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9624B1 -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624B1
KR100489624B1 KR10-2002-0034880A KR20020034880A KR100489624B1 KR 100489624 B1 KR100489624 B1 KR 100489624B1 KR 20020034880 A KR20020034880 A KR 20020034880A KR 100489624 B1 KR100489624 B1 KR 10048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ospheric pressure
workpiece
pressure plasma
plasma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488A (ko
Inventor
박용석
김동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to KR10-2002-003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624B1/ko
Priority to TW092112540A priority patent/TWI286048B/zh
Priority to CNB031383645A priority patent/CN1232159C/zh
Publication of KR2003009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62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전원 인가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서, 피처리물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과 전자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피처리물의 표면 정전기량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Atmospheric pressure plasma generator}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압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는 방전시 기체의 온도가 높은 것을 이용하여 금속 절단, 용접 및 소각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플라즈마 상태에서 발생되는 활성 입자들을 화학 반응 등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의 표면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피처리물 표면 위의 이물질 및 입자들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 거리에 따른 전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두 전극(10, 20) 중 음극(10)에는 주파수 수십 Hz에서 수백 kHz의 교류전원(40)을 인가하고 양극(20)은 접지(50)하여, 가스 주입구(30)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압 상태에서 플라즈마(60)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60) 전위와 각 전극(10, 20) 사이의 전위차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피처리물(70)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42)과 전자(52)의 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조정치의 값을 크게 하면 이온(42)이 음극(10)으로 많은 양이 통과하여 결과적으로 피처리물(70)에 도달하는 이온(42)의 수가 감소한다. 그러나, 피처리물(70)에 도달하는 전자(52)의 수는 조절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도달하는 이온(42)과 전자(52)수의 차에 의한 높은 전위의 정전기가 발생한다. 특히, 피처리물(70)의 표면이 도전체와 절연체로 구성된 경우( 예를 들어, 금속막이 절연막 위에 패터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전기가 방전됨으로 인하여 패턴 불량이 발생된다.
즉, 종래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의 표면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그 표면 위의 이물질 및 입자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처리 표면 및 피처리물의 상태나 구조에 따라 높은 정전기의 방전에 의해 손상을 받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처리물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과 전자의 수를 제어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즈마 전위와 각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제안한다. 이 장치는, 피처리물 상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가스를 주입하고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피처리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로서, 상기 플라즈마의 전위와 상기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양극과 음극 각각에 주파수가 서로 다른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가 상기 피처리물 측으로 유도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기 피처리물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보조 전극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음극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처리물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과 전자의 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요소는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거리에 따른 전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장치에서는, 두 전극(110, 120) 각각에 주파수가 f1과 f2로 서로 다른 교류전원(140, 150)을 인가한다. 주파수 f1과 f2는 각각 수십 Hz에서 수백 k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교류전원(140, 150) 각각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 BPF)(145, 155)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압 상태에서 가스 주입구(130)에 헬륨, 아르곤, 질소, 산소 등의 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160)를 발생시킨다. 두 전극(110, 120) 각각에 교류전원(140, 150)을 인가함으로써, 플라즈마(160) 전위와 각 전극(110, 120) 사이의 전위차를 독립적으로 조절/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조정치 1과 조정치 2를 조절함으로써 전위차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독립적인 전위차의 조절은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어 이송 중인) 피처리물(170)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142)과 전자(152)의 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피처리물(170) 표면의 전기적 특성을 중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피처리물 표면(170)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피처리물(170)의 재질 및 표면 상태와 관계없이 상압 플라즈마를 정전기의 데미지(damage)없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자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조정치 1의 값을 크게 할 경우에는 이온(142)이 음극(110)으로 많은 양이 통과하여 결과적으로 피처리물(170)에 도달하는 이온(142)의 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조정치 1의 조절은 피처리물(170)에 도달하는 이온(142)의 수를 결정한다. 또한 조정치 2의 값을 크게 하면 전자(152)가 양극(120)으로 많은 양이 통과하여 결과적으로 피처리물(170)에 도달하는 전자(152)의 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조정치 2의 조절은 피처리물(170)에 도달하는 전자(152)의 수를 결정한다. 즉, 피처리물(170) 표면에서의 정전기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정치 1과 조정치 2를 조정함으로써 피처리물(170)의 표면에 전기적 특성을 중성으로 유지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양극(120) 또는 음극(110) 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하여 피처리물(170)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142)과 전자(152)의 수를 허용범위로 내로 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앞의 도 3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피처리물에 이온 및 전자를 도달하게 하는 요소는 중력과 공급 가스에 의한 흐름이다. 도 5에 나타낸 장치에는 이러한 요소에 추가하여, 피처리물(170)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보조 전극(180)에 의해 피처리물(170)에 전자와 이온이 원활하게 도달하게 유도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전위와 각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피처리물의 표면에 도달하는 이온과 전자의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처리물의 재질 및 표면 상태에 관계없이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적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반도체 및 LCD의 공정에서 절연막 위에 패터닝된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라도 본 발명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적용한다면, 패턴의 데미지 없이 피처리물의 표면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표면 위의 이물질 및 입자들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변형없이 표면 세정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생산 단가가 저감되고 공정 단순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 거리에 따른 전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거리에 따른 전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음극 120 : 양극
130 : 가스 주입구 140, 150 : 교류전원
145, 155 : 대역 통과 필터 160 : 플라즈마
170 : 피처리물 180 : 보조 전극

Claims (3)

  1. 피처리물 상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가스를 주입하고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피처리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의 전위와 상기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양극과 음극 각각에 주파수가 서로 다른 교류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플라즈마가 상기 피처리물 측으로 유도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기 피처리물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보조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음극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3. 삭제
KR10-2002-0034880A 2002-06-21 2002-06-21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8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880A KR100489624B1 (ko) 2002-06-21 2002-06-21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TW092112540A TWI286048B (en) 2002-06-21 2003-05-08 Atmospheric pressure plasma generator
CNB031383645A CN1232159C (zh) 2002-06-21 2003-05-28 常压等离子体产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880A KR100489624B1 (ko) 2002-06-21 2002-06-21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488A KR20030097488A (ko) 2003-12-31
KR100489624B1 true KR100489624B1 (ko) 2005-05-17

Family

ID=2999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880A Expired - Lifetime KR100489624B1 (ko) 2002-06-21 2002-06-21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89624B1 (ko)
CN (1) CN1232159C (ko)
TW (1) TWI286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90B1 (ko) * 2006-11-01 2008-05-09 주식회사 에이피아이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0905257B1 (ko) * 2007-08-31 2009-06-29 세메스 주식회사 전위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전위 제어 유닛 및 기판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4925A (ja) * 1990-08-07 1991-09-06 Tadahiro Omi プラズマプロセス用装置および方法
JPH04290226A (ja) * 1991-03-19 1992-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発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87289A (ko) * 1997-05-22 1998-12-05 미따라이 후지오 플라즈마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302167B1 (ko) * 1993-11-05 2001-11-22 히가시 데쓰로 플라즈마처리장치및플라즈마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4925A (ja) * 1990-08-07 1991-09-06 Tadahiro Omi プラズマプロセス用装置および方法
JPH04290226A (ja) * 1991-03-19 1992-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発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02167B1 (ko) * 1993-11-05 2001-11-22 히가시 데쓰로 플라즈마처리장치및플라즈마처리방법
KR19980087289A (ko) * 1997-05-22 1998-12-05 미따라이 후지오 플라즈마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2159C (zh) 2005-12-14
KR20030097488A (ko) 2003-12-31
CN1468044A (zh) 2004-01-14
TWI286048B (en) 2007-08-21
TW200400781A (en) 200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698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JP2748886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1800649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US20090078678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JP7140610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1127045A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方法
KR20030051692A (ko) 플라즈마 처리챔버에서 단일 주파수 rf전력을 이용한웨이퍼 처리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0388528B2 (en) Non-ambipolar electric pressure plasma uniformity control
KR20010079658A (ko) 반도체 웨이퍼를 처리하는 동안 반도체 웨이퍼 아싱을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82215A (ko) 활성 가스 생성 장치
KR100549901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4146773B2 (ja)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489624B1 (ko) 상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
US20210225621A1 (en) Two-Phased Atmospheric Plasma Generator
KR100878467B1 (ko) 반도체 기판 처리장치
KR100603099B1 (ko) 플라즈마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2070945A1 (ja) プラズマ処理装置
CA2387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tching and deposition using micro-plasmas
KR100391180B1 (ko) 기재표면의 플라즈마 화학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94644B1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기판 처리장치
JP2016096342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0488361B1 (ko) 대기압 저온 평판 플라즈마 발생장치
KR20090008001A (ko) 확장형 파워전극을 구비한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JP4134741B2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
KR101262904B1 (ko) 플라즈마 식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12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