 튜브 접속부를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부품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간단하게 튜브 커넥터의 수용 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CURVATURE RETAINING DEVICE OF OPTICAL TUBE}
본 발명은 광 튜브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압 포설 광섬유 기술을 이용해 광가입자망을 포설할 때 광 튜브가
180°반전되어 분기되는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 방식은 종래의 금속선을 이용한 유선통신이나 자유공간을 이용한 무선통신과는 달리, 빛에 실린 정보를 광섬유를 통하여 전송하는 통신방식이다.
광섬유는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도파하는 가늘고 유연한 줄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중심에 코어가 있고 그 주위를 클래딩이 둘러싸고 있다. 빛이 코어 내에서 전반사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어의 굴절율은 클래딩의 굴절율보다 약간 크다. 코어와 클래딩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광섬유 케이블을 포설하는 공법으로는 공기압 포설 광섬유(air blown fiber; ABF) 기술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공기압 포설 광섬유(이하 ABF라 함) 기술은 직경 5∼8mm 정도의 광 튜브를 미리 포설한 다음 튜브 내부로 2∼12심으로 구성된 광섬유 번들(bundle)을 공기압으로 불어 넣어 필요로 하는 곳까지 광섬유 다발을 불어넣는 기술이다. 보통 1회의 작업으로 1km전후를 무접속으로 포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의 길이보다 긴 경로를 포설하는 경우에는 구간의 가운데에서 양방향으로 포설하거나, 한 방향으로 불어서 반대쪽으로 나오는 광섬유 번들을 되감은 다음 이후 구간을 계속하여 포설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1km가 넘는 긴 구간이라도 접속점 없이 포설할 수 있다.
ABF 기술은 광 튜브 케이블을 광통신 수요가 예상되는 곳에 미리 포설한 다음 튜브 경로를 따라 광섬유를 불어 넣게 되므로 최소한의 접속점으로 광심선의 공급이 가능하여 망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인 선로구성이 가능해진다. 즉, 미리 광 튜브 케이블 만을 포설해 놓고 나중에 수요가 발생될 때 광섬유를 공급하게 되므로 수년간의 수요를 예측하여 미리 광섬유를 포설해 두는 일반 광케이블 설치 기술과는 달리 낮은 구축비용으로 광통신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광가입자망의 확산에 따라 광대역 서비스를 위한 광케이블의 공급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광가입자망에서는 국간 광선로망과는 달리 각 가입자 방면으로의 분기가 많이 발생한다. 광 튜브 케이블 망에서의 분기작업은 먼저 튜브만을 분기 접속한 다음, 경로의 한쪽 끝에서 광섬유 번들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불어넣게 된다. 망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 케이블과 분기 케이블이 접속함체 또는 열수축관과 같은 방향으로 접속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광 튜브 케이블 내의 튜브가 180°반전되어 접속되어야 한다.
매우 급격하게 꺽여진 튜브 속으로는 압축공기를 통해 진행되는 광섬유 번들이 나아갈 수 없으므로 튜브가 180°반전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초기에 일정 곡률을 유지한 경우라도 광섬유 번들이 포설된 이후 주변 온도나 외부의 영향으로 곡률이 변경되거나 꺽어지는 경우에는 광섬의 손실증가와 함께 광섬유 자체의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튜브 곡률 유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튜브의 곡률 유지를 위해 절단된 파이프(1)의 외주면 위로 튜브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밴드 등을 이용해 파이프와 튜브를 묶어서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접속함체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고정하는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 케이블과 분기 케이블의 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튜브 커넥터(3)를 용이하게 수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튜브 커넥터의 외경은 튜브의 외경에 비해 2배정도 커서 절단된 파이프 위로 튜브 커넥터를 얹어 묶는 경우에는 튜브와 커넥터의 축이 비틀어져 견고한 커넥터 접속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커넥터 접속이 견고하지 않은 경우에는 포설을 위한 압축공기가 접속점에서 누설되게 되며, 접속함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에는 광섬유 번들이 포설되어 있는 튜브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손실 증가 등의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80° 반전되는 튜브 접속부를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부품의 위치를 바꾸어 간단하게 튜브 커넥터의 수용 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180°반전되는 광 튜브(1)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다수의 제 1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일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제 3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일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제 4 부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 1 부재의 결합에 의해 반원형을 이루고, 제 1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구조물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제 1 부재들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 2 부재에 의해 튜브 접속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반원형을 이루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양끝단에 결합된 제 3 부재 및 제 4 부재에 의해 광 튜브의 도입부와 배출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튜브(1)의 곡률 유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180°반전되는 광 튜브(1)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해 부채꼴 몸체(11)의 제 1 부재(10) 다수개와, 직사각 몸체(21)의 제 2 부재(20) 2개와, 제 3 부재(30) 및 4 부재(40)가 조립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제 1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제 2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제 3 부재 및 제 4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10)는 부채꼴 몸체(11)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12)와 오목부(1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튜브 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재(20)는 직사각 몸체(21)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22)와 오목부(23)가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 3 부재(30) 및 제 4 부재(40)는 직사각 몸체(31,41)의 일측면에 볼록부(32) 또는 오목부(42)가 각각 형성되고, 원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34,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10)는 다수개가 결합하여 반원형 즉 180°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략 30°의 각도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몸체(11) 6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부재(10)의 결합된 상태가 전체적으로 180°를 구성하는 범위 내에서 원호의 각도를 증감하여 제 1 부재(10)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부재(10)의 원주면 상에 형성된 튜브 장착부(14)는 원통형상의 광 튜브(1)을 손쉽게 고정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광 튜브(1)의 직경과 비슷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약간의 신축이 가능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입구에는 턱이 형성된 U자 형상의 오목한 장착홈(15)이 형성된다.
U자 형상의 장착홈(15)은 개방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홈(15)의 개방된 부분이 측면을 향하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부재(20)는 광 튜브(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구부려지지 않는 튜브 커넥터(2)가 튜브의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원호상에 위치하더라도 구애됨이 없이 원주면상에 수용할 수 있도록 2개를 연속으로 결합하여 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부재(10)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된다. 한편, 튜브 커넥터(2) 수용공간이 불필요한 경우에 제 2 부재(20)는 서로 떨어져 적당한 위치에 삽입된다.
제 3 부재(30) 및 제 4 부재(40)는 반원형으로 결합된 제 1 부재(10) 또는 제 2 부재(20)의 양끝단에 각각 1 개씩 결합되는 한쌍의 부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곡률 유지장치의 원주면상에 도입되는 광 튜브(1)의 도입부와 배출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1 부재(10)의 원주면 상에 형성된 튜브 장착부(14)와 비슷한 형상을 갖는 튜브 장착부(34)가 원주면과 이어지는 제 3 부재(30) 및 제 4 부재(40)의 면에 형성된다.
한편, 제 1 부재(10), 제 2 부재(20)의 결합면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볼록부(12,22)와 오목부(13,22)와 형성되어 요철결합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제 3 부재(30) 및 제 4 부재(40)의 결합면에는 각각 볼록부(32)와 오목부(42)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튜브 곡률 유지장치의 결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튜브 곡률 유지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 부재(10), 2개의 제 2 부재(20) 및 한쌍의 제 3 부재(30)를 결합하여 반원형상의 광 튜브 곡률 유지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각 부재들간의 연결은 돌출부(12)와 오목부(13)의 요철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 2 부재(20)는 2개를 연속으로 결합하여 튜브 커넥터(2)가 원주면 상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2 부재(20)는 튜브 커넥터(2)가 위치하는 지점에 따라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원주면 상에 튜브 커넥터(2)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부재(20)를 서로 분리하여 적당한 곳에 결합시킨다.
한편, 광 튜브(1)은 튜브 장착부(14,24)의 장착홈(15,35)에 삽입되어 원주면을 따라 소정 곡률을 유지한 채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80° 반전되는 튜브 접속부를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부품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간단하게 튜브 커넥터의 수용 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접속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와 커넥터의 축 비틀어짐을 방지하여 신뢰성있는 광선로망의 구축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 튜브의 곡률 유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및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튜브 곡률 유지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부재 11 ; 부채꼴 몸체
12 ; 볼록부 13 ; 오목부
14 ; 튜브 장착부 15 ; 장착홈
20 ; 제 2 부재 21 ; 직사각 몸체
22 ; 볼록부 23 ; 오목부
30 ; 제 3 부재 31 ; 직사각 몸체
32 ; 볼록부 33 ; 튜브 장착부
34 ; 장착홈 40 ; 제 4 부재
41 ; 직사각 몸체 42 ; 오목부
43 ; 튜브 장착부 44 ; 장착홈

Claims (3)

180°반전되는 광 튜브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다수의 제 1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일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제 3 부재와,
직사각 몸체의 일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이어지는 면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된 제 4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제 1 부재의 결합에 의해 반원형을 이루고,
상기 제 1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구조물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 1 부재들의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제 2 부재에 의해 튜브 접속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반원형을 이루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양끝단에 결합된 상기 제 3 부재 및 제 4 부재에 의해 광 튜브의 도입부와 배출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개방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는 U자 형상 또는 측면을 향하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삭제
KR10-1999-0058974A 1999-12-18 1999-12-18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0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74A KR100508647B1 (ko) 1999-12-18 1999-12-18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74A KR100508647B1 (ko) 1999-12-18 1999-12-18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04A KR20010064704A (ko) 2001-07-11
KR100508647B1 true KR100508647B1 (ko) 2005-08-17

Family

ID=1962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8647B1 (ko) 1999-12-18 1999-12-18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6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04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6289T3 (es) Cable de distribución que tiene una localización de acceso a media extensión, sobremoldeada, con plegamiento preferente
US4171867A (en) Device for and method of splicing fiber-optical cables
JP4143651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前記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6728451B2 (en) Optical fiber ho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13512A (en) Fiber optic in-line splice case assembly
US7840109B2 (en) Factory spliced cable assembly
MXPA06013820A (es) Montaje de cable de distribucion que tiene ubicaciones de acceso del centro del tramo sobremoldeadas.
KR960705239A (ko) 광 섬유 형성기(optical fibre organizer)
CN119008110B (zh) 一种光电混合的引入光缆
CZ282102B6 (cs) Tažná hlavice pro optické kabely typu pásky opatřené konektory
KR100508647B1 (ko) 광 튜브의 곡률 유지장치
MXPA06004419A (es) Dispositivo de ferula flexible para conexion de fibra optica y uso del mismo.
US11467363B1 (en) Mid-span fiber breakout
JP2007292312A (ja) 管連結部材
US48894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optical wave guides
EP1354231A2 (en) Cable repeater connector
CA1263262A (en) Fiber optic in-line splice case assembly
JPS62229212A (ja) 光波導体を有する帯状伝送線
JP3952878B2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の接続部及び接続方法
CN210109392U (zh) 一种带超软尾管的跳线
KR20000074785A (ko) 방수형 광 커넥터 및 어댑터
KR102713827B1 (ko) 복수개의 고정홀을 가지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GB2510875A (en) Bracket
JP2001013365A (ja) コネクタ用キャップおよび光ケーブル牽引具
JP2008292803A (ja) ケーブルの端末構造、保護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408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80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