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7711B1 - 대두피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대두피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711B1
KR100507711B1 KR10-1998-0028241A KR19980028241A KR100507711B1 KR 100507711 B1 KR100507711 B1 KR 100507711B1 KR 19980028241 A KR19980028241 A KR 19980028241A KR 100507711 B1 KR100507711 B1 KR 100507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peeling
water
sepa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437A (ko
Inventor
윤 선 장
Original Assignee
윤 선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선 장 filed Critical 윤 선 장
Priority to KR10-1998-002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7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helling peas or b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41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using chutes, hoppers,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2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therefor, e.g. composi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29Particular nature of work or product
    • Y10S83/932Edi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대두 탈피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껍질(102)이 제거된 대두 알맹이(101)가 적재되는 제1수집조(11)와, 이 제1수집조(1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대두(100)로부터 벗겨진 껍질(102)을 수집하는 제2수집조(12) 및 제1,2수집조(11)(12)의 상단부를 상호 연통시켜 대두 알맹이와 껍질이 분리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분리채널(13)을 가지며 이 분리채널(13)의 소정높이까지 분리수(80)가 충진되는 챔버(10)와; 이 챔버(10)의 분리채널(13) 상부에 설치되며, 대두(100)의 껍질(102)을 벗겨 분리채널(13)내로 낙하시키는 대두 탈피수단(20)과; 이 대두 탈피수단(20)에 대두(100)를 공급하는 대두 공급수단(30)과; 분리수(80)에 잠기도록 분리채널(13)내에 설치되어 대두 탈피수단(20)으로부터 낙하된 대두 알맹이(101)를 챔버(10)의 제1수집조(11)내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와; 챔버(10)의 제2수집조(12)내에 그 분리수(80)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대두 탈피수단(20)으로부터 낙하된 대두 껍질(102)을 포집하는 거름망(60)과; 챔버(10)내의 분리수(80)에 소정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분리채널(13)내로 낙하된 대두 껍질(102)을 제2수집조(12)의 거름망(60)내로 이송시키는 껍질이송수단(5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대두피 탈피장치{APPARATUS FOR PEEL OF SOYBEAN}
본 발명은 두부 등을 제조하기 위해 대두(大豆)의 껍질을 벗기는 대두피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두부는 대두를 이용한 대표적인 식품중의 하나로, 우리의 식생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두부는 통상 대두를 일정시간동안 물에 불려 불필요한 껍질을 벗긴 뒤, 적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분쇄기등으로 갈아서 대두즙을 만들고, 이 대두즙을 일정시간동안 끊인 다음, 가제 등으로 짜서 비지와 두유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두유에 간수 등의 응고제를 넣어 교반한 뒤 응고시키면 연한 순두부 상태가 되고, 이 순두부를 다시 소정의 성형틀에 넣고 적당한 압력을 가하면 주지의 두부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두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복잡한 공정들이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공정들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제조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두부 제조공정들을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화하여 다량의 두부를 단시간에 걸쳐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동 두부제조기가 출현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동 두부제조기는 대부분 껍질이 제거된 상태의 대두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미 분쇄된 상태의 대두분말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 두부제조기에 의해 두부를 제조한다 하더라도 대두의 껍질만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작업으로 벗겨야 하는 바, 두부의 생산성에 상당한 지장이 초래되며, 대량의 대두를 수작업으로 탈피하는데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그 탈피작업도 매우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94-6311 호 공보에는 대두의 껍질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벗길 수 있는 콩 탈피기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콩의 장지름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갖도록 탈피기 본체에 구비된 다수의 탈피로에 탈피용칼을 각각 매설하고, 각 탈피로의 콩 진입단측 상방으로 회전이송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호퍼로부터 공급슈트를 통해 공급된 콩들을 회전이송수단이 적절히 압압하면서 각 탈피로로 하나씩 연속적으로 진입시키면, 각 탈피로를 따라 굴러 이동하는 콩들이 탈피용칼과의 접촉으로 껍질이 절개되어 그 진출단측의 포집통에 포집된 뒤, 회전탈각장치로 이송되어 고속회전에 의해 껍질이 알맹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콩 탈피기는 콩을 다수의 탈피로에 하나씩 공급하여 이를 따라 구르는 콩이 탈피용칼과 접촉됨으로써 그 껍질이 절개되는 것이므로, 지름이 일정치 않은 콩 껍질의 확실한 절개를 보장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탈피용칼을 새것으로 교환해주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탈피용칼에 의해 껍질의 일부가 절개된 콩들을 포집한 뒤, 회전탈각장치로 이송하여 원심력에 의해서 비로소 껍질을 완전히 벗기고, 다시 알맹이만을 분리해내야 하는 바, 구성이 대단히 복잡하고 탈피작업이 매우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감안하여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다량의 대두 껍질을 단시간내에 간편하고 확실하게 벗길 수 있는 대두피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대두피 탈피장치는, 껍질이 제거된 대두 알맹이가 적재되는 제1수집조와, 이 제1수집조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대두로부터 벗겨진 껍질을 수집하는 제2수집조 및 제1,2수집조의 상단부를 상호 연통시켜 대두 알맹이와 껍질이 분리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분리채널(channel)을 가지며 이 분리채널의 소정높이까지 분리수가 충진되는 챔버(chamber)와; 이 챔버의 분리채널 상부에 설치되며, 대두의 껍질을 벗겨 분리채널내로 낙하시키는 대두 탈피수단과; 이 대두 탈피수단에 대두를 공급하는 대두 공급수단과; 분리수에 잠기도록 분리채널내에 설치되어 대두 탈피수단으로부터 낙하된 대두 알맹이를 챔버의 제1수집조내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conveyer)와; 챔버의 제2수집조내에 그 분리수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대두 탈피수단으로부터 낙하된 대두 껍질을 포집하는 거름망과; 챔버내의 분리수에 소정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분리채널내로 낙하된 대두 껍질을 제2수집조의 거름망내로 이송시키는 껍질이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대두 탈피수단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고무재의 제1 및 제2 탈피롤러(脫皮roller)와, 제2탈피롤러의 하측으로 제1탈피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탈피롤러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재의 제3탈피롤러와, 제1탈피롤러의 하측으로 제3탈피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탈피롤러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재의 제4탈피롤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공급수단은, 대두 탈피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제1,2탈피롤러들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대두를 일렬로 공급하는 대략 깔대기 형태의 슈트(shoot)와, 이 슈트의 상부에 이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슈트에 다량의 대두를 공급하는 깔대기형의 호퍼(hopper)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껍질이송수단은, 일단이 제2수집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수집조의 상부에 연결되는 튜브(tube)와, 이 튜브에 설치되어 제2수집조측의 분리수를 제1수집조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pump)와, 튜브의 타단쪽에 설치되며 펌핑된 분리수를 챔버내의 분리수 표면부위에서 분리채널쪽으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nozzle)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대두가 각 탈피롤러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그 압착력에 의해 껍질이 완전히 벗겨진채로 챔버에 낙하되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와 분리수의 수류에 의해 대두 알맹이와 껍질이 간단하게 분리 수집되므로, 종래에 비해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대두의 탈피 작업효율과 두부의 생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대두피 탈피장치는 내부에 분리수(80)가 소정높이까지 충진되어 대두 알맹이(101)와 껍질(102)을 각각 분리 수집하는 챔버(10)의 상부에 대두의 껍질을 벗긴 뒤 챔버(10)내로 낙하시키는 대두 탈피수단(20)이 설치되고, 이 대두 탈피수단(20)의 상부에는 대두 탈피수단(20)에 다량의 대두를 공급하는 대두 공급수단(30)이 설치된다.
챔버(10)는 대두 탈피수단(20)에 의해 상호 분리된 대두 알맹이(101)가 수집되는 제1수집조(11)와, 대두 껍질(102)이 수집되는 제2수집조(12)가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 제1 및 제2 수집조(11)(12) 사이에 이들의 상단부를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대두 알맹이(101)와 껍질(102)이 상호 분리 수집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분리채널(13)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분리수(80)는 분리채널(13)의 소정높이까지 충진되고, 대두 탈피수단(20)은 이 분리채널(13)의 상부에 위치된다.
대두 탈피수단(20)은 브래킷(bracket:26)을 통해 챔버(10)의 상단에 위치고정되어 대두 공급수단(30)으로부터 공급된 대두(100)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껍질(102)을 벗기는 탈피롤러유닛(21)과, 이 탈피롤러유닛(21)의 일측, 즉 챔버(10)의 제2수집조(12)쪽에 브래킷(28)을 통해 설치되는 제1모터(motor:27) 및 이 제1모터(27)의 동력을 탈피롤러유닛(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9)으로 구성된다.
탈피롤러유닛(21)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 즉 대두(100)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도록 각각 그 안쪽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재의 제1,2 탈피롤러(22)(23)와, 이 제2탈피롤러(23)의 하측에 제1탈피롤러(22)와 소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탈피롤러(23)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탈피롤러(24) 및 제1탈피롤러(22)의 하측에 제3탈피롤러(24)와 소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탈피롤러(22)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탈피롤러(25)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2탈피롤러(22)(23)의 간격(G1)과, 제1,3탈피롤러(22)(24)의 간격(G2) 및 제3,4탈피롤러(24)(25)의 간격(G3)은 대두(100)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어 대두(100)가 각 탈피롤러(22)(23)(24)(25)들에 의해 적절히 압압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간격(G1)(G2)(G3)들은 탈피롤러(22)(23)(24)(25)의 탄성을 고려하여 대두(100)가 부서지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대두(100)의 지름은 일정하지 않는 바, 바람직하기로는 하방으로 진행할수록 각 탈피롤러(22,23)(22,24)(24,25)간의 간격(G1)(G2)(G3)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탈피롤러유닛(21)의 하부와 제1수집조(11) 측에는 이로부터 낙하되는 대두 알맹이(101)와 껍질(102)이 그 가압력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챔버(10)의 분리채널(13)내로 정확히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트레이(tray:91)와 커버(cover:92)가 각각 적정각도로 하향 설치된다.
한편 동력전달수단(29)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정확한 동력전달을 위해 체인(chain)과 기어(gear)가 사용된다.
대두 공급수단(30)은 탈피롤러유닛(21)의 제1,2탈피롤러(22)(23)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대두(100)를 일렬로 공급하는 대략 깔대기형의 슈트(32)와, 이 슈트(32)의 상부에 이와 연통하도록 장착되어 다량의 대두(100)를 수납하는 호퍼(31)로 구성된다. 그리고 호퍼(31)의 내부 상측에는 탈피롤러유닛(21)에서의 원활한 탈피를 위해 이에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파이프(33)가 설치된다.
대두 탈피수단(20), 즉 탈피롤러유닛(21)의 하측으로 챔버(10)의 분리채널(13)내에는 껍질(102)이 벗겨진채 낙하된 대두 알맹이(101)를 재치하여 챔버(10)의 제1수집조(11)내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가 설치되는데, 이 컨베이어(40)는 분리채널(13) 하부의 브래킷(42)에 설치된 제2모터(41)와 체인(43)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그리고 챔버(10)의 제2수집조(12)내에는 탈피롤러유닛(21)에서 분리된 대두 껍질(102)을 포집하는 거름망(60)이 설치되는데, 이 거름망(60)은 제2수집조(12)의 내벽에 형성된 대략 사각틀 모양의 플랜지(flange:61)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61)는 대두 껍질(102)이 거름망(60)에 포집될 수 있도록 분리수(80)의 수위보다 약간 낮게 위치된다.
한편 분리수(80)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해야 하는데, 호퍼(31)를 통해 급수파이프(33)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바, 초과분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 챔버(10)의 제2수집조(12) 일측에는 설정된 분리수(80)의 수위를 초과하는 여분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수위조절용 배수구(70)가 설치되는데, 이 수위조절용 배수구(70)의 상단은 분리수(80)의 설정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대두 껍질(102)이 수위조절용 배수구(70)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거름망(60)을 지지하는 플랜지(61)의 한쪽변은 적어도 분리수(80)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어 차단판(62)을 구성한다.
한편 챔버(10)내의 분리수(80)에 소정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대두 껍질(102)을 제2수집조(12)의 거름망(60)내로 이송시키는 껍질이송수단(50)으로서, 일단이 제2수집조(12)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수집조(11)의 상부에 연통하도록 튜브(51)가 설치되고, 이 튜브(51)에 제2수집조(12)내의 분리수(80)를 제1수집조(11)로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54)가 설치되며, 튜브(51)의 타단에는 펌핑된 제2수집조(12)의 분리수(80)를 제1수집조(11)에서 분리채널(13)쪽으로 분사하는 두 개의 노즐(53)이 설치된다. 이때 대두 껍질(102)은 비교적 가벼워 분리수(80)로 낙하된 뒤 초기에는 대부분 분리수(80) 위에 뜨거나 그 표면근처에 위치하다가 서서히 가라않게 될 뿐만 아니라 대두 알맹이(101)는 컨베이어(40)를 타고 제1수집조(11)쪽으로 이송되는 바, 노즐(53)은 분리수(80)의 표면에 위치되어 주로 그 표면부위에 수류를 집중적으로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탈피롤러유닛(21)은 가능한한 제2수집조(12)쪽으로 치우치게 위치되어 껍질(102)의 제1수집조(11)에의 유입이 억제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하다.
그리고 챔버(10)의 분리채널(13)내에는 대두 껍질(102)이 분리수(80)의 수류를 따라 이송되어 거름망(60)내로 포집될 수 있도록 대두 껍질(102)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57)가 컨베이어(40)와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그 상단이 제2수집조(12)측을 향하도록 적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각 제1가이드 블레이드(57)의 상단은 분리수(80)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되고, 그 하단은 대두 알맹이(101)가 컨베이어(40)를 타고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40)의 상면과 충분히 이격된다. 또한 제1수집조(11)내에는 컨베이어(40)를 타고 이송된 대두 알맹이(101)가 확실하게 제1수집조(11)내로 낙하되도록 상단이 컨베이어(40)의 일측에 접촉하는 하나의 제2가이드 블레이드(44)가 적절히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가이드 블레이드(57)(44)들은 유연한 고무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챔버(10)의 제1수집조(11)내에는 바람직하기로 대두 껍질(102)이 제1수집조(11)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수(80)내에 가라앉는 대두 껍질(102)을 다시 그 표면위로 띄울 수 있도록 제1수집조(11)내의 분리수(80)에 와류를 형성하는 임펠러(impeller:55)가 설치되는데, 이 임펠러(55)는 제2모터(41)와 체인(56)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또한 제1수집조(11)내의 분리수(80)를 제1수집조(11)측으로 이송하는 튜브(51)가 제1수집조(11)의 하단을 관통하여 그 상부로 연결되고, 이 튜브(51)의 중간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집조(11)에 대응하는 대략 사각틀 형상의 루프부(loop部:52)가 형성되며, 이 루프부(52)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이 내측을 향해 적정각도로 경사지도록 다수의 분출구멍(5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펌핑된 분리수(80)의 일부가 튜브(51)의 분출구멍(52a)에서 제1수집조(11)의 바닥면을 향해 분출된 뒤, 회절되어 다시 상방으로 솟구치는 와류가 더 형성됨으로써 대두 껍질(102)의 부상(浮上)을 촉진시키게 된다.
나머지 부호 15는 제1수집조(11)의 분리수(80)와 대두 알맹이(101)를 배수하기 위한 배출구이고, 12a는 제2수집조(12)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이며, 14는 그 배수구멍(12a)을 개폐하는 캡(cap)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대두피 탈피장치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챔버(10)의 내부에 소정수위를 이루도록 분리수(80)를 충진하고, 호퍼(31)내에 물에 불린 탈피할 대두(100)를 투입한다. 그러면 대두(100)가 호퍼(31) 하부의 슈트(32)내로 공급되어 탈피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시키면, 제1모터(27)가 구동되어 그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9)을 통해 탈피롤러유닛(2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탈피롤러유닛(21)의 각 탈피롤러(22)(23)(24)(25)들이 안쪽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대두(100)가 제1,2탈피롤러(22)(23)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슈트(32)로부터 그들 사이로 진입된다. 이와 같이 제1,2탈피롤러(22)(23)들 사이로 대두(100)가 진입되면, 고무재인 제1,2탈피롤러(22)(23)는 대두(100)의 지름보다 작은 이격간격(G1)을 가지므로 대두(100)와의 접촉부위가 움푹 파인 것처럼 탄성변형되고, 이에 따라 대두(100)를 적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어서 대두(100)가 제1,2탈피롤러(22)(23)들 사이로부터 점진적으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대두(100)의 아래부분은 제1,2탈피롤러(22)(23)들과의 접촉이 해제되지만, 윗부분은 여전히 제1,2탈피롤러(22)(23)들과의 밀착상태가 유지되어 탄성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2탈피롤러(22)(23)들과의 접촉이 해제된 대두(100) 아랫부분쪽의 껍질(102)이 그 윗부분에 탄성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제1,2탈피롤러(22)(23)의 밀착력에 의해 찢어짐으로써 대두 알맹이(101)가 껍질(102)로부터 분리되게 되는데, 이때 대두 알맹이(101)는 그에 작용하는 제1,2탈피롤러(22)(23)의 탄성에 의해 두쪽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벗겨진 대두 껍질(102)은 급수파이프(33)에 의해 호퍼(31)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각 탈피롤러(22)(23)(24)(25)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려 트레이(91)를 통해 챔버(10)의 분리채널(13)내로 낙하된다. 그리고 대두 알맹이(101)는 후속하는 제1 및 제3탈피롤러(22)(24)들과 제3 및 제4탈피롤러(24)(25)들 사이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연속적으로 통과한 뒤, 트레이(91)를 통해 챔버(10)의 분리채널(13)내로 낙하된다. 이때 대두 알맹이(101)의 경우 각 제3,4탈피롤러(24)(25)들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압력에 의해 주위로 비산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비산되는 대두 알맹이(101)는 트레이(91)와 커버(92)에 의해 적절히 차단됨으로써 분리채널(13)내로 안정되게 낙하된다.
한편 대두(100)의 지름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작은 지름의 대두(100)는 제1,2탈피롤러(22)(23)를 통과하면서 그 껍질(102)이 완전히 벗겨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대두(100)는 제1,2탈피롤러(22)(23)들 간격(G1)보다 작은 이격간격(G2)을 갖는 후속하는 제1,3탈피롤러(22)(24)들을 통과하면서 재차 벗겨지게 되고, 이 제1,3탈피롤러(22)(24)들에 의해서도 껍질(102)이 완전히 벗겨지지 않거나 그대로 통과한 대두(100)는 이들의 간격(G2)보다도 작은 이격간격(G3)을 갖는 제3,4탈피롤러(24)(25)들을 통과하면서 껍질(102)이 완전히 벗겨지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이 탈피롤러유닛(21)에 의해 분리된 대두 알맹이(101)와 껍질(102)은 트레이(91)에 안내되어 챔버(10)의 분리채널(13)내로 낙하되는데, 이때 알맹이(101)는 비교적 무거워 컨베이어(40)상으로 신속히 가라앉지만, 껍질(102)은 상당히 가벼워 초기에는 분리수(80)의 표면에 뜨거나 그 근처에 머물면서 서서히 가라앉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40)는 제2모터(41)에 의해 제1수집조(11) 쪽으로 순환회전하고 있으므로 그 상면에 가라앉은 대두 알맹이(101)는 컨베이어(40)에 의해 챔버(10)의 제1수집조(11)내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적재되게 된다. 그리고 대두 껍질(102)은 튜브(51)를 통해서 제2수집조(12)의 분리수(80)를 제1수집조(11)쪽으로 순환시키는 펌프(54)에 의해 분리수(80)가 순환하고 있으므로 그 수류를 따라 제2수집조(12) 쪽으로 흘러 거름망(60)내로 유입됨으로써 포집된다. 이때 펌핑된 분리수(80)를 제1수집조(11) 측에서 분리채널(13)쪽으로 분사하는 노즐(53)은 분리수(80)의 표면에 위치하여 분리수(80)의 표면부위에 집중적으로 수류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분리수(80)의 표면부위에 위치하는 대두 껍질(102)이 용이하게 제2수집조(12) 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분리채널(13)내에는 대두 껍질(102)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 블레이드(57)들이 수류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두 껍질(102)이 침전되지 않고 확실하게 제2수집조(12) 쪽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제1수집조(11)내에는 제2모터(41)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55)가 설치되어 제1수집조(11)내의 분리수(80)에 와류를 형성하는 바, 가벼운 대두 껍질(102)이 와류에 의해 가라앉지 못하고 분리수(80)의 표면근처에서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제1수집조(11)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펌프(54)에 의해 순환되는 분리수(80)의 일부가 튜브(51)의 루프부(52)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분출구멍(52a)에서 제1수집조(11)의 바닥을 향해 비스듬히 분출됨으로써 회절에 의해 그 저부에서도 분리수(80)에 와류가 형성되므로, 대두 껍질(102)의 제1수집조(11)에의 유입이나 침전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급수파이프(33)에 의해 공급된 물에 의해 챔버(10)내의 분리수(80)의 수위가 최초의 설정치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초과분의 물이 제2수집조(12)에 설치된 수위조절용 배수구(7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분리수(80)의 수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음, 대두(100)의 탈피작업이 완료되면 장치를 정지시키고, 제1수집조(11)의 배출구(15)를 열어 그 분리수(80)를 배수시킨다. 그러면 제1수집조(11)내에 수집된 대두 알맹이(101)가 분리수(8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제2수집조(12) 하면의 캡(14)을 열어 그 분리수(80)를 외부로 배수하고, 거름망(60)에 포집된 대두 껍질(102)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두가 탈피롤러들을 지나면서 껍질이 벗겨지고, 챔버내의 분리수에 낙하되자마자 상호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와 분리수의 수류에 의해 그 알맹이와 껍질이 확실하게 분리 수집되는 바, 대두 껍질을 칼로 절개하여 포집한 뒤 다시 원심분리방법으로 껍질과 알맹이를 분리하는 종래에 비해 탈피작업이 훨씬 간편함은 물론 그 구조도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대량의 대두를 단시간에 자동으로 탈피시킬 수 있어 소요시간과 인력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대두를 고무재의 두 롤러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그 탄성변형에 의한 밀착력으로 대두의 껍질을 벗기는 것이므로, 단순히 탈피로를 따라 구르는 대두가 탈피용칼에 접촉하므로써 절개되는 종래에 비해 대두 껍질을 확실하게 벗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두를 3단계에 걸쳐 연속적으로 탈피롤러들에 통과시키므로 그 지름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하게 껍질을 벗길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대두의 탈피작업성 및 효율과 두부의 생산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두피 탈피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탈피롤러유닛의 작동을 보인 발췌 정면도,
도 4는 도 2의 Ⅳ를 따라 취한 발췌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챔버(chamber) 11, 12 : (챔버의) 제1,2 수집조
13 : (챔버의) 분리채널 20 : 탈피롤러유닛
22, 23, 24, 25 : (탈피롤러유닛의) 제1,2,3,4 탈피롤러
27 : 제1모터 31 : 호퍼(hopper)
32 : 슈트(shoot) 40 : 컨베이어(conveyer)
41 : 제2모터 44 : 제2 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
51 : 튜브(tube) 52a : (튜브의) 분출구멍
53 : 노즐(nozzle) 54 : 펌프(pump)
55 : 임펠러(impeller) 57 : 제1 가이드 블레이드
60 : 거름망 70 : 배수구
80 : 분리수 100 : 대두(大豆)
101 : (대두의) 알맹이 102 : (대두의) 껍질
G1 : 제1,2탈피롤러간의 간격 G2 : 제1,3탈피롤러간의 간격
G3 : 제3,4탈피롤러간의 간격

Claims (4)

  1. 껍질이 제거된 대두 알맹이가 적재되는 제1수집조와, 이 제1수집조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두로부터 벗겨진 껍질을 수집하는 제2수집조 및 제1,2수집조의 상단부를 상호 연통시켜 상기 대두 알맹이와 껍질이 분리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분리채널을 가지며 이 분리채널의 소정높이까지 분리수가 충진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분리채널 상부에 설치되며, 대두의 껍질을 벗겨 상기 분리채널내로 낙하시키는 대두 탈피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에 대두를 공급하는 대두 공급수단과;
    상기 분리수에 잠기도록 상기 분리채널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두 탈피수단으로부터 낙하된 상기 대두 알맹이를 상기 챔버의 제1수집조내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챔버의 제2수집조내에 그 분리수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대두 탈피수단으로부터 낙하된 대두 껍질을 포집하는 거름망과;
    상기 챔버내의 분리수에 소정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채널내로 낙하된 상기 대두 껍질을 상기 제2수집조의 상기 거름망내로 이송시키는 껍질이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피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탈피수단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고무재의 제1 및 제2 탈피롤러와,
    상기 제2탈피롤러의 하측으로 상기 제1탈피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탈피롤러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재의 제3탈피롤러와,
    상기 제1탈피롤러의 하측으로 상기 제3탈피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탈피롤러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재의 제4탈피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피 탈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공급수단은,
    상기 대두 탈피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제1,2탈피롤러들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대두를 일렬로 공급하는 대략 깔대기 형태의 슈트와,
    상기 슈트의 상부에 이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슈트에 다량의 대두를 공급하는 깔대기형의 호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피 탈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이송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2수집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수집조의 상부에 연결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제2수집조측의 분리수를 상기 제1수집조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튜브의 타단쪽에 설치되며 펌핑된 분리수를 상기 챔버내의 분리수 표면부위에서 상기 분리채널쪽으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피 탈피장치.
KR10-1998-0028241A 1998-07-13 1998-07-13 대두피 탈피장치 KR100507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241A KR100507711B1 (ko) 1998-07-13 1998-07-13 대두피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241A KR100507711B1 (ko) 1998-07-13 1998-07-13 대두피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37A KR20000008437A (ko) 2000-02-07
KR100507711B1 true KR100507711B1 (ko) 2005-11-25

Family

ID=1954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241A KR100507711B1 (ko) 1998-07-13 1998-07-13 대두피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009A (ko) * 2019-07-19 2021-01-27 김영태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KR20210060991A (ko) * 2019-11-19 2021-05-27 (합)동양아이텍 옥수수알 급속 냉동 처리 공정 및 이에 사용된 옥수수알 분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69833C2 (ru) * 2014-03-06 2015-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зерна из соевых боб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акуу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3545503B (zh) * 2021-09-06 2024-07-30 开封市宝琳机械有限公司 一种大豆加工用脱皮分离粉碎系统
CN115153060A (zh) * 2022-08-08 2022-10-11 黑龙江省农业机械工程科学研究院绥化分院 一种芸豆去荚装置
CN115486547B (zh) * 2022-10-26 2023-10-13 安徽科技学院 一种速冻青豆加工用冷却沥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009A (ko) * 2019-07-19 2021-01-27 김영태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KR102327774B1 (ko) 2019-07-19 2021-11-17 김영태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KR20210060991A (ko) * 2019-11-19 2021-05-27 (합)동양아이텍 옥수수알 급속 냉동 처리 공정 및 이에 사용된 옥수수알 분리기
KR102335412B1 (ko) * 2019-11-19 2021-12-06 (합)동양아이텍 옥수수알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옥수수알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37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324B1 (ko) 분쇄된고형물로부터가용성물질을추출하는방법및그장치
CN103919082B (zh) 用于生产土豆块的设备
CN101396165B (zh) 杏切分去核生产工艺及机械化生产线
US4223688A (en) Bean sprout harvester
KR100507711B1 (ko) 대두피 탈피장치
JPH0347059A (ja) 果肉を取り出すための流体衝突方法及び装置
KR101989530B1 (ko)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CN221996728U (zh) 一种芽豆脱皮、缓冻及清洗一体化处理装置
KR101923580B1 (ko) 곡물 탈피장치
CN110771667A (zh) 一种全自动的肉丸成型流水线及其控制方法
KR20160056228A (ko) 견과류의 껍질 분리 회수장치
CN113317517A (zh) 一种山楂果核果肉分离装置
US4976981A (en) Method for preparing prepressed cheese curd blocks and an assembly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12450460A (zh) 白菜深加工环保一体化处理装置
CN219479149U (zh) 蔬菜自动漂烫设备
CN208131239U (zh) 一种油茶果预处理浮选机
CN110720612A (zh) 一种多功能手动蔬菜加工机
JP3399902B2 (ja) 豆の皮剥き装置
CN216722888U (zh) 一种安全性高的防油溅的豆泡油炸机
CN216165047U (zh) 一种果蔬清洗脱表水压榨分离一体化系统
CN207531868U (zh) 一种核桃青皮脱皮机
CN115490777B (zh) 一种魔芋精粉制备用设备及工艺
KR100456294B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CN219228867U (zh) 一种海参去肠清洗装置
CN220343569U (zh) 一种土豆的自动去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