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6280B1 -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280B1
KR100506280B1 KR1019970076115A KR19970076115A KR100506280B1 KR 100506280 B1 KR100506280 B1 KR 100506280B1 KR 1019970076115 A KR1019970076115 A KR 1019970076115A KR 19970076115 A KR19970076115 A KR 19970076115A KR 100506280 B1 KR100506280 B1 KR 10050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read
telephon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137A (ko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8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회로 및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기에서 연달아 입력되는 키를 동시에 인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3×4로 매트릭스의 세로선 3개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키입력 포트로, 가로선 4개의 상태를 따로 따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키스캔 출력 포트로 하고, 해당 키가 눌려지지 않았을 때 '1'이 읽히도록 하는 풀업 저항과 키가 눌려졌을 때 키매트릭스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12개의 키접점과 12개의 키와 상기 키스캔 출력 포트에 값을 쓰고, 상기 키입력 포트에서 값을 읽을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과 이전의 키상태를 저장하는 RAM을 가지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화기에서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 키입력 인식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인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에서 동시에 입력된 키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에서 키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첫 번째 가로선에 '1,2,3'이 배치되고, 두 번째 가로선에 '4,5,6'이 배치되고, 세 번째 가로선에 '7,8,9'가 배치되고, 네 번째 가로선에 '*,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키를 누를 때 같은 가로선에 있는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도 2는 종래 전화기에서 키매트릭스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세로선1, 세로선2, 세로선3을 순차적으로 읽는다. 즉, 세로선1을 읽기 위해 키스캔 출력 포트100의 101번 포트에 신호 '0' 을, 102번 포트에 신호 '1' 을, 103번 포트에 신호 '1' 을 출력시킨 후 키입력 201,203,204,240를 읽는다. 이때, 만약 201이 '0' 으로 읽힌다면, 버튼 '1' 이 눌려진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101번 포트에 신호 '1' 을, 102번 포트에 신호 '0' 을, 103번 포트에 신호 '1' 을, 출력시키고, 키입력 201,202,203,240를 읽으면, 세로선2의 키 입력 상태를 읽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1'키와 '2'키를 동시에 누른 경우를 예로 들면, 입력된 키의 고무접점이 가진 저항 성분에 의하여 저항R1,R2가 형성된다. 이때, 키를 읽기 위하여 키스캔 출력 포트 101에 신호 '1' 을 키스캔 출력 포트 102에 '0' 을 출력시키면 저항R1,R2가 같다고 가정할 때 저항R3과 저항R1을 통하여 신호 '1'이 인가되게 된다. 저항R3와 저항R1이 병렬로 연결되어 신호 '1' 에 연결된 저항 성분이 신호 '0' 에 연결된 저항 성분보다 작게 된다. 이에 따라 키입력 포트 201은 키가 눌려졌음에도 신호 '1' 이 읽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 '1' 과 키 '2' 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 늦게 눌려진 키 '2' 는 인식되지 못하고, 처음 눌려진 키 '1' 은 두 번 누른 것으로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에서 숫자키중 같은 가로선에 놓여있는 키들을 서로 다른 입력 포트에 위치하게 하고, 이에 따른 키 인식 알고리듬을 개선하여 같은 가로선에 놓여 있는 숫자 키가 동시에 눌려졌을 경우 키 인식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4로 매트릭스의 세로선 3개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키입력 포트로, 가로선 4개의 상태를 따로 따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키스캔 출력 포트로 하고, 해당 키가 눌려지지 않았을 때 '1'이 읽히도록 하는 풀업 저항과 키가 눌려졌을 때 키매트릭스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12개의 키접점과 12개의 키와 상기 키스캔 출력 포트에 값을 쓰고, 상기 키입력 포트에서 값을 읽을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과 이전의 키상태를 저장하는 RAM을 가지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키매트릭스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1'번키와 '2번키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의 회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눌려진 키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키 상태를 읽기 위한 프로세서의 연결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인식하기 위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화기에서 3×4로 구성된 키매트릭스의 세로선 3개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키입력 포트 3개와 가로선 4개의 상태를 따로 따로 읽을 수 있도록 구분해 주기 위한 키스캔 출력 포트 4개로 구성된다. 세로선 3개에 해당하는 키가 눌려지지 않았을 때 '1' 이 읽히도록 하는 풀업저항R과 키가 눌려졌을 때 키매트릭스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12개의 키접점과 12개의 키와 키스캔 출력 포트에 값을 쓰고, 키입력 포트에서 값을 읽을 수 있으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롬602와 이전의 키 상태를 저장할 수 있는 램601을 가지는 프로세서600으로 구성된다.
키 '2' 와 키 '3' 이 동시에 눌려졌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가로선1에 있는 버튼 '1' , '2' , '3'의 상태를 읽기 위하여 포트 401에 신호 '0' 을 출력시킨다. 저항R4는 저항R6보다 크고, 저항R5가 저항R7보다 크도록 구성하면, 포트 301,302는 모두 신호 '0'의 상태로 읽힌다. 버튼 '1' , '2' , '3' 을 동시에 눌러도 포트 301,302,303은 각각 '0' 을 읽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프로세서600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력된 키를 인식하기 위한 과정을 거쳐 12개에 해당하는 모든 값을 읽는다. 읽혀진 값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전에 저장된 키 상태 비트맵과 비교한 후 '1' 에서 '0' 으로 바뀐 비트가 있을 경우 해당하는 키 번호를 모두 주장치로 전송한다. 그리고, 바뀐 비트맵은 다음에 입력된 키를 인식하기 위한 상태 비교 데이터로써 저장한다.
도 5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901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스캔 출력 포트400을 통해 포트401을 '0' 으로, 포트402를 '1' 로, 포트403을 '1' 로 포트404를 '1' 로 한다. 제903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입력 포트300을 통해 입력 포트301,302,303을 읽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트맵에서 키 '1' 과 키 '2' 와 키 '3' 의 비트에 저장한다.
제905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스캔 출력 포트400을 통해 포트401을 '1' 으로, 포트402를 '0' 로, 포트403을 '1' 로, 포트404를 '1' 로 한다. 제907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입력 포트300을 통해 입력 포트301,302,303을 읽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트맵에서 키 '6' 과 키 '5' 와 키 '4' 의 비트에 저장한다.
제909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스캔 출력 포트400을 통해 포트401을 '1' 으로, 포트402를 '1' 로, 포트403을 '0' 로, 포트404를 '1' 로 한다. 제911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입력 포트300을 통해 입력 포트301,302,303을 읽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트맵에서 키 '9' 과 키 '8' 와 키 '7' 의 비트에 저장한다.
제913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스캔 출력 포트400을 통해 포트401을 '1' 으로, 포트402를 '1' 로, 포트403을 '1' 로, 포트404를 '0' 로 한다. 제915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키입력 포트300을 통해 입력 포트301,302,303을 읽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트맵에서 키 '#' 과 키 '0' 와 키 '*' 의 비트에 저장한다.
제917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이전에 저장된 키 비트맵과 현재 읽은 비트맵을 비교하고, 제919단계에서 '0' 으로 바뀐 비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0' 으로 바뀐 비트가 있는 경우 제921단계에서 프로세서600은 해당하는 번호를 주장치로 전송하고, 제923단계에서 바뀐 비트맵을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같은 가로선에 위치한 키를 서로 다른 키입력 포트에 배열하고, 각각의 가로선을 따로 따로 읽어 모인 비트맵을 이전에 저장된 비트맵과 비교하여 새로이 입력된 키 데이터를 주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기의 키매트릭스에서 같은 가로선에 놓인 키들이 하나의 키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키들이 동시에 눌려졌을 때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두 개의 키가 동시에 눌려졌을 때 해당하는 키번호를 모두 주장치로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누른 키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키 배치도.
도 2는 종래 전화기에서 키매트릭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전화기에서 '1'번키와 '2'번키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의 회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 전화기에서 '1'번키와 '2'번키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의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키매트릭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1'번키와 '2번키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의 회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눌려진 키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맵.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키 상태를 읽기 위한 프로세서의 연결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인식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5)

  1.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를 인식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3×4로 매트릭스의 세로선 3개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키입력 포트로,
    가로선 4개의 상태를 따로 따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키스캔 출력 포트로 하고,
    해당 키가 눌려지지 않았을 때 '1' 이 읽히도록 하는 풀업 저항과,
    상기 키가 눌려졌을 때 키매트릭스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12개의 키접점과,
    상기 12개의 키와 상기 키스캔 출력 포트에 값을 쓰고, 상기 키입력 포트에서 값을 읽을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과 이전의 키상태를 저장하는 RAM을 가지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전화기에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매트릭스상에서 같은 가로선에 위치한 키를 서로 다른 키입력 포트에 배열하고, 각각의 가로선을 따로 따로 읽어 모인 비트맵을 이전에 저장된 비트맵과 비교하여 '0' 으로 바뀐 비트가 있는 경우 상기 비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을 비교하여 '0'으로 바뀐 비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
  4. 3×4 키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매트릭스상에서 4개의 가로선의 상태를 읽는 과정과,
    상기 가로선의 상태를 읽은 상태를 이전에 저장된 키의 비트맵과 비교하여 '0'으로 바뀐 비트가 있는 경우 상기 비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비트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방법.
KR1019970076115A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KR10050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115A KR100506280B1 (ko)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115A KR100506280B1 (ko)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37A KR19990056137A (ko) 1999-07-15
KR100506280B1 true KR100506280B1 (ko) 2005-10-12

Family

ID=3730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115A KR100506280B1 (ko)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04B1 (ko) * 2001-07-09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신호 감지 회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816A (ja) * 1987-01-28 1988-07-30 Hitachi Ltd キ−押下検出回路
JPH04205216A (ja) * 1990-11-30 1992-07-27 Casio Comput Co Ltd キー入力制御装置
JPH06149443A (ja) * 1992-11-04 1994-05-27 Tok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
KR960028055A (ko) * 1994-12-02 1996-07-22 김광호 키이판독용 매트릭스
KR970049337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키 입력 방지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816A (ja) * 1987-01-28 1988-07-30 Hitachi Ltd キ−押下検出回路
JPH04205216A (ja) * 1990-11-30 1992-07-27 Casio Comput Co Ltd キー入力制御装置
JPH06149443A (ja) * 1992-11-04 1994-05-27 Tok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
KR960028055A (ko) * 1994-12-02 1996-07-22 김광호 키이판독용 매트릭스
KR970049337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키 입력 방지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37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6771B2 (en) Compact alphanumeric keyboard
KR100765327B1 (ko) 입력 장치
US5983116A (en) Radio telephone having analog key signal output for power conservation
KR100506280B1 (ko) 전화기에서키입력인식회로및방법
US7388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a key press
CA1182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 matrix of switchable elements
KR1006403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US8564460B2 (en) Keyboard device and method of identifying a key operation
US7013369B2 (en) Memory control circuit outputting contents of a control register
KR100594081B1 (ko) 통신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_
KR1004423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스캔장치 및 방법
JPS6155725A (ja) キ−ボ−ド装置
KR100640482B1 (ko) 이동 단말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0164404B1 (ko) 소수의 전화버튼을 이용한 문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00961B1 (ko) 다수의 키값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키와 그를 이용한 키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4906178B2 (ja) キーボード
KR100631503B1 (ko) 전화기의 키패드 장치
JP4772329B2 (ja) 電子装置、キー検出装置およびキー検出方法
KR100202611B1 (ko) 키이보드 스캔장치
JP313252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検出方法
KR100673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0177089B1 (ko) 방사 노이즈 감소 키검색 방법
KR970019274A (ko) 정보통신기기 등을 위한 한글코드화 처리 방법
KR20070069475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키 인식방법
KR2007006886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