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5650B1 -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650B1
KR100505650B1 KR10-2002-0074113A KR20020074113A KR100505650B1 KR 100505650 B1 KR100505650 B1 KR 100505650B1 KR 20020074113 A KR20020074113 A KR 20020074113A KR 100505650 B1 KR100505650 B1 KR 10050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socket
housing
contac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269A (ko
Inventor
이준혁
권성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6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6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5Adapter for pcb or cartridg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콘넥터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이 삽입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가진다.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가 배열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를 대응되는 것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이 배열된다. 그리고, 다수의 연결선 각각으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리드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콘넥터는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고정 인쇄회로기판에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본 발명은 전기 회로 접속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을 가지는 얇은 절연 기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다수의 인쇄된 도선이 배열된 플렉시블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는 여러가지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인쇄회로는 다수의 도선을 고밀도로 배열할 수 있으며 얇은 형태로 만들어지고 또한 가요성을 가지므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상호간에 이동하는 유니트간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등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소정의 회로패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콘넥터(Connector)가 사용되며, 도 1에는 종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1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12)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2)의 일측 사이드에는 외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리드선(14)이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다. 다수의 리드선(14) 각각은 고정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20)상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의 타측 사이드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이 삽입되는 소켓(16)이 마련되어 있으며, 소켓(16)의 내부에는 다수의 콘택트(18)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리드선(14)과 다수의 콘택트(18)는 서로 대응되는 것끼리 하나씩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16)의 외측에는 소켓(16)에 삽입된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슬라이드(locking slider, 19)가 설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에는 다수의 도선(34)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도선들(34)은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이 콘넥터(10)의 소켓(16)에 삽입되었을 때 다수의 콘택트(18) 각각에 접속된다. 이로써, 플렉시블 인쇄회로(30)에 마련된 다수의 도선(34)과 고정 인쇄회로기판(20)에 마련된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는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고정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그 용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과 같이 복잡하고 크기가 작은 가동 유니트(movable unit)에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광픽업 자체에 콘넥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좁고 복잡한 곳에 콘넥터를 설치하면 콘넥터가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다른 회로 부품들의 배치가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히 보다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이 삽입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를 대응되는 것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넥터는 상기 다수의 연결선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리드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이 삽입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
상기 다수의 제1 콘택트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리드선; 및
상기 다수의 제2 콘택트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리드선;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벽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켓의 외측에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슬라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는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고정 인쇄회로기판에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1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 사이드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소켓(120)과 제2 소켓(130)을 가진다. 상기 제1 소켓(120)과 제2 소켓(130)에는 각각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이 삽입된다.
상기 제1 소켓(120)과 제2 소켓(130) 각각의 내부에는 다수의 콘택트(122, 132)가 배열되어 있다. 제1 소켓(120) 내부에 배열된 다수의 제1 콘택트(122)는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이 제1 소켓(120)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도선(34) 각각에 하나씩 접속된다. 제2 소켓(130) 내부에 배열된 다수의 제2 콘택트(132)도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다수의 도선(34) 각각에 하나씩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제1 콘택트(122)와 다수의 제2 콘택트(132)를 대응되는 것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142)이 배열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선(142)의 일단부에는 제1 콘택트(122)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제2 콘택트(13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142)으로서 제1 및 제2 콘택트(122, 132)와는 별도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142)과 제1 및 제2 콘택트(122, 132)는 일체를 이루는 것이 제조 공정상 보다 간단하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100)는, 연결선(142)에 의해 연결된 제1 콘택트(122)와 제2 콘택트(132)를 통해 제1 소켓(120)과 제2 소켓(130)에 각각 삽입된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양측 사이드에는 제1 및 제2 소켓(120, 130)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켓(120)과 제2 소켓(130) 각각의 내부에 삽입된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소켓(120)과 제2 소켓(130) 각각의 외측에 로킹 슬라이드(locking slider, 124, 1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 슬라이드(124, 134)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소켓(120, 130)에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이 삽입되었을 때 로킹 슬라이드(124, 134)를 닫게 되면, 로킹 슬라이드(124, 134)가 접속단(32)을 눌러서 각 도선(34)이 콘택트(122, 132)에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접속단(32)이 소켓(120, 13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표시된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콘넥터(200)는 리드선(252)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콘넥터(도 2a의 1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200)는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2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콘넥터(200)의 하우징(210) 내부에 마련된 다수의 연결선(242) 각각으로부터 하우징(210)의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리드선(252)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리드선(252)은 고정된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에 솔더링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리드선(2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솔더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210)의 어느 일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넥터(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 사이드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소켓(220, 230)과, 상기 제1 및 제2 소켓(220, 230) 각각의 내부에는 배열된 다수의 제1 및 제2 콘택트(222, 232)와, 다수의 제1 및 제2 콘택트(222, 232)를 대응되는 것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242)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200)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소켓(220, 230) 각각의 외측에 로킹 슬라이드(locking slider, 224, 2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 슬라이드(224, 234)의 기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200)는, 제1 소켓(220)과 제2 소켓(230)에 각각 삽입된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인쇄회로기판(20)에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0)의 하나의 신호선으로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를 통해 양방향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표시된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콘넥터(3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이 삽입되는 제1 소켓(320)과 제2 소켓(3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소켓(320)과 제2 소켓(330) 각각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30)의 접속단(32)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34)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322)와 다수의 제2 콘택트(332)과 배열된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콘넥터(300)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소켓(320, 330) 각각의 외측에 로킹 슬라이드(324, 33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300)의 특징은 상기 다수의 제1 콘택트(322) 각각과 연결되어 하우징(310)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리드선(351)과, 다수의 제2 콘택트(332) 각각과 연결되어 하우징(310)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리드선(352)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리드선(351)과 제2 리드선(352)은 서로 절연되도록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이로 인해 제1 콘택트(322)와 제2 콘택트(332)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콘넥터(300) 양측의 제1 소켓(320)과 제2 소켓(330)에 각각 접속된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대신에,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는 각각 다수의 제1 리드선(351)과 다수의 제2 리드선(352)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리드선(351)과 제2 리드선(352)을 보다 확실하게 절연시키기 위해,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제1 리드선(351)과 제2 리드선(352) 사이에 절연벽(3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선(351)과 제2 리드선(3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솔더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3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300)는, 제1 소켓(320)과 제2 소켓(330)에 각각 삽입된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를 각각 고정 인쇄회로기판(20)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넥터(300)는 많은 신호를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를 통해 나누어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플렉시블 인쇄회로(30)에 매우 많은 도선(34)을 배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를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에 1열로 배열하게 되면 접속단(32)의 폭이 매우 커지게 되어 설치가 곤란하게 되므로, 다수의 도선(34)을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30)에 나누어 배열하고 이들 각각을 상기 콘넥터(30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00)의 회로패턴에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a는 종래의 광픽업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를 광픽업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과 같이 복잡하고 크기가 작은 가동 유니트(movable unit)에는 면적의 협소로 인해 광픽업 자체에 콘넥터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회로(40)의 빗금친 부분을 광픽업에 부착시키고 그 반대편 단부에 접속단(42)을 마련하여, 이 접속단(42)을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콘넥터에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회로(40)를 광픽업에 부착되는 부분과 일체로 만드는 경우에는, 그 길이가 매우 길어져서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100)를 사용하면,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50, 6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픽업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50)에는 그 일단부에 콘넥터(100)의 제1 소켓(120)에 삽입되는 접속단(52)을 마련하고,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60)에는 그 양단부에 각각 접속단(62, 64)을 마련한다. 두 개의 접속단(62, 64) 중 하나의 접속단(62)은 상기 콘넥터(100)의 제2 소켓(13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접속단(64)은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콘넥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콘넥터(100)를 광픽업 자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50, 60) 각각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제조원가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는 짧은 길이를 가진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서로 연결하여 다양하고 긴 길이를 가진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쉽게 구성할 수 있어서, 그 용도가 넓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에 의하면,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고정 인쇄회로기판에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선의 수가 매우 많아서 콘넥터의 폭에 제한이 있다면 많은 도선을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로 분리하고, 이들을 하나의 콘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는 종래에 비해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광픽업과 같이 작고 복잡한 유니트에서 콘넥터를 실장할 면적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의 일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표시된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표시된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광픽업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를 광픽업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인쇄회로기판 30...플렉시블 인쇄회로
32...접속단 34...도선
100,200,300...콘넥터 110,210,310...하우징
120,220,320...제1 소켓 130,230,330...제2 소켓
122,222,322...제1 콘택트 132,232,332...제2 콘택트
124,134,224,234,324,334...로킹 슬라이드
142,242...연결선 252...리드선
312...절연벽 351...제1 리드선
352...제2 리드선

Claims (6)

  1.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이 삽입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을 고정시키는 로킹 슬라이드;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를 대응되는 것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선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리드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유니트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4.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이 삽입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을 고정시키는 로킹 슬라이드;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
    상기 다수의 제1 콘택트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리드선; 및
    상기 다수의 제2 콘택트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리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5.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 사이드에 마련되며, 그 각각에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이 삽입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 각각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제1 콘택트와 다수의 제2 콘택트;
    상기 다수의 제1 콘택트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리드선;
    상기 다수의 제2 콘택트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리드선;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리드선과 제2 리드선을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외측에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접속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슬라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KR10-2002-0074113A 2002-11-26 2002-11-26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0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113A KR100505650B1 (ko) 2002-11-26 2002-11-26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113A KR100505650B1 (ko) 2002-11-26 2002-11-26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269A KR20040046269A (ko) 2004-06-05
KR100505650B1 true KR100505650B1 (ko) 2005-08-03

Family

ID=3734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1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5650B1 (ko) 2002-11-26 2002-11-26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866A (en) * 1987-08-10 1989-02-07 Alfiero Balzano Connector
KR19990083383A (ko) * 1998-04-22 1999-11-25 루이스 에이. 헥트 평평한가요성회로용전기커넥터
JP2000012127A (ja) * 1998-06-29 2000-01-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2324607A (ja) * 2001-04-25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中継コネクタ
KR100403531B1 (ko) * 2000-12-13 2003-10-30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866A (en) * 1987-08-10 1989-02-07 Alfiero Balzano Connector
KR19990083383A (ko) * 1998-04-22 1999-11-25 루이스 에이. 헥트 평평한가요성회로용전기커넥터
JP2000012127A (ja) * 1998-06-29 2000-01-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ソケットコネクタ
KR100403531B1 (ko) * 2000-12-13 2003-10-30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02324607A (ja) * 2001-04-25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中継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269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866B1 (ko) 표면장착형전기커넥터
US6837741B2 (en) Connector and cable positioning member of connector
US4517625A (en) Circuit board housing with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6932634B2 (en) High frequency coaxial jack
JPH0676894A (ja) コネクタ
KR20070118120A (ko) 전기 커넥터
KR20080034853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JP2806580B2 (ja) 表面実装コネクタ
US3958852A (en) Electrical connector
US6508661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US6421250B1 (en) Multi in-line memory module and matching electronic component socket
US6371805B1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478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terminals that are provided with a dielectric coating
KR960704372A (ko) 전기 접속 조립체(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KR19980064760A (ko)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US692365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wo intersected printed circuit boards
US20240079802A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0505650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US4706381A (en) Multi contact connector having ground terminal block connected with tape wires and method of connecting tape wires to multi contact connector
KR10225550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JP3977636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668920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053359B1 (ko)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JP2506401B2 (ja) 多極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