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8743B1 - 전동식 모형비행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모형비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743B1
KR100498743B1 KR10-2002-0072143A KR20020072143A KR100498743B1 KR 100498743 B1 KR100498743 B1 KR 100498743B1 KR 20020072143 A KR20020072143 A KR 20020072143A KR 100498743 B1 KR100498743 B1 KR 10049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uselage
electric motor
electric
model airpl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767A (ko
Inventor
하상헌
Original Assignee
하이즈항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즈항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즈항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743B1/ko
Priority to AU2002353625A priority patent/AU2002353625A1/en
Priority to PCT/KR2002/002169 priority patent/WO2004045735A1/en
Publication of KR2004004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7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2Model aircraft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동체를 갖는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있어서,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동체의 전방 하부에 수용 결합되는 충전지;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형비행기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동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 일단부가 상기 동체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일붐(tail boom); 및 전단과 후단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시위선의 길이 대비 전단으로부터 1/4 이내에 최대 캠버(camber)가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주익과, 상기 테일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미익을 갖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륙 초기의 발진(launch)자세와 일기 여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우수한 비행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종래의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비해 망실 위험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모형비행기{Electric-powered free flight plane}
본 발명은,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용이나 학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동력 방식의 모형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놀이용이나 학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형비행기는 동력원에 따라 무동력, 고무동력, 전기동력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무동력 모형비행기는 동력발생장치 없이 자연적인 바람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것으로서 동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간편한 점은 있으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비행하기 위해서는 상승풍이 부는 언덕에서 모형비행기를 던져서 비행시켜야 하므로 수많은 추락을 동반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무동력은 고무줄을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모형비행기를 비행시키는 것이나 일반적으로 멀리 날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전기동력을 사용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는, 동체와 날개, 동체에 결합되어 있는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에 결합된 프로펠러와,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전동모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동체와 날개 등은 주로 금속재료보다 가벼운 나무나 합성수지제로 제작되며, 배터리는 2차 충전식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계열의 전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식 모형비행기는, 다른 방식의 모형비행기에 비해 중량 및 크기가 작게 제작가능하며 착륙 후 동력의 재 공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있어서는, 초속 6m 이상의 기류가 존재하는 경우 비행자체가 어려운 등 일기 여건에 민감하고 이륙 초기의 발진(launch) 자세에 비행궤적 및 성능이 크게 좌우되고, 동력이 정지된 이후에도 기류를 타게 되어 하강하지 않고 계속 비행함으로써 쉽게 망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의 낮은 용량으로 인하여 비행속도가 낮으며 비행을 위해서는 동체와 날개의 중량을 최소화하여야 했으므로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륙 초기의 발진(launch) 자세와 일기 여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우수한 비행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종래의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비해 망실 위험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는 전동식 모형비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빠른 비행속도와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전동식 모형비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동체와,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동체의 전방 하부에 수용 결합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체에 결합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와, 일단부가 상기 동체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일붐(tail boom)과, 상기 동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주익과 상기 테일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미익을 갖는 날개를 구비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모형비행기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동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주익은 그 전단과 후단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시위선의 길이 대비 전단으로부터 1/4 이내에 최대 캠버(camber)가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주익의 중앙부에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의 중심선이 상기 시위선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되는 후류(backwash, 後流)의 일부가 미익에 흐르게 되어 비행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의 중심선과 상기 테일붐의 축선은 3°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익은 수평미익과 수직미익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미익은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상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가능한 수평조종면을 갖는 것이 우수한 비행안정성을 갖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미익은 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테일붐의 좌측에 결합되며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가능한 수직조종면을 갖는 것이 망실의 위험 방지에 있어서 보다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동체와 상기 날개는 스티로폴로 성형되고, 상기 충전지는 콘덴서인 것이 경량화와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비행할 수 있는 데에 보다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모형비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모형비행기(1)는, 유선형의 동체(10)와, 동체(10)의 전방 하부에 수용 결합되는 충전지(20)와, 충전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체(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전동모터(30)와, 충전지(20)의 측부영역의 동체(10)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전원스위치(23)와, 전동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40)와, 일단부가 동체(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동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일붐(50)과, 동체(10) 및 테일붐(50)에 결합되는 날개(60)를 갖는다. 날개(60)는 동체(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양력을 발생시키는 주익(61)과, 테일붐(5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미익(63)을 구비하며, 미익(63)은 수직방향으로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수직미익(65)과 좌우방향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수평미익(67)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동체(10)와, 주익(61), 테일붐(50), 충전지(20), 전동모터(30) 간의 결합과, 테일붐(50)과 수평미익(67) 및 수직미익(65) 간의 결합 등은 초산비닐수지계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충전지(20)는, 경량이고 대용량이라면 충전식 배터리도 무방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중량과 추진력을 고려하여 최근에 상용화된 경량의 대용량 콘덴서(20)인데, 콘덴서(20)는 초기 출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콘덴서(20)는, 직경 10mm, 길이 30mm, 정격전압 2.3V, 용량 10F, 중량 3.5 그램으로서, 충전단자(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동체(10)의 전방 하부에 수용 결합된다. 콘덴서(20)의 전극단자는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21)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는데, 후술할 충전기(70)의 접속단자(71)가 콘덴서(20)의 전극단자 즉 충전단자(21)에 접촉되면 콘덴서(20)가 충전되게 된다. 그리고 콘덴서(20)가 동체(10)의 전방 하부에 수용 결합됨으로써 전동식 모형비행기(1)의 무게 중심 하부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콘덴서(20)가 위치하게 되어 전동식 모형비행기(1)는 우수한 정안정성 및 동안정성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콘덴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모터(30)는, 회전축(31)의 중심선이 주익(61)의 전단과 후단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시위선(62)과 나란하도록 동체(10)의 후방 상부 및 주익(61)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전동모터(30)가 결합된 위치는 모형비행기(1)의 무게중심에 비해 약 17mm 상방에 있게 된다.
전원스위치(23)는 동체(10)의 측부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전동모터(30)에 공급되는 콘덴서(20)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데, 정격용량이 150mA 이상인 토글(toggle) 방식의 푸시 온 오프(push on/off) 형태이며, 콘덴서(20)의 전극단자 즉 충전단자(21) 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스위치(23)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전원스위치(23)를 온 상태에서 한번 누르면 전동모터(30)로의 콘덴서(2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오프 상태가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여기서 한 번 더 누르면 전원스위치(23)가 튀어나와 콘덴서(20)의 전원이 전동모터(30)로 공급되는 온 상태가 되게 된다. 따라서 충전 시에는 전원스위치(23)를 오프 상태로 두어 전동모터(30)로의 공급을 차단하여 충전을 시키고,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스위치(23)를 한 번 더 누르되 엄지 또는 검지로 전원스위치(23)를 계속 누르면서 모형비행기(1)를 손으로 던져 발진(launch)시키면 모형비행기(1)가 손을 떠남과 동시에 눌러진 전원스위치(23)가 튀어나와 콘덴서(20)로부터 전동모터(30)로의 전원공급이 시작되고 프로펠러(40)가 회전하게 되어 추진력이 생기게 된다.
도 5는 도 1의 프로펠러의 단면도로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40)는 직경(D) 60mm, 피치(P) 40mm에서 50mm로서, 비행속도 6m/sec, RPM 9500 에서 비교적 높은 3.5 그램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동체(10) 후방에 푸서(pusher) 형태로서 장착된다. 프로펠러(40)의 추력선은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의 중심선과 동일하므로 모형비행기(1) 무게 중심에 대해 17mm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동력이 공급될 때 모형비행기(1)의 기수를 숙이게 하는 피칭 다운(pitching-down)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 피칭 다운(pitching-down) 모멘트는, 모형비행기(1)가 가속될 때 모형비행기(1) 주익(61)에 의해 발생되는 피칭 업(pitching-up) 모멘트 증가를 상쇄시켜, 동력이 존재하는 경우의 비행 시에 피칭 모멘트(pitching moment)가 평형을 이루게 하여 모형비행기(1)의 비행 안정성을 증대시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테일붐(50)은 길이가 대략 135mm로서, 주익(61)의 시위선(62)으로부터 35mm 하방의 위치에서 일단이 동체(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동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테일붐(50)과 주익(61)의 시위선(62)은 약 3도의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테일붐(50)은 경량의 목재 위에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중량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날개(60)는, 주익(61)과, 주익(61)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테일붐(50)에 결합되는 미익(63)을 구비하며, 미익(63)은 수평미익(67) 및 수직미익(65)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1의 주익의 단면도로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주익(61)은 길이가 320mm, 폭은 60mm, 상반각(Dihedral)(A1)이 8도로서, 주익(61)의 익형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 스티로폴을 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주익(61)의 최대 캠버(C)는 시위선 길이(L) 대비 5-8%로 하였으며, 최대 캠버(C)의 위치(X)를 전단으로부터 15-22%에 위치하도록 하여 실속으로부터 회복 특성이 우수하도록 설계하였다. 최대 캠버(C)의 위치(X)가 익형의 공력 중심 위치인 25%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익형은, 실속 시에 피치 각도를 줄이려는 큰 피칭 다운 모멘트 특성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형비행기(1)의 속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피칭다운 모멘트가 크게 감소하여 모형비행기(1)의 피치 각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익(61)의 형상에 의해 야기되는 실속으로부터 우수한 회복 특성은 이륙 시의 발진(launch) 자세 및 후술할 수평미익(67)의 수평조종면(68)의 부적절한 조정에 대처하여 모형비행기(1)의 비행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이륙 시의 발진자세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큰 피치 각도를 갖고 이륙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실속으로부터 회복되게 하여 정상적인 비행이 가능하게 되며, 지나치게 낮은 피치 각도를 갖고 이륙한 경우에는, 신속한 속도 증가에 따른 양력 증가 및 피치 각도 증가를 야기해 지표면에 닿기 이전에 다시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륙 시 수평미익(67)의 수평조종면(68)이 과도하게 상향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말해서 모형비행기(1)가 상방으로 큰 피칭 모멘트를 받는 경우, 고도의 손실 없이 실속으로부터 회복하게 하여 일반적인 모형항공기에서 볼 수 있는 급격한 실속에 의한 추락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이륙 시 수평미익(67)의 수평조종면(68)이 과도하게 하향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말해서 모형비행기(1)가 하방으로 큰 피칭 모멘트를 받는 경우, 고도의 손실에 따라 모형비행기(1)가 가속될 때 양력이 크게 증가되어 급격한 지면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강한 기류를 받는 경우에는, 주익(61)에서의 유동속도 증가에 따라 주익(61)의 피칭 다운 모멘트가 감소하게 되므로 모형비행기(1)의 피치 각도가 증가하게 되어 실속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주익(61)의 형상에 의해 곧 바로 실속으로부터 회복하게 되며 이러한 실속 및 실속으로부터의 회복 비행을 반복함으로써 고도 상승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기류에 의해 모형비행기(1)가 급속히 상승하여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은 도 1의 미익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익(63)은 수평미익(67)과 수직미익(65)을 갖는다. 수직미익(65)은 후방에서 바라볼 때 테일붐(50)의 좌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가능한 수직조종면(66)을 갖는다. 수직미익(65)이 후방에서 바라볼 때 테일붐(50)의 좌측에 결합되어 있는 것은, 프로펠러(40)에 의한 모형비행기(1)의 롤(roll) 운동 모멘트를 후류에 의해 수직미익(65)에서 발생하는 롤(roll) 운동 모멘트가 상쇄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모형비행기(1)가 직선으로 멀리 날아가지 않고 선회하도록 하여 방향운동 안정성을 증가시키 위함이다. 그리고 수평미익(67)은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수평조종면(68)을 갖는데, 수평조종면(68)이 절곡되는 부분에는 절곡의 편의를 위하여 얇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조종면(68)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시키면 즉 수평조종면(68)을 상향 입력시키면,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이 테일붐(50)에 의해 약 3도 가량 경사져 있으므로 프로펠러(40)의 후류가 수평미익(67)의 일부분에 흐르게 되고, 이 후류에 의해 수평미익(67)에서 모형비행기(1)의 피치 자세를 높이려는 피칭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수평미익(67)의 수평조종면(68)을 통해 비행시 발생되는 피칭 모멘트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평미익(67)과 수직미익(65)도 스티로폴을 이용하여 평면 형태로 성형가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30) 및 프로펠러(40)가 모형비행기(1) 전체 무게 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평미익(67)의 수평조종면(68)을 적절히 조정하면 동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수평 또는 완만한 상승 비행 시에 피칭 모멘트 평형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한 비행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동력이 소모되면, 모형비행기(1)의 피칭 모멘트의 평형은 하강 각도 약 12도(A2)로 하강 비행할 때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동력이 소모된 항공기는 기류의 영향을 적게 받고 신속하게 지상으로 귀환함으로써 기류에 의한 항공기의 망실 위험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모형비행기의 사용방법 및 비행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1의 전동식 모형비행기를 충전기에 충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비행기(1)의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21)를 충전기(70)의 접속단자(71)에 접촉시키면 콘덴서(20)가 충전이 된다. 만약 전원스위치(23)를 눌러 오프 상태로 두지 않으면 충전됨과 동시에 전동모터(30)로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프로펠러(40)가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전원스위치(23)를 오프 시킨 상태에서 콘덴서(20)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전이 끝난 후 전원스위치(23)를 온 시키되 엄지 또는 검지로 계속 전원스위치(23)를 누른 상태에서 모형비행기(1)를 손으로 던져 발진(launch)시키는 것이 유리한데, 이에 의하여 모형비행기(1)가 손을 떠남과 동시에 눌러진 전원스위치(23)의 튀어나와 콘덴서(20)로부터 전동모터(30)로의 전원 공급이 시작되어 프로펠러(40)가 회전하게 되고 모형비행기(1)는 프로펠러(40)의 추진력에 의해 비행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의 비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와 같이 동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30)가 모형비행기(1)의 전체 무게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프로펠러(40)를 회전시키므로 이에 의하여 피칭 모멘트가 하방으로 작용하게 되고, 수평미익(67)은 프로펠러(40)의 후류에 의해 상방으로 작용하는 피칭 모멘트를 야기하여 이 두 가지의 피칭 모멘트가 서로 상쇄됨으로써 피칭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안전하게 비행하게 된다. 그리고 동력이 소모된 경우, 즉 모터의 힘이 일정한 토크를 갖지 못하여 추력이 약해진 상태에서는 도 10과 같이 모형비행기(1)가 약 12도의 각도로서 하강하게 된다. 왜냐하면 동력이 소모된 상태에서 모형비행기(1)가 하강하는 때에는 추진력에 의한 하방의 피칭 모멘트가 감소하는 것보다 프로펠러(40)의 후류가 약해짐에 따라 수평미익(67)에 발생하는 상방의 피칭 모멘트가 감소하는 폭이 더 크게 되므로 기수를 숙이게 되며 이로써 약 12도의 하강각도에서 피칭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하강비행을 계속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항공기는 기류의 영향을 적게 받고 신속하게 지상으로 귀환함으로써 기류에 의한 항공기의 망실 위험을 줄이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속으로부터 신속한 회복을 가능하게 하도록 주익(61)의 형상을 구성하고 모형비행기(1)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전동모터(30)와 프로펠러(40)를 설치함으로써 이륙 초기의 발진 자세와 일기 여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우수한 비행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망실 위험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량의 대용량 콘덴서(20)를 장착하고 날개(60) 및 동체(10)를 스티로폴로 구성하며 테일붐(50)을 경량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비행속도가 빠르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충전지(20)가 경량의 대용량 콘덴서(20)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충전식 배터리가 경량의 대용량인 것이라면 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충전단자(21)가 콘덴서(20)의 전극단자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콘덴서(20)의 전극단자와 접속되고 그 단부에 충전단자(21)가 형성된 충전코드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수평미익(67)의 수평조종면(68)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조정된 것과,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이 주익(61)의 시위선(62)과 나란하게 전동모터(30)가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각각 상술하였으나, 동력이 있는 경우 피칭모멘트 평형을 이루면서 비행할 수 있다면 각각 수평조종면(68)이 하방으로 경사질 수도, 전동모터(30)가 주익(61)의 시위선(62)과 나란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륙 초기의 발진(launch) 자세와 일기 여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우수한 비행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종래의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비해 망실 위험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식 모형비행기가 제공된다.
또한, 경량의 대용량 콘덴서를 장착하고 날개 및 동체를 스티로폴로 구성하며 테일붐을 경량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비행속도와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전동식 모형비행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모형비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동체 부분을 파단한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프로펠러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주익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미익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전동식 모형비행기를 충전기에 충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의 비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식 모형비행기 10 : 동체
20 : 충전지(=콘덴서) 21 : 충전단자
23 : 전원스위치 30 : 전동모터
40 : 프로펠러 50 : 테일붐
60 : 날개 61 : 주익
63 : 미익 65 : 수직미익
66 : 수직조종면 67 : 수평미익
68 : 수평조종면 70 : 충전기
71 : 접속단자

Claims (7)

  1. 동체와,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동체의 전방 하부에 수용 결합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체에 결합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와, 일단부가 상기 동체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일붐(tail boom)과, 상기 동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주익과 상기 테일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미익을 갖는 날개를 구비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모형비행기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동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주익은 그 전단과 후단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시위선의 길이 대비 전단으로부터 1/4 이내에 최대 캠버(camber)가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주익의 중앙부에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의 중심선이 상기 시위선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의 중심선과 상기 테일붐의 축선은 약 3°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익은 수평미익과 수직미익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미익은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상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가능한 수평조종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미익은 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테일붐의 좌측에 결합되며 후단부의 일부 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가능한 수직조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상기 날개는 스티로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는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형비행기.
KR10-2002-0072143A 2002-11-20 2002-11-20 전동식 모형비행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9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43A KR100498743B1 (ko) 2002-11-20 2002-11-20 전동식 모형비행기
AU2002353625A AU2002353625A1 (en) 2002-11-20 2002-11-20 Electric-powered free flight plane
PCT/KR2002/002169 WO2004045735A1 (en) 2002-11-20 2002-11-20 Electric-powered free flight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43A KR100498743B1 (ko) 2002-11-20 2002-11-20 전동식 모형비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67A KR20040043767A (ko) 2004-05-27
KR100498743B1 true KR100498743B1 (ko) 2005-07-01

Family

ID=3232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1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8743B1 (ko) 2002-11-20 2002-11-20 전동식 모형비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8743B1 (ko)
AU (1) AU2002353625A1 (ko)
WO (1) WO20040457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706B1 (ko) * 2010-12-23 2012-04-26 이광숙 유체 흐름을 이용한 종이 비행기
KR200467869Y1 (ko) 2012-01-17 2013-07-23 허철 전동식 모형 비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5981A1 (en) 2005-02-04 2006-08-17 Silverlit Toys, Inc. Propulsion system for model airplane
US7073750B1 (en) * 2005-02-04 2006-07-11 Silverlit Toys Manufactory Ltd Propulsion system for model airplane
CN100522304C (zh) * 2005-02-08 2009-08-05 蔡奇逢 模型飞机的推进系统
US8133089B2 (en) 2006-05-03 2012-03-13 Mattel, Inc. Modular toy aircraft with capacitor power sources
US7918707B2 (en) 2006-05-03 2011-04-05 Mattel, Inc. Toy aircraft with modular power systems and wheels
US8348714B2 (en) 2008-05-30 2013-01-08 Mattel, Inc. Toy flying aircraft
KR101046360B1 (ko) * 2008-10-20 2011-07-04 한국과학기술원 원격 제어 모바일 유닛의 자동 충전 시스템
CN105667790A (zh) * 2016-01-15 2016-06-15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可弹射起飞撞网回收的无人机总体布局
CN114288681A (zh) * 2021-12-31 2022-04-08 杭州中天模型有限公司 一种遥控飞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432A (ko) * 1974-04-01 1975-11-29
JPH0833772A (ja) * 1994-07-22 1996-02-06 Sato Kensetsu Kogyo Kk 無線操縦小型飛行機
KR0119711Y1 (ko) * 1995-08-23 1998-07-15 김경옥 전동식 모형 비행기
KR200228056Y1 (ko) * 2000-11-28 2001-06-15 윤여형 충전 가능한 모형 동력 비행기
US20020061698A1 (en) * 2000-07-14 2002-05-23 Yu Tian Remote electro-aeropla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57B1 (ko) * 1996-12-31 2000-09-01 정몽규 그리스 도포장치
KR200299494Y1 (ko) * 2002-09-04 2002-12-31 김진갑 전동 모형비행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432A (ko) * 1974-04-01 1975-11-29
JPH0833772A (ja) * 1994-07-22 1996-02-06 Sato Kensetsu Kogyo Kk 無線操縦小型飛行機
KR0119711Y1 (ko) * 1995-08-23 1998-07-15 김경옥 전동식 모형 비행기
US20020061698A1 (en) * 2000-07-14 2002-05-23 Yu Tian Remote electro-aeroplane
KR200228056Y1 (ko) * 2000-11-28 2001-06-15 윤여형 충전 가능한 모형 동력 비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706B1 (ko) * 2010-12-23 2012-04-26 이광숙 유체 흐름을 이용한 종이 비행기
KR200467869Y1 (ko) 2012-01-17 2013-07-23 허철 전동식 모형 비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67A (ko) 2004-05-27
AU2002353625A1 (en) 2004-06-15
WO2004045735A1 (en)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949B2 (en) Power-driven ornithopter
CN106794899B (zh) 飞行设备
KR100498743B1 (ko) 전동식 모형비행기
JP7670732B2 (ja) 翼端に位置付けられたプロペラを伴う航空機
CN110143275B (zh) 多旋翼无人机
US20090008497A1 (en) Rotary-wing miniature gyro helicopter
EP1666356A1 (en) Small unmanned aircraft
CN105346715A (zh) 一种垂直起降无人机
EP3774528B1 (en) Wing tips and wing tip construction and design methods
CN117858831A (zh) 飞行器、飞行器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96624A (zh) 螺旋桨、动力组件及飞行器
CN105346725A (zh) 一种垂直起降无人机
CN118323498A (zh) 一种具有超长待机和续航能力的水空两栖无人机
KR20130083122A (ko) 제작이 쉬운 전동식 모형비행기
CN216636804U (zh) 多旋翼无人机
CN205627087U (zh) 一种手掷智能电动玩具飞机
EP2131936B1 (en) Toy aircraft with modular power systems and wheels
CN212220532U (zh) 一种可收放可调角度式直升机短翼
KR20240030430A (ko) 교체된 날개 인식 기능을 갖는 드론 시스템
US4133139A (en) Jet-propelled model airplane
CN114655421A (zh) 三翼面飞行器的气动布局
KR100811084B1 (ko) 자동회전을 이용한 모형 회전익기
US12291329B2 (en) Integrated thrust-lift wing
CN111003169B (zh) 一种可实现短距起降飞翼
CN210822743U (zh) 一种自转四旋翼高速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