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9783B1 - 버스의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783B1
KR100499783B1 KR10-2002-0073572A KR20020073572A KR100499783B1 KR 100499783 B1 KR100499783 B1 KR 100499783B1 KR 20020073572 A KR20020073572 A KR 20020073572A KR 100499783 B1 KR100499783 B1 KR 10049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vable
bus
motor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723A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7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7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버스의 시트구조가 시트 크기의 제한 및 옆사람과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체격이 큰 사람은 옆사람과 접촉될 뿐만 아니라 시트가 좁아서 편안하게 여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가 구비된 버스의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열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와, 상기 이동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시트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시트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모터가 작동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밀어주는 시트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고정시트와 이격되는 이동시트의 이동량을 승객이 직접 조절할 수 있고 이동시트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보다 편안한 버스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시트 구조{ Seat assembly for bus }
본 발명은 버스의 승객들이 앉아 갈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시트의 이동에 따라 생겨난 공간에 에어시트가 위치되도록 하여 버스가 주행중일 때 승객들이 보다 편안하게 앉아 갈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버스나 고속버스와 같이 장거리를 주행하는 버스의 경우에는 대부분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시트가 배열되어 있다. 대부분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이열시트가 배열되고, 맨 뒤쪽에는 5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5개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모든 버스가 그런 구조를 가진 것은 아니고, 최근에 등장한 우등 고속버스와 같이 중앙통로의 양측 중 일측에는 이열시트가 배열되고 다른 일측에는 독립시트가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시트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중앙통로(10)의 양측에 이열시트(20)가 각각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열시트(20)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이며, 승객이나 운전자가 임의로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다.
따라서, 체격이 큰 승객의 경우에는 좌우 공간이 너무 좁아 편하게 앉아갈 수 없게 된다. 즉, 현대인들은 식생활의 개선 등으로 인하여 체격이 매우 커지고 있으나, 시트의 규격은 버스의 폭에 의해 제한되어 키우기가 어려우므로 옆사람과 접촉될 수밖에 없다. 옆사람과의 신체적 접촉은 승객으로 하여금 상당한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객의 편의성 저하와 관련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최근에는 승객이 보다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버스에 설치된 시트의 숫자를 줄여 시트의 크기를 키우거나 시트간 간격을 넓힌 우등 고속버스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우등 고속버스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버스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는 성공하였으나, 버스에 설치되는 좌석의 숫자가 기존의 버스에 비해 매우 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버스회사에서는 이러한 신형 버스의 운임을 대폭 증가시켜 적자가 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는 승객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시트 크기의 제한 및 옆사람과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체격이 큰 사람은 옆사람과 접촉될 뿐만 아니라 시트가 좁아서 편안하게 여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열시트중 하나를 이동가능한 이동시트로 제작하고 승객의 조작에 따라 이동시트의 이동량이 결정되도록 한 버스의 시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가 구비된 버스의 시트구조에 있어서,상기 이열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와, 상기 이동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시트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과,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랙과 치합된 피니언을 포함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시트구조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40)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50)가 설치되고, 상기 이열시트(50)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51)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51)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52)와, 상기 이동시트(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시트(52)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53)과, 상기 이동레일(5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5)과, 상기 이동시트(52)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버튼(59)의 조작에 따라 모터(57)가 작동되어 상기 이동레일(53)을 밀어주는 시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구동부는 상기 이동레일(53)을 연결하는 브라켓(54)과, 상기 브라켓(54)을 상호 연결하는 모터 브라켓(56)에 설치된 모터(57)와, 상기 모터(57)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5)에 형성된 랙(55')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5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58)은 상기 이동레일(53)에 형성된 구멍(53')을 통해 상기 랙(55')에 치합된다. 또, 상기 모터(57)는 제어부(60)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버튼(59)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61)의 전원을 모터(57)로 공급하되, 모터(57)의 회전 방향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승객이 필요에 따라 이동시트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보다 편안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승객이 버스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이열시트(50)의 이동시트(52)와 고정시트(51)를 붙여 놓음으로써, 이동통로(40)를 확보하여 이동통로(60)를 통해 승객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승객의 탑승이 완료되면 이열시트(50)의 이동시트(52)를 중앙통로(40) 쪽으로 이동시켜 이동시트(52)와 고정시트(51)가 소정의 간격을 갖게 한다.
이때, 상기 이동시트(52)의 이동량은 승객이 이동시트(52)의 측부에 있는 조작버튼(59)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즉, 승객이 조작버튼(59)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60)에 의하여 전원 공급부(61)의 전원이 모터(57)에 인가되고, 모터(57)의 동작에 따라 피니언(58)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58)은 가이드 레일(55)에 형성된 랙(55')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모터(57)가 고정된 모터 브라켓(56) 및 이동레일(53)이 가이드 레일(5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60)는 모터(57)의 회전방향을 이동시트(52)가 고정시트(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며, 승객이 조작버튼(59)을 이용하여 모터(57)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이동시트(52)의 이동은 중지된다.
버스가 목적지나 휴게소에 도착되어 승객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동시트(52)에 있는 조작버튼(59)을 조작하여 모터(57)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통로(40)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들은 이동통로(40)를 통해 이동되어 하차하거나 차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40)를 승객의 승하차시에는 통로 공간으로 이용하고, 버스가 주행하는 도중에는 좌석 공간으로 이용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승객의 편의성과 거주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시트(52)의 이동이 수동적인 조작이 아닌 모터(57)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의 시트구조는 고정시트와 이격되는 이동시트의 이동량을 승객이 직접 조절할 수 있고 이동시트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보다 편안한 버스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의 시트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시트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이열시트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이동시트의 이동 후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이열시트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모터의 제어구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고정시트 52 : 이동시트
53 : 이동레일 54 : 브라켓
55 : 가이드 레일 55' : 랙
56 : 모터 브라켓 57 : 모터
58 : 피니언 59 : 조작버튼
60 : 제어부 61 : 전원공급부

Claims (4)

  1. 차체 중앙의 이동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이열시트가 구비된 버스의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열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시트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시트의 측부에 설치된 이동시트와, 상기 이동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시트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과,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랙과 치합된 피니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의 전원을 모터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시트구조.
KR10-2002-0073572A 2002-11-25 2002-11-25 버스의 시트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572A KR100499783B1 (ko) 2002-11-25 2002-11-25 버스의 시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572A KR100499783B1 (ko) 2002-11-25 2002-11-25 버스의 시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23A KR20040045723A (ko) 2004-06-02
KR100499783B1 true KR100499783B1 (ko) 2005-07-07

Family

ID=3734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5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783B1 (ko) 2002-11-25 2002-11-25 버스의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9868B1 (ko) * 2019-04-23 2024-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794A (ja) * 1993-12-27 1995-07-25 Ishi Kiuchi ダブルデッキ車輌における座席回転装置
KR19990030836A (ko) * 1997-10-06 1999-05-06 윤종용 자기정렬 콘택홀 형성방법
KR1999003083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의 장애자용 슬라이딩 시트
KR20020083820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시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794A (ja) * 1993-12-27 1995-07-25 Ishi Kiuchi ダブルデッキ車輌における座席回転装置
KR19990030836A (ko) * 1997-10-06 1999-05-06 윤종용 자기정렬 콘택홀 형성방법
KR1999003083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의 장애자용 슬라이딩 시트
KR20020083820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시트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23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2199B (zh) 用于汽车的空调装置
CN111770846A (zh) 用于机动车的内部区域的通风设备
CN113508044A (zh) 具有带有多个单独出风口的通风装置的机动车
KR100499783B1 (ko) 버스의 시트 구조
JP2580659B2 (ja) 車両用座席における空調制御装置
CN210126461U (zh) 客车座椅安装结构及客车
KR100499782B1 (ko) 버스의 시트 구조
KR100499781B1 (ko) 버스의 시트구조
CN209955807U (zh) 一种汽车后座椅装置及汽车
KR20040045718A (ko) 버스의 시트 제어구조
KR100499780B1 (ko) 버스의 시트구조
KR101837408B1 (ko) 차량의 시트 회전장치
CN220555360U (zh) 商用车驾驶室及车辆
KR20180110599A (ko)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KR19990021284U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조절장치
KR100196175B1 (ko) 자동차용 시트
KR200141070Y1 (ko) 차량용 시트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JP2005075266A (ja) 車両用シート
JP2000152849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20030017727A (ko) 자동차용 시트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9980052625U (ko)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KR19980028855A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