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121B1 -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위하여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위하여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8121B1 KR100488121B1 KR10-2002-0014490A KR20020014490A KR100488121B1 KR 100488121 B1 KR100488121 B1 KR 100488121B1 KR 20020014490 A KR20020014490 A KR 20020014490A KR 100488121 B1 KR100488121 B1 KR 1004881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lpc
- individual
- extracting
- eq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2
- 206010002953 Aphonia Diseases 0.000 claims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08 nuclear magnetic resonance pulse sequ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60 voc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2—Preprocessing operations, e.g. segment selection; Pattern representation or modelling, e.g. based on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or principal components; Feature selection or extr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24—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the cepstrum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2019/0001—Codebooks
- G10L2019/0016—Codebook for LP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화자들의 일반적 특징을 담고 있는 공통 화자의 특징 파라미터에 대한 특정 화자의 변별력있는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함으로써,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시키는 화자 인증 장치에 있어서,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끝점을 추출하는 끝점 추출부;상기 끝점 추출부에 의하여 결정된 음성 구간에서 음성 신호의 음성 특징점을 추출할 때, 고대역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대역 강조 필터;상기 고대역 강조 필터로부터 고대역이 증가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주기적인 윈도우를 취하여 주기적 신호로 생성하는 윈도윙부;상기 윈도윙부로부터 주기적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LPC(Linear Predictive Coefficient)를 추출하기 위한 자기 상관값을 구하는 자기 상관 분석부;상기 자기 상관 분석부로부터 자기 상관값을 이용하여 PARCOR(PARtial CORrelation) 계수를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LPC를 구하는 LPC 분석부;상기 LPC 분석부로부터 구한 LPC를 이용하여 LPC 켑스트럼(Cepstrum)을 구한 후, 공통 코드북의 차수별 분산, 개인 화자의 발성 구간 내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차수별 특징 벡터의 분산의 비값을 가중치로 하여 상기 LPC 켑스트럼에 적용하는 LPC 파라미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대역 강조 필터로부터 고대역이 강조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간의 음성 정보의 손실을 고려하여 임의의 개수의 음성 샘플로 블로킹(Blocking)하고, 임의의 개수의 샘플만큼 천이하여 재차 블로킹한 후, 상기 윈도윙부로 전송하는 프레임 블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윙부는,윈도우 함수로서,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 함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LPC 분석부는,아래의 [식 1]에 의하여 LPC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식 1]여기서, (LPC 계수)는 이고, m은 을 만족하며, 은 PARCOR 계수이고, r(i)는 자기 상관값(Auto Correlation)이며, i는 LPC 차수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LPC 파라미터 변환부는,상기 공통 코드북의 가중치를 아래의 [식 2]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식 2]여기서, w(i)는 가중치를 의미하며, 는 공통 코드북의 차수별 분산을 의미하고, 는 개인 화자의 발성 구간(T 개의 프레임) 내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차수별 특징 벡터의 분산을 의미한다.
- 화자들의 일반적 특징을 담고 있는 공통 화자의 특징 파리미터에 대한 특정 화자의 변별력있는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함으로써,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시키는 화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끝점을 추출하여 음성 구간을 결정한 후, 상기 음성 구간에서의 음성 특징점을 추출할 때, 고대역을 증가시키는 제 1 단계;상기 제 1 단계에서 고대역이 증가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주기적인 윈도우를 취하여 주기적 신호로 생성하는 제 2 단계;상기 제 2 단계에서 주기적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LPC(Linear Predictive Coefficient)를 추출하기 위한 자기 상관값을 구하는 제 3 단계;상기 제 3 단계에서 구한 자기 상관값을 이용하여 PARCOR(PARtial CORrelation) 계수를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LPC를 구하는 제 4 단계;상기 제 4 단계에서 구한 LPC를 이용하여 LPC 켑스트럼(Cepstrum)을 구한 후, 공통 코드북의 차수별 분산, 개인 화자의 발성 구간 내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차수별 특징 벡터의 분산의 비값을 가중치로 하여 상기 LPC 켑스트럼에 적용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방법.
- 삭제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단계는,상기 제 1 단계에서 고대역이 강조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 간의 음성 정보의 손실을 고려하여 임의의 개수의 음성 샘플로 블로킹(Blocking)하고, 임의의 개수의 샘플만큼 천이하여 재차 블로킹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단계는,윈도우 함수로서,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 함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4 단계는,아래의 [식 3]에 의하여 LPC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방법.[식 1]여기서, (LPC 계수)는 이고, m은 을 만족하며, 은 PARCOR 계수이고, r(i)는 자기 상관값(Auto Correlation)이며, i는 LPC 차수이다.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5 단계는,상기 공통 코드북의 가중치를 아래의 [식 4]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방법.[식 4]여기서, w(i)는 가중치를 의미하며, 는 공통 코드북의 차수별 분산을 의미하고, 는 개인 화자의 발성 구간(T 개의 프레임) 내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차수별 특징 벡터의 분산을 의미한다.
- 화자들의 일반적인 특징을 담고 있는 공통 화자의 특징 파라미터에 대한 특정 화자의 변별력있는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함으로써,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시키는 화자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입력되는 샘플링된 음성 신호의 음성 특징점을 추출할 때, 고대역을 증가시키는 제 1 단계;상기 제 1 단계에서 고대역이 증가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주기적인 윈도우를 취하여 주기적 신호로 생성하는 제 2 단계;상기 제 2 단계에서 주기적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LPC(Linear Predictive Coefficient)를 추출하기 위한 자기 상관값을 구하는 제 3 단계;상기 제 3 단계에서 구한 자기 상관값을 이용하여 PARCOR(PARtial CORrelation) 계수를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LPC를 구하는 제 4 단계;상기 제 4 단계에서 구한 LPC를 이용하여 LPC 켑스트럼(Cepstrum)을 구한 후, 공통 코드북의 차수별 분산, 개인 화자의 발성 구간 내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차수별 특징 벡터의 분산의 비값을 가중치로 하여 상기 LPC 켑스트럼에 적용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 5 단계는,상기 공통 코드북의 가중치를 아래의 [식 5]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식 5]여기서, w(i)는 가중치를 의미하며, 는 공통 코드북의 차수별 분산을 의미하고, 는 개인 화자의 발성 구간(T 개의 프레임) 내에서 전체 프레임에 대한 차수별 특징 벡터의 분산을 의미한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490A KR100488121B1 (ko) | 2002-03-18 | 2002-03-18 |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위하여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490A KR100488121B1 (ko) | 2002-03-18 | 2002-03-18 |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위하여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328A KR20030075328A (ko) | 2003-09-26 |
KR100488121B1 true KR100488121B1 (ko) | 2005-05-06 |
Family
ID=3222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4490A Expired - Lifetime KR100488121B1 (ko) | 2002-03-18 | 2002-03-18 |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위하여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881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4319B1 (ko) * | 2016-11-01 | 2023-11-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화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6477A (ja) * | 1993-07-16 | 1995-02-07 | Ricoh Co Ltd | 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式 |
US5522012A (en) * | 1994-02-28 | 1996-05-28 | Rutgers University | Spea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
JPH09218697A (ja) * | 1995-12-22 | 1997-08-19 | Ncr Internatl Inc | 話者検証システム |
US5732188A (en) * | 1995-03-10 | 1998-03-24 |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 Method for the modification of LPC coefficients of acoustic signals |
KR19990004697A (ko) * | 1997-06-30 | 1999-01-25 | 배순훈 | 가중 선형 예측 켑스트럼 계수를 이용한 음성인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02
- 2002-03-18 KR KR10-2002-0014490A patent/KR100488121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6477A (ja) * | 1993-07-16 | 1995-02-07 | Ricoh Co Ltd | 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式 |
US5522012A (en) * | 1994-02-28 | 1996-05-28 | Rutgers University | Spea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
US5732188A (en) * | 1995-03-10 | 1998-03-24 |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 Method for the modification of LPC coefficients of acoustic signals |
JPH09218697A (ja) * | 1995-12-22 | 1997-08-19 | Ncr Internatl Inc | 話者検証システム |
KR19990004697A (ko) * | 1997-06-30 | 1999-01-25 | 배순훈 | 가중 선형 예측 켑스트럼 계수를 이용한 음성인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328A (ko) | 2003-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ksamudre et al. | A review on different approaches for speech recognition system | |
Vergin et al. | Generalized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for large-vocabulary speaker-independent continuous-speech recognition | |
JP6777768B2 (ja) | 単語ベクトル化モデル学習装置、単語ベクトル化装置、音声合成装置、それら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4802135B2 (ja) | 話者認証登録及び確認方法並びに装置 | |
Kumar et al. | Design of an automatic speaker recognition system using MFCC, vector quantization and LBG algorithm | |
Shanthi et al. | Review of feature extraction techniques i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
Almaadeed et al. | Text-independent speaker identification using vowel formants | |
WO2007046267A1 (ja) | 音声判別システム、音声判別方法及び音声判別用プログラム | |
Razak et al. | Quranic verse recitation recognition module for support in j-QAF learning: A review | |
Pawar et al. | Review of various stages in speaker recognition system, performance measures and recognition toolkits | |
Karpov | Real-time speaker identification | |
Chand | Speech recognition: A review | |
Sallam et al. | Effect of gender on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system | |
WO2015025788A1 (ja) | 定量的f0パターン生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f0パターン生成のためのモデル学習装置及び方法 | |
JP2006171750A (ja) | 音声認識のための特徴ベクトル抽出方法 | |
KR101560833B1 (ko) | 음성 신호를 이용한 감정 인식 장치 및 방법 | |
JP4461557B2 (ja) | 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装置 | |
Praveen et al. | Text 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using MFCC features and BPANN | |
JP2011180308A (ja) | 音声認識装置及び記録媒体 | |
KR100488121B1 (ko) | 화자간 변별력 향상을 위하여 개인별 켑스트럼 가중치를 적용한 화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
Bhardwaj et al. | Enhanc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punjabi dialects: An experimental analysis of incorporating prosodic features and acoustic variability mitigation | |
Dustor et al. | Influence of feature dimensionality and model complexity on speaker verification performance | |
Upadhyay et al. | Analysis of different classifier using feature extraction in spea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nder adverse acoustic condition for different scenario | |
Khalifa et al. | Statistical modeling for speech recognition | |
Shafie et al. | Sequential classification for articulation and Co-articulation classes of Al-Quran syllables pronunciations based on GMM-MLL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209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