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9895B1 -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 Google Patents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895B1
KR100499895B1 KR10-2003-0038338A KR20030038338A KR100499895B1 KR 100499895 B1 KR100499895 B1 KR 100499895B1 KR 20030038338 A KR20030038338 A KR 20030038338A KR 100499895 B1 KR100499895 B1 KR 100499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contact
input conductor
flanger
res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7314A (en
Inventor
신성기
박홍태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895B1/en
Publication of KR2004010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89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line)측과 출력(load)측의 배선을 바꿔서 결선하는 오결선(mis-wire)시 리셋 버튼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시공자)가 쉽게 오결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는 전원에 연결되며 이동접점을 갖는 입력 컨덕터(input conductor)와;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되는 고정접점을 갖는 출력 컨덕터(output contuctor)와; 상기 입력컨덕터의 이동접점과 상기 출력컨덕터의 고정접점이 접촉/이격되도록 누름/해제 동작이 수행되는 리셋 어셈블리와; 그리고 상기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기 전까지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는 누름 방지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t button is not pressed when the wiring of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is changed so that the reset button is not pressed so that the consumer (constructor) can easily recognize the incorrect wiring. It is related with an outlet type earth leakage breaker. The outlet-type leakag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conductor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having a movable contact; An output conductor having a fixed contact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A reset assembly in which a push /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are contacted / separated; And a press preventing part that block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until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Description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Receptacle type circuit breake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를 갖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입력(line)측과 출력(load)측의 배선을 바꿔서 결선하는 오결선(mis-wire)시 리셋 버튼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시공자)가 쉽게 오결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having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the reset button from being pressed during a mis-wire connection by changing the wiring on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that allows a consumer (constructor) to easily recognize a misconnection.

일반적으로 누전 차단기는 인체의 감전 사고와 누전에 의한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earth leakage breaker is a device used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and a fire caused by a short circuit.

이러한 누전 차단기는 가정용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누전 차단기와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직접 설치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GFCI;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ion)가 있다.Such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ncludes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nstalled in a home distribution panel and a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GFCI) installed directly in an outlet installed on a wall.

그러나,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를 갖는 콘센트는 소비자(시공업자)가 시공시 소비자의 부주의 등으로 배선을 오결선 한 경우, 오결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적당한 방법(테스트 버튼 동작도 정상 작동함)이 없어, 누전차단기에 연결된 콘센트 및 전기 용품 등에서 누전이 발생하여도 감지를 하지 못하게 되어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general, an outlet having an earth leakage breaker does not have a proper method (test button operation also works properly) to check the state of the miswiring when the consumer (constructor) has incorrectly wired the wiring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consumer. For example, even if a short circuit occurs in an outlet and an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an earth leakage break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not detect and caus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비자가 배선을 오결선한 경우 리셋 버튼이 구동하지 않으므로 소비자가 쉽게 오결선을 판단하여 미스와이어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object is that the reset button does not operate when the consumer incorrectly wired,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determine the incorrect wiring to prevent the problem caused by miss wire To provide a new type of earth leakage break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는 전원에 연결되며 이동접점을 갖는 입력 컨덕터(input conductor)와;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되는 고정접점을 갖는 출력 컨덕터(output contuctor)와; 상기 입력컨덕터의 이동접점과 상기 출력컨덕터의 고정접점이 접촉/이격되도록 누름/해제 동작이 수행되는 리셋 어셈블리와; 그리고 상기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기 전까지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는 누름 방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utlet-type leakage circuit breaker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having a moving contact (input conductor); An output conductor having a fixed contact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A reset assembly in which a push /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are contacted / separated; And a press preventing part that block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until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셋 어셈블리는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누전 감지부에서 누전 감지시 상기 이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이 이격되도록 상기 리셋 어셈블리에 해제 동작을 수행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그리고 상기 래치 아암이 연결되는 플랜저와; 상기 플랜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reset assembly may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short circuit of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ductor;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releasing operation on the reset assembly such that the moving contact point and the fixed contact point are spaced apart when the ground fault detection unit detects a short circuit. The drive unit is electrically operated solenoid; A flanger movabl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and to which the latch arm is connected; It includes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lang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셋 어셈블리는 핀을 갖는 리셋 버튼(reset button)과; 상기 리셋 버튼의 핀이 삽입되는 안내공을 갖는 가이드 블록과; 일단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안내공을 통해 승강되는 상기 핀이 록킹되는 홀을 갖는 래치아암과; 그리고 상기 리셋 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리셋 버튼이 상기 래치아암의 홀에 록킹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래치아암을 들어올리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t assembly comprises: a reset button having a pin; A guide block having a guide hole into which the pin of the reset button is inserted; A latch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uide block, and having a hole in which the pin is lifted and lifted through the guide hole; And a spring coupled to the reset button, the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for lifting the guide block and the latch arm when the reset button is locked in the hole of the latch ar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 방지부는 상기 리셋 버튼의 핀이 상기 래치아암의 홀에 록킹되지 않도록 상기 플랜저를 이동시킨 후 상기 플랜저의 일단에 록킹되는 핀을 갖는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의 록킹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prevention unit and the push button having a pin that is locked at one end of the flanger after moving the flanger so that the pin of the reset button is not locked to the hole of the latch arm; It includes a spring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is releas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는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에 연결되면,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누름 방지부의 차단 동작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부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type circuit breaker further includes a release unit for releasing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press preventing part to enable a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입력 컨덕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스위치는 상기 누름 버튼이 록킹된(눌러진) 경우에만 연결된다. 상기 해제부는, 상기 입력 컨덕터의 제 1,2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접점과 제 2접점 및; 상기 누름버튼과 함께 이동되고, 상기 누름 버튼이 록킹되면 상기 제 1접점과 제 2접점을 연결하는 터미널 와셔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unit includes a switch that provides a current for operating the drive unit when a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input conductor. This switch is connected only when the push button is locked (pressed). The release unit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int and a second contact poi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input conductor, respectively; And a terminal washer that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utton and connects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when the push button is lock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는 전원에 연결되며 이동접점을 갖는 입력 컨덕터(input conductor)와;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되는 고정접점을 갖는 출력 컨덕터(output contuctor)와; 상기 입력 컨덕터의 이동접점과 상기 출력 컨덕터의 고정접점이 접촉/이격되도록 누름/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리셋 어셈블리와; 그리고 상기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는지 그 여부에 따라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동작을 통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outlet-type leakage circuit breaker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having a moving contact (input conductor); An output conductor having a fixed contact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A reset assembly configured to perform a push / release operation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are contacted / separated;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제 수단은,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에 연결되기 전까지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는 누름 버튼 어셈블리와;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을 해제(unlock)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전원이 연결되면, 그 전원을 상기 구동부로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스위치는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on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by pressing the push button, the push button assembly to block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until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And an operation unit for unlocking the push button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The operation unit, the driving unit electrically operated; And a switch for providing the power to the drive unit when the power is connected from the input conductor. This switch is on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누전 발생시 상기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이격되도록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동작을 해제시킨다. 이 구동부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누름 버튼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플랜저와; 상기 플랜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release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so that the moving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s spaced apar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The drive unit includes an electrically operated solenoid; A flanger for unlocking the reset assembly or unlocking the push button by mov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It includes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langer.

본 발명에서 상기 리셋 어셈블리는, 리셋 버튼과; 상기 플랜저와 연결되는 그리고 상기 리셋 버튼이 록킹되는 래치 아암과; 그리고 상기 리셋 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리셋 버튼이 래치아암에 록킹되면 상기 래치 아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t assembly includes a reset button; A latch arm connected to the flanger and to which the reset button is locked; And a spring coupled to the reset button, the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arm when the reset button is locked to the latch arm.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누름 버튼의 록킹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의 일단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button assembly includes a spring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is released; One end of the push butt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press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은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동작을 차단하는 단계와; 입력 컨덕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와;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에 연결되면 상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컨덕터의 이동 접점과 출력 컨덕터의 고정 접점을 접촉시키기 위해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누전이 감지되면 상기 접점들이 이격되도록 상기 리셋 어셈블리에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receptacle type circuit breaker comprising the steps of blocking the pressing of the reset assembly; Connecting a power source to the input conductor; Canceling the blocking operation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Performing a push operation to contac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Detecting wheth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ductor is short-circuited; And performing a releasing operation on the reset assembly such that the contacts are spaced apart when a short circuit is detected.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 동작 차단 단계는,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리셋 버튼이 래치아암에 록킹되지 않도록 상기 래치아암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operation blocking step includes moving the latch arm such that the reset button of the reset assembly is not locked to the latch arm.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아암의 이동은, 누름 방지부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아암과 연결된 플랜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플랜저의 이동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이 상기 플랜저에 록킹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latch arm, pressing the push button of the push prevention unit; Moving the flanger connected to the latch arm in one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at the same time as the movement of the flanger is finished, the push button is locked to the flanger.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플랜저에 록킹되면, 상기 입력 컨덕터와 연결된 제 1 및 제 2접점이 터미널 와셔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sh button is locked to the flanger,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are connected by terminal washers.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 해제 단계는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플랜저가 전후 이동됨으로써, 누름버튼의 록킹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에 제공되는 전류는 상기 터미널 와셔의 연결을 통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ressurizing step includes provid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And moving the flanger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The current provided to the solenoid is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washer.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 동작 단계는, 사용자가 리셋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리셋 버튼이 상기 래치아암에 록킹되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아암과 이 래치아암이 연결된 가이드 블록이 들러올려짐과 단계와; 상기 가이드 블록이 들어올려지면서, 가이드 블록 상부에 배치된 이동 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reset button,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set button is locked to the latch arm; Lifting up the latch arm and the guide block to which the latch arm is connected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s the guide block is lifted, the movable contact disposed on the guide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For examp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together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전차단기를 갖는 콘센트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having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센트형 누전차단기는 케이스 어셈블리(110), 입력 컨덕터(124), 출력 컨덕터(120), 리셋 어셈블리(130), 누전 감지부(150), 그리고 통제 수단(180)을 포함한다.1 and 2, the outlet typ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assembly 110, an input conductor 124, an output conductor 120, a reset assembly 130, a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50, and control And means 180.

상기 통제 수단(180)은 상기 입력 컨덕터(124)에 전원(source of electricity)이 연결되었는지 그 여부에 따라 상기 리셋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 통제 수단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means 18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13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source of electricity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124,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Let's explain.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110)는 바텀 커버(112a), 미들 베이스(112b) 그리고 톱 커버(112c)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텀 커버(112a)에는 회로기판(114)이 조립되고, 회로기판(114) 상부로 미들 베이스(112b)가 조립된다. 상기 미들 베이스(112b)에는 출력 컨덕터(120)와, 케이스 어셈블리(110)를 콘센트 박스(벽면에 매설되는 박스)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스트랩(mounting strap;118)이 조립된다. The case assembly 110 includes a bottom cover 112a, a middle base 112b, and a top cover 112c. The circuit board 114 is assembled to the bottom cover 112a, and the middle base 112b is assembled to the circuit board 114. The middle base 112b is assembled with an output conductor 120 and a mounting strap 118 for fixing the case assembly 110 to an outlet box (a box buried in a wall).

상기 입력 컨덕터(124)는 이동접점(126)들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출력 컨덕터(120)는 상기 이동접점(126)과 접촉되는 고정접점(122)들을 갖는다. 상기 입력 컨덕터(124)는 상기 바텀 커버(112a)상에 상기 회로기판(114)과 함께 조립되며, 상기 출력 컨덕터(120)는 상기 미들 베이스(112b)에 조립된다. The input conductor 124 has moving contacts 126. The output conductor 120 has fixed contacts 122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126. The input conductor 124 is assembled with the circuit board 114 on the bottom cover 112a, and the output conductor 120 is assembled to the middle base 112b.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셋 어셈블리(130)는 리셋버튼(132), 가이드 블록(134), 래치 아암(136) 그리고 제1스프링(138)를 포함한다. 2 and 3, the reset assembly 130 includes a reset button 132, a guide block 134, a latch arm 136, and a first spring 138.

상기 리셋버튼(132)은 버튼(132a)과 가이드핀(13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132a)은 상기 톱 커버(112c)의 오프닝(113)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핀(132b)은 상기 마운팅 스트랩(118)의 관통공(118a)을 통해 상기 가이드 블록(134)의 안내공(134a)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핀(132b)은 후크(132c)가 형성된 끝단을 갖는다. The reset button 132 is composed of a button 132a and a guide pin 132b. The button 132a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3 of the top cover 112c, and the guide pin 132b of the guide block 134 through the through hole 118a of the mounting strap 118.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34a. The guide pin 132b has an end on which a hook 132c is formed.

상기 가이드 블록(134)은 상기 바텀 커버(112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받침대(115)에 놓여진다. 상기 가이드 블록(134)의 양측 날개부(134c)에는 상기 입력 컨덕터(124)의 이동 접점(126)이 위치되며, 이 이동접점(126)은 상기 가이드 블록(134)이 제1스프링(138)의 탄성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상기 고정접점(122)과 접촉된다. 도 7은 고정접점(122)과 이동접점(126)이 접촉된 상태를 보여준다. The guide block 134 is placed on the pedestal 115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over 112a. A movement contact 126 of the input conductor 124 is positioned at both wing portions 134c of the guide block 134, and the movement contact 12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uide block 134 has a first spring 138. When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i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22.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ed contact 122 and the moving contact 126 are in contact.

상기 래치아암(136)은 갈고리 형상의 앞단(136a)과 홀(137)이 형성된 뒷단(136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137)에는 상기 안내공(134a)을 통해 승강되는 상기 가이드핀(132b)이 록킹된다(도7 참조). 상기 래치아암(136)의 앞단(136a)은 플랜저(174)에 연결되고, 뒷단(136b)은 상기 가이드 블록(134)에 삽입된다. The latch arm 136 has a hooked front end 136a and a rear end 136b having a hole 137 formed therein. The guide pin 132b, which is elevated by the guide hole 134a, is locked in the hole 137 (see FIG. 7). The front end 136a of the latch arm 136 is connected to the flanger 174, and the rear end 136b is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34.

상기 래치아암(136)은 상기 플랜저(174)와 함께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138)은 상기 리셋 버튼의 가이드핀(132b)에 삽입된다. 이 제1스프링(138)은 상기 리셋 버튼(132)의 록킹시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latch arm 136 may move back and forth with the flanger 174. The first spring 138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n 132b of the reset button. The first spring 138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reset button 132 is locked.

한편, 상기 누전 감지부(150)는 전류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회로구성은 도 8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누전 감지부(150)는 리셋 버튼(132)이 눌러진 리셋 상태(누름 상태)에서만 누설전류를 감지한다. 상기 누전 감지부(150)는 영상 변류기(ZCT)가 누설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를 회로기판의 회로에 인가한다. 이를 회로에서 비교 판단하여 구동부의 솔레노이드(172)를 자화시켜는 방향으로 출력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50 detects whether or not the current leakage,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detail in FIG. For example, 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50 detects a leakage current only in a reset state (pressed state) in which the reset button 132 is pressed.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detects a leakage current by the image current transformer ZCT and applies the detected signal to a circuit of a circuit board. The circuit is compared and judged to generate an output curr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olenoid 172 of the driver is magnetized.

상기 구동부(170)는 상기 누전 감지부(150)에서 누설전류가 감지되면 입력 컨덕터(124)와 출력 컨덕터(120)사이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170)는 솔레노이드(172), 플랜저(174) 그리고 제2스프링(176)을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72)는 전류가 공급되면 자화된다. 플랜저(174)는 상기 솔레노이드(172)의 자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플랜저(174)는 상기 솔레노이드(172)의 안내공(172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랜저(174)는 누름버튼(184)의 후크(184a)와 접촉되는 경사면(174a)과, 이경사면(174a)을 타고 이동된 상기 누름버튼(184)의 후크(184a)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174b)을 갖는다. 도 4는 상기 누름버튼의 후크(184a)가 걸림턱(174b)에 고정된(록킹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제2스프링은 이 플랜저(174)에 끼워진다. The driver 170 cuts off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input conductor 124 and the output conductor 120 when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50. The driving unit 170 includes a solenoid 172, a flanger 174, and a second spring 176. The solenoid 172 is magnetized when a current is supplied. The flanger 174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172. The flanger 174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hole 172a of the solenoid 172. The flanger 174 has an inclined surface 174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ook 184a of the pushbutton 184 and a hooking jaw in which the hook 184a of the pushbutton 184 moved on the inclined surface 174a is caught and fixed. (174b).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ok 184a of the push button is fixed (locked) to the locking step 174b. The second spring is fitted to this flanger 174.

예컨대, 상기 구동부(170)는 누전 감지부(150)로부터 출력전류를 인가받으면, 솔레노이드(172)가 자화되면서 상기 플랜저(174)가 전후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저(174)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래치 아암(136)이 전후 이동되고, 상기 리셋 버튼(132)은 상기 래치 아암(136)의 홀(137)에 록킹된 상태에서 해제(unlock)된다. 상기 리셋 버튼(132)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 접점(126)은 고정 접점(122)으로부터 떨어진다.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170 receives an output current from the ground fault detecting unit 150, the solenoid 172 is magnetized and the flanger 174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ly, the latch arm 136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langer 174, and the reset button 132 is unlock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hole 137 of the latch arm 136. do. When the reset button 132 is released, the moving contact 126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122.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상기 통제 수단(180)은 누름 방지부(182)와 이 누름 방지부의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인 스위치(192)를 포함한다.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124)에 연결되기 전까지, 상기 누름 방지부(182)는 상기 리셋 어셈블리(130)의 리셋버튼(132)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해제 조작부(190)는 상기 입력 컨덕터(124)에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리셋 버튼(132)의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누름 방지부(182)의 차단 동작을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control means 180,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 protection unit 182 and a switch 192 which is a means for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 protection unit. Until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124, the push prevention unit 182 is to block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button 132 of the reset assembly 130. When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124, the release manipulation unit 190 releases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push prevention unit 182 to enable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button 132.

상기 누름 방지부(182)는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 버튼(184)과 이 누름 버튼(184)에 끼워지는 제3스프링(185) 그리고 이들이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몸체(186)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상기 플랜저(174)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로기판(114)에 설치된다. 도 3에서도 보여주듯이, 상기 누름 버튼(184)은 일단이 상기 바텀 커버(112a)의 관통공(111)에 위치되며, 임의로 눌러지지 않도록 상기 바텀 커버(112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sing preventing part 182 is composed of a push button 184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third spring 185 fitted to the push button 184 and a cylindrical body 186 installed therein. They are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114 to be positioned below the flanger 174. As also shown in Figure 3, the push button 184 is one end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111 of the bottom cover 112a, it is preferable not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over 112a so as not to be pressed arbitrarily. Do.

상기 누름 방지부(182)의 누름 버튼(184)은 일단에 상기 플랜저(174)의 걸림턱(174b)에 록킹되는 후크(184a)를 갖는다. 상기 누름 버튼(184)을 누르면, 도 4에서처럼 누름 버튼(184)은 플랜저(174)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플랜저(174)의 이동에 의해 상기 래치 아암(136)도 이동되며, 이때, 래치 아암은 상기 리셋 버튼(132)의 가이드핀(132b)이 상기 래치아암(136)의 홀(137)에 록킹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The push button 184 of the push prevention unit 182 has a hook 184a that is locked at one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174b of the flanger 174. When the push button 184 is pressed, the push button 184 moves the flanger 174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s shown in FIG. The latch arm 136 is also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flanger 174, where the latch arm locks the guide pin 132b of the reset button 132 to the hole 137 of the latch arm 136. Is moved to a location that does not.

상기 스위치(192)는 상기 누름 방지부(182)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The switch 192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sh prevention unit 182.

이 스위치(192)는 상기 입력 컨덕터(124)에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솔레노이드(172) 동작을 위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위치(192)는 제1접점(194a)과 제2접점(194b) 그리고 터미널 와셔(19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은 상기 입력 컨덕터(124)의 제1,2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 와셔(196)는 상기 누름 버튼(184)과 함께 업/다운되고, 상기 누름 버튼(184)이 록킹되면 상기 제1접점(194a)과 제2접점(194b)을 연결한다.(도 3 및 도 8참조). The switch 192 is to provide a current for operating the solenoid 172 when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124. The switch 192 includes a first contact 194a, a second contact 194b, and a terminal washer 196.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input conductor 124, respectively. The terminal washer 196 is up / down together with the push button 184 and connects the first contact 194a and the second contact 194b when the push button 184 is locked. And FIG. 8).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92)는 상기 누름 버튼(184)이 록킹된(눌러진) 경우에만 제1접점(194a)과 제2접점(194b)을 연결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누전차단기는 올바르게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124)에 연결되면, 전류가 상기 스위치(192)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172)로 공급되고,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184)의 록킹이 해제된다. As shown in FIG. 4, the switch 192 connects the first contact 194a and the second contact 194b only when the push button 184 is locked (pressed). As such, when the earth leakage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r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124, current is supplied to the solenoid 172 through the switch 192, and the push button 184 is operated by an operation of a driving unit. Is unlocked.

도 4는 상기 콘센트형 누전차단기의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itial state of the outlet-type earth leakage breaker.

도 4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누름 버튼(184)이 밀려 올라와 플랜저(174)의 걸림턱(174b)에 걸린 상태가 초기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where the push button 184 is pushed up and caught by the locking step 174b of the flanger 174.

이 초기 상태에서는 출력 컨덕터(부하측)로 전원이 인가될 경우 회로도와 같이 유입된 전류가 통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지 않아 기구적, 전자적인 역할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때, 리셋 버튼(132)을 구동 시켜도 래치 아암과 접촉을 할 수 없다(도 5참조) . In this initial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output conductor (load side), a path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current flows is not formed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and it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play a mechanical or electronic role because i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even if the reset button 132 is driven, the latch arm cannot be contacted (see FIG. 5).

상기 입력측 컨덕터(124)(전원측)로 전원을 인가할 경우 회로도와 같이 "HOT"상으로 유입된 전류는 저항이 가장 작은쪽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솔레노이드(172)와 스위치(192)를 통하여 통전하게 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input side conductor 124 (power side), the current flowing in the "HOT" phase flows through the solenoid 172 and the switch 192 since the current flows toward the smallest resistance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

상기 스위치(192)를 통해 솔레노이드(172)가 구동하여, 플랜저(174)를 당기게 되고(전후 이동), 이때 누름 버튼(184)이 제3스프링(185)에 의해 내려가면서 스위치는 off된다. 상기 플랜저(174)에 연결된 래치아암(136)은 제2스프링(176)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여 위치하게 된다(도 6). The solenoid 172 is driven through the switch 192 to pull the flanger 174 back and forth, and the switch is turned off while the push button 184 is lowered by the third spring 185. The latch arm 136 connected to the flanger 174 is positioned forward by the second spring 176 (FIG. 6).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리셋 버튼(132)을 누르면 가이드핀(132b)이 래치아암(136)의 홀(137)에 미끄러지듯이 삽입되었다가, 가이드핀(132b)이 올라오면서 가이드핀의 후크(132c)가 래치아암(136)에 걸리게 된다. 상기 래치아암(136)이 삽입되어 있던 가이드 블록(134)은 제1스프링(138)의 힘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가이드 블록(134)의 날개부(134c)에 걸쳐진 이동접점(126)도 함께 들어올려 고정접점(122)과 연결된다(도 7참조). When the reset button 132 is press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6, the guide pin 132b slides into the hole 137 of the latch arm 136, and the guide pin 132b is raised to hook the guide pin 132c. ) Is caught by the latch arm 136. The guide block 134 into which the latch arm 136 is inserted is lifted upward by the force of the first spring 138, and the movable contact 126 spans the wing 134c of the guide block 134. ) Is also lifted together and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122 (see FIG. 7).

이와 같이 구성된 콘센트형 누전차단기(100)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설치되어 작동된다. 도 4 내지 도 7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The outlet type earth leakage break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following ord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and 9.

먼저, 본 제품을 벽면의 콘센트 박스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졌는가를 확인한다. 만약, 누름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누름버튼을 눌러서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을 차단한다. First, make sure that the push button is pressed before installing the product in the wall outlet box. If the push button is not pressed,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block the push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상기 누름 버튼(184)을 누르면, 플랜저(174)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스프링(176)은 압축되고, 플랜저(174)와 연결되어 있던 래치 아암(136)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 버튼(184)의 후크(184a)는 플랜저(174)의 경사면(174a)을 타고 올라가서 걸림턱(174b)에 걸려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3스프링(185)은 압축되고, 터미널 와셔(196)는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서, 터미널 와셔(196)는 제1접점(194a)과 제2접점(194b)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위치(192)는 on 된다(도 4참조). Pressing the push button 184 moves the flanger 174 to the right. The second spring 176 is compressed and the latch arm 136, which has been connected to the flanger 174, is also moved to the right. In addition, the hook 184a of the push button 184 climbs up the inclined surface 174a of the flanger 174 and is fixed to the locking jaw 174b. Meanwhile, the third spring 185 is compressed and the terminal washer 196 is pushed upward, while the terminal washer 196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int 194a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194b and the switch ( 192 is turned on (see FIG. 4).

도 5에서처럼 누름 버튼(184)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리셋 버튼(132)을 누르더라도 가이드핀(132b)의 후크(132c)가 래치아암(136)의 홀(137)에 걸리지 않고 제1스프링(138)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184 is pressed as shown in FIG. 5, even when the reset button 132 is pressed, the hook 132c of the guide pin 132b is not caught by the hole 137 of the latch arm 136.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만약, 실수로 사용자가 전원측 라인(10)을 출력 컨덕터(120)에 연결하는 경우에도 상기 누름 버튼(184)의 록킹은 유지된다. 따라서, 리셋 버튼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미스와이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If the user accident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output conductor 120,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184 is maintained. Therefore, since the reset button is not driven,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miswire.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전원측 라인(10)을 입력 컨덕터(124)에 연결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누름 버튼(184)의 록킹이 해제된다. 즉, 상기 해제 조작부(190)의 스위치(192)에 의해 솔레노이드(172)가 작동되고, 누름 버튼(184)의 후크(184a)가 플랜저(174)의 걸림턱(174b)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누름 버튼(184)의 록킹이 해제된다(도 6 참조).In contrast, when the user connects the power supply side line 10 to the input conductor 124,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184 is automatically released. That is, the solenoid 172 is operated by the switch 192 of the release operation unit 190, the hook 184a of the push button 184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step 174b of the flanger 174, and the push button ( 184 is unlocked (see FIG. 6).

도 7에서처럼, 상기 리셋 버튼(132)을 누르면, 상기 입력 컨덕터(124)의 이동접점(126)과 출력 컨덕터(120)의 고정접점(122)을 접촉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reset button 132 is pressed, the movable contact 126 of the input conductor 124 and the fixed contact 122 of the output conductor 120 are contacted.

상기 리셋 버튼(132)의 후크(132c)는 래치 아암(136)에 록킹되고, 상기 래치아암(136)과, 이 래치 아암(136)이 연결된 가이드 블록(134)은 스프링(138)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 블록(134)의 날개부(134c)에 위치한 이동 접점(126)이 함께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고정접점(122)에 상기 이동접점(126)이 접촉되는 것이다. The hook 132c of the reset button 132 is locked to the latch arm 136, and the latch arm 136 and the guide block 134 to which the latch arm 136 is connected are lifted by the spring 138. Raised In addition, as the movable contact 126 located on the wing 134c of the guide block 134 is lifted together, the movable contact 126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22.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되면, 감지부(150)에서 이를 비교 판단한 후, 솔레노이드(172)를 자화시키기 위한 출력 전류를 발생시킨다. In this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if a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the detection unit 150 determines the comparison and generates an output current for magnetizing the solenoid 172.

상기 플랜저(174)는 상기 솔레노이드(172)의 자화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래치 아암(136)도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래치아암(136)에 의해 록킹되어 있는 리셋 버튼(132)을 해제시킨다. 이 순간, 리셋 버튼(132)은 스프링(138)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이동 접점(126)은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누설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The flanger 174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magnetization of the solenoid 172, the latch arm 136 is also moved together, releasing the reset button 132 locked by the latch arm 136. At this moment, the reset button 132 is rai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38, the moving contact 126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by its elastic restoring force to block the leakage curren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누전차단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utlet-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just described, for exampl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사용자 또는 시공자)가 배선을 오결선한 경우 리셋 버튼이 구동하지 않으므로 소비자가 쉽게 오결선을 판단하여 미스와이어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sumer (user or installer) is incorrectly wired, the reset button is not driven,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determine the wrong wiring to prevent the problem caused by miss w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주요 구성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outlet-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누름 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pressed in FIG.

도 6은 도 5에서 누름 버튼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위한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is released in FIG. 5; FIG.

도 7은 도 6에서 리셋 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위한 도면;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set button is pressed in FIG. 6;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회로 구성도;8 is a circuit diagram of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케이스 어셈블리110: case assembly

120 : 출력 컨덕터120: output conductor

124 : 입력 컨덕터124: input conductor

130 : 리셋 어셈블리130: reset assembly

132 : 리셋 버튼132: reset button

150 : 누전 감지부150: earth leakage detector

170 : 구동부170: drive unit

172 : 솔레노이드172: solenoid

180 : 통제수단180: control means

182 : 누름 방지부182: pressing prevention part

192 : 스위치 192: switch

Claims (30)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In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전원에 연결되며 이동접점을 갖는 입력 컨덕터(input conductor)와;An input conductor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having a movable contact;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되는 고정접점을 갖는 출력 컨덕터(output contuctor)와;An output conductor having a fixed contact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상기 입력컨덕터의 이동접점과 상기 출력컨덕터의 고정접점이 접촉/이격되도록 누름/해제 동작이 수행되는 리셋 어셈블리와; 그리고A reset assembly in which a push /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are contacted / separated; And 상기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기 전까지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는 누름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n anti-leakage unit for preventing a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until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셋 어셈블리는,The reset assembly,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short circuit of power provided from the input conductor; 상기 누전 감지부에서 누전 감지시 상기 이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이 이격되도록 상기 리셋 어셈블리에 해제 동작을 수행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releasing operation on the reset assembly such that the moving contact point and the fixed contact poi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ground fault detection unit detects a ground fault.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부는,The driving unit,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와;An electrically operated solenoid;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그리고 상기 래치 아암이 연결되는 플랜저와; A flanger movabl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and to which the latch arm is connected; 상기 플랜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Outlet-type leakage breaker comprising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langer.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리셋 어셈블리는,The reset assembly, 핀을 갖는 리셋 버튼(reset button)과;A reset button having a pin; 상기 리셋 버튼의 핀이 삽입되는 안내공을 갖는 가이드 블록과;A guide block having a guide hole into which the pin of the reset button is inserted; 일단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안내공을 통해 승강되는 상기 핀이 록킹되는 홀을 갖는 래치아암과; 그리고A latch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uide block, and having a hole in which the pin is lifted and lifted through the guide hole; And 상기 리셋 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리셋 버튼이 상기 래치아암의 홀에 록킹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래치아암을 들어올리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spring coupled to the reset button, the spring providing a resilient force to lift the guide block and the latch arm when the reset button is locked in a hole in the latch arm.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입력 컨덕터의 이동접점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부에 위치하고,The moving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is located above the guide block, 상기 이동접점은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The movable contact is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uide block is lifted by the spring, the fixed contact.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누름 방지부는 The pressing prevention part 상기 리셋 버튼의 핀이 상기 래치아암의 홀에 록킹되지 않도록 상기 플랜저를 이동시킨 후 상기 플랜저의 일단에 록킹되는 핀을 갖는 누름 버튼과;A push button having a pin locked at one end of the flanger after moving the flanger so that the pin of the reset button is not locked to the hole of the latch arm; 상기 누름 버튼의 록킹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spring for returning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is release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누름버튼의 록킹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플랜저가 전후 움직임으로써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is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of the flanger b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누름 버튼은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The push button is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플랜저는 상기 누름 버튼의 핀 끝단과 접촉되는 경사면과, 이 경사면을 타고 이동된 상기 핀의 끝단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The flanger has an inclined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in end of the push button, and a locking jaw to which the end of the pin moved on the inclined surface is caught and fixed. 상기 누름버튼은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플랜저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The push button is a socket-type leakage breaker that includes a hook that is fixed to the locking step to move the flanger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button is press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는,The outlet type earth leakage breaker,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에 연결되면,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누름 방지부의 차단 동작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release unit for releasing a blocking operation of the press preventing unit to enable a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해제부는,The release unit, 상기 입력 컨덕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And a switch providing a current to operate the driving unit when a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input conductor. 제 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위치는 상기 누름 버튼이 록킹된(눌러진) 경우에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the switch is connected only when the push button is locked (pressed).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입력 컨덕터는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갖으며,The input conductor ha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상기 해제부는,The release unit, 상기 입력 컨덕터의 제 1,2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접점과 제 2접점 및;First and second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input conductor, respectively; 상기 누름버튼과 함께 이동되고, 상기 누름 버튼이 록킹되면 상기 제 1접점과 제 2접점을 연결하는 터미널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And a terminal washer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utton and connects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when the push button is locked.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with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short circuit of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ductor; 상기 제 1접점과 제 2접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In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전원에 연결되며 이동접점을 갖는 입력 컨덕터(input conductor)와;An input conductor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having a movable contact;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되는 고정접점을 갖는 출력 컨덕터(output contuctor)와;An output conductor having a fixed contact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상기 입력 컨덕터의 이동접점과 상기 출력 컨덕터의 고정접점이 접촉/이격되도록 누름/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리셋 어셈블리와; 그리고A reset assembly configured to perform a push / release operation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are contacted / separated; And 상기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는지 그 여부에 따라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동작을 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depending on whether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통제 수단은,The control means,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에 연결되기 전까지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는 누름 버튼 어셈블리와; A push button assembly that presses a push button to block the push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until pow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입력 컨덕터에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을 해제(unlock)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control unit for unlocking the push button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an input conductor.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동부와;An electrically operated drive unit;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전원이 연결되면, 그 전원을 상기 구동부로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switch for providing the power to the driving unit when the power is connected from the input conductor.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스위치는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구동부는 누전 발생시 상기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이격되도록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동작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The driving unit is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leas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so that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s spaced apart. 제 16항 또는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or 19, 상기 구동부는 The driving unit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와;An electrically operated solenoid;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누름 버튼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플랜저와;A flanger for unlocking the reset assembly or unlocking the push button by mov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상기 플랜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Outlet-type leakage breaker comprising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langer.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플랜저는 상기 누름 버튼과 접촉되는 경사면과;The flanger has an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ush button; 상기 경사면을 타고 이동된 상기 누름 버튼의 끝단이 고정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A locking jaw to which an end of the push button moved on the inclined surface is fixed;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는, 그리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the push button includes a hook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nd is fixed to the locking jaw.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리셋 어셈블리는,The reset assembly, 리셋 버튼과;A reset button; 상기 플랜저와 연결되는 그리고 상기 리셋 버튼이 록킹되는 래치 아암과; 그리고A latch arm connected to the flanger and to which the reset button is locked; And 상기 리셋 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리셋 버튼이 래치아암에 록킹되면 상기 래치 아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And a spring coupled to the reset button, the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arm when the reset button is locked to the latch arm.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누름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누름 버튼의 록킹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The push button assembly includes a spring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push button is unlocked; 상기 누름 버튼의 일단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 One end of the push button is an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pressed by the user.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outlet type circuit breaker: 리셋 어셈블리의 누름동작을 차단하는 단계와;Interrupt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reset assembly; 입력 컨덕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와;Connecting a power source to the input conductor; 전원이 상기 입력 컨덕터에 연결되면 상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단계와;Canceling the blocking operation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상기 입력 컨덕터의 이동 접점과 출력 컨덕터의 고정 접점을 접촉시키기 위해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Performing a push operation to contact the movable contact of the input conductor and the fixed contact of the output conductor; 상기 입력 컨덕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그리고Detecting wheth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ductor is short-circuited; And 누전이 감지되면 상기 접점들이 이격되도록 상기 리셋 어셈블리에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And performing a releasing operation on the reset assembly such that the contact points are spaced apart when a short circuit is detected.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누름 동작 차단 단계는,The pressing operation blocking step, 상기 리셋 어셈블리의 리셋 버튼이 래치아암에 록킹되지 않도록 상기 래치아암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Moving the latch arm such that the reset button of the reset assembly is not locked to the latch arm.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래치아암의 이동은,The latch arm moves, 누름 방지부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단계와;Pressing a push button of the push prevention unit;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아암과 연결된 플랜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그리고Moving the flanger connected to the latch arm in one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상기 플랜저의 이동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이 상기 플랜저에 록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And the push button is locked to the flanger as soon as the movement of the flanger is finished.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플랜저에 록킹되면, 상기 입력 컨덕터와 연결된 제 1 및 제 2접점이 터미널 와셔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And when the push button is locked to the flange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by a terminal washer.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누름 해제 단계는The pressing release step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플랜저가 전후 이동됨으로써, 누름버튼의 록킹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And the locking of the push button is released by moving the flanger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제 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솔레노이드에 제공되는 전류는 상기 터미널 와셔의 연결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And the current provided to the solenoid is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washer.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누름 동작 단계는,The pressing operation step, 사용자가 리셋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리셋 버튼이 상기 래치아암에 록킹되는 단계와;When the user presses the reset button,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reset button is locked to the latch arm;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아암과 이 래치아암이 연결된 가이드 블록이 들러올려지는 단계와;Lifting the latch arm and the guide block connected to the latch arm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상기 가이드 블록이 들어올려지면서, 가이드 블록 상부에 배치된 이동 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누전 차단기의 작동 방법.The lifting of the guide block,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utle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tacting the fixed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disposed on the guide block.
KR10-2003-0038338A 2003-06-13 2003-06-13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338A KR100499895B1 (en) 2003-06-13 2003-06-13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338A KR100499895B1 (en) 2003-06-13 2003-06-13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14A KR20040107314A (en) 2004-12-20
KR100499895B1 true KR100499895B1 (en) 2005-07-05

Family

ID=3738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3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895B1 (en) 2003-06-13 2003-06-13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89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14A (en)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8482887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circuit condition detection function
US7195500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end of life indicators
US7317600B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utomatic end of life test
US7355497B2 (en) Reset lockout and trip fo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US7019952B2 (en) Receptacle device having circuit interrupting and reverse wiring protection
US8164403B2 (en) Disconnect mechanism in a power receptacle with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ion functions
US7551047B2 (en) Tamper resistan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receptacle having dual function shutters
US6963260B2 (en) GFCI receptacle having blocking means
US7009473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US20080094765A1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utomatic end of life test
CA2512182C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single throw, double mode button for test-reset function
US20060061924A1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function
US20100290163A1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iton function
KR100499895B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KR100558387B1 (en) Earth leakage interrupting outlet which cannot be reset in case of circuit failure or power failure
JPH08180792A (en) Earth leakage breaker
KR20200134430A (en) Earth leakage breaker for inserting
CA2458791C (en) Receptacle device having circuit interrupting and reverse wiring protection
JP2001024970A (en) Placing stand
CN100385593C (en) GFCI receptacle having blocking means
KR200399362Y1 (en) Flug type leakage current circuit breaker
CN1661750A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HK1066915A (en) Gfci receptacle having blocking means
CA2579626A1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utomatic end of life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