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0959B1 -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959B1
KR100500959B1 KR10-2002-0073307A KR20020073307A KR100500959B1 KR 100500959 B1 KR100500959 B1 KR 100500959B1 KR 20020073307 A KR20020073307 A KR 20020073307A KR 100500959 B1 KR100500959 B1 KR 10050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de
base station
called number
external lin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506A (ko
Inventor
류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2-007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9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9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통화 처리 방법은 상기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번호로부터 지역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착신번호에서 상기 지역번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번호가 제거된 착신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Method of Call Processing for Private Base St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PBS : Private Base Station)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형 단말기(이하, 복합형 단말기라 칭함)에 착신번호를 입력하고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발신하였을 때, 그 착신번호가 시내 지역번호를 포함하더라도 시내 전화통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에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가정용 무선전화 방식(CT1 : Cordless Telephone 1)에서 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싣고 있는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신호를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복합형 단말기는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모드로 상호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중일 때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댁내에 있을 때에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을 통하여 유선 전화망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합형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때, 두 가지 통신 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복합형 단말기로써 두 가지 통신 방법을 모두 지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잇점을 제공하고 두 대의 단말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시내 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을 통하여 유선전화 통화를 시도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더 상세한 설명을 하면,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시내 전화번호더라도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을 사용하기 위하여 지역번호를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시내에서 시내로 통화를 하고자할 때에는 시내 전화번호에 이러한 지역번호가 포함되면, 통화 연결이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02-565-6727"번이며 사용자의 주거지역이 서울시(사용자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서울 지역의 유선 전화망에 연결됨)라고 가정한다. 이때, 번호 "02"는 서울시의 지역번호를 나타내는 값이다.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에서 서울 지역의 유선 전화망에 연결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하고자 한다면, 상기의 서울시의 지역번호는 불필요하게 첨부된 번호가 되며 이러한 통화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즉,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일반적으로 지역번호를 포함하여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로 상기 지역번호와 동일한 지역의 유선 전화망에 연결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을 통하여 통화를 하는 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 다른 불편함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가 구비된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구내에 사설 교환기가 존재할 때는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전화번호에 포함시켜 통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사무실 내에서 "02-565-6727"번으로 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외부회선 인식번호인 "9"(여기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9"라고 가정한다)를 포함시켜 "9-02-565-6727"번으로 통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의한 통화 처리 방법은 복합형 단말기에 저장된 지역번호가 포함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사무실에서 사용될 때에는 사용자가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포함시켜서 전화통화를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연결된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때, 복합형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수정함이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가 구비된 사무실 내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의 포함 유무에 관계없이 복합형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로 통화가 되도록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통화 처리 방법은 상기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번호로부터 지역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착신번호에서 상기 지역번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번호가 제거된 착신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통화 처리 방법은 상기 착신번호가 외부회선 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번호가 외부회선 번호인 경우에, 상기 착신번호에 미리 설정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장치는 상기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연결된 유선 전화망의 지역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기능 설정부, 상기 설정된 지역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에서 지역번호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중복된 지역번호를 제거하는 착신번호 처리부, 유선 전화망에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전화망 송신부, 유선 전화망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전화망 수신부, 복합형 단말기에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단말기 송신부 및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단말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처리기능 설정부는 상기 사설 교환기의 외부회선 식별을 위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설정하는 기능이 더 수행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설 교환기의 외부회선 식별을 위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더 저장되되, 상기 착신번호 처리부는 상기 착신번호가 외부회선 번호이고 상기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상기 착신번호에 삽입하는 기능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 및 유선 전화망을 통한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복합형 단말기의 전화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은 간단하게 기지국(110), 기지국 제어기(120), 무선 교환국(130) 및 관문국(1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전화망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150) 및 사설 교환국(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설 교환국(160)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사무실 내에 사설 전화망을 별도로 구성하거나 동시에 유선 전화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무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문국(140)은 이동 통신망과 유선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 데이터 통신망 등의 서로 다른 망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합형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모드로 설정이 되었을 때에는 기지국(110)에 연결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 또는 그 외 기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모드로 설정이 되었을 때에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110)에 연결된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 또는 그 외 기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설 교환국이 구비된 사무실 내에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110)이 사용될 때에는 사설 교환국(160)을 통하여 유선 전화망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복합형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복합형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각각의 단말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유선전화를 사용하는 것이 통화요금을 고려할 때 더욱 저렴하다면 가정에서나 사무실에서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할 필요없이 저렴하고 편리한 유선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망이 아닌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통화을 원할 때, 복합형 단말기(200)에서 발신을 하면 복합형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은 상기 사용자의 통화를 유선 전화망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사무실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사무실 등의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구내를 연결하거나 외부회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사설 교환기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은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실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구성된다.
사용자의 통화 요청은 상대방의 전화번호인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복합형 단말기(200)의 주소록에 미리 저장된 착신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은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착신번호가 지역번호를 포함하더라도 지역번호에 관계없이 착신번호로 사용자의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이 서울 지역의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200)를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모드로 통화를 한다면, 사용자는 복합형 단말기(200)의 주소록에 미리 저장된 하나의 착신번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착신번호가 서울의 지역번호를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은 사용자에게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착신번호가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02-565-6727"로 저장되어 있고,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이 서울 지역의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다면, 일반적으로는 착신번호 "565-6727"로 발신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서는 사용자가 착신번호 "02-565-6727"로 발신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착신번호 "565-6727"로 정확히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기능을 살펴보면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이 사설 교환기가 구비된 사무실 내에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착신번호에 외부회선임을 알리는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포함하여 발신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210)은 착신번호에 이러한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착신번호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메모리(325), 착신번호 처리부(320), 처리기능 설정부(310), 유선 전화망 송수신부(330) 및 무선 단말기 송수신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기능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리기능 설정부(3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지역번호 및 외부회선 인식번호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역번호에 대한 설정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연결된 유선 전화망의 지역번호를 설정하는 것으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서울 지역에서 사용될 때에는 서울의 지역번호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 서울시의 지역번호는 "02"번이므로, 사용자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지역번호 "02"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번호를 설정하는 이유는 설정된 지역번호와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에 동일한 지역번호가 포함되었을 때 이 번호를 그대로 착신번호로 발신을 수행하면 통화가 불가능하므로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무실에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외부회선의 연결은 사무실내에 구비된 사설 교환기를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발신을 할 때, 사설 교환기에서 외부회선임을 알 수 있도록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포함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회선 인식번호는 "9"가 사용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처리기능 설정부(310)는 이러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사용자가 더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설정된 외부회선 인식번호는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에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착신번호에 포함시키지 않고 발신을 하더라도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서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에 설정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삽입시킴으로써,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325)는 처리기능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유선 전화망의 지역번호, 외부회선 인식번호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5)에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착신번호가 구내번호 또는 외부회선 번호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들이 더 저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착신번호 처리부(320)는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에 대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행 기능들은 상기의 처리기능 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여러 가지의 설정 인자들에 상응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에 지역번호 포함 유무 및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설정된 지역번호 등을 비교 판단하여, 수신된 착신번호와 설정된 지역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를 제거하고 발신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의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의 포함 유무 등을 판단하여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불포함시에는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삽입하여 발신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유선 전화망 송수신부(330)는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음성신호는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송수신될 때, 반송파에 변조되어 송신되거나 수신된다. 그러므로, 유선 전화망 송수신부(330)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연결된 유선 전화망으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싣고 있는 반송파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수신 기능과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반송파에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단말기 송수신부(340)는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반송파를 송수신한다. 복합형 단말기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간에 반송파는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복합형 단말기에서 이러한 반송파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반송파는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곧바로 송신할 수 없다.
DCN(Digital Cellular Network) 방식의 이동통신 무선 네트워크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800MHz 대역의 반송파가 사용된다. 그리고 무선 전화기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간에는 40MHz 대역 또는 900MHz 대역의 반송파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로 사용되는 복합형 단말기에서 이러한 두 가지 통신 방식의 전파 특성의 유사성 등을 고려할 때, 무선 주파수를 처리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의 구성을 유사하게 할 수 있는 900MHz 대역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의 900MHz 대역의 반송파를 사용하는 이유는 복합형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로의 통신 방식 전환시에 RF 모듈의 구성의 변화가 적고 따라서 그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 송수신부(340)는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신호는 유선 전화망 송수신부(330)에서 변조하여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유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무선 단말기 송수신부(340)에서 변조하여 복합형 단말기로 송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처리기능 설정부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처리기능 설정부의 각각의 단계를 설명한다.
단계 S410에서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연결된 유선 전화망의 지역번호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서울 지역의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다면, 지역번호 "02"로 설정된다.
단계 S420에서는 외부회선이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된다면 단계 S430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단계 S430에서는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사설 교환기의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9"라면 이를 설정한다. 이러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는 사설 교환기의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440에서는 단계 S410에서 설정한 지역번호가 저장되고,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된다면 단계 S430에서 설정한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저장되고 처리기능 설정부의 절차가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착신번호 처리부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착신번호 처리부에서 착신번호를 처리하는 절차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단계 S510에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착신번호는 사용자가 직접 복합형 단말기에 입력하여 송신한 것일 수도 있으며, 복합형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미리 저장된 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발신할 수도 있으며, 유선 전화망이 연결된 지역번호 또는 외부회선 인식번호에 대한 인식을 미리하고 있다면 직접 복합형 단말기에 정확한 착신번호를 입력하여 발신할 수도 있다.
단계 S520에서는 단계 S510에서 수신된 착신번호가 사설 교환기가 구비된 사무실의 착신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사무실내의 전화번호는 일반적으로 "구내번호"라고 명명하며, 단계 S520에서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미리 설정된 구내번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착신번호가 구내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하나의 회사에서 서로 떨어진 수개의 사무실이 있다고 가정하면, 각각의 사무실마다 별도의 사설 교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설 교환기는 고유한 인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갑이라는 회사에 사무실 A, 사무실 B 및 사무실 C가 있으며, 각각 사설 교환기가 인식번호 "100"번, 인식번호 "200"번 및 인식번호 "300"번일 때, 구내번호는 이러한 사설 교환기 인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는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가 외부 전화번호일 때,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외부회선 인식번호는 사설 교환기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9"를 사용한다. 이러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를 통하여 외부회선에 연결될 때, 사설 교환기가 상기의 착신번호가 외부 전화번호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착신번호에 포함되지 않을 때는 외부로 발신할 수 없으므로 단계 S530에서 외부회선 인식번호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시에는 곧바로 단계 S550으로 진행된다.
단계 S540에서는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포함되지 않았을 때,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서 이러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삽입하여 사설 교환기가 상기의 착신번호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단계 S520, 단계 S530 및 단계 S540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됨을 가정하였을 때 필요한 단계들로서,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는 생략될 수 있는 단계들임을 밝혀둔다.
단계 S550에서는 상기의 착신번호가 지역번호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지역번호가 포함되었을 때에는 단계 S560으로 진행되며, 지역번호를 포함하지 않았을 때에는 단계 S580으로 진행된다.
단계 S560에서는 상기의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외부회선이 서울 지역에 연결되어 있어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미리 서울의 지역번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서울의 지역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S570에서는 단계 S560에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동일할 때,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를 제거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에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동일하다면 사용자는 "시내전화"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착신번호에 포함된 지역번호는 불필요하며, 이를 제거하여 발신하여야 사용자가 요구하는 착신번호에 올바르게 통화가 연결된다.
단계 S580에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상기의 단계 S520 내지 단계 S570가 수행되어 변경된 착신번호로 연결한다.
상술한 단계들을 실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회선은 서울 지역의 유선 전화망임을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 "02-565-6727"로 발신하면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이 번호를 착신번호로 수신한다. 이러한 착신번호는 구내번호가 아닌 외부회선을 사용하는 번호이므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 "9"가 삽입한다. 따라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착신번호 "02-565-6727"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최종적으로 착신번호를 "9-565-6727"로 변경하여 발신한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복합형 단말기에 착신번호를 입력한다면, 지역번호와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인식하여 착신번호에 포함시켜 발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이러한 인식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요구한 착신번호로 발신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을 통하여 통화를 한다면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착신번호를 사용자가 변형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유선 전화망이 연결된 지역 또는 사설 교환기의 존재 여부에 의한 착신번호를 변형없이 발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송수신부의 처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선 전화망 송수신부(330)는 유선 전화망 송신부(610) 및 유선회선 수신부(6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 송수신부(340)는 무선 단말기 송신부(630) 및 무선 단말기 수신부(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은 사설 교환기(650)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유선회선 송신부(610) 및 유선회선 수신부(620)는 실제 물리적인 전화선(UTP : Unsheiled Twisted Pair Cable)인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전화망에 송신하고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유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무선단말기 송신부(630) 및 무선단말기 수신부(640)는 복합형 단말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한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복합형 단말기에 송신하고,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복합형 단말기와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간에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다이얼 톤(dial tone)은 900MHz 대역의 반송파(이하 무선 반송파라 칭함)를 사용하여 변조 및 복조가 수행되므로,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반송파가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곧바로 송신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즉 유선 전화망과 무선 전화망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사용하므로 무선 전화망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싣고 있는 무선 반송파를 그대로 유선 전화망으로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반송파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유선 전화망 및 무선 전화망 각각의 반송파(무선 반송파 및 유선 반송파)에 적합하도록 변조해야함은 물론이다.
무선단말기 수신부(640)는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싣고 있는 무선 반송파를 수신하고, 무선 반송파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추출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유선회선 송신부(610)에서 유선 전화망의 반송파(이하, 유선 반송파라 칭함)에 적합하도록 변조하여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송신된다.
이와 쌍대적으로 유선회선 수신부(620)는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싣고 있는 유선 반송파를 수신하고, 유선 반송파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추출한다. 이러한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무선단말기 송신부(630)에서 무선 반송파에 적합하도록 변조하여 무선 전화망을 통하여 복합형 단말기로 송신된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660)를 이용하여 착신번호로 발신하는 과정 및 상기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상대방과의 통화가 연결되어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상호 통화가 연결되는 과정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복합형 단말기(660)에서 발신을 하면, 이러한 발신신호를 무선단말기 수신부(640)에서 무선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고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다이얼 톤을 추출하여 착신번호 처리부(320)에서 그에 상응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착신번호를 변형한다.
이렇게 변형된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유선회선 송신부(610)는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발신한다. 유선 전화망은 사무실 등에서 사용될 때 사설 교환기(650)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단계들을 통하여 복합형 단말기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통화가 연결되면, 무선단말기 수신부(640)에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무선 반송파에 변조되어 수신되므로 이를 추출하고 유선회선 송신부(610)에서 유선 반송파에 적합하게 변조되어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유선회선 수신부(620)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유선 반송파에 변조되어 수신되므로 이를 추출하고 무선단말기 송신부(620)에서 무선 반송파에 적합하게 변조되어 복합형 단말기(660)로 송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복합형 단말기에 착신번호를 입력한다면, 지역번호와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인식하여 착신번호에 포함시켜 발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이러한 인식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요구한 착신번호로 발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사설 교환기를 거쳐서 외부회선에 연결될 때, 사용자는 사설 교환기가 인식하는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착신번호에 포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복합형 단말기의 주소록에 미리 저장된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때 사용자는 유선 전화망이 연결된 지역 또는 사설 교환기의 존재 여부에 의한 착신번호를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 및 유선 전화망을 통한 복합형 단말기의 전화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처리기능 설정부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착신번호 처리부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송수신부의 처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6)

  1.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의 통화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착신번호는 적어도 지역번호와 전화번호를 포함함-;
    상기 착신번호가 외부회선 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번호가 외부회선 번호인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상기 착신번호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착신번호로부터 상기 지역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착신번호에서 상기 지역번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회선 번호에 상응하는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번호가 미리 설정된 지역번호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역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 방법.
  3. 이동통신 및 무선전화 복합형 단말기가 사용되는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이 연결된 유선 전화망의 지역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사설 교환기의 외부회선 식별을 위한 외부회선 인식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기능 설정부;
    상기 설정된 지역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번호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번호에서 상기 지역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처리 기능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지역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전화번호만으로 발신하는 착신번호 처리부;
    상기 유선 전화망에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전화망 송신부;
    상기 유선 전화망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전화망 수신부;
    상기 복합형 단말기에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단말기 송신부; 및
    상기 복합형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단말기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설 교환기의 외부회선 식별을 위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번호 처리부는, 상기 착신번호가 외부회선 번호이고 상기 착신번호에 외부회선 인식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외부회선 인식번호를 상기 착신번호에 삽입하는 기능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장치.
KR10-2002-0073307A 2002-11-23 2002-11-23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0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07A KR100500959B1 (ko) 2002-11-23 2002-11-23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07A KR100500959B1 (ko) 2002-11-23 2002-11-23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06A KR20040045506A (ko) 2004-06-02
KR100500959B1 true KR100500959B1 (ko) 2005-07-14

Family

ID=3734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0959B1 (ko) 2002-11-23 2002-11-23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770A (ja) * 1998-01-30 1999-08-10 Hitachi Ltd 携帯情報通信装置
KR20000001051A (ko) * 1998-06-08 2000-01-15 서평원 유선망 서비스의 지역번호와 상호 연계되는 이동 단말의 통신방법
US6169799B1 (en) * 1998-02-02 2001-01-02 Home Wireless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elephone area-code dialing
KR20020008310A (ko) * 2000-07-21 2002-01-30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770A (ja) * 1998-01-30 1999-08-10 Hitachi Ltd 携帯情報通信装置
US6169799B1 (en) * 1998-02-02 2001-01-02 Home Wireless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elephone area-code dialing
KR20000001051A (ko) * 1998-06-08 2000-01-15 서평원 유선망 서비스의 지역번호와 상호 연계되는 이동 단말의 통신방법
KR20020008310A (ko) * 2000-07-21 2002-01-30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06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9040A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multimedia mail box to support user mobility
JP2008523770A (ja) 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いて機能強化された国際ダイアリング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123903B2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CA22390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outing a call to a multi-mode transceiver
US5357558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SDN
US6360109B1 (en) Terminal, automatic recall procedure,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500959B1 (ko)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JP3033666B2 (ja) 通信装置間のデータ登録方法及び通信装置
KR100610867B1 (ko)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0350445B1 (ko) 지원장치를 이용한 원격통역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RU2376723C2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го вызова абонента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 связи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701164B2 (ja) 携帯型通信機器
KR100729928B1 (ko) 국제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6526132B2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3008769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要求装置並びに携帯端末
JP3007499B2 (ja) 移動通信方式
JP3538178B2 (ja) 移動局登録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
AU784442B2 (en) Method for mak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3691509B2 (ja) 携帯電話機
KR100724958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JP3676230B2 (ja) 携帯電話機
KR100259916B1 (ko) 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슬롯별자동링크설정방법
JPH1011737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