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0862B1 -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 Google Patents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862B1
KR100500862B1 KR10-2002-7015602A KR20027015602A KR100500862B1 KR 100500862 B1 KR100500862 B1 KR 100500862B1 KR 20027015602 A KR20027015602 A KR 20027015602A KR 100500862 B1 KR100500862 B1 KR 10050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attachment member
vibration
attachment
win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363A (ko
Inventor
고데라히데아키
히가시나카쓰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701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8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8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권양기의 부착기구는,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5a),(5b)과 주삭(10)이 감기는 트랙션 시브(61) 및 그 트랙션 시브(61)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62)를 갖는 권양기(6)와, 권양기(6)가 부착된 부착부재(74)와 부착부재(74)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5a),(5b)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진동부재 (74a),(74b)와 가이드레일(5a),(5b)에 부착되고, 부착부재(74) 및 권양기(6)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71a),(71b)를 갖는다.

Description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MECHANISM FOR FIXING HOIST AND ELEVATOR}
본 발명은 권양기를 승강로내에 설치하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승강로내에 설치되는 권양기를 가이드레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일본국 특개평8-208152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 3은 카(2)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용의 가이드레일, 4는 카(2)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5는 균형추의 양측에 설치되고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균형추용 가이드레일이다.
6은 카(2) 및 균형추의 승강의 동력원이 되는 권양기이고, 권양기(6)는 후술하는 주삭이 감기는 트랙션 시브(61)와 트랙션 시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소유하고 있다.
8은 균형추(4)의 상부에 부착된 균형추 활차, 9는 카(2)의 하부에 설치된 카 하활차이고, 카 하활차(9)는 카(2)의 하부에 2개 설치되어 있다.
10은 균형추 활차(8), 트랙션 시브(61), 카 하활차(9)에 감긴 주삭이다. 주삭의 양단은, 승강로의 천정 또는 승강로내의 상부에 설치된 빔에 고정된다.
20은 균형추용의 가이드레일(5)위에 부착된 빔이고 빔(20)위에 권양기가 설치된다.
21은 권양기(6)를 승강로(1)의 벽에 고정하는 보강요소이고, 이 보강요소 (21)는 수평의 힘을 흡수하는 수직의 지지력은 실질적으로 흡수하지 않는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권양기(6)의 트랙션 시브(61)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삭(10)을 통해서 카(2) 및 균형추(4)가 승강한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권양기(6)는 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빔(20)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주삭(10)이 가이드레일(5)과 접촉하지 않도록 트랙션 시브(61)는 평면도에서 2개의 가이드레일(5)을 통하는 평면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문에, 주삭(10)에 의해 트랙션 시브(61)에 걸리는 힘 F에 의해 권양기(6)에는 대단히 큰 모멘트가 작용한다. 이 모멘트는 균형추용의 가이드레일(5)에 구부리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어 레일 강도를 올리기 위해 레일 사이즈를 크게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침 F에 의해 생기는 권양기(6)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제지하므로 권양기 (6)를 승강로(1)의 벽에 고정하는 보강요소가 필요하였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생기는 구부림 힘을 저감할 수가 있고, 가이드레일의 사이즈를 작게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또 승강로 1의 벽에 고정하지 않고 권양기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제 2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권양기의 부착기구는 카 또는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과, 주삭이 감겨지는 트랙션 시브 및 이 트랙션 시브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가 부착된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재 및 상기 권양기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것이다.
또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3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4의 진동 방지부재를 갖는 것이다.
또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갖는 것이다.
또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주삭의 단부가 고정되는 빔을 갖는 것이다.
또 상기 부착부재로부터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에 대해 접촉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스토퍼와,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대해 접촉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스토퍼를 갖는 것이다.
또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의 상단측이고, 또 상기 부착부재 보다도 위의 위치에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균형추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주삭이 감겨지는 트랙션 시브 및 이 트랙션 시브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소유하고 상기 구동활차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삭을 통해서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가 부착된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카용 가이드레일 및 상기 다수의 균형추용 가이드레일에서 선택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카용 가이드레일 및 상기 다수의 균형추용 가이드레일에서 선택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과는 다른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재 및 상기 권양기의 수직방햐으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부착기구(7)의 주변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본 부착기구(7)의 측면도.
도 4는 부착틀(74)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부착틀(74)의 정면도, (b)는 부착틀(74)의 측면도, (c)는 상측 진동 방지부재(746a)의 상면도.
도 6은 하측 진동 방지부재(747a)의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2의 B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다른 부착기구(7)의 주변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도.
도 8은 가이드레일 연결부(13)의 상면도.
도 9는 가이드레일 여결부(13)의 다른 구조를 표시하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 11은 권양기(6)에 작용하는 힘 F를 표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2 : 카,
3a,3b : 가이드 레일, 4 : 균형추,
5a,5b : 가이드 레일, 6 : 권양기,
7 : 부착기구, 10 : 부착기구,
61 : 트랙션 시브, 71a,71b : 지지대,
74 : 부착부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실시의 형태 1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표시한다.
도 1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 3a, 3b는 카(2)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용의 가이드레일이다.
4는 카(2)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5a), (5b)는 균형추(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균형추(4)의 승강을 안내하는 균형추용의 가이드레일이다.
6은 카(2) 및 균형추(4)의 승강의 동력원이 되는 권양기이고, 권양기(6)는 후술하는 주삭이 감겨지는 트랙션 시브(61)와 이 트랙션 시브(61)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62)를 소유하고 있다.
7은 권양기(6)를 가이드레일(5a),(5b)사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차기구이다. 본 실시의 형태는 이 부착기구(7)에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8은 균형추(4)의 상부에 부착된 균형추 활차이고, 9는 카(2)의 하부에 설치된 카 하활차이고, 카 하활차(9)는 카(2)의 하부에 2개 설치되어 있다.
10은 균형추 활차(8), 드랙션 시브(61), 카 하활차(9)에 감긴 주삭이다. 주삭(10)의 일단은 가이드레일(3a)의 상단의 주삭 부착부(11)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이드레일(5a),(5b)사이에 설치된 주삭 부착부(12)에 고정된다.
균형추 활차(8)는 평면도에서 가이드레일(5a),(5b)을 통과하는 면에 대해 경사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삭(10)을 트랙션 시브(61)로부터 균형추(8)에 이르고, 주삭 부착부(12)에 고정할 수가 있다.
이 엘리베이터장치는 권양기(6)의 트랙션 시브(61)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삭 (10)을 통해서 카(2) 및 균형추(4)를 승강시킨다.
다음, 부착기구(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부착기구(7)의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이하 이들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부착기구(7)는 지지대(71a),(71b), 로프 고정빔(72), 탄성부재(73a),(73b) 부착부재로서의 부착틀(74)로 구성된다.
지지대(71a),(71b)는 가이드레일(5a),(5b)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로프 고정빔(72)은 일단이 지지대(71a)에 타단이 지지대(71b)에 부착되어 있다. 이 로프 고정빔(72)에는 상술한 주삭 부착부(12)가 설치된다.
탄성부재(73a),(73b)는 로프 고정빔(72)위에 부착되고 고무등의 탄성재로 된다.
이 탄성부재(73a),(73b)위에는 권양기의 부착틀(74)의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틀(74)에는 권양기(6)가 부착되는 동시에 가이드레일(5a),(5b)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방향)미소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권양기(6)는 부착틀(74)에 부착된다. 주삭(10)의 가이드레일(5a),(5b)이나 균형추(4)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션 시브(61)(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가이드레일(5a),(5b)를 통과하는 면에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다.
부착틀(74)은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부재(742),(743)과 세로부재 (741a),(741b)로 구성되는 틀체이다.
또 세로부재(741a),(741b)에는 각각 고정대(744a),(744b)가 부착되어 있고, 가로부재(742)와 고정대(744a),(744b)에 권양기(6)가 고정되어 있다.
세로부재(741a),(741b)의 하단에는 각각 하측 스토퍼(745a),(745b)가 부착되어 있다. 세로부재(741a),(741b)의 하단면은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 (73a),(73b)에 당접한다.
또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로부재(742)의 좌우에는 상측 진동 방지부재 (746a),(746b)가 부착되어 있고, 세로부재(741a),(741b)에는 각각 하측 진동 방지부배(747a),(747b)가 부착되어 있다.
도 5, 도 6은 상측 진동 방지부재(746a) 및 하측 진동 방지부재(747a)의 확대도이다. 도 5,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측 진동 방지부재(746a), 하측 진동 방지부재(747a)는 어느 것이나 탄성재를 통해서 가이드레일(5a)을 끼워 잡는다. 상측 진동 방지부재(746a), 하측 진동 방지부재(747b)도 상측 진동 방지부재 (746a), 하측 진동 방지부재(747a)와 같은 구조이고 어느 것이나 탄성재를 통해서 가이드레일(5b)을 끼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권양기(6)의 미소한 가로진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서는 부착틀(74)이 가이드레일(5a),(5b)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미소 이동가능하므로 권양기(6)에 걸리는 수직방향의 힘이 탄성부재(73a) ,(73b)를 통해서 지지대(71a),(71b)로 지지된다.
또, 가로부재(742)의 좌우에는 상측 스토퍼(748a),(748b)가 각각 가이드레일 (5a),(5b)에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상측 스토퍼는 상측 진동 방지부재(746a),(746b)의 가로부재(742)에의 부착부에 의해 겸하도록 해도 된다).
이 상측 스토퍼(748a),(748b)는 하측 스토퍼(745a),(745b)와 함께 진동 방지부재로 억제할 수 없는 가로진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권양기(6)에 모멘트가 작용해 큰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상측 스토퍼(748a),(748b) 및 하측 스토퍼(745a) ,(745b)와 가이드레일(5a),(5b)의 접촉에 의해 부착틀(74)의 가로진동이 방지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주삭(10)에 의해 하방향의 힘 F가 작용한 경우에도 이 힘 F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를 상측 스토퍼(748a),(748b) 및 하측 스토퍼(745a), (745b)에 의해 분산해서 지지 할 수가 있다. 한편 지지대(71a).(71b)에는 부착틀 (74)고 권양기(6)의 수직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그 하중을 지지한다.
이로인해 가이드레일(5a),(5b)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한 모멘트를 작게할 수가 있고, 가이드레일을 사이즈 다운할 수가 있다.
또, 부착틀(74)과 로프 고정빔(72)과의 사이에 탄성부재(73a),(73b)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이드레일(5a),(5b)에 권양기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탄성부재(73a),(73b)의 휘어짐에 의해 부착틀(74)에 미소한 가로진동이 생기는 일은 없으나, 이 가로진동은 상측 진동 방지부재(746a),(746b), 하측 진동 방지부재(747a),(747b)에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권양기의 부착구조에서는, 권양기96)가 가이드레일(5a),(5b)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5a)와(5b)사이의 공간은 종래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던 영역이고 이 공간을 이용함으로서 승강로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로프 고정빔(72)이 지지대(71a),(71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권양기(6)와 로프 고정빔972)의 위치관계가 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종래예의 경우, 가이드레일(5a),(5b)위에 빔을 설치하고 그 빔위에 권양기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높이방향의 치수를 필요로 하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공간이 필요없게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7은 실시의 형태 2의 부착기구의 확대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이드레일(5a),(5b)의 상단에 가이드레일 연결부 (13)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의 형태 1과 상위한다. 기타의 점은, 먼저의 실시의 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가이드레일 연결부(13)의 상면도이다.
가이드레일 연결부(1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L자부재 (131a),(131b)의 한쪽을 각각 가이드레일(5a),(5b)의 배면에 당접시켜 레일 크립(132a),(132b)에서 고정한다. 그리고 L자부재(131a),(131b)의 다른쪽을 부착금(133)에 의해 연결한다.
이 가이드레일 연결부(13)에 의해 가이드레일(5a),(5b)간의 버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가이드레일 연결부(13)의 구서으로 하였으나, 도 9에 표시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9에서는 연결부재(134a),(134b)의 일단을 가이드레일(5a)의 접동면인 凸부에 고정하고, 타단을 가이드레일(5b)의 凸부에 고정하였다. 고정을 위해 가이드레일(5a),(5b)의 상단의 凸부에는 관통공이 뚫어져 이쏙, 이 관통공에 볼트를 통해서 연결(134a),(134b)가 고정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지지대(71a),(71b)위에 로프 고정빔(72)을 부착하고, 또 그위에 탄성부재(73a),(73b)를 두고 있으나 로프 고정빔(72)을 지지대(71a),(71b)와 탄성부재(73a),(73b)사이를 통하지 않고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주삭(10)의 단부를 승강로의 천정이나 기타부분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또, 탄성부재를 통해서 권양기(6)를 부착틀(74)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대(71a),(71b)를 가이드레일(5a),(5b)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나 일단이 가이드레일(5a)에 부착되고, 타단이 가이드레일 (5b)에 부착된 빔상태의 부재에 의해 지지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균형추용의 가이드레일(5a),(5b)에 권양기를 부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카용의 가이드레일(3a),(3b)에 권양기를 부착하는 경우에 이 발명의 구조를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권양기의 부착구조를 아래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권양기의 부착구조는, 카 또는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과 주삭이 감기는 트랙션 시브 및 이 트랙션 시브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가 부착된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재 및 상기 권양기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것이므로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생기는 구부림 힘을 저감시킬 수가 있고, 가이드레일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3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의 하측에 만들어지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깊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4의 진동 방지부재를 갖고 있으므로 권양기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생기는 구부림 힘을 더욱 저감할 수가 있고, 가이드레일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갖고 있으므로, 권양기의 진동이 가이드레일에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주삭의 단부가 고정되는 빔을 갖고 있으므로 권양기와 빔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에 대해 접촉함으로서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스토퍼와, 상기 부착부재로부터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대해 접촉함으로서,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스토퍼를 가지고 있으므로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권양기에 진동 방지부재로 지지할 수 없는 모멘트가 생겨도 권양기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의 상단측이고 또 상기 부착부재 보다도 위의 위치에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이 서로 넓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장치를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균형추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연가하는 주삭과, 상기 주삭이 감겨지는 트랙션 시브 및 이 트랙션 시브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활차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삭을 통해서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가 부착된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카용 가이드레일 및 상기 다수의 균형추용 가이드레일에서 선택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카용 가이드레일 및 상기 다수의 균형추용 가이드레일에서 선택된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과는 다른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재 및 상기 권양기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고 있으므로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생기는 구부림 힘을 저감할 수가 있고, 가이드레일은 사이즈를 작게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권양기를 가이드레일에 부착하는 엘리베이터장치에 적용된다.

Claims (3)

  1. 카 또는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과,
    주삭(main cable)이 감기게 되는 트랙션 시브 및 상기 트랙션 시브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가 부착된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재를 보존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진동 방지부재와,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 및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재 및 상기 권양기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의 부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주삭의 단부가 고정되는 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의 부착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로부터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가이드레일에 대해 접촉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1의 스토퍼와, 상기 부착부재로부터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가이드레일에 대해 접촉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 2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의 부착기구.
KR10-2002-7015602A 2002-11-19 2001-03-29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50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602A KR100500862B1 (ko) 2002-11-19 2001-03-29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602A KR100500862B1 (ko) 2002-11-19 2001-03-29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63A KR20030005363A (ko) 2003-01-17
KR100500862B1 true KR100500862B1 (ko) 2005-07-14

Family

ID=4367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602A Expired - Lifetime KR100500862B1 (ko) 2002-11-19 2001-03-29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8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63A (ko) 200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KR1007435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3008318A1 (fr) Dispositif d&#39;ascenseur
JP4300799B2 (ja) 巻上機の取付機構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WO20030206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290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00862B1 (ko) 권양기의 부착기구 및 엘리베이터장치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JP42682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717185A1 (en) Elevator
JP46580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01771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EP1571113B1 (en) Elevator equipment
JP560896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10088028B (zh) 电梯装置
KR100500861B1 (ko) 권양기의 설치방법
JP2007137681A (ja) エレベーター
CN103596869B (zh) 电梯
JPWO2006123393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24501B1 (ko)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
KR20000052220A (ko) 엘리베이터의 카운터 밸런싱 보상장치
JP2004002047A5 (ko)
KR20070039054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9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