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7529B1 - 기계식 리프터 - Google Patents

기계식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529B1
KR100507529B1 KR10-2002-0080360A KR20020080360A KR100507529B1 KR 100507529 B1 KR100507529 B1 KR 100507529B1 KR 20020080360 A KR20020080360 A KR 20020080360A KR 100507529 B1 KR100507529 B1 KR 100507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od
piston
fixed
lif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900A (ko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5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5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와 테일 게이트 등과 같은 작동 요소측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상단 내측에 하단이 개구된 상기 실린더(51)보다 작은 직경의 보조 실린더(52)와, 상기 실린더(51)내에 삽입되어 실린더(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일측 선단이 차체측에 고정되는 로드(53)와, 상기 로드(53)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실린더(52) 내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왕복 작동하는 제1 피스톤(54)과, 상기 로드(53)의 중간부에 상기 실린더(51) 내에서 상하로 왕복 작동하는 제2 피스톤(55)과, 상기 제2 피스톤(55)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51)의 바닥면과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는 충격 흡수재(56)와,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57, 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원 발명의 기계식 리프터는 내구성이 좋고, 제작하기 용이하며, 상기 로드(53)를 제1 및 제2 피스톤(54, 55)과 일체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 피스톤(55)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되고, 개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 부재도 필요하지 않아 그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리프터{Mechanized lifter}
본 발명은 기계식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피스톤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차체측에 마련된 엔진 룸에는 엔진의 정비를 위해 차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hood)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후드는 개폐시 조작력의 경감과 개방시 개방된 상태의 지속을 위해 개스 리프터(gas lif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스 리프터는 차체에 대해 상,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테일 게이트측(tail gate)에도 설치되어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상기 개스 리프터(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와 테일 게이트 등과 같은 작동 요소측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고압의 질소 개스를 충전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12)와, 이 실린더(12)내에 삽입되어 실린더(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일측 선단이 차체측에 고정되는 로드(14) 및, 이 로드(14)의 타측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12)내에 수용되는 피스톤(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2)의 일측 개방된 부위에는 씰링 부재(18)가 결합되어 있어, 이 씰링 부재(18)는 상기 실린더(12)의 내부에 고압으로 충전된 질소 개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린더(12)를 봉입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실린더(12)의 최외곽측으로 결합되어 고정된 가이드 부재(18a)와, 이 가이드 부재(18a)의 내측으로 결합된 고무류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팩킹 씰(18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18a)와 팩킹 씰(18b)은 모두 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위로 상기 피스톤(16)과 연결된 로드(14)가 습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스 리프터(10)의 실린더(12)내에는 로드(14)의 이동시 최대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된 스톱퍼(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개스 리프터는 압축 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실린더 내부 부품은 정교한 기계적 정밀 가공과 압축 공기의 누설 방지를 위한 보조적 실링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외기온의 변화에 따라 압축된 공기의 체적이 변화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도 상당하다. 즉, 개스 리프터는 유체를 이용한 승강 장치이므로, 이의 제반 요구 조건이 맞지 않을 때에는 압축 개스의 누설 등의 초기 사용부터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장기간 동안의 사용을 하다 보면, 각 구성 부품에서 마모와 같은 내구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요인이 유발되는 바, 특히 상기 실린더(12)의 일측 개방된 부위를 기밀성이 있도록 막아 주는 씰링 부재(18)의 마모에 따른 실린더(12)내에 봉입된 고압의 개스나 윤활을 위한 오일의 누출이 발생되어 상기 개스 리프터(10)가 설치되는 작동 요소에서 원활한 개방과 개방된 상태의 지속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기계식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리프터는, 후드와 테일 게이트 등과 같은 작동 요소측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단 내측에 하단이 개구된 상기 실린더보다 작은 직경의 보조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되어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일측 선단이 차체측에 고정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왕복 작동하는 제1 피스톤과, 상기 로드의 중간부에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왕복 작동하는 제2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과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는 충격 흡수재와,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식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식 리프터는, 후드와 테일 게이트 등과 같은 작동 요소측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상단 내측에 하단이 개구된 상기 실린더(51)보다 작은 직경의 보조 실린더(52)와, 상기 실린더(51)내에 삽입되어 실린더(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일측 선단이 차체측에 고정되는 로드(53)와, 상기 로드(53)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실린더(52) 내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왕복 작동하는 제1 피스톤(54)과, 상기 로드(53)의 중간부에 상기 실린더(51) 내에서 상하로 왕복 작동하는 제2 피스톤(55)과, 상기 제2 피스톤(55)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51)의 바닥면과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는 충격 흡수재(56)와,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57, 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식 리프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후드와 테일게이트 등의 작동 요소측에 원통 형상의 실린더(51)를 고정하고, 차체에는 로드(53)가 고정되어 있는 바, 차량의 정비를 위하여 후드를 열면, 상기 실린더(51) 내에 삽입된 로드(53)의 선단에 부착된 제1 피스톤(54)이 그 보조 실린더(52)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피스톤(54)의 상면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1 코일 스프링(57)이 일차적으로 인장되고, 상기 보조 실린더(52)의 외주면과 상기 로드(53)의 중간부에 있는 제2 피스톤(55)의 상면과의 사이에 압축되어 있던 제2 코일 스프링(58)이 인장되어 후드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피스톤(55)의 하면에는 충격 흡수재(56)가 부착되어 있어, 충격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후드를 닫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54, 55)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57, 58)의 탄성력에 의해 부드럽게 닫힘 작동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계식 리프터는 제1 및 제2 피스톤(54, 55)의 상면에 위치한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57, 58)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압축 개스의 누설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제작하기 용이하고, 상기 로드(53)를 제1 및 제2 피스톤(54, 55)과 일체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공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제2 피스톤(55)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되고, 개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 부재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리프터에 의하면, 제1 및 제2 피스톤(54, 55)의 상면에 위치한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57, 58)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내구성이 좋고, 제작하기 용이하며, 상기 로드(53)를 제1 및 제2 피스톤(54, 55)과 일체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 피스톤(55)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되고, 개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 부재도 필요하지 않아 그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개스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식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실린더 52 : 보조 실린더
53 : 로드 54, 55 : 제1 및 제2 피스톤
56 : 충격 흡수재 57, 58 :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

Claims (1)

  1. 후드와 테일 게이트 등과 같은 작동 요소측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상단 내측에 하단이 개구된 상기 실린더(51)보다 작은 직경의 보조 실린더(52)와, 상기 실린더(51)내에 삽입되어 실린더(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일측 선단이 차체측에 고정되는 로드(53)와, 상기 로드(53)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실린더(52) 내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왕복 작동하는 제1 피스톤(54)과, 상기 로드(53)의 중간부에 상기 실린더(51) 내에서 상하로 왕복 작동하는 제2 피스톤(55)과, 상기 제2 피스톤(55)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51)의 바닥면과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는 충격 흡수재(56)와,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57, 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리프터.
KR10-2002-0080360A 2002-12-16 2002-12-16 기계식 리프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07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60A KR100507529B1 (ko) 2002-12-16 2002-12-16 기계식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60A KR100507529B1 (ko) 2002-12-16 2002-12-16 기계식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900A KR20040053900A (ko) 2004-06-25
KR100507529B1 true KR100507529B1 (ko) 2005-08-17

Family

ID=3734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3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7529B1 (ko) 2002-12-16 2002-12-16 기계식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5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900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3241B (zh) 减震器及其液压阻挡器
US9611915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S63285346A (ja) 液圧式緊張装置
JPH02248734A (ja) 液圧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209228925U (zh) 一种新型弹性胶体缓冲器
US20040145099A1 (en) Mono-tube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2482244B1 (ko) 쇽업소버
JPS5912438Y2 (ja) 油圧緩衝器
KR200432808Y1 (ko) 가스 스프링
US6648310B2 (en) Shock absorber
KR20160018504A (ko) 내압축성 쇽 업소버 피스톤 씰
KR100507529B1 (ko) 기계식 리프터
JP2017180683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US5305859A (en) Liquid spring having improved damper valve structure
JP6238962B2 (ja) 緩衝器における改良
JP200725544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4993961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S6134305A (ja) 密封型油圧リフタ
CN109340296B (zh) 一种可延长使用寿命的减震器
CN214196831U (zh) 具有内置式位移传感器的液压油缸
CN212377021U (zh) 一种液压油缸导向套缓冲装置
CN215720442U (zh) 一种具有举升功能的减振器
JPH0128364Y2 (ko)
KR19980054298U (ko) 가스 스프링
CN1153911C (zh) 滑筒式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8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8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