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8822B1 -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 Google Patents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822B1
KR100498822B1 KR10-1998-0709739A KR19980709739A KR100498822B1 KR 100498822 B1 KR100498822 B1 KR 100498822B1 KR 19980709739 A KR19980709739 A KR 19980709739A KR 100498822 B1 KR100498822 B1 KR 10049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be
array
article
microcubes
c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6171A (en
Inventor
시드니 에이 히난
앤쏘니 제이 몬탈바노
리뷰 에이 코먼
데니스 아이 쿠진
Original Assignee
스팀소나이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팀소나이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스팀소나이트 코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98-070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822B1/en
Publication of KR2000001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82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2059/023Micro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1Modular mould systems [MMS], i.e. moulds built up by stacking mould elements, e.g. plates, block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83Reflectors
    • B29L2011/0091Reflex ref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과 마이크로큐브를 제조하는 방법 및 공구를 제공한다. 재귀 반사성 물품중 하나는 어레이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가 직사각형(110)인 마이크로큐브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 microcube and a method and tool for manufacturing the microcube. One of the retroreflective articles includes an array of microcubes in which at least one microcube in the array is rectangular 110.

Description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과 마이크로큐브를 제조하는 공구 및 방법{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본 발명은 재귀 반사성 물품의 제작용으로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소자(microcube retroreflective elements)를 제조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귀 반사성 시트재(sheeting)와, 마이크로큐브를 구비하는 물품 및 시트재, 그리고 이러한 공구와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큐브가 삼각형 이외의 경계 형상을 갖는 공구, 물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manufacturing microcube retroreflective element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retroreflective art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rticles comprising retroreflective sheeting, microcubes, and Sheet material and methods for making such tools and articles.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tools, articles and methods in which the microcube has a border shape other than a triangle.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시트재는 반사형 도로 표지판, 안전 반사물, 반사형 조끼와 기타의 의류, 및 기타 안전 관련 제품을 제조하는 재료로서 현재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귀 반사성 시트재는 통상적으로 평탄한 전면 및 후면 상의 복수개의 재귀 반사성 마이크로큐브 소자를 갖는, 예컨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비닐 등의 투명한 수지층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재를 관통하여 평탄한 전면상에 입사하는 광은 재귀 반사성 소자상에 부딪쳐서 입사 방향에 대해 공칭적으로 180°방향으로 상기 평탄한 전면을 통해 역으로 반사된다.Microcube retroreflective sheeting materials are now known as materials for making reflective road signs, safety reflectors, reflective vests and other garments, and other safety related products. Such a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is usually provided with a transparent resin layer such as acrylic or polycarbonate or vinyl having a plurality of retroreflective microcube elements on the flat front and back surfaces. Light incident through the sheet material and incident on the flat front surface impinges on the retroreflective element and is reflected back through the flat front surface in a nominal 180 °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direction.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하는 수지층의 후면에는 입사 각정도(entrance angularity)를 강화하는 금속, 소수성 실리카, 접착제, 릴리즈 라이너(release liner) 또는 기타 시트재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재료의 층이 추가로 제공된다.The back of the resin layer containing the microcube is further provided with layers of various materials that provide functionality to metals, hydrophobic silica, adhesives, release liners or other sheet materials that enhance the entrance angularity. do.

큐브 코너 재귀 반사기는 1900년 초 이후에 자동차 및 도로 표지판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핀 제조 기술에 의해 제조된 매크로큐브 코너 소자에 기초하고 있다. 이 매크로큐브의 사용으로부터, 큐브 코너 기술을 사용한 다수의 광학 원리가 공개되어 있고, 몇몇 기술은 현재 특허되어 있다. 통상, 이와 같은 원리들은 큐브의 크기, 큐브면의 형상 또는 경사도, 또는 이 큐브면들 간에 내재된 2면각(dihedral angle)의 변화를 수반하게 되어, 소정의 재귀 반사기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광학 원리는,Cube corner retroreflectors have been used in automotive and road signs since the early 1900s. This conventional device is based on a macrocube corner element manufactured by a pin manufacturing technique. From the use of this macrocube, a number of optical principles have been disclosed using the cube corner technique, and several techniques are currently patented. Typically, these principles will involve a change in the size of the cube, the shape or inclination of the cube face, or the dihedral angle inherent between the cube faces, thereby realizing some recursive reflector performance. This known optical principle is

Heenan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33,2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큐브의 3개의 2면각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큰 관찰각의 재귀 반사기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단계와;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large viewing angle recursive reflector by varying one or more of the three dihedral angles of the cube, as disclosed in US Pat. No. 3,833,285 to Heenan;

예를 들어, Lera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2,055,298호 및 브라질 특허 제423,464호와, Heen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332,3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법선에 대하여 큐브 축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큰 입사각에서 재귀 반사기의 효율성(종종 "각반사(angled reflex)라 칭함" )을 증가시키는 단계와;For example, as disclosed in US Pat. No. 2,055,298 to Leray and Brazilian Patent 423,464 to Heenan and US Pat. No. 3,332,327 to Heenan, the efficiency of the reflex reflector at large angles of incidence by tilting the cube axis relative to the normal ( Often referred to as "angled reflex");

Heenan에게 허여된 제3,873,184호 및 제3,923,3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규브 내에 큐브축 경사를 포함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평면의 입사 각정도를 증가시키며, 특히 Heen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41,6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각 큐브의 한면을 반사기의 전면에 더욱 평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서로 직각인 두 평면의 입사 각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As disclosed in Heenan 3,873,184 and 3,923,378, the inclusion of a cube axis incline in the array cube increases the angle of incidence of one or more planes, particularly as disclosed in US Pat. No. 3,541,606 to Heenan et al. Likewise, increas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two plan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y arranging one side of each cube facing each other more parallel to the front face of the reflector;

물품의 전면에 대해 대략 법선 정도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일부 큐브를 회전시키고, Uding Canadi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5,1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변성의 어레이 내에 큐브를 조립하며, 미국 특허 제3,923,3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중 회전에 의해 조합된 큐브 축을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재귀 반사도 대 방위의 균일성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Rotating some cubes by varying approximately normal to the front of the article, assembling the cubes in an array of variability as disclosed in U. S. Patent No. 785,139 to Uding Canadian, and as disclosed in U. S. Patent No. 3,923, 378.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the retroreflectivity versus orientation by tilting the combined cube axis by multiple rotations.

이들 재귀 반사성 광학 설계 원리에 대해서는 종래의 큐브 코너 기술에 공지되어 있었지만, 근래의 몇 몇 기술에서는 종래의 매크로큐브 기술에 있어서 실행될 수 없었거나 또는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시트재에 적용될 때 종래 기술의 응용성을 무시하거나 또는 극히 제한할 것을 선택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큐브 시트재 기술에 있어서 다시 특허권을 얻기위해 시도되고 있다.These retroreflective optical design principles have been known in the prior art cube corner technology, but in recent years some of the prior art's applicability when applied to microcube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s could not be implemented in conventional macrocube technology. It is attempted to reclaim the patent on microcube sheet material technology because it chooses to ignore or limit it extremely.

출원인의 본 발명 이전에, 실질적으로 모든 마이크로큐브 시트재는 평행한 평면을 따라 규격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큐브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었다. 이러한 제한에 의해, 마이크로큐브의 치수는 핀 제조 기술에서 사용되는 커팅, 광택, 및 세정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치수 보다 작다. 종래의 규격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퍼센트의 유효 개구를 100% 미만으로 하는 한가지 예외가 있지만 마이크로큐브에 대한 공지된 광학 원리의 응용을 규제하게 된다.Prior to Applicant's invention, substantially all microcube sheet materials were limited to using microcubes made by standardizing along parallel planes. Due to this limitation, the dimensions of the microcube are smaller than those obtainable by the cutting, polishing, and cleaning techniques used in pin manufacturing techniques. There is one exception to the use of conventional standardization techniques, with a limited percentage of effective openings of less than 100%, but it limits the application of known optical principles to microcubes.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큐브 시트재 기술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 이와 같은 진전에는 종래 기술의 공지된 재귀 반사성 광학 원리의 마이크로 큐브에 대한 응용 가능성 및 서로 다른 베이스 구성의 마이크로큐브의 제조 성능의 양쪽에 있어서 향상된다. 이들 진전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배경 기술의 정보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microcube sheet material technology. This advancement is improved both in the application possibilities for the microcube of the known retroreflective optical principle of the prior art and in the fabrication performance of microcubes of different base configurations.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se developments, the following further describes the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art.

재귀 반사성 시트재 및 이러한 시트재 내에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어 본 명세서에서 동일 양수인에 의해 양도된 Princon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86,363호에 개시되어 있고, 전체로서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 미국 특허 제4,486,3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트재의 수지 모양의 층의 두께는 0.01 인치(0.25 mm)이거나 이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수지 모양의 층의 이면에 형성된 재귀 반사성 소자는 가소성 재귀 반사성 시트재의 제조에 있어서 공지된 바와 같은 삼각형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한다.As a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crocube retroreflective element in such a sheet material is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 No. 4,486,363 to Princone et al., Assigned herein by the same assignee, and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t is described herein. As disclosed in this US Pat. No. 4,486,363, the thickness of the resinous layer of sheet material may be 0.01 inch (0.25 mm) or less, and the retroreflective element formed on the backside of this resinous layer is plastically recursive. Triangular microcube as known in the manufacture of the reflective sheet material.

이러한 마이크로큐브 시트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재귀 반사성 삼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원판은 재귀 반사성 큐브 코너의 패턴을 이 판의 평탄면으로 규격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이것은 동일 양수인에 의해 양도된 Stamm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712,706호; 제5,122,902호; 제4,478,769호에 개시되어 있고, 전체로서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있다.In order to produce such a microcube sheet material, a disc of a retroreflective triangular microcube is usually manufactured by normalizing the pattern of th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to the flat surface of this plate. This is described in US Pat. No. 3,712,706 to Stamm, assigned by the same assignee; 5,122,902; 5,122,902; 4,478,769,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전술한 미국 특허 제4,478,769호의 도 1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의 평탄면은 정확하게 평행한 일련의 V형 홈을 절단하는 다이아몬드 공구로 규격화된다. 등변형 삼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규격화하기 위해서는 60°의 각으로 서로 교차하는 3세트의 평행한 홈이 구성되고, 각 홈은 실질적으로 70.53°의 선단각을 가질 수 있으며, 소정의 마이크로큐브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홈 깊이로 규격화될 수 있다. 이것은 마스터의 면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쌍의 등변형 삼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 내에서 자동적으로 규격화된다.As shown in Figures 1A, 2 and 3 of U. S. Patent No. 4,478, 769, the flat surface of the disc is standardized with a diamond tool that cuts a series of exactly parallel V-shaped grooves. In order to standardize an equilateral triangular microcube, three sets of parallel groov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an angle of 60 ° are formed, and each groove may have a tip angle of 70.53 ° substantially, 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a predetermined microcube, It can be standardized to the groove depth to be determined. It is automatically normalized in an array of pairs of equilateral triangular microcub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master.

이 규격화 된 마스터는 전기 주조에 의해 일련의 복제본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단일 "머더(mother)"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제본과 함께 조립되어 있다. 이 조립된 "머더" 공구는 전기 주조 주형을 위해 사용되는데, 상기 주형은 융기, 주조, 또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기타의 수단에 의해 시트재 상의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어서 궁극적으로 사용된다. 연속해서 융기하는 방법은 전술한 미국 특허 제4,478,769호에 개시되어 있고, 마이크로큐브를 형성하기 위한 주조 기법은 예컨대 Rowland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684,348호 및 제3,689,346호에 개시되어 있다.This standardized master can be used to make a series of replicas by electroforming and assembled with the replicas to form a single "mother" tool. This assembled "mother" tool is used for electroforming molds, which form a tool capable of providing microcube retroreflective elements on the sheet material by bumping, casting, or other means known in the art. To be assembled and ultimately used. Continuously raised methods are disclosed in the aforementioned US Pat. No. 4,478,769, and casting techniques for forming microcubes are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 Nos. 3,684,348 and 3,689,346 to Rowland.

이하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변형 삼각형과 상이한 베이스를 갖는 삼각형 마이크로큐브는 매크로큐브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된 광학 원리의 사용에 의해 향상된 조사 각정도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동일 양수인에 의해 양도된 Montalbano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33,5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마이크로큐브의 변화는 공구 규격화 각을 변화시켜 큐브 축을 경사지게 하고, 이것에 의해서, 마이크로큐브 기술에 대해 일부 종래 기술의 광학 원리를 채용하여 적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로 다른 조사 각정도 또는 방위 각 정도를 갖는 어레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c.f. Rowland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684,348호의 칼럼 10, 11. 1-18; Montalbano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제4,633,567호의 칼럼 6, 11. 4-36 참조)As will be described below, triangular microcubes having a base different from an equilateral triangle are used to realize improved degree of irradiation angle by use of the known optical principle disclosed in the macrocube technique. Therefore, as disclosed in US Pat. No. 4,633,567 to Montalbano, assigned by the same assignee, the change in the triangular microcube changes the tool normalization angle to tilt the cube axis, whereby som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microcube technology It can be realized by adopting and applying the optical principle of the technolog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alize arrays with different degrees of irradiation or azimuth. (Columns 10, 11. 1-18 of US Pat. No. 3,684,348 to cf Rowland; US Pat. 4,633,567, columns 6, 11.4-36).

전술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3,833,285호에는 큐브 코너 재귀 반사의 관찰 각정도가 큐브의 3개의 2면각중 하나의 각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하나의 평면 내에서 증가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 특허 제3,873,184호 및 제3,923,378호에는 인접한 큐브의 큐브축이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고 조사 각정도가 증가되도록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재귀 반사성 소자의 어레이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3,541,606호에는 각각 서로 대향 배치된 큐브의 하나의 큐브면이 전면에 더욱 평행한 경우에 조사 각정도는 서로 직각인 2개의 평면에서 증가되는 것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전술한 특허에는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있다.As noted above, US Pat. No. 3,833,285 discloses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cube corner retroreflective can be increased in one plan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ngle of one of the three dihedral angles of the cube. U.S. Patent Nos. 3,873,184 and 3,923,378 disclose arrays of retroreflective elements in which the cube axes of adjacent cub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another and are disposed opposite one another such that the irradiation angle is increased. It is disclosed that the degree of irradiation angle is increased in two plan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n one cube face of cubes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is more parallel to the front face. Each of the foregoing patents is described herein for reference.

재귀 반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큐브에 사용되는 동일한 광학 원리는 재귀 반사성 시트재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소 크기의 삼각형 큐브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Hoopman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88,258호에는 신규의 각 정도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는데, 삼각형 마이크로큐브 소자의 어레이는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각 쌍에서 큐브의 큐브축과 매칭된 쌍의 세트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은 예를들어 본 발명의 동일 양수인에게 양도된 종래의 미국 특허 제3,541,606호, 제3,923,378호 또는 제3,873,184호에 개시된 면에 대해 더 평행한(face-more-parallel ; 이하, 면 평행성이라 한다) 구조체를 간단히 복제하고 있다. 또한, Hoopman에 의한 삼각형의 매칭된 쌍은 Hoopman의 출원시에 규격화하는 삼각형이 단지 마이크로큐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로만 제한되고 있다.The same optical principles used in microcubes to improve retroreflectivity can be applied to small size triangular cubes as used in retroreflective sheeting. Therefore, U. S. Patent No. 4,588, 258 to Hoopman discloses a novel angled retroreflective article, in which an array of triangular microcube elements has a pair of pairs that match the cube's cube axis in each pair inclined relative to each other. Although it includes a set, it is, for example, face-more-parall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et-more-parallel; hereafter assigned to the same assignee of the present invention, US Pat. Nos. 3,541,606, 3,923,378 or 3,873,184). The structure is simply duplicated. In addition, matched pairs of triangles by Hoopman are limited to the case where triangles that are standardized at Hoopman'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make microcubes.

이와 마찬가지로, Appeldor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75,219호에는 평행한 V형 홈의 3개의 교차 세트에 의해 형성되는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소자의 어레이를 갖는 변경된 관찰 각정도의 재귀 반사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3개의 교차 세트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반복 패턴으로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홈 측면 각을 포함한다. Appeldorn에 의한 물품은 본 발명의 동일 양수인에 의해 양수된 미국 특허 제3,833,285호에서 개시하는 동일한 원리를 명확히 실현하고 있다.Similarly, US Pat. No. 4,775,219 to Appeldorn et al. Discloses a retroreflective article of varying viewing angles with an array of microcube retroreflective elements formed by three intersecting sets of parallel V-shaped grooves, At least one of the three sets of intersections includes at least two groove side angle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repeating pattern. An article by Appeldorn clearly embodies the same principles disclosed in US Pat. No. 3,833,285, assigned by the same assigne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모든 삼각형 큐브는 적당한 재귀 반사성을 제공하는 동안 임의의 특정 입사각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이들 영역의 단지 66% 정도만 재귀 반사될 수 있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삼각형 큐브의 이와 같은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에 의한 국제 특허 출원(공개 공보 WO 95/11463: WO 95/11465; WO 95/11467; WO 95/11470)의 시리즈에는 일부 비삼각형 큐브를 포하하는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 및 이러한 어레이를 규격화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출원에 개시된 어레이는 크게 상이한 높이(제조상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및 크게 변화하는 개구 크기(재귀 반사도에서 회절 및 충격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의 큐브를 가지고 있다. 최상의 상태로도, 이들 특허 출원에 개시된 어레이는 계산된 퍼센트의 91%의 유효 개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제조 방법을 고려할 때(예컨대, WO 95/11470의 도 12 참조), 약 87%로 하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일 큐브가 개시된 규격화 기술에 의해 경사지게 되면, 그 효율성은 더욱 균일하게 하강된다. 단일 평면에 평행한 규격화된 홈을 교차시킴으로써 이들 큐브를 형성하는 특성은 구할 수 있는 결과치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제한이 있게 된다.However, all triangular cubes have the drawback that essentially only 66% of these areas can be retroreflected for any particular angle of incidence while providing adequate retroreflectivity. In an attempt to overcome such deficiencies of triangular cubes, a series of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s (published publications WO 95/11463: WO 95/11465; WO 95/11467; WO 95/11470) by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n array of microcubes containing some non-triangular cubes and techniques for standardizing such arrays are disclosed. However, the arrays disclosed in these patent applications have cubes of significantly different heights (which may pose manufacturing challenges) and greatly varying aperture sizes (affecting diffraction and impact in retroreflectivity). Even at best, the arrays disclosed in these patent applications provide 91% of the effective openings calculated, which, when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method (see, eg, FIG. 12 of WO 95/11470), drops to about 87%. It can be seen as. If the cube is inclined by the disclosed standardization technique, its efficiency is lowered more evenly. The ability to form these cubes by intersecting normalized grooves parallel to a single plane is inherently limited in the results available.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및 물품은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초기의 삼각형 미이크로큐브에 의해 얻어질 수 있거나 또는 삼각형 큐브 및 비삼각형 큐브의 보다 최근에 규격화된 혼합물에 의해 평탄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echniques and 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tained by initial triangular microcube as shown in the fig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or in more recently standardized mixtures of triangular and non-triangular cubes.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flat.

삼각형 큐브 코너와 달리, 6각형 및 직사각형 큐브 코너는 이들 영역의 100%가 큰 입사각에서도 균일하게 재귀 반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삼각형 큐브 코너와 달리, 6각형 및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는 평탄면을 따라 연장되는 연속해서 직선으로 규정되고 있지는 않으며, 그에 따라 공통 평면에 평행한 모든 평행 라인의 교차 세트로 규격화될 수는 없게 된다. 따라서, 직사각형 큐브의 유일한 예외로서 미국 특허 제4,349,598호 및 제4,895,428호(유효 큐브면 중의 하나의 면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 수직이다)에서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특허에 의해서는 단일 플랫면에서 직선을 규격화함으로서 모든 6각형 또는 모든 직사각형 마이크로 큐브를 포함하는 마스터를 절단하거나 또는 규격화할 수는 없게 된다. 또한, 미국특허 제4,349,598호 및 제4,895,428호에 대해서 큐브를 규격화하는데 있어서 기하학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큐브 구조체는 주 광원이 도로 표지판 시트재와 같이 거의 제로 입사각에서 입사되는 경우에는 유용하지 않게 된다.Unlike triangular cube corners, hexagonal and rectangular cube corners have the advantage that 100% of these areas can be uniformly retroreflected even at large angles of incidence. However, unlike triangular cube corners, hexagonal and rectangular microcubes are not defined as continuous straight lines extending along a flat plane, and thus cannot be standardized as an intersection set of all parallel lines parallel to the common plane. . Thus, the only exception to rectangular cubes is disclosed in U.S. Patent Nos. 4,349,598 and 4,895,428 (one of the valid cube faces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face of the reflector), whereby these patents produce straight lines in a single flat plane. By standardizing it is not possible to cut or standardize a master containing all hexagonal or all rectangular microcubes. In addition, due to geometric limitations in standardizing cubes for U.S. Patent Nos. 4,349,598 and 4,895,428, the cube structure disclosed herein is not useful when the main light source is incident at nearly zero angles of incidence, such as road sign sheet material. Will not.

매크로큐브를 가진 공구의 제조 방법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구는 통상적으로 금속 핀의 클러스터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각 핀은 일단부 상에 기계화되어 광택된 단일 큐브 코너를 갖는다. 6각형 핀은 약 0.10 인치(2.5 mm) 정도로 평행한 평면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핀은 약 0.07 인치(1.8 mm)의 짧은 치수 및 약 0.120 인치(3.0 mm)의 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핀들의 클러스터는 주형을 전기 주조하기 위해 마스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큰 큐브는 그 높이로 인해서 마이크로큐브에 필요로 되는 얇은 가소성 재귀 반사성 시트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데는 너무 크지만, 도로 표지판용으로 주조되는 플라스틱 반사기, 자동차 미등 등의 큰 재귀 반사성 소자가 수용가능한 곳에서는 실용성을 찾을 수 있다.Methods of making tools with macrocubes are known in the art. Such a tool is typically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cluster of metal pins, each pin having a single cube corner that is mechanized and polished on one end. Hexagonal pins may have dimensions in parallel planes of about 0.10 inch (2.5 mm). Rectangular pins may have short dimensions of about 0.07 inches (1.8 mm) and long dimensions of about 0.120 inches (3.0 mm). These clusters of pins are used as masters for electroforming molds. These large cubes are too large t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thin plastic retroreflective sheeting materials required for microcube because of their height, but where large retroreflective elements such as plastic reflectors and automotive taillights cast for road signs are acceptable. Practicality can be found in

제조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가장 작은 핀이 적용되는 공지된 것으로는 약0.040" 제곱의 큐브 형상을 갖는다. 가소성 재귀 반사성 시트재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큐브로는 측면상에서 약 0.016 인치(0.4 mm) 보다 크지 않으며, 본 발명의 동일 양수인에 의해 시판중인 시트재 제품으로서 큐브 형상의 가장 큰 에지는 약 0.010 인치(0.25 mm)이다.Due to manufacturing constraints, the known ones with the smallest fins have a cube shape of about 0.040 "square. The microcube used for plastic retroreflective sheeting material is no greater than about 0.016 inch (0.4 mm) on the side. The sheet edge product marketed by the same assigne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st edge of the cube shape is about 0.010 inch (0.25 mm).

마이크로큐브(또는 작은 치수의 큐브)는 핀을 그룹화(또는 큰 큐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하는 것에 의해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매크로큐브를 포함하는 재귀 반사기 물품과 대항되는 바와 같이, 규격화 된 마스터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조되는 공구에 의해 제작된 시트재 제품에 대해서 다른 특허에서 사용되고 있다.Microcubes (or small dimension cubes) are standardized, as opposed to retroreflective articles comprising macrocubes typically formed by grouping fins (or by other techniques used to form large cubes). It is used in other patents for sheet material manufactured by tools which are manufactur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master.

6각형 큐브를 마무리하기 위해 "핀 클러스터" 제조 기술과 관련된 다른 대안으로는 Applied Optics, Vol. 20, No. 6, p, 1268(1981년 4월 15일)를 들 수 있다. 이 문헌에서는, 6각형 큐브 코너가 한 스택의 평판의 에지면에서 홈을 정확하게 기계 광택을 내며 원하는 각으로 평면을 조립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을 참조하면, 정점부에 적층된 하나의 에지에서 홈이 절단되고 홈이 오프셋되도록 인접한 판이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여러개의 평판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6각형 큐브의 세트에 따라 조립되는 기울어진 스택의 평판은 주형을 전기 주조하기 위한 마스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동일 양수인에 의한 전술한 10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며, 재귀 반사기를 세정하기 위한 만족스럽지 못한 기술이지만 미국 특허 제1,591,572호(FIG. 16, p. 5, 11. 85-99 참조)를 참조하여 논의되고 있다.Other alternatives related to “pin cluster” fabrication techniques for finishing hexagonal cubes include Applied Optics, Vol. 20, No. 6, p, 1268 (April 15, 1981). In this document, a method is disclosed in which a hexagonal cube corner can realize assembling a plane at a desired angle while precisely glossing a groove on the edge surface of a stack of flat plates. Referring to this document, photographs of several plates are shown in which adjacent plates are displaced relative to one another so that the grooves are cut and the grooves are offset at one edge stacked on the vertex. Flat plates of inclined stacks assembled according to a set of hexagonal cubes can be used as masters for electroforming molds. However, this technique i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ten documents by the same assignee and is an unsatisfactory technique for cleaning reflex reflectors, but see US Pat. No. 1,591,572 (FIG. 16, p. 5, 11. 85-99). Is discussed.

이전에는 매크로큐브를 제조하는 전술한 "적층된 평판" 방법은 상업 판매에 따라 재귀 반사성 제품용 주형을 제작하는데는 실제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먼저, 매크로큐브에 대한 주형은 6각형 핀의 전술한 클러스터링에 의해 만족스럽게 제조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미국 특허 제1,591,572호에서 인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계화 및 광택화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는 정확한 각 허용 오차로 내부 교차면을 절단하여 광택을 내는 것과 핀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에지를 예리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Previously, the "laminated flatbed" method described above for making macrocubes has not really attracted interest in producing molds for retroreflective products upon commercial sale. First, the mold for the macrocube can be satisfactorily produced by the aforementioned clustering of the hexagonal pins. Secondly, by using conventional mechanization and polishing techniques, as recognized in US Pat. No. 1,591,572, the internal intersections can be cut and polished with precise angular tolerances and the edges obtainable by fin technology It is impossible to sharpen it.

특히, 절삭 동작 혹은 연마(polishing) 동작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큐브 표면의 어떤 불규칙성들은 재귀 반사광의 발산을 불합리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 의해 형성된 큐브의 유효 재귀 반사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홈이 형성되는 내부 각을 연마하는 경우의 이러한 인식된 어려움은 균일하게 연마할 수 없는 영역이 결과로서 발생될 큐브 표면 영역의 비교적 큰 백분율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큐브에서 더욱 악화된다.In particular, any irregularities in the cube surface that can be generated by either cutting or polishing operations can unreasonably increase the divergence of retroreflected light, thereby reducing the effective retroreflectivity of the cube formed by the prior art. Can be reduced. This perceived difficulty in polishing the inner angles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is further exacerbated in the microcube because areas that cannot be polished uniformly occupy a relatively large percentage of the cube surface area that will result.

본 출원의 일부로서, 출원인은 이전에 입수할 수 없었던 마이크로큐브를 얻기위해서 연마 동작이 필요없이 룰링(ruling)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는 박판을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As part of this application, Applicant discloses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in plates that can be ruled and assembled in a variety of ways to obtain microcubes that were previously unavailable.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면내에 룰링에 의해 생성할 수 없는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ray of microcubes that cannot be produced by ruling in one pla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非)2면각 면 에지들이 공통면에 대해 모두 평행하지 않은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ray of microcubes whose non-diagonal faceted edges are not all parallel to the common pla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큐브의 바람직한 광학 특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6각형 마이크로큐브를 정의하는 3개의 구조적인 파라미터(예컨대, 하기 설명된 슬립(slippage), 홈 깊이 및 판 두께)를 상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of correlating three structural parameters (e.g. slippage, groove depth and plate thickness described below) that define a hexagonal microcube to optimize the desired optical properties of the microcub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귀 반사성 물품 특히, 바람직한 재귀 반사 특성을 갖는 6각형 재귀 반사성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는 재귀 반사성 시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roreflective article, in particular a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having a pattern of hexagonal retroreflective microcubes having desirable retroreflective proper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귀 반사성 물품, 특히, 재귀 반사성 시트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2 이상의 인접한 6각형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하는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in particular a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a tool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hexagonal microcub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의 세트의 단부내로 홈의 세트를 룰링하여 바람직한 재귀 반사 특성을 갖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로 형성하도록 상기 판을 조립하여 부분적으로 제조하고, 모든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는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bricate and partially fabricate the plates to form an array of hexagonal microcubes with desirable retroreflective properties by ruling the set of grooves into the ends of the set of plates,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l having a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큐브 면이 5각형인 6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물품을 제공하고, 그러한 물품을 제조하는 공구를 제공하며, 그러한 물품 및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ticle having a hexagonal microcube with all cube faces pentagonal, to provide a tool for making such an article, and to provide a method for making such an article and a too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큐브의 2면각 면 에지가 다른 큐브의 2면 각 면 에지와 동일선상에 있지 않는 직사각형 재귀 반사성 마이크로큐브를 갖고 특히 마이크로큐브가 바람직한 재귀 반사 특성을 제공하는 재귀 반사성 물품, 특히 재귀 반사성 시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 retroreflective microcube where the dihedral face edges of one cube are not collinear with the dihedral face edges of the other cube, in particular the retroreflective properties in which the microcube provides the desired retroreflective properties. It is to provide an article, in particular a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큐브 축 경사가 인접된 큐브의 2면각 표면 에지의 공선성(collinearity)에 대한 필요성에 제한되지 않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독특한 패턴을 가지며, 재귀 반사성 물품, 특히 재귀 반사성 시트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 unique pattern of rectangular microcubes in which the cube axis tilt is not limited to the need for collinearity of the dihedral surface edges of adjacent cubes, and the retroreflective article, in particular the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To provide a tool that can be used to manufacture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면각 면 에지들이 동일선상에 있지 않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가지며, 시트재와 같이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l which has a pattern of rectangular microcubes whose dihedral face edges are not collinear and can be used to produce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rectangular microcubes such as sheet material.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가지며, 바람직한 직사각형 큐브 형상 및 패턴을 제공하도록 단부내로 홈들 및 사면을 룰링하여 부분적으로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l having a pattern of rectangular microcubes and which can be used to partially fabricate grooves and slopes into an end to provide the desired rectangular cube shape and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 단부 상에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가 형성된 평판을 조립함에 의해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tangular microcube tool by assembling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microcube formed on one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개의 큐브의 정사각형 세트의 마이크로큐브가 4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진 큐브축을 가지며, 재귀 반사성 정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ticle in which a square set of four cubes of microcubes has a cube axis inclin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and has a pattern of retroreflective square microcub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귀 반사성 5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는 물품을 제공하고, 그러한 물품을 제조하는 공구를 제공하며, 그러한 물품 및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ticle having a pattern of retroreflective pentagonal microcubes, to provide a tool for making such an article, and to provide a method of making such an article and a too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진 큐브 축을 갖는 5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가지며, 상이하게 경사진 큐브 축을 갖는 5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물품을 제공하고, 그러한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를 제공하며, 그러한 물품 및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le having a pattern of pentagonal microcubes with an inclined cube axis, an article having a pentagonal microcube with differently inclined cube axes, and providing a tool for manufacturing such an article,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rticles and tool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큐브 형상과 이 큐브 형상내에서 큐브 정점의 돌출된 위치가 큐브 축 경사에 무관한 하나 이상의 3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 cube shape and at least one triangular microcube whose projected position of the cube vertices within the cube shape is independent of the cube axis til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접한 3각형 마이크로큐브가 상이한 경사도의 큐브축을 가질 수 있고, 불필요하게 매칭된 쌍이 없는 재귀 반사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roreflective article in which adjacent triangular microcubes can have cube axes of different inclinations and are unnecessarily matched pai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하기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무전해 니켈 판을 형성하기 위한 강철 블록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lock for forming an electroless nickel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블록의 상부 표면 상에 무전해 니켈 층을 증착한 후의 화살표 2-2 방향에서 본 도 1의 블록의 단면도이다.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ck of FIG. 1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2-2 after depositing an electroless nickel layer on the top surface of the block.

도 2B는 상부 에지 중의 한 에지를 가공한 후의 도 1의 블록과 무전해 니켈 증착물의 단면도이다.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ck of FIG. 1 and the electroless nickel deposit after machining one of the top edges. FIG.

도 2C는 무전해 니켈 판이 분리되고 무전해 니켈 잔여물이 블록 하부 절삭부 중의 하나에 잔류하는 블록의 단면도이다.2C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block in which the electroless nickel plate is separated and electroless nickel residue remains in one of the block lower cuts.

도 3은 룰링되기 전의 무전해 니켈 판의 스택에 대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ck of electroless nickel plates before being ruled.

도 3A는 룰링을 위한 판과 전기 주조 원판의 어셈블리를 정렬시키는 한 방법에 사용된 맞춤못 구멍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 3의 판들 중 하나의 판의 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3A is a view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ace of one of the plates of FIG. 3 showing the arrangement of dowel holes used in one method of aligning the assembly of the plate for rubbing with the electroforming disc. FIG.

도 4는 홈이 룰링된 후의 동일 판 스택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me plate stack after the groove is ruled.

도 5는 인접 판들이 수직 방향으로는 홈 깊이만큼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는 1/2 홈 폭만큼 오프셋된 도 4의 판들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s of FIG. 4 with adjacent plates offset by groove dep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y 1/2 groov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은 "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이 "t" 와 동일하고 화살표 6-6의 방향에서 본 도 5의 판 스택의 측면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of the plate stack of FIG. 5 with "L" (as shown in FIG. 4) equal to "t" and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s 6-6.

도 6A는 도 6의 화살표 6A-6A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6A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6A-6A in FIG. 6.

도 6B는 인접 판들간의 오프셋을 강조하기 위해 상이한 음영이 추가된 도 6의 화살표 6B-6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6B is a view from arrow 6B-6B direction of FIG. 6 with different shades added to emphasize the offset between adjacent plates. FIG.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판 단부의 홈을 룰링하기 위해 사용된 절삭 공구의 전면의 일부분을 전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7A is a view of a portion of the front face of a cutting tool used to rule the groove of the plate 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fa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 7B-7B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7A의 절삭 공구의 측면도이다.7B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7B-7B in FIG. 7A, and is a side view of the cutting tool in FIG. 7A.

도 8A는 홈을 절삭하기 위해 기울어져 있을 때의 절삭 공구의 전면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이다.8A is a view of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a cutting tool when tilted to cut a groove.

도 8B는 공구의 면의 경사 e를 나타내고 있고 도 8A의 화살표 8B-8B 방향과 절삭 방향에서 본 도 8A의 절삭 공구의 측면도이다.Fig. 8B is a side view of the cutting tool of Fig. 8A, showing the inclination e of the surface of the tool and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s 8B-8B and cutting direction of Fig. 8A.

도 9는 절삭 공구의 경사 e에 대응하는 내부 홈 각도 c+Δc로 판 내에 절삭될 때의 하나의 완전한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shows one complete groove when cut into the plate at an inner groove angle c + Δc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e of the cutting tool.

도 10은 도 6의 적층 판과 유사하지만 "L"이 " t"보다 크고 인접 판들이 수직방향으로는 홈 깊이 d와 수평 방향으로는 1/2 홈 폭으로 오프셋되는 적층 판에 대한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of a laminated plate similar to the laminated plate of FIG. 6 but with "L" greater than "t" and adjacent plates offset by groove depth 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1/2 groov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0A는 주요 반사 광선과 일치할 판에 의해 형성된 큐브의 대각선을 따르는 도 10의 화살표 10A-10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10A is a view from arrow 10A-10A in FIG. 10 along the diagonal of the cube formed by the plate to coincide with the principal reflected light beam.

도 10B는 큐브 정점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을 이루는 도 10의 화살표 10B-10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10B is a view from arrow 10B-10B in FIG. 10 perpendicular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cube vertex.

도 10C는 인접 판들간의 오프셋을 강조하기 위해 상이한 음영이 추가되어 있는 판들의 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ure 10C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lates with different shades added to emphasize the offset between adjacent plates.

도 11은 홈을 가지고 룰링되고 절삭 평면을 도시하기 위해 매우 과장된 각도로 설정하는 판의 스택에 대한 측면도이다.11 is a side view of a stack of plates ruled with grooves and set at a very exaggerated angle to show the cutting plane.

도 11A는 룰링 후 및 수직 방향으로는 홈 깊이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는 1/2 홈 폭만큼 인접 판에 대해 오프셋된 후의 도 11의 판의 스택에 대한 측면도이다.FIG. 11A is a side view of the stack of the plate of FIG. 11 after ruling and offset relative to adjacent plates by a groove dep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1/2 groov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1B는 홈의 에지가 판(판의 일부만이 예시를 목적으로 상이하게 음영되어 있음)의 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각을 이루는 것을 예시하는 판의 면의 평면에 수직 방향에서 본(도 11A의 화살표 11B-11B를 따라) 도면이다.11B is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ace of the plate illustrating that the edges of the grooves are angl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plate (only a portion of the plate is shaded differently for illustrative purposes) (see FIG. 11A Along the arrows 11B-11B).

도 12는 도 6에서와 같이 "L"이 " t "와 동일하지만 수직으로 1.64t 그리고 수평으로 0.707t의 인접 판들과의 오프셋으로 적층된 판의 스택의 측면도이다.FIG. 12 is a side view of a stack of plates laminated with offsets of adjacent plates of " L " equal to " t " but 1.64t vertically and 0.707t horizontally as in FIG.

도 12A는 큐브 대각선에 평행한 도 12의 화살표 12A-12A 방향에서 본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2A is a view showing the projectio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12A-12A of FIG. 12 parallel to the diagonal of the cube.

도 12B는 도 12의 판들의 정면도이다.12B is a front view of the plates of FIG. 12.

도 12C 및 도 12D는 상이한 입사 광선에 대한 각종 큐브 파라미터의 상호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2C and 12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interrelationships of various cube parameters for different incident light rays.

도 13은 도 12에 유사한 적층 판으로 형성되고 9.74°의 면 평행성(face-more-parallel) 마이크로큐브를 제공하도록 d=0.55t이고, s=0.45t인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쌍을 이루는 어레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부분 측면도이다.FIG. 13 is a paired array of hexagonal microcubes, d = 0.55t and s = 0.45t, formed of a laminated plate similar to FIG. 12 and providing a face-more-parallel microcube of 9.74 °. Partial side view of the article comprising a.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직사각 큐브를 가공하기 전의 판의 부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14A and 14B are partial plan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the plate before machining the rectangular cube.

도 15는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가공하기 위해 각도 X로 경사진 스페이서 및 대체 판의 스택의 단면에 대한 모식 측면도이다.1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ross section of a stack of spacers and replacement plates inclined at an angle X for machining inclined surfaces with a cutting tool.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경사면을 가공한 후의 도 14A 및 도 14B의 단일 판의 부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16A and 16B are partial plan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the single plate of FIGS. 14A and 14B after machining the inclined surface.

도 17은 도 15와 유사하게 경사면을 가공한 후의 스페이서와 대체 판의 스택의 단면을 도시하고, 판들 사이의 공간이 가공 홈의 제작시에 플라스틱으로 충전되어 있는 도면이다.FIG. 17 shows a cross section of a stack of spacers and a replacement plate after machining the inclined surface, similar to FIG. 15, wherein the space between the plates is filled with plastic in the manufacture of the working groove.

도 18은 용지의 평면을 향해 이동하고 홈을 가공하는 절삭 공구(와 점선을 따라 절삭되는 후속 홈)를 도시하고 홈 면을 부분 가공한 후의 스페이서와 판의 스택에 대해 도 17의 화살표 18-18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18 shows a cutting tool (and subsequent grooves cut along the dotted line) moving towards the plane of the paper and machining the grooves and arrows 18-18 of FIG. 17 for the stack of spacers and plates after partial machining of the groove face; It is the figure seen from the direction.

도 19는 화살표 19-19 방향에서 본 도 18의 단일 평면의 단면에 대한 측면도이다.FIG. 19 is a side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single plane of FIG. 18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s 19-19. FIG.

도 20은 마이크로큐브 코너의 직사각 외형을 도시하고 대표적인 마이크로큐브가 점선의 원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경사면과 홈 면을 가공한 후의 단일 평면을 도 19의 화살표 20-20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FIG. 20 shows a rectangular outline of the microcube corner and a representative microcube is shown in the circle of dotted line and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20-20 of FIG. 19 after a single plane has been processed.

도 21은 인접 판들이 상호 180°로 배향되어 조립되고 전기 주조 시에 원판으로서 사용되며 대표적인 개개의 코브가 점이 찍혀진 3개의 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도 20에서와 같이 가공된 3개의 판의 스택에 대한 평면도이다.FIG. 21 is a stack of three plates machined as in FIG. 20 with adjacent plates oriented at 180 ° to each other, assembled and used as discs in electroforming, with representative individual coves represented by three sides dotted. Top view.

도 22는 직사각 마이크로큐브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서 사용된 2배의 두께를 갖는 판들이 각도 (90°- X)로 위치되는 룰링 기계의 받침대의 평면에 수직한 경사면을 절삭한 후의 판의 부분 측면도이다.FIG. 22 shows a plate after cutting an inclined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edestal of the ruling machine, in which the plates having a thickness twice as used in anoth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a rectangular microcube are positioned at an angle (90 ° -X). Partial side view of the.

도 22A는 도 22의 경사면을 절삭하기 위해 위치될 때의 절삭 공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2A shows a cutting tool when positioned to cut the inclined surface of FIG. 22. FIG.

도 22B는 절삭 공구에 의해 판 단부로 가공된 임시 면과 제1 경사면을 도시하고 도 22의 화살표 22B-22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22B is a view showing the temporary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cessed to the plate end by the cutting tool and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s 22B-22B in FIG. 22.

도 22C는 절삭 홈의 제조 시에 충전되는 도 22에서의 제1 경사면과 임시 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2C is a view show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temporary surface in FIG. 22 filled in the manufacture of the cutting groove. FIG.

도 23은 제2 절삭 공구에 의해 절삭된 제1 경사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본 홈 면의 절삭 중의 도 22의 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3 is a view showing the plate of FIG. 22 during cutting of the groove face viewed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ation cut by the second cutting tool.

도 23A는 도 23의 화살표 23A-23A 방향에서 본 홈 면을 위한 절삭부의 골에서의 도 23을 관통한 단면도이다.FIG. 23A is a cross sectional view through FIG. 23 in the valley of the cutout for the groove face,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s 23A-23A in FIG.

도 23B는 점선의 원 내에 점이 찍여진 면에 의해 직사각형 큐브의 하나가 표시되어 있는 제1 열의 직사각형 큐브를 형성하기 위해 홈 면을 절삭한 후의 도 23A의 화살표 23B-23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23B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23B-23B in FIG. 23A after cutting the groove face to form a first-order rectangular cube in which one of the rectangular cubes is indicated by the dotted surface in the dotted circle;

도 24는 임시 면(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을 제거하기 위해 제1 절삭 공구에 의해 큐브의 제2 열의 큐브용의 제2 경사면을 절삭하도록 재위치된 도 23A의 판의 측면도이다.FIG. 24 is a side view of the plate of FIG. 23A repositioned to cut a second sloped surface for the cube of the second row of cubes by the first cutting tool to remove the temporary surface (as shown by dashed lines).

도 25는 제2 열의 큐브용의 제2 경사면을 제거한 후 그리고 제2 경사면에 거의 수직한 새로운 홈 면을 가공하는 동안의 도 24의 판에 대한 정면도이다.FIG. 25 is a front view of the plate of FIG. 24 after removal of the second slope for the cubes of the second row and during machining of a new groove surfac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lope.

도 25A는 도 25의 화살표 25A-25A 방향에서 본 제2 열의 큐브의 홈 면을 위한 절삭부의 골에서의 단면도이다.25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utout for the groove face of the second row of cubes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s 25A-25A of FIG. 25.

도 25B는 도 25A의 화살표 25B-25B 방향에서 본 전주 마스터로서의 사용을 위해 완성된 판의 평면도이며, 제2 열의 한 큐브가 점선의 원 내에 표시되어 있는 제2 열의 큐브의 경사면과 홈 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5B is a plan view of a finished plate for use as a pole master, as se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25B-25B in FIG. 25A, showing the slope and groove faces of the second row of cubes with one cube in the second row indicated in a dashed circle. It is a figure.

도 26은 2개의 정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평면도이다.26 is a top view of two square microcubes.

도 27은 홈의 골이 경사면의 교차부에 평행하지만 그 위에서 오프셋되는 평면을 형성하는 홈 면을 절삭하는 방향에서 본 도 26의 정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형성하기 위한 판의 정면도이다.FIG. 27 is a front view of the plate for forming the square microcube of FIG. 26 viewed in the direction of cutting the groove surface where the valleys of the grooves are parallel to the intersec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but offset above.

도 27A는 홈의 골을 관통하여 취한 도 27의 화살표 27A-27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FIG. 27A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27A-27A in FIG. 27 taken through the groove of the groove; FIG.

도 27B는 전기 주조 원판로서의 사용을 위한 완성된 판이 도시되어 있고 도 27A의 화살표 27B-27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27B shows a finished plate for use as an electroforming disc and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s 27B-27B in FIG. 27A.

도 27C는 도 13와 유사한 물품이지만 H=2W이고 축이 기울어져 있으며 정점이 하강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7 내지 도 27B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도시하는 다른 부분 측면도이다.FIG. 27C is another partial side view illustrating an array of rectangular microcubes configured in a similar manner to FIGS. 27-27B except that H = 2W, the axis is tilted, and the vertex is lowered, similar to FIG. .

도 28은 3개의 주요 광학 파라미터(정점 하강, 경계 비율 및 축 경사)가 예시를 위해 변경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큐브 사이즈가 제4 파라미터인 직사각형 큐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tangular cube in which three main optical parameters (vertical descent, boundary ratio and axial tilt) have been changed for illustration and not shown but the cube size is the fourth parameter.

도 29는 예를 들어 55°입사각으로 포장 도로 표지로 사용될 때의 면이 더욱 평행한 개량된 직사각형 큐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9 shows an improved rectangular cube with more parallel planes when used as a pavement sign at 55 ° incidence, for example.

도 29의 (a)는 주 반사 광선에 평행한 도 29의 큐브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9A shows the protrusion of the cube of FIG. 29 parallel to the main reflected beam.

도 30은 도 29의 표시기로 도시된 유형의 큐브의 어레이의 후면 등각도이다.30 is a rear isometric view of an array of cubes of the type shown by the indicator of FIG. 29.

도 31은 모두 평행하지는 않은 베이스를 갖는 3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세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res of a triangular microcube with bases that are not all parallel.

도 32는 슬립 월(slippage wall)없이 4개의 배향성을 제공하는 정사각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y of square microcubes that provide four orientations without slippage walls.

도 33은 지시된 3회의 절삭 단계가 있는 도 32에 도시된 정사각형 큐브 형태의 단일 열을 갖는 판을 나타낸 평면도.33 is a plan view of a plate with a single row in the form of a square cube shown in FIG. 32 with three cutting steps indicated.

도 34A 및 34B는 경사면이 판의 전면에 대해 평행인 방향으로 룰링된 도 15-21에 기술된 세공 방법과 비교하여, 판의 전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룰링된 경사면을 갖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가 있는 판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34A and 34B show a plate with a rectangular microcube having inclined surfaces ru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plate, as compared to the pore method described in FIGS. 15-21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s ru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plate. Top and side views showing parts.

도 35는 가장 밝은 하나의 판의 단부를 갖는 5면 6각형 큐브 어레이를 나타낸 평면도.35 is a plan view of a five-sided hexagonal cube array with the ends of the brightest one plate.

도 36은 본 발명의 판 처리 기술에 따라 구성된 5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나타낸 도면.36 illustrates an array of pentagonal microcube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late processing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A는 상이한 경사면을 갖는 2개의 5각형 마이크로큐브를 나타낸 도면.FIG. 36A shows two pentagonal microcubes with different slopes; FIG.

도 37은 도 6 내지 도 6B에 도시된 형태의 d/t=0.7071, s/t=0 인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에 대해, -90°로부터 +90°까지의 입사각에 대한 다양한 굴절율를 갖는 마이크로큐브의 재귀 반사율을 비교하는 곡선군을 나타낸 그래프.FIG. 37 shows micros with various refractive indices for incidence angles from -90 ° to + 90 ° for an array of hexagonal microcubes with d / t = 0.7071, s / t = 0 of the type shown in FIGS. 6-6B. Graph showing a group of curves comparing the retroreflectivity of cubes.

도 38은 d/t 가 변경되고 s/t=0 인 굴절율=1.49 를 갖는 쌍을 이루지 않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에 대해, -90°로부터 +90°까지의 입사각 I에 대한 재귀 반사율의 곡선군을 나타낸 그래프.FIG. 38 shows the curve of retroreflectivity for incidence angle I from −90 ° to + 90 ° for an array of unpaired hexagonal microcubes with an index of refraction = 1.49 with d / t changed and s / t = 0. Graph showing group.

도 39는 도 38에 사용된 동일 마이크로큐브에 대해, -90°로부터 +90°까지의 입사각 I에 대한 (재귀 반사율 대신에)유효 개구 백분율의 곡선군을 나타낸 그래프.FIG. 39 is a graph showing a group of curves of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s (instead of retroreflectivity) for the angle of incidence I from -90 ° to + 90 ° for the same microcube used in FIG. 38.

도 40은 유효 개구 백분율과 재귀 반사율로 도시되는 유효도와, 0°내지 70°의 입사각에서 도 13 및 27C의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쌍을 이루는 어레이와 쌍을 이루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유효도를 비교하는 그래프.FIG. 40 compares the effectiveness shown by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and the retroreflectiv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ctangular microcube paired with the paired array of hexagonal microcubes of FIGS. 13 and 27C at angles of incidence from 0 ° to 70 °. graph.

도 41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반사기의 전면에 직각인 비사변형 면에 대해, 큐브 축 경사각이 1.9°인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와 비교하여, 도 29 및 30의 본 발명의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재귀 반사율 대 수평 엔트런스각의 곡선군을 나타낸 그래프.FIG. 41 shows the retroreflectivity versus the rectangular microc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29 and 30, compared to a rectangular microcube with a cube axis tilt angle of 1.9 ° for a non-square plane perpendicular to the front face of the reflector as in the prior art. Graph showing a group of curves of horizontal entrance angles.

도 42A 내지 42E는 Hoopman의 미국 특허 제4,588,258호의 3각형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물품의 재귀 반사율과 비교된 5개의 큐브 축 경사각 각각에 대해 굴절율이 1.59 인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쌍을 이루는 어레이에 대해, 0°내지 70°의 엔트런스각 대 재귀 반사율의 3개의 곡선군을 나타낸 도면.42A-42E show zero for a paired array of hexagonal microcubes with a refractive index of 1.59 for each of the five cube axis tilt angles compared to the retroreflectivity of the triangular microcube retroreflective article of Hoopman, US Pat. No. 4,588,258. 3 groups of curves of entrance angle versus retroreflectivity between ° and 70 °.

도 43은 동일하게 경사진 Hoopman의 미국 특허와 비교하여 쌍을 이루는 경사진 직사각형과 쌍을 이루는 어레이의 경사진 6각형에 대한 큐브의 대칭 평면에 직각인 평면에서 0° 내지 60°의 엔트런스각 대 재귀 반사율의 곡선을 나타낸 도면.FIG. 43 is an angle of incidence from 0 ° to 60 °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for the inclined hexagon of a paired array and the inclined hexagon paired in comparison to the US inclined Hoopman's US patent. Plot of vs retroreflectivity.

도 44는 종래의 공개 유럽 특허 WO 95/11470호의 도 12로부터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와 비교하여, 둘다 경사각이 없는 쌍을 이루는 직사각형과 쌍을 이루는 정사각형에 대하여 -20° 내지 20°의 엔트런스각에 대한 유효 개구 백분율을 나타낸 도면.FIG. 44 shows an entrance angle of -20 ° to 20 ° for a paired rectangle and paired squares both without the angle of inclination, compared to the array of microcubes from FIG. 12 of the conventional published European patent WO 95/11470. Figure showing the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for.

도 45는 종래의 공개 유럽 특허 WO 95/11463호의 도 32와 비교하여, 쌍을 이루는 경사진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와 쌍을 이루는 경사진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에 대하여 -70°내지 70°의 엔트런스각 대 유효 개구 백분율을 나타낸 그래프.FIG. 45 is an entrance of -70 ° to 70 ° for an array of inclined hexagonal microcubes paired with a pair of inclined rectangular microcubes, compared to FIG. 32 of conventional published European patent WO 95/11463. Graph showing each versus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도 46a-c 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3개의 상이한 크기에 대해 재귀 반사된 광 패턴에 대한 회절 효과를 나타낸 도면.46A-C show diffraction effects on retroreflected light patterns for three different sizes of hexagonal microcubes.

이들 다양한 도면은 비율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며, 예시를 위해 나타내었으며, 제한을 하는 것도 아니다. 다양한 그래프들도 마찬가지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비교를 위해 도시되었다. 다른 그래프와 실시예들은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various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re shown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are not limiting. The various graphs are likewise illustrative rather than limiting and shown for comparison. Other graphs and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르면, 재귀 반사성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는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각각의 판이 커트와 같이 광학 표면을 생성할 절삭 공구에 의해 절삭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갖는 복수의 판들을 제공한다. 상기 판들은 세공되는 마이크로큐브 코너의 형태에 의존하는 극소 크기의 두께 "t", 즉 하나 또는 2개의 마이크로큐브의 폭과 유사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두께는 모든 판에 대해 동일할 필요는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l having a pattern of microcubes used to make a retroreflective article is disclosed. Each plate provides a plurality of plates having at least one end and two substantially parallel plane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ut by a cutting tool that will produce an optical surface, such as a cut. The plates have a thickness “t” of very small size, ie, similar to the width of one or two microcub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icrocube corners being drilled. The thickness need not be the same for all plates.

마이크로큐브의 다양한 형상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판 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6각형과 직사각형의 두가지 형상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히 논의하며, 다른 형상에 대해서도 처리 공정의 융통성을 예증하기 위해 더욱 총괄적으로 설명한다.Various shapes of the microcube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plate treatment process disclosed herein. The two shapes, hexagonal and rectangular, are discussed in more detail, and other shapes will be discussed more generically to illustrate the flexibility of the process.

6각형 마이크로큐브Hexagonal Microcube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판은 바람직한 형태로는 단일 면상에 실질적으로 놓여있는 절삭 가능한 물질의 단부 세트가 각 판의 평행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하나씩 적층된다. 일련의 평행한 V 형 홈들은 절삭 가능한 단부의 세트로 절삭 공구를 사용하여 룰링된다. 룰링된 홈들은 절삭으로 바람직하게는 연마된 표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마이크로큐브 제조 시에 사용되는 핀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래핑(lapping) 및 연마가 필요없게 된다.In order to produce a pattern of hexagonal microcubes, the plates are stacked one by one such that, in a preferred form, an end set of cutable material lying substantially on a single side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plane of each plate. A series of parallel V-shaped grooves is ruled using a cutting tool with a set of cuttable ends. Ruled grooves preferably have a polished surface by cutting,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continuous lapping and polishing as in the pins used in microcube fabr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을 절삭하는 방향은 상기 판의 평면에 대해 공칭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절삭 방향에 수직인 홈의 각 경사면의 길이 "L"은 판의 두께 "t"와 동일하게 선택되며, 상기 경사진 표면 사이의 협각은 약 90°이다. 상기 협각은 절삭되는 표면에 대하여 절삭 공구의 절삭면을 경사지게 함으로써90°로부터 가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cutting the groove is nomin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late, and the length "L" of each inclined surface of the groove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direction is equal to the thickness "t" of the plate. Selected equally, the narrow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is about 90 °. The narrow angle can be varied from 90 ° by inclining the cutting surface of the cutting tool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ut.

하나의 판의 홈의 상부 에지가 인접한 판의 룰링된 홈의 하부 에지와 일치하도록, 상기 홈이 형성된 판들은 수평으로 홈 폭의 1/2만큼, 그리고 가능하지만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닌 수직으로 하나의 홈의 깊이 "d"만큼 서로 오프셋되며, 그에 따라 2개의 중첩된 6각형 큐브 코너의 어레이가 생성된다. 하나의 어레이는 후속의 인접한 판의 하나의 홈의 2개의 면과 하나의 판의 노출된 평면이 더해져서 각각 이루어지는 암(female)(오목한) 6각형 큐브 코너로 구성된다. 다른 어레이는 동일한 판상의 인접한 홈들로부터 2개의 인접한 표면과 하나의 판의 노출된 평면이 더해져서 각각 이루어지는 수(male)(볼록한) 6각형 큐브 코너로 구성된다. 결과로서 생성되는 재귀 반사성 물품의 정확도를 좀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 큐브 코너는 임의의 판간의 각도 에러를 피할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order that the upper edge of the groove of one plate coincides with the lower edge of the ruled groove of the adjacent plate, the grooved plates are horizontally one half of the groove width and vertically one groove vertically and possibly but not necessarily Are offset from each other by the depth "d", resulting in an array of two overlapping hexagonal cube corners. One array consists of female (concave) hexagonal cube corners each formed by the addition of two faces of one groove of a subsequent adjacent plate plus an exposed plane of one plate. The other array consists of male (convex) hexagonal cube corners each formed by the addition of two adjacent surfaces and an exposed plane of one plate from adjacent grooves on the same plat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ing retroreflective article, several cube corners are preferred because they can avoid any angular error between plates.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Rectangular microcube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두께 "t"의 판이 미소하게 단축된 스페이서로서 교번하여 적층된다. 상기 판과 스페이서의 조립체는 룰링 기계의 작업대에 평행한 면에 놓여 있는 절삭 가능한 단부의 에지의 일 세트를 갖도록 소정의 바람직한 각으로 기울어진다. 그 후, 각 판의 절삭 가능한 단부는 사면이 상기 규정된 기계의 작업대에 수직이 되도록 절삭 공구에 의해서 사면으로 절삭된다. 그 후, 일련의 바람직한 협각의 홈들이 사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절삭 공구에 의해 절삭된다.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하는 전기 주조 원판(electroform master)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서는 제거되고, 그 후 상기 판은 판의 측면에 수직인 동일한 평면내에 모두 놓이는 직사각형 큐브 코너의 정점을 갖고 상기 홈들에 평행하게 정열된 인접 판내에 큐브의 정점을 갖는 서로에 대해 180°회전된 인접 판과 함께 적층된다.In order to create a pattern of rectangular microcubes, in one embodiment plates of the selected thickness "t" are alternately stacked as a slightly shortened spacer. The assembly of plates and spacers is inclined at any desired angle to have a set of edges of the cuttable end lying on a plane parallel to the workbench of the ruling machine. Thereafter, the cuttable end of each plate is cut into the slope by the cutting tool such that the slope is perpendicular to the workbench of the machine defined above. Thereafter, a series of preferred narrow grooves are cut by the cutting tool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lope. To create an electroform master comprising a rectangular microcube, the spacer is removed, and then the plate has a vertex of a rectangular cube corner that lies all in the same plane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plate and into the grooves. Stacked together with adjacent plates rotated 180 ° relative to each other with the vertices of the cube in adjacent parallel plates.

물품의 제조Manufacture of articles

홈이 형성된 판(6각형 큐브용) 또는 홈이 형성된 사면 판(직사각형 큐브용)의 적층판은 재귀 반사성 물품, 특히 기존의 6각형 혹은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지 않는 재귀 반사성 시트재의 제조에 대한 미국 특허 제4,478,7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더 큰 주형 삽입물 또는 엠보싱(embossing) 벨트를 전기 주조하기 위해 머더링(mothering) 공정을 개시하거나 주형 삽입물을 전기 주조하기 위한 원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3각형 마이크로큐브 대신에 6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 로큐브의 사용은 66% 이하로부터 근본적으로는 100%까지의 주 굴절 광선에 평행하게 투사되는 것처럼 물품의 유효 개구를 유리하게 증가시킨다.Laminated plates of grooved plates (for hexagonal cubes) or grooved bevel plates (for rectangular cubes) are US patents for the production of retroreflective articles, in particular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s that do not have the pattern of existing hex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s. It may be used as a disc for initiating a mothering process or for electroforming a mold insert for electroforming a larger mold insert or embossing belt as disclosed in 4,478,769. The use of a hex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 instead of a triangular microcube advantageously increases the effective opening of the article as if projected in parallel to the principal refractive ray from less than 66% to essentially 100%.

용어의 해설Explanation of terms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특별한 의미로 임의의 용어를 사용하고, 기존의 ASTM의 정의와 같이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실예에 따른 다른 용어도 사용한다. 이러한 다수의 정의는 본 명세서에 각각 정의되어 있는 큐브와 큐브 형상 사이를 구별시킨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cant uses any term in a special sense as defined herein, and also uses other terms according to the examples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the definition of existing ASTM. Many of these definitions distinguish between cubes and cube shapes, which are each defined herein.

인접(Adjacent) --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하나의 큐브 형상의 에지의 일부가 다른 큐브 형상의 에지의 일부와 근본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함.Adjacent-For a microcube, it means that some of the edges of one cube shape essentially coincide with some of the edges of the other cube shape.

입사각 --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한 법선과 조명축 사이의 각. 또한, "엔트런스각(entrance angle)" 참조.Angle of incidence-The angle between the normal to the front of the retroreflective reflector and the illumination axis. See also "entrance angle".

어레이 유효 개구(Array active aperture) -- 어레이를 형성하는 개별 마이크로큐브 소자의 유효 개구의 합. (또한, "유효 개구 백분율" 참조)Array active aperture-The sum of the effective openings of the individual microcube elements that form an array. (See also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접촉 마이크로큐브(Contiguous microcubes) -- 다른 마이크로큐브의 비 2면 각 면 에지와 일치하는 하나의 마이크로큐브의 비 2면각 면 에지. "인접 큐브" 와 비교. 비접촉 마이크로큐브는 인접될 수 있다. 접촉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는 각 마이크로큐브의 비 2면각 면 에지(상기 어레이의 주변의 것은 제외)가 다른 마이크 로큐브의 비 2면각 면 에지와 일치하는 것중 하나이다.Contiguous microcubes-The non-diagonal face edges of one microcube that coincide with the non-faceted face edges of another microcube. Compare with "Nearby Cube". The contactless microcube may be adjacent. The array of contact microcubes is one in which the non-diagonal face edges of each microcube (except the periphery of the array) coincide with the non-diagonal face edges of the other microcube.

큐브 (또는 "큐브 코너" ) -- 표면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3개의 공칭적으로 수직인 면으로 이루어진 소자, 당업계나 문헌에서는 "코너 큐브" , "3면체" 또는 "4면체" 로 통칭됨.Cube (or "cube corner")-an element consisting of three nominally perpendicular faces, regardless of the size or shape of the surface, referred to in the art or literature as "corner cube", "trihedron" or "tetrahedron" Collectively.

큐브 면적 -- 큐브 형상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Cube Area-The area surrounded by the cube geometry.

큐브축 -- 마이크로큐브의 3개의 교차되는 면으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의 3등분인 중앙축. 기술 분야에서는 종종 "대칭축" 으로 칭해진다.Cube Axis-A central axis that is three quarters of the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three intersecting faces of the microcube. It is often called "symmetry axis" in the technical field.

큐브축 경사 -- 큐브축과 주 굴절 광선 사이의 각도. 경사의 부호는 면에 더 평행한 것(이하, 면 평행성이라 칭함)(face-more-parallel)에 대해서는 부(-)이고, 에지에 더 평행한 것(이하, 에지 평행성이라 칭함)(edge-more-parallel)에 대해서는 정(+)이다. 큐브는 큐브축 경사가 0이 아닌 경우 경사진 것으로 간주된다.Cube Axis Slope-The angle between the cube axis and the main refractive beam. The sign of the slope is more parallel to the 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e parallelism) (negative for face-more-parallel) and more parallel to the e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dge parallelism) ( It is positive for edge-more-parallel). The cube is considered to be inclined if the cube axis slope is not zero.

큐브 사선(diagonal) -- 임의의 큐브 코너에 대해, 큐브 사선에 평행한 큐브 코너의 외형의 투사 시에 큐브 형상의 양단부상에서 종결되는 정점을 통하는 모든 선이 상기 정점에 의해 양분되게 하기 위한 각도에서 큐브 코너의 정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다.Cube Diagonal-For any cube corner, at an angle to cause all lines through the vertex that terminate on both ends of the cube shape to be bisected by the vertex in projecting the contour of the cube corner parallel to the cube diagonal.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a vertex of a cube corner.

큐브 주변(perimeter) -- 큐브의 표면의 비2면각 에지를 포함하는 폐쇄된 공간 곡선. 2 이상의 마이크로큐브에 의해 공유되는 연속 표면이 존재하는 경우에, 마이크로큐브들 사이의 분할된 선은 다각형을 완성하도록 작도될 수 있는 최단 선들로 고려된다(도 27B 참조).Perimeter of a cube-A closed spatial curve containing non-diagonal edges of the cube's surface. Where there is a continuous surface shared by two or more microcubes, the divided lines between the microcubes are considered to be the shortest lines that can be constructed to complete the polygon (see FIG. 27B).

큐브 형상 -- 주 굴절 광선의 방향으로 큐브 주변의 투사에 의해 정의된 2차원의 기하학적 도형. 따라서, 3각형 큐브는 삼각형으로 된 큐브 형상을 가지며, 6각형 큐브는 6각형으로 된 큐브 형상을 갖는다.Cube shape-A two-dimensional geometric shape defined by the projection around the cube in the direction of the principal refractive ray. Thus, the triangular cube has a triangular cube shape, and the hexagonal cube has a hexagonal cube shape.

큐브 대칭면 -- 미러 상(images)으로 큐브 코너를 분할하는 면. 모든 큐브 코너들이 대칭면을 갖는 것은 아니다.Cube symmetry plane-A face that divides cube corners into mirror images. Not all cube corners have a plane of symmetry.

디자인 광선 -- 공구내의 큐브 정점을 통하는 가상선이고, 상기 광선은 물품내의 주 굴절 광선과 일치한다.Design Rays-An imaginary line through the cube vertices in the tool, which coincides with the main refractive ray in the article.

2면각 면 에지 -- 단일 큐브의 2면의 교점.Diagonal Face Edge-The intersection of two sides of a single cube.

엔트런스각 -- 조명축과 광축(재귀 반사기 축)사이의 각도. 엔트런스각과 입사각 사이의 구별에 유의하라. 입사각은 항상 (재귀 반사기 축이거나 아닐 수도 있는) 표면에 대한 법선과 입사 광선 사이에서 측정되는 반면에, 엔트런스각은 입사광선과 (표면에 대한 법선이거나 아닐 수도 있는) 재귀 반사기 축사이에서 측정된다. 엔트런스각은 입사 광선이 재귀 반사기 축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상기 법선과는 관련되지 않는 경우의 양으로만 측정되고: 입사각은 입사 광선이 법선에 대해 각을 이루고 상기 재귀 반사기 축과는 관련되지 않는 경우의 양으로만 측정된다. 예들 들어, 포장 도로 표지(pavement marker)가 광축에 대해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표지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계된 경우; 접근하는 차량의 불빛이 재귀 반사기축을 따라 표지상으로 입사된다면, 엔트런스각은 0°가 되고 입사각은 60°가 되며, 접근하는 차량의 불빛이 재귀 반사기 축과 관련하여 20°의 수평각으로 표지상에 입사된다면, 엔트런스각은 20°이고 입사각은 61.98°=[cos-1(cos60)(cos20)].Entrance angle-The angle between the light axis and the optical axis (recursive reflector axis). No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ntrance angle and the angle of incidence. The angle of incidence is always measured between the normal to the surface (which may or may not be the reflex reflector axis) and the incident beam, while the entrance angle is measured between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troreflector axis (which may or may not be normal to the surface). The entrance angle is measured only in the amount that the incident light is angled with respect to the retroreflector axis and is not related to the normal: the angle of incidence is angl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and not related to the retroreflector axis. It is measured only in the amount of cases. For example, when a paver marker is designed perpendicular to the marker surface to make an angle of 60 ° to the optical axis; If the light of the approaching vehicle is incident on the beacon along the retroreflector axis, the entrance angle is 0 ° and the angle of incidence is 60 °, and the light of the approaching vehicle is at a horizontal angle of 20 ° relative to the retroreflector axis. If incident on the phase, the entrance angle is 20 ° and the angle of incidence is 61.98 ° = [cos -1 (cos60) (cos20)].

"면 평행성" 과 "에지 평행성" 은 주 굴절 광선과 관련된 큐브의 위치 설정에 관한 것이다. 큐브 표면과 주 굴절 광선 사이의 각도가 35.26°와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큐브는 35.26°와 가장 상이한 주 굴절 광선에 대하여 면 각도가 각각 35.26°이상 혹은 이하인지의 여부에 의존하여 "면에 더 평행" 하거나 "에지에 더 평행" 하다. 주 굴절 광선이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시트재 또는 다른 재귀 반사기인 경우, 면 평행성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선택된 큐브면은 또한 경사지지 않은 마이크로큐브의 어떤 면보다도 상기 반사기의 전면에 더 평행하게 될 것이다."Plane parallelism" and "edge parallelism" relate to the positioning of the cube in relation to the principal refractive ray. If the angle between the cube surface and the main refractive beam does not coincide with 35.26 °, the cube depends on whether the plan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35.26 ° or less for 35.26 ° and the most different main refractive beam, respectively. More parallel to "or" more parallel to edge ". If the main refracting ray is a sheet material or other retroreflector that is typically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retroreflector, for the face parallelism microcube, the cube face selected is also more in front of the reflector than any face of the non-inclined microcube. Will be parallel.

수평 엔트런스 각도 -- 포장 도로 표지에 대해서, 입사광의 방향과 재귀 반사기 축 사이의 수평 평면에서의 각도.Horizontal Entrance Angle-For pavement markings, the angle in the horizontal plane between the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nd the reflex reflector axis.

마이크로큐브(또는 "마이크로큐브 코너" ) --약 0.0016 제곱 인치(1㎟)의 최대 면적을 갖는 큐브 코너.Microcube (or “microcube corner”) — cube corner with a maximum area of about 0.0016 square inches (1 mm 2).

비 2면각 면 에지(non-dihedral face-edge) -- 2면각 면 에지가 아닌 마이크로큐브 면의 에지, 즉 큐브 주변의 세그먼트인 에지.Non-dihedral face-edge-An edge of a microcube face that is not a dihedral face-edge, that is, an edge that is a segment around a cube.

광학 축 -- 재귀 반사기가 위에 설치될 또는 그와 관련하여 설치될 도로의 방향과 같은 의도된 조명 방향 중에서 중심으로 선택되는 재귀 반사기 중앙으로부터의 지정 라인 세그먼트.Optical axis-a designated line segment from the center of the retroreflective reflector selected from the center of the intended illumination direction, such as the direc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retroreflective is to be mounted above or in relation to it.

쌍을 이루는(paired) -- 반대로 배향됨.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쌍을 이루는 큐브는 반대로 배향된 인접 큐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쌍을 이루는 어레이는 다른 큐브에 반대로 배향되는 한 어레이 내의 큐브들을 지칭한다.Paired-oriented oppositely. Paired cubes as used herein refers to adjacent cubes oriented oppositely. In addition, the paired array as used herein refers to cubes in one array that are oriented opposite to the other cube.

유효 개구 백분율(percent active aperture) -- 돌출부의 특정 선택 방향에 대해 재귀 반사적으로 기능하는 어레이의 돌출 영역의 일부분(이 정의는 큐브의 후면이 100% 반사율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정의는 WO 95/11470의 6페이지 23-25 라인에 사용된 정의와 동일하다.)Percent Active Aperture-The portion of the protruding area of the array that functions recursively for a specific select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this definition assumes that the back side of the cube has 100% reflectivity. / Same as the definition used for lines 11 to 25 of pages 11 to 11470.)

주 입사 광선 -- 물품 전면에서의 반사 후 광선이 큐브 코너의 정점을 통과하도록 선택된 광학 축에 평행한 광선.Primary incident beam-A beam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selected so that the beam after reflection at the front of the article passes through the vertex of the cube corner.

주 반사 광선 -- 재귀 반사기 전면에서의 반사 후 주 입사 광선의 연장선.Primary reflected beam-An extension of the main incident beam after reflection from the front of the retroreflective reflector.

재귀 반사율 -- 유효 개구 백분율과 각 큐브 면의 반사율과 전면의 투과량의 제곱(프레즈널 투과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과의 곱(이 용어는 전면의 프레즈널 손실의 "재귀 반사율" 을 포함함으로써 WO95/11467 의 17페이지 26 및 27라인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체 광 복귀" 와는 상이하다). 재귀 반사율은 적합하게 작은 모든 관측 각도와 모든 회전 각도에 걸쳐 축적된 전체 재귀 반사의 측정치이다.Recursive reflectance-product of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and the reflectance of each cube face and the square of the transmittance of the front face (to offset the Fresnel loss), which includes the term "recursive reflectance" of the front face loss. / "Total67 return" as defined in lines 17 and 26, page 27 of 11467). Retroreflectivity is a measure of the total retroreflective accumulation over all suitably small observation angles and all rotation angles.

재귀 반사기 축 -- "광학 축" 과 동일Recursive reflector axis-same as "optical axis"

룰링 가능 -- 공통 평면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 성형 공구의 반복적인 직선운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Ruleable-can be generated by repeated linear movements of the forming tool along a path parallel to the common plane.

재귀 반사의 존 -- 재귀 반사기가 소정의 최소 재귀 반사율을 유지하는 소정엔트런스 평면에서의 엔트런스각의 범위Zone of Retroreflective-Range of entrance angles in a given plane of plane where the retroreflective reflector maintains a predetermined minimum retroreflectivity

마이크로큐브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판의 단부를 특정한 형태로 룰링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들 판을 특정하게 조합하여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레이" 는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한 기하학적인 소자의 반복 패턴을 의미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바람직한 성능 특징을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이 상이한 어레이를 합성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물품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각각의 상이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러한 물품은 본 발명의 어레이와 종래 기술의 기계 가공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어레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어레이들을 단일의 물품으로 조합하는 수단은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어레이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재귀 반사성 물품은 본 발명의 응용 범위에 포함된다고 간주된다. 상이한 어레이들이 조합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명세서와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어레이 또는 어레이의 일부와 관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orming a microcube may utilize the principle of ruling the end of any plate in a particular form, and these plates may be specifically combined to form an array of microcubes. As used herein, "array" means a repeating pattern of geometric elements, including microcub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desirab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made by synthesizing different arrays. For example, such articles may comprise different arrays of each made by one or more techniques of this invention, or such articles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the array of the invention and an array made by prior art machining methods. have. Means for combining different arrays into a single article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one or more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ultiple arrays and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ll cases where different arrays are combin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relate to the array or portion of an array made by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논의되는 다양한 예들은 이 기술에 있어서 가장 간단한 형태로의 진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개선된 재귀 반사기의 성능이 마이크로큐브에서 채택되었던 것과 동일한 광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큐브에서 달성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The various examples discussed below represent the simplest form of advancement in this technology, and provid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retroreflector can be achieved in the microcube using the same optical principles that have been adopted in the microcube. It is starting.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상이한 형태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해 다소 상이한 판의 사용을 필요로한다. 이 판의 두께는 약 0.004 - 0.040 인치(0.1 - 1.00 mm)의 미세 크기이다. 판에는 4개의 기본적인 형태가 있다. 직사각형 큐브 면을 갖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공구링에 적당한 판(10)는 평평하고 평행한 면들을 가지며, 판의 한 면만이 큐브의 면이 되기 때문에 연마된 표면을 가져야 한다. 직사각형 및 3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세공에 적당한 판(110, 210)는 평평하고 평행한 면들을 가지며, 판의 어느 표면도 마이크로큐브의 면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의 5각형 마이크로큐브를 룰링하기에 적당한 판(710,810)는 하나의 평평한 면과 하나의 홈이 형성된 면을 가지며, 어느 면도 마이크로큐브의 면이 되지는 않는다. 도 35의 5각형 면을 갖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를 세공하고 한 판에 대해 5각형 마이크로큐브의 2개의 열을 절삭하는데 적당한 판은 양측에 홈이 형성되며, 홈의 간격과 홈의 각은 양측에 대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 the use of somewhat different plates for different types of microcubes. The thickness of this plate is about 0.004-0.040 inch (0.1-1.00 mm) fine size. The plate has four basic forms. The plate 10 suitable for the tooling of a hexagonal microcube with a rectangular cube face has flat and parallel faces and should have a polished surface because only one side of the plate becomes the face of the cube. Plates 110 and 210 suitable for the fine pores of rectangular and triangular microcubes have flat and parallel faces, and preferably no surface of the plate is the face of the microcube. The plates 710 and 810 suitable for ruling the pentagonal microcube of FIG. 36 have one flat side and one grooved side and do not become the face of any shaved microcube. A plate suitable for drilling a hexagonal microcube having a pentagonal face of FIG. 35 and cutting two rows of the pentagonal microcube with respect to one plate has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gap between the grooves and the angle of th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for each other.

판 제조 방법Plate manufacturing method

판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와 같은 것에 의해 룰링될 때 깨끗하게 절삭되는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무전해 니켈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룰링 가능한 판용으로 특히 적당하다.The plate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cleanly cut when ruled by something such as a diamond cutting tool as is known in the art. Electroless nickel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ruleable plates used 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상기 기술된 판과 상이할 수 있지만, 판의 제조 방법은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제조에 사용된 판(10)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설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증을 위해, 판(10)는 약 1.0"×4.0" 의 치수와 약 0.01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different from the plate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making the plate is generally described by the method of forming the plate 10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hexagonal microcube. For illustration purposes, the plate 10 may have dimensions of about 1.0 "x 4.0" and a thickness of about 0.010 ".

도 1에 있어서, 약 1.0"×4.0" 의 평평한 상단면(602)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철 블록(601)이 제공된다. 이 블록(601)은 등급이 440C 인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블록(601)의 표면(602)은 연삭 및 연마된다. 2개의 0.75"×4.0" 측면에 언더컷을 기계가공한다. 이 2개의 측면은 연마된 표면(602)에서 0으로부터 0.005"까지 테이퍼링되고, 깊이는 연마된 표면(602)으로부터 아래로 0.250"가 된다. 블록(601)은 예컨대, 30%의 질산에 10초간 침전시킴으로써 표면 안정화(passivate)되고,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블록의 연마된 상단면(602)에 무전해 니켈(604)을, 바람직한 두께인 약 0.002" 에 더하여, 이 실시예에서 블록 상면의 전체 두께는 0.012" 로 하고 블록의 측면 아래로는 대략 0.25" 두께로 증착시킨다.In FIG. 1, a stainless steel block 601 is provided having a flat top surface 602 of about 1.0 "x 4.0". This block 601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f grade 440C. Surface 602 of block 601 is ground and polished. The undercut is machined into two 0.75 "x 4.0" sides. These two sides are tapered from 0 to 0.005 "on the polished surface 602 and the depth is 0.250" down from the polished surface 602. Block 601 is surface stabilized, for example, by precipitation in 30% nitric acid for 10 seconds, and electroless nickel 604 is preferred to the polished top surface 602 of the stainless block, as shown in FIG. 2A. In addition to the thickness of about 0.002 ", in this embodimen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op surface of the block is 0.012 " and the deposition is approximately 0.25 " below the side of the block.

무전해 니켈(604)의 1.0"×4.0" 표면(609)은 다이아몬드 공구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두께, 이 실시예에서는 0.010" 로 기계 가공한다. 무전해 니켈을 도 2B의 605 위치에서 언더컷(undercut)의 상부에서 스테인레스까지 절삭하기 위해 블록의 측면이 다이아몬드 공구를 이용하여 도 2B의 605 위치에서 가공되며, 도 2C의 무전해 니켈 판(606)를 스테인레스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도록 0.010" 두께로 자유롭게 한다. 언더컷에 있는 무전해 니켈의 도 2C에 있는 느슨한 웨지(607)를 뽑아냄으로써 블록에 있는 언더컷을 제거한다. 필요한 만큼의 판(606)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어지는 단계에 있어서, 판(606)는 6각형, 단일 직사각형 또는 이중직사각형의 마이크로큐브 각각의 세공 시에 10, 110 또는 210으로 확인될 수 있다.The 1.0 "x 4.0" surface 609 of the electroless nickel 604 is machined with a diamond tool to the desired thickness, 0.010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less nickel is undercut at position 605 in Figure 2B. The side of the block is machined at position 605 in FIG. 2B using a diamond tool to cut from the top to the stainless, and frees the electroless nickel plate 606 of FIG. 2C to a thickness of 0.010 "to separate from the stainless block. The undercut in the block is removed by pulling the loose wedge 607 in FIG. 2C of electroless nickel in the undercut. The process for forming as many plates 606 as necessary is repeated. In a subsequent step, the plate 606 may be identified as 10, 110 or 210 in the pore of each of the hexagonal, single rectangular or bi-rectangular microcube.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세공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블록의 연마된 표면에 접촉한 무전해 니켈 판(606)의 표면(도 2C)의 일부는 큐브 코너의 일면이 될 것이다. 또 무전해 니켈의 대략 1.0"×4.0" 치수를 갖는 표면(609)은 다이아몬드 공구를 이용하여 판의 크기를 가공하는 단계 동안 광학 다듬질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테인레스 강철 블록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세공에 대해, 판의 어느 표면도 마이크로큐브의 면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주조를 행하기 전에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In the pores of the hexagonal microcube, a portion of the surface (FIG. 2C) of the electroless nickel plate 606 in contact with the polished surface of the stainless block will be one side of the cube corner. A surface 609 having dimensions of approximately 1.0 "x 4.0" of electroless nickel may also be provided for optical finishing during the step of machining the size of the plate using a diamond tool, in which case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block is polished. It will be unnecessary. For the pores of the rectangular microcube, since neither surface of the plate is the surface of the microcube, it will be unnecessary to polish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block before electroforming.

6각형 마이크로큐브 제조 방법Hexagonal microcube manufacturing metho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10)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판은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에 의해 절삭 가능한 단부를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단부(12)를 갖는다. 판(10)은 서로 합쳐져서, 평면내에 적어도 한 세트의 단부(12)가 놓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3개의 판은 명확히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3개 이상의 판이 단일 스택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부(12) 세트에는 일련의 V자 홈(14)이 룰링된다. 도 4는 동일한 판(10)의 스택을 나타내지만, V자 홈(14)이 직선 단부(12)에 룰링된 것이다. 홈(14)은 서로 평행하고, 판(10)의 스택의 전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V자 홈은 거의 90°인 협각을 가지며, 각각의 홈은 2개의 상단 에지나 마루(20) 및 바닥 에지나 골(21)로 형성된다. 최적의 효율성을 위해, 홈(14)은 서로 이격되고, 인접한 홈의 상단 에지(20)에 의해서만 분리되어, 홈(14)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이 없다.As shown in FIG. 3, the plate 10 is preferably flat, with each plate having at least one flat end 12 having an end that can be cut by a diamond cutting tool. The plates 10 are joined together so that at least one set of ends 12 lies in the plan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three plates shown in FIG. 3 are for clarity and that three or more plates may be included in a single stack. A set of V-grooves 14 are ruled in the end 12 set. 4 shows a stack of identical plates 10, with the V-shaped grooves 14 being ruled at the straight ends 12. The grooves 14 are preferab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ack of plates 10. The V-shaped grooves have a narrow angle of approximately 90 °, each groove being formed of two top edges or ridges 20 and a bottom edge or valley 21. For optimal efficiency, the grooves 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eparated only by the upper edge 20 of adjacent grooves, so that there is no substantially flat surface between the grooves 14.

도 7A 및 7B 는 홈을 룰링하기 위한 절삭 공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서 C 는 공구의 전면에 대해 직각인 절삭 에지 사이의 각이다, 각 C 는 도 9에서 요구되는 협각인 C+ΔC 보다 작게 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홈의 각의 미세한 조절이 도 8B의 비교적 큰 양으로 공구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e" 는 절삭 공구의 면이 절삭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부터 다음 등식과 같이 경사진 각이다.7A and 7B are front and side views showing a part of a cutting tool for rubbing a groove. Where C is the angle between the cutting edges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tool, the angle C may be chosen to be smaller than the narrow angle C + ΔC required in FIG. 9 so that the fin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groove is relatively large in FIG. 8B. It can be made by tilting the tool in positive amounts. "E" is an angle in which the plane of the cutting tool is inclined from the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cutting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도 8A는 도 8B의 "e" 만큼 경사진 절삭 공구의 전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여기서 C+ΔC 는 절삭의 방향에 대해 평행인 절삭 에지 사이의 각이다. 도 9는 절삭 홈에서 변화된 각 C+ΔC를 나타낸다.FIG. 8A shows a portion of the front face of a cutting tool inclined by "e" in FIG. 8B, where C + ΔC is the angle between cutting edge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cutting. 9 shows each C + ΔC changed in the cutting groove.

6각형 재귀 반사성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홈이 형성된 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판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인접한 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폭의 1/2인 거리 "a" 만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또, 인접한 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깊이인 거리 "d" 만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판이 서로 오프셋된 방식은 도 6B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교차하는 판들은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서로 다르게 음영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를 통해 "수직" 이라는 표현은 단일 판의 홈의 골 평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말하며, "수평" 이라는 표현은 판의 평면 그리고 수직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말한다.To form the pattern of the hexagonal retroreflective microcube, the grooved plate 10 may be offset from another plate as shown in FIG. 5. Adjacent plat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distance " a " that is 1/2 of the width of the groov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djacent plates are off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distance "d", which is the depth of the groove, as shown in FIG. The manner in which the plat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is shown in Figure 6B, where the intersecting plates are shaded differently for clarity. The expression "vertical"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ley plane of the groove of the single plate, and the expression "horizontal" refers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the vertical of the plate.

이러한 방식으로 판을 오프셋하여, "수" 마이크로큐브는 상단 에지(20)에서 접하는 인접한 홈들의 경사진 벽에 의해 형성되어 마이크로큐브의 2개의 표면(17, 18)을 형성하고, 동일 판의 전면이 마이크로큐브의 제3 표면(19)을 형성하게 된다. 도 6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 수 큐브(도트로 표시됨)의 3개의 표면(17, 18, 19)은 단일 판(10)상에 형성된다. "암" 마이크로큐브는 하나의 판에서의 홈의 2개의 면과 인접한 판의 전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 마이크로큐브의 이점은 각 마이크로큐브의 면들 사이의 각도의 정확성이 홈의 룰링 동작의 정확성에만 관련되고, "원판" 의 형태로 스택되고 조립된 판의 정확성에는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택되고 조립된 판의 "원판" 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공구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 주조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By offsetting the plate in this manner, the "male" microcube is formed by the inclined walls of adjacent grooves abutting at the top edge 20 to form two surfaces 17, 18 of the microcube and the front of the same plate. The third surface 19 of the microcube is formed. As can be seen in FIG. 6A, three surfaces 17, 18, 19 of a single number cube (indicated by dots) are formed on a single plate 10. The "female" microcube may be formed by the two sides of the groove in one plate and the front of the adjacent plate. The advantage of several microcubes is that the accuracy of the angle between the faces of each microcube is only related to the accuracy of the ruling motion of the grooves and not to the accuracy of the plates stacked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originals". The “original” of the stacked and assembled plate will be subjected to an electroforming process for forming the tool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큐브 코너의 6각형 외형과 큐브 면의 4변형 외형은 모두 도 5와 도 6A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6각형 큐브 코너가 상기 언급된 미국 특허 제4,478,769호의 도 1A의 예에 도시된 3각형 큐브 코너의 경우에서와 같이, 룰링된 원판의 표면 전체를 따라 연장하는 연속적인 직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도 5와 도 6A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6각형 마이크로큐브 코너만을 구비하는 공구는 상기 미국 특허 제4,478,769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3 세트의 평행한 홈들을 룰링함으로써 가공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Both the hexagonal contour of the cube corner and the quadrilateral contour of the cube face produc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are clearly shown in FIGS. 5 and 6A. In particular, the hexagonal cube corners are not formed by continuous straight lines extending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ruled disc, as in the case of the triangular cube corner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A of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4,478,769. Not clearly shown in FIGS. 5 and 6A. Thus, it is clear that a tool having only hexagonal microcube corners cannot be machined by ruling three sets of parallel grooves as described in US Pat. No. 4,478,769.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홈의 측면 길이(도 4및 6B의 "L" )와 판의 두께(도 3 및 도 6의 "t" )는 동일하며, 룰링 방향은 판(10)의 표면에 대해 직각이다. 이 실시예에 대해, 큐브 축은 큐브 축들의 평면에 대해 직각이며, 도 6의 각 X는 통상 35.26°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S. 5 and 6, the side lengths of the grooves (“L” in FIGS. 4 and 6B)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s (“t” in FIGS. 3 and 6) are the same, and the ruling direction is the plate 10.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or this embodiment, the cube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cube axes and the angle X in FIG. 6 is typically 35.26 °.

상기 실시예에서 모든 큐브 2면각과 모든 큐브 면은 동일하지만, 일부 응용을 위한 큐브 코너의 재귀 반사기는 각 큐브 면의 큐브 각과 상대적인 크기 및 형태에 대하여 소정의 변형을 행함으로써 재귀 반사성 물품의 다양한 광학 특성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판의 두께 "t" 는 홈의 측면의 길이 "L" 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하나의 홈의 마루는 인접한 판에 있는 홈의 골과 부합할 필요가 없고, 룰링 방향은 판(10)의 표면에 대해 반드시 직각일 필요는 없다.In this embodiment all cube dihedral angles and all cube faces are the same, but for some applications the cube corner recursive reflector makes a variety of optics of the retroreflective article by making certain modifications to the cube angle and relative size and shape of each cube fac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is desirable to have the property changed. These modifications can be achieved 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for example, the thickness "t" of the plat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equal to the length "L" of the side of the groove, and the floor of one groove does not have to match the valley of the groove in the adjacent plate, and the ruling direction is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plate 10.

예를 들어, 주 입사 광선의 다양한 각도는 판의 두께에 대한 홈의 깊이를 변화시키거나(도 10), 또는 단일 홈의 2개의 측면 길이가 동일하지 않도록 2등분을 경사지게 하거나(도시 생략), 또는 인접한 판의 오프셋을 변화시킴으로써(도 12)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엔트런스 각정도(角精度)는 큐브 축을 면에 더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하여 큐브 대칭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한 평면(도 41 및 43)에서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 면이나 에지에 더 평행한 좌우 경사 중 어느 한 경사와 서로 상반되게 배향된 쌍을 이용하여 큐브 대칭 평면에 수직하고 평행한 평면(도 42)에서 증가시킬 수 있고, 또는 상반되게 배향된 쌍과 면에 더 평행한 좌우 경사를 결합하여 대칭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수직한 다중 평면(도 43 및 45) 중 어느 한 평면에서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재귀 반사된 빔의 발산(즉, 관측 각정도)은 도 11에서 과장된 각도 "b" 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전방 표면에 대한 법선 및 절삭 경로 사이의 작은 각도와 동일한 절삭 공구의 경로를 판의 면에 대하여 법선의 각도가 되게 하거나 그리고, 홈의 각도를 90°보다 다소 크거나 작게함으로써 한 평면 또는 다중 평면 내에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에서, 각도 "b" 는 수직 평면에 놓여 있지만, 다른 판의 이동에 의해, 판의 면에 대하여 절삭 경로 및 법선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에 놓여지게 할 수 있다. 도 11A는 하나의 판 내의 홈의 마루가 인접한 판 내의 홈의 골과 정합되도록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판이 서로 오프셋된 방식은 도 11B에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교차의 판은 서로 구분되도록 음영 처리되어 있다. 또한, 도 11B는, 시야가 면(19)에 수직이라할지라도 과장된 절삭 각도에 기인하여 면(17, 18)이 보이게끔 나타내었다.For example, the various angles of the main incident light may vary the depth of the groov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FIG. 10), or incline the bisection so that two side lengths of a single groove are not equal (not shown), Or by varying the offset of adjacent plates (FIG. 12). In other embodiments, the entrance angle can be increased in a plane (Figs. 41 and 43)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cube by tilting the cube axis more parallel to the plane, and further increasing the plane or edge. A pair orient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any of the parallel left and right slopes can be used to increas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and parallel to the cube symmetry plane (FIG. 42), or more parallel to the oppositely oriented pair and plane. The slopes can be combined to increase in either plane,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FIGS. 43 and 45). In another embodiment, the divergence (ie, viewing angle) of the retroreflected beam is cut equal to the small angle between the normal and the cutting path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as shown by the exaggerated angle "b" in FIG. The path of the tool can be increased in one or multiple planes by making the angle of the normal to the face of the plate and by making the groove angle somewhat larger or smaller than 90 °. In FIG. 11, the angle “b” lies in the vertical plane, but by movement of another plate, it can be placed in any plane including the cutting path and the normal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plate. 11A shows that the ridges of the grooves in one plate are offset to match the valleys of the grooves in adjacent plates. The manner in which the plat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is shown in FIG. 11B, where the plates of intersection are shaded to distinguish from each other. 11B also shows the faces 17 and 18 to be visible due to the exaggerated cutting angle even if the field of view is perpendicular to the face 19.

당업자는 입사 각정도, 엔트런스 각정도 및 관측 각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소정의 특성이 결합된 재귀 반사기의 성능을 갖는 어레이를 생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ich can control the angle of incidence, the angle of incidence, and the angle of observation,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Can be combined to create an array with

3개의 구조적 변수는 6각형형 큐브 코너의 어레이를 생성하는 동일하게 홈이 파인 규칙적 판 조립체의 입사 각정도를 결정한다. 이 때, 판의 두께는 t, 홈의 깊이는 d 및 판의 편차는 s이다(도 12C 및 도12D 참조). 편차는 하나의 홈이 파인 판의 마루와 이 다음 인접 판의 골 사이의 거리이다. 도 6의 조립체의 경우, 편차 S는 0이고, 도 12의 조립체의 경우, 편차 S는 거의 0이다. 상기 엔트런스 면은 큐브 코너의 대칭면에 평행한 것으로 가정한다.Three structural variables determin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equally slotted regular plate assembly that produces an array of hexagonal cube corners.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plate is t, the depth of the groove is d and the deviation of the plate is s (see Figs. 12C and 12D). The deviation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idge of one grooved plate and the valley of the next adjacent plate. For the assembly of FIG. 6 the deviation S is zero and for the assembly of FIG. 12 the deviation S is nearly zero. The entrance face is assumed to be parallel to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cube corner.

입사각 I에서 물품의 전면 상의 빛의 입사는 다음의 관계식을 갖는 경우에, 100% 기하학적 유효도(즉, 유효 개구 백분율은 100%이다)로 재귀 반사될 것이다.The incidence of light on the front face of the article at the angle of incidence I will be retroreflected to 100% geometrical effectiveness (ie,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is 100%), with the following relationship:

I'는 물품의 전방 표면에 의한 굴절 후의 입사 각도로서, I'=sin-1(sinI/n)이며, 여기서 n은 물질의 굴절율이다. 오목(hollow) 형태의 재귀 반사기의 경우 I'=I이다. I와 I'는 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중의 하나이다. 즉, I와 I'의 부 및 정의 값은 각각 도 12C와 12D에 도시되어 있다. 큐브 크기는 무시될 수 있기 때문에, 치수 d와 s는 t에 관계되었다.I 'is the angle of incidence after refraction by the front surface of the article, where I' = sin -1 (sinI / n), w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I '= I for a hollow retroreflector. I and I 'are either negative or positive. That is, the negative and positive values of I and I 'are shown in Figures 12C and 12D, respectively. Since the cube size can be ignored, the dimensions d and s are related to t.

-90°에서 +90°까지의 I의 각 값의 경우, t, d 및 s를 이용한 식 E에서 그 결과치를 얻을 수 있다. 슬립 s/t의 작은 값의 경우, 식 E는 각 입사 각도에 대하여 판 두께에 대한 홈 깊이의 단일비인 d/t 양을 확인시켜 준다. 예를 들어, 표 B는 슬립이 없는 즉, s/t=0 일 때와 굴절율이 1.49 일 때의 결과치를 나타낸다.For each value of I from -90 ° to + 90 °, the result can be obtained from equation E using t, d and s. For small values of slip s / t, equation E identifies the amount of d / t, the single ratio of groove depth to plate thickness, for each angle of incidence. For example, Table B shows the results when there is no slip, i.e., s / t = 0 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1.49.

[표 B]TABLE B

슬립 s/t가 큰 값인 경우, I의 큰 값에 대해서만 식 E에 대한 결과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표 C는 s/t=.75 일 때 및 굴절율은 1.49 일 때의 예를 나타낸다.If the slip s / t is a large value, there is a result for equation E only for a large value of I. For example, Table C shows an example when s / t = .75 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1.49.

[표 C]TABLE C

만일, 제조된 판의 세트에 대한 예인 경우에 d/t의 비가 고정된다면, s/t의 포지티브 값으로 식 E를 풀 수 있는 입사 각도의 범위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D는 d/t=.707 및 굴절율 1.49에 대하여 전개된 것이다.If the ratio of d / t is fixed in the case of an example for a set of manufactured plates, there may be a range of angles of incidence from which equation E can be solved with a positive value of s / t. For example, Table D is developed for d / t = .707 and a refractive index of 1.49.

[표 D]TABLE D

표 B와 표 D 모두에 나타난 d/t=.707 및 s/t=0의 결과치는, 하나의 판 내의 홈의 마루가 인접한 판의 홈의 골과 정합되는 한편 슬립이 없도록 L은 t와 동일하고, 인접한 판이 도 6과 같이 홈 깊이 d만큼의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응한다.The result of d / t = .707 and s / t = 0 shown in both Table B and Table D, L is equal to t so that the floor of the groove in one plate is matched with the valley of the groove of the adjacent plate while there is no slip. And the adjacent plate is off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groove depth d as shown in FIG. 6.

표 B에 나타난 d/t=1.423 및 s/t=0의 결과치는 L이 대략 2배의 판 두께로 증가된 도 10의 실시예와 대응한다. 도 10A는 큐브 사선(diagonal)(60°의 입사 각도I에 대응하는 큐브 정점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35.54°)에 평행한 도 10의 어레이의 돌출(projection)을 나타낸다. 도 10A와 같이, 수직에 대하여 35.54°에서 볼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큐브의 개구 유효도는 100%이다. 도 10B는 큐브 정점의 평면에 수직한 도 10의 마이크로큐브의 돌출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각도에서 개구 유효도는 낮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C는 판의 측면에 수직한 돌출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교차의 판은 구분을 위해 음영 처리 되어 있다.The results of d / t = 1.423 and s / t = 0 shown in Table B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FIG. 10 where L is increased to approximately twice the plate thickness. FIG. 10A shows the projection of the array of FIG. 10 parallel to the cube diagonal (approximately 35.54 °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cube vertex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I of 60 °). As can be seen at 35.54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s in FIG. 10A, the opening effectiveness of the microcube is 100%. FIG. 10B shows the protrusion of the microcube of FIG. 10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cube vertex, showing that the opening effectiveness at this angle is low. Figure 10C shows the proj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plate, where the plate of the intersection is shaded for distinction.

표 D에 나타난 d/t=0.707 및 s/t=0.932의 결과치는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응하며, 이 경우 유효 개구는 도 12A와 같은 60°입사 각도에서 100%이다. 도 12B는 판의 측면에 수직한 도 12의 돌출로서, 교차 판은 구분을 위해 음영 처리되어 있다.The results of d / t = 0.707 and s / t = 0.932 shown in Table D correspon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2, in which case the effective opening is 100% at the 60 ° incidence angle as shown in FIG. 12A. 12B is the protrusion of FIG. 12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plate, with the cross plates shaded for discrimination.

표 C에 나타난 d/t=0.352 및 s/t=0.75의 결과는 도 45의 가장 상단에 도시한 성능을 갖는 실시예에 거의 대응한다. 표 C는 이러한 곡선이 20°의 입사 각도 I에서 100% 유효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이러한 곡선이 도 45의 예에서와 같이, 한쌍의 어레이일 경우, 다음에 하나의 큐브 어레이가 I=20°에서 광을 수신할 때에 다른 어레이는 I=-20°에서 광을 수신하고, 이러한 입사 각도에 기인하여 큐브 어레이는 낮은 유효 개구 백분율을 갖게 된다. 2개의 큐브 어레이의 상승 및 하강 유효도는 -20°부터 20°까지의 엔트런스 각도 값에 대하여 평탄한 도 45의 성능 곡선을 생성하도록 부가된다.The results of d / t = 0.352 and s / t = 0.75 shown in Table C almost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with the performance shown at the top of FIG. Table C shows that this curve has 100% effectiveness at an angle of incidence I of 20 °. If this curve is a pair of arrays, as in the example of FIG. 45, the next time one cube array receives light at I = 20 °, the other array receives light at I = -20 °, Due to this angle of incidence, the cube array has a low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The rise and fall effectiveness of the two cube arrays is added to produce the performance curve of FIG. 45 that is flat for entrance angle values from -20 ° to 20 °.

d/t 및 s/t가 임의의 값 I'에 대하여 식 E를 풀 때에 6각형 큐브는 단지 하나의 내부 입사 각도에 대해서만 100% 개구 유효도를 달성한다. 굴절율에 따라서, 개구 유효도는 하나의 외부 입사 각도 I에 대응한다. 모든 기타의 입사 각도에 대한 6각형 큐브의 유효 개구 백분율, 즉 일반적으로 재귀 반사도는 추가의 계산을 필요로한다. -90°부터 +90°까지의 입사 각도 대비 유효 개구 백분율 및 역반사도의 그래프는 9개의 상이한 쌍을 이루지 않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 어레이에 대하여 각각 도 38과 도 39에 도시되어 있다. 각 마이크로큐브는 식 E에 따라서 n=1.49, s/t=0 및 선택된 d/t를 가지게 되어 -80°내지 +80°사이의 한 입사 각도에서 20°로 증분하는 100%의 유효 개구 백분율이 된다.When d / t and s / t solve equation E for any value I ', the hexagonal cube achieves 100% aperture effectiveness only for one internal angle of incidence. Depending on the refractive index, the aperture effectiveness corresponds to one external incident angle I.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of the hexagonal cube, ie, the retroreflectivity in general, for all other incident angles requires further calculation. Graphs of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and retroreflectivity versus incident angle from −90 ° to + 90 ° are shown in FIGS. 38 and 39, respectively, for nine different unpaired hexagonal microcube arrays. Each microcube will have n = 1.49, s / t = 0 and selected d / t according to equation E, resulting in a 100%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incremented by 20 ° at an angle of incidence between -80 ° and + 80 °. do.

-90°부터 +90°까지의 입사 각도 대비 재귀 반사도의 그래프는 d/t=0.707 및 s/t=0을 갖는 비쌍의 6각형 마이크로큐브 어레이 및 5개의 상이한 재귀 반사 지수에 대하여 도 37에 도시되어 있다. 도 37은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으로서, 재귀 반사도의 임의의 분석은 이용된 물질의 굴절율을 포함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 graph of retroreflectivity versus incident angle from −90 ° to + 90 ° is shown in FIG. 37 for an unpaired hexagonal microcube array with d / t = 0.707 and s / t = 0 and five different retroreflective indexes. It is. 37 is well known in the art, indicating that any analysis of retroreflectivity should includ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used.

슬립이 제로가 아닌 경우, 큐브 코너는 엄격히 말해 더 이상 6각형이 아니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큐브 소자에 의해 공유된 연속 면이 있는 경우, 소자 사이의 분할 라인(dividing line)은 다각형을 완성하도록 묘화될 수 있는 최단 이미지 라인(도 12A의 15)이 되도록 고려되어야만 한다. 공유 또는 연속적인 면은 배향 및 엔트런스 각도에서 광학적으로 이로우며, 그 각도에서 하나의 6각형 내의 연속적인 면을 가장 먼저 반사하는 광선은 그 다음의 2개의 반사가 인접한 6각형에서 재치 반사가 될 수 있게 한다.If the slip is not zero, the cube corner is strictly no longer hexagonal. If there are continuous faces shared by two or more adjacent cube elements, the dividing lines between the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shortest image line (15 in FIG. 12A) that can be drawn to complete the polygon. . Covalent or continuous planes are optically beneficial at orientation and entrance angles, where the ray that first reflects the continuous planes within one hexagon at that angle will be the second reflection and wit reflection in the adjacent hexagon. To be able.

슬립은 광학적 설계에 있어 유용한 변수이다. 예를 들면, 표 C와 표 D의 결과치는 선택된 입사 각도에서 100% 기하학적 유효도를 보장하는 한편 상이한 체적, 상이한 회절 개구, 상이한 스폿 "가중치" 및 상이한 큐브 축 좌우 경사를 갖는 상이한 모양의 6각형 큐브를 수반한다.Slip is a useful parameter in optical design. For example, the results in Tables C and D ensure 100% geometric effectiveness at selected angles of incidence while hexagons of different shapes with different volumes, different diffraction openings, different spot "weights" and different cube axis left and right tilts. It involves a cube.

어레이의 전면에 대하여 측정된 큐브 축 좌우 경사는 이하의 식에 따라 단순히 (s+d)/t에 의존한다.The cube axis left and right slope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of the array simply depend on (s + d) / t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식 E로부터 홈이 파인 판으로 조립된 6각형 큐브 어레이가 0° 입사 각도에서 100%의 유효 개구 백분율을 갖는다면, d, s 및 t는 아래의 식을 만족해야만 한다.If the hexagonal cube array assembled from the slotted plate from equation E has an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of 100% at 0 ° incidence angle, d, s and t must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이 식으로부터 다음의 식이 수행된다.From this equation, the following equation is performed.

식 F에 따라서, 이 식은 0°부터 -9.74°까지의 좌우 경사 범위에 대응한다. 모든 좌우 경사가 홈이 파인 판 구조에서 얻어질 수 있는 한편 0°부터 -9.74°까지 범위에서만 0°입사 각도에서 100%의 유효 개구 백분율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F, this equation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range from 0 ° to -9.74 °. All left and right slopes can be obtained in a grooved plate structure while being selected to have an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of 100% at 0 ° incidence angle only in the range from 0 ° to -9.74 °.

그러나, 엔트런스 각정도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자는 0°입사 각도에서 100% 유효도 이하를 수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42a 내지 42e의 일련의 재귀 반사도 그래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0° 엔트런스 각도를 포함하는 유용한 성능은 식 H의 한계를 휠씬 넘는 즉, 0.5 부터 1.2로 변화하는 (d+s)/t를 갖는 홈이 파인 판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However, to further increase the degree of entrance, the designer may choose to accommodate less than 100% effectiveness at a 0 ° incidence angle. As shown by the series of retroreflectivity graphs of FIGS. 42A-42E, a useful performance including a 0 ° entrance angle yields (d + s) / t, which goes far beyond the limit of equation H, i.e., from 0.5 to 1.2. Grooves can be obtained from a fine plate.

도 42a 내지 도 42e에서 각각 5개의 곡선 집합은 d+s의 개별값과 최종의 축 좌우 경사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도 42a에 있어서, 모든 3개의 곡선에 대한 d+s는 0.5t와 동일하고, 최종 좌우 경사는 +8.70°emp이다. 이 "emp" 는 에지에 더 평행함을 의미한다. 각 집합 내의 3개의 곡선 각각은 d와 s의 상이한 값을 나타내며, 그 총합은 42a 집합 내에서 0.5t 이다. 각 집합 내에서 3개의 곡선 중 하나인 경우, s는 0과 동일하도록 선택되고(도 42a에서 d/t=.5, s/t=0 곡선에 의해 예증된 바와 같다), 각 집합 내에서 3개의 곡선 중 기타 곡선인 경우, d는 0.1t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도 42a에서 d/t=.1, s/t=.4 곡선에 의해 예증된 바와 같다). 비교를 위하여, PCT WO95/11463에 설명된 Hoopman 3각형에 대한 엔트런스 각도 대비 재귀 반사도의 곡선은 각 도면에서 보다 두꺼운 라인으로 표시되어 있다. 6각형 마이크로큐브도 도 42b에 예증한 바와 같은 34°입사 각도를 통해 Hoopman 보다 큰 재귀 반사도 40% 내지 100%를 제공하도록 0설계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2e의 d/t=0.3, s/t=0.2 곡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0°부터 40°까지 50% 이상 만큼, 또는 도 42e의 d/t=0.1, s/t=1.1과 같이 10°부터 70°까지 호프만을 초과하는 전체 40°의 일정 재귀 반사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Each of the five sets of curves in FIGS. 42A-42E represent individual values of d + s and the final axial left and right slopes. For example, in FIG. 42A, d + s for all three curves is equal to 0.5t, and the final left and right slopes are + 8.70 ° emp. This "emp" means more parallel to the edges. Each of the three curves in each set represents a different value of d and s, the sum of which is 0.5t in the 42a set. For one of three curves within each set, s is chosen to be equal to 0 (as illustrated by the curve d / t = .5, s / t = 0 in FIG. 42A), and 3 within each set. For other curves of the two curves, d is chosen to be equal to 0.1t (as illustrated by the curves d / t = .1, s / t = .4 in FIG. 42A). For comparison, the curve of retroreflectivity versus entrance angle for the Hoopman triangle described in PCT WO95 / 11463 is indicated by thicker lines in each figure. Hexagonal microcubes can also be zero designed to provide 40% to 100% recursion greater than Hoopman via a 34 ° incidence angle as illustrated in FIG. 42B, or d / t = 0.3, s / t in FIG. 42E. A constant of 40 ° total over 10% to 40 ° as shown by the curve of 10 ° to 40 ° or above 10 ° to 70 ° as in d / t = 0.1, s / t = 1.1 in FIG. It can be designed to provide retroreflectivity.

도 42에서, 100%의 유효 개구 백분율의 경우, 재귀 반사도는 재귀 반사도의 계산에서 포함되는 전방 표면의 프레스넬 소실(Fresnel losses)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의 경우 결코 0.9를 초과할 수 없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In FIG. 42, it should be noted that for an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of 100%, the retroreflectivity can never exceed 0.9 for polycarbonate articles due to Fresnel losses of the front surface included in the calculation of the retroreflectivity. .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 제조 방법Rectangular microcub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라서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은 그 두께 t가 직사각형의 소정의 치수 H(도 26)와 동일한 적층판(110)(도 14A에서 부분 정면도로 도시됨)으로 시작한다. 판(110)은 평탄한 것이 좋으며, 각각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에 의해 절삭 가능한 도 14B의 측면에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단부(112)를 갖는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l with a rectangular microcub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tarts with a laminate 110 (shown in partial front view in FIG. 14A) whose thickness t is equal to the rectangular predetermined dimension H (FIG. 26). The plate 110 is preferably flat and has at least one flat end 112 shown on the side of Fig. 14B, each of which is cut by a diamond cutting tool.

각각의 판(110) 또는 적층 판(115)은 절삭 가능 단부(112) 및 소정의 양 X 예컨대, 35.26°만큼의 각도의 판의 전방 표면(124)을 갖는 세공 기계상에서 도 15의 세공 기계의 절삭 평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만일, 적층 판이 이용될 경우, 단부(112)의 상단 에지(125)는 모두 단일 평면 내에 놓이게 되어, 기계 가공될 판 사이에 절삭 공구를 위한 간격이 제공되고, 에지(125)의 판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절삭 가능한 물질의 공간 또는 공간(111)은 도 15와 같이 판들 사이에 제공되어, 절삭 공구는 손상을 끼칠 수 있는 임의의 물질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절삭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된 절삭 공구(119)의 절삭 에지(119A)는 기계 작업대(bed)의 평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절삭 가능 단부(112)의 하단 에지는 절삭 공구가 단부(112)의 중간점에 도달할 때 까지 또는 초과하여 도 15의 사면(bevel face)(113)을 생성할때 까지 판(110)의 길이를 따라 절삭된다. 도 16A와 16B는 각각 사면(113)을 절삭한 후에 판(110)의 평면 및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단계는 적층(115)에서 각 판(110)에 대하여 반복된다.Each plate 110 or laminated plate 115 is of the pore machine of FIG. 15 on a pore machine having a cuttable end 112 and a front surface 124 of the plate at a predetermined amount X, eg, by an angle of 35.26 °. It is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plane. If a laminated plate is used, the top edges 125 of the ends 112 all lie in a single plane, providing a gap for the cutting tool between the plates to be machined and recessed from the plates of the edge 125. A space or space 111 of cutable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plates as shown in FIG. 15 so that the cutting tool is not in contact with any material that may be damaging. The cutting edge 119A of the cutting tool 119 projecting parallel to the cutting direction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machine bed, and the bottom edge of the cutable end 112 is the cutting tool of the end 112. It is cut along the length of the plate 110 until it reaches or exceeds the midpoint, creating the bevel face 113 of FIG. 15. 16A and 16B show the plane and side surfaces of the plate 110 after cutting the slope 113, respectively. This step is repeated for each plate 110 in the stack 115.

사면(113)이 절삭된 후, 절삭에 의한 거친 부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 사이의 공간은 절삭 공구에 의해 손상받지 않게 하는 도 17과 같은 플라스틱 복합물로 채워질 수 있다.After the slope 113 has been cut, the space between the plates may be filled with a plastic composite as shown in FIG. 17 to avoid damage by the cutting tool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ough spots due to cutting.

도 18에서, 소정의 협각 Y, 예컨대, 90°의 홈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절삭되고, 절삭된 경사면의 방향과는 거의 수직이 된다. 점선 116A는 이미 절삭된 면(116)을 나타낸다.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기술된 방법에서, 홈 각도 C+ΔC 에 대하여 절삭 공구(118)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각도 Y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면(116)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골은 경사 면(113)의 하부 에지를 교차한다.In Fig. 18, grooves of a predetermined narrow angle Y, for example, 90 °, are cut in direction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cut slope. Dotted line 116A represents the face 116 already cu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n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7A, 7B, 8A and 8B, the angle 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utting tool 118 with respect to the groove angle C + ΔC.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of the groove formed by face 116 intersects the lower edge of inclined face 113.

도 19는 홈의 골에서 취해지는 다듬질된 판을 관통하고 제2 룰링 동작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 18의 19-19)을 도시한다. 도 20은 판(110)의 면에 평행하고 큐브 정점을 통하는 라인과 수직인 화살표 20-20의 방향으로 절취된 도면이며, 근접한 홈으로부터 경사면(100A) 및 면(100B, 100C)으로 형성되는 마이크로큐브(100)의 직사각형의 외형을 도시한다. 큐브 면(100A)은 경사 면(113)의 홈간의 부분이고, 큐브 면(100B, 100C)은 인접하는 홈으로부터의 홈 면이다. 도 18의 얇게 룰링된 판은 도 21의 교번하는 판에서 180° 회전되어 함께 적층될 수 있다.FIG. 19 shows a cross section (19-19 of FIG. 18) penetrating a finished plate taken at the groove of the groove an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uling direction of operation. FIG. 20 is a view cut in the direction of arrow 20-20 parallel to the plane of plate 110 and perpendicular to the line through the cube vertex, with micros formed in inclined planes 100A and planes 100B and 100C from adjacent grooves.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cube 100 is shown. The cube face 100A is the portion between the grooves of the inclined face 113, and the cube faces 100B and 100C are the groove faces from the adjacent grooves. The thinly ruled plates of FIG. 18 may be rotated 180 ° in the alternating plates of FIG. 21 and stacked together.

마이크로큐브가 일정 시간에 1개의 판에 가공될 수 있지만, 가공 시에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판을 그룹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microcubes can be processed on one plate at a given time, it is desirable to group the plates in order to minimize cost during processing.

소형의 마이크로큐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공정의 변화는, 단일의 판에 2개 열의 마이크로큐브를 가공하여 판의 두께를 2배로 하고 강도(剛度)를 증가시키는데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가 없는 두꺼운 판(210)은 절삭 가능한 단부(212)를 갖는 룰링 기계에 배치되고 판의 전면(224)은 기계 작업대의 평면의 수직에 대하여 예컨대, 35.26°의 소망의 양 X만큼 기울어져 있다.A change in the process that can be used to make small microcubes is to process two rows of microcubes in a single plate to double the thickness of the plate and increase the strength. As shown in FIG. 22, a thick plate 210 without spacers is disposed in a ruling machine having a cuttable end 212 and the front face 224 of the plate is, for example, 35.26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of the plane of the machine workbench. Tilt by the amount X of hope.

도 22A에서 기계 작업대의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공구 이동 방향에 평행한 절삭 공구(219)의 절삭 에지(219A)에 있어서, 하부의 에지(223)에서 판의 두께의 중간 지점에서 포인트(222)로 판의 상부 에지(213)로부터 판 폭의 25% 이하 연장하고, 경사 각 X의 1배 내지 2배의 각도 X로 면(213)에 대하여 임시 면(213A) 및 제1 경사 면(213)을 생성하는 절삭 가능한 단부(212)로 절삭을 행한다.In the cutting edge 219A of the cutting tool 219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machine platform in FIG. 22A an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ool movement, the point 222 at the midpoint of the thickness of the plate at the lower edge 223. Temporary surface 213A and first inclined surface 213 with respect to surface 213 at an angle X of 1 to 2 times the inclination angle X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edge 213 of the furnace plate to less than 25% of the width of the plate. The cutting is performed with a cuttable end 212 that produces a cut.

다이아몬드 공구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플라스틱 합성물(114)(도 22C)로 절삭부를 충전한 다음, 다이아몬드 공구(118)(도 23)를 이용하여 홈 면(216)을 형성하는 제1 경사 면(213)의 절삭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협각 Y, 예를 들면 90°을 갖는 V 형의 홈으로 절삭하며, 홈의 골은 제1 경사면(213)의 하부 에지(223)(도 23A)를 통과한다.A first inclined surface 213 that fills the cut with a plastic composite 114 (FIG. 22C) that does not degrade the functionality of the diamond tool and then forms the groove face 216 using the diamond tool 118 (FIG. 23). Is cut into a groove of a V-shape having a predetermined narrow angle Y, for example, 90 °,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direction, and the valley of the groove is the lower edge 223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3 (FIG. 23A). Pass through).

상부 에지(200)에서 만나는 근접한 홈의 경사진 면(216)은 마이크로큐브(200)의 2개의 면(200B, 200C)을 형성하고, 제1 경사면(213)은 제3 면(200A)(도 23B)을 형성하며; 마이크로큐브(200)의 직사각형의 아웃라인이 명백해진다. 이 포인트에 관한 방법에 의하면 판의 단부에 제1 열의 마이크로큐브가 형성된다.The inclined face 216 of the adjacent grooves that meet at the upper edge 200 forms two faces 200B, 200C of the microcube 200, and the first inclined face 213 has a third face 200A (FIG. 23B); The rectangular outline of the microcube 200 becomes appar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is point, the microcube of a 1st row is formed in the edge part of a board | plate.

판(210)가 기울어져서 전면(224)은 기계 작업대의 평면의 수직에 대하여 각도 X로 기울어지게 된다. 명세서 상에서 기호 "X"가 판의 전면과 기계 작업대의 평면의 수직 사이의 각을 나타내기 때문에, 도 22에서의 각도 "X"는 재귀 반사성 물체에 관한 소망의 성능 특성에 따라 도 24의 각도 "X"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절삭 공구(219)는 공구 이동 방향과 평행하고 에지가 기계 작업대의 평면에 수직이 되게 다시 배치되며, 임시 면(213A)(도 24)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2 경사 면(313)을 생성하는 판(210)의 절삭 가능한 단부(212)에서 절삭이 행해진다. 홈은 플라스틱 합성물(기술되지 않음)로 홈을 다시 충전하고, 추가의 홈은 공구(118)(도25)에 의해 제2 경사 면(313)의 절삭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삭된다.The plate 210 is tilted so that the front surface 224 is tilted at an angle X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of the plane of the machine workbench. Since the symbol "X" in the specification represents the angle between the front of the plate and the perpendicular of the plane of the machine workbench, the angle "X" in FIG. 22 is the angle of FIG. It may or may not be the same as X ". The cutting tool 219 is re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tool movement direction and the edge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machine platform, and completely remove the temporary face 213A (FIG. 24) to create the second inclined face 313. FIG. Cutting is done at the cuttable end 212 of 210. The grooves refill the grooves with plastic composite (not described), and the additional grooves are cut by the tool 118 (FIG. 2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second sloped surface 313.

상부 에지(320)에서 만나는 근접한 홈의 경사진 면(316)은 마이크로큐브(300)의 2개의 면(300B, 300C)을 형성하고 제2 경사 면(313) 제3 면(300A)을 형성한다. 제2 열의 마이크로큐브는 제1 열의 마이크로큐브가 형성되는 판의 동일 단부의 다른 측에 형성된다. 마이크로큐브(200) 면의 교차를 나타내는 도 25의 점선으로부터 명백해지듯이, 교차선은 연속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단일의 편평한 표면에서의 일직선을 룰링함으로써 대향하는 방향으로 모든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하는 원판을 룰링할 수 없게 된다.The inclined face 316 of the adjacent grooves that meet at the upper edge 320 forms two faces 300B and 300C of the microcube 300 and forms a second slope 300 and a third face 300A. . The microcube of the second row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ame end of the plate on which the microcube of the first row is formed. As will be apparent from the dashed line in FIG. 25 showing the intersection of the microcube 200 planes, since the intersecting lines are not continuous, a disc containing all rectangular microcub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ruling a straight line on a single flat surface. You won't be able to rule.

링하기 위해 판을 위치시키는 방법 How to position the plate for ruling

전술된 큐브 코너를 얻기 위해 고정시키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그러나, 마이크로큐브에 대해 요구되는 명백한 허용 오차 때문에 가공 작동시 판을 위치시키는 수단에 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든 형태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도 3A의 2개의 맞춤못 구멍(R)은 각 판의 전면을 통해 접지 될 것이다.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맞춤못 구멍(R)은 홈을 절삭하기 위한 판을 어셈블링하고, 전기 주조 원판의 어셈블리에 대하여 또다른 2개의 맞춤못 구멍 M 세트를 연마하기 위해 각 판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것이다. 맞춤못 구멍 M은 각 판의 다른 위치에 있다. 맞춤못 구멍 M은 k1+n(d+s)과 동일한 양만큼 맞춤못 구멍 R(도 3A)로부터 수직으로 이동되며, 이 k1은 상수이고 n은 스택의 판 수이며, d는 홈 깊이이고 s는 슬립이다. 모든 맞춤못 구멍 M은 기준 홀 R로부터 모든 홀수 번째 판의 상수 k2만큼 이동되고 짝수 번째의 판의 d + k2 만큼 이동되며, d는 홈 깊이이고 홈 폭의 1/2과 같다. 홈 절삭시, 맞춤못은 기준 맞춤못 구멍 R에만 삽입되고; 전기 주조시, 맞춤못은 맞춤못 구멍 M에만 삽입된다. 근접한 판의 홈에 관하여 1개의 판에 홈을 위치시킬 때의 에러는 임의의 방향에서 0.0002"(5μ) 이하 정도로 예상된다. 아랫 부분이 절삭된 부분을 삽입하고 손실을 증가시키는 부(-)의 슬립을 피하기 위해, 정(+)의 슬립이 0.0005"(12.5μ) 이상이 되도록 마이크로큐브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시간 1개의 판의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가공하기 위해, 판은 기준 맞춤못 구멍 R을 통해 맞춤못에 의해 룰링 기계에 배치되고, 고정물에 제공되는 맞춤못을 매칭하며, 그 표면은 룰링 기계의 작업대에 수직으로부터 X 만큼 경사진다. 경사 면 및 홈이 가공된 후에, 기준 맞춤못 구멍 R은 전기 주조시 판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판의 중앙에 대하여 마이크로큐브의 정점을 위치시킬 때의 최대 에러는 0.0001"(2.5μ) 이하로 예상된다. 다수의 판이 일정 시간 룰링되면, 2차 맞춤못 구멍은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해 기술된 절차와 다소 유사한 방법으로 각 판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10개 판으로 된 스택에 대하여, 마이크로큐브의 정점을 위치시킬 때의 에러는 판의 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0.0005"(12.5μ) 정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The method of fixing to obtain the above-mentioned cube corners is a technique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due to the apparent tolerances required for the microcube, the means for positioning the plate in the machining operatio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For all types of microcubes, the two dowel holes R of FIG. 3A will be grounded through the front of each plate. For the hexagonal microcube, the dowel holes R assemble the plates for cutting the grooves and position each plate to polish another set of dowel holes M with respect to the assembly of the electroforming disc. Will be used. Dowel holes M are in different positions on each plate. Dowel holes M are moved vertically from dowel holes R (FIG. 3A) by the same amount as k1 + n (d + s), where k1 is a constant, n is the number of plates in the stack, d is the groove depth and s Is slip. All dowel holes M are moved from the reference hole R by the constant k2 of all the odd plates and by d + k2 of the even plates, d is the groove depth and equal to half the groove width. In groove cutting, the dowel is inserted only in the reference dowel hole R; In electroforming, the dowel is inserted only in dowel hole M. Errors in positioning grooves in one plate relative to the grooves of adjacent plates are expected to be less than 0.0002 "(5μ) in any direction. Negative inserts that cut the bottom part and increase the loss To avoid slipping,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microcube so that the positive slip is at least 0.0005 "(12.5μ). In order to process a rectangular microcube of one plate for a given time, the plate is placed on the ruling machine by the dowel through the standard dowel hole R, matching the dowels provided on the fixture, the surface of which is the worktable of the ruling machine. Slope by X from perpendicular to After the inclined face and grooves have been machined, the reference dowel hole R is used to position the plate during electroforming. The maximum error when positioning the microcube vertex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te is expected to be 0.0001 "(2.5μ) or less. When multiple plates are run for a certain time, the secondary dowel holes are described for the hexagonal microcube. It may be provided for each plate in a manner somewhat similar to the procedure described; however, for a stack of ten plates, the error in positioning the vertices of the microcube is 0.0005 "(12.5μ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plate). It is expected to increase by).

바람직한 마이크로큐브 가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그러나, 판 개념에 기초한 다른 가공 방법은 쉽게 숙련된 공구 제조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설명들이 한정으로서 생각되지 않을 것이다.Preferred microcube processing methods ar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other machining methods based on the plate concept are readily known to skilled tool manufacturers, and these descriptions will not be considered as limiting.

재귀 반사기 성능Recursive reflector performance

본 발명의 직사각형의 마이크로큐브는 2가지 주요 방법으로 본 발명의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와는 상이하다. 첫 번째, 직사각형의 마이크로큐브는 쌍을 이루는(거울 이미지) 소자로서 정렬될 수 있으며, 반면에 단일의 절삭된 판로부터 생성된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는 방향 면에서 모두 같다; 대칭 동작을 나타내도록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를 쌍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대형 어레이로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소형 거울 이미지 어레이를 쌍으로 해야 한다. 두 번째로, 직사각형의 마이크로큐브는 단일 절삭 판으로부터 생성되는 6각형 마이크로큐브 보다 더 자유롭게 설계된다; 직사각형에 대하여, 축 경사 정점 중심, 직사각형 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도 28 참조), 반면에 6각형에 대하여 변수중 하나의 변화는 다른 2개중 하나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직사각형 큐브는 정점에 중심을 맞춤으로써 0°입사각에 서 100% 유효 개구 백분율을 갖는다; 그런 다음, 경사는 -54.74° 내지 +35.26°에서 조절 가능하고, 그 크기는 여전히 변수이다. 반대로, 종래의 직접 룰링된 삼각형 큐브는 어떠한 독립적인 변수도 가지고 있지 않다. 경사, 정점 중심 맞춤 및 비율은 복잡한 상호 관계가 있다.The rectangular microcube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hexagonal microc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wo main ways. First, rectangular microcubes can be aligned as paired (mirror images) elements, while hexagonal microcubes created from a single cut plate are all the same in orientation; To pair a hexagonal microcube to show symmetrical behavior, you need to pair a small mirror image array of hexagonal microcubes with a large array. Second, the rectangular microcube is designed more freely than the hexagonal microcube produced from a single cutting plate; For rectangles, the axial oblique vertex center, rectangle size can be chang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ee FIG. 28), whereas for hexagons a change in one of the variables requires a change in one of the other two. Rectangular cubes have a 100%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at 0 ° incidence by centering on the vertices; The slope is then adjustable from -54.74 ° to + 35.26 °, the magnitude of which is still variable. In contrast, conventional direct ruled triangular cubes do not have any independent variables. Slope, vertex centering, and ratio are complex correlations.

직접적으로 룰링된 삼각형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큐브 축 경사는 하기식에 의해 삼각형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For a triangular microcube that is directly ruled, the cube axis slope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triangle by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에서, A 및 B는 삼각형의 2개의 예각의 탄젠트이다. 본 발명의 판 어셈블리 기술로 가공된 삼각형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큐브 축 경사는 상기에서 계산된 각과 삼각형 바닥과 전면 사이의 각의 조합이 된다.Here, A and B are tangents of two acute angles of a triangle. For triangular microcube fabricated with the plate assembly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be axis tilt is the combination of the angle computed above and the angle between the triangle bottom and the front face.

미네소타 앤드 매뉴팩추어링 코포레이숀의 최근의 PCT 공개 번호 WO95/11463호, WO95/11465호 및 WO95/11470호에서, 다양한 그래프는 유효 개구 백분율에 따른 재귀 반사도의 비교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총 내부 반사(TIR) 제한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전면 거울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높은 입사 각도에서 그 손실은 상당하다.In the recent PCT Publication Nos. WO95 / 11463, WO95 / 11465, and WO95 / 11470 by Minnesota and Manufacturing Co., Ltd., various graphs show a comparison of the retroreflectivity according to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which is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limitations are not taken into account; If the front mirror loss is not taken into account, the loss is significant at high incidence angles.

본 발명의 그래프에서, 이하의 파라미터는 재귀 반사의 측정에 대해 선택된다.In the grap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parameters are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of retroreflective.

1. 프리즘 물체는 일정한 반사율을 갖는 단일 물질로 간주된다.1. A prism object is considered to be a single material with a constant reflectance.

2. 내부 반사는 광이 편광되지 않는다는 가정(사실과는 반대)하에서 프레넬 방정식으로 계산된다.2. Internal reflection is calculated by the Fresnel equ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light is not polarized (as opposed to true).

3. 전면 전송은 광이 편광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프레넬 등식으로 계산된다.3. The front transmission is calculated by the Fresnel equ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light is not polarized.

4. 입사각에 의한 코사인 손실은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4. The cosine loss due to the angle of incidence is not considered at all.

5. 엔트런스 평면은 큐브 코너의 대칭 평면과 평행하다.5. The entrance plane is parallel to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cube corners.

6. 회절 효과는 무시된다.6. The diffraction effect is ignored.

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다양하게 도시된 곡선은 필연적으로 상업적으로 실제적인 물품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따른 공구 및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기를 생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폭넓은 다양한 결과물을 설명할 수 있다.The variously illustrated curves for possible designs necessarily represent commercially practical articles, as well as account for the wide variety of outcomes that can be achieved by producing tools and microcube retroreflectors in accordance with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대부분의 그래프는 금속화되지 않는 큐브에 대한 것으로 전반사(TIR)의 효과를 포함한다. 도 39, 40, 44 및 45는 마이크로큐브가 금속화될 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준다[ "금속화된(metallized)"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TIR이 실패하는 각도에서 특정 반사를 제공하기 위해 큐브 면에 적용되는 모든 금속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 유효율 개구를 측정하는 것에 관해서 전술한 최근의 PCT 출원에 나타난 다양한 개념은 큐브가 금속화될 경우만을 대상으로 한다.Most graphs are for non-metalized cubes and include the effect of total reflection (TIR). 39, 40, 44 and 45 show the results when the microcube is metallized [the term “metallized” is generally applied to the cube face to provide a specific reflection at the angle at which the TIR fails. Used in the sense of containing all metals]. The various concepts presented in the recent PC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regarding measuring the effective rate openings are only relevant when the cube is metallized.

도 44 및 4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부 물품과 종래 기술의 성능을 비교한다. 이들 도면은 WO 95/11470의 도 12 및 WO 95/11463의 도 32에 의해 제공되며 본 출원인에게 공지된 공개 기하학적 유효도(유효 개구 백분율로서 측정됨)을 나타내는 곡선뿐 아니라 본 발명의 물품에 대응하는 곡선을 포함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매우 단순한 비경사 직사각형 큐브 디자인의 효율과 WO 95/11470의 도 12로부터의 유효도 곡선을 비교한다. 도 44는 0°에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 큐브의 유효 개구 백분율이 WO 95/11470의 최상의 곡선(곡선 153)보다 9% 더 높고, Hoopman에 대한 곡선보다는 50%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44 and 45 compare the performance of some articles and prior ar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figures correspond to the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urves provided by FIG. 12 of WO 95/11470 and FIG. 32 of WO 95/11463 and revealing the public geometric effectiveness (measured as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known to the applicant. It includes a curve. FIG. 44 compares the efficiency of the very simple non-tilt rectangular cube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ffectiveness curve from FIG. 12 of WO 95/11470. 44 shows that at 0 ° the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of the microcube of the invention is 9% higher than the best curve of WO 95/11470 (curve 153) and 50% higher than the curve for Hoopman.

20°에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한 유효 개구 백분율은 곡선 153보다 29% 더 높고 Hoopman의 곡선보다는 19% 더 높다.At 20 °,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for the microc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9% higher than curve 153 and 19% higher than Hoopman's curve.

실시예 1Example 1

증가된 엔트런스 각정도를 위한 재귀 반사기Recursive Reflector for Increased Entrance Angle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고 동일한 양수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41,606, 제3,873,184호 및 제3,923,37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큐브의 엔트런스 각정도를 증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s/t=0, d/t=0.707 솔루션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큐브축 슬립이 어레이의 전면에 대해 -9.74°로 되는 s/t=0.45; d/t=0.55 솔루션에 의해 대체될 수 있으며, 유효 개구 백분율은 0°의 입사각에서 72.5%이고, 19.6°에서 100%이다(이 실시예를 통해, 입사면은 큐브 코너의 대칭면에 정렬되며, 굴절률은 1.59로 된다). 그러나, 6각형 어레이가 19.6°의 입사각에 대해 유리하게 배향된 각 큐브에 대해 쌍이 되면, 그 미러 이미지는 동일한 입사각에 대해 단지 45%의 유효 개구 백분율만을 갖게 되며, 그에 따라 쌍을 이루는 어레이는 19.6°의 각도에서 입사하는 광에 대해 72.5% 의 평균을 가지며 0°의 입사에서의 평균만큼 높다. 유효 개구에 대한 이 평균의 결과는 쌍을 이루는 경사진 직사각형 및 쌍을 이루는 도 45의 경사진 6각형의 어레이에 대해서 유효 개구 백분율대 -20°로부터 +20°로 연장하는 입사각의 바람직하게 대단히 평평한 곡선을 나타내는데, 20°엔트런스각 영역을 걸친 이 곡선은 Hoopman에 대한 유효 개구 백분율 곡선에 비해 48% 이상 우세하며, WO 95/11463호의 유효 개구 백분율 곡선 예컨대, 460에 비해서는 16% 우세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직사각형 및 6각형의 곡선은 50°의 엔트런스각까지 Hoopman에 대한 곡선에 대해 계속 우세하고, 예컨대 460의 곡선에 대해서는 70°까지 계속 우세한데, 이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의 엔트런스각은 모든 의미있는 엔트런스각 또는 상술한 것 이상이다.S / t = 0, shown in FIG. 6, to increase the degree of entrance angle of the cube as disclosed in US Pat. Nos. 3,541,606, 3,873,184 and 3,923,378,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granted to the same assignee. The solution d / t = 0.707 is s / t = 0.45 where the cube axis slip is -9.74 °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array as shown in FIG. 13; d / t = 0.55 solution,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is 72.5% at 0 ° angle of incidence and 100% at 19.6 ° (in this embodiment, the plane of incidence is aligned to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cube corners, Refractive index is 1.59). However, if the hexagonal arrays are paired for each cube oriented advantageously for an angle of incidence of 19.6 °, then the mirror image will have only 45%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for the same angle of incidence, thus the paired array will be 19.6. It has an average of 72.5% for light incident at an angle of degrees and is as high as an average at incidence of 0 °. The result of this average for the effective apertures is preferably very flat of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versus incidence angle extending from -20 ° to + 20 ° for the paired inclined rectangles and the paired inclined hexagons of FIG. 45. The curve, which spans the 20 ° entrance angle region, is at least 48% over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curve for Hoopman, and 16% over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curve of WO 95/11463, for example 460. Exemplary rectangular and hexagonal curv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e to prevail over the curve for Hoopman up to an entrance angle of 50 °, for example up to 70 ° for the curve of 460, the ent in both cases. The clearance angle is all meaningful entrance angles or more than described above.

직접적으로 쌍을 이루는 직사각형은 직사각형 높이의 13.75%만큼 큐브 정점을 중심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예시적인 6각형에 대한 것과 같이, 0°및 19.6°입사각에서 동일한 -9.74°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72.5%의 유효 개구 백분율로서 도 27C의 1:2(폭:높이) 비율로 룰될 수 있다. 도 40 및 도 45에서 곡선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6각형 어레이와 쌍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평균 유효 개구 백분율은 0°의 입사각에서 유효 개구 백분율이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 모든 엔트런스각에서 놀랄만큼 유사할 수 있다.Directly paired rectangles have the same -9.74 ° and substantially equal 72.5% effective opening percentages at 0 ° and 19.6 ° incidence, as for the exemplary hexagon by off centering the cube vertices by 13.75% of the height of the rectangle. As shown in FIG. 27C, the ratio is 1: 2 (width: height). As shown by the curves in FIGS. 40 and 45, the average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of a paired hexagon and a pair of rectangles is surprising at all entrance angles for the case where the effective opening percentage matches at an angle of incidence of 0 °. As similar as can be.

경사진 큐브축의 이점은 전반사에 좌우되는 큐브에서 주로 실현되기 때문에, 유효 개구 백분율에 대한 것보다는 재귀 반사성에 대한 유효도를 고려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직사각형 및 6각형 실시예의 양 경우에, 입사각이 19.6°인 경우 전반사는 유효 개구에서 얻는 쌍의 큐브(또는 어레이)에 대해서는 유지되지만, 유효한 개구에서 상실하는 큐브에 대해서는 상실된다(0.898 인자는 전면의 표면 상실에 기인한다). 도 40은 이들 직사각형 쌍과 쌍을 이루는 6각형 어레이의 재귀 반사도 및 유효 개구 백분율을 큐브의 대칭면으로 정렬된 입사면에 대한 입사각의 넓은 범위에 걸쳐 비교한다.Since the benefits of inclined cube axes are realized mainly in cubes that depend on total reflect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base them on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for retroreflectivity than for 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In both cases of the rectangular and hexagonal embodiments, the total reflection is maintained for the pair of cubes (or arrays) at the effective opening when the angle of incidence is 19.6 ° but is lost for the cube missing at the effective opening (factor 0.898 Due to surface loss). 40 compares the retroreflectivity and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of hexagonal arrays paired with these rectangular pairs over a wide range of angles of incidence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incidence aligned with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cube.

도 42D의 d/t =0.55 및 s/t =0.45 곡선은 대칭면에 정렬된 입사각에 대해 쌍을 이루는 6각형의 어레이의 재귀 반사성( 및 관련하여 도 27C의 직사각형 쌍의 재귀 반사성)을 Hoopman의 곡선과 비교한다. 도 43은 대칭면에 수직인 입사면에 관해서 동일한 직사각형 쌍 및 쌍을 이루는 6각형의 어레이에 대한 재귀 반사도 대 입사각을 나타낸다. 대칭면에 있어서, 도 13의 면에 더 평행한, 쌍을 이루는 6각형 어레이 및 도 27C의 직사각형 쌍은 Hoopman에 대해 47°까지 우세한데, 대칭면에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는 이들 쌍이 60°까지 우세하다.The curves of d / t = 0.55 and s / t = 0.45 in FIG. 42D show Hoopman's curves for the retroreflectivity of the paired hexagonal arrays (and the retroreflectivity of the rectangular pair of FIG. Compare with 43 shows the retroreflectivity versus incidence angle for the same rectangular pair and paired hexagonal arrays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incidenc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In the plane of symmetry, the paired hexagonal array, more parallel to the plane of FIG. 13, and the rectangular pair of FIG. 27C, dominates up to 47 ° with respect to Hoopman, while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these pairs dominate up to 60 °.

쌍을 이루는 5각형(도 36을 참조)에 대한 유효 개구 백분율과 재귀 반사도는 0°입사각에서 동일한 축 경사 및 유효 개구 백분율에 대해 전술한 6각형 및 직사각형과 동일하다.The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and retroreflectivity for paired pentagons (see FIG. 36) are the same as the hexagons and rectangles described above for the same axial tilt and effective aperture percentage at 0 ° incidence.

마주 보도록 배향된 큐브 세트에 있어서, "면 평행성(face-more- parallel)" 구조의 장점은 미국 특허 제3,541,606호의 제15 칼럼의 62째줄-제16 칼럼의 47째줄과 도 18, 19 및 20에 나타나 있다.For a set of cubes oriented face to face, the advantages of the “face-more-parallel” structure are shown in lines 62 to 16 of column 15 of column 15 to column 16 of US Pat. No. 3,541,606 and FIGS. 18, 19 and 20 Is shown in.

실시예 1에 개략된 방법은 하나 이상의 평면에서의 입사각의 범위를 최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범위를 통해 최소 재귀 반사성이 유지될 수 있는데, 이 개념은 전술한 특허 및 3M의 "다이아몬드 경사(Diamond Grade)" 시트재(Hoopman에 의한 미국 특허 제4,588,25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주 보도록 배향된 경사 큐브축을 갖는 큐브(또는 큐브 어레이)를 요구한다.The method outlined in Example 1 is intended to maximize the range of angles of incidence in one or more planes through which minimum retroreflectivity can be maintained, which i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and 3M's "Diamond Grade." What is needed is a cube (or cube array) with slanted cube axes oriented to face as shown in sheet material (US Pat. No. 4,588,258 to Hoopman).

실시예 2Example 2

예컨대, 포장 도로 표지용의 큰 입사각에 대한 재귀 반사성Retroreflective, for example, for large angles of incidence for pavement markings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전적으로 다르다. 실시예 2의 방법은 재귀 반사기의 면에 수직이 아닌 축(주요한 입사 광선)에 대해 입사각의 비교적 작은 범위에 대해 재귀 반사성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로 상에 설치된 양각성 재귀 반사 차선 표지는 포장 도로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60° 후방으로 기울어진 전면을 가질 수 있다. 포장 도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근접해오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의 광선은 수직선에 대해 60°각도에서 재귀 반사기의 면에 투사하여 수직선에 대해 35.5°각도로(아크릴에서) 재귀 반사된다. 설명을 위해, 포장 도로의 표면 및 도로의 중앙선에 평행한 광선은 주요 투사 광선 또는 광학축이라고 하고, 전면에서 재귀 반사 후에 표지 내의 광선은 주요 재귀 반사 광선이라고 한다.Example 2 is entirely different from Example 1. The method of Example 2 is to maximize retroreflectivity for a relatively small range of angles of incidence with respect to the axis (major incident light rays) that is not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retroreflector. For example, an embossed retroreflective lane marker installed on a roadway may have a front slope inclined 60 ° back fro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avement. Light rays from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approaching the pavement substantially parallel are retroreflected (in acrylic) at an angle of 35.5 ° to the vertical line by projecting onto the face of the reflex reflector at an angle of 60 ° to the vertical line.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ray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pavement and the centerline of the road are referred to as the main projection beam or optical axis, and the rays in the beacon after the retroreflection at the front side are called the main retroreflected beam.

L=t에 관하여 도 6에 도시된 판에 대한 재귀 반사기는 판이 실시예 1, 즉 도 6A와 같이 이웃하는 판의 홈의 상부 에지에 적재된다면 효율적인 큐브 영역이 상실되기 때문에, 포장 도로 표지로서 이용하는데 바람직하지 않다. 재귀 반사된 광선은 투사 지점으로부터 큐브 정점의 대향하는 측면 상의 정점과 큐브 정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큐브 코너로부터 벗어난다. 만일 주요 재귀 반사 광선이 큐브축에 대한 각도에 있다면, L=t에 대한 큐브 상에 투사하는 광의 일부는 큐브 중심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대응 지점이 없기 때문에 상실된다. 광학축의 방향에서 각 큐브의 영역을 100% 활용하기 위해서, 도 12에서 큐브 코너의 3개의 실재면의 교차점(29)으로부터 3개의 실재면 각각에 대해 비교적 평행한 3개의 가상면의 교차점(30)까지 그려진 큐브 대각선(28)은 주요 반사 광선에 평행해야만 한다.The reflex reflector for the plate shown in FIG. 6 with respect to L = t is used as a pavement marker since the effective cube area is lost if the plate is loaded at the top edge of the groove of the neighboring plate as in Example 1, ie 6A. Not desirable to The retroreflected ray deviates from the cube corner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ube vertex and the vertex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be vertex from the projection point. If the main retroreflective ray is at an angle to the cube axis, some of the light projected onto the cube for L = t is lost because there is no corresponding point on the side opposite the cube center. In order to utilize 100% of the area of each cub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ree virtual planes which are relatively parallel to each of the three plane surface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29 of the three plane surfaces of the cube corner in FIG. 12. The cube diagonal 28 drawn up should be parallel to the main reflected beam.

식 E에 나타난 바와 같이,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해 I', d, s 및 t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As shown in equation E, for the hexagonal microcube, the relationship between I ', d, s and t is as follows.

도로에서 30°기울어진 전면을 갖는 아크릴 포장 도로 표지에 대해서, I'=35.54°이다. 만일 슬립이 0(s/t=0)이 되도록 선택된다면For an acrylic pavement sign with a front sloped 30 ° on the road, I '= 35.54 °. If slip is chosen to be zero (s / t = 0)

90°- 35.54 °= tan-1(t/d) + tan-1(t/2d)이고,90 °-35.54 ° = tan -1 (t / d) + tan -1 (t / 2d),

이 식으로부터 d/t=1.42이다.From this equation, d / t = 1.42.

상기 포장 도로 표지를 위해 6각형의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하는 공구를 생산하기 위해, 판은 d/t=1.42가 되도록 구조화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d=1.42t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In order to produce a tool comprising a hexagonal microcube for the pavement markings, the plate is structured to be d / t = 1.42, with d = 1.42t in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s shown in FIG. 10. Can b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별법으로, 도 6의 판(d/t=0.707)이 사용되어, 판은 d=0.707t만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수직 방향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s=0.932t에 더하여 d=0.707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큐브 대각선(28)을 따라 투사된 불규칙한 6각형은 도 12A의 점선(15)으로 표시된다. 마이크로큐브는 더 양호한 수평 입사 각정도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화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late of FIG. 6 (d / t = 0.707) is used so that the plate is off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 = 0.707t,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d = 0.707 in addition to s = 0.932t as shown in FIG. Can b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Irregular hexagons projected along the cube diagonal 28 are indicated by dashed line 15 in FIG. 12A. The microcube can be metallized to provide a better degree of horizontal incidence angle.

판 방법에 의해 구조화된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포함하는 포장 도로 표지는 Nelson의 미국 특허 제4,895,428호의 방향 제어된 큐브와 비교하여 개선된 수평 입사 각정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55°의 전면 편차를 갖는 아크릴 포장 도로 표지에 사용하기 위해 -9°의 면 평행성 직사각형 큐브를 구조화하기 위해서는, 판 두께는 도 29A에서와 같은 주요한 반사 광선에 평행하게 투사되는 대칭면에 평행한 큐브 측면의 치수인 H와 동일하도록 선택되고, 판은 룰링 기계상에서 큐브축 경사(이하 "CAC" ) 미만의 35.26°와 동일한 수직선인 X에 대한 각도로(이 실시예에서는 35.26°-(-9°) 또는 44.26°와 동일한 각도 X로) 위치되고, 경사면(113)은 판의 중간점에서 절삭되고, 홈은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0.5W에 동일한 깊이로 경사면의 절삭 방향에 수직하도록 구조화되는데, 도 29A에서의 W는 H에 수직인 직사각형의 측면의 치수이다. 도 29의 각도 θ는 5각형의 면과 큐브 정점의 평면에 대한 수직선 사이의 각도로서 CAC에서 sin-1[(sinT)/n]을 감산한 것에 35.26°을 더한 것과 동일하며, 여기에서 T는 전면의 편차이다. Nelson에 의한 미국 특허 제4,895,428호의 직접 구조화된 큐브에서, θ는 반드시 0°이고, 5각형 면은 삼각형이 된다. 도 29는 결과적인 직사각형 큐브를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30은 이러한 큐브의 어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1은 Nelson의 특허와 비교하여 수평 입사 각정도에서 약 11°의 개선을 나타내는데, 이는 Heenan에 의한 미국 특허 제3,541,606호에 개시된 이론에 따라 -9°면에 더 평행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Pavement signs comprising rectangular microcubes structured by the plate method can be made with improved horizontal incidence angles compared to the directional controlled cube of Nelson's US Pat. No. 4,895,428. In order to structure a -9 ° face parallelism rectangular cube for use on acrylic pavement markings with a 55 ° front deviation, the plate thickness is parallel to the plane of symmetry projected parallel to the main reflected beam as in FIG. 29A. And the plate is selected to be equal to the dimension of H, the plate being at an angle to X which is a vertical line equal to 35.26 ° below the cube axis til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C") on the ruling machine (35.26 °-(-9 ° in this embodiment). Or at an angle X equal to 44.26 °), the inclined surface 113 is cut at the midpoint of the plate and the groove is struct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a depth equal to 0.5 W, as shown in FIG. W in FIG. 29A is the dimension of the side of a rectangle perpendicular to H. FIG. The angle θ in FIG. 29 is the angle between the pentagonal plane and the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cube vertex, which is equal to the subtraction of sin −1 [(sinT) / n] from CAC plus 35.26 °, where T is It is the deviation of the front. In the direct structured cube of US Pat. No. 4,895,428 to Nelson, θ is necessarily 0 ° and the pentagonal face becomes a triangle. FIG. 29 shows the resulting rectangular cube in cross section,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ray of such cubes, and FIG. 41 shows an improvement of about 11 ° in the horizontal angle of incidence compared to Nelson's patent, which is Heenan.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disclosed in U.S. Patent No. 3,541,606, by a structure more parallel to the -9 ° plane.

아크릴 포장 도로 표지에 대해 -9°보다 큰, 면에 더 평행한 각도의 사용은 설비 허용 오차로 인해 문제가 된다. 도 41에서와 같이, 최대 재귀 반사성은 55° 입사각에서 전면 손실으로 인해 약 0.87로 제한된다.The use of angles more parallel to the face, greater than -9 °, for acrylic pavement signs is problematic due to equipment tolerances. As in FIG. 41, the maximum retroreflectivity is limited to about 0.87 due to frontal loss at 55 ° incidence.

실시예 3Example 3

증가된 발산성을 갖는 재귀 반사기Recursive reflector with increased divergence

재귀 반사된 빔의 발산성(즉, 관찰 각정도)은,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미국특허 제3,833,2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의 면 사이의 상반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및/또는 회절에 영향을 미치는 큐브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하나의 면 또는 다수의 면에서 변화될 수 있는데, 상기 특허는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The divergence (ie, viewing angle) of the retroreflected beam is determined by varying the half-angle between two or three planes and / or affecting diffraction, as disclosed in US Pat. No. 3,833,285 by the same applicant. It can be changed in one or many aspects by changing the siz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반각은 도 11의 각도 "b"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절삭되기 전에, 90°보다 크고 작은 홈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및/또는 판(10)의 스택을 절삭면에 수직선을 약간 경사지게 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홈 각도는 다이아몬드 공구의 각도" C"(도 7A)를 변화시킴으로써 또는 전술한 수학식 A에 따라 구조화된 표면에 대한 수직선과 관련하여 다이아몬드 공구의 각도 "e"(도 8A)를 조절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The upper half angle may be changed by forming a groove angle greater than 90 ° and / or by tilting the stack of plates 10 slightly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plane before the groove is cut, as shown by the angle “b” in FIG. 11. Can be. The groove angle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angle "C" (FIG. 7A) of the diamond tool or by adjusting the angle "e" (FIG. 8A) of the diamond tool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to the structured surface according to Equation A described above. Can be.

절삭 공구의 경사각 "e"는 모든 홈에 대해 동일함을 유지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절삭 공구의 경사각 " e"는 각 홈이 구조화된 표면을 따라 절삭 공구에 의해 이동한 거리의 함수로서 절삭되거나, 절삭 공구가 각 홈의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한 각도 "e"에서 유지되지만 표면으로 각 연속적인 홈 절삭에 대해 변화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들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즉 각 홈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홈에서 홈으로 표면과 관련하여 절삭 공구의 각도 "e"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e" of the cutting tool can remain the same for all grooves. Alternatively, the inclination angle "e" of the cutting tool is cut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each groove is moved by the cutting tool along the structured surface, or the cutting tool is maintained at an angle "e" relative to the entire length of each groove. It can be adjusted continuously as it can be changed for each successive groove cutting into the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se techniques in combination, ie vary the angle "e" of the cutting tool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long the length of each groove and from groove to groove.

회절은 빔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발생되는 광 빔의 확산이다. 회절은 매크로큐브와 마이크로큐브 사이의 주요한 광학적 차이이다. 고속도로 표지와 같은 상업적 응용과 관련된 관찰각, 즉 0.1°내지 1.5°에 대해, 마이크로큐브에 대한 회절 효과는 중요할 수 있는 반면, 매크로큐브에 대해서는 중요하지 않다. 매크로큐브에 관하여 관찰 각정도는 상반각, 면의 평면도 및 큐브 형태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지만, 마이크로큐브 크기에 대해서는 이들은 부가적인 결정자이다.Diffraction is the diffusion of a light beam generated by limiting the beam size. Diffraction is the major optical difference between macrocube and microcube. For observation angles associated with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highway markings, namely 0.1 ° to 1.5 °, the diffraction effect on the microcube may be important, while not on macrocube. With respect to the macrocube the degree of observation is entirely determined by the upper half angle, the planar view of the face and the cube shape, but for the microcube size they are additional determinants.

도 46a 내지 도 46c는 0°입사각 및 3개의 서로 다른 큐브 크기에 대해 굴절률 1.49의 d/t=0.707, s/t=0 5각형 큐브 코너에 관하여 재귀 반사된 광의 패턴에 있어서의 회절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면의 원주는 0.5°의 발산을 나타내고, 회색의 각 밴드는 재귀 반사된 강도에 있어서의 2개의 인자를 나타낸다. 모든 큐브 코너는 평편한 면 및 상반각의 단지 하나에 있어서 0.103°의 에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6a는 t=0.866mm, 도 46b는 t=0.217m, 도 46c는 t=0.087mm에 대한 것이다.46A-46C show the effect of diffraction on the pattern of retroreflected light with respect to the square cube corners of d / t = 0.707 and s / t = 0 of refractive index 1.49 for 0 ° incidence and three different cube sizes. Indicates. The circumference of the figure shows a divergence of 0.5 °, and each gray band represents two factors in the retroreflected intensity. All cube corners preferably have an error of 0.103 ° in only one of the flat face and the upper half angle. Fig. 46A shows t = 0.866 mm, Fig. 46B shows t = 0.217m, and Fig. 46C shows t = 0.087 mm.

도 6의 판에 있어서 홈 각도 90.103°를 형성함으로써, 공구로부터 정확하게 복제된 굴절률 1.49를 갖는 프리즘 물품은 지오메트리에 의해서만 정확하게 0.25°의 발산을 가져야 하며 모든 재귀 반사는 2 지점에서 지향된다. 실제로, 광 패턴은 큐브 크기에 좌우된다. 1mm의 큐브 높이 및 1.22 mm의 평면 폭을 갖는 도 46a의 큰 마이크로큐브에 대해서, 광 패턴은 지오메트리의 예측을 근사한다(도 46a). 0.25mm의 큐브 높이 및 0.306mm의 평면 폭을 갖는 도 46b의 평균 크기의 마이크로큐브에 대해서, 광 패턴은 여전히 기하학적 예측과 동일하지만, 상당히 넓어졌다(도 46b). 0.1mm의 큐브 높이와 0.122mm의 평면의 폭을 갖는 도 46c의 작은 마이크로큐브에 대해서, 광 패턴은 기하학적 예측과는 반대로, 2개의 예측된 지점(도 46c) 가까이, 0°의 발산에서 그 주요 피크를 가지며 3°의 발산에서는 약한 2차 피크만을 갖는다. 마이크로큐브에 의한 회절은 유익하게도 광 패턴을 평탄화하지만, 광을 비작용적인 방향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마이크로큐브에 있어서 회절이 계산되어야 한다. 적절한 큐브 코너 회절 이론은 적어도 35년 동안 광학 문헌에 기재되어 왔다.By forming the groove angle 90.103 [deg.] In the plate of FIG. 6, a prism article with an index of refraction 1.49 accurately replicated from the tool must have a divergence of 0.25 [deg.] Exactly by geometry only and all retroreflectives are directed at two points. In practice, the light pattern depends on the cube size. For the large microcube of FIG. 46A with a cube height of 1 mm and a plane width of 1.22 mm, the light pattern approximates the prediction of geometry (FIG. 46A). For the average size microcube of FIG. 46B with a cube height of 0.25 mm and a plane width of 0.306 mm, the light pattern is still the same as geometric prediction, but significantly wider (FIG. 46B). For the small microcube of FIG. 46C with a cube height of 0.1 mm and a plane width of 0.122 mm, the light pattern is its main at a divergence of 0 °, near two predicted points (FIG. 46C), as opposed to geometric prediction. Peaks and only weak secondary peaks at 3 ° divergence. Diffraction by the microcube advantageously flattens the light pattern, but diffraction must be calculated for every microcube because it can direct light in a non-functional direction. Suitable cube corner diffraction theory has been described in the optical literature for at least 35 years.

본 발명의 구조화 방법에 사용되는 판은 필요한 두께의 평평한 판으로 형성될 때 충분히 강하고 단단하게 조직화되는 어떤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재료는 반드시 고정밀도로 절삭되고 연마될 수 있어야 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어떤 플라스틱은 전기 주조를 위해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계적인 처리후에 금속화된다면 적합할 수 있다. 적절한 금속은 순도 925의 경화된 순은, 경화된 알루미늄 707T6 및 무전해 니켈을 포함한다. 무전해 니켈은 매우 단단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에 의해 용이하게 절삭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상에 도포된 무전해 니켈은 일단부 상에 무전해 니켈을 갖는 판로 분할되는데, 이 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별법으로, 무전해 니켈은 표면 안정화된 스테인레스 강철 블록(또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화된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물질의 블록) 상에 약 0.012 인치의 두께로 판(10)으로 기능하는 판으로 분리된 비점착성 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used in the stru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that is sufficiently strong and tightly organized when formed into a flat plate of the required thickness. The material must be able to be cut and polished with high precision. Some plastic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may be suitable if they are metallized after mechanical treatment to impart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lectroforming. Suitable metals include hardened pure silver of purity 925, hardened aluminum 707T6, and electroless nickel. Electroless nickel is known to be very hard but is easily cut by diamond cutting tools. Electroless nickel applied on stainless steel is divided into plates having electroless nickel on one end,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electroless nickel is a non-stick plate separated into a plate that functions as plate 10 to a thickness of about 0.012 inches on a surface stabilized stainless steel block (or block of other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metalized plastic). It can be formed as.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조화 및 어셈블리되어 배향될 때 판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큐브의 어셈블리는 전기 주조 복사에 대한 원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복사는 인접 소자의 클러스터로 어셈블리되고 클러스터는 다수의 복제물을 제공하기 위해 반복되며 이러한 처리가 반복되어 결국 연속하는 패턴을 갖는 가요성 스트립을 생성하는데, 이 스트립은 실린더형 심축 상에서 제공된 실린더형 세그먼트로 어셈블리되어 실린더형 세그먼트는 재귀 반사 소자에 제공되는 웹의 폭에 대응하는 소정의 치수의 실린더를 제공하도록 어셀블리되고, 어셈블리된 실린더는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갖는 가요성의 연속적인 원판 실린더를 제공하도록 복사된다. 원판 실린더는 비교적 두꺼운 마더 실린더를 형성하기 위해 복사되고 이어서 대략 실린더형의 금속 엠보싱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 복사될 수 있다.In another form of the invention, an assembly of microcubes formed by a plate when structured, assembled and orien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disc for electroforming radiation. The radiation is assembled into clusters of adjacent devices and the clusters are repeated to provide a large number of replicas,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to create a flexible strip with a continuous pattern, which strips into cylindrical segments provided on the cylindrical mandrel. The assembled cylindrical segment is assembled to provide a cylinder of a predetermined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eb provided to the retroreflective element, and the assembled cylinder radiates to provide a flexible continuous disc cylinder with a pattern of microcubes. do. The disc cylinder can be copied to form a relatively thick mother cylinder and then to form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metal embossing tool.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엠보싱 공구는 미국 특허 제4,486,3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재귀 반사성 시트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연속적인 수지성 시트재 재료의 표면 상에 마이크로큐브를 엠보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전술된 엠보싱 공구는 폐쇄된 경로를 따라 가열부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고 이어서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냉각부로 이동하는데, 수지성시트재 재료는 가열부를 통해 엠보싱 공구로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시트재는 공동마이크로큐브의 패턴과 직접 접촉하며, 시트재는 가열부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시트재의 일표면이 5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을 복사할 때까지 엠보싱 공구에 접하여 프레스된 후, 엠보싱 공구 및 시트재는 냉각부로 이송되어 시트재는 그 유리 전이 온도 이하에서 냉각되고, 엠보싱된 시트재는 엠보싱 공구로부터 분리된다.Embossing tools form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emboss the microcube on the surface of a continuous resinous sheet material to produce a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as disclosed in US Pat. No. 4,486,363. According to the method disclosed herein, the embossing tool described above is moved to a cooling section that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ing section along a closed path and then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wherein the resinous sheet material material is embossed through the heating section.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tool, the sheet materi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ttern of the cavity microcube, and the sheet material is pressed against the embossing tool until one surface of the sheet material copies the pattern of the pent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 at one or more points of the heating section. After that, the embossing tool and the sheet material are transferred to the cooling unit so that the sheet material is cooled below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embossed sheet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embossing tool.

당업자는 엠보싱 공구 및 전술한 기술에 추가하여, 전술한 5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 엠보싱 공구가 다른 방법, 예컨대 주형법, 프레스법, 또는 주조법에 의해 재귀 반사성 시트재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 5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갖는 전기 주조된 스트립에는 적절한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엠보싱 또는 압축 주형 공구이지만 Rowland에 의한 미국 특허 제4,244,6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비연속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n addition to the embossing tool and the foregoing technique, the aforementioned pent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 embossing tool can be used to produce the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by other methods, such as the casting method, the press method, or the casting method. I understand. For example, an electroformed strip having a hollow pent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a suitable support and may be embossed or compression molded tools but in a discontinuous manner as disclosed in US Pat. No. 4,244,683 by Rowland. Can be used.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고 다양한 큐브 형태의 마이크로큐브의 정밀한 광학 패턴을 갖는 재취 반사성 시트재는 시트재 상에 삼각형의 마이크로큐브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재귀 반사성 고속도로 표지 및 표지에 대해 특히 관련있는 0°내지 5°의 작은 입사각에 대해, 5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로 큐브의 전체 범위는 실질적으로 재귀 반사성에 대해 유효하지만, 삼각형 마이크로큐브는 66%의 범위만이 재귀 반사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협소한 입사각에서, 5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 재귀 반사성 시트재는 종래의 3각형 마이크로큐브에 비해서 그 재귀 반사성이 50% 증대한다.It is generally preferred that the reflective reflective sheet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having a precise optical pattern of various cube-shaped microcubes is formed with a triangular microcube on the sheet material. For small angles of incidence from 0 ° to 5 ° that are particularly relevant for retroreflective highway signs and signs, the full range of pent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s is substantially effective for retroreflective, while triangular microcubes have a 66% range only. This retroreflectivity is shown. Therefore, at these narrow angles of incidence, the five-sided or rectangular microcube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has a 50% increase in its retroreflectivity compared to conventional triangular microcubes.

마이크로큐브와 함께 제조되는 시트재보다는 재귀 반사성 물품이 또한 5각형 또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에 대한 변경에 유리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마이크로큐브를 통합한 포장 도로 표지는 감소된 재료 비용으로 인해 비용이 적게 들며, 존재하는 광선이 투사 광선에 가깝기 때문에 마모에 의해 덜 열화되어 표면 불규칙의 영향이 감소되며, 우묵한 포장 도로 표지 또는 약간 구져질 수 있는 포장 도로 표지에 대해 그림자에 의한 손실은 최소화된다.Retroreflective articles, rather than sheet materials made with microcubes, are also advantageous for modifications to pentagonal or rectangular microcubes. For example, pavement markings incorporating the microcub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ess expensive due to reduced material costs, and are less degraded by abrasion because the existing light rays are closer to the projection light, reducing the effects of surface irregularities, and pavement The loss by shadow is minimized for road signs or pavement signs that may be slightly crumpled.

반사성 시트재 업계에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및 비닐 등의 상이한 시트재 재료는 서로 다른 굴절률 "n"을 가지며, 동일한 큐브 형태라도 다른 재귀 반사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잘 공지되어 있다(도 37 참조).In the reflective sheet material art, it is well known that different sheet materials, such as acrylic, polycarbonate and vinyl,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 n " and exhibit different retroreflective properties even in the same cube form (see FIG. 37).

본 발명의 구조화 처리에 대한 변경에 의해 큐브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Modifications to the structured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for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cube.

(1)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면(416)의 421에서의 교차면과 홈면(516)의 521에서의 교차면의 깊이를 도 27과 도 27A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면(413, 513)의 423에서의 교차면의 깊이에 비교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정사각형 큐브를 세공할 수 있다. 정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배열은 결과적으로 도 27B에 평면도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큐브(500)는 정사각형이고, 연장된 가상선(515)에 따른 면(500A)은 5각형이 되며, 도 27B의 500A와 도 25B의 삼각형 면 300A를 비교하라. 또한, 도 27B의 사변형 면 500B와 500C는 도 25B의 면 300B와 300C와 비교되어 연장된다. 정사각형 큐브나 정사각형 범위를 벗어나 연장되는 큐브는 재귀 반사광의 스폿 패턴을 고려할 때 몇가지 이점을 갖는다.(1) As shown in FIG. 26, the depths of the intersecting plane at 421 of the groove face 416 and the intersecting plane at 521 of the groove face 516 are as shown in FIGS. 27 and 27A and the inclined surfaces 413 and 513. The square cube can be made by decreasing it as compared to the depth of intersection at 423. The arrangement of the square microcube is consequently shown in plan view in FIG. 27B, where cube 500 is square, face 500A along elongated imaginary line 515 is pentagonal, and 500A and FIG. Compare the triangular face 300A of FIG. 25B. In addition, the quadrilateral faces 500B and 500C of FIG. 27B extend in comparison with the faces 300B and 300C of FIG. 25B. Square cubes or cubes that extend beyond the square range have several advantages when considering the spot pattern of retroreflected light.

(2) 큐브 정점면에 수직에 비례하는 큐브축의 각도는 기계의 평면에 수직에 비례한 평면의 전면 124나 224의 각 X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기계 작업대의 수직에 비례하여 도 18, 도 23, 도 25, 도 27에 도시된 V형 홈의 내부각을 이등분하여 변형 가능하고, 입구 뾰족한 모서리상의 큐브축 각의 효과를 논하기 위해 동일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3,541,606호와 Hoopman의 미국 특허 제4,588,258호와 같은 관련특허를 참조한다.(2) The angle of the cube axis proportional to the perpendicular to the cube vertex plane is selected for the angle X of the front face 124 or 224 of the plane proportional to the plane of the machine and / or proportional to the vertical of the machine platform. 25, 27 can be deformed by dividing the internal angle of the V-shaped grooves shown in FIG. See related patents such as

(3) 직사각형 또는 5각형 마이크로큐브에 대해, 큐브면 사이의 2면각은 경사면을 가공하기 위해 도 15의 공구(119)의 절삭 에지(119A)를 예를 들어 도구 이동방향에서 보았을 때 공구의 작업대에 수직인 각으로 설정함으로써 및/또는 V형 홈의 협각 Y를 90°로부터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90°로부터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큐브면들 사이의 협각의 변화가 재귀 반사되는 빔의 발산을 제어한다.(3) For a rectangular or pentagonal microcube, the dihedral angle between the cube faces is the working table of the tool when viewed from the tool mov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cutting edge 119A of the tool 119 of FIG. Can be changed from 90 ° by setting it to an angle perpendicular to and / 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arrow angle Y of the V-shaped groove from 90 °, such that a change in the narrow angle between these cube planes is responsible for the divergence of the retroreflected beam. To control.

(4) 큐브 개구 크기는 평판 두께와 홈 깊이를 변경하거나 쌍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큐브의 열보다 더 큰 이중 두께 평판상의 마이크로큐브의 한 열을 가공하여 변경될 수 있고, 상이한 큐브 개구 크기의 마이크로큐브를 연결하여 어떤 하나의 관찰각에서의 전위 회절 손실을 최소화한다.(4) The cube opening size can be changed by varying the plate thickness and groove depth or by processing a row of microcubes on a double thickness flat plate larger than a row of paired microcubes, and providing different cube opening size microcubes. In order to minimize the potential diffraction loss at any one viewing angle.

(5) 직사각형 큐브의 하나의 에지는 직선이기 때문에, 상이한 특성을 갖는 대향하는 직사각형 큐브쌍의 세트는 그 세트 사이의 영역 손실이나 슬립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세트는 상이한 큐브 축이나 상이한 발산, 혹은 비활성면이나 세트 사이의 날카로운 에지가 없는 상이한 큐브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이한 큐브 높이를 갖는 평면들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하나 혹은 두 개로 결합하는 상이한 크기의 큐브열의 큐브 정점은 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한 세트의 커다란 큐브의 마지막 큐브열의 정점을 한 세트의 더 작은 큐브 방향으로 이동시켜 2 세트의 큐브의 물질의 체적을 동일하게 한다.(5) Since one edge of the rectangular cube is a straight line, sets of opposing rectangular cube pair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be joined without area loss or slip between the sets. Thus, the joining set may have different cube axes or different divergences, or different cube heights with no sharp edges between the non-active surfaces or sets. To move between planes with different cube heights, the cube vertices of different sized cube rows joining one or two may be off center. Move the vertices of the last cube row of one set of large cubes in the direction of one set of smaller cubes to equalize the volume of matter in the two sets of cubes.

유사하게, 대향하는 세트 쌍의 직사각형 큐브는 마이크로큐브 이외의 광학항목을 가지는 평면, 원통형 평면 혹은 렌즈 모양의 구성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재귀 반사부와 다른 광학부로 구성된 이러한 시트재는 투과되는 시트재로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평면이나 원통형 광학면의 직사각형 에지는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직사각형 에지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2가지 형태의 평면 사이의 임의의 슬립의 월을 방지시킨다.Similarly, rectangular cubes of opposed sets of pairs may be combined with planar, cylindrical or lenticular components with optics other than microcubes. Such a sheet material composed of a retroreflective portion and other optical portions is known in the art as a sheet material to be transmitted. The rectangular edges of the planar or cylindrical optical surfaces can be set at the same height as the rectangular edges of the rectangular microcube, thereby preventing any slip wall between the two types of planes.

(6) 커다란 입사각에 대해, 매크로큐브 기술에 있어서 복수의 핀의 직사각형 큐브는 포장 도로 표지용 6각형 큐브를 사용하여 예증될 때 한 방향으로 모두 향하여 결합될 수 있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큐브축에 나란하고 핀의 한 노출 측면에 대응하는 슬립 월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유사하게 마이크로큐브 기술에 대해,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를 가공하는 평면은 대향하여 방향 설정된 인접한 평면과(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방향지어진 커다란 경사각에 대해) 평면의 측면에 90°-R의 각으로 설정된 기준면을 접촉시키는 큐브 정점과 결합될 수 있고, R은 주굴절 광선과 정상적인 광선 사이의 각도가 된다.(6) For large angles of incidence, in the cubecube technique, rectangular cubes of a plurality of pins may be joined in all directions in one direction when exemplified using hexagonal cubes for pavement markings, parallel to the cube axis in use. And there will be a slip wall corresponding to one exposed side of the pin. Similarly for microcube technology, the plane for machining a rectangular microcube is a reference plane set at an angle of 90 ° -R to the side of the plane opposite to an adjacent plane oriented oppositely (or for a large angle of inclination optionally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ube vertices that are in contact with R, where R is the angle between the main and normal beams.

(7)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방향으로 밀접하게 그룹으로 설정된 사각 큐브는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을 만들어 생성될 수 있다. 어떤 순서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3세트의 홈은 도시된 것처럼 절삭된다. 3개의 홈 각각에 대해 2개의 면이 2개의 상이한 큐브에 대하여 각각 형성된다. 각 홈 세트는 평면에 대해 상이한 경사각 X와 절삭 공구의 상이한 협각을 요구하고, 이들 모두 삼각법에 의해 계산 가능하다. 하기 테이블 J는 여러 가지 큐브축 경사의 큐브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절삭 공구의 협각과 평면 경사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만일 큐브축 경사가 0°가 되면 평면을 기울여야 하는 각 X로 절삭 번호 #1로 하도록 45°가 되고, 제1 절삭 공구의 협각은 109.47°가 될 것이다. 도 32에 도시된 4개의 큐브 방향을 발생하기 위해, 완성된 평면은 대향하는 평면을 교번하여 결합하고,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180°로 회전된다. 큐브축 경사가 0°이외의 것이 되면, 평면의 경사각과 절삭 공구의 협각의 값은 각각 3개의 홈 세트 각각에 대해 하기 테이블 J에 도시된 것처럼 계산될 수 있다.(7) As shown in FIG. 32, rectangular cubes closely grouped in four directions can be generated by making a plane as shown in FIG. No order is required but the three sets of grooves are cut as shown. Two faces for each of the three grooves are formed for two different cubes, respectively. Each groove set requires a different angle of inclination X with respect to the plane and different narrow angles of the cutting tool, all of which can be calculated by trigonometry. Table J below shows the narrow angle and planar tilt angle of the cutting tool used to generate cubes of various cube axis tilts. For example, if the cube axis inclination is 0 °, then the plane angle will be 45 ° to make cutting number # 1 with the angle X to be tilted, and the narrow angle of the first cutting tool will be 109.47 °. To generate the four cube directions shown in FIG. 32, the finished planes alternately join opposite planes, for example rotated 180 ° relative to one another. When the cube axis inclination is other than 0 °, the values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ne and the narrow angle of the cutting tool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able J below for each of the three sets of grooves, respectively.

상기 기록된 큐브축 경사값은 단지 예증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거나 본 발명의 방법으로 획득 가능한 큐브축 경사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cube axis tilt values recorded above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limit the range of cube axis tilts obtainable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8) 도 36에 도시된 것과 같이 5각형의 마이크로큐브를 생성하기 위해, 평판(710, 810)이 제공되며, 각 평판은 한 면이 평평하고, 다른 한 면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과 동일한 협각과 평면상에 큐브를 소정 간격 이격시킨 폭을 갖는 V형 홈로 홈이 파여져 있다.(8) In order to generate a pentagonal microcube as shown in FIG. 36, plates 710 and 810 are provided, each plate being flat on one side and the other on the same narrow angle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The groove is dug into a V-shaped groove having a width spaced apart from the cub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plane.

여기서, g는 홈의 협각이고, u와 v는 평판(710, 810)상에 각각 형성된 큐브의 경사각이다(도 36A). 평판(710, 810)은 반드시 동일한 두께를 요구하지 않는다. 경사면(813)과 홈면(716)은 사각 큐브에 대해 상세히 기술된 절차와 동일한 절차로 평판(810)의 평탄면과 홈이 형성된 면으로 각각 절삭된다. 경사면(713)과 홈면(816)은 평판(710)의 홈이 형성된 면과 평탄면으로 절삭된다. 다음으로 이 평판들은 도 36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평판(710)이 쌍이 되고 2개의 평판(810)이 쌍이 되어 교차로 서로 대향하게 향한다. 2쌍의 대향하여 방향지어진 평판(710)의 조립의 동등물은 도 22 내지 도 25A의 사각 큐브로 도시된 것처럼 좀더 두꺼운 하나의 평판상에 2개의 큐브 열로 절삭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한 평판의 양 측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경사면(713, 813)은 각각 평판(710, 810)의 길이만큼 계속된다. 2개 이상의 인접한 큐브 구성 요소에 의해 공유된 연속된 면이 육각 큐브와 존재하기 때문에, 구성 요소간의 분리선은 다각형을 완성하도록 그려질 수 있는 가장 짧은 선(도 36의 선 715와 815)으로 여겨진다. 평판의 측면상의 홈의 에지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기 위하여 평판은 동등하게 홈이 생성된 더미 평판에 대향하여 홈이 형성된 측면으로 가공하도록 조립된다.Where g is the narrow angle of the groove, and u and v ar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cubes formed on the plates 710 and 810, respectively (FIG. 36A). Flat plates 710 and 810 do not necessarily require the same thickness. The inclined surface 813 and the grooved surface 716 are cut into the flat and grooved surfaces of the flat plate 810, respectively, in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detail for the rectangular cube. The inclined surface 713 and the groove surface 816 are cut into the grooved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of the flat plate 710. These plates are then paired with two plates 710 in pairs and two plates 810 in pairs facing each other at the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36. The equivalent of assembly of two pairs of oppositely oriented plates 710 can be made by cutting two rows of cubes onto one thicker plate as shown by the square cubes of FIGS. 22-25A.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for this structure. Inclined surfaces 713 and 813 continue as long as the plates 710 and 810, respectively. Since the contiguous faces shared by two or more adjacent cube components exist with the hexagonal cube, the dividing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are considered the shortest lines that can be drawn to complete the polygon (lines 715 and 815 in FIG. 36). In order to prevent damaging the edges of the grooves on the side of the plate, the plate is assembled to equally face the grooved side of the grooved dummy plate.

(9) 도 31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 마이크로큐브를 생성하기 위해, 경사 영역과 활성 영역은 큐브 형태에만 의존하지 않고, 평판의 평판(110) 또는 스택은 룰링 기계 절삭면의 수직에 대하여 소정 양 X만큼 각이 형성된 평판의 측면을 갖는 룰링 기계상에 배치된다. 삼각 마이크로큐브의 패턴은 연속하는 표면을 제한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평판의 절삭 가능 단부상에서 제어되고, Stamm의 미국 특허 제3,712,706호 또는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4,478,769호에 개시된다. 다음으로 제어된 평판은 도 31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되고, 평판이 서로 180°로 서로 향한다. 또한 도 31의 어셈블리는 2중 두께의 평판(210)을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개별적으로 이 평판의 단부상의 삼각 마이크로큐브의 두 배열을 제어하며,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사각형 마이크로큐브로 도시된다. 상기 두 방법중 하나의 방법으로 가공된 삼각 마이크로큐브의 경사는 각 X와 선택된 제어각으로 생성되는 큐브축 경사를 조합하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열로 쌍을 이루는 큐브는 면과 에지가 평평하게 번갈아 형성된다.(9) In order to produce a triangular microcube as shown in FIG. 31, the inclined and active regions do not depend only on the shape of the cube, and the flat plate 110 or stack of the plate has a predetermined amount X relative to the perpendicular of the rubbing machine cutting plane. As long as the angle is placed on the ruling machine having the side of the plate. The pattern of the triangular microcube is controlled on the cuttable end of the plate in a manner similar to limiting the continuous surface and disclosed in Stamm, US Pat. No. 3,712,706 or in Applicant's US Pat. No. 4,478,769. The controlled plates are then assembled as shown in FIG. 31 and the plates face each other at 180 ° to each other. The assembly of FIG. 31 is also made using a double-thick plate 210 and individually controls two arrangements of triangular microcubes on the ends of the plate, with the rectangular microcube shown in FIGS. 22-25. Shown. The inclination of the triangular microcube processed by one of the above two methods combines the X-axis and the inclination of the cube axis generated at the selected control angle. In most cases, rows of cubes are formed alternately with flat faces and edges.

(10) 도 35에 도시된 것처럼 5각형 면과 6각형 큐브로 이루어진 재귀 반사성 어레이는 복수의 평판으로 만들어지고, 각 평판은 2개의 대향하는 표면상에 평행한복수의 V형 홈을 갖는다. 평판을 형성하기 위해, 첫째로 대략 0.010" 두께로 스테인레스 강철 블록의 표면상에 접착성 비전자 니켈을 도금하여 원판을 형성한다. 비전자 니켈 원판은 120°인 협각을 갖는 한 세트의 평행한 V형 홈을 형성하도록 제어되고, 예를 들면 6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소정의 양단의 치수와 동등한 홈 폭, 즉0.006" 을 형성하도록 제어된다. 홈 표면은 패시베이션되고, 또한 원판상에 대략 0.010" 의 깊이로 비전자 니켈로 도포한다. 원판로부터 비전자 니켈 침전물을 제거하기 전에, 침전물의 표면은 서로 같은 120°V형 홈 세트로 가공되고, 원판상의 제1 세트의 V형 홈과 배열되며, 침전물의 니켈의 가장 큰 두께가 소정의 양단의 치수 배인 1.155와 동일한 깊이가 된다. 침전물은 원판로부터 홈 평면처럼 분리된다.(10) A retroreflective array consisting of a pentagonal face and a hexagonal cube as shown in FIG. 35 is made of a plurality of plates, each plate having a plurality of V-shaped grooves parallel to two opposing surfaces. To form a plate, first a plate is formed by plating adhesive non-electromagnetic nickel on the surface of a stainless steel block approximately 0.010 "thick. The non-electromagnetic nickel disc is a set of parallel Vs with a narrow angle of 120 °. It is controlled to form a groove, for example, to form a groove width equivalent to the dimension of the predetermined both ends of the hexagonal microcube, that is, 0.006 ". The groove surface is passivated and applied to the disc with non-electromagnetic nickel to a depth of approximately 0.010 ". Before removing the non-electromagnetic nickel deposit from the disc, the surfaces of the precipitate are machined into the same set of 120 ° V grooves, Arranged with the first set of V-shaped grooves on the disc, the largest thickness of nickel in the precipitate is the same depth as 1.155, which is the dimension of both ends, the precipitate is separated from the disc like a groove plane.

평판은 홈이 룰링 기계의 작업대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면 A는 협각이 70.52°인 절삭 공구로 가공되고(절삭 방향으로 돌출될 때), 협각의 2등분은 기계의 작업대에 수직이 된다. 다음으로 평판은 홈 측면은 각 X가 기계의 작업대에 수직에 관하여 50.77°와 동일하게 되도록 경사지어지고, 면 B1은 기계의 작업대에 수직인 협각의 2등분으로 131.81°인 협각을 갖는 절삭 공구로 절삭된다. 이 공정은 면 B2에도 반복된다.The plate is arranged so that the grooves are perpendicular to the workbench of the ruling machine. Face A is machined with a cutting tool with a narrow angle of 70.52 ° (when projecting in the cutting direction), and two halves of the narrow angle are perpendicular to the workbench of the machine. The plate is then inclined so that the groove side is angled so that each X is equal to 50.77 ° with respect to the machine's workbench, and face B1 is a cutting tool with a narrow angle of 131.81 ° with two halves of the angle perpendicular to the machine workbench. Is cut. This process is repeated for face B2.

완성된 평판은 홈 연동 장치와 전기 주조하기 위해 쌓이고, 측으로 1/2 큐브폭을 교체하는 인접한 평판이 된다. 어셈블리내의 하나의 평판은 굵은 선으로 도시된다.The finished plates are stacked for electroforming with the groove interlock and become adjacent plates replacing 1/2 cube width to the side. One plate in the assembly is shown by the bold line.

각 마이크로큐브에 있어서, 평판의 어셈블리 내에 하나의 작은 3각형 수직 벽부가 노출되어 잔존하고, 도 35에 원형으로 표시된 C로 나타낸 것처럼, 한 평면의 큐브 2면각은 인접한 평판의 큐브면에 인접한다. 이러한 노출된 벽부는 전기 주조나 엠보싱 처리로 문제발생을 제거하지만, 필요하다면 노출된 벽부는 드래프트될 수 있다.For each microcube, one small triangular vertical wall portion remains exposed in the assembly of plates, and as shown by the circled C in FIG. 35, the cube dihedral angle of one plane is adjacent to the cube plane of the adjacent plate. These exposed walls eliminate the problem by electroforming or embossing, but the exposed walls can be drafted if necessary.

당업계의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라 5각형 면을 갖는 6각형 큐브의 어레이를 생성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하지만 도시된 방법은 각 공작 평판에 바람직한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how to create an array of hexagonal cubes with pentagonal fac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method shown is preferred for each work plate.

실시예는 홈과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개시된 것임을 인지할 것이며, 레이저 절삭, EDM, 혹은 이온 가공과 같은 다른 선형 형성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공지된 여러 가지 룰링 기술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이 평평하지 않은 홈을 절삭할 수 있지만, 약간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will be disclosed that machining with diamond tools to form grooves and edges is disclosed, and that other linear forming techniques such as laser cutting, EDM, or ion processing may be used. In addition, various known ruling techniques can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lane may cut out grooves that are not flat, but may have some curvature.

Claims (34)

마이크로큐브 어레이를 포함한 물품에 있어서, 공간내의 모든 평면에 대하여, 인접 위치에 상기 평면에 평행한 면 에지(face edge)가 없는 2개의 인접한 마이크로큐브가 존재하고,In an article comprising a microcube array, for every plane in the space there are two adjacent microcubes without face edges parallel to the plane at adjacent locations, 상기 마이크로큐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약 1 mm2 이하의 돌출 영역을 갖고,At least one of the microcubes has a protruding area of about 1 mm 2 or les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에지 평행성(edge-more-parellel)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Wherein the at least one microcube is inclined with edge-more-parellel. 3×3의 마이크로큐브로 된 모든 영역이 룰링 불능(nonrulable)인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An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all regions of 3x3 microcubes contain an array of non-ruling microcubes. 연속 마이크로큐브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삼각형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And a continuous microcube array,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in the array is not triangul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3. The article of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is triangul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삼각형인 적어도 하나의 면과 삼각형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comprises at least one face that is a triangle and at least one face that is not a triang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재귀 반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array is retroreflecti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재귀 반사성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6, wherein the article comprises a retroreflective she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약 0.35 mm2 이하의 돌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8. The article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has a protruding area of about 0.35 mm 2 or les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약 0.04 내지 0.12 mm2 의 돌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8,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has a protruding region of about 0.04 to 0.12 mm 2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8. The article of claim 7,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 polymer res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수지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비닐,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0, wherein the polymer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s, polycarbonates, vinyls, polyesters, and polyethylen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모든 큐브축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all cube axes of the array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상기 마이크로큐브의 큐브축이 배치되는 대칭 평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대칭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어레이의 입사 각정도(entrance angularity)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has a plane of symmetry in which the cube axis of the microcube is disposed, and thus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rra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an article characterized by an increased entrance angularit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마이크로큐브의 대칭 평면에서의 재귀 반사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약 30°이하의 모든 입사각에 대하여 약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retroreflectivity in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microcubes of the array is substantially constant and is at least about 50% for all angles of incidence of about 30 °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포장 도로 표지의 재귀 반사성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array is a retroreflective part of a pavement sign. 제13항에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큐브는 면 평행성이고, 상기 면 평행성 마이크로큐브는 쌍을 이룬 마이크로큐브 또는 쌍을 이룬 마이크로큐브 어레이로서 제공되며, 그에 따라 대칭 평면으로 및 이 대칭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입사 각정도를 모두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cubes are face parallel and the face parallel microcubes are provided as paired microcubes or paired microcube arrays, thus being perpendicular to an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An articl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both the angle of incidence in one dire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입사광을 받기 위한 면을 가지며, 상기 물품의 재귀 반사기 축은 상기 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17. The article of claim 16, wherein the article has a surface for receiving incident light and the retroreflector axis of the article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적어도 일부의 마이크로큐브의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상기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적어도 하나의 면이 5각형인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And an array of microcubes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microcubes are rectangular in shap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tangular microcube is pentagonal. 직사각형의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적어도 그 일부는 임의의 인접 마이크로큐브의 어떤 2면각의(dihedral) 면 에지에 대해서도 2면각의 면 에지 공선성(collinear)을 갖지 않고,An array of rectangular microcube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has no dihedral face edge collinear with respect to any dihedral face edge of any adjacent microcube, 상기 마이크로큐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약 1 mm2 이하의 돌출 영역을 갖고,At least one of the microcubes has a protruding area of about 1 mm 2 or les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에지 평행성(edge-more-parellel)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Wherein the at least one microcube is inclined with edge-more-parelle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4개의 인접하는 사각형 마이크로큐브로 된 사각형 서브어레이를 포함하고, 각 마이크로큐브는 인접 마이크로큐브에 대하여 90°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20. The article of claim 19, wherein the array comprises a rectangular subarray of four adjacent rectangular microcubes, each microcube rotated 90 [deg.] Relative to an adjacent microcub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재귀 반사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생산에 사용되는 원판(mas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article is a master used in the production of a tool for mak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재귀 반사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생산에 사용되는 전기 주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article is of electroforming type used in the production of a tool for mak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는 투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8. The article of claim 7, wherein the sheet member is transparent. 접근하는 차량으로부터 볼 수 있는 표시를 완성된 도로 표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포장 도로 표지에 있어서, 상기 완성된 도로 표면상에 장착되는데 적합한 기초 부재와,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의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재귀 반사성 신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도로 표지.A pavement marking for installing a marking visible from an approaching vehicle on a completed road surface, comprising: an array of foundation members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finished road surface, and the microcube of claim 1. Pavement road sign comprising a retroreflective signal means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성 신호 수단의 전면은 도로 표면에 대하여 약 30° ~ 40° 경사지고, 경사진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큐브축 경사는 약 -5°~ -1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도로 표지.25. The apparatus of claim 24, wherein the front face of the retroreflective signaling means comprises an array of inclined rectangular microcubes that are inclined about 30 to 4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wherein the cube axis inclination is about -5 degrees to -13. A pavement 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range of °. 제25항에 있어서, 적어도 최대 30°의 수평 입사 각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도로 표지.26. The pavement sign of claim 25, having a horizontal angle of incidence of at least 30 degrees at leas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축 경사는 약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도로 표지.26. The pavement marker of claim 25, wherein the cube axis slope is about -9 degrees.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있어서, 마이크로큐브의 모든 3×3 서브어레이가 룰링 불능이고, 상기 마이크로큐브의 3×3 서브어레이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직사각형 또는 오각형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면 평행성으로 경사지고, 상기 마이크로큐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1 mm2 이하의 돌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In an article comprising an array of microcubes, all 3x3 subarrays of the microcube are non-ruleable, and at least one microcube in the 3x3 subarrays of the microcube is rectangular or pentagonal, and the at least one The microcube is inclined to plane parallelis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icrocubes has a protruding area of 1 mm 2 or les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상기 마이크로큐브의 큐브축이 배치되는 대칭 평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대칭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어레이의 입사 각정도(entrance angularity)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29. The system of claim 28,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has a symmetry plane in which the cube axis of the microcube is disposed, such that the entrance angularity of the array i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An articl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마이크로큐브 어레이를 포함한 물품에 있어서, 공간내의 모든 평면에 대하여 인접 위치에 상기 평면에 평행한 면 에지(front edge)가 없는 2개의 인접한 마이크로큐브가 존재하고,In an article comprising an array of microcubes, there are two adjacent microcubes with no front edge parallel to the plane at a location adjacent to all planes in the space,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직사각형 또는 오각형이고,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is rectangular or pentagonal,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면 평행성(face-more-parallel)이고,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is face-more-parallel,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1 mm2 이하의 돌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Wherein said at least one microcube has a protruding area of 1 mm 2 or less.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상기 마이크로큐브의 큐브축이 배치되는 대칭 평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대칭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어레이의 입사 각정도(entrance angularity)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has a symmetry plane in which the cube axis of the microcube is disposed, such that the entrance angularity of the array i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ymmetry plane. An articl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마이크로큐브 어레이를 포함한 물품에 있어서, 공간내의 모든 평면에 대하여 인접 위치에 상기 평면에 평행한 면 에지(front edge)가 없는 2개의 인접한 마이크로큐브가 존재하고,In an article comprising an array of microcubes, there are two adjacent microcubes with no front edge parallel to the plane at a location adjacent to all planes in the space, 상기 마이크로큐브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직사각형이고,The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microcube shape is rectangular, 상기 직사각형 마이크로큐브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At least one side of the rectangular microcube is pentagonal. 마이크로큐브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있어서, 마이크로큐브의 모든 3×3 서브어레이가 룰링 불능이고, 상기 마이크로큐브의 3×3 서브어레이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직사각형 또는 오각형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면 평행성으로 경사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1 mm2 이하의 돌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In an article comprising an array of microcubes, all 3x3 subarrays of the microcube are non-ruleable, and at least one microcube in the 3x3 subarrays of the microcube is rectangular or pentagonal, and the at least one The microcube is inclined to plane parallelism, wherein the at least one microcube has a protruding area of 1 mm 2 or less.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큐브는 상기 마이크로큐브의 큐브축이 배치되는 대칭 평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대칭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어레이의 입사 각정도(entrance angularity)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at least one microcube of the array has a symmetry plane in which the cube axis of the microcube is disposed so that the entrance angularity of the array i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symmetry. An articl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KR10-1998-0709739A 1996-05-30 1997-05-22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Expired - Lifetime KR1004988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739A KR100498822B1 (en) 1996-05-30 1997-05-22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55,595 1996-05-30
US08/655,595 1996-05-30
KR10-1998-0709739A KR100498822B1 (en) 1996-05-30 1997-05-22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71A KR20000016171A (en) 2000-03-25
KR100498822B1 true KR100498822B1 (en) 2005-11-23

Family

ID=436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39A Expired - Lifetime KR100498822B1 (en) 1996-05-30 1997-05-22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8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654A (en) * 2007-12-21 2009-06-25 김봉주 Retroreflective element and retroreflective body having same
CN113635495B (en) * 2021-10-15 2022-01-04 福建夜光达科技股份有限公司 Reflecting material mold with flat-top microprism arra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5815682A (en) * 2022-11-23 2023-03-21 福建安邦展示股份有限公司 Cutting machine for processing clothes display rack
CN115780910A (en) * 2022-12-05 2023-03-14 福建省安元光学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ngraving method of triangular cone retroreflective mo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773A (en) * 1976-11-18 1978-06-20 Beatrice Foods Co. Subassemblies for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 mol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773A (en) * 1976-11-18 1978-06-20 Beatrice Foods Co. Subassemblies for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 mol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71A (en)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700E1 (en)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oo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US6413615B2 (en) Cube corner geometric structures in a substrate formed by both replicating and machining processes
JP4302315B2 (en) Multi-directional retroreflective sheet
KR101257631B1 (en) Lamina comprising cube corner elements and retroreflective sheeting
US6257860B1 (en)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302992B1 (en)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s therefo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6990724B2 (en) Tile retroreflector with multi-step dicing
US20110216412A1 (en) Master tools with selectively orientable regions for manufacture of patterned sheeting
US6021559A (en) Methods of making a cube corner article master mold
JP3590065B2 (en) Retroreflective corner cub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20508483A (en) Non-orthogonal cube corner elements and their arrays manufactured by end milling
KR20060006764A (en) Recursive reflector with controlled divergence produced by substrate stress localization method
KR100498822B1 (en)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00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RU2610926C2 (en) Rulable multi-directional prism cluster retroreflective she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11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