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6967B1 -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967B1
KR100496967B1 KR10-2002-0087020A KR20020087020A KR100496967B1 KR 100496967 B1 KR100496967 B1 KR 100496967B1 KR 20020087020 A KR20020087020 A KR 20020087020A KR 100496967 B1 KR100496967 B1 KR 10049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ixing hole
folder
hinge device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215A (ko
Inventor
이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9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폴더의 하단부에 고정·형성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홀더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일측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타측부가 상기 삽입공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용샤프트와, 휴대폰 본체의 상단 일측에 상기 회전샤프트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공과, 휴대폰 본체의 상단 타측에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 및 고정공의 단면은 모서리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 및 고정공의 단면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본체의 고정공 및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의 단면형상이 모서리부를 포함하지 않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폴더 개폐시 고정공 및 결합용샤프트 사이의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의 고정공 및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인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폴더 개폐시 고정공둘레부에 발생하는 응력집중 현상이 완만한 장점이 있기도 하다.

Description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FOLDER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휴대폰 폴더의 홀더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휴대폰 본체의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를 포함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의 한 예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출원번호: 20-2001-0040176)가 있었다.
도1a는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1b는 도1a에 도시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1c는 도1a에 도시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는, 커버(410)에 고정된 홀더부(412)와, 홀더부(412)에 고정되는 하우징(300)과, 하우징(3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슬립부(320)와, 하우징(300)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슬립부(320)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고정슬립부(330)와, 하우징(300)내에서 고정슬립부(330)를 탄지하는 스프링(340)과, 본체(400)에 형성되어 회전슬립부를 고정하는 제1지지부(402)와, 본체(400)에 형성되어 홀더부(412)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406)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부(412)는 일측방향으로 하우징(300)이 삽입고정되는 삽입공(414)이 개방되고, 타측방향으로 회전샤프트(416)가 돌출된다.
그리고 하우징(300)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302)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관통공(304)이 형성되며, 타단부의 내측면에 돌기(306)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슬립부(320)는, 관통공(304)으로 통과되는 결합용 샤프트(322)가 형성되고, 결합용 샤프트(322)와 대향되는 측의 중심에 결합축(324)이 형성되며, 결합축(324)의 외주에 제1원통부(326)가 형성되고, 제1원통부(326)의 상단면에 결합공(332)을 향하여 수평이 되는 연속적인 면으로 이루어지고 1회전시 2파장의 파형 굴곡을 갖는 제1파형면(328)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슬립부(330)는, 결합축(32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332)이 중심에 형성되고, 결합공(332)의 외주에 제2원통부(334)가 형성되며, 제2원통부(334)의 상단면을 따라 제1파형면(328)에 대응되는 제2파형면(336)이 형성된다. 결합축(324)은 결합공(332)에 삽입되어 제1파형면(328)과 제2파형면(336)이 접촉하여 회전할 때, 회전슬립부(320)와 고정슬립부(330)가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전후의 이동만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고정슬립부(330)의 측면에는 슬라이딩돌기(338)가 형성되고, 하우징(300)의 내부공간(302)에는 슬라이딩돌기(33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고정슬립부(3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308)이 형성되어 고정슬립부(330)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면서도 직진운동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스프링(340)은, 일단부가 돌기(30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고정슬립부(330)를 탄지하는 상태로 내부공간(302) 내에 삽입된다. 결합공(332)을 통과한 결합축(324)의 하단은 스프링(340)의 중심에 끼워져 스프링(34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지지부(402)는 결합용 샤프트(322)가 고정결합되는 고정공(404)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406)는 회전샤프트(41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공(408)이 형성된다.
그러나,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출원번호: 20-2001-0040176)를 포함한 종래의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공(404)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 샤프트(322) 및 고정공(404)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에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어 휴대폰의 커버 내지 폴더 개폐시 모서리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힌지장치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즉, 도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있어서 휴대폰 폴더가 일정각도 개방되며 멈추게 되는 경우 고정공(404)의 둘레부에는 결합용샤프트(322)의 압축력에 의해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고정공(404)의 모서리부에는 단면적의 변화가 심하여 노치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노치효과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은 두드러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공(1404)의 파손으로 힌지장치가 사용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휴대폰의 커버 내지 폴더는 그 용도상 필연적으로 휴대폰 본체를 반복적으로 개폐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므로 힌지장치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고정공 및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의 단면형상이 모서리부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휴대폰의 폴더 내지 커버 개폐시 고정공 및 결합용샤프트 사이의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의 고정공 및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의 단면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함으로써 휴대폰의 폴더 내지 커버 개폐시 고정공 및 결합용샤프트 사이의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폴더의 하단부에 고정·형성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홀더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일측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타측부가 상기 삽입공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용샤프트와, 휴대폰 본체의 상단 일측에 상기 회전샤프트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공과, 휴대폰 본체의 상단 타측에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 및 고정공은 단면 형상의 둘레부에 상기 폴더 개폐시 응력이 집중되는 모서리부가 형성되지 않고 완만하게 변화되도록 이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홀더부 및 고정공의 사시도를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공의 응력 상태도를 나타낸다.
상기한 종래 기술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휴대폰 폴더의 하단부에 고정·형성되는 홀더부(1412)와, 홀더부(1412)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샤프트(1416)와, 홀더부(1412)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삽입공(1414)과, 삽입공(1414)에 수용되는 하우징(1300)과, 일측부가 하우징(1300)에 삽입되고 타측부가 삽입공(1414)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용샤프트(1322)와, 휴대폰 본체의 상단 일측에 회전샤프트(1416)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공(도면 미도시)과, 휴대폰 본체의 상단 타측에 결합용샤프트(1322)의 타측부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공(1404)을 포함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삽입공(1414)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용샤프트(1322)의 타측부는 횡단면이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고정공(1404)도 횡단면이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고정공(1404)은 결합용샤프트(1322)의 타측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결합용샤프트(1322)의 타측부 및 고정공(1404)의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고정공(1404) 둘레부의 단면적의 변화가 완만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노치효과의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고정공(1404) 둘레부에 발생하는 응력집중 현상이 줄어들게 되어 고정공(1404)이 파손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용샤프트(1322)의 타측부 및 고정공(1404)의 횡단면이 타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용샤프트(1322)의 타측부 및 고정공(1404)의 횡단면은 고정공(1404)의 둘레부가 급격한 단면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모서리부를 포함하지 않는 기타의 형상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체의 고정공 및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의 단면형상이 모서리부를 포함하지 않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폴더 개폐시 고정공 및 결합용샤프트 사이의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의 고정공 및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용샤프트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인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폴더 개폐시 고정공둘레부에 발생하는 응력집중 현상이 완만한 장점이 있기도 하다.
도1a는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b는 도1a에 도시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1c는 도1a에 도시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2는 도1a에 도시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에 있어서 홀더부 및 고정공의 사시도.
도3은 도1a에 도시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에 있어서 고정공의 응력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홀더부 및 고정공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공의 응력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300: 하우징 1322: 결합용샤프트
1404: 고정공 1412: 홀더부
1414: 삽입공 1416: 회전샤프트

Claims (2)

  1. 휴대폰 폴더의 하단부에 고정·형성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홀더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일측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타측부가 상기 삽입공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용샤프트와, 휴대폰 본체의 상단 일측에 상기 회전샤프트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공과, 휴대폰 본체의 상단 타측에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샤프트의 타측부 및 고정공은 단면 형상의 둘레부에 상기 폴더 개폐시 응력이 집중되는 모서리부가 형성되지 않고 완만하게 변화되도록 이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2. 삭제
KR10-2002-0087020A 2002-12-30 2002-12-30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9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020A KR100496967B1 (ko) 2002-12-30 2002-12-30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020A KR100496967B1 (ko) 2002-12-30 2002-12-30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215A KR20040061215A (ko) 2004-07-07
KR100496967B1 true KR100496967B1 (ko) 2005-06-23

Family

ID=3735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0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6967B1 (ko) 2002-12-30 2002-12-30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9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215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886A (en) Hinge apparatus
US20050235458A1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radiotelephone
KR100439744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US20050150081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96967B1 (ko)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352046Y1 (ko) 힌지장치
JP2003097133A (ja) 蝶番構造
KR200214694Y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0032223A (ko)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휴대폰
JP2005093219A (ja) 外部端子構造
KR200394685Y1 (ko) 스윙힌지 모듈
JP3769486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
KR10067246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
KR20018326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56533Y1 (ko) 휴대폰의 플립힌지장치
KR1005496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트랩홀더 구조
KR200327959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JPH1070594A (ja) 開閉検出構造
KR200228976Y1 (ko) 회전형 힌지구조
KR20020072828A (ko) 힌지장치
KR200317846Y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 개폐 가이드 장치
KR200267096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