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631B1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9631B1 KR100499631B1 KR10-2002-0069180A KR20020069180A KR100499631B1 KR 100499631 B1 KR100499631 B1 KR 100499631B1 KR 20020069180 A KR20020069180 A KR 20020069180A KR 100499631 B1 KR100499631 B1 KR 100499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data bus
- bit line
- main bi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5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01000615747 Homo sapiens tRNA-splicing endonuclease subunit Sen2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1774 tRNA-splicing endonuclease subunit Sen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1000836337 Homo sapiens Probable helicase senatax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7178 Probable helicase senatax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0608935 Homo sapiens Leukosia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9564 Leukosia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 STG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414 familial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1150054032 lsp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5)
- 칼럼 선택 제어부(310)와 연결된 메인 비트라인(360), 및 각각 양단에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과 연결되며 복수개의 단위 셀이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비트라인(351)으로 비트라인이 계층화된 셀 어레이 블록(300);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와 연결되는 데이터버스부(200); 및상기 데이터버스부에 연결된 센스앰프 데이터버스(160)와 데이터 입출력 버퍼(140)의 사이에 연결된 센스앰프 어레이(110)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100)를 포함하고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회로부(1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360)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들(300)의 대칭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버스부(2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들(300)의 대칭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버스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라인은 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 라인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강유전체 메모리장치는 상기 데이터버스부(200)의 중간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 소자(220, 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 라인(161)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소자(220, 230)의 중간영역에서 상기 데이터버스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라인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소자(220, 230)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버스부의 좌측 또는 우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는 트랜스미션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각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는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버스부는 제1 데이터버스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버스부와 차단된 제2 데이터버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는 상기 제1 데이터버스부와 연결되는 제1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와 상기 제2 데이터버스부와 연결되는 제2 센스앰프 데이터버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센스앰프(111)는 상기 제1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에 포함된 데이터버스 라인(162) 또는 상기 제2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에 포함된 데이터버스 라인(163)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에 포함된 데이터버스 라인(162)과 상기 제2 센스앰프 데이터버스에 포함된 데이터버스 라인(163)은 각각 제1 스위치 소자(112) 및 제2 스위치 소자(113)를 경유하여 상기 센스앰프(11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소자는 트랜스미션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각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는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앰프 어레이는각각 소정의 개수의 센스앰프(111)로 구성된 복수개의 서브 센스앰프 어레이;칼럼 어드레스 비트(Yi<0>)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의 서브 센스앰프 어레이에 포함된 센스앰프에만 공통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로컬 컨트롤러(180); 및상기 센스앰프 어레이에 포함된 모든 센스앰프에 공통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글로벌 컨트롤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앰프(111)는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라인과 연결된 데이터 라인을 풀업하는 데이터 라인 풀업제어부(400);리드 동작시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저장하고, 라이트 동작시에는 입출력 버퍼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저장하는 증폭부(500); 및라이트 동작시에는 상기 증폭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며, 리드 동작시에는 증폭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버퍼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는 입출력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500)는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가 상기 레퍼런스 신호보다 클 때 하이레벨의 출력을 갖는 제1 비교부(510);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비교하되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과 반대레벨의 출력을 갖는 제2 비교부(530); 및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단자와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550)를 경유하여 연결된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단자와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560)를 경유하여 연결된 제2 입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제공된 신호를 유지하는 저장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교부(510), 제2 비교부(530),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550),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560), 및 저장부(540)는 상기 글로벌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540)는상기 제1 비교부(510)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비교부(530)의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글로벌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540)는상기 데이터 라인을 풀업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단자를 풀업하는 PMOS 트랜지스터(5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제어부(600)는상기 입출력 버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상보값(complementary value)을 각각 상기 저장부(540)의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제1 경로(610);상기 저장부(540)의 제2 입력단자의 값을 출력하는 제2 경로(620);상기 제2 경로(620)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입출력 버퍼에 제공하는 제3 경로(630); 및상기 제2 경로(620)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는 제4 경로(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610), 제2 경로(620), 및 제3 경로(630)는 상기 로컬 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4 경로(640)는 상기 글로벌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라이트 모드에서 상기 칼럼 어드레스 비트가 활성화된 경우상기 제1 경로는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 및 상기 입출력 버퍼에 데이터가 제공되기 이전에 활성화되어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직후에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제1 경로와 반대로 활성화 여부가 설정되고, 상기 제3 경로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4 경로는 상기 제1 경로가 활성화된 시점과 상기 입출력 버퍼에 데이터가 제공된 시점 사이의 소정의 시점에서 활성화 되었다가 상기 제1 경로가 비활성화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라이트 모드에서 상기 칼럼 어드레스 비트가 비활성화된 경우상기 제1 경로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경로는 활성화되고, 상기 제3 경로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4 경로는 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후 및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이전의 소정의 시점에서 활성화되었다가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이후 소정의 시점에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 블록은제1 제어신호(MBPUC)에 의하여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을 풀업시키는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 및상기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와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의 사이에 연결된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는양의 전원과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제어신호(MBLC<0>)에 의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340);상기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와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 사이(310)에 일렬로 배열되며 각각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 셀 블록(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는게이트에 상기 제1 제어신호(MBPUC)가 입력되고 소스가 양의 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는 게이트에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되고 양단에 각각 상기 데이터버스 라인과 상기 메인 비트라인이 연결된 트랜스미션 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마다 하나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마다 둘 이상이 연결되되, 상기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는게이트에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소스가 양의 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과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셀 블록(350)은게이트에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1 단이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360)에 연결된 전류 조절용 제1 NMOS 트랜지스터(N1);게이트에 제3 제어신호(M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N1)의 소스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2);게이트에 제4 제어신호(S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3 NMOS 트랜지스터(N3);게이트에 제5 제어신호(SBSW2)가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6 제어신호(SBPU)에 연결되는 제4 NMOS 트랜지스터(N4); 및게이트에 제7 제어신호(SBSW1)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제5 NMOS 트랜지스터(N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부의 연결부분은소스에 상기 메인 비트라인(360)이 연결되고 드레인에 제1 공유 레이어(370)가 연결된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가 존재하는 제1 계층(L1);상기 제1 공유 레이어(370)와 상기 데이터버스부의 데이터버스 라인(210)을 연결하는 제2 공유 레이어(380)가 존재하는 제2 계층(L2); 및상기 데이터버스부가 존재하는 제3 계층(L3)을 포함하며상기 제1 내지 제3 계층(L1 - L3)은 아래에서 위로 층상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는제1 VPP 펌프회로(700); 및각각 상기 제1 VPP 펌프회로(700)에서 VPP를 제공받아 상기 셀 어레이 블록(300)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VPP 구동회로(800)를 더 포함하며제1 VPP 펌프회로(700)는 상기 제어회로부(100)의 양끝에서 상기 VPP 구동회로(800)와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VPP 구동회로(800)는 상기 제1 VPP 펌프회로(700)에 대칭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300)마다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VPP 구동회로(800)는게이트 VPP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VPP 펌프회로(820);게이트에 상기 제2 VPP 펌프회로(820)에서 발생된 게이트 VPP 신호가 입력되고, 소스에 어드레스 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 NMOS 트랜지스터(821);게이트에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821)의 드레인이 연결되고, 드레인에는 상기 제1 VPP 펌프(700)에서 출력된 VPP가 제공되는 제2 NMOS 트랜지스터(831); 및게이트는 풀다운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디코더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으며, 드레인은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831)의 소스와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의 전압을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제3 NMOS 트랜지스터(8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1) 각각(가) 제1 제어신호(MBPUC)에 의하여 메인 비트라인(MBL, 360)을 풀업시키는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나)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스위칭 신호(CSN, CSP)로 사용하고 제1 전극에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이 연결된 칼럼 선택 제어부(310), 및(다)(a) 양의 전원과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제어신호(MBLC)에 의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340), 및(b) 상기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와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 사이에 일렬로 배열되고 각각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과 연결되며(i) 각각 워드라인(WL) 및 플레이트 라인(PL)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메모리 셀이 공통으로 연결된 서브 비트라인(351),(ii) 게이트에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1 단이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된 전류 조절용 제1 NMOS 트랜지스터(N1),(iii) 게이트에 제3 제어신호(M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N1)의 소스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2),(iv) 게이트에 제4 제어신호(S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3 NMOS 트랜지스터(N3),(v) 게이트에 제5 제어신호(SBSW2)가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6 제어신호(SBPU)에 연결되는 제4 NMOS 트랜지스터(N4), 및(vi) 게이트에 제7 제어신호(SBSW1)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제5 NMOS 트랜지스터(N5)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브 셀 블록(350)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2)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의 제2 전극에 연결된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라인을 포함하는 데이터버스부(200); 및(3) 상기 데이터버스부(200)와 연결된 센스앰프 데이터버스(160)와 입출력 버퍼의 사이에 연결되어 리드 라이트를 제어하는 센스앰프 어레이(110)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100)를 포함하고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회로부(1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300)들의 대칭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버스부(2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300)들의 대칭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1) 각각(가) 제1 제어신호(MBPUC)에 의하여 메인 비트라인(MBL, 360)을 풀업시키는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나)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스위칭 신호(CSN, CSP)로 사용하고 제1 전극에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이 연결된 칼럼 선택 제어부(310), 및(다)(a) 양의 전원과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제어신호(MBLC)에 의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340), 및(b) 상기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와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 사이에 일렬로 배열되고 각각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과 연결되며(i) 각각 워드라인(WL) 및 플레이트 라인(PL)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메모리 셀이 공통으로 연결된 서브 비트라인(351),(ii) 게이트에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1 단이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된 전류 조절용 제1 NMOS 트랜지스터(N1),(iii) 게이트에 제3 제어신호(M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N1)의 소스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2),(iv) 게이트에 제4 제어신호(S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3 NMOS 트랜지스터(N3),(v) 게이트에 제5 제어신호(SBSW2)가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6 제어신호(SBPU)에 연결되는 제4 NMOS 트랜지스터(N4), 및(vi) 게이트에 제7 제어신호(SBSW1)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제5 NMOS 트랜지스터(N5)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브 셀 블록(350)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300);(2)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의 제2 전극에 연결된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라인을 포함하는 데이터버스부(200); 및(3) 각각 상기 데이터버스 라인(210)과 연결된 센스앰프 데이터버스라인(161)과 입출력 버퍼(140)사이에 연결되어 리드 라이트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센스앰프(111)를 포함하는 센스앰프 어레이(110)를 포함하고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회로부(1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300)들의 대칭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버스부(2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300)들의 대칭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앰프(111)는상기 센스앰프 데이터버스라인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을 풀업하는 데이터 라인 풀업제어부(400);리드 동작시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저장하고, 라이트 동작시에는 입출력 버퍼(140)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저장하는 증폭부(500); 및라이트 동작시에는 상기 증폭부(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며, 리드 동작시에는 증폭부(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버퍼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는 입출력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400)는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와 레퍼런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가 상기 레퍼런스 신호보다 클 때 하이레벨의 출력을 갖는 제1 비교부(510);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비교하되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과 반대레벨의 출력을 갖는 제2 비교부(530); 및상기 제1 비교부(510)의 출력단자와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550)를 경유하여 연결된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2 비교(530)부의 출력단자와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560)를 경유하여 연결된 제2 입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제공된 신호를 유지하는 저장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상기 데이터 라인을 풀업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단자를 풀업하는 PMOS 트랜지스터(5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제어부(600)는상기 입출력 버퍼(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상보값(complementary value)을 각각 상기 저장부(540)의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제1 경로(610);상기 저장부(540)의 제2 입력단자의 값을 출력하는 제2 경로(620);상기 제2 경로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데이터 입출력 버퍼(140)에 제공하는 제3 경로(630); 및상기 제2 경로(620)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는 제4 경로(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1) 각각(가) 제1 제어신호(MBPUC)에 의하여 메인 비트라인(MBL, 360)을 풀업시키는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나)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스위칭 신호(CSN, CSP)로 사용하고 제1 전극에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이 연결된 칼럼 선택 제어부(310), 및(다)(a) 양의 전원과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제어신호(MBLC)에 의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비트라인 부하 제어부(340), 및(b) 상기 메인 비트라인 풀업 제어부(330)와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 사이에 일렬로 배열되고 각각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과 연결되며(i) 각각 워드라인(WL) 및 플레이트 라인(PL)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메모리 셀이 공통으로 연결된 서브 비트라인(351),(ii) 게이트에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1 단이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된 전류 조절용 제1 NMOS 트랜지스터(N1),(iii) 게이트에 제3 제어신호(M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N1)의 소스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2),(iv) 게이트에 제4 제어신호(SBPD)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어 있는 제3 NMOS 트랜지스터(N3),(v) 게이트에 제5 제어신호(SBSW2)가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6 제어신호(SBPU)에 연결되는 제4 NMOS 트랜지스터(N4), 및(vi) 게이트에 제7 제어신호(SBSW1)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메인 비트라인(MBL, 360)에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서브 비트라인(351)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제5 NMOS 트랜지스터(N5)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브 셀 블록(350)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300);(2) 각각 상기 칼럼 선택 제어부(310)의 제2 전극에 연결된 복수개의 데이터버스 라인을 포함하는 데이터버스부(200);(3) 상기 데이터버스부(210)와 연결된 센스앰프 데이터버스(160)와 입출력 버퍼(140) 사이에 연결되어 리드 라이트를 제어하는 센스앰프 어레이(110)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100);(4) 제1 VPP 펌프 회로(700); 및(5) 각각(가) 게이트 VPP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VPP 펌프회로(820),(나) 게이트에 상기 제2 VPP 펌프회로에서 발생된 게이트 VPP 신호가 입력되고 소스에 어드레스 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 NMOS 트랜지스터(821),(다) 게이트에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821)의 드레인이 연결되고, 드레인에는 상기 제1 VPP 펌프(700)에서 출력된 VPP가 제공되는 제2 NMOS 트랜지스터(831), 및(라) 게이트는 풀다운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디코더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고 드레인은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831)의 소스와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의 전압을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제3 NMOS 트랜지스터(832)를 포함하는복수개의 VPP 구동회로를 포함하고상기 복수개의 셀 어레이 블록(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회로부(1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들의 대칭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버스부(200)는 상기 메인 비트라인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들의 대칭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VPP 펌프 회로(700)는 상기 제어회로부(100)의 양단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VPP 구동회로(800)는 상기 제1 VPP 펌프 회로에 대칭적으로 상기 셀 어레이 블록마다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1) 데이터 라인을 풀업하는 데이터 라인 풀업제어부(400);(2)(가) 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와 레퍼런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가 상기 레퍼런스 신호보다 클 때 하이레벨의 출력을 갖는 제1 비교부(510),(나) 상기 데이터 라인의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비교하되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과 반대레벨의 출력을 갖는 제2 비교부(530), 및(다) 상기 제1 비교부(510)의 출력단자와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550)를 경유하여 연결된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2 비교부(530)의 출력단자와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560)를 경유하여 연결된 제2 입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제공된 신호를 유지하는 저장부(540)를 포함하는 증폭부(500); 및(3)(가) 상기 입출력 버퍼(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상보값(complementary value)을 각각 상기 저장부(540)의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제1 경로(610),(나) 상기 저장부(540)의 제2 입력단자의 값을 출력하는 제2 경로(620),(다) 상기 제2 경로(620)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데이터 입출력 버퍼(140)에 제공하는 제3 경로(630), 및(라) 상기 제2 경로(620)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하는 제4 경로(640)를 포함하는 입출력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센스앰프(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9180A KR100499631B1 (ko) | 2002-11-08 | 2002-11-08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US10/608,487 US6829154B1 (en) | 2002-11-08 | 2003-06-30 | Layout of ferroelectric memory device |
JP2003186432A JP4287206B2 (ja) | 2002-11-08 | 2003-06-30 | 強誘電体メモリ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9180A KR100499631B1 (ko) | 2002-11-08 | 2002-11-08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40853A KR20040040853A (ko) | 2004-05-13 |
KR100499631B1 true KR100499631B1 (ko) | 2005-07-05 |
Family
ID=3282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91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631B1 (ko) | 2002-11-08 | 2002-11-08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6829154B1 (ko) |
JP (1) | JP4287206B2 (ko) |
KR (1) | KR1004996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7538B1 (ko) * | 2003-12-23 | 2005-11-0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센싱전압 조정기능을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KR100732276B1 (ko) * | 2005-05-30 | 2007-06-2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 장치 |
KR100847766B1 (ko) * | 2006-09-28 | 2008-07-2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공유 데이터 버스 감지 증폭기 |
JP5343916B2 (ja) | 2010-04-16 | 2013-11-13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半導体メモリ |
US8756558B2 (en) * | 2012-03-30 | 2014-06-17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FRAM compiler and layout |
US9786346B2 (en) | 2015-05-20 | 2017-10-10 | Micron Technology, Inc. | Virtual ground sensing circuitry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point ferroelectric memory |
US10854619B2 (en) | 2018-12-07 | 2020-12-01 | Sandisk Technologies Llc |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bit line switches |
US10734080B2 (en) | 2018-12-07 | 2020-08-04 | Sandisk Technologies Llc |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bit line switches |
US10741535B1 (en) | 2019-02-14 | 2020-08-11 | Sandisk Technologies Llc | Bonded assembly containing multiple memory dies sharing peripheral circuitry on a support di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US10879260B2 (en) | 2019-02-28 | 2020-12-29 | Sandisk Technologies Llc | Bonded assembly of a support die and plural memory dies containing laterally shifted vertical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US11631690B2 (en) | 2020-12-15 | 2023-04-18 | Sandisk Technologies Llc |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including trench-isolated memory pla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0654A (ko) * | 1999-07-21 | 2001-02-15 | 김영환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KR20040020341A (ko) * | 2002-08-30 | 2004-03-0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KR20040021948A (ko) * | 2002-09-06 | 2004-03-11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91622A (en) * | 1997-12-12 | 2000-07-18 | Lg Semicon Co., Ltd. |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
US6324103B2 (en) | 1998-11-11 | 2001-11-27 | Hitachi, Ltd.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memory module, storage device and the method for repai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US6246603B1 (en) * | 2000-06-30 | 2001-06-12 | Stmicroelectronics, Inc. | Circuit and method for substantially preventing imprint effects in a ferroelectric memory device |
KR100432879B1 (ko) * | 2001-03-05 | 2004-05-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감지 방법 |
US6646903B2 (en) * | 2001-12-03 | 2003-11-11 | Intel Corporation | Ferroelectric memory input/output apparatus |
JP2003253500A (ja) * | 2002-02-27 | 2003-09-10 | Jfe Steel Kk | 金属表面処理方法 |
-
2002
- 2002-11-08 KR KR10-2002-0069180A patent/KR10049963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6-30 US US10/608,487 patent/US682915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6-30 JP JP2003186432A patent/JP428720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0654A (ko) * | 1999-07-21 | 2001-02-15 | 김영환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KR20040020341A (ko) * | 2002-08-30 | 2004-03-0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KR20040021948A (ko) * | 2002-09-06 | 2004-03-11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287206B2 (ja) | 2009-07-01 |
JP2004164815A (ja) | 2004-06-10 |
KR20040040853A (ko) | 2004-05-13 |
US6829154B1 (en) | 2004-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51762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100489357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와, 그의 구동장치 및 방법 | |
JPH10340588A (ja) | 不揮発性メモリ装置及びその記入方法 | |
KR100499631B1 (ko)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US6201727B1 (en) | Nonvolatil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segmented plate line scheme and a method for driving a plate line segment therein | |
KR100459228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100459214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장치 및 그의 메인 비트라인로드 컨트롤부의 구동방법 | |
KR100482996B1 (ko) |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KR100344819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회로 | |
KR20010017947A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회로 | |
US7009907B2 (en) | FeRAM having sensing voltage control function | |
KR20040048029A (ko) | 확장 메모리 부를 구비한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US7054181B2 (en) | Non-volatile ferroelectric cell array block having hierarchy transfer sensing architecture | |
KR100492799B1 (ko)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KR20040056783A (ko) | 라이트 보호 영역을 구비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 |
KR100527529B1 (ko) | 입출력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 | |
KR100622757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US6992912B2 (en) |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7050321B2 (en) | FeRAM having new signal lin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