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0198B1 - 카드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198B1
KR100500198B1 KR10-2003-0014131A KR20030014131A KR100500198B1 KR 100500198 B1 KR100500198 B1 KR 100500198B1 KR 20030014131 A KR20030014131 A KR 20030014131A KR 100500198 B1 KR100500198 B1 KR 10050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ngaging
operation member
engagement
sliding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278A (ko
Inventor
니시오까도오루
가와바따다까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삽입 장착 위치에서 카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삽입 장착된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부재 (7) 를 구비하고, 걸어맞춤 부재 (7) 는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카드 (10) 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하게 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걸어맞춤 부재 (7) 를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걸어맞추는 위치로 이동시켜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걸어맞춤 부재 (7) 를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서 이탈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 (8) 를 걸어맞춤 부재 (7) 의 근방에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 장치 {CONNECTOR DEVICE FOR CARD}
본 발명은 휴대전화, PC 등 각종 휴대 정보단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AV 기기 등의 메모리 대응 기기에 이용되는 소형 메모리 카드 등에 사용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의 증설 기록장치로서 카드용 커넥터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기억매체로는 PC 카드나 메모리 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PC 카드나 메모리 카드를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삽입 장착하여 필요한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을 실시하는데,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는 카드를 수용하여 카드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된 카드를 카드 배출위치로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로크된 슬라이드 부재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는 복귀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드를 슬라이드 부재와 함께 밀어내도록 한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로크 기구로는 로크부를 갖는 하트형 캠홈과, 이 하트형 캠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로크 핀과, 이 로크 핀의 일단을 하트형 캠홈에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크 핀이 하트형 캠홈을 이동하여 로크부에 로크됨과 동시에, 카드를 일단 압압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의 로크를 해제하여 카드를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부재는 로크 기구에 의해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되지만, 카드는 삽입 장착 위치에서는 커넥터 단자 등의 단자압에 의해 지지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카드가 진동 등에 의해 빠져 나올 우려가 있어, 카드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 요즈음에는 카드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부재나 하우징의 수납부에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부재를 배치하고, 이 걸어맞춤 부재를 삽입 장착 위치에 있는 카드의 측연부에 형성된 걸림용 오목부와 걸어맞춤으로써 카드를 지지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부재에 의해 카드를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어떠한 힘에 의해 카드 삽입 장착 상태에서 카드가 더욱 안쪽으로 오버 스트로크분 밀어넣어진 경우에는 걸어맞춤 부재가 자체 탄성에 의해 휘어져서 카드가 안쪽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카드에 덜컥거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의 로크 기구에 하트형 캠홈과 로크 핀을 사용한 배출기구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오버 스트로크분 밀어넣어짐으로써 하트형 캠홈과 로크 핀의 로크가 해제되고, 탄성편에 의한 로크를 해제한 순간 카드가 튕겨나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삽입 장착 위치에서 카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측연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카드가 삽입 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병설되어 카드와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 장착된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카드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하게 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위치로 이동시켜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일단부에 상기 수납부의 카드 삽입부내로 돌출되어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카드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 카드를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 부재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카드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카드 배출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접촉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에는 회전운동 지지점을 사이에 둔 양단부에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제 1 돌출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카드의 로크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제 2 돌출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카드의 로크해제위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납부에 삽입 장착된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수단은 카드 삽입 및 배출에 수반하여 카드와 걸어맞춰져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로크위치에서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크를 해제시키는 로크 핀 및 이 로크 핀이 슬라이딩하는 하트형 캠홈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수단이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이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 부재의 근방에는 상기 조작 부재 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가 이동 또는 회전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4 에 나타낸다. 도 1 은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측면도, 도 4 는 카드 삽입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5 는 카드 삽입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정면도, 도 6 은 카드 삽입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측면도, 도 7 및 도 8 은 카드 삽입시의 조작 부재의 조작상태를 나타내고, 도 7 은 조작 도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은 로크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 및 도 10 은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및 도 12 는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전방 및 상방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중앙에는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 (1a)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전면에는 상기 수납부 (1a) 에 연통하는 카드 삽입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드 삽입부 (1b) 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부 (1a) 의 안쪽에는 수용되는 카드의 접촉단자부 (도시하지 않음) 와 접촉하여 전자 기기 등의 외부의 회로기판 위의 회로패턴과 접속됨으로써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 (2) 가 병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 (1a) 의 양측부에는 카드가 삽입될 때 카드의 측연부를 가이드하여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부 (1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일측부에는 상기 수납부 (1a) 에 병설되어 바닥이 있는 형상의 평탄부 (1d)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부 (1d) 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5) 가 카드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탄부 (1d) 의 전단측에는 복수의 사면이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하트형 캠홈 (1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트형 캠홈 (1e) 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5) 의 축 구멍 (5d) 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대략 U 자 모양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로크 핀 (3) 의 일단측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 (5) 가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되고, 또한 배출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5) 가 카드 삽입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슬라이드 부재 (5) 가 상기 하트형 캠홈 (1e) 과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트형 캠홈 (1e) 과 대향하는 후단측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5) 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형상의 복귀스프링 (4) 의 일단이 걸리는 스프링 걸림부 (1f)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탄부 (1d) 에는 카드 삽입방향을 따라 미세한 홈형상의 가이드홈 (1g)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 (1g) 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5) 의 가이드부 (5m) 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 같이 상기 가이드홈 (1g) 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5) 를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 (5) 는 1 장의 금속판을 프레스 등으로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여 복수의 장소에서 절곡함으로써 대략 L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 (5) 는 평판이며 대략 직사각형상의 기부 (5a) 와 이 기부 (5a) 의 선단측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카드 받이부 (5b) 를 갖고 있다. 이 카드 받이부 (5b) 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로 돌출되어 있고, 삽입되는 후술하는 카드 (10) 의 전단 가장자리와 맞닿아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를 카드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 (5a) 의 전연부에는 이 기부 (5a) 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더욱 후방으로 절곡된 대략 U 자 모양의 로크 핀 탄성지지부 (5c)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핀 탄성지지부 (5c) 는 상기 절곡부에서 외팔보형상으로 지지되고 그 선단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부 (5a) 의 상면측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 핀 탄성지지부 (5c) 의 근방에는 상기 로크 핀 (3) 의 타단이 축 지지되는 축 구멍 (5d)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 (5a) 의 일측연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그 중앙부가 장척판상인 탄성 걸림부 (5e)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걸림부 (5e) 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 암부 (5f) 와, 이 탄성 암부 (5f) 의 중앙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카드 (10) 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용 오목부 (10b)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출부 (5g) 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삽입시에는 상기 탄성 걸림부 (5e) 의 걸어맞춤 돌출부 (5g) 가 상기 카드 (10) 의 걸림용 오목부 (10b) 에 걸어맞춰져 있다.
또한, 상기 기부 (5a) 의 대향하는 타측연부에는 이 측연부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측에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장척상의 가이드부 (5h)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 (5h) 가 상기 하우징 (1) 의 가이드홈 (1g) 에 걸어맞춰져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의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의 이동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부 (5a) 의 후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스프링 걸림부 (1f) 에 걸린,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타단이 걸리는 훅형상의 스프링 걸림부 (5i)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는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다. 이 때, 상기 로크 핀 (3) 과 상기 하트형 캠홈 (1e) 의 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커버 (6) 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측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측에 부착되어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 (6) 의 일측면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베어링부 (6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부 (6a) 에는 동그란 축형상의 지지 축 (6b) 이 고착되어 있다. 이 지지 축 (6b) 에 후술하는 걸어맞춤 부재 (7)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6) 의 네 모서리부에는 전자 기기측의 회로기판에 납땜하여 고정되는 부착편 (6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6) 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커넥터 단자 (2) 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복사 노이즈 등의 칩입을 방지하는 실드판의 역할도 하고 있다.
걸어맞춤 부재 (7)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완만한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V 자 모양의 기부 (7a) 와, 이 기부 (7a) 의 일단측에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로 향해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 (7a) 의 중앙에는 축 구멍 (7c)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 구멍 (7c) 이 상기 커버 (6) 의 지지 축 (6b) 에 축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 (1) 의 일측면부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 (7a) 에는 회전운동 지지점이 되는 상기 축 구멍 (7c) 을 사이에 둔 양단부에,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돌출된 방향과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7d) 와 제 2 돌출부 (7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돌출부 (7d) 와 제 2 돌출부 (7e) 가 후술하는 조작 부재 (8) 에 슬라이딩 접촉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상기 지지 축 (6b) 에 축 지지된 상기 축 구멍 (7c) 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 (8)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커넥터 장치가 실장되는 전자 기기측의 케이스체 (9) 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 (9a) 에, 슬라이딩 돌출부 (8a) 가 걸어맞춰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 (8) 에는 커넥터 장치의 상기 하우징 (1) 의 일측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방향으로 산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 (8b) 와 제 2 슬라이딩 접촉부 (8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 (8) 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와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 (8b) 와 제 2 슬라이딩 접촉부 (8c) 가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제 1 돌출부 (7d) 와 제 2 돌출부 (7e) 에 맞닿아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회전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 부재 (8) 는 반드시 전자 기기측의 케이스체 (9) 측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측, 즉 상기 하우징 (1) 이나 커버 (6) 에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근방에 일체로 부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체 (9) 의 바깥쪽에서 상기 조작 부재 (8) 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카드 (10) 는 내부에 집적회로 (IC) 가 수납되어 있고, 기록매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카드 (10) 의 일표면에는 그 일단측에 복수의 접촉단자부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 단자 (2) 와 접촉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전자 기기와의 각종 정보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카드 (10) 에는 전단측의 한 모서리부에 사면형상의 노치부 (10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부 (10a) 근방에서 상기 카드 (10) 의 일측면부에는 걸림용 오목부 (10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용 오목부 (10b) 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의 탄성 걸림부 (5e) 의 걸어맞춤 돌출부 (5g)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카드 (10) 를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와 함께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카드 (10) 의 타측면부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걸어맞춤 돌출부 (7b) 와 걸어맞춰져 상기 카드 (10) 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하는 로크용 오목부 (10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10c) 에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된 상기 카드 (10) 의 이동이 규제되어 카드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8 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 (10) 를 커넥터 장치에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 상태 즉 상기 카드 (10) 가 배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도시하지 않음) 는 상기 하우징 (1) 의 커넥터 단자 (2) 와는 이간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카드 (10) 를 카드 삽입방향으로 압압하면 상기 카드 (10) 의 전단 가장자리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의 카드 받이부 (5b) 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가 상기 카드 (10) 의 삽입에 수반되어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가 카드 삽입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로크 핀 (3) 의 일단이 상기 하트형 캠홈 (1e) 을 트레이스하여 로크위치 즉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된다. 이 때, 상기 카드 (10) 의 접촉단자부 (도시하지 않음) 와 상기 하우징 (1) 에 배치된 커넥터 단자 (2) 가 접촉하고, 상기 카드 (10) 는 상기 탄성 걸림부 (5e) 의 탄성 암부 (5f)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된다 (도 4).
이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 (8) 는 이동되지 않고 앞쪽, 즉 카드 배출측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는 회전운동되지 않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는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서 이탈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10) 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도 4 의 상태에서, 상기 카드 (10) 를 더욱 안쪽 즉 카드 삽입방향으로 압압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크 핀 (3) 의 일단이 상기 하트형 캠홈 (1e) 의 로크부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 (10) 로의 압압을 해제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는 상기 복귀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카드 배출위치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와 상기 하우징 (1)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를 로크위치에서 일단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크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카드 (10) 를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에 의해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하트형 캠홈 (1e) 과, 이 하트형 캠홈 (1e) 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로크 핀 (3) 으로 이루어지는 로크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상기 카드 (10) 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카드 (10) 를 카드 배출위치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4 의 상태에서, 상기 카드 (10) 가 삽입 장착 위치에 삽입 장착된 상태를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 부재 (8) 를 앞쪽에서 안쪽, 즉 카드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조작 부재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8a) 가 상기 케이스체 (9) 의 슬라이딩 가이드부 (9a) 를 슬라이딩하고, 상기 조작 부재 (8) 가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상기 지지 축 (6b) 에 축 지지된 축 구멍 (7c) 을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도 7).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 (8) 에 형성된 산 모양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 (8b) 가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돌출부 (7d) 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완전히 걸어맞춰진다 (도 8).
이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 (8) 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상기 제 1 돌출부 (7d) 에 의해 로크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완전히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걸어맞춰지므로, 상기 카드 (10) 가 안쪽으로 압압되어도 이동하지 않아 상기 카드 (10) 의 덜컥거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같이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걸어맞춰졌을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 (8) 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와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의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하게 되어 있어 카드 삽입 장착 상태에서 상기 카드 (10) 가 눌려지더라도 오버 스트로크분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아 상기 카드 (10) 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10) 를 삽입 장착 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의 상태에서, 상기 카드 (10) 를 배출위치로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 (8) 를 안쪽에서 앞쪽, 즉 카드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조작 부재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8a) 가 상기 케이스체 (9) 의 슬라이딩 가이드부 (9a) 를 슬라이딩하고, 상기 조작 부재 (8) 가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상기 지지 축 (6b) 에 축 지지된 축 구멍 (7c) 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도 7).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 (8) 에 형성된 산 모양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접촉부 (8c) 가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2 돌출부 (7e) 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7c) 에서 이탈된다 (도 4).
이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 (8) 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상기 제 2 돌출부 (7e) 에 의해 로크의 해제위치에 지지되게 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걸어맞춤 돌출부 (7b) 가 완전히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카드 (10) 를 안쪽으로 압압하여 오버 스트로크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카드 (10) 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같이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상기 조작 부재 (8) 를 카드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를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 걸어맞춰 카드를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상기 조작 부재 (8) 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를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서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하도록 하였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쉽게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를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와 걸어맞추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 (8) 에는 상기 조작 부재 (8) 의 카드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를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 (8b) 와, 상기 조작 부재 (8) 의 카드 배출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 (7b) 를 상기 카드 (10) 의 오목부 (10c) 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접촉부 (8c)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 부재 (8) 를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를 원활하게 회전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에는 회전운동 지지점을 사이에 둔 양단부에 상기 제 1 돌출부 (7d) 와 상기 제 2 돌출부 (7e) 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 (8) 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 (8b) 가 상기 제 1 돌출부 (7d) 를 타고 넘음으로써 카드의 로크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접촉부 (8c) 가 상기 제 2 돌출부 (7e) 를 타고 넘음으로써 카드의 로크 해제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 부재 (8) 의 지지수단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없이 간단한 구조로 상기 조작 부재 (8) 를 카드의 로크위치와 카드의 로크 해제위치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에는 수납부 (1a) 에 삽입 장착된 상기 카드 (10) 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가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 (8) 의 조작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푸시푸시 동작으로 쉽게 상기 카드 (10) 를 배출시킬 수 있고, 카드 삽입위치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 (8) 를 조작시킴으로써 무리한 발출 (고의로 카드를 잡아빼는 동작) 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 (5) 의 로크 상태에 있어 상기 카드 (10) 가 오버 스트로크분 안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상기 카드 (10) 가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은 카드의 로크 상태를 검출하는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 (11) 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검출 스위치 (11) 는 범용 레버 타입의 메커니즘 구동형 검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전자 기기측의 상기 케이스체 (9) 내의 상기 조작 부재 (8) 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검출 스위치 (11) 는 접점부 (도시하지 않음) 등이 내장된 본체부 (11a) 와, 이 본체부 (11a)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된 레버부 (11b) 와, 본체부 (11a) 에서 도출된 단자부 (11c) 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 (8) 가 카드 배출방향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카드의 로크 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검출 스위치 (11) 의 접점부는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 (8) 가 카드 삽입방향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카드의 로크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상기 검출 스위치 (11) 는 상기 레버부 (11b) 가 상기 조작 부재 (8) 의 전단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회전운동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부 (11a) 에 내장된 접점부가 동작되어 스위치의 접점부가 ON 상태로 된다.
도 11 및 도 12 는 상기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 (11) 의 동작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상기 검출 스위치 (11) 는 상기 케이스체 (9) 내의 상기 조작 부재 (8) 의 앞쪽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앞쪽에는 연장부 (7f)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회전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연장부 (7f) 가 상기 검출 스위치 (11) 의 레버부 (11b) 를 압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 (8) 가 카드 배출방향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카드의 로크 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검출 스위치 (11) 의 접점부는 OFF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부재 (8) 가 카드 삽입방향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카드의 로크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상기 검출 스위치 (11) 는 상기 레버부 (11b) 가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의 연장부 (7f) 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회전운동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부 (11a) 에 내장된 접점부가 동작되어 스위치의 접점부가 ON 상태로 된다.
이 같이, 상기 조작 부재 (8) 근방에는 상기 조작 부재 (8) 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 (7) 가 이동 또는 회전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상기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 (11)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조작 부재 (8) 의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카드 (10) 의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측연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카드가 삽입 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의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병설되어 카드와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와, 수납부에 삽입 장착된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걸어맞춤 부재는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카드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지지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걸어맞춤 부재를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위치로 이동시켜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걸어맞춤 부재를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를 걸어맞춤 부재 근방에 배치하였으므로, 걸어맞춤 부재가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졌을 때에는 조작 부재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와 카드의 오목부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카드 삽입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드가 눌려지더라도 오버 스트로크분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아 상기 카드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드를 삽입 장착 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부재는 하우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일단부에 수납부의 카드 삽입부내로 돌출되어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되고, 조작 부재는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조작 부재를 카드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걸어맞춤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 카드를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조작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쉽게 걸어맞춤 부재를 카드의 오목부와 걸어맞추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에는 조작 부재의 카드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걸어맞춤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조작 부재의 카드 배출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걸어맞춤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접촉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조작 부재를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에 수반되어 걸어맞춤 부재를 원활히 회전운동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부재에는 회전운동 지지점을 사이에 둔 양단부에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조작 부재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제 1 돌출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카드의 로크위치에 지지되고,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제 2 돌출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카드의 로크해제위치에 지지되므로, 조작 부재의 지지수단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조작 부재를 카드의 로크위치와 카드의 로크 해제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수납부에 삽입 장착된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수단은 카드 삽입 및 배출에 수반하여 카드와 걸어맞춰져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과,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를 로크위치에서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크를 해제시키는 로크 핀 및 이 로크 핀이 슬라이딩하는 하트형 캠홈을 구비하고, 배출수단이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의 조작이 행해지도록 하였으므로, 푸시푸시 동작으로 쉽게 카드를 배출할 수 있고, 카드의 삽입 장착 위치에서는 조작 부재를 조작시킴으로써 무리한 발출 (고의로 카드를 잡아빼는 동작) 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의 로크 상태에서 카드가 오버 스트로크분 안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없어 하트형 캠홈에서의 로크 핀의 로크가 해제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카드가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 근방에는 조작 부재 또는 걸어맞춤 부재가 이동 또는 회전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조작 부재의 조작에 수반하여 카드의 로크 상태 및 로크 해제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카드 삽입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카드 삽입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카드 삽입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카드 삽입시의 조작 부재의 조작 도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카드 삽입시의 조작 부재의 로크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의 동작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1a: 수납부
1b: 카드 삽입부 1c: 삽입 가이드부
1d: 평탄부 1e: 하트형 캠홈
1f: 스프링 걸림부 1g: 가이드홈
2: 커넥터 단자 3: 로크 핀
4: 복귀스프링 5: 슬라이드 부재
5a: 기부 5b: 카드 받이부
5c: 로크 핀 탄성지지부 5d: 축 구멍
5e: 탄성 걸림부 5f: 탄성 암부
5g: 걸어맞춤 돌출부 5h: 가이드부
5i: 스프링 걸림부 6: 커버
6a: 베어링부 6b: 지지 축
6c: 부착편 7: 걸어맞춤 부재
7a: 기부 7b: 걸어맞춤 돌출부
7c: 축 구멍 7d: 제 1 돌출부
7e: 제 2 돌출부 7f: 연장부
8: 조작 부재 8a: 슬라이딩 돌출부
8b: 제 1 슬라이딩 접촉부 8c: 제 2 슬라이딩 접촉부
9: 케이스체 9a: 슬라이딩 가이드부
10: 카드 10a: 노치부
10b: 걸림용 오목부 10c: 오목부
11: 검출 스위치 11a: 본체부
11b: 레버부 11c: 단자부

Claims (6)

  1. 측연부(側緣部)에 오목부가 형성된 카드가 삽입 장착 가능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병설되어 카드와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 장착된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카드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유지하게 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위치로 이동시켜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일단부에 상기 수납부의 카드 삽입부내로 돌출되어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카드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카드 삽입 장착시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카드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 카드를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카드 배출시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카드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카드 배출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접촉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에는 회전운동 지지점을 사이에 둔 양단부에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제 1 돌출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카드의 로크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제 2 돌출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카드의 로크해제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납부에 삽입 장착된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수단은 카드 삽입 및 배출에 수반하여 카드와 걸어맞춰져 카드의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로크위치에서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크를 해제시키는 로크 핀 및 이 로크 핀이 슬라이딩하는 하트형 캠홈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수단이 카드 삽입 장착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이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근방에는 상기 조작 부재 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가 이동 또는 회전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되는 로크 상태 검출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2003-0014131A 2002-03-07 2003-03-06 카드용 커넥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00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2735A JP2003264038A (ja) 2002-03-07 2002-03-07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JP-P-2002-00062735 2002-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278A KR20030074278A (ko) 2003-09-19
KR100500198B1 true KR100500198B1 (ko) 2005-07-14

Family

ID=2803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1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0198B1 (ko) 2002-03-07 2003-03-06 카드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264038A (ko)
KR (1) KR100500198B1 (ko)
CN (1) CN1253970C (ko)
TW (1) TW5821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9670B2 (ja) * 2016-11-11 2021-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
WO2025145437A1 (en) * 2024-01-05 2025-07-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Card holder assembly and industrial personal compu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9956A (ja) * 1997-11-17 1999-06-02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01236472A (ja) * 2000-02-21 2001-08-31 Sony Corp 記録媒体差込み用コネクタ
KR20020000144A (ko) * 1999-12-28 2002-01-04 야마나카 가즈타카 카드 커넥터
JP2002184525A (ja) * 2000-12-15 2002-06-28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9956A (ja) * 1997-11-17 1999-06-02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KR20020000144A (ko) * 1999-12-28 2002-01-04 야마나카 가즈타카 카드 커넥터
JP2001236472A (ja) * 2000-02-21 2001-08-31 Sony Corp 記録媒体差込み用コネクタ
JP2002184525A (ja) * 2000-12-15 2002-06-28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2131B (en) 2004-04-01
TW200304253A (en) 2003-09-16
JP2003264038A (ja) 2003-09-19
CN1253970C (zh) 2006-04-26
CN1444311A (zh) 2003-09-24
KR20030074278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499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729696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368779B1 (ko) 카드용 커넥터
JP368378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503101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435182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495888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3729697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20130196523A1 (en) Card connector
JP200418582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652300B2 (en) Card connector device having slide member for discharging card
KR100500198B1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401270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012660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428767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500197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426805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8716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612780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94891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08629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765705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388715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1117114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4185818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