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 을 나타내고;
Ar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또는 저급알킬옥시기로 치환된, 방향족 또는 고리 중에 N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을 나타내며;
M은 수소 원자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형성하는 짝이온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4의 카바페넴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한 다음, 화학식 4의 화합물에서 카복시 보호기 및 임의적으로 히드록시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또는 트리에틸실릴기와 같은 히드록시 보호기이고;
R2는 p-니트로벤질기, 알릴기 또는 p-메톡시벤질기와 같은 카복시 보호기이며;
n 및 Ar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효량의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항생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n이 0 또는 1이고; Ar이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또는 C1-C4 알킬옥시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 피리딘기 또는 벤조티아졸기이고; M이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형성하는 짝이온인 화합물들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는 특히,
나트륨 (1R,5S,6S)-2-[(1-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나트륨 (1R,5S,6S)-2-[1-(3,5-디메톡시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나트륨 (1R,5S,6S)-2-[1-(4-브로모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나트륨 (1R,5S,6S)-2-[1-(1-나프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나트륨 (1R,5S,6S)-2-[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나트륨 (1R,5S,6S)-2-{[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나트륨 (1R,5S,6S)-2-{[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 및
나트륨 (1R,5S,6S)-2-{[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는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R1이 수소원자인 경우에는 화학식 4의 화합물에서 카복시 보호기인 R2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을 건조된 유기용매(예: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아세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30 내지 -20oC로 냉각시킨 다음, 유기염기(예: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를 천천히 가한다. 이어, 여기에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가하고, -5 내지 25oC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화학식 4의 화합물에서 카복시 보호기(R2)의 제거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2가 p-니트로벤질기 또는 p-메톡시벤질기인 경우에는 유기산 또는 그의 염(예: 아세트산, 2-에틸헥사논산, 또는 이들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의 존재 하에서, 수소화 촉매반응으로 환원하여 제거할 수 있고, R2가 알릴기인 경우에는, 유기산 또는 그의 염(예: 아세트산, 2-에틸헥사논산, 또는 이들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의 존재 하에서, 트리페닐포스핀 또는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과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다.
R1이 히드록시 보호기인 경우, 화학식 4의 화합물에서의 히드록시 보호기의 제거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기인 경우에는, N-메틸피롤리디논 용매 중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상온에서 약 3일 동안 암모늄바이플루오라이드와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고, R1이 트리에틸실릴기인 경우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매 중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상온에서 약 5시간 동안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와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호기의 제거반응 후 수득된 반응물을 역상 C18-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비결정성 고체상태의 최종 생성물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화학식 3(n=0)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Ar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에 따른 화학식 3(n=0)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 화학식 5로 표시되는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과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아릴카보닐클로라이드를 유기염기(예: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이소프로필아민,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서 유기용매(예: 벤젠,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중에서 가열하여 화학식 7의 아실화 화합물을 제조하고, ii) 이를 메틸알콜 용매 중에서 4 노르말(N) 농도의 염산을 가하고 0 내지 5oC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여 tert-부틸실릴기가 제거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iii)이렇게 제조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에틸아조디카복실산 (또는 디이소프로필아조카복실산)과 -5 내지 5oC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티오아세트산을 가하여 상온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vi)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염기(예: 수산화나트륨)와 반응시켜 가수분해하여 화학식 3(n=0)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3(n=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Ar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에 따른 화학식 3(n=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 화학식 5로 표시되는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유럽특허 제 0632039호의 방법으로 제조)과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유기염기(예: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이소프로필아민, 바람직하게는 디이소프로필아민)의 존재 하에서 유기용매(예: 벤젠,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중에서 0oC 내지 상온에서 2내지 5시간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11의 아실화 화합물을 제조하고, ii) 이를 유기용매(예: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초산에틸, 바람직하게는 디옥산)중에서 염기(예: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12의 아릴티올화합물과 2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켜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iii) 이를 메틸알콜 용매중에서 4 노르말(N) 농도의 염산을 가하고 0 내지 5oC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여 tert-부틸실릴기가 제거된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vi)이렇게 제조한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에틸아조디카복실산 (또는 디이소프로필아조카복실산)과 -5 내지 5oC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티오아세트산을 가하여 상온에서 1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v)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염기(예: 수산화나트륨)와 반응시켜 가수분해하여 화학식 3(n=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메티실린 내성균주(MRSA), 오플록사신 내성균주(QRSA), 페니실린 내성균주(PRSA),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 및 뉴모코쿠스(Pneumococcus)와 같은 그람양성 미생물에 대해 우수한 항 박테리아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항생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활성 성분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 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륨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 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 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 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 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대해 하루에 2.5 내지 100 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mg/kg(체중)의 양으로 1일 1회 또는 분할하여 경구 또는 비 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화학식 7의 화합물, Ar=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g, 10.67밀리몰)을 톨루엔(35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2.2ml, 16.0밀리몰)을 5분간에 걸쳐서 가하고 이어서 벤조일클로라이드(2g, 10밀리몰)을 가한 후 18시간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액에 적량의 초산에틸과 물을 가해 추출하였다.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정량적인 수율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3(s, 9H), 3.8-4.15(m, 2H), 4.22-4.41(m, 2H), 4.55-4.63(m, 1H), 7.25-7.62(m, 5H) ; MS (EI, 70 eV) m/z 291(M+).
제조예 2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3,5-디메톡시페닐)메탄온(화학식 7의 화합물, Ar=3,5-디메톡시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9g, 10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메탄(33m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클로로포스페이트(1.3ml, 11밀리몰)과 트리에틸아민(2.8ml, 20밀리몰)을 적가하고 이어서 3,5-디메톡시벤조산(1.8g, 10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에 적량의 초산에틸과 물을 가해 추출하였다.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노르말헥산/초산에틸=1:6)으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 1.57g(4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8(s, 9H), 3.80(s, 6H), 3.92-4.18(m, 2H), 4.35-4.44(m, 2H), 4.48-4.72(m, 1H), 6.52(m, 1H), 6.74(m, 2H) ; MS (EI, 70 eV) m/z 352(M+).
제조예 3 : 4-브로모페닐-[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7의 화합물, Ar=4-브로모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9g, 10밀리몰)을 건조된 디클로로메탄(33m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클로로포스페이트(1.3ml, 11밀리몰)과 트리에틸아민(2.8ml, 20밀리몰)을 적가하고 이어서 4-브로모벤조산(2.0g, 10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에 적량의 초산에틸과 물을 가해 추출하였다.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노르말헥산/초산에틸=1:9)으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을 1.57g(4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3(s, 6H), 0.88(s, 9H), 3.80(s, 6H), 3.92-4.18(m, 2H), 4.35-4.44(m, 2H), 4.48-4.72(m, 1H), 6.52(m, 1H), 7.46-7.52(m, 4H) ; MS (EI, 70 eV) m/z 370(M+).
제조예 4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화학식 7의 화합물, Ar=나프틸)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g, 5.25밀리몰)을 톨루엔(15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2.8ml, 20밀리몰)을 5분간에 걸쳐서 가하고 이어서 1-나프틸카보닐클로라이드(0.79ml, 5.25밀리몰)을 가한 후 18시간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액에 적량의 초산에틸과 물을 가해 추출하였다.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정량적인 수율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3(s, 9H), 3.64-3.72(m, 1H), 3.82-3.93(m, 1H), 3.95-4,11(m, 1H), 4.38-4.50(m, 1H), 4.55-4.62(m, 1H), 7.01-7.18(m, 1H), 7.32-7.48(m, 4H), 7.67-7.80(m, 1H), 7.92-8.01(m, 1H) ; MS (EI, 70 eV) m/z 341(M+).
제조예 5 : (3-히드록시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화학식 8의 화합물, Ar=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제조예 1의 화합물)(3.1g, 10.67밀리몰)을 메탄올(34ml)에 녹이고 0oC로 냉각 시켰다. 여기에 4N-염산(12.9ml, 51.47밀리몰)을 천천히 적가하여 1시간동안 교반하여 주었다. 반응이 완결된 후 포화 중조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pH=7.0) 용매를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여물에 적량의 물과 초산에틸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정량적인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MeOD) 3.90-4.00(m, 1H), 4.05-4.17(m, 1H), 4.30-4.88(m, 2H), 7.20-7.68(m, 5H) ; MS (EI, 70 eV) m/z 177(M+), 135, 105, 77.
제조예 6 : (3,5-디메톡시페닐)-3-(히드록시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8의 화합물, Ar=3,5-디메톡시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3,5-디메톡시페닐)메탄온(제조예 2의 화합물)(400mg, 1.138밀리몰)을 사용하고 제조예 5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을 정량적인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MeOD) 3.25(s, 1H), 3.79(s, 3H), 3.85-3.93(m, 1H), 4.03-4.18(m, 1H), 4.32-4.62(m, 2H), 6.60(m, 1H), 6.70(m, 2H) ; MS (EI, 70 eV) m/z 237(M+), 196, 165, 151.
제조예 7 : (4-브로모페닐)-(3-히드록시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8의 화합물, Ar=4-브로모페닐)
4-브로모페닐-[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3의 화합물)(400mg, 1.08밀리몰)을 제조예 5와 같이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을 260mg(9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MeOD) 3.25(s, 1H), 3.90-4.00(m, 1H), 4.05-4.18(m, 1H), 4.32-4.68(m, 2H), 7.48-7.77(m, 4H) ; MS (EI, 70 eV) m/z 255(M+), 229, 215, 183.
제조예 8 : (3-히드록시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화학식 8의 화합물, Ar=나프틸)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제조예 4의 화합물)(1.8g, 1.08밀리몰)을 제조예 5와 같이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을 1.38g(10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MeOD) 3.25(s, 1H), 3.62-3.70(m, 1H), 3.91-4.03(m, 2H), 4.38-4.62(m, 2H), 7.42-7.60(m, 4H), 7.82-8.00(m, 3H) ; MS (EI, 70 eV) m/z 227(M+), 184, 155, 127.
제조예 9 : (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화학식 9의 화합물, Ar=페닐)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35ml)에 트리페닐포스핀(5.6g, 21.34 밀리몰)을 용해시키고 0oC로 냉각시킨 후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4.2ml, 21.34ml)을 적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동 온도에서 티오아세트산(1.5ml, 21.34ml)와 (3-히드록시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제조예 5의 화합물)(1.9g, 10.67밀리몰)을 천천히 가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농축하고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노르말헥산/초산에틸=1:4)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 1.708g(68%)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28(s, 3H), 4.00-4.18(m, 2H), 4.18-4.31(m, 1H), 4.47-4.76(m, 2H), 7.28-7.45(m, 3H), 7.45-7.51(m, 2H) ; MS (EI, 70 eV) m/z 235 (M+), 183, 160, 105.
제조예 10 : (3,5-디메톡시페닐)-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9의 화합물, Ar=3,5-디메톡시페닐)
(3,5-디메톡시페닐)-3-(히드록시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6의 화합물)(248mg, 1.04밀리몰)을 제조예 9와 같이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220mg(7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32(s, 3H), 3.79(s, 6H), 4.01-4.18(m, 2H), 4.20-4.33(m, 1H), 4.51-4.77(m, 2H), 6.52(m, 1H), 6.70-6.72(m, 2H) ; MS (EI, 70 eV) m/z 295(M+), 219, 193, 165.
제조예 11 : (4-브로모페닐)-(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9의 화합물, Ar=4-브로모페닐)
(4-브로모페닐)-(3-히드록시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7의 화합물) (214 mg, 0.836밀리몰)을 제조예 9와 같이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172mg(6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32(s, 3H), 4.01-4.18(m, 2H), 4.20-4.33(m, 1H), 4.51-4.77(m, 2H), 7.23-7.39(m, 4H) ; MS (EI, 70 eV) m/z 314(M+), 220, 183, 145.
제조예 12 : (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화학식 9의 화합물, Ar=나프틸)
(3-히드록시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제조예 8의 화합물)(1.2g, 5.246밀리몰)을 제조예 9와 같이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995mg(66%)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26(s, 3H), 3.66-3.78(m, 1H), 4.05-4.33(m, 3H), 4.60-4.75(m, 1H), 7.40-7.60(m, 4H), 7.78-7.90(m, 2H), 8.06(d, 1H) ; MS (EI, 70 eV) m/z 285(M+), 262, 243, 210.
제조예 13 : (3-머르캅토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화학식 3의 화합물, Ar=페닐, n=0)
(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제조예 9의 화합물)(1.708g, 7.259mmol)을 메탄올(24ml)에 용해시키고, 0oC로 냉각한 후 2N-수산화나트륨(4ml, 7.985밀리몰)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동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킨 후 1N-염산으로 pH 4로 조절하여 준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소량의 물을 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조용액과 소금물로 각각 세척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및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은 상온에서 불안정하므로 곧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14 : (3,5-디메톡시페닐)-3-(머르캅토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3의 화합물, Ar=3,5-디메톡시페닐, n=0)
(3,5-디메톡시페닐)-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10의 화합물)(218mg, 0.738mmol)을 실시예 13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어서 다음 반응에 곧바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15 : (4-브로모페닐)-(3-머르캅토아제티딘-1-일)메탄온(화학식 3의 화합물, Ar=4-브로모페닐)
(4-브로모페닐)-(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11의 화합물)(200mg, 0.637밀리몰)을 실시예 13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어서 다음 반응에 곧바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16 : (3-머르캅토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화학식 3의 화합물, Ar=나프틸, n=0)
(3-아세틸티오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제조예 12의 화합물)(975mg, 3.416밀리몰)을 실시예 13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어서 다음 반응에 곧바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17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화학식 11의 화합물)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500mg, 2.72밀리몰)을 톨루엔(10ml)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1ml, 4.08)을 가한 후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0.24ml, 2.993밀리몰)을 천천히 적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여 주었다. 반응완결 후 물과 초산에틸을 가하여 추출하여 유기층을 취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용리제: 노르말헥산/초산에틸=4:1)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 709mg(99%)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5(s, 9H), 4.84(s, 2H), 4.85-4.90(m, 1H), 4.01-4.15(m, 1H), 4.18-4.34(m, 1H), 4.36-4.49(m, 1H), 4.58-4.70(m, 1H) ; MS (EI, 70 eV) m/z 264(M+), 206, 150, 101, 75.
제조예 18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3의 화합물, Ar=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화학식 11의 화합물)(573mg, 2.172밀리몰)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티오페놀(0.45ml, 4.344밀리몰)과 탄산칼슘(0.6g, 4.344밀리몰)을 적가하여 2시간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과 초산에틸을 가하여 추출하여 유기층을 취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노르말헥산/초산에틸=4:1)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 639mg(87%)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5(s, 9H), 3.48(s, 2H), 3.75-3.93(m, 2H), 4.08-4.15(m, 2H), 4.46-4.50(m, 1H), 7.10-7.38(m, 3H), 7.40-7.51(m, 2H) ; MS (EI, 70 eV) m/z 338(M+)
제조예 19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3의 화합물, Ar=피리딘-4-일)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화학식 11의 화합물)(675mg, 2.55밀리몰)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4-머르캅토피리딘(449mg, 3.837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 799mg(92%)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5(s, 9H), 3.58(s, 2H), 3.78-3.92(m, 1H), 4.01-4.09(m, 1H), 4.17-4.25(m, 1H), 4.36-4.44(m, 1H), 4.54-4.68m, 1H), 7.08-7.16(m, 2H), 8.35-8.42(m, 2H) ; MS (EI, 70 eV) m/z 338(M+), 323, 281. 225.
제조예 20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3의 화합물, Ar=2,5-디클로로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화학식 11의 화합물)(700mg, 2.65밀리몰)을 디옥산(14ml)에 용해시키고, 2,5-디클로로벤젠티올(0.46ml, 2.653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 845mg(78%)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5(s, 9H), 3.02(s, 2H), 3.58-3.90(m, 2H), 4.10-4.23(m, 2H), 4.46-4.53(m, 1H), 6.95(m, 1H), 7.05-7.24(m, 2H) ; MS (EI, 70 eV) m/z 406(M+), 323, 281.
제조예 21 :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3의 화합물, Ar=벤조티아졸-2-일)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클로로아세틸아제티딘(화학식 11의 화합물)(709mg, 2.68밀리몰)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2-머르캅토벤조티아졸(899mg, 5.37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 749mg(7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0.05(s, 6H), 0.85(s, 9H), 3.81-3.90(m, 1H), 3.98(s, 2H), 4.10-4.29(m, 2H), 4.48-4.70(m, 2H), 6.95(m, 1H), 7.20-7.40(m, 2H), 7.65-7.84(m, 2H) ; MS (EI, 70 eV) m/z 394(M+), 337, 293, 208.
제조예 22 : 3-히드록시-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4의 화합물, Ar=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18의 화합물)(639mg, 1.839밀리몰)을 메탄올(10ml)에 용해시키고 0oC로 냉각시킨 후 4N-염산(1,9ml, 7,572밀리몰)을 천천히 적가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포화 중조수용액을 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절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소량의 물과 초산에틸을 가하여 추출하여 유기층을 취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 400mg(9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3.32(bs, 1H), 3.46(s, 2H), 3.80-3.94(m, 2H), 4.12-4.30(m, 2H), 4.46-4.52(m, 1H), 7.10-7.38(m, 3H), 7.40-7.51(m, 2H) ; MS (EI, 70 eV) m/z 223(M+), 180, 152, 123.
제조예 23 : 3-히드록시-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4의 화합물, Ar=피리딘-4-일)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19의 화합물)(799mg, 2.360밀리몰)을 메탄올(10ml)에 용해시켜 4N-염산(2.36ml, 9.44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22와 같이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을 흰색고체로 292mg(5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80(bs, 1H), 3.58(s, 2H), 3.85-3.92(m, 1H), 4.05-4.18(m, 1H), 4.13-4.21(m, 1H), 4.40-4.52(m, 1H), 4.63-4.72(m, 1H), 7.08-7.16(m, 2H), 8.35-8.42(m, 2H) ; MS (EI, 70 eV) m/z 224(M+), 181, 152. 125.
제조예 24 : 3-히드록시-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4의 화합물, Ar=2,5-디클로로페닐)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0의 화합물)(845mg, 2.360밀리몰)을 메탄올(10ml)에 용해시키고 4N-염산(2ml, 8.316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22와 같이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을 흰색고체로 539mg(89%)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3.38(s, 2H), 3.70-3.85(m, 2H), 4.08-4.21(m, 2H), 4.41-4.53(m, 1H), 6.90(d, J=7.6Hz, 1H), 7.03(d, J=7.6Hz, 1H), 7.22(s, 1H) ; MS (EI, 70 eV) m/z 291(M+), 219, 191.
제조예 25 : 3-히드록시-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4의 화합물, Ar=벤조티아졸-2-일)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1의 화합물)(749mg, 1.898밀리몰)을 메탄올(10ml)에 용해시키고 4N-염산(1.9ml, 1.196밀리몰)을 사용하여 제조예 22와 같이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 340mg(64%)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52(bs, 1H), 3.81-3.90(m, 1H), 3.98(s, 2H), 4.10-4.29(m, 2H), 4.60-4.80(m, 2H), 7.23-7.45(m, 2H), 7.74(d, J=8Hz, 1H), 7.85(d, J=8Hz, 1H) ; MS (EI, 70 eV) m/z 280(M+), 262, 208, 180.
제조예 26 : 3-아세틸티오-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5의 화합물, Ar=페닐)
질소분위기에서 트리페닐포스핀(400mg, 1.791밀리몰)을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8ml)에 용해시키고, 0oC로 냉각시킨 후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복실레이트(0.7ml, 3.583밀리몰)을 적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동 온도에서 티오아세트산(0.26ml, 3.583밀리몰)와 3-히드록시-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2의 화합물)(400mg, 1.791밀리몰)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올려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반응 완결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농축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노르말헥산/초산에틸=2:1)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 422mg(83%)를 노란색 액상으로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34(s, 3H), 3.42(s, 2H), 3.80-3.94(m, 2H), 4.12-4.30(m, 1H), 4.38-4.60(m, 2H), 7.10-7.38(m, 3H), 7.40-7.51(m, 2H) ; MS (EI, 70 eV) m/z 281(M+), 206, 179, 123.
제조예 27 : 3-아세틸티오-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5의 화합물, Ar=피리딘-4-일)
3-히드록시-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3의 화합물)(292mg, 1.302밀리몰)을 사용하고 다른 시약은 제조예 26과 동일한 몰비와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 298mg(8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35(s, 3H), 3.58(s, 2H), 3.85-3.92(m, 1H), 4.05-4.18(m, 1H), 4.13-4.21(m, 1H), 4.40-4.52(m, 1H), 4.63-4.72(m, 1H), 7.08-7.16(m, 2H), 8.35-8.42(m, 2H) ; MS (EI, 70 eV) m/z 282(M+), 239, 207. 181.
제조예 28 : 3-아세틸티오-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5의 화합물, Ar=2,5-디클로로페닐)
3-히드록시-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4의 화합물)(539mg, 1.845밀리몰)을 사용하고 다른 시약은 제조예 26과 동일한 몰비와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 615mg(9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31(s, 3H), 3.40(s, 2H), 3.80-3.91(m, 2H), 4.05-4.21(m, 1H), 4.38-4.58(m, 2H), 6.94(d, J=7.6Hz, 1H), 7.05(d, J=7.6Hz, 1H), 7.22(s, 1H) ; MS (EI, 70 eV) m/z 350(M+), 219, 191.
제조예 29 : 3-아세틸티오-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15의 화합물, Ar=벤조티아졸-2-일)
3-히드록시-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5의 화합물)(234mg, 1.238밀리몰)을 사용하고 다른 시약은 제조예 26과 동일한 몰비와 방법으로 반응하여 목적 화합물 331mg(8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2.35(s, 3H), 3.81-3.90(m, 1H), 3.98(s, 2H), 4.10-4.29(m, 2H), 4.40-4.54(m, 1H), 4.90-5.05(m, 1H), 7.23-7.45(m, 2H), 7.74(d, J=8Hz, 1H), 7.85(d, J=8Hz, 1H) ; MS (EI, 70 eV) m/z 338(M+), 263, 208, 180.
제조예 30 : 3-머르캅토-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3의 화합물, Ar=페닐, n=1)
3-아세틸티오-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6의 화합물)(165mg, 0.586밀리몰)을 메탄올(4ml)에 용해시키고, 0oC로 냉각시킨 후 2N-수산화나트륨(0.29ml, 0.586밀리몰)을 천천히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반응물에 2N-염산을 가하여 pH를 4로 조절하여 준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소량의 물과 초산에틸을 가하여 추출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를 포화 중조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목적 화합물을 곧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31 : 3-머르캅토-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3의 화합물, Ar=피리딘-4-일, n=1)
3-아세틸티오-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7의 화합물)(165mg, 0.580밀리몰)을 사용하고 제조예 30과 동 몰비의 염산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고 곧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32 : 3-머르캅토-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3의 화합물, Ar=2,5-디클로로페닐, n=1)
3-아세틸티오-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8의 화합물)(300mg, 0.856밀리몰)을 사용하고 제조예 30과 동 몰비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고 곧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33 : 3-머르캅토-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화학식 3의 화합물, Ar=벤조티아졸-2-일, n=1)
3-아세틸티오-1-[(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29의 화합물)(100mg, 0.295밀리몰)을 사용하고 제조예 30과 동 몰비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고 곧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4-니트로벤질 (1R,5S,6S)-2-[(1-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Ar=페닐)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3.95g, 0.319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22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3ml, 7.308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머르캅토아제티딘-1-일)페닐메탄온(제조예 13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15ml)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반응액에 적량의 초산에틸과 물을 가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용리제: 초산에틸)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244g(9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5(d, J=7.2Hz, 3H), 1.33(d, J=6.2Hz, 3H), 3.17(m, 1H), 3.27(m, 1H), 4.05-4.35(m, 5H), 4.55-4.70(m, 2H), 5.40(ABq, J=13.6, 67Hz, 2H), 7.40-7.71(m, 5H), 7.55(m, 2H), 8.20(d, J=8.4Hz, 2H) ; MS(FAB), 537(M+), 528, 512.
실시예 2 : 4-니트로벤질 (1R,5S,6S)-2-[1-(3,5-디메톡시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Ar=3,5-디메톡시페닐)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250mg, 0.42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2.5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1ml, 0.66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5-디메톡시페닐)-3-머르캅토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14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15m)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344mg(99%)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3(d, J=7.2Hz, 3H), 1.32(d, J=6.2Hz, 3H), 3.17(m, 1H), 3.27(m, 1H), 3.80(s, 6H), 4.02-4.38(m, 5H), 4.55-4.70(m, 2H), 5.40(ABq, J=13.6, 67Hz, 2H), 6.55(m, 1H), 6.69(m, 2H), 7.65(d, J=8.4Hz, 2H), 8.20(d, J=8.4Hz, 2H) ; MS(FAB), 598(M+), 527, 521.
실시예 3 : 4-니트로벤질 (1R,5S,6S)-2-[1-(4-브로모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Ar=4-브로모페닐)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189mg, 0.319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2(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22ml, 0.70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4-브로모페닐)-(3-머르캅토아제티딘-1-일)메탄온(제조예 15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1.5ml)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241mg(6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4(d, J=7.2Hz, 3H), 1.34(d, J=6.2Hz, 3H), 3.17(m, 1H), 3.27(m, 1H), 4.05-4.35(m, 5H), 4.55-4.70(m, 2H), 5.40(ABq, J=13.6, 67Hz, 2H), 7.40-7.71(m, 6H), 8.20(d, J=8.4Hz, 2H) ; MS(FAB), 616(M+), 598, 512.
실시예 4 : 4-니트로벤질 (1R,5S,6S)-2-[1-(1-나프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Ar=나프틸)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2.03mg, 3.41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11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65ml, 3.75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머르캅토아제티딘-1-일)나프틸메탄온(제조예 16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1.866g(93%)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5(d, J=7.2Hz, 3H), 1.36(d, J=6.2Hz, 3H), 3.18(m, 1H), 3.25(m, 1H), 3.48(s, 1H), 3.91-4.36(m, 5H), 4.35-4.55(m, 2H), 5.40(ABq, J=13.6, 67Hz, 2H), 7.23-7.31(m, 6H), 7.40(m, 3H), 8.20(d, J=8.4Hz, 2H) ; MS(FAB), 587(M+).
실시예 5 : 4-니트로벤질 (1R,5S,6S)-2-[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n=1, Ar=페닐)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333mg, 0.559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2(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ml, 1.18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머르캅토-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30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1.5ml)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280mg(80%)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5(d, J=7.2Hz, 3H), 1.36(d, J=6.2Hz, 3H), 3.18(m, 1H), 3.25(m, 1H), 3.48(s, 1H), 3.91-4.36(m, 5H), 4.35-4.55(m, 2H), 5.40(ABq, J=13.6, 67Hz, 2H), 7.23-7.31(m, 3H), 7.40(m, 2H), 7.64(d, J=6.8Hz, 2H), 8.20(d, J=8.4Hz, 2H) ; MS(FAB), 583(M+).
실시예 6 : 4-니트로벤질 (1R,5S,6S)-2-{[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n=1, Ar=피리딘-4-일)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160mg, 0.26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2(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94ml, 0.53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머르캅토-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31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1.5m)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106mg(6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5(d, J=7.2Hz, 3H), 1.36(d, J=6.2Hz, 3H), 3.18(m, 1H), 3.25(m, 1H), 3.59(s, 2H), 3.91-4.36(m, 5H), 4.35-4.55(m, 2H), 5.40(ABq, J=13.6, 67Hz, 2H), 7.23-7.31(m, 2H), 7.62(d, J=8,4Hz, 2H), 8.20(d, J=8.4Hz, 2H), 8.41(d, J=6.5Hz, 2H) ; MS(FAB), 584(M+).
실시예 7 : 4-니트로벤질 (1R,5S,6S)-2-{[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n=1, Ar=2,5-디클로로페닐)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509mg, 0.856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3(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3ml, 1.712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머르캅토-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32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 (1.5ml)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545mg(96%)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5(d, J=7.2Hz, 3H), 1.36(d, J=6.2Hz, 3H), 3.18(m, 1H), 3.25(m, 1H), 3.40(s, 2H), 3.68-3.78(m, 2H), 3.91-4.00(m, 2H), 4.20-4.55(m, 2H), 5.40(ABq, J=13.6, 67Hz, 2H), 6.92-7.05(m, 3H), 7.63(d, J=8,4Hz, 2H), 8.20(d, J=8.4Hz, 2H) ; MS(FAB), 664(M+), 498.
실시예 8 : 4-니트로벤질 (1R,5S,6S)-2-{[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4의 화합물, R1=H, R2=p-니트로벤질, n=1, Ar=1,3-벤조티아졸-2-일)
4-니트로벤질 (1R,5R,6S)-2-(디페닐포스포릴옥시)-6-[(1R)-1-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160mg, 0.26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 (2ml)에 녹이고 -20oC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94ml, 0.53밀리몰)을 가한 후 이어서 3-머르캅토-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제조예 33의 화합물)을 아세토니트릴(0.5ml)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 다음 동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106mg(61%)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25(d, J=7.2Hz, 3H), 1.36(d, J=6.2Hz, 3H), 3.18(m, 1H), 3.25(m, 1H), 3.96(s, 2H), 4.05-4.18(m, 2H), 4.20-4.30(m, 2H), 4.20-4.55(m, 2H), 4.83(m, 1H), 5.40(ABq, J=13.6, 67Hz, 2H), 7.20-7.40(m, 2H), 7.40-7.90(m, 4H), 8.20(d, J=8.4Hz, 2H) ; MS(FAB), 641(M+), 580, 497.
실시예 9 : 나트륨 (1R,5S,6S)-2-[(1-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0, Ar=페닐)
4-니트로벤질 (1R,5S,6S)-2-[(1-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1의 화합물)(3.09g, 5.74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16ml)와 에탄올(24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955mg, 5.74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80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팔라듐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소량의 물을 가한 후 초산에틸로 분순물을 세척하고, 물층을 C18 역상 MPLC(용리제: 10%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을 통과시켜 정제하고 얻어진 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 621mg(2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1.00(d, J=7.2Hz, 3H), 1.12(d, J=6.2Hz, 3H), 2.98(m, 1H), 3.20(m, 1H), 3.82(m, 1H), 3.90-4.05(m, 5H), 4.40-4.48(m, 1H), 4.50-4.55(m, 1H), 7.24-7.41(m, 3H), 7.55(m, 2H).
실시예 10 : 나트륨 (1R,5S,6S)-2-[1-(3,5-디메톡시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0, Ar=3,5-디메톡시페닐)
4-니트로벤질 (1R,5S,6S)-2-[1-(3,5-디메톡시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2의 화합물)(307mg, 0.514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3ml)와 에탄올(4.5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85mg, 0.514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8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93mg(37%)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1.00(d, J=7.2Hz, 3H), 1.12(d, J=6.2Hz, 3H), 2.98(m, 1H), 3.20(m, 1H), 3.82(m, 1H), 3.90-4.05(m, 5H), 4.40-4.48(m, 1H), 4.50-4.55(m, 1H), 5.27(s, 1H), 6.54(m, 2H).
실시예 11 : 나트륨 (1R,5S,6S)-2-[1-(4-브로모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0, Ar=4-브로모페닐)
4-니트로벤질 (1R,5S,6S)-2-[1-(4-브로모벤조일)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3의 화합물)(192mg, 0.317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4ml)와 에탄올(6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53mg, 0.317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8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62mg(39%)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0.97(d, J=7.2Hz, 3H), 1.20(d, J=6.2Hz, 3H), 3.15-3.20(m, 1H), 3.43(m, 1H), 4.05-4.20(m, 2H), 4.20-4.32(m, 3H), 4.60-4.65(m, 1H), 4.81-4.90(m, 1H), 7.48(m, 2H), 7.68(m, 2H).
실시예 12 : 나트륨 (1R,5S,6S)-2-[1-(1-나프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0, Ar=나프틸)
4-니트로벤질 (1R,5S,6S)-2-[1-(1-나프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4의 화합물)(1.707g, 2.905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6ml)와 에탄올(12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483mg, 2.905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40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306mg(38%)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0.97(d, J=7.2Hz, 3H), 1.20(d, J=6.2Hz, 3H), 3.15-3.20(m, 1H), 3.43(m, 1H), 4.05-4.20(m, 2H), 4.20-4.32(m, 3H) 4.60-4.65(m, 1H), 4.81-4.90(m, 1H), 7.23-7.31(m, 4H), 7.40(m, 3H).
실시예 13 : 나트륨 (1R,5S,6S)-2-[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1, Ar=페닐)
4-니트로벤질 (1R,5S,6S)-2-[1-(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5의 화합물)(280mg, 0.468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ml)와 에탄올(12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78mg, 0.468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8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56mg(25%)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1.12(d, J=7.2Hz, 3H), 1.31(d, J=6.2Hz, 3H), 3.15-3.20(m, 1H), 3.43(m, 1H), 3.56(s, 2H), 3.71-3.84(m, 2H), 3.90-4.01(m, 1H), 4.05-4.10(m, 1H), 4.42-4.47(m, 3H), 7.54-7.60(m, 2H).
실시예 14 : 나트륨 (1R,5S,6S)-2-{[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1, Ar=피리딘-4-일)
4-니트로벤질 (1R,5S,6S)-2-{[1-(피리딘-4-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6의 화합물)(200mg, 0.334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6ml)와 에탄올(9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55mg, 0.334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8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21mg(13%)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1.18(d, J=7.2Hz, 3H), 1.30(d, J=6.2Hz, 3H), 3.22(m, 1H), 3.43(m, 1H), 3.86-3.95(m, 3H), 4.18-4.30(m, 4H), 4.47-4.51(m, 1H), 7.32(m, 2H), 8.35(m, 2H).
실시예 15 : 나트륨 (1R,5S,6S)-2-{[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1, Ar=2,5-디클로로페닐)
4-니트로벤질 (1R,5S,6S)-2-{[1-(2,5-디클로로페닐)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7의 화합물)(545mg, 0.818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ml)와 에탄올(12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136mg, 0.818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10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230mg(50%)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0.88(d, J=7.2Hz, 3H), 1.00(d, J=6.2Hz, 3H), 3.22(m, 1H), 3.43(m, 1H), 3.86-3.95(m, 3H), 4.18-4.30(m, 4H), 4.47-4.51(m, 1H), 6.93(s, 1H), 7.25(m, 2H).
실시예 16 : 나트륨 (1R,5S,6S)-2-{[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염(화학식 1의 화합물, M=Na, n=1, Ar=1,3-벤조티아졸-2-일)
4-니트로벤질 (1R,5S,6S)-2-{[1-(1,3-벤조티아졸-2-일)티오메틸카보닐]아제티딘-3-일티오}-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에스테르(실시예 8의 화합물)(106mg, 0.165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4ml)와 에탄올(6ml)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28mg, 0.165밀리몰)과 10% 팔라듐카본(20mg)을 가한 후 수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동안 상온으로 교반하였다. 이하 실시예 9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 40mg(44%)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0.75(d, J=7.2Hz, 3H), 1.25(d, J=6.2Hz, 3H), 2.88(m, 1H), 3.20(bs, 1H), 3.70(m, 1H), 3.97-4.30(m, 4H), 4.03-4.21(m, 2H), 4.24(m, 1H), 4.60(m, 1H), 7.20-7.34(m, 2H), 7.63-7.70(m, 2H).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화학식 1로 표시된 화합물의 그람 양성균인 메티실린 내성균주(MRSA) 및 오플록사신 내성균주(QRSA)에 대한 항균작용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뮬러-힌톤(Muller-Hinton) 한천을 사용하여 2배수 아가(agar)희석법에 의한 한천배지 희석법에 따라 최소성장 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함으로써, 실시예 9, 11, 13 및 16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카바페넴 유도체의 항균작용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MRSA 감염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메로페넴((주)유한양행 수입품)과 반코마이신((주)제일제당 수입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는 대조물질에 비해 MRSA 및 QRSA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카바페넴 유도체의 생체내 항균활성 및 약물학적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본 균주로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 77A(Streptococcus Pyogenes 77A)를 사용하고, 시험동물로서 4 내지 5주령의 무게 22 내지 25g인 ICR계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9와 16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시험화합물의 양이 40mg/kg(마우스)이 되도록 S.C.로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판중인 카바페넴 항생제인 메로페넴((주)유한양행 수입품)을 사용하였다. 투여 전 및 투여 후 1, 2 ,4 ,6, 8 및 24시간이 경과된 때에 각각 마우스의 심장에서 직접 채혈하였다.
혈액을 12,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얻고, 혈장 200㎕에 400㎕의 아세토니트릴 내부표준액을 가하고 진탕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1,000rpm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50ml를 취하여 마이크로 고압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로 측정하였다. 마우스 혈중의 투여된 약물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Cmax, T1/2, 및 AUC)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화합물에 대한 약동력학적 시험
구분 |
AUC*1(㎍·h/ml) |
Tmax
*2(hr) |
Cmax
*3(㎍/ml) |
T1/2
*4(hr) |
실시예 9 |
55.77 |
0.17 |
0.55 |
45.76 |
실시예 16 |
33.67 |
0.17 |
0.53 |
22.90 |
메로페넴 |
14.07 |
0.25 |
0.28 |
7.82 |
*1: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혈중 농도 곡선 하 면적*2: 최대 혈중 농도에서의 시간*3: 최대 혈중 농도*4: 1/2 혈중 농도에서의 시간 |
시험예 3
돼지 신장에서 추출한 DHP-1(디히드로펩티다제-1) 효소(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스크리닝센터)에 의한 본원 화합물의 분해 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9, 11, 13 및 16의 화합물과 비교물질로서 메로페넴 및 이미페넴(입수처 :미국 MERCK사)을 각각 0.3mg씩 500㎍/ml의 농도가 되게 MOPS 완충용액(50 m㏖, pH=7.0)에 녹인 후, 이 용액 1㎖에 부분 분리된 효소를 섞어 30℃로 고정된 온도에서 흡광광도계(299nm 파장)를 사용하여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간별로 0, 0.5, 1, 2, 4시간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약물의 농도가 절반으로 되는 시간을 T1/2로 정하였다.
DHP-1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의 안정성
구분 |
T1/2(hr) |
T1/2의 비교농도 |
실시예 9 |
8.34 |
0.81 |
실시예 16 |
44.10 |
2.57 |
실시예 11 |
8.38 |
0.77 |
실시예 13 |
8.38 |
0.77 |
메로페넴 |
12.02 |
1.00 |
이미페넴 |
2.24 |
0.19 |
상기 표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와 16의 화합물이 시판중인 메로페넴에 비해 월등한 생체이용율을 나타내고 있어서 약물로 사용이 용이하며, 상기 표 3에서는 실시예 16의 화합물이 대조 물질인 메로페넴에 비해 DHP-1에 의한 분해가 2.57배 서서히 일어나므로 카바페넴 항생제의 단점인 DHP-1 효소에 의한 분해의 문제점을 극복한 유용한 약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