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3703B1 - Granular silica fertilizers - Google Patents

Granular silica fertiliz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703B1
KR100503703B1 KR10-2002-7007841A KR20027007841A KR100503703B1 KR 100503703 B1 KR100503703 B1 KR 100503703B1 KR 20027007841 A KR20027007841 A KR 20027007841A KR 100503703 B1 KR100503703 B1 KR 100503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eous fertilizer
granular
weight
rice
fertil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2978A (en
Inventor
요시다가즈오
마쯔모또다까나오
다다게이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70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공극율이 50∼90% 인 규산질 원료를 함유하는 분말원료에, 유기질 폴리머를 결합제로 첨가하고 조립하여 얻어지는 입상 규산질 비료로, 이 결합제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이고, 입자 경도가 2∼5 ㎏ 인 상기 입상 규산질 비료.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by adding an organic polymer as a binder and assembling to a powder raw material containing a siliceous raw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wherein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0.1 wt% or more and 3 wt% or less, and the particle hardness is 2 Sai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is-5 kg.

Description

입상 규산질 비료{GRANULAR SILICA FERTILIZERS}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GRANULAR SILICA FERTILIZERS}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 토양용 비료에 사용하는 규산질 비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liceous fertilizer to be used for fertilizers for cultivated soil of plants.

벼나 보리 등의 벼과(科) 식물은 다량으로 규산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규산은 벼과 식물 뿐만 아니라, 사탕수수, 옥수수, 오이나 딸기 등의 식물 육성에도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벼에서는, 짚의 건조물 중에 규산이 15% 정도 함유되어 있어, 벼의 줄기나 잎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벼과 식물에서 규산이 부족하면, 표피세포 중의 규산이 적어지고, 줄기가 약해져 쓰러지기 쉽고, 또 도열병 등의 병에 걸리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규산질 비료는, 수도비료로서 주로 무논에서 사용되고 있다. 벼 이외에도 보리, 사탕수수, 옥수수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Rice plants such as rice and barley are known to absorb silicic acid in large quantities. In addition, silicic acid is known to be important for growing plants such as sugar cane, corn, cucumber or strawberry as well as rice plants. For example, in rice, about 15% of silicic acid is contained in the dry matter of straw, and it is said that it forms the stem and leaf skeleton of rice. When rice and plants lack silicic acid, there is a problem that less silicic acid in the epidermal cells, the stems become weak and fall down easily, and also susceptible to diseases such as blast furnace. Therefore, siliceous fertilizer is mainly used in Munon as a water fertilizer. In addition to rice, it is also used for barley, sugar cane, and corn.

비료성분으로서 규산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55년경부터로, 이 때부터 제철공업의 부산물인 광재 (鑛滓) 가 이용되어 왔다. 현재는 규산질 비료로서는 광재를 조립 (造粒) 한 것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파쇄품이 사용되고 있다.Since about 1955, silicic acid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 fertilizer component, and from that time, slag, a by-product of the steel industry, has been used. Currently, siliceous fertilizers are made of granulated slag and crushed product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규산질 비료로서의 광재는, 조립한 것이 있어 기계산포되기 쉽기 때문에 상당히 보급되어 있지만, 비료로서의 효과에 관해서는, 문헌[일본토양비료학 69(6) P.576-581 및 일본토양비료학, 69(6) p. 612-617]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공질 규산칼슘 수화물인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slag as a siliceous fertilizer is widely spread because it is assembled and easily spreads, but the effect as a fertilizer can be found in Japanese Soil Fertilizer 69 (6) P.576-581 and Japanese Soil Fertilizer, 69 (6). p. 612-617, it is known that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hich is a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 is excellent.

다공질 규산칼슘 수화물인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규산질 비료로 사용하는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358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규산질 비료는, 그 70% 이상이 0.85∼8.0 ㎜ 범위의 입경을 갖고 있는 파쇄품이기 때문에, 조립품에 비하여 용기나 배관 등을 막기 쉽고, 또 조립품에 비하여 기계산포를 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품은, 출하시에 입경을 균일하게 하여도 운반 중에 이지러져 가루가 떨어지기 쉽고, 산포시에 눈에 들어가기 쉬우며, 또 손 등에 상처를 내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운반중에 이지러져 발생된 분말도 함께 시비하면, 뿌리의 통기성이 나빠 뿌리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도 있었다.A method of us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hich is a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 as a siliceous fertilize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93583. Since the siliceous fertilizer disclosed in this publication is a crushed product having a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0.85 to 8.0 mm, 70% or more of the siliceous fertilizer is easier to block containers and pipes than the assembly, and very difficult to spread mechanically compared to the assembly. Not only there was a problem, but also the crushed product was difficult to handle because it was easily dislodged during transportation even if the particle size was uniform at the time of shipment, and it was easy to get into the eyes at the time of dispersal, and to damage the hands and the like. . In addition, when fertilized with powder generated during transporta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bad breathability of the root badly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root.

조립한 규산질 비료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재가 공지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7288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08350호에 개시되어 있다.As granulated siliceous fertilizers, slag is known as described above, and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172883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208350.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72883호에는, 수계 전분에 알칼리를 첨가한 후에 약 100℃에서 호화된 결합제를 사용하여 광재 규산질 비료 등을 조립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극율 50% 이상의 다공질 규산질 재료를 사용하여 이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조립하면, 결합제는 다공질 규산질 재료에 함침되어 버려 결합제의 효과가 없어지므로, 4 중량% 를 초과하는 양의 결합제가 필요하게 된다.JP-A-2-172883 discloses an example in which slag siliceous fertilizer and the like are assembled using a binder obtained by adding an alkali to an aqueous starch and then luxury at about 100 ° C. However, when granul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of this publication using a porous siliceous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or mo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is impregnated into the porous siliceous material and the effect of the binder is lost. Excessive amount of binder is required.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08350호에는, 조개껍질 분쇄물을 5 중량% 이상 규산질 비료에 혼합하여 조립한 비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 중에 규산질 비료로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기재는 있지만, 실시예로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에서는 광재 규산질 비료를 리그닌술폰산소다 5 중량%와 함께 사용하여 조립을 실시하고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Hei 9-208350 discloses a fertilizer obtained by mixing clamshell pulverized products by mixing at least 5% by weight of siliceous fertilizer. Although this publication discloses that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an be used as the siliceous fertilizer, it is not described in the examples. In the examples, granulation is carried out using slag siliceous fertilizer together with 5% by weight of soda lignin sulfonate.

벼과 식물을 육성하는데 있어서는, 묘의 단계에서 규산이 부족하면 줄기의 강도가 약하여, 묘의 발육상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이앙기로 묘를 튼튼하게 심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육묘단계에서의 규산질 비료의 시비효과는 큰 것으로, 육묘단계에서 시비할 수 있는 규산질 비료가 요망되고 있다. 규산질 비료는, 알칼리성이 강하기 때문에 그 상태로는 육묘단계에서 시비할 수 없다. 이것을 중화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366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370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3666호에서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의 다공질 규산칼슘 수화물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를, 황산 및/또는 인산으로 처리하여 중화하고, 규산질 비료로서 뿐만 아니라 보존재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37074호는,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다공질 규산칼슘 수화물의 파쇄품을 시비하는 수도육묘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방법은, 중화를 하기 때문에 육묘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육묘에서 사용하는 경우, 육묘에서의 배토와 혼합하여 시비하기 때문에, 파쇄상 규산질 비료가 직접 뿌리에 닿아, 뿌리의 발육이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뿌리가 드러나거나 종자 노출의 비율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파쇄상의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In growing rice and plants, when silicic acid is insufficient at the stage of seedl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of the stem is weak, which is not good for the growth of the seedling, and it is difficult to plant the seedling with a rice transplanter. Therefore, the fertilizing effect of siliceous fertilizer at the seedling stage is great, and siliceous fertilizer which can be fertilized at the seedling stage is desired. Since siliceous fertilizers have strong alkalinity, they cannot be fertilized at the seedling stage in that state. The method of neutralizing this and using it i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273666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137074.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10-273666, siliceous materials containing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 such a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re treated with sulfuric acid and / or phosphoric acid to neutralize them, and are used not only as siliceous fertilizers but also as preservative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137074 also discloses a rice seedling method for fertilizing a pulverized product of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 whose pH is adjusted to 3.5 to 8.0. These methods are considered to be usable at the seedling stage because of their neutralization. However, when used in seedlings, they are mixed and fertilized with soil from seedlings. Therefore,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directly touches the roots, resulting in insufficient root development. In addition, the roots were exposed or the rate of seed exposure was increased. Moreover, since it was a crushed shape, there existed the same problem as the above.

본 발명은, 다공질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기계산포가 가능하고, 또한 취급하기 쉽고, 게다가 벼과 식물 등의 식물재배 토양용 비료로서의 효과도 우수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벼과 식물의 육묘비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단재 또는 사용완료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의 규산질재를 규산질 비료의 원료로서 재이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저렴한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is mechanically spreadable and easy to handle using porous siliceous fertilizer, and also excellent in effect as a fertilizer for plant-cultivated soil such as rice plants. 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can be used as a seedling fertilizer of a rice plant.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expensive siliceous fertilizer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by reusing a siliceous material such a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utting material or us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s a raw material of siliceous fertilizer.

본 발명자들은, 예의연구를 실행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의 다공질 규산질 원료로 이루어지는 분말원료를, 결합제로서 소량의 유기질 폴리머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earnest research and discovered that the powder raw material which consists of porous siliceous raw materials, such a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an be assembled using a small amount of organic polymer as a binder, and came to complete this invention.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공극율이 50∼90% 인 규산질 원료를 함유하는 분말원료에, 유기질 폴리머를 결합제로서 첨가하고 조립하여 얻어지는 비료로서, 이 결합제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이고, 입자 경도가 2∼5㎏ 인 상기 입상 규산질 비료,(1) A fertilizer obtained by adding an organic polymer as a binder and assembling to a powder raw material containing a siliceous raw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wherein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0.1 wt% or more and 3 wt% or less, and the particle hardness is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is 2-5 kg,

(2) (1) 에 있어서, 규산질 원료가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인 입상 규산질 비료,(2)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1), wherein the siliceous raw material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3) (1) 에 있어서, 규산질 원료가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를 산으로 중화하고,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것인 입상 규산질 비료,(3)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1), wherein the siliceous raw material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by neutralizing with an acid and adjusting the pH to 3.5 to 8.0,

(4) (1), (2) 또는 (3) 에 있어서, 분말원료가 규산질 원료 100 중량% 인 입상 규산질 비료,(4)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1), (2) or (3), wherein the powder raw material is 100% by weight of siliceous raw material;

(5) (1), (2) 또는 (3) 에 있어서, 분말원료가 규산질 원료를 4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 함유하는 분말원료인 입상 규산질 비료,(5)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1), (2) or (3), wherein the powder raw material is a powder raw material containing 40%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00% by weight of the siliceous raw material,

(6) (5) 에 있어서, 분말원료가 규산질 원료와 배토를 함유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6)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5), wherein the powder raw material contains a siliceous raw material and clay;

(7) (1) ∼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분말원료가 그물코 크기 250 ㎛ 인 체를 통과하는 입자를 70∼100 중량% 함유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7)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powder raw material contains 70 to 100% by weight of particles passing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μm,

(8) (1) ∼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기질 폴리머가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인 입상 규산질 비료.(8)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organic polymer is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or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9) (1) ∼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체 입경이 1∼20 ㎜ 인 입상 규산질 비료,(9)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grain size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1 to 20 mm,

(10) (1) ∼ (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에 추가로 배토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10) A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formed by coating clay with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11) 분말원료에 이 분말원료의 10∼50 중량% 양의 액체를 산포하여 함침시킨 후, 유기질 폴리머용액 또는 분산액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1)∼(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제조방법,(11) Any of (1) to (9) comprising granulating by impregnating powder raw material with 10-50% by weight of the powder raw material and then impregnating with adding and stirring an organic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description,

(12) (1)∼(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재배 토양용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의 재배방법,(12) A method for cultivating a plant comprising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as a fertilizer for cultivation soil,

(13) (1)∼(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 재배 토양용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벼의 재배방법.(13) A method of cultivating rice comprising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as a fertilizer for rice cultivation soil.

(14) (3) 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육묘재배용 토양용 비료로 사용하는 벼의 재배방법,(14) A method of cultivating rice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escribed in (3) as a fertilizer for rice seedling cultivation,

(15) (11) 에 기재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육묘 재배용 상토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벼의 재배방법.(15) A method of cultivating rice, comprising using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11) as a top soil for rice seedling cultiva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는, 공극율이 50∼90% 인 규산질 원료를 함유하는 분말원료에 유기질 폴리머를 결합제로서 첨가하고 조립하여 입상으로 한 규산질 비료로, 공극율 50∼90% 인 다공질의 규산질 원료를 소량의 유기질 폴리머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수득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by adding and granulating an organic polymer as a binder to a powder raw material containing a siliceous raw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and granulating the porous siliceous raw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obtained by granulation using a small amount of organic polymer.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공극율은 수은압입법에 의해 구한 공극율이다. 충분히 건조시킨 샘플을 사용하여 수은압입법으로 세공분포를 측정하고, 세공직경 0.006 ㎛ 내지 100 ㎛ 의 공극직경에 상당하는 샘플 1 g 당 공극체적을 공극체적 (F) 으로 한다. 한편 진밀도를 측정하고, 진밀도로부터 샘플 1 g 당의 샘플 고형분 체적을 구하여 고형분체적 (G) 로 하고, 하기 수학식 1 로 공극율을 구한다.The porosity in this invention is the porosity calculated | required by the mercury porosimetry. The pore distribution is measured by mercury intrusion using a sufficiently dried sample, and the pore volume per g of the sample corresponding to the pore diameter of the pore diameter of 0.006 µm to 100 µm is defined as the void volume (F). On the other hand, true density is measured, the sample solid content volume per 1 g of samples is calculated | required from true density, it is set as solid volume volume (G), and porosity is calculated | required by following formula (1).

공극율 (%) = 공극체적 (F)÷(공극체적 (F)+고형분체적(G))×100Porosity (%) = pore volume (F) ÷ (pore volume (F) + solid volume (G)) × 100

여기에서 말하는 진밀도란 수은압입법에 의한 진밀도로, 샘플중량 및 수은압력 207 PMa 에서의 샘플용적으로부터 구한 밀도이다.The true density referred to here is the true density obtained by the mercury porosimetry and is a density obtained from the sample weight at the sample weight and the mercury pressure of 207 PMa.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은, 50∼90%, 바람직하게는 55∼85%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80% 이다. 규산질 원료는, 비료가 되는 규산 성분을 식물에 공급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수분이 규산질원료에 함침되어 규산을 용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물이 함침되기 쉽도록 공극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극율이 너무 높으면 비료가 되는 규산 성분이 적어져, 비료로서도 효과가 적어진다. 이 양자의 균형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범위의 공극율이 바람직하고, 공극율 60∼80% 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porosity of the siliceous raw material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50 to 90%, preferably 55 to 85%, particularly preferably 60 to 80%. Since a siliceous raw material has an effect of supplying a plant with a silicic acid component which is a fertilizer, moisture must be impregnated into the siliceous raw material to elute the silicic acid. Therefore, 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porosity is high so that water may be easily impregnated, when porosity is too high, the silicic acid component used as a fertilizer will become small, and also an effect as a fertilizer will become small. The porosity of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from these balance of both, and 60-80% of porosity is especially preferable.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규산질 원료는, 염산/수산화나트륨 용해법에 의해 측정한 가용성 규산 함유량이 5∼4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20∼40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용성 규산 함유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규산질 비료로서의 효과가 높아 규산질 비료로서 우수하다. 규산질 원료로서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있어서, 가용성 규산 함유량을 40 중량%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매우 오랜 동안 오토클레이브 증기양생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상의 문제가 있어, 가용성 규산 함유량이 5∼4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d by the hydrochloric acid / sodium hydroxide dissolution method is 5-40 weight%, 10-40 weight% is more preferable, and 20-40 weight% of the siliceous raw material mentioned in this invention is especially preferable. Do. The mor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the higher the effect as a siliceous fertilizer is excellent as a siliceous fertilizer. In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ed industrially as siliceous raw material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ent of soluble silicic acid above 40% by weight, autoclave steam curing is required for a very long time, resulting in production problems, and the content of soluble silicic acid is 5 to 40% by weight. Is preferably%.

염산/수산화나트륨 용해법으로 가용성 규산 함유량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By hydrochloric acid / sodium hydroxide dissolution metho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is measured as follows.

(1) 분쇄 후, 체로 입경을 0.1∼0.5 ㎜ 로 조정한 샘플 1 g 을 20℃ 의 0.5 규정 염산 수용액 200 ㎖ 에 넣어 8시간 교반한 후, 구멍직경 1 ㎛ 의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한다.(1) After grinding, 1 g of a sample having a particle size of 0.1 to 0.5 mm was sieved into 200 ml of a 20 ° C 0.5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for 8 hours, followed by filtration with a membran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1 m.

(2) 수득된 염산여과액 중의 규소 농도를 ICP 발광분석법으로 구하고, 규소가 규산유래인 것으로 하여, 염산여과액 중의 규산량 (A) 을 그램단위로 구한다.(2) The concentration of silicon in the hydrochloric acid filtrate obtained is determined by ICP emission spectrometry, and the amount of silicic acid (A) in the hydrochloric acid filtrate is determined in grams, assuming that silicon is silicic acid-derived.

(3) 0.5 규정 염산으로 용해되지 않은 여과 잔사를 0.5 규정 수산화나트륨수용액 200 ㎖ 에 넣어 8시간 교반한 후, 구멍직경 1 ㎛ 의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한다.(3) The filtered residue which was not dissolved in 0.5 N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200 mL of 0.5 N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for 8 hours, followed by filtration with a membran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1 μm.

(4) 수득된 수산화나트륨 여과액 중의 규소 농도를 ICP 발광분석법으로 구하고, 규소가 규산유래인 것으로 하여, 수산화나트륨 여과액 중의 규산량 (B) 을 그램단위로 구한다.(4) The concentration of silicon in the obtained sodium hydroxide filtrate is determined by ICP emission spectrometry, and silicon is derived from silicate, and the amount of silicic acid (B) in sodium hydroxide filtrate is calculated in grams.

(5) 가용성 규산 함유량을 하기 수학식 2 로 구한다.(5)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is calculated | required by following formula (2).

가용성 규산 함유량(중량%) = (규산량(A)+규산량(B)÷1×100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 (Silic acid amount (A) + silicic acid amount (B) ÷ 1 x 100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원료로서는, 규산질 원료 그 자체를 사용하여도 되고, 규산질 원료에 배토 또는 다른 비료성분 등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분말원료에서의 규산질 원료의 비율은, 규산질 원료의 비율이 적을수록, 규산질 비료로서의 효과가 적어지는 점에서 40∼100 중량% 가 바람직하고, 50∼10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규산질 원료 100 중량% 인 입상 규산질 비료는, 다공질인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 또는 그 규산질재를 중화시킨 것을 그대로 분쇄하여 분말원료로서 조립한 입상 규산질 비료로, 비료 효과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As a powder raw material used by this invention, the siliceous raw material itself may be used, and the thing which added clay or another fertilizer component etc. to the siliceous raw material may be used. As for the ratio of the siliceous raw material in a powder raw material, 40-100 weight% is preferable and 50-100 weight% is more preferable from the point that there is little effect as a siliceous fertilizer, so that the ratio of a siliceous raw material is small.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ith 100% by weight of siliceous raw material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 or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is pulverized as it is and granulated as a powder raw material, which is neutralized. .

본 발명에서 결합제로서 사용하는 유기질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산소 및 수소원소의 합계 함유량이 70∼100 중량% 유기질로 이루어지는 폴리머로, 중량분자량이 100∼10000000 인 것을 말한다. 중량분자량이 100 보다 작은 경우에는, 결합제로서 규산질 원료 입자와 결합시켜 입상으로 하는 효과가 적고, 또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0 보다 큰 것은 점도가 너무 높아 조립에 있어서 분무하기 어렵다.The organic polymer used as the bind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polymer composed of 70 to 100% by weight of organic material with a total content of carbon, oxygen and hydrogen elements, and means that the molecular weight is 100 to 10000000. When the weight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00, the effect of granulating the silicate raw material particles as a binder to form granules,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ore than 10000000 is too high for spraying during granulation.

이 유기질 폴리머로서, 예컨대 젤라틴, 당밀, 폴리비닐알코올, 리그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 리그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가 바람직하고,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organic polymer include gelatin, molasses, polyvinyl alcohol, lignin, carboxymethyl cellulos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and the like. Among them, polyvinyl alcohol, lignin, carboxymethyl cellulose, aqueous An acrylic emulsion resin and a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are preferable, and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and a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are more preferable.

결합제인 유기질 폴리머로서,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를 사용한 경우는, 흡습성이 없고, 보존기간중에 시간이 경과해도 입자 경도가 저하되지 않아, 안정된 물성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장기에 걸쳐 제공할 수 있다. 입상 규산질 비료는, 뿌리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비한 후, 며칠동안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를 사용하여 조립한 입상 규산질 비료는, 결합제로서 분무할 때에는 에멀젼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으로 분무할 수 있지만, 조립하여 비료로 된 경우에는 물에 용해되기 어렵고, 적당한 수중 형상 유지성을 갖는다. 이 비료의 수중 형상 유지성은, 예컨대 벼의 무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고, 물에 의해 빨리 입상형상이 붕괴되어 분체화되므로 비료 효과를 높여도 상관없다. 그러나, 벼육묘 등의 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자에서 싹이 나와 며칠은 종자에 성장양분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비료성분이 용출되지 않는 것이 발아 또는 초기 성장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당한 수중 형상 유지성을 갖지 않고, 시비후 바로 입자가 분체화되어 비료성분이 용출되면, 오히려 묘의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이 수중 형상 유지성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5∼20일 정도가 바람직하고, 7∼14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합제로서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를 사용하여 조립한 입상 규산질 비료는, 상기 범위로 수중 형상 유지성을 조정할 수 있다.As an organic polymer which is a binder, when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and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are used, there is no hygroscopicity, and the particle hardness does not decrease even if time passes during the storage period, and stabl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stable physical proper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provide.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preferably kept in shape for several days after being fertilized to ensure breathability of the root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granulated using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and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can be sprayed in a liquid phase because they are an emulsion when sprayed as a binder, but when granulated and fertilized, they are difficult to dissolve in water. And moderate shape retention in water. Underwater shape retention of this fertilizer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for example, when used in rice munon, and the fertilizer effect may be increased because the granular shape is rapidly broken down and powdered by water. However, when used for seedlings such as rice seedlings, sprouts may emerge from the seeds, and growth nutrients may be accumulated in the seeds for several days, and it is preferable for germination or early growth that no fertilizer components are eluted. Therefore, if the particles do not have a suitable shape retention in water, and the fertilizer component is eluted immediately after fertilization, growth of seedlings is rather inhibited. Although this shape reten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plant, about 5-20 days are preferable normally, and 7-14 days are especially preferable.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granulated using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and a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as a binder can adjust the shape retention in water in the said range.

그러나 젤라틴, 당밀 등을 사용한 경우는 수용성이 높아, 시비한 후, 며칠동안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젤라틴, 당밀, 폴리비닐알코올은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입상 비료로 한 경우, 보존기간 중에 시간이 갈수록 입자 경도가 저하된다. 흡습성은, 유기 폴리머로서 리그닌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면 약간 감소된다.However, when gelatin, molasses or the like is use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for several days after fertilization. In addition, since gelatin, molasses, and polyvinyl alcohol have hygroscopic properties, when used as a granular fertilizer, the particle hardness decreases with time during the storage period. Hygroscopicity is slightly reduced by using lignin or carboxymethylcellulose as the organic polymer.

유기질 폴리머를 첨가하는 비율은, 유기질 폴리머 고형분으로서의 함유량이, 건조한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0.1∼3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3∼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8∼1.5 중량% 이다. 유기 폴리머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재배토에 남지 않아 환경상 바람직하지만, 0.1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입자 경도가 작아져, 운반중에 이지러지거나 가루날림 등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또 기계산포를 곤란하게 한다. 또 유기 폴리머의 첨가함유량이 3 중량% 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입자 경도가 높아져, 자발적으로 분해되기 어려운 유기 폴리머의 비율이 커지므로, 환경상 바람직하지 않다. 시비시에 요구되는 형상 유지성 또는 육묘 등의 용도에 의해, 상기 범위내에서 적절히 정하면 된다.The ratio of adding the organic polymer is 0.1 to 3% by weight, preferably 0.3 to 2%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2%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as the organic polymer solid content, relative to the dry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0.8 to 1.5% by weight. The smaller the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is, the better it is in the environment as it does not remain in the cultivated soil. However, when the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is less than 0.1 wt%, the particle hardness becomes smaller, which is liable to occur during transportation, dusting, etc., and makes mechanical dispersion difficult. Moreover, when the addition content of an organic polymer exceeds 3 weight%, since particle hardness becomes high more than necessary and the ratio of the organic polymer which is hard to decompose spontaneously becomes large, it is not environmentally preferab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termine suitably within the said range according to uses, such as shape retention or seedling required at the time of fertilization.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입자 경도란, 기야식 (木屋式) 경도계 ((주)후지와라세이사쿠쇼, 실용신안등록 제174886호) 로 측정한 입자 경도로, 임의의 20 입자를 측정한 평균값을 ㎏ 단위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입자 경도가 2∼5 ㎏ 인 것이 필요하고, 2∼4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경도가 2 ㎏ 미만이면 운반에 의한 붕괴하거나 취급 중에 이지러질 우려가 있다. 또 5 ㎏ 보다 크게 할 필요성은 없으며, 결합제량을 증대시켜 필요 이상으로 입자 경도를 크게 하면, 오히려 전술한 바와 같은 폐해를 크게 하게 된다.The particle hardnes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cle hardness measured by a galvanic hardness tester (Fujiwara Seisakusho,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4886), and the average value of any 20 particles measured in kg units. Say what you have shown. In this invention, it is necessary for particle hardness to be 2-5 kg,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4 kg. If the particle hardness is less than 2 kg, there is a fear of disintegration due to transportation or dislocation during handling.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make it larger than 5 kg, and when the amount of binder is increased to make the particle hardness larger than necessary, the above-mentioned adverse effects are increased.

본 발명에서, 공극율이 50∼90% 인 규산질 원료로서,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가 사용된다. 이 규산질재는, 물 및 규석과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포트랜트 시멘트 등의 칼슘산화물 성분과의 혼합물을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이다. 여기에서 수열합성이란, 오토클레이브 증기양생을 말하고, 수증기온도 140∼230℃ 의 분위기에서 적어도 1∼30 시간 양생하는 것을 말한다.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로서는, 터보모라이트, 조노토라이트, 쟈이로라이트, 히레브란라이트 등의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iliceous raw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is used. This siliceous material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of a mixture of water and silica and calcium oxide components such as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and port cement. Here, hydrothermal synthesis refers to autoclave steam curing and means curing at least for 1 to 30 hours in an atmosphere having a steam temperature of 140 to 230 ° C. Examples of the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include those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such as turbomorite, zonoolite, gyrolite, and hydrbranite.

본 발명에서,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한다는 것은, 분말 X선 회절분석으로 터보모라이트, 조노토라이트, 쟈이로라이트, 히레브란라이트 중의 어느 하나에 상당하는 결정의 주피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means that the main peak of crystal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urbomorite, zonoolite, gyrolite, and hydrbranite by powder X-ray diffraction analysis. Means that you can check.

분말 X선 회절분석에서의 규산칼슘 수화결정의 주피크는, 각각 터보모라이트가 약 11Å, 조노토라이트가 약 3.7Å, 쟈이로라이트가 약 22Å, 히레브란라이트가 약 4.7Å 의 위치에 나타난다.In the powder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main peaks of the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were about 11 kW, turbo lite, about 3.7 kW, gyrolite about 22 kW, and hyrebranlite about 4.7 kW. appear.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로서는, 예컨대 JIS A5416 에 규격되어 있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가용성의 실리카 성분이 많고, 또한 공극율이 높기 때문에 침투하여 규산을 용출시키기 쉬운 점에서 규산 비료로서의 효과가 높아,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the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rescribed | regulated to JIS A5416 is mentioned, for example. Since the said light weight foam concrete has many soluble silica components, and high porosity, it is easy to penetrate and elute silicic acid, and since it is a high effect as a silicic acid fertilizer, it is especially used preferably by this invention.

또 본 발명에서, 공극율이 50∼90% 인 규산질 원료로서,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를 산으로 중화시키고,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규산질재도 사용할 수 있다. 산으로 중화하여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규산질재란,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알칼리성의 규산질재를 산으로 중화하여 산성∼약알칼리성으로 만든 규산질재로, pH 를 4.0∼6.5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H 4.5∼5.5 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liceous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is neutralized with an acid and the pH is adjusted to 3.5 to 8.0. A siliceous material which is neutralized with an acid and adjusted to pH 3.5 to 8.0 is a siliceous material which is made to be acidic to weakly alkaline by neutralizing an alkaline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with an aci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o -6.5,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adjust to pH 4.5-5.5.

본 발명에서 말하는 pH 란, 규산질재, 입상 규산질 비료 또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 10 중량부를 증류수 50 중량부에 침지하여 형상이 부서지지 않을 정도로 교반하고, 3 일 경과후, 20℃ 에서 측정한 액상부의 pH 를 말한다.The pH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pH of the liquid phase measured at 20 ° C. after 3 days of stirring, so that 10 parts by weight of siliceous material,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re immersed in 5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not broken. Say.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를 중화하는 산으로는, 염산, 질산, 황산, 인산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황산 및 인산이 바람직하고, 황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화되지 않은 규산질재에 함유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의 알칼리성분은 칼슘이기 때문에, 염산이나 질산 등의 산으로 중화하면 가용성 염이 생겨, 규산질비료의 수용성 염 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규산질재를 황산 또는 인산으로 중화하면, 물에 불용성인 황산칼슘 또는 인산칼슘이 되므로, 수용성 염농도 증가의 문제가 적지만, 인산으로 중화한 경우에는, 벼묘에 인 장해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황산으로 중화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cid that neutralizes the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include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Among the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are preferable, and sulfuric acid is particularly preferable. Since the alkali component of the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contained in the non-neutralized siliceous material is calcium, neutralization with an acid such as hydrochloric acid or nitric acid causes soluble salts to increase the water-soluble salt concentration of the siliceous fertilizer. If the siliceous material is neutralized with sulfuric acid or phosphoric acid, it becomes calcium insoluble or calcium phosphate insoluble in water, so there is little problem of increasing the water-soluble salt concentration, but if neutralized with phosphoric acid, it may cause damage to rice seedlings. Neutralization is particularly preferred.

규산질재를 중화하는 산의 양은, 규산질재의 pH 를 3.5∼8.0, 바람직하게는 pH 4.0∼6.5,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4.5∼5.5 로 조정할 수 있는 양이면 된다. 예컨대 규산질재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이면, 건조 경량 기포 콘크리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규정 황산 40∼80 중량부에 상당하는 황산의 양이 적당하다.The amount of acid neutralizing the siliceous material may be any amount that can adjust the pH of the siliceous material to 3.5 to 8.0, preferably pH 4.0 to 6.5, and more preferably pH 4.5 to 5.5. For example, when the siliceous material i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n amount of sulfuric acid corresponding to 40 to 80 parts by weight of 12 prescribed sulfuric acid is suitable for 100 parts by weight of dry lightweight foamed concrete.

벼육묘의 재배에 사용하는 경우, 입상 규산질 비료의 pH 는 3.5∼8.0 이 바람직하고, pH 4.0∼6.5 가 보다 바람직하고, pH 4.5∼5.5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pH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얻기 위해서는, 상당하는 pH 의 규산질재를 사용하여 조립하면 된다. 벼육묘 시험에 있어서, pH 5 부근이 벼묘의 성장에 특히 좋고, pH 가 5 에서 멀어짐에 따라 성장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When used for cultivation of rice seedlings, the pH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preferably 3.5 to 8.0, more preferably pH 4.0 to 6.5, and still more preferably pH 4.5 to 5.5.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granulate using the siliceous material of equivalent pH in order to obtain such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pH. In the rice seedling test, the vicinity of pH 5 is particularly good for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and as the pH moves away from 5, the growth tends to be poor.

산으로 중화되지 않은,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를 분말원료로서 만든 입상 규산질 비료의 pH 는 10∼11 이다. 이와 같은 pH 를 갖는 비료에서도, 무논 또는 그 외의 식물의 밭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벼육묘의 재배 토양용으로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면, 벼육묘에서 벼묘의 성장이 좋고, 규산질 비료의 효과가 있다. pH 가 10∼11 인 입상규산질 비료를 벼육묘에 사용하면, 뿌리가 드러나고 뉘가 매우 많이 발생하기 쉬워 벼육묘는 곤란해진다.The pH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ade the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not neutralized with acid as a powder raw material is 10-11. Even in the fertilizer having such a pH, it can be used for fields of munon or other plants. The use of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ose pH is adjusted to 3.5 to 8.0 for cultivation of rice seedlings increases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in rice seedlings and has the effect of siliceous fertilizer. When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having a pH of 10 to 11 are used for rice seedlings, the roots are exposed and susceptibility is very likely to occur, making rice seedlings difficult.

본 발명에서 규산질 원료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배토, 규산 이외의 비료, 배토용토, 부엽토, 살균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혼합하여 분말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배토를 혼합한 조립 규산질 비료는 벼육묘에 있어서 배토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토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벼육묘에 사용하는 경우는, 규산질 원료로서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질 원료를 산으로 중화하고, pH 를 조정한 규산질재를 사용한다.As what can be mixed and used for a siliceous raw material in this invention, the soil, fertilizers other than silicic acid, the soil for clay, the side leaf soil, a fungicide,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mixed and used as a powder raw material. Especially, the granulated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e clay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independently as a top soil, without using a clay etc. in rice seedlings. When used for rice seedlings, a siliceous material obtained by neutralizing the siliceous raw material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with an acid and adjusting the pH as a siliceous raw material is used.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배토란 식물을 재배하는 흙을 말하고, 시판되는 수도육묘배토, 산토, 밭토양 등을 들 수 있다. 산토, 밭토양을 배토로 하는 경우는, 적절히 토양소독을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토의 입경은, 조립을 실행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물코 크기 250 ㎛ 인 체를 통과하는 정도의 미세한 입경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il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soil for cultivating plants, commercially available seedling nursery soil, mountain soil, field soil and the like. In the case of hilly soil or topland soil, it is preferable that soil sterilization is appropriately performed.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 degree of granulation, but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clay to a degree that passes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μm.

본 발명의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배토의 비율은, 분말원료에 대하여 6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벼육묘에서 배토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토로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30∼55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40∼5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배토를 많이 넣으면 넣을수록, 비료로서 규산을 벼과 식물에 공급하는 효과가 적어지는 점에서, 배토는 6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배토를 40∼50 중량% 함유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육묘 시험의 상토에 그대로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다. 이어서 배토 30 중량% 및 55 중량% 를 함유하는 경우의 성장이 양호하였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topsoil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e topsoil of this invention is 60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a powder raw material, and when used alone as topsoil, without using clay in rice seedlings, it is 30-55. Weight% is more preferable, 40-50 weight% is the most preferable. The more the clay is added, the less the effect of supplying silicic acid to the rice plant as a fertilizer. Therefore, the clay is preferably 60% by weight or less. When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containing 40-50% by weight of clay is used alone as it is in the top soil of the rice seedling test,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is good. The growth was then good when it contained 30% by weight and 55% by weight of clay.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원료의 입경은, 조립을 실행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고, 사용하는 조립장치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미세하면 미세할수록 조립이 용이하지만, 시비한 조립비료가 시간이 지나 붕괴되었을 때, 너무 미세하면 통기성이 나빠져, 뿌리의 성장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하는 미립자의 분말원료를 70∼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하지 않는 큰 규산질재 입자를 많이 함유하면, 조립에 있어서 입상을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가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분말원료로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하는 미립자가 7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owder raw material used by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a grade which can perform granulation, and changes with the kind and size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to be used. Generally, the finer the finer, the easier it is to assemble, but when the fertilized fertilizer disintegrates over time, too fine, the air permeability worsens and the growth of roots may be impaired. It is preferable to contain 70-100 weight% of powdery raw materials, It is more preferable to contain 80-100 weight%,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contain 100 weigh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large siliceous particles that do not pass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μm makes it difficult to form granules in granulation and greatly reduces the particle hardness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icroparticles which pass through a sieve are 70 weight% or more.

또 상기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다시 배토로 피복하여 얻어지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는, 뿌리의 성장에 특히 우수한 규산질 비료이다. 본 발명의 배토를 피복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는, 벼육묘에서 배토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토로써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규산질 원료로서는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질 원료를 중화하여 pH 를 조정한 규산질재를 사용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는 벼육묘용의 상토로서 바람직하다.Moreover,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by coat | covering sai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gain with a clay is siliceous fertilizer which is especially excellent in root growth.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coated with the 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used alone as top soil without using clay or the like in rice seedlings. Especially as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using the siliceous material which neutralized the siliceous raw material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and adjusted pH is preferable as a top soil for rice seedlings.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피복에 사용하는 배토의 비율은,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30∼60 중량% 가 바람직하고, 40∼5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피복하는 배토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비료로서 규산을 벼과 식물에 공급하는 효과가 적어지기 때문에, 배토는 6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배토를 40∼50 중량% 함유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육묘 시험의 상토에 그대로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벼묘의 성장이 좋았다.30-60 weight%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a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as for the ratio of the clay used for the coating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is invention, 40-50 weight% is more preferable. The greater the amount of covered clay, the less the effect of supplying silicic acid as a fertilizer to rice plants. Thus, 60% by weight or less of the clay is preferable. Moreover,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containing 40-50 weight% of clay was used alone as it was for the top soil of a rice seedling test, the growth of rice seedling was good.

배토를 입상 규산질 비료에 피복할 때에 사용하는 결합제로서는, 전술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기질 폴리머를 동일한 이유에서 결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젤라틴, 당밀, 폴리비닐알코올, 리그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 리그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이다. 유기질 폴리머를 첨가하는 비율은, 입상 규산질 비료와 동일한 이유에서,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이 건조시킨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0.1∼3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3∼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8∼1.5 중량% 이다.As the binder to be used for covering the clay with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the organic polymer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the binder for the same reason. For example, gelatin, molasses, polyvinyl alcohol, lignin, carboxymethyl cellulos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and the like, preferably polyvinyl alcohol, lignin, carboxymethyl cellulos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It is a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More preferably, it is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and a styrene 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The ratio of adding the organic polymer is 0.1 to 3% by weight, preferably 0.3 to 2%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which the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is dried for the same reason as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t is -2 weight%, Especially preferably, it is 0.8-1.5 weight%.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의 제조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next.

본 발명에서 조립이란, 분말원료를 팬조립기, 압출식 조립기, 교반조립기, 역류식 강력 믹서 등의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유기 폴리머를 용제로 희석한 용액 또는 슬러리를 분무하면서 실행하는 조립을 말한다. 본 발명과 같이, 적은 결합제의 양으로 입자 경도가 2∼5㎏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립장치 중에서도, 역류식 강력 믹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tion refers to granulation performed by spraying a powder or a raw material diluted with a solvent or a slurry using an assembling apparatus such as a pan granulator, an extrusion granulator, a stirring granulator, or a countercurrent powerful mix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btain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particle hardness of 2 to 5 kg in a small amount of the binder, it is preferable to use a counterflow type powerful mixer among the granulation apparatuses.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원료는 다공질의 규산질 원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조립할 때 결합제가 다공질 중으로 들어가, 결합제의 소비량이 많아질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조립시에 물 등의 용제를 분무하여 분말원료의 공극을 물 등의 액체로 채운 후, 결합제인 유기 폴리머를 용제로 희석한 용액 또는 슬러리를 분무하여 조립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합제를 첨가하기 전에, 분말원료의 공극을 물 등의 액체로 채우기 위해서는, 분말원료를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천천히 물 등의 액체를 스프레이 분무하면 된다. 또 분말원료의 공극을 물 등의 액체로 채울 때의 액체의 양은, 분말원료의 공극율에 따라 다르지만,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규산질 원료로 한 분말원료에서는, 건조 분말원료에 대한 물 등의 액체의 양은, 10∼50 중량% 가 바람직하고, 20∼40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액체의 양이 적으면, 경도를 수득하기 위한 결합제의 양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또 이 액체의 양이 많으면, 조립수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10∼50 중량% 가 바람직하다.Since the powder raw material used in this invention contains a porous siliceous raw material,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binder may enter into a porous state at the time of granulation, and the consumption of a binder may increase. In order to avoid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ation is performed by spraying a solvent such as water at the time of granulation to fill the voids of the powder raw material with a liquid such as water, and then spraying the solution or slurry in which the organic polymer as the binder is diluted with the solvent to perform the granulation. need. In order to fill the space | gap of a powder raw material with liquids, such as water, before adding a binder, you may spray-spray liquids, such as water, slowly, stirring a powder raw material with a stirrer. Although the amount of liquid when filling the voids of the powder raw material with liquid such as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porosity of the powder raw material, the amount of liquid such as water with respect to the dry powder raw material is determined by the powder raw material using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as the siliceous raw material. 10-50 weight% is preferable and 20-40 weight% is especially preferable. If the amount of this liquid is small, a large amount of binder for obtaining hardness is required. Moreover, when there is much quantity of this liquid, since granulation yield will fall, 10-50 weight% is preferable.

결합제인 유기 폴리머를 용제로 희석한 용액 또는 슬러리를 분무하여 조립할 때의 유기 폴리머 용액 또는 슬러리의 농도는, 유기 폴리머 고형분 농도로서, 0.5∼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이다. 유기 폴리머 슬러리의 용액 또는 농도는, 분무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지만, 유기 폴리머의 농도가 70 중량% 를 초과하면, 분무할 수 있는 분무기가 특수한 것이어야 되므로 범용적이 아니다. 또 유기 폴리머 용액 또는 슬러리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에서는, 매우 많은 슬러리를 분무할 필요가 있어 효율이 나쁘다.The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polymer solution or slurry when spraying the granulated solution or slurry of the organic polymer as a binder is 0.5 to 70% by weight, preferably 5 to 50%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red as the organic polymer solid content concentration. Preferably from 10 to 30% by weight. The solution or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polymer slurry may be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prayed, but if the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polymer exceeds 70% by weight, it is not universal because the sprayable atomizer must be special.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polymer solution or slurry is less than 0.5% by weight, it is necessary to spray a very large amount of slurry, resulting in poor efficiency.

또 이 조립은 실온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립을 하면서 온도를 올려 건조와 조립을 겸하는 조립장치에서는 0∼100℃ 범위에서 조립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온도가 100℃ 를 초과하면, 결합제인 유기 폴리머가 분해되어, 식물에 장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is granulation at room temperature, bu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granulation in the range of 0-100 degreeC in the granulation apparatus which raises a temperature and performs drying and granulation during granulation. When granulation temperature exceeds 100 degreeC, the organic polymer which is a binder may decompose | disassemble and may interfere with a plant.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는, 규산질 원료와 배토를 믹서로 균일하게 교반한 것을 분말원료로 하여, 입상 규산질 비료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e clay may b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by using a mixture of the siliceous raw material and the clay uniformly as a powder raw material.

또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교반조립기에 넣어, 먼저 입상 규산질 비료를 교반하면서, 그 표면에 결합제인 유기 폴리머를 용제로 희석한 용액 또는 슬러리를, 입상 규산질 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10 중량부 정도의 양으로 분무하여 표면전체를 적시고, 그 후 배토 분말을 조립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결합제인 유기질 폴리머 용액 또는 슬러리를 추가분무하여 조립을 실시한다.For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put into a stirring granulator, and the solution or slurry obtained by dilut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ith the solvent is dilut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t sprays in the quantity of about -10 weight part, wets the whole surface, and after that, it puts into a granulator powder and stirs, and granulates by further spraying the organic polymer solution or slurry which is a binder.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 및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는, 식물의 재배용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기 쉽고, 산포되기 쉬운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체의 입경은 1∼20 ㎜ 가 바람직하고, 1∼1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1∼6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체 입경이 20 ㎜ 보다 큰 경우에는, 통상의 기계산포에는 입경이 너무 커, 산포기가 막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적당하지 않다. 체의 입경이 10 ㎜ 보다 크고 20 ㎜ 이하인 경우는, 기계산포는 가능하지만, 상당히 큰 식물이 아니면 입경이 크기 때문에 뿌리에 흡수되기 어려우므로, 적응범위가 큰 식물에 한정된다. 체 입경 1∼10 ㎜ 에서는, 수요가 많은 벼무논 또는 벼육묘에 사용하는데 적합하지만, 특히 체 입경 1∼6 ㎜ 에서는, 벼묘의 성장이 우수하고, 또한 벼무논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효한 비료의 입경이다.Since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for cultivation of plants,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preferably of a size that is easily absorbed by the root of the plant and easily spreads. Therefore, the particle size of the sieve is preferably 1 to 20 mm, more preferably 1 to 10 mm, particularly preferably 1 to 6 mm. In the case where the body particle size is larger than 20 mm, the particle size is too large for normal mechanical dispersion, and the spreading machine may be blocked, which is not suitable. If the particle size of the sieve is larger than 10 mm and 20 mm or less, mechanical dispersion is possible, but it is difficult to be absorbed by the root because the particle diameter is large unless it is a very large plant, and therefore it is limited to plants having a large adaptation range. It is suitable for use in rice bran or rice seedlings with high demand at a sieve particle size of 1 to 10 mm, but especially at a sieve diameter of 1 to 6 mm, it is excellent for growing rice seedlings and can also be used for rice munone. It is a particle size.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 또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사용방법으로는,As a method of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 또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과를 포함하는 식물의 재배 토양에 산포하는 방법,(1) a method of disper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ltivated soil of plants including the family of rice plants;

(2)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 또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과를 포함하는 식물의 묘바닥으로 부설하여, 육묘 후에 묘 바닥마다 재배 토양에 심는 방법,(2) a method of lay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edlings of plants including the family of rice plants, and planting in the cultivated soil after each seedlings;

(3)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 또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무논의 한곳 또는 여러곳에 국소적으로 부설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3)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lly deposited in one or several places of the munon.

(1) 의 입상 규산질 비료 또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 (이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라고 함) 를 벼과를 포함하는 식물의 넓은 면적의 재배 토양에 산포하는 경우는, 규산질 비료의 pH 에 토양의 pH 가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는 pH 3∼11 의 넓은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요소 등의 암모니아계 질소비료와 동시기에 산포하는 경우에는, 알칼리성이 강하면 암모니아가 휘산되어 질소비료의 효과를 상실하기 때문에, pH 8 이하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은 재배 토양 1000 ㎡ 당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10∼1000 ㎏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300 ㎏ 시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이, 재배 토양 1000 ㎡ 당 10 ㎏ 보다 적은 경우에는, 규산질 비료의 효과가 적다. 또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이 재배 토양 1000 ㎡ 당 1000 ㎏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비료를 많이 시비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1) is dispersed in cultivated soil of a large area of a plant containing rice family, the pH of the soil is equal to the pH of the siliceous fertilizer. Since it is not influenced very much,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pH 3-11. However, in the case of dispersing at the same time as ammonia nitrogen fertilizers such as urea, it is preferable to us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having a pH of 8 or less because ammonia is volatilized and loses the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s when alkaline is strong. (Coating) It is preferable to fertilize 10-1000 kg of (coating)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is invention per 1000 m <2> of cultivated soil,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fertilize 50-300 kg of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e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10 kg per 1000 m 2 of cultivated soil, the effect of siliceous fertilizer is less. Moreover, when the fertilization amount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than 1000 kg per 1000 m 2 of cultivated soil, fertilizers are fertilized more than necessary, which is not preferable.

(2) 의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과를 포함하는 식물의 묘상으로 부설하는 경우에는, pH 3.5∼8.0 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가 바람직하고, pH 4.0∼6.5 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가 더욱 바람직하며, pH 4.5∼5.5 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벼육묘 시험에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pH 가 5 부근인 것이 벼묘의 성장이 특히 양호하고, pH 가 5 에서 멀어짐에 따라 성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벼과를 포함하는 식물의 묘상으로 부설하는 경우에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가 보다 바람직하고, 배토를 피복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입상 규산질 비료보다도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가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고,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보다 배토를 피복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가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다. 그 이유는, 배토가 뿌리에 닿는 것이 묘의 성장에는 좋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When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of (2) is laid on the seedbed of a plant containing aaceae, a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pH of 3.5 to 8.0 is preferable, and a (coated) having a pH of 4.0 to 6.5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are more preferred, and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having a pH of 4.5 to 5.5 are even more preferred. In the rice seedling test, the pH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around 5, and the growth of the rice seedlings was particularly good, and the growth tended to decrease as the pH moved away from 5. In addition, when laying in the seedling of a plant containing a family of rice plants, although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ay be used,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e clay was more preferable, and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coated the clay is more preferable.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is better i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e clay tha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the growth of the rice seedlings is better in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coated with the clay tha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e clay. The reason for this is presumably because it is good for the growth of the seedlings that the soil reaches the roots.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와 배토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것에, 질소, 인산, 칼리비료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병원균 또는 해충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묘상으로 하고, 그 묘상 위에 최아 볍씨를 뿌리고, 배토에서 복토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와 배토를 혼합하는 경우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 10∼1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비료가 10 중량부보다 적으면, 규산질 비료의 효과가 적다. 또 이 비료가 100 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뿌리의 발육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Nitrogen, phosphoric acid, and caliber fertilizer are added to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the 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ixed in an appropriate ratio, and pathogens or pest inhibitors are added to the seedlings as necessary, and the seedlings are sown on the seedling, There is a way to cover in. Although the mixing ratio in the case of mix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is invention and a clay is not specifically limited, 10-100 weight part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is invention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clay. If this fertilizer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siliceous fertilizer is less. Moreover, when this fertilizer is more than 100 weight part, root development may not be good.

(3) 의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무논의 한곳 또는 여러곳에 국소적으로 부설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무논의 취수구 부근에 본 발명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부설하는 양은, 무논 1000 ㎡ 당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10∼1000 ㎏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300 ㎏ 시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이 무논 1000 ㎡ 당 10 ㎏ 보다 적은 경우에는, 규산질 비료의 효과가 적다. 또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이 무논 1000 ㎡ 당 1000 ㎏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비료를 많이 시비하게 되어 그다지 적당하지 않다.In the case where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of (3) is locally deposited in one or several places of munon, it is preferable to lay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the intake opening of the munon. It is preferable to fertilize 10-1000 kg of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per 1000 m <2> of non-quantity, and, as for the quantity which lays down this (coating)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fertilize 50-300 kg. (Coating) When the fertilization amount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less than 10 kg per 1000 m 2 of non-non-silicate, the effect of siliceous fertilizer is less.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more than 1000 kg per 1000 m 2 of non-non-fertilizer, more fertilizers are fertilized than necessary, which is not very suitab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와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measuring method us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is as follows.

(1) 공극율 측정(1) porosity measurement

수은압입법에 의해 구한 공극률이다. 수은압입법으로 공극율을 구하는 방법은, 충분히 건조시킨 샘플을 수은압입법으로 세공분포를 측정하여, 세공직경 0.006 ㎛ 내지 100 ㎛ 의 공극직경에 상당하는 샘플 1 g 당 공극체적을 공극체적 (F) 으로 한다. 또 수은압입법으로 세공분포와 동시에, 진밀도를 측정하고, 진밀도로부터 샘플 1 g 당의 샘플 고형분 체적을 구하여 고형분 체적 (G) 로 하고, 하기 수학식 1 로 공극율을 구한다.Porosity determined by mercury porosimetry.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rosity by mercury porosimetry involves measuring pore distribution of a sufficiently dried sample by mercury porosimetry to determine the pore volume per 1 g of sample corresponding to a pore diameter of 0.006 μm to 100 μm. It is done. In addition, porosity distribution is measured simultaneously with the pore distribution method, the sample solid content volume per 1 g of sample i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true density, it is set as solid content volume (G), and porosity is calculated | required by following formula (1).

[수학식 1][Equation 1]

공극율(%)=공극체적(F)÷(공극체적(F)+고형분체적(G))×100Porosity (%) = pore volume (F) ÷ (pore volume (F) + solid volume (G)) × 100

여기에서 말하는 진밀도란, 수은압입법에 의한 진밀도로, 샘플중량과 수은압력 207 ㎫ 에서의 샘플용적으로부터 구한 밀도이다.The true density here is the true density by a mercury intrusion method, and is the density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ample weight and sample volume in mercury pressure of 207 Mpa.

(2)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2)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of fertilizer

기야식 경도계 ((주)후지와라세이사쿠쇼, 실용신안등록 174886호) 로 측정한 입자 경도로, 임의의 20 입자를 측정한 평균값을 ㎏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The average value which measured arbitrary 20 particle | grains is shown by the unit of kilogram by the particle hardness measured by a field-based hardness tester (Fujiwara Seisakusho,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4886).

(3) 비료 또는 원료의 pH 측정(3) pH measurement of fertilizers or raw materials

비료 또는 원료 등의 샘플 10 중량부를 증류수 50 중량부에 침지하여 형상이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교반하고, 3 일 경과 후, 20℃ 에서 측정한 액상부의 pH 를 말한다.10 parts by weight of a sample, such as a fertilizer or a raw material, is immersed in 5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stirred to the extent that the shape is not destroyed, and the pH of the liquid portion measured at 20 ° C. after 3 days is referred to.

(4) 터보모라이트 결정 측정(4) Turbomorite Crystal Measurement

분쇄한 샘플분말을, (주)리가꾸덴끼 RU-200B형 X선 회절분석장치를 사용하여 X 선 회절분석을 실시하고, 터보모라이트 결정에 상당하는 약 11Å 의 위치에 피크가 선명하게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The pulverized sample powder was subjected to X-ray diffraction analysis using a Rigakudenki RU-200B type X-ray diffractometer to determine whether the peak was clearly visible at a position of about 11 Hz corresponding to the turbomorite crystal. It was evaluated.

(5)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5) Measurement of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다음의 절차에 따라 염산/수산화나트륨 용해법으로 구한 것을 말한다.It is obtained by dissolving hydrochloric acid / sodium hydroxi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a) 분쇄 후 체로 입경을 0.1∼0.5 ㎜ 로 조정한 샘플 1 g 을 20℃ 의 0.5 규정 염산 수용액 200 ㎖ 에 넣고, 8 시간 교반한 후, 구멍직경 1 ㎛ 의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한다,(a) After pulverizing, 1 g of a sample whose particle size was adjusted to 0.1 to 0.5 mm was put into 200 ml of a 20 ° C 0.5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for 8 hours, followed by filtration with a membran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1 μm.

(b) 그 염산 여과액 중의 규소 농도를 ICP 발광분석법으로 구하고, 규소가 규산유래인 것으로 하여, 염산여과액 중의 규산량 (A) 을 그램단위로 구한다.(b) The silicon concentration in the hydrochloric acid filtrate is determined by ICP emission spectrometry, and silicon is derived from silicic acid, and the amount of silicic acid (A) in the hydrochloric acid filtrate is determined in grams.

(c) 0.5 규정 염산으로 용해되지 않은 여과 잔사를 0.5 규정 수산화나트륨수용액 200 ㎖ 에 넣어 8 시간 교반한 후, 구멍직경 1 ㎛ 의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한다.(c) The filtered residue which was not dissolved in 0.5 N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200 mL of 0.5 N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for 8 hours, followed by filtration with a membran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1 μm.

(d) 그 수산화나트륨 여과액 중의 규소 농도를 ICP 발광분석법으로 구하고, 규소가 규산유래인 것으로 하여, 수산화나트륨 여과액 중의 규산량 (B) 을 그램단위로 구한다.(d) The concentration of silicon in the sodium hydroxide filtrate is determined by ICP emission spectrometry, and silicon is derived from silicate, and the amount of silicic acid (B) in sodium hydroxide filtrate is determined in grams.

(e) 가용성 규산 함유량을 다음의 수학식 2 로 구한다.(e)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2][Equation 2]

가용성 규산 함유량(중량%) = (규산량(A)+규산량(B)÷1×100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 (Silic acid amount (A) + silicic acid amount (B) ÷ 1 x 100

(6) 벼 지상부 건조물 중량 측정(6) Weighing of dry matter on rice ground

벼의 흙에서 윗부분 (줄기, 잎, 볍씨부분) 을 베어내고, 베어낸 지상부를 80℃ 건조기내에서 일정한 양이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 중량.The upper part (stem, leaf, rice seed part) is cut out from rice soil, and the ground part cut | disconnected is dried enough until it reaches a fixed quantity in 80 degreeC drier.

(7)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측정(7) Measurement of silicic acid content of dry matter in rice

벼의 윗부분 (줄기, 잎, 볍씨부분) 을 베어내고, 베어낸 지상부를 80℃ 건조기 내에서 일정한 양이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 후, 1 ㎏ 을 1 ㎜ 이하로 되도록 균일하게 분쇄혼합한다. 분쇄혼합한 벼 건조물 1 g 을 10 g 의 무수탄산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백금도가니로 옮겨 가열하여 알칼리 용융한다. 방냉 후 백금도가니 속의 단단한 덩어리를 열증류수로 녹인다. 다시 열증류수로 용해된 용액에, 수산화나트륨과 증류수를 첨가하여, 수산화나트륨 0.5 규정의 200 ㎖ 의 용액 D 를 수득한다.The top part (stem, leaf, rice seed part) of rice is cut off, the ground part cut off is sufficiently dried in 80 degreeC drier, and it grind | mixes uniformly so that 1 kg may be 1 mm or less. 10 g of anhydrous sodium carbonate is added to 1 g of the pulverized mixed rice dried product, mixed, transferred to a platinum crucible, and heated to alkali melt. After cooling, the solid mass in the platinum crucible is dissolved in hot distilled water. Again, sodium hydroxide and distilled water were added to the solution dissolved with hot distilled water to obtain 200 mL of solution D of 0.5 hydroxide of sodium.

이 용액 D 의 규소 (Si) 농도를 ICP 발광 분석법으로 정량한다. 용액 D 중의 규소 (Si) 가 전부 규산 (SiO2) 에서 유래한 것으로 하고, 용액 D 중의 규산 중량 D 를 구한다. 규산 중량 D 는, 벼 건조물 1 g 중의 규산 중량이기 때문에, 규산 중량 D 로부터 벼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을 중량% 로 구한다.The silicon (Si) concentration of this solution D is quantified by ICP emission spectrometry. All the silicon (Si) in the solution D is derived from silicic acid (SiO 2 ), and the weight of silicic acid D in the solution D is obtained. Since the silicic acid weight D is a silicic acid weight in 1 g of rice dry matters, the silicic acid content rate of a rice paddy field part is calculated | required by weight% from silicic acid weight D.

(8)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8) Weighing the dry matter of the grave ground

재배 복토로부터 위로 나와 있는 벼묘 부분 (줄기, 잎부분) 을 베어내고, 베어낸 벼묘 지상부 1000 개를 80℃ 건조기 내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 후, 건조한 벼묘 지상부 1000 개의 중량을 측정한다.A part of the rice seedlings (stems, leafs) that emerge upward from the cultivated cover is cut off, and the 1000 pieces of rice seedlings cut off are sufficiently dried in a 80 ° C. drier until weighed, and then the weight of 1000 pieces of dried rice seedlings is measured.

(9) 묘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9) Measurement of silicic acid content in the upper part of graveyard

재배복토로부터 위로 나와 있는 벼묘 부분 (줄기, 잎부분) 을 베어내고, 베어낸 벼묘 지상부 80℃ 건조기내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 후, 20 g 을 1 ㎜ 이하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쇄혼합한다. 분쇄혼합한 벼 건조물 1 g 을 취해 10 g 의 무수탄산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백금도가니로 옮겨, 가열하여 알칼리 용융한다. 방냉 후 백금 도가니 중의 단단한 덩어리를 열증류수로 녹인다. 다시 열증류수로 용해한 용액에, 수산화나트륨과 증류수를 첨가하여, 수산화나트륨 0.5 규정의 200 ㎖ 의 용액 D 를 수득한다.The rice seedlings (stems, leaf parts) that emerge upward from the cultivated soil are cut off and sufficiently dried in a 80 ° C. drier at the top of the rice seedlings which have been cut, and then crushed and mixed uniformly so that 20 g is 1 mm or less. . 1 g of pulverized and mixed rice dry matter is taken, 10 g of anhydrous sodium carbonate is added, mixed, transferred to a platinum crucible, heated to alkali melt. After cooling, the solid mass in the platinum crucible is dissolved in hot distilled water. Again, sodium hydroxide and distilled water were added to the solution dissolved in hot distilled water to obtain 200 mL of solution D of 0.5% sodium hydroxide.

이 용액 D 중의 규소 (Si) 농도를 ICP 발광분석법으로 정량한다. 용액 D 중의 규소 (Si) 가 전부 규산 (SiO2) 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용액 D 중의 규산 중량 D 를 구한다. 규산 중량 D 는, 벼 건조물 1 g 중의 규산 중량이기 때문에, 규산중량 D 로부터 벼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을 중량% 로 구한다.The silicon (Si) concentration in this solution D is quantified by ICP emission spectrometry. The silicon (Si) in the solution D is all derived from silicic acid (SiO 2 ), and the weight of silicic acid D in the solution D is obtained. Since the silicic acid weight D is a silicic acid weight in 1 g of rice dry matters, the silicic acid content rate of a rice overground part is calculated | required by weight% from silicic acid weight D.

(10)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10) Weighing the dry matter of the seedling basement (root)

재배복토로부터 아래의 벼묘의 뿌리부분을 베어내고, 베어낸 벼묘 지하부 1000 개를 80℃ 건조기내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 후, 건조한 벼묘 지하부 1000 개의 중량을 측정한다.The root part of the rice seedling below is cut out from the cultivation soil, and after 1000 pieces of rice seedling basements cut off are sufficiently dried in a 80 degreeC drier until a weight is reached, the weight of 1000 pieces of dry rice seedling basements is measured.

(11) 수중 형상유지성의 측정(11) Measurement of shape maintainability in water

비료 100 입자와 물 200 g 을 500 미리리터 용기에 넣고, 20℃ 항온실에 정치한다. 매일 동일한 시간에 이것을 조용히 끌어올려, 붕괴된 입자의 수가 50 립을 초과한 정치시간을 일(日) 수로 표시하였다.100 particles of fertilizer and 200 g of water are placed in a 500 ml container and left in a 20 ° C. constant temperature room. It was quietly pulled up at the same time every day, indicating the settling time in days when the number of disintegrated particles exceeded 50 grains.

실시예 1Example 1

규석 53 중량부, 생석회 7.5 중량부, 보통 포트랜트 시멘트 37 중량부, 건조석고 2.5 중량부, 이들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 알루미분말 0.060 중량부를 슬러리상으로 혼합하고, 형틀에 주입하였다. 이 형틀에 주입한 슬러리를 40℃ 의 항온실에 넣고, 경화시간을 조정하여, JIS A5416 에 준하여 측정한 압축강도가 0.1 ㎫ 의 반경화상 기포 콘크리트재를 수득했다.53 parts by weight of silica, 7.5 parts by weight of quicklime, 37 parts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2.5 parts by weight of dry gypsum, 7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060 parts by weight of alumina powder, in a slurry form, to the mold It was. The slurry inject | poured into this mold was put into the 40 degreeC constant temperature chamber, hardening time was adjusted, and the semi-image foamed concrete material of 0.1 MPa of compressive strength measured according to JISA5416 was obtained.

이 반경화상 기포 콘크리트재에 대하여, 실온에서 180℃ 로 승온 2 시간, 180℃ 정온 5 시간, 180℃ 에서 실온으로 강온 3 시간에 걸쳐, 오토클레이브 수증기 양생을 실시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판을 수득했다.This semi-image foamed concrete material was subjected to autoclave steam curing over 2 hours of elevated temperature at room temperature at 180 ° C., 5 hours at 180 ° C. constant temperature, and 3 hours of temperature reduction at 180 ° C.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heet.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판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이다.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판을 분쇄하여 3 일간, 70℃ 에서 항온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그물코 크기 250 ㎛ 인 체를 통과시켜, 체 직경 250 ㎛ 이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Thi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heet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d crystals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heet was pulverized and dried for 3 days at 70 ° C. until constant temperature, and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250 µm or less.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터보모라이트 결정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Thi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used as the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turbomorite crystal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서, 믹서 (닛뽕아이리히(주) 제조의 아이리히믹서 R-02형) 을 사용하여,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결합제로서 조립을 실시하고, 조립품을 만들었다.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로서,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폴리트론 U154 (제품의 수지고형분 60중량%) 를 사용하였다. 조립은 이 믹서로 분말원료 1500 g 을 회전시키면서, 먼저 물만을 조금씩 375 g 분무하고, 다음에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수지고형분이 12 중량% 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조정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 152 g 을 분무하면서 조립을 실시하였다. 조립 후, 조립품을 60℃ 건조기 내에서 3 일간,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후,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입상 규산질 비료는, 그물코 크기 1 ㎜ 및 10 ㎜ 인 체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체 직경 1∼10 ㎜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중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This siliceous raw material was used as a powder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and granulated with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as a binder using a mixer (Irihi Mixer R-02 type manufactured by Nippon-Irihi Co., Ltd.) to prepare a granulated product. As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Polytron U154 (60% by weight of resin solid content of the product)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was used. The granulation was carried out by spraying 1500 g of powder raw material with this mixer, firstly spraying only 375 g of water in small portions, and then 152 g of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prepared by diluting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with water so as to have a resin composition of 12% by weight. The granulation was carried out while spraying. After granulation, the granulated product was dried in a 60 ° C. dryer for 3 days until a constant weight was obtained, whereby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obtained.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iltered using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1 mm and 10 mm to obtain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in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2 에 나타낸다.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2.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수송시험을 하였다. 입상 규산질 비료를 20 ㎏ 포대에 채워, 트럭의 짐을 싣는 곳에 10 포대를 겹쳐 놓고, 시즈오까껭 후지시에서 미야기껭 센다이시까지 트럭수송하여, 트럭 수송시의 변형(이지러짐)이나 가루날림을 조사하였다. 트럭 수송후, 체의 직경 1 ㎜ 를 통과하는 변형율로서 그 중량% 를 측정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없었다.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Fill the 20 kg bag with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stack 10 bags in the loading area of the truck, transport the truck from Fuji Shizuoka to Sendai, Miyagi It wa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weight% as the strain passing through the diameter of 1 mm of the truck after transporting the truck, the strain was 0% by weight, and there was no deformation or dusting by truck transport.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200 ㎡ 의 시험무논에 40 ㎏ 을 균등하게, 이세끼노우끼(주) 승용형 이앙기 PA53D 를 사용하여 산포하고, 기계산포시험을 하였다. 이 기계산포시험에서는,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아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경우도 없는 점에서, 하기에 나타낸 비교예 7 의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보다 그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40 kg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spread | dispersed evenly to 200 m <2> test munon using the Ise Kinoki Co., Ltd.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PA53D, and 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done. In this mechanical dispersion test, clogging by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mechanical dispersion. In addition, although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it was found that the handling was easier than the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of Comparative Example 7 shown below because the hand was not injured and the powder did not enter the eye.

다음에 입상 규산질 비료 40 ㎏ 을 200 ㎡ 의 시험무논에 균등하게 뿌려,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무논의 토양은 비아로펜질 흑복토이다. 이 무논에 육묘한 코시히까리묘를 5월 중순에, 재식밀도 18 주/㎡ 으로 이식하였다. 규산질 이외의 비료는, 전량기비로 하여, 질소성분 7 g/㎡ 이 되도록 피복 요소가 함유된 입상 복합비료 (N : P2O5 : K2O = 16 : 16 : 16, 이 중 피복요소 N = 70%) 를 측조(側條) 시용하였다.Next, 40 kg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evenly sprayed on 200 m 2 of test munon to carry out a rice paddy growth test. The soil of Test Munnon is Viaropenil black soil. In mid-May, the seedlings of Koshihikari seedlings planted in this Munon were transplanted at a planting density of 18 shares / m2. Fertilizers other than siliceous are granular composite fertilizers containing a coating element such that the nitrogen content is 7 g / m 2 (N: P 2 O 5 : K 2 O = 16: 16: 16, among which the coating element N is a total amount ratio). = 70%) was applied to the tank.

이 묘를 무논에서 육성시켜, 9월 중순에 베어, 무논 1㎡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되는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The seedlings were grown in Munon, and the weights of the dry matters of the rice top portion per 1 m 2 of munon were cut in mid-September, an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ground part dryness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ed per 1 m 2 of munon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하기 비교예 8 에 비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되는 정현미 중량이 모두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 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과 거의 동등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3, when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fertilize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matter,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ed are all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8 which does not fertilize the siliceous fertilizer. It was large and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in the capital. In addition, when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t was found that the fertilizer effect almost the same as in Comparative Example 7 fertilized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 의 조립에 있어서, 먼저 물만을 520 g 분무하고, 다음에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폴리트론 U154 (제품수지고형분 60 중량%) 를 물로 희석하여 수지고형분의 중량% 를 20 중량% 가 되도록 조정한 슬러리 용액 30 g 을 분무하면서 조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립을 실시하고,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 0.4 중량% 의 체 직경 1∼10 ㎜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은, 조립 중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한 값이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assembly of Example 1, 520 g of only water was first sprayed, and then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polytron U154 (60% by weight of product resin solid content)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was diluted with water to give the weight of the resin solid. Gran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ranulation was carried out by spraying 30 g of the slurry solution adjusted to 20% by weight, and the granular siliceous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having a content of 0.4% by weight of the organic polymer. The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a value obtain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during granul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The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and the pH measurement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ere obtaine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2.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and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or dusting caused by truck transportation.

수득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아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는 점에서, 비교예 7 의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보다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s a result, clogging caused by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mechanical dispersion. Moreover, although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since it was not injured by a hand and there was no problem which a powder entered into eyes, it turned out that it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7.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weight of dry matter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dry rice paddy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2 of munon, respectively.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교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이 모두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과 거의 동등한 비료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3, when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field, and the sage rice weight obtained were all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in which the siliceous fertilizer was not fertilized. In addition, it was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in the capital. Moreover, when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it turned out that the fertilizer effec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comparative example 7 which fertilized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 의 조립에 있어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수지고형분의 중량% 를 20 중량% 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조정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을 사용하고, 이것 232 g 을 분무하면서 조립을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체 직경 1∼10 ㎜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 중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granulation of Example 1,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prepared by diluting with water to adjust the weight percent of the solid resin conte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to 20% by weight was used, except that granulation was carried out while spraying this 232 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was obtained.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during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2.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and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or dusting caused by truck transportation.

수득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아 본 입상 규산질 비료가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는 점에서, 비교예 7 의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보다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s a result, clogging caused by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it was found that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d no problem in mechanical scattering. Moreover, although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since it was not injured by a hand and there was no problem which a powder entered into eyes, it turned out that it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7.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munon, respectively.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득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교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본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과 거의 동등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3,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top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top portion dryness, and the sage rice weight obtainable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did not fertilize the siliceous fertilizer, It was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in the capital.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it was found that the fertilizer effect was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7 fertilized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 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대신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폐재인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헤베르라이트의 시공현장 폐재를 분쇄하여 수득한 경량 콘크리트 폐재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체 직경 1∼10 ㎜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Instead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of Example 1, it wa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except using the lightweight concrete waste material powder obtained by grinding the construction site waste material of Heberite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which is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aste material.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was obtained.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헤베르라이트의 시공현장 폐재를 햄머로 두드려 조분쇄하여, 내부의 보강 러스 망부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부를 분리하였다.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부를 분쇄하여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로 여과하여, 체를 통과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폐재 분말을 수득했다.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폐재 분말을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터보모라이트 결정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2 에 나타낸다.The construction waste material of Heberite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was beaten and pulverized with a hammer to separate the internal reinforcing russ net part and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rt. Thi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rtion was pulverized and filter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aste material powder that passed through the sieve. Thi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aste material powder was used as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turbomorite crystal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Using this siliceous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2.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and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or dusting caused by truck transportation.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아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는 점에서, 비교예 7 의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보다 그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mechanical dispersion because clogging caused by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Moreover, although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since it did not injure a hand and there was no problem which a powder entered into eyes, it turned out that it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7.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munon, respectively.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교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기 때문에,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과 거의 동등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3,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and the sage rice weight obtained were larg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8, in which no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In addition, it was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in the capita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d a fertilizer effect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7 fertilizing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 의 조립에 사용하는 분말원료의 체 직경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체 직경 1∼10 ㎜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eve diameter of the powder raw material used for granulation of Example 1 was changed.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만든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체로 분리하여,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미립자와, 체 직경 250∼475 ㎛ 의 중립자로 분리하고, 미립자 70 중량부와 중립자 3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터보모라이트 결정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중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2 에 나타낸다.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separated by a sieve, and separated into fine particles having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μm, and neutral particles having a sieve diameter of 250 to 475 μm. The parts were mixed uniformly to obtain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turbomorite crystal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Using this siliceous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in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2.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아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는 점에서, 비교예 7 의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보다 그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mechanical dispersion because clogging caused by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Moreover, although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since it did not injure a hand and there was no problem which a powder entered into eyes, it turned out that it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7.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 당의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determine the dry weight of the rice top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dry rice top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nonnon.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교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기 때문에,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과 거의 동등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as can be seen from Table 3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field,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compared to the non-fertilized Comparative Example 8 were used. I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d a fertilizer effect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7 fertilizing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작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9 ㎏ 과 증류수 50 ㎏ 을 혼합하고, 다시 12 규정의 황산 4170 ㎖ 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7 일 후에 그 슬러리 상등의 20℃ 에서의 pH 를 측정한 결과 8.0 이었다. 이 중화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를 5종C 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지상의 고체부분을 60℃ 에서 3 일 건조시켜, 항량이 될 때까지 수분을 제거하여 중화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체로 걸러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pH 8.0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 pH, 가용성 규산 함유량의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9 kg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nd 50 kg of distilled water that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μm and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mixed, and 4170 ml of sulfuric acid as defined in 12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It was 8.0 when the pH at was measured at 20 degreeC.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lurry was filtered with five kinds of filter papers, and the solid part on the filter paper was dried for 3 days at 60 ° C to remove water until a constant weight to obtain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sieved to obtain a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at had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used as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an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Using this siliceous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pH 8.0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Moreover,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article hardness, pH,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shown in Table 5.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고, 이 입상 규산질 비료가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it was found that clogging due to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d no problem in mechanical scattering. Although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there was no problem of hand injuries and powder getting into eyes.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munon, respectively.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표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보다 우수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6,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above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section, and the sage rice weight obtainable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was not fertilized. I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of.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s a superior fertilizer effect than Comparative Example 7, which was fertilized with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작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9 ㎏ 및 증류수 50 ㎏ 을 혼합하고, 다시 12 규정 황산을 5800 ㎖ 첨가하여 교반하고, 7 일 후에 그 슬러리 상등의 20℃ 에서의 pH 를 측정한 결과 5.0 이었다. 이 중화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를 5종C 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지상의 고체부분을 60℃ 에서 3 일 건조시켜, 항량이 될 때까지 수분을 제거하여 중화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체로 걸러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pH 5.0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9 kg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nd 50 kg of distilled water that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and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mixed, and 5800 ml of 12 prescribed sulfuric acid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It was 5.0 when the pH in 20 degreeC was measured. The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lurry was filtered with five kinds of filter papers, and the solid part on the filter paper was dried for 3 days at 60 ° C to remove water until a constant weight to obtain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sieved to obtain a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at had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used as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an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Using this siliceous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pH of 5.0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Moreover, the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resul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re shown in Table 5.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수득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아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s a result, clogging caused by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mechanical dispersion. Although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there was no problem of hand injuries and powder getting into eyes.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표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보다도 우수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munon, respectively.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As can be seen from Table 6,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above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section, and the obtained sage rice weight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were not fertilized. I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s a superior fertilizer effect than Comparative Example 7 having fertilized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작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9 ㎏ 및 증류수 50 ㎏ 을 혼합하고, 다시 12 규정 황산을 6142 ㎖ 첨가하여 교반하여, 7 일 후에 그 슬러리 상등의 20℃ 에서의 pH 를 측정한 결과 3.5 이었다. 이 중화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를 5종C 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지상의 고체부분을 60℃ 에서 3 일 건조시켜, 항량이 될 때까지 수분을 제거하여 중화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체로 걸러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9 kg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nd 50 kg of distilled water that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and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mixed, and 6142 ml of 12 prescribed sulfuric acid was further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It was 3.5 when the pH in 20 degreeC was measured.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lurry was filtered with five kinds of filter papers, and the solid part on the filter paper was dried for 3 days at 60 ° C to remove water until a constant weight to obtain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sieved to obtain a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at had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used as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an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Using this siliceous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Moreover, the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resul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re shown in Table 5.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s a result, the strain was 0% by weight.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고, 이 입상 규산질 비료가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nd it was found that clogging due to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d no problem in mechanical scattering. Although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there was no problem of hand injuries and powder getting into eyes.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표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보다도 우수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rice nonon growth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weight of dry matter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dry rice paddy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2 of munon, respectively.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As can be seen from Table 6,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above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section, and the sage rice weight obtainable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was not fertilized. I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ilicic acid nutrition of.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s a superior fertilizer effect than Comparative Example 7 having fertilized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제작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pH 5.0 의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10 ㎏ 및 배토 분말 10 ㎏ 을 모르타르믹서로 10분 동안 혼합한 것을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조립을 실시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체 직경 1∼10 ㎜ 의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사용한 배토 분말은 수도육묘용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를 분쇄하여 건조시킨 후, 그물코 크기 250 ㎛ 인 체를 통과한 배토 분말이다.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5 에 나타낸다.Example 1 and 10 kg of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nd 10 kg of clay powder for 10 minutes, which were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μm,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were mixed with a mortar mixer for 10 minutes. Gran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obtain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which clay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was mixed. The used clay powder is a clay powder which has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after pulverizing and drying the rice seedling clay (granular paar tomato manufactured by Katakura Chikari Co., Ltd.).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is clay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is clay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5.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is clay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strain was 0% by weight, and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or dusting by truck transportation.

수득한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고,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하였지만, 손을 다치지 않고, 분말이 눈에 들어가는 문제도 없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e obtained clay, and it was found that clogging due to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there was no problem in mechanical dispersion. In additio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clay was treated with bare hands, but there was no problem that the hands did not hurt and the powder entered the eyes.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 80 ㎏ 을 시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벼의 무논 육성시험에서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을 실시예 1 의 2배로 한 것은, 실시예 1 과 대략 동일하게 가용성 규산량을 시비하기 위해서이다. 표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이 모두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였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보다도 우수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80 kg of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clay was fertilized, the rice non-growth test was carried out, and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dry rice paddy portion, and Munnon 1 The weight of sine rice obtained per m 2 was respectively determ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The fertilization amount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e clay in the rice paddy growth test was doubled as in Example 1 in order to fertilize the amount of soluble silicic aci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s can be seen from Table 6,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fertilize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section, and the obtained sage rice weight are all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is not fertilized, I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nutrition.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fertiliz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s a superior fertilizer effect than Comparative Example 7 having fertilized crushed lightweight foam concrete.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제작한 pH 5.0 의 입상 규산질 비료 750 g 을, 믹서 (닛뽕아이리히(주) 제조의 아이리히믹서 R-02형) 에 넣고, 먼저 입상 규산질 비료를 교반하면서 그 표면에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폴리트론U154 (제품의 수지고형분 60 중량%) 를 수지고형분이 12 중량% 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조정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 10 g 을 분무하여, 입상 규산질 비료의 표면을 적시고, 다음에 배토 분말 750 g 을 상기 아이리히믹서에 넣고, 다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 66 g 을 추가분무하여 조립을 실시하였다. 조립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체 직경 1∼10 ㎜ 의 배토를 피복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때 사용한 배토 분말은 수도육묘용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를 분쇄하여 건조시킨 후, 그물코 크기 250 ㎛ 인 체를 통과한 배토 분말이다.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 및 피복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 이 피복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표 5 에 나타낸다.750 g of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pH 5.0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was placed in a mixer (Irich Mixer R-02, manufactured by Nippon-Ayrich Co., Ltd.), and first,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stirred on the surface thereof while stirring. 10 g of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prepared by diluting and adjusting the acrylic emulsion resin (Asahi Kasei Co., Ltd. product Polytron U154 (60% by weight of the resin solid content of the product) with water so that the resin solid content is 12% by weight is sprayed, The surface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wetted, and then 750 g of clay powder was placed in the above-mentioned Irich mixer and granulated by further spraying 66 g of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followed by granul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coat | covered the clay of the sieve diameter of 1-10 mm was obtained.The clay powder used at this time was a granular wave made from rice seedlings (Katakurachichirin Co., Ltd. make). Arumato) is pulverized powder which has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after pulverizing and drying, from the spraying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and coating, using the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The result is shown in Table 5. The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coating siliceous fertilizer were performed.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0 중량% 이고, 트럭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은 거의 없었다. 수득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기계산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에 의한 막힘 등이 일어나지 않고,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가 기계산포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coating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strain was 0% by weight, and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or dusting caused by truck transportation. The mechanical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coated siliceous fertilizer, and it was found that clogging caused by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id not occur, and this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d no problem in mechanical scattering. .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 80 ㎏ 을 시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벼의 무논 육성시험을 실시하여, 무논 1㎡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벼의 무논 육성시험에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량을 실시예 1 의 2 배로 한 것은, 실시예 1 과 대략 동일하게 가용성 규산량을 시비하기 위해서이다. 표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 8 에 비해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크고, 수도의 규산영양개선에 매우 유효하다. 또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면,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비교예 7 보다도 우수한 비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80 kg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the rice non-non-growing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dry rice paddy portion, and 1 non methane The obtained sage rice weights were obtained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The fertilization amount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doubled as that of Example 1 in the rice paddy growth test in order to fertilize the amount of soluble silicic aci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s can be seen from Table 6, whe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all of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dry section, and the obtained sine rice weight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was not fertilized, Very effective in improving nutrition.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fertilizing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s a superior fertilizer effect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7 in which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as fertilized.

실시예 11Example 11

12 규정 황산 528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pH 6.8 의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수득했다. 이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규산질 원료로 하였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이 규산질 원료를 그대로 분말원료로 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조립을 실시하고, 체 그물코 크기 1 ㎜ 및 6 ㎜ 인 체를 사용하여 체 직경 1∼6 ㎜ 인 pH 6.8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 pH, 가용성 규산 함유량, 수중 형상 유지성 측정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그리고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20℃, 습도 70% 의 방에 방치하여, 제조 직후, 제조 1 개월 후, 제조 6 개월 후, 제조 1 년 후 입자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A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having a pH of 6.8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5280 mL of 12 N sulfuric acid was used. This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used as a siliceous raw material. The porosity measurement an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Using this siliceous raw material as a powder raw material, granulation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pH of 6.8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6 mm was obtained using a sieve having a sieve mesh size of 1 mm and 6 mm. .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Moreover, the particle hardness, pH,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and the shape retainability measurement result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re shown in Table 8. And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left to room temperature of 20 degreeC and 70% of humidity, and particle hardness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1 month after manufacture, 6 months after manufacture, and 1 year after manufactur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 1500 g 과 수도육묘용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1500 g 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과, 초기 억제형 피복비료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나에바꼬마까세 NK301-100 (N: 30% - P2O5: 0% - K2O: 10%) 700 g, 입고병 방지제 (산쿄(주) 제조의 타찌가레에스) 6 g 을 혼합하고, 1 묘상용 상토로 하였다. 추가로 상토에는 속효성비료로서 황산암모늄, 인산-석회, 염화칼륨을 첨가하고, 질소, 인산, 칼리가 1 묘상 당 각 1.5 g 이 되도록 보정하였다.The rice seedling test was done using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Uniformly mixed 1500 g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ith 1500 g of granular paarmato (Katakurachikarin Co., Ltd.) and initial suppression type coated fertilizer (Asahi Kasei Co., Ltd.) 700 g of Eva Kakase NK301-100 (N: 30%-P 2 O 5 : 0%-K 2 O: 10%) and 6 g of wearing bottle prevention agent (Tachigaresu, manufactured by Sankyo Co., Ltd.) In addition, ammonium sulfate, phosphate-lime, and potassium chloride were added as a fast-acting fertilizer, and nitrogen, phosphoric acid, and kali were adjusted to 1.5 g per seedling.

이 위에 최아 볍씨 (코시히까리) 140 g 을 균일하게 뿌려, 충분히 관수하고, 수도육묘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1200 g 으로 복토하여 육묘를 설치하였다. 파종 3 일 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파종 후 35 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On top of this, 140 g of the best rice seed (Koshihikari) was sprinkled uniformly, fully watered, and covered with 1200 g of rice seedlings (granular paarmato, manufactured by Katakura Chikari Co., Ltd.), and seedlings were installed. 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of germination and the rate at which seed exposure or roots emerge from the germinating seedling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0. The seedlings were further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as no problem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seedling. Table 11 shows the dry weight measurement of the ric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measurem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표 10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은,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이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나타나지만, 표 1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묘시험에서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 에 비하여,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이 모두 크기 때문에, 벼묘의 성장도 양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0, the rate and germination rate of seed exposure or root exposure are the same as those of fertilizing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r not using siliceous fertilizer, but as can be seen from Table 11, In the seedling test, the application of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increased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in th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in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in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9 which did not use this. Was also good.

실시예 12∼15Examples 12-15

12 규정 황산의 첨가량을, 실시예 12 에서는 5686 ㎖, 실시예 13 에서는 5724 ㎖, 실시예 14 에서는 5875 ㎖, 실시예 15 에서는 5913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규산질 원료의 공극율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또 이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 pH, 가용성 규산 함유량, 수중 형상 유지성의 측정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그리고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20℃, 습도 70% 의 방에 방치하여, 제조 직후, 제조 1 개월 후, 제조 6 개월 후, 제조 1 년 후 입자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12 The amount of sulfuric acid added was 5686 ml in Example 12, 5724 ml in Example 13, 5875 ml in Example 14, and 5913 ml in Example 15. Obtained. Table 7 shows the porosity measurement and the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results of this siliceous raw material.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Moreover, the measurement result of particle hardness, pH,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and shape retention in water of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shown in Table 8. And this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left to room temperature of 20 degreeC and 70% of humidity, and particle hardness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1 month after manufacture, 6 months after manufacture, and 1 year after manufactur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 3 일 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파종후 35 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The rice seedling test was performed like Example 11 using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of germination and the rate at which seed exposure or roots emerge from the germinating seedling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0. More seedlings were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as no problem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seedling. Table 11 shows the dry weight measurement of the ric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measurem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표 10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아시험에서는 수득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이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이지만, 표 1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묘시험에서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 에 비해,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이 모두 크므로,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0, in the germination test, the obtain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and the siliceous fertilizer was not used. The results are the same as in Table 11, but in the seedling test,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used. In comparison with Comparative Example 9 which did not use this, since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part,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part,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part (root) were all large, the growth of rice seedling was favorable.

실시예 16Example 16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제작한 그물코 크기 250 ㎛ 의 체를 통과한 pH 6.8 의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10 ㎏ 과 배토 분말 10 ㎏ 을 통상의 모르타르믹서로 10 분 동안 혼합한 것을 분말원료로 하였다. 이 때 사용한 배토 분말은 실시예 9 의 배토 분말과 동일한 것이다. 이 배토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조립을 실시하고,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체 직경 1∼6 ㎜ 의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또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 수중 형상 유지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표 12 에 나타낸다.10 kg of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nd 10 kg of clay powder, which had passed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were mixed with a conventional mortar mixer for 10 minutes to prepare a powder. The clay powder used at this time is the same as the clay powder of Example 9. Using this clay powder, gran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which clay soil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6 mm was mix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was obtained.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is clay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and shape retention in water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is clay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12.

실시예 11 의 벼육묘 시험에서 사용한 입상 규산질 비료 1500 g 및 수도육묘용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1500 g 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수득되는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 300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 3 일 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파종후 35일간 묘를 더 발육시킨 결과,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의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Instead of uniformly mixing 1500 g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used in the rice seedling test of Example 11 and 1500 g of the granular seedling clay (Granular paar tomato manufactured by Katakura Chicharin Co., Ltd.), this example was obtained. A rice seedling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3000 g of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which clay was mixed was used. 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of germination and the rate at which seed exposure or roots emerge from the germinating seedling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As the seedlings were further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ere no problems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the seedlings. Table 14 show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of the rice seedling, the measurement of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표 1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발아시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이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이지만, 표 1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묘시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 에 비해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이 모두 크므로,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3, in this germination test,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example was fertilized or the siliceous fertilizer was not used, but the results are similarly good, but as can be seen from Table 14, in the seedling test, The application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example was good in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because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9 which did not use this. It was.

실시예 17∼18Examples 17-18

다른 pH 의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에서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제작한 pH 5.2 의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8 에서는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제작한 pH 4.1 의 중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사용하였다.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 중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또 이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 pH, 가용성 규산 함유량, 수중 형상 유지성의 측정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which clay was mixe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6 except that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s having different pHs were used. In Example 17, the neutraliz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of pH 5.2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was used. In Example 18, the neutraliz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of pH 4.1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4 was used.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i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mixed this clay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Table 12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particle hardness, pH,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and shape retention in water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mixed with the clay.

이들의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 3 일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파종후 35 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의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표 1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아시험에서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이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있지만, 표 1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묘시험에서는,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 에 비해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이 모두 크기 때문에,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였다.The rice seedling test was done like Example 16 using the granular silicic acid fertilizer which mixed these soils. 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of germination and the rate at which seed exposure or roots emerge from the germinating seedling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More seedlings were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as no problem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seedling. Table 14 show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of the rice seedling, the measurement of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As can be seen from Table 13, in the germination test,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and siliceous fertilizer was not used or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able 14,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the seedling test. The fertilization of rice seedlings was good because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9 which did not use this.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제작한 pH 6.8 의 입상 규산질 비료 750 g 을 사용하여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배토로 피복하고, 체 그물코 크기 1 ㎜ 및 6 ㎜ 인 체를 사용하여 체 직경 1∼6 ㎜ 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 및 피복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또 이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측정, 수중 형상 유지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표 12 에 나타낸다. 750 g of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pH of 6.8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was co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0, and covered with clay, and a sieve diameter of 1 to 6 mm using a sieve having a sieve mesh size of 1 mm and 6 mm.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was obtained.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is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used for granulation and coatin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Moreover,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and shape retention in water of this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12.

실시예 16 의 배토를 혼합한 입상 규산질 비료 대신에, 이 수득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 3 일 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파종후 35 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A rice seedling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6 except that the obtained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used instead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n which the clay of Example 16 was mixed. 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of germination and the rate at which seed exposure or roots emerge from the germinating seedling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More seedlings were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as no problem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seedling. Table 14 shows the dry weight measurem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of the rice seedling, the silicic acid content rate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measurement resul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표 1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발아시험에서는 본 실시예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이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있지만, 표 1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묘시험에서는, 본 실시예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 에 비해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이 모두 크고, 벼묘의 성장이 양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3, in the germination test,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example and the use of siliceous fertilizer are not the same as in the seedling test, but as can be seen from Table 14, in the seedling test The application of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Example showed that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were larg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9 which did not use this, and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It was good.

실시예 20∼21Examples 20-21

다른 pH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하게 하여 pH 가 다른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실시예 20 에서는 실시예 13 에서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pH 5.2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1 에서는 실시예 15 에서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pH 4.2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였다. 이들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을, 조립 및 피복에 사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슬러리 용액의 분무첨가량으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또 이들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 pH, 가용성 규산 함유량, 수중 형상 유지성의 측정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A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different pH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9 except that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having different pH were used. In Example 20,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ith a pH of 5.2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was used. In Example 21,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ith a pH of 4.2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5 was used. Content of the organic polymer of thes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spray addition amount of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slurry solution used for granulation and coatin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Table 12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particle hardness, pH,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and shape retention in water of thes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이들의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9 와 동일하게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종 3 일 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파종 후 35 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측정의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The rice seedling test was done like Example 19 using thes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of germination and the rate at which seed exposure or roots emerge from the germinating seedling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The seedlings were further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as no problem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seedling. Table 14 show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of the rice seedling, the measurement of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표 1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발아시험에서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이나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있지만, 표 1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육묘시험에서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것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 에 비하여,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이 모두 크므로, 벼묘의 성장은 양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3, in this germination test, coating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fertilized and no siliceous fertilizer was used, but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ut as can be seen from Table 14, in the seedling test, The application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9 which did not use this,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part,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part,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part (root) were large, so that the growth of rice seedlings was goo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 의 조립에 있어서, 물을 분무하지 않고,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폴리트론 U154 (제품수지고형분 60 중량%) 를 물로 희석하여 수지고형분의 중량% 를 7 중량% 가 되도록 조정한 슬러리 용액 663 g 을 분무하면서 조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립을 실시하여,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 3.0 중량% 의 체 직경 1∼10 ㎜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입자 경도를 측정한 결과 1.4 ㎏ 이었다.In the granulation of Example 1,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polytron U154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60 wt% product resin solid content)) was diluted with water, and the weight percent of the solid resin component was 7 wt% without spraying water. Gran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ranulation was carried out while spraying 663 g of the slurry solution adjusted to%, to obtain 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with a content of 3.0% by weight of an organic polymer. It was 1.4 kg as a result of measuring this particle hardness.

이 입상 규산질 비료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3% 이고, 실시예에 비하여 수송에 의한 변형이나 가루날림이 많았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strain was 3%. Compared with the examples, there were more deformations and powdering caused by transpor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 의 조립에 있어서, 물을 분무하지 않고,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폴리트론 U154 (제품수지고형분 60 중량%) 를 물로 희석하여 수지고형분의 중량% 를 5 중량% 가 되도록 조정한 슬러리 용액 928 g 을 분무하면서 조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립을 실시하고, 유기질 폴리머의 함유량이 3.0 중량% 이하이고 입자 경도가 2∼5 ㎏ 인 입상 규산질 비료를 얻고자 했으나, 조립중에 원료가 큰 괴상으로 되어 조립품을 수득할 수 없었다.In the granulation of Example 1,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polytron U154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60% by weight of product resin solid content)) was diluted with water to give 5% by weight of the aqueous solid content without spraying water. Gran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lurry solution adjusted to% was granulated while spraying, an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n organic polymer content of 3.0 wt% or less and a particle hardness of 2 to 5 kg. Was obtained, but the granulated material could not be obtained because the raw material became a large mass during granulation.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사용하여, 종래 방법으로 규산질 비료의 조립을 실시하였다. Us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the siliceous fertilizer was assembled by a conventional method.

7.7 중량부의 옥수수 전분에, 90.5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휘저어 현탁시킨 후, 서서히 가열하여 80℃ 까지 승온시켰다. 그 후 48% 수산화나트륨용액을 1.2 중량부 첨가하여 가열한 상태에서 30 분 계속 휘저었다. 그 후 냉각시킨 것을 조립제로 사용하였다 (이하 옥수수전분 조립제라고 함).To 7.7 parts by weight of corn starch, 90.5 parts by weight of water was added and stirred to suspend, and then gradually heated to warm up to 80 ° C. Thereafter, 1.2 parts by weight of 48%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30 minutes while heating. Thereafter, the cooled product was used as a granulating ag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n starch granulating agent).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작성한 체 직경 250 ㎛ 이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100 중량부에, 옥수수전분 조립제를 10 중량부 첨가하고, 다시 물 25 중량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팬조립기로 조립하였다. 만들어진 입자를 105℃ 에서 12시간 건조시킨 후 그물코 크기 4 ㎜ 및 1 ㎜ 인 체를 사용하여 체 직경 1∼4 ㎜ 의 조립품을 수득했다.To 100 parts by weight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250 μm or les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10 parts by weight of a corn starch granulator was added, followed by addition of 25 parts by weight of water, followed by granulation with a fan granulator. . The resulting particles were dried at 105 ° C. for 12 hours, and a granulated product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4 mm was obtained using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4 mm and 1 mm.

이 조립품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0 ㎏ 이고, 20 ㎏ 의 포대에 채워 꺼낸 결과, 포대에 채우는 작업에서 입자의 90% 가 붕괴되어 분말 등이 날려 취급하기 어려웠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granulated product, it was 0 kg, and the bag was taken out in a 20 kg bag. As a result, 90% of the particles collapsed in the bag filling operation, so that it was difficult to handle the powder or the lik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100 중량부에, 옥수수 전분 조립제를 25 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 직경 1∼4 ㎜ 의 조립품을 수득했다. 이 조립품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0.2 ㎏ 이고, 20 ㎏ 의 포대에 채워 꺼낸 결과 포대에 채우는 작업에서 30% 가 붕괴되어, 분말 등이 날려 취급하기 어려웠다.A granulated product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4 m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25 parts by weight of the corn starch granulating age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granulated product, it was 0.2 kg, and when it was taken out in a bag of 20 kg, 30% was collapsed in the work of filling the bag, and powder or the like was difficult to handle.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을 사용하여 알긴산소다를 결합제로 하여 조립하였다.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was used to assemble sodium alginate as a binder.

7.7 중량부의 알긴산소다에, 90.5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휘저어 현탁시킨 후, 서서히 가열하여 80℃ 까지 승온시켰다. 그 후 48%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1.2 중량부 첨가하고, 가열한 상태에서 30 분 계속 휘저었다. 그 후 냉각된 것을 알긴산소다 조립제로 사용하였다.To 7.7 parts by weight of sodium alginate, 90.5 parts by weight of water was added and stirred to suspend, followed by gradually heating to raise the temperature to 80 ° C. Thereafter, 1.2 parts by weight of a 48%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added, and stirring was continued for 30 minutes while heating. Thereafter, the cooled product was used as a sodium alginate granulating agent.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작성한 체 직경 250 ㎛ 이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100 중량부에, 알긴산소다 조립제를 7 중량부 첨가하고, 다시 물 28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팬조립기로 조립하였다. 만들어진 입자를 105℃ 에서 12 시간 건조시킨 후 그물코 크기 4 ㎜ 및 1 ㎜ 인 체를 사용하여 체 직경 1∼4 ㎜ 의 조립품을 수득했다. 이 조립품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0 ㎏ 이고, 20 ㎏ 의 포대에 채워 꺼낸 결과, 포대에 채우는 작업에서 입자의 80% 가 붕괴되어 분말 등이 날려 취급하기 어려웠다.To 100 parts by weight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250 μm or les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7 parts by weight of a sodium alginate granulating agent was added, and then 28 parts by weight of water were added to mix well, followed by granulation with a fan granulator. . The resulting particles were dried at 105 ° C. for 12 hours, and a granule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4 mm was obtained using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4 mm and 1 mm.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rdness of this granulated product, it was 0 kg, and it was taken out in the bag of 20 kg, and when 80% of particle | grains collapsed at the time of filling in a bag, powder etc. were difficult to handle.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경량 기포 콘크리트 분말 100 중량부에, 알긴산소다 조립제를 54 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체 직경 1∼4 ㎜ 의 조립품을 수득했다. 이 조립품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0.2 ㎏ 이고, 20 ㎏ 의 포대에 채워 꺼낸 결과, 포대에 채우는 작업에서 입자의 30% 가 붕괴되어 분말 등이 날려 취급하기 어려웠다.A granulated product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4 m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3 except that 54 parts by weight of a sodium alginate granulating age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owd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granulated product, it was 0.2 kg, and the bag was taken out in a 20 kg bag. As a result, 30% of the particles collapsed in the bag filling operation, so that the powder or the like was difficult to handle.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파쇄상 규산질 비료로 사용한 무논시험을 나타낸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서 아사히카세이고교(주) 제조의 헤베르라이트를 햄머로 두드려 조분쇄하여, 내부의 보강 러스 망부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부를 분리하였다.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부를 분쇄하여 그물코 크기 1.00 ㎜ 및 10 ㎜ 인 체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체 직경 1∼10 ㎜ 의 파쇄상 규산질 비료를 수득했다. 이 파쇄상 규산질 비료의 입자 경도측정, pH 측정, 가용성 규산 함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Demonstrates the Munnon test using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s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Heberlite manufactured by Asahi Kasei Kogyo Co., Ltd. was hammered and pulverized with a hammer as light weight foam concrete, and the internal reinforcing russ net part and the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rt were separated. Thi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rt was pulverized and filtered using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1.00 mm and 10 mm to obtain a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10 mm. Particle hardness measurement, pH measurement, and soluble silicic acid content measurement of this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이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송시험을 실시한 결과, 변형율은 6.5 중량% 이었다.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as trans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strain was 6.5% by weight.

수득되는 파쇄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비료의 기계산포를 실시하였지만, 파쇄상 규산질 비료가 비료산포용 호퍼출구에서 막혀 기계산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손으로 파쇄상 규산질 비료를 산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육성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파쇄상 규산질 비료를 맨손으로 취급한 결과, 손에 작은 상처가 생기고 또 분말이 눈에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었다.The mechanical dispersion of the fertilizer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obtained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but the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was blocked at the hopper outlet for fertilizer spreading and could not be mechanically dispersed. Therefore, rice non-non-growth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was dispersed by hand. As in Example 1, when the shredded siliceous fertilizer was handled with bare hands, there was a problem that small scratches occurred on the hands and the powder entered the eyes.

실시예 1 의 입상 규산질 비료 대신에 파쇄상 규산질 비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육성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9월 중순에 벼를 베어, 무논 1㎡ 당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시비한 경우, 실시예 1∼5 와 거의 동등한 비료 효과가 있었다.Rice non-non-growth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was used instead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Example 1.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rice was cut in mid-September, and the dry weight of the rice ground portion per 1 m 2 of no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dry rice portion of the rice paddy,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munon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When crush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as fertilized, there was a fertilizer effect almost equivalent to Examples 1 to 5.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실시예 1 의 입상 규산질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벼의 무논육성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9월 중순에 벼를 베어, 무논 1㎡ 당의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무논 1㎡ 당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Rice non-non-growth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Example 1 was not fertiliz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rice was cut in mid-September, and the weight of the dry matter of the rice top portion per 1 m 2 of mun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dry rice portion of the rice top portion, and the sine rice weight obtainable per 1 m 2 of munon were determ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규산질비료를 시비하지 않으면, 시비한 실시예 1∼5 에 비교하여,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및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모두가 작아, 수도의 영양상, 실시예 1∼5 에 비해 양호하지 않았다.As can be seen from Table 3, when the siliceous fertilizer is not fertilized, the dry weight of the rice paddy field,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rice paddy ground section, and the sage rice weight obtainable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fertilized Examples 1-5. In terms of nutrition, it was not good as compared with Examples 1-5.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규산질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벼육묘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The result of having conducted a rice seedling test without using a siliceous fertilizer is shown.

벼육묘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3000 g 을, 실시예 11 의 입상 규산질 비료 1500 g 과 수도육묘용배토 (가따꾸라치카린(주) 제조의 입상 파아루마토) 1500 g 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 대신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1,500 g of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Example 11 and granular paarmato of granulated seedling soil (Katakurachikarin Co., Ltd. make) 3000 g of rice seedling soil (Grancura Chicarin Co., Ltd. make) ) The same rice seedling test as in Example 11 was conducted except that 1500 g was used instead of uniformly mixing.

파종 3 일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여 표 10 에 나타낸다. 파종후 35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의 문제는 없었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측정,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측정,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Table 10 shows the rate and germination rate of seed exposure or roots in sprouted seedlings after 3 days of sowing. More seedlings were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as no problem in appearance such as leaf color and obstacle of seedling. Table 1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ry weight of the ric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파쇄상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파쇄상 규산 비료로 사용하여, 벼육묘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The result of having performed rice seedling test using crush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s crushed silicic acid fertilizer is shown.

실시예 11 의 입상 규산 비료 1500 g 대신에, 비교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수득되는 체 직경 1∼6 ㎜ 의 파쇄상 규산 비료 150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벼육묘 시험을 실시하였다.A rice seedling t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1500 g of a crushed siliceous fertilizer having a sieve diameter of 1 to 6 mm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7 was used instead of the 1500 g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Example 11. Was carried out.

파종 3 일 후에 출아묘에서의 종자 노출 또는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및 발아율을 측정하여 표 10 에 나타낸다. 파종후 35 일간 묘를 더 발육시켰다. 묘의 잎색이나 장해 등 외관상 문제는 있었다. 외관상 성장이 느리고, 잎색이 황색이 되었으나, 병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벼묘의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벼묘의 발아 및 육묘 후의 육성이 양호하지 않았다.Three days after sowing, the rate and germination rate of seed exposure or roots in the sprouted seedling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0. More seedlings were developed for 35 days after sowing. There were problems in appearance such as the color of the seedlings and the obstacles. In appearance, the growth was slow and the leaf color became yellow, but no disease was observed. Table 1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ry weight of the rice seedling ground portion, the silicic acid conten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and the dry weight of the seedling ground portion (root). Growth of rice seedlings and growth after seedlings were not good.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원료Siliceous raw materials 공극율 측정 (%)Porosity measurement (%) 터보모라이트 결정 측정Turbomorite Crystal Measurement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실시예 1Example 1 7777 터보모라이트 결정을 명확히 확인Clearly confirm turbomorite crystals 2929 실시예 2Example 2 7777 터보모라이트 결정을 명확히 확인Clearly confirm turbomorite crystals 2929 실시예 3Example 3 7777 터보모라이트 결정을 명확히 확인Clearly confirm turbomorite crystals 2929 실시예 4Example 4 7878 터보모라이트 결정을 명확히 확인Clearly confirm turbomorite crystals 2828 실시예 5Example 5 7575 터보모라이트 결정을 명확히 확인Clearly confirm turbomorite crystals 2929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비료Siliceous fertilizer 유기폴리머의함유량 (중량%)Content of Organic Polymer (wt%) 입경도 측정(kg)Particle size measurement (kg) pH 측정pH measurement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실시예 1Example 1 1.21.2 3.13.1 10.510.5 2929 실시예 2Example 2 0.40.4 2.22.2 10.510.5 2929 실시예 3Example 3 3.03.0 4.54.5 10.510.5 2727 실시예 4Example 4 1.21.2 3.03.0 10.210.2 2828 실시예 5Example 5 1.21.2 2.12.1 10.510.5 2929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 0.30.3 10.210.2 2828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kg/㎡)Weight of dry ground in rice (kg / ㎡)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중량%)Silicic acid content of dry matter in rice field (wt%)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kg/㎡)Obtainable Sine Rice Weight 실시예 1Example 1 1.751.75 1717 0.700.70 실시예 2Example 2 1.651.65 1616 0.680.68 실시예 3Example 3 1.621.62 1616 0.660.66 실시예 4Example 4 1.731.73 1717 0.700.70 실시예 5Example 5 1.731.73 1717 0.700.70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1.621.62 1616 0.680.68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1.451.45 1010 0.550.55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원료Siliceous raw materials 공극율 측정 (%)Porosity measurement (%)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실시예 6Example 6 6565 2626 실시예 7Example 7 6464 2626 실시예 8Example 8 6262 2626 실시예 9Example 9 6464 2626 실시예 10Example 10 6464 2626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비료Siliceous fertilizer 유기 폴리머의 함유량 (중량%)Content of organic polymer (wt%) 입경도 측정(kg)Particle size measurement (kg) pH 측정pH measurement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실시예 6Example 6 1.21.2 3.13.1 8.08.0 2626 실시예 7Example 7 1.21.2 3.03.0 5.05.0 2626 실시예 8Example 8 1.21.2 3.13.1 3.53.5 2626 실시예 9Example 9 1.21.2 2.62.6 4.84.8 1414 실시예 10Example 10 1.21.2 2.22.2 4.84.8 1414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벼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kg/㎡)Weight of dry ground in rice (kg / ㎡) 벼 지상부 건조물의 규산 함유율 (중량%)Silicic acid content of dry matter in rice field (wt%) 수득가능한 정현미 중량 (kg/㎡)Obtainable Sine Rice Weight 실시예 6Example 6 1.801.80 1717 0.720.72 실시예 7Example 7 1.981.98 2020 0.780.78 실시예 8Example 8 1.821.82 1818 0.690.69 실시예 9Example 9 1.961.96 1919 0.770.77 실시예 10Example 10 1.941.94 1919 0.780.78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원료Siliceous raw materials 공극율 측정 (%)Porosity measurement (%)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실시예 11Example 11 6464 2626 실시예 12Example 12 6262 2626 실시예 13Example 13 6464 2626 실시예 14Example 14 6161 2626 실시예 15Example 15 6464 2626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비료Siliceous fertilizer 유기 폴리머 함유량(중량%)Organic polymer content (% by weight) 입경도 (kg)Particle size (kg) pHpH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수중 형상 유지성 (일)Underwater shape retention (day) 실시예 11Example 11 1.21.2 3.03.0 6.86.8 2626 77 실시예 12Example 12 1.21.2 3.03.0 5.95.9 2626 88 실시예 13Example 13 1.21.2 3.13.1 5.25.2 2626 99 실시예 14Example 14 1.21.2 3.03.0 4.54.5 2626 99 실시예 15Example 15 1.21.2 3.03.0 4.14.1 2626 88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입경도 측정 (kg)Particle size measurement (kg) 제조 직후(kg)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kg) 제조 1 개월 후(kg)1 month after manufacture (kg) 제조 6 개월 후(kg)6 months after manufacture (kg) 제조 1 년 후(kg)1 year after manufacture (kg) 실시예 11Example 11 3.03.0 3.03.0 3.13.1 3.03.0 실시예 12Example 12 3.03.0 3.13.1 3.23.2 3.13.1 실시예 13Example 13 3.13.1 3.03.0 3.13.1 2.92.9 실시예 14Example 14 3.03.0 3.03.0 3.13.1 2.92.9 실시예 15Example 15 3.03.0 2.92.9 3.03.0 3.03.0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종자 노출 및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Seed exposure and root exposure rate (%) 발아율(%)Germination rate (%) 실시예 11Example 11 0.30.3 8383 실시예 12Example 12 0.00.0 8585 실시예 13Example 13 0.50.5 8585 실시예 14Example 14 0.20.2 8787 실시예 15Example 15 0.00.0 8282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0.30.3 8282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12.412.4 3838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g)Weight of dry ground at the seedling ground (g)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율 (중량%)Silicic acid content in the seedling ground (% by weight)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중량 (g)Weight of dry matter (g) of seedling basement (root) 실시예 11Example 11 23.223.2 6.56.5 6.86.8 실시예 12Example 12 23.723.7 6.76.7 7.47.4 실시예 13Example 13 26.426.4 6.86.8 7.97.9 실시예 14Example 14 27.327.3 6.86.8 8.28.2 실시예 15Example 15 24.624.6 6.16.1 7.27.2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19.219.2 1.21.2 5.65.6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15.815.8 4.24.2 4.24.2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규산질 비료Siliceous fertilizer 유기 폴리머의 함유량(중량%)Content of organic polymer (% by weight) 입경도(%)Particle size (%) pHpH 가용성 규산 함유량 (중량%)Soluble silicic acid content (% by weight) 수중 형상 유지성 (일)Underwater shape retention (day) 실시예 16Example 16 1.21.2 2.52.5 6.66.6 1414 77 실시예 17Example 17 1.21.2 2.52.5 5.15.1 1414 88 실시예 18Example 18 1.21.2 2.72.7 4.24.2 1414 88 실시예 19Example 19 1.21.2 2.52.5 6.66.6 1414 88 실시예 20Example 20 1.21.2 2.62.6 5.15.1 1414 88 실시예 21Example 21 1.21.2 2.52.5 4.24.2 1414 88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종자 노출 및 뿌리가 드러나는 비율 (%)Seed exposure and root exposure rate (%) 발아율 (%)Germination Rate (%) 실시예 16Example 16 0.20.2 8484 실시예 17Example 17 0.30.3 8686 실시예 18Example 18 0.30.3 8686 실시예 19Example 19 0.20.2 8585 실시예 20Example 20 0.40.4 8787 실시예 21Example 21 0.20.2 8686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묘 지상부의 건조물 중량 (%)Weight of dry ground at seedling ground (%) 묘 지상부의 규산 함유량 (%)Silicate content of seedling ground (%) 묘 지하부 (뿌리) 의 건조물 함량 (g)Dry matter content of seedling subterranean roots (g) 실시예 16Example 16 25.225.2 6.86.8 8.18.1 실시예 17Example 17 27.827.8 7.17.1 8.68.6 실시예 18Example 18 25.325.3 7.07.0 8.08.0 실시예 19Example 19 27.527.5 7.37.3 8.68.6 실시예 20Example 20 28.328.3 8.18.1 8.88.8 실시예 21Example 21 27.927.9 7.67.6 8.38.3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는, 결합제가 적은데다 입자 경도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잘 변형되지 않아 운반이나 산포 중에 쉽게 가루가 날리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는 규산질 비료로서의 비료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의 입상 규산질 비료는, 입상이기 때문에 기계산포가 용이하고, 손으로도 산포하기 쉽고, 산포할 때에 눈에 들어가거나 손 등에 상처를 낼 우려도 적다. 또 입상이기 때문에 뿌리의 통기성이 좋고, 뿌리의 발육도 좋다.Since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 in binder and sufficiently high in particle hardness,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is not easily deformed and powder is not easily blown during transportation or dispersion. Moreover,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is invention has a big fertilizer effect as a siliceous fertilizer. Since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anular, mechanical dispersal is easy, and it is easy to disperse by hand, and when dispersing,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getting into the eyes or damaging the hand. Moreover, because of the granularity,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oot is good, and the growth of the root is also good.

그리고 비료의 원료로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의 수열합성으로 수득되는 규산질 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폐재를 리사이클 원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결과적으로 저비용으로 규산질 비료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aste materials containing a silicate calcium hydrate hydrate crystal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such as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an be used as a recycling raw material as a raw material of fertiliz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resulting in the supply of siliceous fertilizers at low cost.

또 규산질재를 산으로 중화하여,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입상 규산질 비료는, 벼의 무논 및 육묘의 양쪽에서 규산질 비료로서의 효과가 높았다.Moreover,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which neutralized the siliceous material with acid and adjusted pH to 3.5-8.0 had the high effect as a siliceous fertilizer in both munon and seedling of rice.

Claims (24)

공극율이 50 내지 90% 인 규산질 원료를 40 중량%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분말원료에 유기질 폴리머를 결합제로서 첨가하고 조립하여 수득되는 입상 규산질 비료로서, 이 결합제의 함유량이 0.8 중량% 내지 1.5 중량% 이고, 입자 경도가 2 내지 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입상 규산질 비료.A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obtained by adding an organic polymer as a binder to a powder raw material containing 40 to 100% by weight of a siliceous raw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and having a content of 0.8 to 1.5% by weight. And a particle hardness of 2 to 5 k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escribed above. 제 1 항에 있어서, 규산질 원료가 수열합성으로 수득될 수 있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liceous raw material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that can be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제 1 항에 있어서, 규산질 원료가 수열합성으로 수득될 수 있는 규산칼슘 수화결정을 함유하는 규산질재를 산으로 중화시키고, pH 를 3.5∼8.0 으로 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liceous raw material is a siliceous material containing calcium silicate hydrate crystals that can be obtained by hydrothermal synthesis and neutralized with an acid, and the pH is adjusted to 3.5 to 8.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원료가 배토를 30 내지 5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owder raw material contains 30 to 55% by weight of cla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원료가 그물코 크기 250 ㎛ 인 체를 통과하는 입자를 70 내지 100 중량% 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owder raw material contains 70 to 100% by weight of particles passing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250 µm.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질 폴리머가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polymer is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or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질 폴리머가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3.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rganic polymer is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or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제 3 항에 있어서, 유기질 폴리머가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4.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rganic polymer is an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or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emulsion resi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8 항,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체 입경이 1∼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규산질 비료.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8, 16 and 17, wherein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has a body particle size of 1 to 20 m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8 항,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에 추가로 배토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formed by further covering clay with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3, 8, 16, and 17. 공극율이 50 내지 90% 인 규산질 원료를 40 중량%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분말원료에 이 분말원료의 10 내지 50 중량% 인 양의 물을 산포하여 함침시킨 후,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계 에멀젼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질 폴리머 용액 또는 분산액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8 항,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의 제조방법.After impregnating a powder raw material containing 40% to 100% by weight of a siliceous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by dispersing water in an amount of 10 to 50% by weight of the powder raw material, the aqueous acrylic emulsion resin or styrene-butadiene air is impregnated.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8, 16 and 17, comprising granulating by adding and stirring an organic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selected from the total emulsion res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describ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8 항,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재배 토양용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재배방법.A plant cultivation method comprising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8, 16 and 17 as a fertilizer for cultivation soi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8 항,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 재배 토양용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의 재배방법.A method for growing rice, comprising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8, 16 and 17 as a fertilizer for rice growing soil. 제 3 항에 기재된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육묘재배용 토양용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의 재배방법.A method of cultivating rice, comprising using the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3 as a fertilizer for rice seedling cultivation. 제 19 항에 기재된 피복 입상 규산질 비료를 벼육묘 재배용 상토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의 재배방법.A method of cultivating rice, comprising using the coated granular siliceous fertilizer according to claim 19 as a top soil for rice seedling cultivation.
KR10-2002-7007841A 1999-12-21 2000-12-19 Granular silica fertilizers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7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222999 1999-12-21
JPJP-P-1999-00362229 1999-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978A KR20020062978A (en) 2002-07-31
KR100503703B1 true KR100503703B1 (en) 2005-07-25

Family

ID=1847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8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703B1 (en) 1999-12-21 2000-12-19 Granular silica fertilizer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51257B2 (en)
KR (1) KR100503703B1 (en)
AU (1) AU1894801A (en)
WO (1) WO200104608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25441A1 (en) * 2002-03-05 2003-09-16 Ewan Malcolm Campbell Silica based fertiliser
KR101010777B1 (en) * 2003-07-19 2011-01-25 주식회사 포스코 Rotary composite lance for low temperature cutting in electric furnace
JP6671327B2 (en) * 2017-03-24 2020-03-25 エムシー・ファーティコム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oxamide
KR102139699B1 (en) * 2017-09-08 2020-07-31 주식회사 경농 Composition for soil humecting and floccula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46208B1 (en) * 1956-06-25 1959-07-17
JPS463088B1 (en) * 1965-06-28 1971-01-26
JPS487057B1 (en) * 1969-08-29 1973-03-02
JPS4837457B1 (en) * 1969-12-29 1973-11-12
JPS4890851A (en) * 1972-03-01 1973-11-27
JPS55130888A (en) * 1979-03-30 1980-10-11 Chisso Corp Chemical fertilizer from silicic acid glue and its manufacture
JPS57149885A (en) * 1981-03-13 1982-09-16 Nippon Chemical Ind Fused phosphate pellets and manufacture
JPS6144712A (en) * 1984-08-10 1986-03-04 Onoda Kagaku Kogyo Kk Production of porous lightweight calcium silicate
JPH01270583A (en) * 1988-04-18 1989-10-27 Iida Kogyosho:Kk Granular fertilizer and production thereof
JPH0798710B2 (en) * 1988-05-13 1995-10-25 小野田エー・エル・シー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fertilizer
JPH01317185A (en) * 1988-06-17 1989-12-21 Nisshin Oil Mills Ltd:The Production of fertilizer of oil cake
JPH0212906A (en) * 1988-06-30 1990-01-17 Fujitsu General Ltd Method for trimming thin-film resistance body
JPH02129086A (en) * 1988-11-08 1990-05-17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Organic fertilizer of bark-like matter
JP2604633B2 (en) * 1989-08-11 1997-04-30 小野田化学工業株式会社 Porous siliceous granules
JP2612655B2 (en) * 1991-12-02 1997-05-21 イソライト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material for improving water permeability and water retention of soil
JP3028994B2 (en) * 1992-09-18 2000-04-04 小野田エー・エル・シー株式会社 Silicate fertilizer for rice and method of fertilizing rice suitable for mechanical spraying
JPH11103702A (en) * 1997-10-03 1999-04-20 Sasagu Terao Porous ceramic medium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6089A1 (en) 2001-06-28
KR20020062978A (en) 2002-07-31
AU1894801A (en) 2001-07-03
JP4651257B2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8308B1 (en) Polyhalite coated seed preparation
AU2008312121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oil treatments
US20090270257A1 (en)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containing calcium sulfate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JP3969810B2 (en) Fertilizer medium
CN109627084A (en) A kind of carbon-based mineral member soil conditio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503703B1 (en) Granular silica fertilizers
WO2017175017A1 (en) Eco-friendly surface-treatment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olid fertilizers to prevent agglutination and pulverization, to retard water uptake and at the same time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CN109071369A (en) mineral fertilizer
JP4153587B2 (en) Granular medium and mixed medium using the same
US20220204417A1 (en) Phosphogypsum containing fertilizer granules
CN107955621A (en) Alkalized solonchak seed dressing material and it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JP2000139207A (en) Granular medium and mixed medium using the same
JP2000004670A (en) Granular phosphoric acid medium and material for fertilizing seedling containers using the same
JP2001172092A (en) Silicate fertilizer granulated product
JP3882142B2 (en) Disintegrating granular plaster
JP2001340017A (en) Granular medium, seedling container fertilizer material using the same, and crop cultivation method
JP2001181073A (en) Silica fertilizer mixed with granular soil
TW567179B (en) Granular silica fertilizers
JP2002291332A (en) Medium, granular medium,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medium,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
JP4141528B2 (en) Lightweight medium and mixed medium using the same
JP2000095613A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rice disease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H06293583A (en) Silica fertilizer for mechanical spraying
CN106316715A (en) Ecological drought resistant and water-retaining compound fertilizer and making method thereof
JPH10338604A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disease damage of paddy rice plant and control used therefor
JP2004024266A (en)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