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6168B1 -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168B1
KR100506168B1 KR10-2003-0015073A KR20030015073A KR100506168B1 KR 100506168 B1 KR100506168 B1 KR 100506168B1 KR 20030015073 A KR20030015073 A KR 20030015073A KR 100506168 B1 KR100506168 B1 KR 10050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ntrol
home
command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920A (ko
Inventor
이내흔
Original Assignee
현대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1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1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음성인식 제어(Remote Control)를 위해 가정 외부에서 음성으로 전화기(유선 전화기, 휴대폰)와 기타 음성을 이용한 정보기기를 통해 일반 가정용 기기들중 리모콘과 전원선, 기타 제어를 위해 유/무선 네트웍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또한 원격에서 음성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특정 기기의 상태 또는 전체 기기의 상태 및 상황을 음성으로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한 원격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홈 네트웍 시스템의 상태 감시와 제어장치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 모듈을 탑재, 음성에 의한 대화방식 제어로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가정 내 제어기기들의 자동화를 도모하며, 특히 원격에서 유/무선 전화기와 기타 음성을 이용한 정보기기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제어대상 기기의 모든 상황을 음성으로 보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일일이 시스템을 제어하지 않아도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즉, 인공지능형 제어시스템을 구현하여, 계절/주야/상태에 따라 스스로 인식하고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동 시스템을 구현한다. 아울러 시스템의 다운(DOWN)시에도 수동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각각의 제어기기들이 독자적으로 구동하고, 운영할 수 있는 모듈식 방식을 채택 다양한 구조의 조합과 운영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tatus checking home automation/home network using by speech recognition in a remote}
본 발명은 원격 음성인식 제어(Remote Control)를 위해 가정 외부에서 음성으로 전화기(유선 전화기, 휴대폰)와 기타 음성을 이용한 정보기기를 통해 일반 가정용 기기들중 리모콘과 전원선, 기타 제어를 위해 유/무선 네트웍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또한 원격에서 음성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특정 기기의 상태 또는 전체 기기의 상태 및 상황을 음성으로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한 원격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홈 네트웍 시스템의 상태 감시와 제어장치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 브이씨알, 오디오 기기 및 보일러, 에어컨과 같은 냉난방시스템, 전자레인지와 전기밥솥 및 식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와 같은 주방용 기기,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정용 기기는 단독 제어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가정용 기기를 통합하여 제어하고자하는 시도들이 있으며, 또한, 가전 기기와 홈 오토메이션 기기와의 연계를 통해 원격으로 도어록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페시키거나 또는 커튼과 브라인더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전등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가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많은 가정용 기기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능은 구현되어 있으나, 가정용 기기들 사이에 벽 등의 장애물이 가로막고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집 외부에서 보일러, 에어컨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용되지 못하여 부득이 사용자가 직접 기기들에 근접하여 제어하거나 기기에 설치된 컨트롤박스의 키(key)를 조작하여 제어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가정용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구비된 각종의 키들을 선택적으로 조작해주어야할 뿐만 아니라 리모컨의 적외선 신호 주사반경이 한정되어 그 주사반경을 벗어난 거리에서는 가정용 기기들을 제어하기에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가정용 기기들의 원격 제어시 발생하는 많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원거리에서도 전화라인을 통해 가정용 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다.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걸어 가정용 기기들을 선택한 후 버튼 조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도 버튼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또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홈오토메이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이 등장한 것이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다.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들의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7872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45069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44639호 등에 개시되었다.
주지한 선행 기술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음성 인식을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도 음성을 이용하여 가정용 기기들의 원격제어 제어는 가능하나, 현재 특정 가정용 기기들의 상태를 음성으로 보고 받거나 원격 자동 검침 등을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관리하는 모든 기기들의 상태를 음성으로 보고 받는 기능은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정을 벗어나 외부에서 현재 가정용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자신이 직접 제어를 수행(예를 들어, 가스밸브를 잠그는 것)했는지가 의심이 가는 경우 볼일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신속히 귀가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격 음성인식 제어(Remote Control)를 위해 가정 외부에서 음성으로 전화기(유선 전화기, 휴대폰)와 기타 음성을 이용한 정보기기를 통해 일반 가정용 기기들중 리모콘과 전원선, 기타 제어를 위해 유/무선 네트웍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또한 원격에서 음성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특정 기기의 상태 또는 전체 기기의 상태 및 상황을 음성으로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한 원격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홈 네트웍 시스템의 상태 감시와 제어장치에 대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에서 음성으로 특정 기기의 상태를 보고 받고. 이와 관계된 특정 가정용 기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에서 음성으로 전체 기기의 상태를 보고 받고, 이와 관계된 전체 가정용 기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 모듈을 탑재하여, 자연어 대화 방식의 제어를 통해 일상 생활에서 음성으로 손쉽게 가정 자동화를 도모하며, 모듈식 개발을 통해 조합에 의한 시스템 구성을 하여 다양한 조합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일이 시스템을 제어하지 않아도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즉, 인공지능형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며, 계절/주야/상태에 따라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동 시스템을 구현한다.
아울러 시스템의 다운(DOWN)시에도 수동으로 홈오토메이션기기의 단독 운영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는,냉난방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제어모듈;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모듈; 안방/거실/2층/작은방 등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모듈;홈씨어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씨어터 제어모듈;전력량계/수도계량기/온수계량기/가스계량기/난방유량계에 대한 검침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검침모듈;인체감지센서/근접센서/유리파손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안 모듈;열감지센서와 가스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안전 점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 모듈;CCTV/CATV/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모듈;원활한 영상처리기능 수행을 위해 제공되어지는 텔레비전수상기/웹-폰/웹-패드/개인정보단말기(PDA); 각 가정용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적외선(IR)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외선 제너레이터;가정내/외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명령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원격제어기;유선전화/휴대폰/정보기기를 통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무선 제어모듈;인터넷망에 연결된 PC를 이용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발생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넷 제어모듈;상기 설비제어모듈, 전력제어모듈, 조명제어모듈, 홈씨어터 제어모듈, 원격검침모듈, 보안모듈, 안전모듈, 영상처리모듈, 텔레비전수상기/웹-폰/웹-패드/개인정보단말기(PDA), 적외선 제너레이터, 음성인식 원격제어기, 유무선 제어모듈, 인터넷 제어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음성인식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출력신호 또는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정보 또는 상기 인터넷 제어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명령 데이터를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수행하고,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을 통해 특정 기기 또는 제어대상 전체 기기의 상태보고명령이 전송된 경우에는 이를 인식한 후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검출한 상태를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의 유선전화/휴대폰/정보기기로 전송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홈 서버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각각의 모듈과 연결되어 발생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송출하고, 보고명령 입력시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검출한 상태를 음성으로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송출되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로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제어명령 실행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음성보고 제어에 대응하여 각 기기의 상태를 음성으로 송출하여 외부의 유선전화기/휴대폰/정보기기로 전송해주는 음성 송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접속하면 안내 멘트를 송출해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인식결과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 저장을 선택한 경우, 음성 메시지 저장을 알리는 안내 멘트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인식결과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을 선택한 경우 미리 설정된 비밀 인증체계에 의한 사용자 승인과정을 통해 관련 정보가 입력되면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되는 비밀 인증 데이터가 비정상(에러)이고, 에러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송출해주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되는 비밀 인증 데이터가 정상이면 명령 입력 멘트를 송출하며, 사용자에 의해 음성 명령이 전송되면 이를 인식 및 분석하여 보고 명령인 경우, 자동으로 각 기기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음성으로 각 기기의 상태를 보고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5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그 인식된 음성이 제어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인 경우 실행을 요구하고, 실행 명령이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상적인 처리 여부를 확인하며, 정상적으로 실행이 이루어진 경우 정상처리 메시지를 송출해주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특정 부분 상태확인 명령인 경우 자동으로 특정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 메시지를 음성으로 송출해주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보고명령인 경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대상 전체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한 후, 그 점검 결과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게 음성으로 보고해주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5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이 인식되고, 그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 특정부분 상태확인 명령, 보고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 음성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가정내에서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입력한 명령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는 음성인식 원격제어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10은 냉난방기(에어컨, 보일러)(111)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제어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20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30은 안방(131)/거실(132)/2층(133)/작은방(134) 등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모듈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35는 홈시어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시어터 제어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40은 전력량계(141)/수도계량기(142)/온수계량기(143)/가스계량기(144)/난방유량계(145)에 대한 검침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검침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50은 인체감지센서(151)/근접센서(152)/유리파손감지센서(153)를 구비하여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안 모듈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60은 열감지센서(161)와 가스감지센서(162)를 구비하여 안전점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 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70은 CCTV(171)/CATV(172)/카메라(173)를 구비하여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모듈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80은 유선전화(181)/휴대폰(182)/정보기기(183)를 통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무선 제어모듈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90은 인터넷망(192)에 연결된 PC(191)를 이용한 제어명령데이터를 발생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넷 제어모듈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0은 각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IR)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제너레이터(210)를 제어하며, 텔레비전수상기(250), 웹-폰(220)/웹-패드(230)/개인정보단말기(PDA)(240)등과 상기 각각의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인식 원격제어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출력신호 또는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18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정보 또는 상기 인터넷 제어모듈(190)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명령 데이터를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수행하고,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180)을 통해 특정 기기 또는 제어대상 전체기기의 상태보고 명령이 전송된 경우에는 이를 인식한 후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검출한 상태를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180)의 유선전화(181)/휴대폰(182)/정보기기(183)로 전송하는 홈 서버를 나타낸다.상기에서 홈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310)와; 각각의 모듈과 연결되어 발생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320)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32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상기 음성인식부(310)에서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송출하고, 보고명령 입력시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검출한 상태를 음성으로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40)와; 상기 제어부(340)에서 송출되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로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제어명령 실행부(350)와; 상기 제어부(340)에서 발생된 음성보고 제어에 대응하여 각 기기의 상태를 음성으로 송출하여 외부의 유선전화기(181)/휴대폰(182)/정보기기(183)로 전송해주는 음성 송출부(360)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는, 가정내 또는 가정외에서 사용자가 음성인식 원격제어기(110)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하달하면, 홈 서버(200)에서 이를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게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유선전화(181)/휴대폰(182)/정보기기(183)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제어 명령을 하달하면 이를 유무선 제어모듈(180)을 통해 수신한 후, 음성인식부(310)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면 제어명령 실행부(350)를 통해 해당 기기로 제어명령을 송출하거나, 각각의 모듈을 통해 기기의 상태를 점검한다.
상태 점검인 경우에는 점검 결과를 음성 송출부(360)를 통해 유선전화(181)/휴대폰(182)/정보기기(183)로 송출해주어, 원격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편리하게 홈오토메이션 대상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의 전체 동작을, 각 블록별로 분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안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홈 서버(200)는 보안 모듈(150)과 연계하여, 1,2,3,4차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비상시에는 세대주, 경찰, 소방서, 관리소, 특수인에게 비상 호출을 시도하고, 문자 메시지(SMS)와 영상 정보를 전송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인체감지센서(151), 근접센서(152), 유리파손감지센서(153)를 구비하고, 1차적으로 경계선을 감지하여 침입에 대한 판단을 하고, 2차적으로 각종 도어(DOOR)의 오픈(OPEN)/클로즈(CLOSE)를 감지하여 침입에 대한 판단을 하고, 3차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하여 침입에 대한 판단을 한다. 그리고 4차적으로 음성을 인지하여 침입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아래의 [표1]은 상기와 같은 감시 시스템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인 도표이다.
구 분 위 치 H/W 프로세스
1차 감지 외곽(주택의 담) 적외선 및 근접센서 1. 위치접근금지 음성 메시지, 2. CCTV녹화중 음성 메시지, 3. 외곽조명(on), 4. 10초후 원상복귀안되면 경찰신고에 대한 경고 메시지, 5. 도어 록(Door Lock)
2차 감지 도어(문, 창) 근접센서, 유리파손센서 1. 침입경고 및 알람발생, 2. CCTV 녹화 및 녹화경고, 3. 조명 온(On), 4. 5초후 경찰신고 메시지, 5. 세대주 전화 및 SMS, 6. 도어 록
3차 감지 인도어(Indoor) PIR
4차 감지 음성("도둑이야") 녹화 장치(메모리에 저장) 1. 경찰신고 메시지, 2. 10초후에 전등 온 및 녹화, 3. 경찰신고, 4. 세대주, 지인 등에 전화 및 SMS, 5. 비상 버튼 대신에 보안 모드에서 특수언어 인식, 6. 도어 해제
다음으로, 안전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홈 서버(200)는 안전 모듈(160)과 연계하여 가스 및 화재 감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세대주, 경찰, 소방서, 관리소, 특수인에게 비상 호출을 하고, 문자 메시지(SMS)를 송출하며, 24시간 감시 기능을 유지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열감지센서(161), 가스감지센서(162)를 구비하며, 제어 대상은 조명제어, 윈도우 제어, 전화, 방송, 가스 밸브가 된다.
예를 들어, 가스누출시 제어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면, 가스 밸브 클로즈, 경고방송, 도어 해제, 조명제어 등 스파크 발생요인 제어금지, 윈도우 오픈 등이다.
또한, 화재시 제어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면, 가스 밸브 클로즈, 화재경고방송, 도어 해제, 윈도우 오픈순이 된다.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비상 경보가 발생하면 해제 버튼을 눌러야 해제되며, 음성인식 원격제어기(100)를 통해 해제 지시가 내려져야 하고, 1분 이내에 해제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경비실 통보 및 세대주에 SMS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출하고, 2분 이내에 해제가 안되면 자동으로 소방서를 호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설비 제어 기능을 살펴보면, 홈 서버(200)는 설비제어모듈(110)과 연계하여, 세대의 냉난방을 제어한다. 중압집중식 제어방식으로 자동 운전 기능이 부여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원격제어 및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도 세팅이 가능하다. 구성을 살펴보면, PID 제어(열원 즉 난방(보일러) 및 시스템 액션 기동/정지), 공조기 제어(FAN, 밸브, 댐퍼, 환기 팬) 등이 있다.
공조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룸 센서에 의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외부온도에 의한 자동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시간대별 온도설정에 따른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연기감지센서에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환기창을 열고 흡기팬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화장실/식당/목욕실 등 특수실 냄새 확산을 우려해 배기 팬을 자동으로 가동한다. 아울러 취침 모드, 기상 모드, 외출 모드, 스케줄 모드 등에 따른 제어도 가능하다.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홈 네트웍 시스템(Home Network System)에서 인텔리전트 디지털 컨트롤러(IDC : Intelligent Digital Controller)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하도록 하며, 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오픈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IDC는 RS-485를 통해 홈 네트웍 시스템과 연결되며, 필드 장비로는 온도/습도 센서, 트랜스듀서(Transducer), 릴레이, 포토 센서 등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전력 제어 기능을 살펴보면, 홈 서버(200)는 전력제어모듈(120)과 연계하여, 세대 내 전기 사용량의 과부하시 차단 우선 순위를 낮은 부하부터 차례로 차단하는 디멘드(Demand) 제어 및 전기의 누전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자동 운전으로 세팅된 수치에 의해 Demand가 자동 제어되며, 화재의 위험이 큰 누전감시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세대별로 월사용 예상량만 세팅하면 자동 관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조명제어 기능을 살펴보면, 홈 서버(200)는 조명제어모듈(130)과 연계하여, 적정 조명 밝기를 유지하여 입주자에게 쾌적한 환경제공과 에너지 절감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다. 제어는 조도센서에 의한 제어, 원격제어, 홈 서버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여야 하며, Stand-alone 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용선을 이용한 구성, PLC를 이용한 구성, RF를 이용한 구성, 프로그래머블 스위치(S/W)를 이용한 구성, 조도 센서를 이용한 구성, 홈 서버(200)에 의한 구성, 자체 스케줄에 의한 제어, 커튼 제어 등이 있다.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음성인식 원격제어기(100), 프로그래머블 스위치, 홈 서버의 단말기 등을 이용한 조명제어방식 및 보안 시스템과 연계제어, 시간 스케줄에 의한 제어방식이 가능하여야 하며, 조도 및 PIR 센서에 의한 제어가 되도록 한다.
또한, 온/오프 제어뿐만 아니라 디밍(Dimming) 제어도 가능하도록 하며, 세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며 제어에 대한 기록을 남겨둔다.
다음으로 원격 검침 기능을 살펴보면, 홈 서버(200)는 원격검침모듈(140)과 연계하여, 계량기의 사용 내역을 홈 서버의 제어 데이터베이스(DB)(330)에 저장하여 단지 전체 데이터뿐 아니라 세대별 데이터의 누적관리를 통하여 쉽게 사용 정보를 관리 및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전력량계(141), 수도계량기(142), 온수계량기(143), 가스계량기(144), 난방유량계(145)로 구성된다.
원격 검침 처리 일 예를 살펴보면, 음성으로 원격검침 또는 단말기에서 아이콘 터치로 검침량을 조회 요청하면, 원격검침량을 단말기에서 스프레드시트 형태로 표시하고, 음성인식부(310)는 당월의 검침량과 금액을 음성으로 멘트한다,
다음으로 인터넷 제어 기능 살펴보면, 홈 서버(200)는 인터넷 제어모듈(190과 연계하여, 제어뿐 아니라 집안 상태 감시까지도 수행한다. 고정 IP를 가지거나 외부에서 특정 세대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웍 구성이 필요하며, 보안을 위한 비밀번호(인증체계)도 있어야 한다. 외부에서 침입하여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보안에 최대의 역점을 두어야 한다.
구성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홈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xDSL, TCP/IP, ISDN 등 다양한 통신방식에 대비한 플렉시블(Flexible)한 시스템 구성을 구현하여야 한다.
제어 계획을 살펴보면, 가정/조명/커튼/보안/안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시에는 꼭 제어확인을 하며 잘못된 제어로 인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다. 제어화면 평면도를 가지고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그래픽화한다.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어디서든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홈 서버를 구성하여야 한다. 외부에서 접속하면 세대에 접속 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외부에서 접속했을 때의 기록을 남겨 추후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어의 기록은 일주일, 한달/1년 단위로 구성한다.
인터넷 제어 과정의 일 예를 들면,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홈서버에 접속을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가스밸브 상태 확인 후 밸브를 잠근다. 다음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거실 등을 켠다. 귀가 전에 인터넷을 통하여 실내온도를 확인하고, 에어컨 또는 난방기기를 켜 온도를 미리 설정한다.
다음으로 영상처리 기능을 살펴보면, 홈 서버(200)는 영상처리모듈(170)과 연계하여, CCTV(171), CATV(172), 카메라(173) 등에서 나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고, 각각의 신호를 특정 단말기에서 선택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을 살펴보면, 다양한 채널의 영상을 하나의 채널로 보여주는 아날로그 영상입력부,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면 캡쳐(Capture)용 등으로 사용하며, PDA(240), 웹-폰(220), 웹-패드(230)등의 디지털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아날로그 영상처리부, TV(250) HA 및 웹-패드(240) 등의 아날로그 영상으로 모니터링하는 아날로그 영상 모니터링부 등이 있다.
다음으로 음성 인식 기능을 살펴보면, 음성인식부(310)는 음성인식 엔진(Engine)이 모듈화되어 있으며, 종합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어부(340)와 연동한다. 종합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음성으로 지시한 명령에 대한 지시를 처리하고 플래그 처리를 하면 제어부(340)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구성을 살펴보면, Embedded 형태(Type) 의 칩(chip)이나 엔진을 홈 서버(200)에 탑재시켜 음성인식의 중추역할을 수행하며, 음성인식 리모컨(100)으로부터는 무선(브루투스)으로 ROW 데이터를 처리하는 음성인식부(310)를 구비한다.
제어 계획은 살펴보면, 아래의 [표2]와 같다.
제어 대상 영역 동작
조명 온/오프 상태확인
커튼 방, 거실 다운/업 상태확인
가전 TV 온/오프
에어컨 온/오프
창문 방/거실 오픈/클로즈 상태확인
가스 주방 온/오프 상태확인
HA 현관 영상 온/오프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음성인식 리모컨(100)을 통해 음성을 지시하면, 음성 신호를 무선 네트웍을 통해 홈 서버(200)의 음성인식부(310)에 전달된다. 음성인식부(310)는 음성 인식 처리 기능에 의해 음성 지시 내용을 분석한다. 그런 후 처리된 데이터는 코드(CODE)처리 기능에 의해 코드를 생성하여 제어부(340)에 전달된다. 제어부(340)는 생성된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인출하게 되고, 그 인출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어군(가전 제어/조명 및 커튼 제어/보안 기능/안전 기능/문 열림), 모니터링군(원격검침, 자가진단, 시스템의 상태), 대화군(비서기능, 게시판 등 데이터 리딩)에 따라 처리한다. 제어군중에 가전 제어 부분을 적외선(IR) 제너레이터(210)를 통해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 이외에 홈 서버(200)는 개인비서 기능도 구현되어 있다.
매년 발생하는 기념일과 개인 스케줄에 따른 이벤트 등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세대주에 전달하여 전체 스케줄에 대한 계획을 작성하도록 한다. 또한, 노인 분들을 위한 대화식으로 날짜/요일/시간 등을 알려주어 개인비서 역할을 하도록 한다.
구성을 살펴보면, 홈 서버(200)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자료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를 들어, 아침 7시)에 가족들에게 알리는 방송을 한다. 방송은 PA용 스피커나 웹-패드/HA등의 스피커 폰을 이용하여 세대원이 인식할 수 있도록 2 ~ 3회 반복한다. 중간에 삭제키(Cancel Key)를 누르면 중지된다.
운영 계획을 살펴보면, 리모콘으로 이름을 대면 자동 전화가 다이얼링되고, 전화번호 찾기에서 이름을 부르면 자동 연결이 되는 전화 번호 관리 기능이 있다. 아울러 기념일을 등록해 놓으면 당일 음성 및 단말기에서 자동 통보하는 기념일 관리 기능이 있으며, 오늘이 몇일이야?, 무슨 요일이야?, 몇시야?, 할아버지 제사는?, 오늘의 할일은? 등의 대화식 질의 응답 기능이 있다. 또한 SMS, 보이스 콜(Voice Call)을 이용한 경고 방송 기능이 있으며, 메시지 저장 및 재생 기능이 있다. 아울러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기능이 있다. 모드 변경 기능중 취침 모드는, 온도/습도를 최적으로 제어하며, 기상시까지 자동으로 데이터를 설정하고, 조명 오프, 디밍 기능, 방범 모드 온, 가스 밸브 클로즈, 가전 오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상 모드는 조명 온, 방범 모드 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외출 모드는 도어 클로즈 후 시작되며, 세대주가 카드 키로 출입하면 자동 해제된다. 조명 오프, 디밍 오프, 가스 밸브 클로즈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2>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접속하면, 안내 멘트를 송출해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인식하는 제1단계(S102 ~ S112)와; 상기 제1단계(S112)의 인식결과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 저장을 선택한 경우, 음성 메시지 저장을 알리는 안내 멘트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단계(S114 ~ S118)와; 상기 제1단계(S112)의 인식결과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비밀번호(인증정보) 입력을 요구한 후 비밀번호(인증정보)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3단계(S120 ~ S124)와; 상기 제3단계(S124)의 판단결과 입력되는 비밀번호(인증정보)가 비정상(에러)이고, 에러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송출해주는 제4단계(S126 ~ S128)와; 상기 제3단계(S124)의 판단결과 입력되는 비밀번호(인증정보)가 정상이면 명령 입력 멘트를 송출하며, 사용자에 의해 음성 명령이 전송되면 이를 인식 및 분석하여 보고 명령인 경우, 자동으로 각 기기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음성으로 각 기기의 상태를 보고하는 제5단계(S130 ~ S132, S20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은, 먼저 외부에서 사용자가 유선전화기 또는 휴대폰/정보기기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제어장치가 구비된 자신의 집으로 전화를 하면, 단계 S102에서와 같이 링이 도래하게 된다.
그러면 단계 S104에서 링 회수를 카운트하게 되고, 단계 S106에서는 오프훅(off-hook)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오프훅 상태는 다른 사람이 전화를 받아 훅크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를 말하며, 온훅 상태는 다른 사람이 전화를 받지 않고 송수화기가 그대로 훅크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만약, 상기 오프훅 상태를 검출한 결과 다른 사람이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오프훅 상태가 되어 단계 S134에서와 같이 일반 전화 모드가 된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송수화기를 들지 않는 온훅 상태가 되면 단계 S108로 이동하여 설정 회수 이상으로 링이 도래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링 발생이 설정 회수 이상이 된 경우 자동으로 홈오토메이션 제어장치로 전환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확인 결과 링 착신 회수가 설정 회수 이상이면 자동으로 홈오토메이션 제어장치로 전환을 하고, 단계 S110으로 이동하여 음성 메시지 저장은 1번, 홈오토메이션 제어는 2번을 선택해주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송출한다.
이러한 안내 멘트후 사용자가 1번 또는 2번을 음성으로 선택하면, 단계 S112로 이동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114에서 상기 인식한 음성이 음성 메시지 저장 선택인지를 확인하여, 그럴 경우 단계 S116으로 이동하여 "'삐'소리 후 메시지를 남기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송출하고, 단계 S118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S112의 인식결과 단계 S12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S122로 이동하여 비밀번호(인증정보)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인증정보)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단계 S124로 이동하여 입력되는 인증정보가 맞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입력되는 인증정보가 틀릴 경우에는 단계 S126으로 이동하여 에러 횟수가 3회 이상인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 결과 에러 회수가 3회 이내일 경우에는 단계 S122로 이동하여 다시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와는 달리 에러 회수가 3회 이상일 경우에는 단계 S128로 이동하여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고,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확인한 결과 입력되는 인증정보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단계 S130으로 이동하여 "지시 하세요"라는 음성을 송출하게 되고, 단계 S132에서는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며, 단계 S200에서는 상기 수신한 음성 메시지에 대응하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단계 S200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S202)와; 상기 입력되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그 인식된 음성이 제어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4 ~ S206)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인 경우 실행을 요구하고, 실행 명령이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상적인 처리 여부를 확인하며, 정상적으로 실행이 이루어진 경우 정상처리 메시지를 송출해주는 단계(S208 ~ S218)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특정 부분 상태확인 명령인 경우 자동으로 특정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 메시지를 음성으로 송출해주는 단계(S220 ~ S224)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보고명령인 경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대상 전체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한 후, 그 점검 결과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게 음성으로 보고해주는 단계(S226 ~ S230)와; 상기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 특정부분 상태확인 명령, 보고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 음성을 무시하는 단계(S23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음성 처리 루틴은, 먼저 단계 S2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204에서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이 인식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그 확인결과 음성이 인식된 경우에는 단계 S206으로 이동하여 인식된 음성이 제어 명령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인 경우, 단계 S208로 이동하여 코드에 따른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고, 단계 S210에서는 실행을 요구하며, 단계 S212에서 실행 명령이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214에서는 실행 후 2초 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실행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단계 S216에서는 정상처리 여부를 체크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에는 단계 S218로 이동하여 정상처리 메시지를 송출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특정 부분 상태확인 명령인 경우에는 단계 S222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특정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단계 S224에서는 그 결과 메시지를 음성으로 송출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보고명령인 경우, 단계 S228로 이동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대상 전체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한 후, 단계 S230에서는 그 점검 결과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게 음성으로 보고해주게 된다.
만약, 상기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 특정부분 상태확인 명령, 보고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232로 이동하여 입력 음성을 무시하게 되며, 각 단계의 음성멘트와 접근 방식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 원격제어기 및 가정 외부에서의 전화기(유선 전화기, 휴대폰)와 기타 정보기기를 통해 음성 신호로 일반 가정용 기기들중 리모콘과 전원선 및 기타 제어를 위해 유/무선 네트웍의 연결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들에 대해서 원격에서 특정기기 또는 전체기기의 상태 및 상황을 보고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1의 홈 서버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음성 처리 루틴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성인식 원격제어기 110 ..... 설비제어모듈
120 ..... 전력제어모듈 130 ..... 조명제어모듈
140 ..... 원격검침모듈 150 ..... 보안모듈
160 ..... 안전모듈 170 ..... 영상처리모듈
180 ..... 유무선 제어모듈 190 ..... 인터넷 제어모듈
200 ..... 홈 서버 210 ..... 적외선 제너레이터
220 ..... 웹-폰 230 ..... 웹-패드
240 ..... PDA 250 ..... TV
310 ..... 음성인식부 320 ..... 데이터 입력부
330 ..... 제어 데이터베이스 340 ..... 제어부
350 ..... 제어명령 실행부 360 ..... 음성 송출부

Claims (5)

  1.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장치에 있어서,
    냉난방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제어모듈;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모듈;
    안방/거실/2층/작은방 등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모듈;
    홈씨어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씨어터 제어모듈;
    전력량계/수도계량기/온수계량기/가스계량기/난방유량계에 대한 검침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검침모듈;
    인체감지센서/근접센서/유리파손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안 모듈;
    열감지센서와 가스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안전 점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 모듈;
    CCTV/CATV/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모듈;
    원활한 영상처리기능 수행을 위해 제공되어지는 텔레비전수상기/웹-폰/웹-패드/개인정보단말기(PDA);
    각 가정용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적외선(IR)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외선 제너레이터;
    가정내/외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명령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원격제어기;
    유선전화/휴대폰/정보기기를 통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무선 제어모듈;
    인터넷망에 연결된 PC를 이용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발생하여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넷 제어모듈;
    상기 설비제어모듈, 전력제어모듈, 조명제어모듈, 홈씨어터 제어모듈, 원격검침모듈, 보안모듈, 안전모듈, 영상처리모듈, 텔레비전수상기/웹-폰/웹-패드/개인정보단말기(PDA), 적외선 제너레이터, 음성인식 원격제어기, 유무선 제어모듈, 인터넷 제어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음성인식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출력신호 또는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정보 또는 상기 인터넷 제어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명령 데이터를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수행하고,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을 통해 특정 기기 또는 제어대상 전체 기기의 상태보고 명령이 전송된 경우에는 이를 인식한 후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검출한 상태를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제어모듈의 유선전화/휴대폰/정보기기로 전송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각각의 모듈과 연결되어 발생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송출하고, 보고명령 입력시 상기 각각의 모듈을 통해 검출한 상태를 음성으로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송출되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로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제어명령 실행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음성보고 제어에 대응하여 각 기기의 상태를 음성으로 송출하여 외부의 유선전화기/휴대폰/정보기기로 전송해주는 음성 송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 장치.
  3.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접속하면 안내 멘트를 송출해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인식결과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 저장을 선택한 경우, 음성 메시지 저장을 알리는 안내 멘트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인식결과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인증정보 입력을 요구한 후 인증정보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되는 인증정보가 비정상(에러)이고, 에러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송출해주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정상이면 명령 입력 멘트를 송출하며, 사용자에 의해 음성 명령이 전송되면 이를 인식 및 분석하여 보고 명령인 경우, 자동으로 각 기기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음성으로 각 기기의 상태를 보고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그 인식된 음성이 제어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인 경우 실행을 요구하고, 실행 명령이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상적인 처리 여부를 확인하며, 정상적으로 실행이 이루어진 경우 정상처리 메시지를 송출해주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특정 부분 상태확인 명령인 경우 자동으로 특정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 메시지를 음성으로 송출해주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인식된 음성이 보고명령인 경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대상 전체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한 후, 그 점검 결과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게 음성으로 보고해주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이 인식되고, 그 인식된 음성이 제어명령, 특정부분 상태확인 명령, 보고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 음성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 감시방법.
KR10-2003-0015073A 2003-03-11 2003-03-11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0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73A KR100506168B1 (ko) 2003-03-11 2003-03-11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73A KR100506168B1 (ko) 2003-03-11 2003-03-11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20A KR20030027920A (ko) 2003-04-07
KR100506168B1 true KR100506168B1 (ko) 2005-08-05

Family

ID=2957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073A Expired - Lifetime KR100506168B1 (ko) 2003-03-11 2003-03-11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1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01B1 (ko) 2005-08-17 2007-05-22 홍수행 유무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KR101166131B1 (ko) * 2010-08-10 2012-07-18 양승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형발전기의 생산전력량 제어장치
KR101270343B1 (ko) * 2013-01-10 2013-05-31 진광헌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KR20190134891A (ko) 2018-05-08 2019-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에서의 IoT 기기 매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단말
US12112753B2 (en) 2021-02-19 2024-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cessing command based on utterance inp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26B1 (ko) * 2005-02-28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 제어 방법
KR100781577B1 (ko) * 2006-11-02 2007-12-05 주식회사 오토닉스 스마트 홈을 위한 pir 센서기반 댁내 위치인식시스템
KR100769156B1 (ko) * 2007-04-20 2007-10-22 주식회사 서비전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8942694B2 (en) 2010-09-17 2015-01-27 Digience Co., Ltd. Digital devi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KR200471498Y1 (ko) * 2012-04-23 2014-02-27 (주)제이씨앤정보통신 Mp3 기능이 구비된 ip카메라 시스템
US9722811B2 (en) 2012-09-10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KR102177830B1 (ko) 2012-09-10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81912B1 (ko) * 2012-10-31 2014-04-10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홈 전력 제어 시스템
KR200479145Y1 (ko) * 2013-11-14 2015-12-23 박영세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KR102691427B1 (ko) * 2017-12-08 2024-08-05 구글 엘엘씨 디지털 음성 어시스턴트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신호 프로세싱 조정
US10971173B2 (en) 2017-12-08 2021-04-06 Google Llc Signal processing coordination among digital voice assistant computing devices
CN108594669A (zh) * 2018-06-15 2018-09-28 河池学院 一种智能家居机器人控制系统
KR102242787B1 (ko) * 2020-10-14 2021-04-22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화재와 조명 상태 모니터링 및 조명제어통합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CN114640551A (zh) * 2022-02-11 2022-06-17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分布式语音控制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01B1 (ko) 2005-08-17 2007-05-22 홍수행 유무선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66131B1 (ko) * 2010-08-10 2012-07-18 양승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형발전기의 생산전력량 제어장치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KR101270343B1 (ko) * 2013-01-10 2013-05-31 진광헌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WO2014109486A1 (ko) * 2013-01-10 2014-07-17 Jin Kwang-Hone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KR20190134891A (ko) 2018-05-08 2019-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에서의 IoT 기기 매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단말
US12112753B2 (en) 2021-02-19 2024-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cessing command based on utterance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20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168B1 (ko)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US20210180815A1 (en)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 Locations
CN102354194B (zh) 智能家居控制系统
CN201594190U (zh) 智能家居系统
US11061374B2 (en) Multi-factor event sequencing and analytics systems
CN105182786A (zh) 智能家居管理装置和系统
JP3972847B2 (ja) 住宅用制御・監視統合システム
US20050090915A1 (en) Programmable and expandable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TW200421210A (en) A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5005291B (zh)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02117062A (zh) 智能家居系统
KR101272653B1 (ko)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CN101556727A (zh) 一种对家居环境进行节能环保调控与安全守护的电子设备
CN102185744A (zh) 智能家居系统
CN107765565A (zh) 一种可自动启动的智能家居系统
JP2011055121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N111930017A (zh) 一种控制智能家居的方法及设备
CN205067996U (zh) 智能家居管理装置
CN109188926A (zh) 一种控制智能家居的方法和设备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JP3905769B2 (ja) 安否確認装置
JP3876814B2 (ja) 住宅用監視システム
JP2006031712A (ja)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た共同住宅の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096240A (ko) 음성인식 네트워크가스밸브제어시스템.
KR102510499B1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91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