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8797B1 -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구비한 점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구비한 점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797B1
KR100498797B1 KR10-1999-7004011A KR19997004011A KR100498797B1 KR 100498797 B1 KR100498797 B1 KR 100498797B1 KR 19997004011 A KR19997004011 A KR 19997004011A KR 100498797 B1 KR100498797 B1 KR 10049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ion current
winding
ignition coil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088A (ko
Inventor
푀트만로타르
골린발터
아이젤레베른하르트
케테러마르쿠스
비쇼프휴베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129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987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5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7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02P2017/125Measuring ionisation of combustion gas, e.g. by using igni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실린더의 점화 플러그에서 이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점화 플러그 마다 점화 코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 코일 장치는 점화 전압을 형성하며 변압기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점화 코일 장치의 2차 권선을 통해 상기 이온 전류가 흐르는, 내연 기관용 유도 점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온 전류의 측정 지속 시간 동안 1차 권선(L1)을 단락시키는 스위치(S1)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구비한 점화 장치{Igniting system with a device for measuring the ion current}
본 발명은 각 실린더의 점화 플러그에서 이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점화 플러그 마다 점화 코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 코일 장치는 점화 고전압을 형성하며 변압기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점화 코일 장치의 2차 권선을 통해 이온 전류가 흐르는, 내연 기관용 유도 점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은 효율로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고 온 보드 진단(On-Board-Diagnose) 영역의 엄격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연소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확한 진단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진단 시스템은 또한 경제적이어야 한다. 연소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내연 기관의 연소실로부터 직접 얻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소위 이온 전류 측정이 실시되는데, 이 측정시 점화 플러그는 연소 사이클 동안 먼저 그 본래의 과제를 실시하며, 즉 연소 혼합기를 점화하고, 그후 이온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사용됨으로써 추가 기능을 한다. 이것은 연소실에서 추가 센서를 위한 공간이 필요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온 전류 측정은 연료 공기 혼합기의 연소동안 이온이 생성된다는 원리에 기초한다. 이 이온화는, 이온 전류의 전형적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연소과정의 특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이한 메카니즘에 기초한다. 이온 전류 측정을 위해서 점화 플러그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연소실에 존재하는 전자와 이온이 전기장의 상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전하 캐리어를 통하여 운반되는 전류가 형성된다. 이 전류는 앞서 언급한 이온 전류이다. 공지된 이온 전류 측정 방법이, 변압기 원리에 따라 작동하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가지는 점화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유도 점화 장치에서 사용되면, 비교적 큰 2차 인덕턴스로 인해, 점화 플러그의 스파크 지속 시간이 양호하게 제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양호하게 제어되지 않는 지속 시간은 측정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큰 2차 인덕턴스에 의해 이온 전류 신호 통로에 비교적 낮은 주파수만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낮은 주파수는 예컨대 확실한 노킹 검출을 위해 충분하지 않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가지는 유도 점화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이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가지는 유도 점화 장치의 제 2 실시예.
독립항에 언급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장치는, 이온 전류 측정 의 지속 시간 동안 점화 코일 장치의 1차 권선을 단락시키는 스위치를 통하여, 점화코일의 자기 회로 내의 잔류 에너지가 1차측에서 소실되어, 즉,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점화 스파크를 더 이상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점화 스파크가 매우 신속하게 그리고 재현가능하게 원하는 시점에서 소멸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점화 코일 장치의 1차측의 단락을 통하여 점화 코일의 2차측의 차단 주파수가 현저히 위로 이동되므로, 노킹 진동이 유의적 이온 전류 프로파일을 가져오기 때문에, 원치않는 작동 상태인 내연 기관의 노킹 진동이 감쇠되지 않은 채로 관찰될 수 있다.
스위치의 스위칭 경로가 폐쇄 상태에서 매우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화 코일 장치의 1차 회로는 2차 회로보다 현저히 더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며, 그 결과 점화 스파크가 신속하게 소멸된다.
특히 스위치는, 낮은 임피던스의 스위칭 경로를 가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로서 형성될 수 있다.
끝으로, 측정 장치가 스위치를 바람직하게는 주기적으로 소정의 스파크 종료시점에서, 적어도 전체 이온 전류 측정의 지속 시간동안 폐쇄하는 제어 장치를 가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경우 그것의 상응하는 활성화를 통하여 이뤄진다.
도 1은 도시하지 않은 내연 기관에 사용되는 유도 점화 장치를 나타낸다. 점화 장치는 자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1차 권선(L1)과 2차 권선(L2)을 포함하는 점화 코일 장치(1)를 가진다. 1차 권선(L1)의 권선 단부(2)는 작동전압 즉, 내연 기관이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배터리 전압(Ub)에 접속된다. 1차 권선(L1)의 다른 권선 단부(3)는 트랜지스터(T1)의 스위칭 경로로 안내되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소정의 점화 시점에 상응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권선 단부(3)는 트랜지스터(T1)의 도전 상태에서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이미터 구간을 통해 접지(M)에 접속된다(전압(Ub)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음극). 도시되지 않은 내연 기관에 속하는 점화 플러그(ZK)의 한 전극(4)은 접지(M)에 접속된다. 점화 플러그(ZK)의 다른 전극(5)은 점화 코일 장치(1)의 2차 권선(L2)의 권선 단부(6)에 접속된다. 점화 코일 장치(1)의 다른 권선 단부(7)는 이온 전류(I)의 측정에 이용되는 측정 장치(8)에 안내된다. 또한 측정 장치(8)는 접지(M)에 접속된다. 점화 코일 장치(1)의 1차 권선(L1)의 한 권선 단부(2)는 스위치(S1)의 한쪽 극에 접속된다. 스위치(S1)의 다른 극은 1차 권선(L1)의 다른 권선 단부(3)에 안내된다. 따라서, 스위치(S1)가 폐쇄되면, 점화 코일 장치(1)의 1차 권선(L1)이 단락될 수 있다. 스위치(S1)는 바람직하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로서 구성되며,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상기 1차 권선의 단락을 실행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9)는 도시되지 않은, 화살표(10)로 표시된 제어 장치에 의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S1)가 상응하게 활성화됨으로써 점화 코일 장치(1)의 1차 권선(L1)을 단락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의 선택된 활성화를 통하여 점화 코일 장치의 1차 권선(L1)에서 전류흐름이 트리거링되고, 이 전류 흐름은 2차측, 즉 2차 권선(L2)에서 고전압을 형성하고, 이 고전압은 점화 플러그(ZK)에서 점화 스파크를 트리거링한다. 연소 과정이 시작되면, 소정 파라미터에 대한 추론이 가능하도록 후속해서, 센서로서 작용하는 점화 플러그(ZK)에 의해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서 이온 전류가 측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S1)는 폐쇄되며, 이로써 점화 코일 장치의 1차 권선은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그 결과, 자기 회로에 존재하는 잔류 에너지는 소실된다. 즉, 열에너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점화 스파크는 매우 신속하게 규정된 방식으로 소멸된다. 동시에 1차 권선의 단락을 통하여 점화 코일 장치의 2차측의 차단주파수가 현저히 위로 이동되고, 그 결과 측정은 노킹진동에 관련된 범위에서 매우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이온 전류의 측정을 통하여 내연 기관의 특히 임계적인 원치않는 작동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로 인해, 즉 이온 전류 측정의 전체 지속 시간 동안 1차 권선의 단락으로 인해, 정확하고 짧은 스파크 지속 시간이이 점화 플러그에서 실현되므로, 점화 스파크 작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후속하는 측정 평가를 방해하거나 또는 측정 주기를 "마스크(mask)"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락을 통하여 또한 점화 시스템의 감쇠(decay)가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이온 전류의 측정은 잘못된 해석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감쇠 효과(decay effect)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권선의 단락으로 인한 차단 주파수의 상승을 통하여 종래 시스템에 존재하는 명백한 대역 제한(band limiting)이 극복되는데, 이러한 대역 제한은 지금까지 원치않는 작동상태, 예컨대 노킹 진동(3 내지 20 kHz)의 검출시 매우 방해되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이온 전류가 흐르는 2차 권선의 종래의 불량한 신호 전달 특성이 개선된다.
도 2는 이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가지는 유도 점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과 같은 부품은 같은 도면부호를 가진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이들 양 실시예들의 차이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이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장치(8)는 점화 코일 장치(1)의 2차 회로 내에 배치되는 반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1차 회로 내에 배치되고,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배터리(Ub)의 양극이 측정 장치(8)에 접속되며, 거기서부터 1차 권선(L1)의 한 권선 단부(2)에 안내된다. 1차 권선(L1)의 다른 권선 단부(3)는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접지(M)(배터리 전압(Ub)의 음극)에 안내된다. 또한 점화 플러그(ZK)의 전극(4)은 접지(M)와 접속된다. 점화 플러그(ZK)의 다른 전극(5)은 점화 코일 장치(1)의 2차 권선(L2)의 권선 단부(7)에 접속되며 2차 권선(L2)의 다른 권선 단부(6)는 1차 권선(L1)의 권선 단부(2)에 접속된다. 그러한 점에 있어서 점화 코일 장치(1)는 단권 변압기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로서 형성된 스위치(S1)가 1차 권선(L1)에 병렬로 접속된다. 즉, 스위치(S1)의 스위칭 경로의 한 극이 점화 코일 장치(1)의 1차 권선(L1)의 권선 단부(2)에, 그리고 스위치(S1)의 다른 극이 권선 단부(3)에 접속된다.
다음에 상기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트랜지스터(T1)를 도전 상태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점화 코일 장치(1)의 1차 권선(L1)을 통해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전류는 2차측, 즉 2차 권선(L2)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고전압은 점화 플러그를 트리거링한다. 도시되지 않은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서 연료 공기 혼합기의 점화후에 스위치(S1)가 제어 장치(화살표 10)에 의해 폐쇄된다. 즉, 점화 코일 장치(1)의 1차 권선(L1)이 단락된다. 이 때문에 도 1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장점이 나타나며, 그 결과 측정 장치(8)에 의해 최적의 이온 전류 측정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4)

  1. 각 실린더의 점화 플러그에서 이온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점화 플러그 마다 점화 코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 코일 장치는 점화 전압을 형성하며 변압기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점화 코일 장치의 2차 권선을 통해 상기 이온 전류가 흐르는, 내연 기관용 유도 점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류 측정 지속 시간 동안 상기 1차 권선(L1)을 단락시키는 스위치(S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1)의 스위칭 경로는 폐쇄 상태에서 매우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1)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8)는 상기 스위치(S1)를 주기적으로, 적어도 상기 이온 전류 측정의 지속시간 동안 폐쇄하는 제어 장치(화살표 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KR10-1999-7004011A 1996-11-28 1997-09-26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구비한 점화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98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9278.5 1996-11-28
DE19649278A DE19649278A1 (de) 1996-11-28 1996-11-28 Zündvorrichtung mit Ionenstrom-Meß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088A KR20000053088A (ko) 2000-08-25
KR100498797B1 true KR100498797B1 (ko) 2005-07-01

Family

ID=781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0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8797B1 (ko) 1996-11-28 1997-09-26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구비한 점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4155B1 (ko)
EP (1) EP0953109B1 (ko)
JP (1) JP2001506721A (ko)
KR (1) KR100498797B1 (ko)
DE (2) DE19649278A1 (ko)
WO (1) WO1998023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868C1 (de) * 1998-09-02 2000-02-10 Stiebel Eltron Gmbh & Co Kg Verfahren und Schaltung zum Erfassen des Luft-Kraftstoff-Verhältnisses einer Verbrennungsphase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9845400A1 (de) * 1998-10-02 1999-12-16 Daimler Chrysler Ag Hochspannungstransistorspulenzündung mit Stromregeleinrichtung und Ionenstrommesseinrichtung
DE19849258A1 (de) 1998-10-26 2000-04-2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ergieregelung an Zündsystemen mit primärseitigem Kurzschlußschalter
DE60039325D1 (de) 1999-06-25 2008-08-14 Ngk Spark Plug Co Zündeinheit für innere Brennkraftmaschine
DE19953710B4 (de) * 1999-11-08 2010-06-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ßfenster-Positionierung für die Ionenstrommessung
JP3869275B2 (ja) * 2001-04-05 2007-01-1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内燃機関のイオン電流検出装置
DE10234252B4 (de) * 2002-07-27 2008-09-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von Verbrennungsaussetzern
DE102005044030B4 (de) * 2005-09-14 2011-02-17 Stiebel Eltron Gmbh & Co. K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Ionisationsmessung bei Verbrennungskraftmaschinen mit Unterdrückung der Zündrestspannung
DE102005041823B3 (de) * 2005-09-02 2007-02-01 Siemens Ag Steuergerät zum Betrieb wenigstens eines Kraftstoffinjektor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10807B4 (de) * 2006-03-07 2015-06-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altung zum Erfassen verbrennungsrelevanter Größen
WO2015009594A1 (en) 2013-07-17 2015-01-22 Delphi Technologies, Inc. Ignition system for spark ignition engin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50340846A1 (en) * 2014-05-21 2015-11-26 Caterpillar Inc. Det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spark voltage
JP6756739B2 (ja) * 2015-05-14 2020-09-16 エルド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セ.ペー.アー. 内燃機関用の電子点火システム
US10221827B2 (en) * 2015-08-14 2019-03-05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Ionization detector with ignition coil inductance shorting
US9739252B1 (en) 2016-02-19 2017-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ngine knock and misfire
JP6342026B1 (ja) 2017-02-14 2018-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SE542389C2 (en) 2018-09-04 2020-04-21 Sem Ab An ignition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spark ignited combustion engin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4257U (ko) * 1977-12-15 1979-07-04
US4738239A (en) * 1987-07-31 1988-04-19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Ignition system
DE69031878T2 (de) * 1989-03-14 1998-05-28 Denso Corp Zündvorrichtung mit mehrfacher Funkenzündung
JPH04134181A (ja) 1990-09-27 1992-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オン電流検出装置
DE4409749A1 (de) 1994-03-22 1995-09-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Erkennung klopfender Verbrennung bei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Hochspannungstransistorspulenzündeinrichtung
SE507263C2 (sv) 1995-04-05 1998-05-04 Sem Ab Sätt att utföra jonströmmätning i en förbränningsmotor där mager bränsleblandning används
DE19524499B4 (de) * 1995-07-05 2008-11-13 Robert Bosch Gmbh Zünd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088A (ko) 2000-08-25
EP0953109B1 (de) 2003-03-19
EP0953109A1 (de) 1999-11-03
WO1998023859A1 (de) 1998-06-04
DE19649278A1 (de) 1998-06-04
US20020050823A1 (en) 2002-05-02
US6424155B1 (en) 2002-07-23
DE59709590D1 (de) 2003-04-24
JP2001506721A (ja) 2001-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797B1 (ko) 이온 전류 측정 장치를 구비한 점화 장치
US6954074B2 (en) Circuit for measuring ionization current in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18276A (en) Ion current detection device
US4491110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sensing apparatus
US6779517B2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57537B2 (en) Ion curr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39930B2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477758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ionization current in ignition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80007266A1 (en) Engine abnormal condition detecting device
JP3219794B2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US4341195A (en) Ignition system for spark plugs capable of removing carbon deposits
EP3022437B1 (en) Ignition system for spark ignition engin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6281682B1 (en) Sensor for detecting ignition current and ion current in ignition secondary circuit
JP3619040B2 (ja)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US5970965A (en) Inductive coil ignition system for an engine
US7251571B2 (en) Methods of diagnosing open-secondary winding of an ignition coil using the ionization current signal
CN107949699B (zh) 通过使初级电感短路的火花塞线圈的电离探测器
US4217872A (en) Multiple spark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672773B2 (ja) 測定信号を、詳細には内燃機関の点火プラグの電極間のイオン流に対応する信号を高電圧側検知するための装置
JP3676662B2 (ja) 内燃機関点火装置
JP2003222066A (ja) 失火検出装置
JP2014070504A (ja) イオン電流検出装置
JPS6146662B2 (ko)
US11939944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n ignition coi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lectronic ignition system thereof for detecting a misfire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686282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n ignition coi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lectronic ignition system thereof for detecting a preignition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