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222B1 - 그래프트공중합체와하이드록실아민화합물을포함하는조성물및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해중합지연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프트공중합체와하이드록실아민화합물을포함하는조성물및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해중합지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9222B1 KR100489222B1 KR1019970070398A KR19970070398A KR100489222B1 KR 100489222 B1 KR100489222 B1 KR 100489222B1 KR 1019970070398 A KR1019970070398 A KR 1019970070398A KR 19970070398 A KR19970070398 A KR 19970070398A KR 100489222 B1 KR100489222 B1 KR 100489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thylene
- propylene
- olefins
- copolymer
- olef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그래프트 중합되어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주쇄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물질(여기서, 중합된 단량체의 총량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100부당 10부 내지 120부이며, 공단량체의 존재시 당해 공단량체의 양은 중합된 단량체 총량의 20몰% 이하이다) 및(2) 중합체 물질 100부당 화학식 T1T2NOH의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여기서, T1은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 그룹,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탄소수 7 내지 9의 아르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거나 또는, 1 또는 2개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아르알킬 그룹이고, T2는 수소이거나 T1과 동일하다) 0.025부 내지 5.0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다음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 성분(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A)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B) 에틸렌 및 C4-C10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단, 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중합된 에틸렌의 최대 함량은 10중량%이고, 올레핀이 C4-C10 α-올레핀인 경우, 이의 중합된 최대 함량은 20중량%이다),(C) 에틸렌 및 C4-C8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3원공중합체(단, 중합된 C4-C8 α-올레핀의 최대 함량은 20중량%이며, 에틸렌이 올레핀 중의 하나일 경우, 중합된 에틸렌의 최대 함량은 5중량%이다),(D)(i) 이소택틱 지수가 85% 내지 98%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a),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α-올레핀(여기서, R은 C2-8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이다)(b), 및 프로필렌 및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 10% 내지 50%; (ⅱ) 시차 주사 열분석법(DSC)으로 측정시 결정화도가 20% 내지 80%인, 반결정성(semi-crystalline)이며 사실상 선형인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에틸렌, 및 에틸렌을 55%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a); 에틸렌,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1% 내지 10%와 에틸렌과 α-올레핀 둘 다를 55% 내지 99% 함유하는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b); 및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55% 내지 98% 함유하는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실온 또는 대기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다] 5% 내지 20% 및 (iii)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에틸렌을 20% 내지 40% 미만 함유한다)(a); 에틸렌, 프로필렌 및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여기서, α-올레핀은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하며, 존재하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양은 20% 내지 40% 미만이다)(b); 및 α-올레핀 20% 내지 40% 미만과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함유하는, 에틸렌과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대기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 점도가 1.7 내지 3.0㎗/g이다) 40% 내지 80%로 사실상 이루어진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여기서, (ii)와 (iii)의 총량은, 총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65% 내지 80%이고, (ii)/(iii)의 중량비는 0.1 내지 0.3이며, 에틸렌 또는 C4-8 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총 함량은 50% 미만이다] 및(E)(i)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함량이 85% 이상이고, 이소택틱 지수가 85% 이상인 에틸렌, C4-8 α-올레핀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60%; (ii)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30% 내지 60%(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에틸렌 40% 내지 70%를 함유한다) 및 (iii)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8% 내지 40%로 사실상 이루어진 열가소성 올레핀.
- 제2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실아민 화합물이 산화된 비스(수소화 우지 알킬)아민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이 폴리올레핀 고무 및, Mw/Mn이 8 내지 60이고, 용융유량(melt flow rate)이 0.5 내지 50g/10분이며, 25℃에서 크실렌에 94% 이상이 불용성인 분자량 분포가 광범위한 폴리프로필렌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가 광범위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분자량 분포가 광범위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조성물.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그래프트 중합되어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주쇄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물질 100부당 화학식 T1T2NOH의 하이드록실아민 화합물(여기서, T1은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 그룹,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탄소수 7 내지 9의 아르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거나, 1 또는 2개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아르알킬 그룹이고, T2는 수소이거나 T1과 동일하다) 0.025부 내지 5.0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중합된 단량체의 총량이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100부당 10부 내지 120부이며, 공단량체의 존재시 당해 공단량체의 양이 중합된 단량체 총량의 20몰% 이하인,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주쇄에 그래프트 중합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해중합을 지연시키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다음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 성분(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A)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B) 에틸렌 및 C4-C10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단, 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중합된 에틸렌의 최대 함량은 10중량%이고, 올레핀이 C4-C10 α-올레핀인 경우, 이의 중합된 최대 함량은 20중량%이다),(C) 에틸렌 및 C4-C8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3원공중합체(단, 중합된 C4-C8 α-올레핀의 최대 함량은 20중량%이며, 에틸렌이 올레핀 중의 하나일 경우, 중합된 에틸렌의 최대 함량은 5중량%이다),(D)(i) 이소택틱 지수가 85% 내지 98%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a),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α-올레핀(여기서, R은 C2-8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이다)(b), 및 프로필렌 및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 10% 내지 50%; (ⅱ) 시차 주사 열분석법(DSC)으로 측정시 결정화도가 20% 내지 80%인, 반결정성이며 사실상 선형인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에틸렌, 및 에틸렌을 55%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a); 에틸렌,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1% 내지 10%와 에틸렌과 α-올레핀 둘 다를 55% 내지 99% 함유하는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b); 및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55% 내지 98% 함유하는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실온 또는 대기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다] 5% 내지 20% 및 (iii)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에틸렌을 20% 내지 40% 미만 함유한다)(a); 에틸렌, 프로필렌 및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여기서, α-올레핀은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하며, 존재하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양은 20% 내지 40% 미만이다)(b); 및 α-올레핀 20% 내지 40% 미만과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함유하는, 에틸렌과 (i)의 (b)에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대기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 점도가 1.7 내지 3.0㎗/g이다) 40% 내지 80%로 사실상 이루어진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여기서, (ii)와 (iii)의 총량은, 총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65% 내지 80%이고, (ii)/(iii)의 중량비는 0.1 내지 0.3이며, 에틸렌 또는 C4-8 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총 함량은 50% 미만이다] 및(E)(i)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함량이 85% 이상이고, 이소택틱 지수가 85% 이상인 에틸렌, C4-8 α-올레핀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60%; (ii)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30% 내지 60%(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에틸렌 40% 내지 70%를 함유한다) 및 (iii)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8% 내지 40%로 사실상 이루어진 열가소성 올레핀.
- 제8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인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실아민 화합물이 산화된 비스(수소화 우지 알킬)아민인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이 폴리올레핀 고무, 및 Mw/Mn가 8 내지 60이고, 용융유량이 0.5 내지 50g/10분이며, 25℃에서 크실렌에 94% 이상이 불용성인 분자량 분포가 광범위한 폴리프로필렌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769,569 | 1996-12-19 | ||
US8/769,569 | 1996-12-19 | ||
US08/769,569 US5859104A (en) | 1996-12-19 | 1996-12-19 | Retarding depolymeriz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 grafted onto a propylene polym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4333A KR19980064333A (ko) | 1998-10-07 |
KR100489222B1 true KR100489222B1 (ko) | 2005-11-03 |
Family
ID=2508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03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9222B1 (ko) | 1996-12-19 | 1997-12-19 | 그래프트공중합체와하이드록실아민화합물을포함하는조성물및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해중합지연방법 |
Country Status (17)
Country | Link |
---|---|
US (1) | US5859104A (ko) |
EP (1) | EP0849318B1 (ko) |
JP (1) | JPH10176093A (ko) |
KR (1) | KR100489222B1 (ko) |
CN (1) | CN1118513C (ko) |
AR (1) | AR013892A1 (ko) |
AT (1) | ATE195137T1 (ko) |
AU (1) | AU731608B2 (ko) |
BR (1) | BR9706377A (ko) |
CA (1) | CA2225141C (ko) |
DE (1) | DE69702694T2 (ko) |
DK (1) | DK0849318T3 (ko) |
MY (1) | MY117031A (ko) |
PT (1) | PT849318E (ko) |
RU (1) | RU2198902C2 (ko) |
TW (1) | TW358822B (ko) |
ZA (1) | ZA971121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18023B1 (en) * | 1997-04-21 | 2001-04-17 | Montell North America, Inc. | Co-extruded laminate comprising at least one propylene graft copolymer layer |
US6252005B1 (en) | 1998-08-07 | 2001-06-26 |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 Thermal oxidative stability of acrylic polymers |
US6177515B1 (en) * | 1998-12-17 | 2001-01-23 |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with improved scratch and mar resistance |
BE1012637A3 (fr) | 1999-04-29 | 2001-01-09 | Solvay | Polyolefines et procede pour leur fabrication. |
BE1012638A3 (fr) * | 1999-04-29 | 2001-01-09 | Solvay | Compositions de polyolefin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utilisation de celles-ci. |
US6451897B1 (en) * | 2000-06-16 | 2002-09-17 | Basell Technology Company Bv | Nanocomposites made from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
US6518327B1 (en) | 2000-11-02 | 2003-02-11 |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 Irradiation process for making olefin graft copolymers with low weight side chains |
US6444722B1 (en) | 2000-11-02 | 2002-09-03 |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 Making polyolefin graft copolymers with low molecular weight side chains using a polymeric peroxide as an initiator |
CA2444971C (en) | 2001-05-15 | 2011-02-22 |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 Method of grafting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erivatives onto thermoplastic polymers using hydroxylamine esters |
US6806319B2 (en) * | 2001-08-08 | 2004-10-19 | Basell Polioelfine Italia S.P.A. | Retarding the thermal degradation of polymers using unsaturated aliphatic compounds |
KR100953265B1 (ko) * | 2008-06-12 | 2010-04-16 | 주식회사 화승인더스트리 | 영(0)의 파장 분산성을 가지면서도 면내 위상차 값이균일한 위상차 필름 및 양(+)의 파장 분산성을 가지는 적층광학 필름 |
MX2011006457A (es) | 2008-12-18 | 2011-07-13 | Lucite Int Uk Ltd | Proceso de purificacion de metacrilato de metilo. |
RU2435363C1 (ru) * | 2010-03-01 | 2011-12-10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мскнефтехим" (ООО "Томскнефтехим") | Светокорректирующая полимерная пленка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
US10054415B2 (en) | 2015-09-30 | 2018-08-21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Tape measure |
US9874428B1 (en) | 2016-10-05 | 2018-01-23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
CN114279287A (zh) | 2016-10-05 | 2022-04-05 | 米沃奇电动工具公司 | 具有紧凑的收回系统的卷尺 |
US10836603B2 (en) | 2017-03-22 | 2020-11-17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Tape measure with epicyclic gear drive for tape retraction |
KR102236808B1 (ko) | 2017-03-22 | 2021-04-05 |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 테이프 리트랙션을 위한 유성 기어 구동부를 갖는 줄자 |
RU2742167C1 (ru) * | 2020-03-26 | 2021-02-02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собственностью "Петрохим" |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жидкость для перфорации и глушения скважин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8278A (en) * | 1978-07-21 | 1979-09-18 | The Dow Chemical Company |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minoamides employing ε-caprolactam |
US4590231A (en) * | 1983-10-11 | 1986-05-20 | Ciba-Geigy Corporation | Polyolefin compositions stabilized against degradation using hydroxylamine derivatives |
US4668721A (en) * | 1984-07-23 | 1987-05-26 | Ciba-Geigy Corporation | Polyolefin compositions stabilized against degradation using hydroxylamine derivatives |
US4876300A (en) * | 1987-12-30 | 1989-10-24 | Ciba-Geigy Corporation | Polyolefin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long chain N,N-dialkylhydroxylamines |
CA1312268C (en) * | 1988-04-22 | 1993-01-05 | Kenji Takehara | Pneumatic tire |
CA2031406C (en) * | 1989-12-21 | 2002-05-28 | Paolo Galli | Graft copolymers of polyolefins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
US5140074A (en) * | 1990-01-26 | 1992-08-18 | Himont Incorporated | Method of producing olefin polymer graft copolymers |
US5045583A (en) * | 1990-04-24 | 1991-09-03 | Ciba-Geigy Corporation | O-alkenyl substituted hydroxylamine stabilizers |
US5286791A (en) * | 1992-05-29 | 1994-02-15 | Himont Incorporated | Impact modified graft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propylene |
FR2730240A1 (fr) * | 1995-02-07 | 1996-08-09 | Atochem Elf Sa | Stabilisation d'un polymere par un radical libre stable |
-
1996
- 1996-12-19 US US08/769,569 patent/US585910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12-11 TW TW086118684A patent/TW358822B/zh active
- 1997-12-12 EP EP97121903A patent/EP084931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2-12 DK DK97121903T patent/DK0849318T3/da active
- 1997-12-12 AT AT97121903T patent/ATE195137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2-12 DE DE69702694T patent/DE6970269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2-12 PT PT97121903T patent/PT849318E/pt unknown
- 1997-12-12 ZA ZA9711218A patent/ZA9711218B/xx unknown
- 1997-12-17 BR BR9706377A patent/BR9706377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2-18 CN CN97122049A patent/CN111851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2-18 AU AU48457/97A patent/AU731608B2/en not_active Ceased
- 1997-12-18 CA CA002225141A patent/CA222514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2-18 RU RU97121989/04A patent/RU2198902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2-18 MY MYPI97006161A patent/MY117031A/en unknown
- 1997-12-19 JP JP9350673A patent/JPH10176093A/ja active Pending
- 1997-12-19 AR ARP970106028A patent/AR013892A1/es active IP Right Grant
- 1997-12-19 KR KR1019970070398A patent/KR10048922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358822B (en) | 1999-05-21 |
PT849318E (pt) | 2000-12-29 |
CA2225141C (en) | 2002-09-10 |
CN1118513C (zh) | 2003-08-20 |
DE69702694T2 (de) | 2001-01-04 |
EP0849318B1 (en) | 2000-08-02 |
RU2198902C2 (ru) | 2003-02-20 |
EP0849318A3 (en) | 1998-08-12 |
BR9706377A (pt) | 1999-05-18 |
ZA9711218B (en) | 1998-06-23 |
KR19980064333A (ko) | 1998-10-07 |
DK0849318T3 (da) | 2000-10-30 |
AU4845797A (en) | 1998-06-25 |
AR013892A1 (es) | 2001-01-31 |
CA2225141A1 (en) | 1998-06-19 |
US5859104A (en) | 1999-01-12 |
DE69702694D1 (de) | 2000-09-07 |
MY117031A (en) | 2004-04-30 |
AU731608B2 (en) | 2001-04-05 |
JPH10176093A (ja) | 1998-06-30 |
MX9710211A (es) | 1998-06-30 |
EP0849318A2 (en) | 1998-06-24 |
CN1185459A (zh) | 1998-06-24 |
ATE195137T1 (de) | 2000-08-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9222B1 (ko) | 그래프트공중합체와하이드록실아민화합물을포함하는조성물및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해중합지연방법 | |
US5473015A (en) | Blends of a graft copolymer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with a graft copolymer of olefinic rubber material | |
US6323289B1 (en) | Extrusion process for enhancing the melt strength of polypropylene | |
EP1699882B1 (en) | Free-radical initiation in the presence of a stable organic free radical and related compositions | |
KR100191376B1 (ko) | 올레핀 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
AU682284B2 (en) | Modification of (co)polymers with cyclic ketone peroxides | |
KR100265447B1 (ko) | 충격개질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블렌드 | |
US20100174014A1 (en) | Crosslinkable compositions having reduced scortch inhibitor migration, method of reducing such migra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 |
JP3315425B2 (ja) | 耐衝撃性グラフトコポリマー | |
US5194516A (en) | Process for modifying visosity of ethylene copolymers | |
US6046273A (en) | Thermal stability of alpha-substituted acrylate graft copolymers | |
US20060160954A1 (en) | Preparation of graft copolymers by sequential polymerization using peroxide-containing polyolefins | |
MXPA97010211A (en) | Delayed depolimerization of poly (methyl methacrylate) grafted in a propil polymer | |
US20060155027A1 (en) | Blooming reduction of flame retardant olefin polymers | |
EP0202588B1 (en) | Crosslinked olefinic block copolymers | |
WO2005116096A1 (en) | Process for making flame retardant grafted olefin polymers | |
WO2004113406A1 (en) | Process for making graft copolymers in molten state using a reactive, peroxide-containing olefin polymer | |
JPH0214371B2 (ko) | ||
WO2004113425A1 (en) | Process for making crosslinked polyolefins | |
US20060128824A1 (en) | Irradiation process for making graft copolymers by sequential polymerization | |
MXPA06007315A (en) | Free-radical-initiated crosslinking of polym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