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9802B1 -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802B1
KR100499802B1 KR10-1999-0032231A KR19990032231A KR100499802B1 KR 100499802 B1 KR100499802 B1 KR 100499802B1 KR 19990032231 A KR19990032231 A KR 19990032231A KR 100499802 B1 KR100499802 B1 KR 10049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wheel
sensors
distance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961A (ko
Inventor
유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1999-003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8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80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진시 또는 주차시등에 자동차 주위의 물체를 검지하여 경고하는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주행되면, 후진신호(7) 입력 상태에 따라서, 후진시인가 전진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1)와, 후진시이면, 후방센서(S4, S5)가 작동되고 난 후(S102)에 측면센서(S1, S2, S3, S6)가 작동되고(S103), 전진시이면 측면센서(S1, S2, S3, S6)가 작동되는 단계(S103)와, 핸들각 센서(10)에 의해서 핸들각을 연산하는 단계(S104)와, 핸들각을 연산한 결과, 핸들회전이 있는 가를 판단하여(S105), 핸들 회전이 없으면, 근거리 검지만 행하는 단계(S107)와, 핸들 회전이 있으면, 핸들 회전 방향에 따라서 검지 영역을 확장시키는 단계(S106)와, 센서들에 의해서 의해서 검지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값과 비교하여(S108), 충돌 예상시에는 부저(5)를 작동시키는 단계(S109)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핸들의 조향 각도에 따라서 초음파 센서의 검지 거리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여부를 더욱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WARNING METHOD OF VARIABLE DETECTING DISTANC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후진시 또는 주차시등에 자동차 주위의 물체를 검지하여 경고하는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후진시 또는 주차시등에 자동차 주위의 물체를 검지하여 경고하는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는 다수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데, 상기 초음파 센서는 자동차의 전면 좌우측면(S1, S2), 후면(S3,S4,S5,S6)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S1-S6)는 그 센싱 신호를 제어부(3)로 보내고, 상기 제어부(3)에 후진기어가 걸렸다는 신호(7)가 입력되면, 센싱한 주위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여 충돌 예상시 부저(5)로써 경고하게 된다.
상기 센서는 측면의 과대 검지를 억제하기 위하여 측면에 부착된 센서(S1, S2, S3, S6)가 검지 영역을 60-70cm 이내의 좁은 영역만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이 직선 후진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회전 후진시에는 검지 영역이 일정하면 장애물을 검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각도를 측정하여 차량이 회전 주행을 하고 있을 때와 직선 주행을 하고 있을 때를 구별하여 가변적으로 센싱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의 일예로써,
차량이 주행되면, 후진신호 입력 상태에 따라서, 후진시인가 전진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후진시이면, 후방센서가 작동되고 난 후에 측면센서가 작동되고, 전진시이면 측면센서가 작동되는 단계와,
핸들각 센서에 의해서 핸들각을 연산하는 단계와,
핸들각을 연산한 결과, 핸들회전이 있는 가를 판단하여, 핸들 회전이 없으면, 근거리 검지만 행하는 단계와,
핸들 회전이 있으면, 핸들 회전 방향에 따라서 검지 영역을 확장시키는 단계와,
센서들에 의해서 의해서 검지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값과 비교하여, 충돌 예상시에는 부저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장치는 다수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데, 상기 초음파 센서는 자동차의 전면 좌우측면(S1, S2), 후면(S3,S4,S5,S6)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S1-S6)는 그 센싱 신호를 제어부(3)로 보내고, 상기 제어부(3)에 후진기어가 걸렸다는 신호(7)가 입력되면, 센싱한 주위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여 충돌 예상시 부저(5)로써 경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는 핸들각센서(10)를 통하여 핸들의 회전이 있음을 입력받는다.
즉, 차량의 핸들에 핸들각센서(10)를 장착하여, 앞바퀴의 진행방향이 직진성이면 측면을 과도하게 검지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60-70cm 이내의 근접 거리만 검지하게 시스템을 제어하고, 그리고 핸들각이 정면방향에서 커질수록 검지 영역을 확대시켜 최대 120-140cm 영역까지 검지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이 주행되면, 후진신호(7) 입력 상태에 따라서, 후진시인가 전진시인가를 판단한다(S101).
후진시이면, 후방센서(S4, S5)가 작동되고 난 후(S102)에 측면센서(S1, S2, S3, S6)가 작동된다(S103), 전진시이면 측면센서(S1, S2, S3, S6)가 작동된다(S103).
그런 다음, 핸들각 센서(10)에 의해서 핸들각을 연산한다(S104).
핸들각을 연산한 결과, 핸들회전이 있는 가를 판단하여(S105), 핸들 회전이 없으면, 종래와 같이 60-70cm의 근거리 검지만 행한다(S107).
핸들 회전이 있으면, 핸들 회전 방향에 따라서 검지 영역을 확장시킨다(S106). 즉, 도 3과같이 앞바퀴(12)의 방향이 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센서(S2, S3)의 검지 영역을 확장시키고, 그러나, 앞바퀴의 방향이 왼측으로 회전하더라도 후진일 경우에는 센서(S1, S6)의 검지 영역을 확장시킨다.
반대로, 앞바퀴(12)의 방향이 오른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센서(S1, S6)의 검지 영역을 확장시키고, 그러나, 앞바퀴의 방향이 오른측으로 회전하더라도 후진일 경우에는 센서(S2, S3)의 검지 영역을 확장시킨다.
검지영역 확대시에는
기본 측면센서 검지거리(보통 60cm) + 확장검지거리 * (현재 핸들각/최대 핸 들각) 이 된다.
그런 다음, 센서들에 의해서 의해서 검지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값과 비교하여(S108), 충돌 예상시에는 부저(5)를 작동시킨다(S109).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은 핸들의 조향 각도에 따라서 초음파 센서의 검지 거리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여부를 더욱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측정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제어부 5 : 부저
7 : 후진신호 10 : 핸들각센서
12 : 앞바퀴 S : 센서

Claims (2)

  1. 차량이 주행되면, 후진신호(7) 입력 상태에 따라서, 후진시인가 전진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1)와,
    후진시이면, 후방센서(S4, S5)가 작동되고 난 후(S102)에 측면센서(S1, S2, S3, S6)가 작동되고(S103), 전진시이면 측면센서(S1, S2, S3, S6)가 작동되는 단계(S103)와,
    핸들각 센서(10)에 의해서 핸들각을 연산하는 단계(S104)와,
    핸들각을 연산한 결과, 핸들회전이 있는 가를 판단하여(S105), 핸들 회전이 없으면, 근거리 검지만 행하는 단계(S107)와,
    핸들 회전이 있으면, 핸들 회전 방향에 따라서 검지 영역을 확장시키는 단계(S106)와,
    센서들에 의해서 의해서 검지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값과 비교하여(S108), 충돌 예상시에는 부저(5)를 작동시키는 단계(S10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검지영역 확대시에는
    기본 측면센서 검지거리 + 확장검지거리 * (현재 핸들각/최대 핸들각) 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KR10-1999-0032231A 1999-08-06 1999-08-06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231A KR100499802B1 (ko) 1999-08-06 1999-08-06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231A KR100499802B1 (ko) 1999-08-06 1999-08-06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961A KR20010016961A (ko) 2001-03-05
KR100499802B1 true KR100499802B1 (ko) 2005-07-07

Family

ID=1960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2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802B1 (ko) 1999-08-06 1999-08-06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8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400A (ja) * 1991-12-04 1993-10-15 Nec Corp 車両の障害物検出方式
KR950011231A (ko) * 1993-10-08 1995-05-15 김주용 적외선을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960021885A (ko) * 1994-12-31 1996-07-18 김주용 자동차 충돌방지장치 및 방법
KR980008783A (ko) * 1996-07-12 1998-04-30 김영귀 자동차 후진시의 코너링 보조장치와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400A (ja) * 1991-12-04 1993-10-15 Nec Corp 車両の障害物検出方式
KR950011231A (ko) * 1993-10-08 1995-05-15 김주용 적외선을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960021885A (ko) * 1994-12-31 1996-07-18 김주용 자동차 충돌방지장치 및 방법
KR980008783A (ko) * 1996-07-12 1998-04-30 김영귀 자동차 후진시의 코너링 보조장치와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961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0484B2 (en) Device for detecting a moving object
KR101115221B1 (ko) 차량 근접 경고 시스템 및 방법
US5977869A (en) Motor vehicle speed control method and arrangement
JP2004017929A (ja) 舵角中立位置の誤検出防止方法および誤検出防止装置
JP2000211559A (ja) 自動車の後部側と自動車の後方配置対象物との間隔の決定装置、連結車の安定化装置および方法
JP2000346936A (ja) 障害物検出装置
KR101803745B1 (ko)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방법
JP4370813B2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KR20140078872A (ko) 차량의 통합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99802B1 (ko) 자동차의 가변검지거리 경고방법
KR101428102B1 (ko) 차간거리 제어시스템
JP2859928B2 (ja) 車両用後方監視装置
JP4385852B2 (ja) 車両取り回し支援装置
KR20170112692A (ko)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장치
JP2005343426A (ja) 障害物検出装置
KR100486456B1 (ko) 차량 주차시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57385B1 (ko) 차량의 주차가능공간 판단장치
KR0132590Y1 (ko) 차량의 백 장애물 감시장치
KR101063455B1 (ko) 후방 장애물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610859B1 (ko)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KR100571042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후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0586A (ko) 차량 선회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83219A (ko) 후방 장애물 경보 장치 및 방법
JPS6256814B2 (ko)
KR19990062012A (ko) 추월 가능 여부 표시 및 그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