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8081B1 -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081B1
KR100488081B1 KR10-1999-7002474A KR19997002474A KR100488081B1 KR 100488081 B1 KR100488081 B1 KR 100488081B1 KR 19997002474 A KR19997002474 A KR 19997002474A KR 100488081 B1 KR100488081 B1 KR 10048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vision
video
format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557A (ko
Inventor
이와무라류이치
Original Assignee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4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0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하나의 텔레비전 세트는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포함한다. 수신기/디코더를 텔레비전과 함께 통합시킴으로써, 일부 회로 및 메모리가 공유된다. 게다가, 수신기/디코더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 CRT에 송신되기 전에 아날로그 NTSC 신호로 변환될 필요가 없다. 16×9의 종횡비를 갖는 텔레비전이 사용되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왜곡 없이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TELEVISION WITH INTEGRATED RECEIVER DECODER, AND METHOD OF MIXING ON-SCREEN DISPLAY DATA WITH VIDEO DATA}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신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디지털 수신기/디코더를 갖는 공유 회로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 환경에서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오디오/비디오 콤포넌트, 특히 텔레비전 수신기는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및 디지털 위성 시스템(DSS)의 집적된 수신기 디코더(IRDs)와 같은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제공하여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미국에서 NTSC 표준으로 포맷팅된다.
예컨대, 전형적인 DSS IRD가 도 1에 도시되었다. 궤도를 도는 위성으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는 IRD 전단(1)에 부착된 안테나(110)에서 수신된다. 디지털 신호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오디 전용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암호화된 MPEG 스트림이다. IRD 전단(1)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게 하는 튜너이다. 전단(1)은 또한 안테나(110)에서 수신된 상대적으로 약한 신호를 증폭한다. 디지털 위성 시스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을 사용자가 원할 경우, 스위치(33)는 전단(1)으로부터의 선택된 채널 신호를 트랜스포트 분석기(transport parser : TPP)(2)에 접속시킬 것이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DSS IRD는, "고성능 직렬 버스를 위한 표준(Standard for High Performance Serial Bus)"으로 명칭이 붙은 IEEE 표준 문서 1394(이후로, "IEEE 1394 직렬 버스 표준"으로 언급)에 부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가정용 오락 시스템의 다른 요소에 접속될 것이다. 1394 I/F(3)는 가지각색의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및 다른 A/V(audio/visual) 또는 컴퓨터 콤포넌트에 DSS IRD를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DSS IRD를 가정용 오락 시스템 지령 유니트로 사용하기를 희망할 때, 이들 다른 콤포넌트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는 1394 I/F(3)를 통해 대응하는 직렬 버스를 가로질러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경우, 스위치(33)는 TPP(2)를 1394 I/F(3)에 접속시키도록 방향이 정해질 것이다.
트랜스포트 분석기(2)는 또한 데이터 암호화 표준(data encryption standard : DES) 블록을 포함한다. TPP/DES(2)는 전단(1)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분석 및 해독한다(통상적으로, 1394 I/F(3)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이미 해독(decrypted)되었을 것이고, TPP/DES(2) 내의 해독 엔진을 우회할 것이다). 해독된 비트 스트림은 그후 통신량 제어기(TC)(4)를 통과하여, RAM(5)에 저장된다. RAM(5)은 한 실시예에서는 16 MB의 동기 다이내믹 RAM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 위성 시스템 서비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저장을 희망하는 경우, TPP/DES(2)로부터의 해독된 비트 스트림은 1394 I/F(3)를 통해 예컨대 디지털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다른 A/V 콤포넌트에 송신되기도 한다.
통신량 제어기(4)는 저장된 데이터를 RAM(5)으로부터 적절한 디코더에 분배한다. 디코더는 비디오 디코더(7) 또는 오디오 디코더(8)가 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신호는 RAM(5)으로부터 통신량 제어기(4)를 통해 상기 신호가 MPEG 표준에 따라 디코드되는 비디오 디코더(VDEC)(7)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데이터는 RAM(5)으로부터 통신량 제어기(4)를 통해 디코드를 위한 오디오 디코더(ADEC)(8)에 전달된다. 지금까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모두가 디지털 포맷이다. 그러나, 이들 신호는 종래의 텔레비전 세트를 통한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아날로그 포맷으로 변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로 전달되기 전에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13)에서 변환된다. 비디오 신호는 디지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며,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는 NTSC 엔코더(12) 내에서 NTSC 표준에 따라 엔코드된다. 이러한 NTSC 신호는 아날로그 비디오카세트 레코더로 송신될 수 있다.
덧붙여,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7)로부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세트로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2 NTSC 엔코더(100)는 이러한 목적 때문에 제공된다. 비디오 신호는, 엔코딩되기 전에, 믹서(9)에서, 프로그래밍 데이터 테이블과 같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혼합될 수 있다. MPEG 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혼합되기 전에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블록(6)에 의해 디코드된다.
모든 상기 동작은 중앙 처리 유니트(CPU)(15)에 의해 제공된 제어 신호를 통해 제어된다.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 세트로의 송신을 위해 아날로그 NTSC 신호로 변환되어야 하기 때문에, 화질은 악화된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하기 전에 이러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NTSC 신호로 변환시키지 않고,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해독 및 디코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아날로그 출력을 제공하는 수신기 디코더를 통합한 예증적인 디지털 위성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휘도 정보가 색차 정보로부터 분리되는 디지털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텔레비전를 위한 휘도/색차 분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의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위한 메모리 맵.
도 7은 통합된 수신기/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에 사용하기 위한 비-비월(non-interlace)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비디오 데이터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혼합된 텔레비전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집적된 디지털 수신기/디코더를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를 제공한다. 수신기/디코더를 텔레비전에 통합시킴으로써, 일부 회로 및 메모리는 공유될 수 있다. 게다가, 수신기/디코더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으로 송신되기 전에 아날로그 NTSC 신호로 변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화질은 표준 NTSC 접속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보다 덜 악화된다. 16×9의 종횡비를 갖는 텔레비전이 사용된 한 실시예에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왜곡 없이 디스플레이된다.
한 실시예에서, 텔레비전은 예컨대 NTSC 신호와 같은 제 1 포맷을 갖는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드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텔레비전은 또한 예컨대 MPEG 신호와 같은 제 2 포맷을 갖는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드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회로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회로는 함께 접속되고, 공유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로는, 휘도 및 색차 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회로와, 디스플레이를 위한 RGB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로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MPEG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지만, 유사한 번호가 유사한 구성 요소를 표시하는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이 수신기 디코더를 통합한 디지털 위성 시스템(DSS IRD)을 인용하여 설명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MPEG 스트림을 디코드할 수 있는 임의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콤포넌트를 텔레비전 수신기에 통합하는데에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통합된 수신기/디코더를 갖는 디지털 텔레비전 세트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DSS IRD를 위한 경우에서와 같이, 도 2의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110)는 디지털 위성 시스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를 튜너/전단(1)에 출력한다. 튜너/전단(1)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도록 하고, 또한 안테나(110)에 의해 제공된 상대적으로 약한 신호를 증폭한다. 사용자가 DSS 프로그래밍을 시청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스위치(33)는 튜너/전단(1)을 TPP/DES 블록(2)에 접속시키도록 방향이 정해진다.
통합 시스템의 DSS IRD 부분은 또한, 다른 디지털 A/V 콤포넌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3)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3)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1394 직렬 버스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디지털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3)는 적절하게 동작할 것이다. 사용자가 사전에 기록된 프로그래밍을 시청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스위치(33)는 인터페이스(3)를 TPP/DES 블록(2)에 접속하도록 방향이 정해진다.
디지털 신호는 (필요하다면) TPP/DES 블록(2)에 의해 분석 및 해독되고, 통신량 제어기(4)에 전달된다. 통신량 제어기(4)는 해독된 비트 스트림을 16 MB의 동기 다이내믹 RAM이 될 수 있는 RAM(5)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프로그래밍을 기록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해독된 비트 스트림은 또한 인터페이스(3)를 통해 1394 직렬 버스를 가로질러 다른 A/V 콤포넌트에 송신된다.
통신량 제어기(4)는 RAM(5)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7) 및 오디오 디코더(8)에 적절하게 분배한다. 비디오 디코더(VDEC)(7)는 RAM(5)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MPEG 표준에 따라 디코드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디코더(8)는 RAM(5)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MPEG 표준에 따라 디코드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8)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에 전달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이후 스피커 시스템에 전달된다. 통합 시스템이 수신기/디코더 모드에 있을 때, 스위치(14)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를 스피커 시스템에 연결한다. 텔레비전 모드에 있어서, 스위치(14)는 스피커 시스템을 오디오 검출기/증폭기(19)에 연결할 것이다.
MPEG 스트림의 일부로서 RAM(5)에 저장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통신량 제어기(4)를 통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블록(6)에 송신된다. OSD 블록(6)은 예컨대 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정보를 구성하고, 또한 컬러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사용하여 적절한 색상을 각 픽셀에 할당한다.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그후 비디오 디코더(7)로부터의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와 믹서(9)에서 혼합된다.
4×3 디스플레이 모드{즉, CRT(32)가 4×3의 표준 종횡비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7)로부터의 디코드된 비디오 신호는 신장기(expander)(60)를 통과하지만, 신장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비디오 디코더(7)의 출력이 16×9의 신호이고, CRT(32)가 16×9의 종횡비를 갖고, 16×9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신장기(60)는 비디오 디코더(7)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16×9 포맷까지 수평적으로 신장시킨다. 이 경우, 수평 픽셀 수는 4/3배로 증대된다. 16×9 모드에 대한 더 상세한 사항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수신기/디코더 모드에 있어서, 스위치(10)는 클로즈된다. 따라서, 믹서(9)는 VDEC(7)로부터의 디코드된 비디오 출력과, OSD 블록(6)으로부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혼합하고, 혼합된 신호를 RGB 변환기(11)로 전달한다. RGB 변환기(11)는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CRT(32)를 위한 적절한 RGB 신호로 변환시킨다. RGB 신호는, 디지털 RGB 신호를 아날로그 등가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8)에 전달된다. 스위치(49)는 클로즈되고, 아날로그 RGB 신호는 믹서(47)를 통해 CRT(32)로 전달된다. 수신기/디코더 모드에 있어서, 스위치(46)가 오픈되어 믹서(47)에서 어떠한 혼합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최종 신호는 CRT(32)에 전달되고, 비디오 데이터는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상술된 모든 블록은, 상기 동작을 위해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CPU(15)의 제어를 받는다. CPU(15)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도시 안됨)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처리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은 전면 패널 제어단이나, 적외선 리모콘 또는 다른 리모콘 제어일 수 있다. 수신기/디코더 모드에 있어서, 텔레비전 회로(이하에서 설명)는 낮은 전력 또는 정지(halt) 모드에 놓인다.
수신기/디코더 모드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7)의 출력은 또한, 아날로그 NTSC 신호로 변환되는 NTSC 엔코더(12)로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NTSC 신호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의 기록을 허용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비디오카세트 레코더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의 NTSC 엔코더만을 필요로 하는 반면, 기존의 수신기/디코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NTSC 엔코더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비디오 신호를 직접 CRT(32)에 제공함으로써, 제 2 NTSC 엔코더의 필요성은 제거된다.
도 2에 도시된 통합 시스템은 또한 다수의 종래의 텔레비전 회로를 구비한다. 텔레비전 모드 즉, 이들 텔레비전 회로가 사용중일 때, 상술한 수신기/디코더 회로는 CPU(15)에 의해 낮은 전력 또는 정지 모드에 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이 절감된다.
텔레비전 모드에 있어서, 안테나(112) 또는 케이블 텔레비전 소스(114)로부터의 신호는, 먼저 튜너(16)에서 원하는 채널로 동조된 후, 증폭기(17)에서 증폭되고 검출기(18)에서 검출된다. 이들 모든 동작은 종래의 방식이고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사항이다. 검출기(18)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검출기/증폭기(19)에 의해 검출되고, 스위치(14)를 통해 스피커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검출기(1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1)에 의해 샘플링된다. A/D 변환기(21)로부터의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동기 펄스 추출 블록(22)으로 전달되고, 상기 블록에서 수평 및 수직 동기 펄스가 추출되어 A/D 변환기(21)의 샘플링 클록에 피드백된다.
텔레비전 회로는 또한 NTSC 출력을 통해 아날로그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에 전달될 검출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함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신호는 이미 표준 NTSC 포맷이므로, 엔코더는 필요하지 않다. 덧붙여, 비디오카세트 레코더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는 NTSC 입력를 통해 A/D 변환기(21)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위치(20)의 방향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A/D 변환기(2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는 수직 귀선 소거 기간(VBI) 디코더(23)에 전달되고, 상기 디코더는 NTSC 신호의 VBI에 포함된 임의의 데이터(예, 클로즈된 자막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TC(4)의 제어 하에서 RAM(5)에 저장한다. RAM(5)에 저장된 데이터는 TC(4)를 통해 OSD 블록(6)으로 전달되고, 적절하게 디코드된다. OSD 블록(6)의 휘도 및 색차 출력은 RGB 변환기(11)에서 RGB 포맷으로 변환된 후, D/A 변환기(48)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RGB 신호는, 디코드된 VBI 정보가 CRT(32)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49)를 통해 믹서(47)로 전달된다. VBI 정보 외에도, 텔레비전 모드 동안 다양한 다른 데이터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텔레비전 모드에 있어서 스위치(10)가 오픈됨을 주목해야 한다.
A/D 변환기(21)로부터의 디지털 NTSC 신호는 또한 디지털 처리 블록(40)에 제공된다. 디지털 처리 블록(40)은 휘도/색차 분리기와 두 개의 순차 변환기를 포함한다. 도 4는 디지털 처리 블록(40)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처리 블록(40)은 NTSC 신호에 존재하는 휘도(Y) 및 색차(C) 정보를 분리하는 휘도/색차 분리기(400)로 구성된다. 색차 정보는 순차 변환기(401)로 전달되는 반면, 휘도 정보는 순차 변환기(402)로 전달된다.
도 5는 휘도/색차 분리기(4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A/D 변환기(21)로부터의 디지털 NTSC 신호는 대역 필터(200)에서 필터링되어, 시간 필터(406)와 수직 필터(408)로 전달된다. 시간 필터(406)는 프레임 지연 회로(202)와 감산기(203)로 구성된다. 화상이 어떠한 움직임도 갖지 않을 때 디지털 NTSC 신호 내의 컬러 부반송파가 각 인접 프레임에서 반전되기 때문에, 시간 필터(406)는 색차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수직 필터(408)는 세 개 탭(tap)의 고역 필터이다. 상기 수직 필터는 라인 지연 회로(204와 205), 믹서(206) 및 감산기(2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휘도/색차 분리기(400)는 당업계에서 평범한 전형적인 2차원 휘도/색차 분리기이다.
휘도/색차 분리기(400)의 동작 검출기(201)는 화상 내의 동작을 검출한다. 화상이 적은 동작을 가질 때, 동작 검출기(201)는 스위치(208)를 시간 필터(406)에 접속시킨다. 많은 동작을 가질 경우, 동작 검출기(201)는 스위치(208)를 수직 필터(408)에 접속시킨다. 스위치(208)의 출력은 색차 신호인 반면, 감산기(209)의 출력은 휘도 신호이다.
프레임 지연 회로(202) 및 라인 지연 회로(204 및 205)가 도 5에서 독립적인 블록으로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들은 별도의 구성 요소일 필요가 없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대역 필터(200)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신량 제어기(4)의 제어 하에서 RAM(5)에 저장된다. 저장을 허용하기 위하여, RAM(5)의 일부 영역은 프레임 메모리로 할당되고, 다른 영역은 라인 메모리로 할당된다. 이러한 할당은 도 6에 도시되었다. 이 예에서, 어드레스(A0 및 A1) 사이의 RAM(5)의 영역은 프레임 지연 회로(202)의 저장을 허용한다. 라인 지연 회로(204 및 205)를 위한 저장은 어드레스(A1과 A2)로부터 각각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RAM(5)을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처리 회로(40)는 별도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7은 디지털 처리 블록(40)의 순차 변환기(401 및 402)를 도시한다. 각각의 순차 변환기는 동일하다. 블록(300, 301 및 302)은 필드 지연 회로이다. 라인 사이의 보간을 위하여, 현재의 라인과 두 필드 선행한 라인이 가산기(304)에서 더해진 뒤, 2로 나누어진다. 출력은 수직 고역 필터(305)에 전달된다. 지연 회로(300)의 출력은 수직 저역 필터(306)로 전달된다. 동작 검출기(303)는 화상 내의 동작을 검출하고, 가산기(307) 내에서 수직 고역 필터(305)와 수직 저역 필터(306)의 출력 사이의 혼합 비율을 조정한다. 화상이 적은 동작을 가질 때, 필터(306)로부터의 출력에 대한 필터(305)로부터의 출력 비율은 증가한다. 다른 경우, 필터(305)로부터의 출력에 대한 필터(306)로부터의 출력 비율이 증가한다. 그 결과를 가산기(308) 내에서 원래의 신호에 더함으로써, 순차 신호 출력이 얻어진다. 라인 지연 및 프레임 지연 회로(202, 204 및 205)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필드 지연 회로(300, 301 및 302)가 독립적인 구성 요소일 필요는 없고, RAM(5) 내에서 할당되는 영역일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2로 되돌아가서, 디지털 처리 회로(40)로부터의 색차 신호는 D/A 변환기(41)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D/A 변환기(4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는, 종래의 아날로그 컬러 신호 디코더인 색차 처리 회로(43)의 처리를 거친다. 색차 처리 회로(43)는 B-Y 및 R-Y 신호를 매트릭스 회로(45)에 출력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40)로부터의 휘도 신호(Y)는 D/A 변환기(4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그후 출력 아날로그 신호는 휘도 처리 회로(44)를 거치는데, 상기 휘도 처리 회로는 종래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 제어기/증폭기이다. 휘도 처리 회로(44)의 출력은 또한 매트릭스 회로(45)에 제공된다.
매트릭스 회로(45)는 상술한 휘도 및 색차 입력을 RGB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RGB 신호를 스위치(46)를 통해 믹서(47)에 제공한다. 믹서(47)는 매트릭스 회로(45)로부터의 RGB 신호를 D/A 변환기(48)로부터의 임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와 혼합하고, 혼합된 신호 출력을 CRT(32)에 제공한다. 상술한 블록 및 처리 회로의 모두는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CPU(15)의 제어를 받는다.
도 3은 통합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 대해, 텔레비전 회로를 위한 NTSC 디코드 처리는 완전히 디지털화된다.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도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번호가 도 3에서도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와 도 3에 도시된 예 사이에는 두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도 3에 도시된 예에 대해, 색차 처리 회로(25), 휘도 처리 회로(26) 및 매트릭스 회로(27)는 완전히 디지털화된다. 디지털 처리는 아날로그 경우에 대해 상술한 것들을 반영하지만, 적절한 디지털 필터가 사용된다. 이들 필터와 디지털 처리 기술은 텔레비전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다. 이들 블록은 요구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동작을 위하여 공통 메모리로서 RAM(5)을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믹서(29)에 의해 제공된 혼합 동작은 디지털 믹싱 처리이다. 즉, 매트릭스 회로(27)로부터의 디지털 RGB 신호는, 혼합된 신호가 CRT(32)로의 송신을 위해 D/A 변환기(31)에서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출력으로 변환되기 전에, OSD 블록(6)으로부터의 디지털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와 혼합된다. 매트릭스 회로(27)의 출력은, 만약 CRT(32)가 16×9의 종횡비를 갖는다면, 신장기(61) 내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신장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신호는 신장되지 않는다.
도 8은 수신기/디코더가 16×9의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되는 16×9의 압착된(squeezed) 비디오를 디코드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16×9의 비디오 신호의 사용은 업계에서 더욱 더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OSD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16×9의 텔레비전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포맷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의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이 초래된다. 도시하기 위하여, 비디오 디코더(7)가 기존 수신기/디코더에 대해 16×9의 압착된 화상을 디코드하였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비디오 신호는 도8의 (ii)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된다. OSD 블록(6)에 의해 생성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 이 경우 문자 A는 도 8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되지 않는다. 이들 두 개의 신호는 믹서(9)에서 혼합되고, NTSC 엔코더(100)에서 NTSC 엔코드된다. NTSC 엔코더(100)의 출력은 도 8의 (iii)에 도시되었다. 이것은 압착된 비디오 화상과 압착되지 않은 OSD 정보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NTSC 디코더(500)는 이러한 신호를 디코드하고, 신장기(501)는 이 신호를 16×9의 크기로 신장시킨다. 그 결과는 도 8의 (iv)에 도시되었다. 압착된 비디오 화상만이 (특성이 포맷팅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장되는 것이 아니고, OSD 데이터도 역시 수평적으로 신장된다. 이것은 OSD 데이터가 스크린 상에서 왜곡되는 것을 초래한다. 이러한 왜곡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원래의 OSD 데이터를, 믹서(9)에서 비디오 신호와 혼합되기 전에, "더 가늘게(leaner)" 구성하는 것(즉 OSD 신호를 압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수신기/디코더가 두 형태의 OSD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CRT(32)가 4×3 모드에서 동작할 때, 압착되지 않은 OSD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수신기/디코더는 OSD 데이터를 수평적으로 압축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두 방법 모두에 있어서, 부가적인 메모리가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기/디코더 출력은 NTSC 엔코딩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OSD 데이터는 이미 신장된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된다. 그러므로, CRT가 16×9의 모드에서 동작할지라도, OSD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에 선행하여 신장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기존의 수신기 디코더에 의해 야기된 문제점을 제거하는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이다.상술한 기능 외에도, 완전히 디지털화된 텔레비전은 잡음 감소, 화상-내-화상(picture-in-picture) 등과 같은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실현될 때, RAM(5)은 공유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지금까지, 통합된 수신기/디코더를 갖는 텔레비전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예가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의 광대한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변경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신기, 특히 디지털 수신기/디코더를 갖는 공유 회로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이용가능하다.
삭제

Claims (17)

  1. 텔레비전에 있어서,
    제 1 신호 포맷을 갖는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드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회로와,
    상기 제 1 회로에 접속되며, 제 2 신호 포맷을 갖는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드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회로로서, 또한 상기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 포맷으로 엔코딩하는 제 2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포맷은 NTSC 포맷이고, 상기 제 2 신호 포맷은 MPEG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는:
    상기 NTSC 신호 내에 존재하는 휘도 및 색차 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제 1 처리기와;
    상기 휘도 및 색차 정보로부터 RGB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처리기에 접속된 제 2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기는 상기 제 2 회로에 의해 공유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메모리에 접속된 비디오 디코더로서, 상기 MPEG 포맷을 갖는 상기 텔레비전 신호 내에 존재하는 MPEG 비디오 신호를 디코드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메모리에 접속된 오디오 디코더로서, 상기 MPEG 포맷을 갖는 상기 텔레비전 신호 내에 존재하는 MPEG 오디오 신호를 디코드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MPEG 포맷을 갖는 상기 텔레비전 신호는 송신되기 전에 암호화되고,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암호화된 텔레비전 신호를 해독(decrypting)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에 접속된 해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수신기 디코더를 통합한 디지털 위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8. 텔레비전에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하여, 온-스크린(on-screen)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단계와,
    디코드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로부터의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단계와,
    신장된 종횡비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신장하는 단계와,
    혼합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신장된 종횡비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드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신호를 텔레비전 상에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포맷으로 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상에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포맷은 NTSC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11. 텔레비전에 있어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제 1 회로로서, 제 1 신호 포맷을 갖는 제 1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드하고, 상기 제 1 텔레비전 신호와 관련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회로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제 1 회로에 결합되는 제 2 회로로서, 제 2 신호 포맷을 갖는 제 2 텔레비전 신호를 디코드하며, 이러한 디코드는 상기 제 2 텔레비전 신호 내에 제공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드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수평으로 신장하며, 상기 텔레비전이 제 1 동작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 3 신호 포맷을 갖는 비디오로 상기 비디오 신호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 포맷은 RGB 신호 포맷인, 텔레비전.
  13. 제 11항에 있어서,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2 회로는 (i) 상기 제 1 텔레비전 신호 내에서 제공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1 텔레비전 신호 내에 제공된 비디오 신호를 서로 분리하고, (ii) 상기 비디오 신호의 디코드된 데이터를 온스크린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로에 출력하고, (iii) 상기 온스크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회수하고, 상기 온스크린 데이터를 상기 제 3 신호 포맷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하며, (iv) 상기 제 3 신호 포맷을 갖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비디오와 혼합하도록 적응되는, 텔레비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상기 디코드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텔레비전 신호의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구간(VBI) 내에 있는, 텔레비전.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비디오 디코더로서, 상기 제 2 텔레비전 신호 내에 제공되며 MPEG 포맷을 갖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코드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 결합된 신장기(expander)로서, 상기 MPEG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4x3 종횡비에서 16x9 종횡비로 변경하는 신장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오디오 디코더로서, 상기 제 2 텔레비전 신호 내에 제공되며 상기 MPEG 포맷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드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제 2 텔레비전 신호가 송신되기 이전에 암호화되는 경우 상기 제 2 텔레비전 신호를 해독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KR10-1999-7002474A 1996-09-27 1997-09-24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8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22,631 US5844623A (en) 1996-09-27 1996-09-27 Television with integrated receiver decoder
US08/722,631 1996-09-27
US8/722,631 199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557A KR20000048557A (ko) 2000-07-25
KR100488081B1 true KR100488081B1 (ko) 2005-05-09

Family

ID=2490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474A Expired - Lifetime KR100488081B1 (ko) 1996-09-27 1997-09-24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44623A (ko)
EP (1) EP0928539B1 (ko)
JP (1) JP2001501400A (ko)
KR (1) KR100488081B1 (ko)
AT (1) ATE304270T1 (ko)
AU (1) AU4737497A (ko)
DE (1) DE69734159T2 (ko)
WO (1) WO19980140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922B1 (ko) * 1996-03-28 1999-04-15 김광호 동기 신호 자기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
US6313880B1 (en) * 1997-04-03 2001-11-06 Sony Corporation Display with one or more display windows and placement dependent cursor and function control
US6226047B1 (en) 1997-05-30 2001-05-01 Daewoo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in a settop box
JPH1145081A (ja) * 1997-07-24 1999-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DE69821503T2 (de) * 1997-09-18 2005-01-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ndianapolis Elektronisches peripheriegerät und -system zum steuern dieses gerätes über einen digitalen bus
US6118486A (en) * 1997-09-26 2000-09-12 Sarnoff Corporation Synchronized multiple format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1999035824A1 (en) * 1998-01-07 1999-07-1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lip sync delay and method therefore
JP2002503901A (ja) * 1998-02-13 2002-02-05 クビス・インク 飛越し走査移動画像の最適圧縮方法及び装置
US6745390B1 (en) * 1998-03-12 2004-06-0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alette management for display of regular graphic objects
KR100263896B1 (ko) * 1998-06-26 2000-08-16 윤종용 디지털/아날로그 방송 신호 처리장치
DE19833309B4 (de) * 1998-07-24 2004-11-25 Grundig Ag Fernsehempfänger mit Onscreen-Display
KR100559217B1 (ko) * 1998-12-17 2006-06-1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용 입력 회로
JP2001103393A (ja) * 1999-09-28 2001-04-13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1119767A (ja) * 1999-10-19 2001-04-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US6593973B1 (en) 2000-03-21 2003-07-15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video transitions
KR100749070B1 (ko) * 2000-07-14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스포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장치
KR100374567B1 (ko) * 2000-09-29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컬러디스플레이 구동장치
DE60111742T2 (de) * 2001-08-22 2006-05-18 Thomson Licensing S.A., Boulogne Geräte der Unterhaltungselektronik mit gemeinsamen Speicher
US7861262B1 (en) * 2001-09-07 2010-12-28 Enreach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ersonalized video recorder with a set-top box
US20030106056A1 (en) * 2001-11-30 2003-06-05 Naimpally Saiprasad V. System and method for carriage of program-related information in vertical blanking interval (VBI) of video output signal of program guide-Equipped video equipment
ES2269603T3 (es) * 2002-12-04 2007-04-01 Irdeto Access B.V. Terminal, sistema de distribucion de datos que comprende dicho terminal y metodo de retransmision de datos digitales.
JP2007503147A (ja) * 2003-08-18 2007-02-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映像表示装置
US7324163B2 (en) * 2003-12-23 2008-01-29 Genesis Microchip Inc. Sub-carrier detection (SCD) for motion threshold logic
US7535515B2 (en) * 2003-12-23 2009-05-19 Ravi Ananthapur Bacche Motion detection in video signals
US7480334B2 (en) * 2003-12-23 2009-01-20 Genesis Microchip Inc. Temporal motion vector filtering
US7499494B2 (en) * 2003-12-23 2009-03-03 Genesis Microchip Inc. Vector selection decision for pixel interpolation
US7457438B2 (en) * 2003-12-23 2008-11-25 Genesis Microchip Inc. Robust camera pan vector estimation using iterative center of mass
PL367409A1 (en) * 2004-04-20 2005-10-31 Advanced Digital Broadcast Ltd. Tv analogue and digital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analogue and digital signals
TWI327860B (en) * 2006-08-03 2010-07-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Video process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thereof
KR101653627B1 (ko) * 2015-01-09 2016-09-02 주식회사 케이티 시청 모드 전환 방법,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18B2 (ja) * 1987-11-19 1994-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2方式共用チューナ
JPH02237280A (ja) * 1989-03-10 1990-09-19 Hitachi Ltd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5208660A (en) * 1989-07-29 1993-05-04 Sharp Kabushiki Kaisha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picture-in-picture display function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H03112279A (ja) * 1989-09-26 1991-05-13 Toshiba Corp 高品位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89410B2 (ja) * 1990-11-29 1997-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5292423A (ja) * 1992-04-10 1993-11-05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0574901A2 (en) * 1992-06-16 1993-12-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signal processor
KR0140674B1 (ko) * 1993-04-12 1998-06-15 모리시다 요이치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5534942A (en) * 1994-06-17 1996-07-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On screen display arrangement for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CA2156871C (en) * 1994-09-09 2005-04-05 Thomas Patrick Newberry Unified program guide interface
JPH0898105A (ja) * 1994-09-29 1996-04-12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213048B1 (ko) * 1995-09-29 1999-08-02 윤종용 아날로그와 디지탈 비디오 모드를 갖는 수신기와 그 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557A (ko) 2000-07-25
JP2001501400A (ja) 2001-01-30
WO1998014003A3 (en) 1998-06-11
DE69734159T2 (de) 2006-06-29
EP0928539B1 (en) 2005-09-07
WO1998014003A2 (en) 1998-04-02
DE69734159D1 (de) 2005-10-13
ATE304270T1 (de) 2005-09-15
EP0928539A2 (en) 1999-07-14
HK1021464A1 (en) 2000-06-09
AU4737497A (en) 1998-04-17
US5844623A (en) 199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81B1 (ko)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KR100265231B1 (ko) 방송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화면의 동시시청 가능한 tv수신장치
US6452638B1 (en) Decoder device and receiver using the same
JP329576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ビデオ信号発生方法
US522985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multiple composite video signals
US5315391A (en) PIP main and subscreen selection from among TV, BS, and VCR playback signals
US501039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eiving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s
KR100285893B1 (ko) 주사선 변환기능을 이용한 화면분할 표시장치
HK1021464B (en) Television with integrated receiver decoder
KR100246456B1 (ko) 비디오신호 오버레이장치
KR100252091B1 (ko)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 신호 오버레이 장치 및 오버레이 방법
KR0159531B1 (ko) 뮤즈/엔티에스시 텔레비젼 신호 변환장치
KR100238095B1 (ko) Osd정보로 인한 원화상 가려짐 방지장치
JP2000299854A (ja) 多チャンネル映像音声信号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277951B1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KR100233389B1 (ko) 복합텔레비젼수상기의 피아이피 장치
JPH05244642A (ja) Museデコーダ
KR20010002202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부가 데이터 표시장치
JPH06315153A (ja) 信号処理装置
JPH0575231B2 (ko)
JP2006060857A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3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