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7289B1 - 트리거식액체분출기 - Google Patents

트리거식액체분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289B1
KR100487289B1 KR10-1998-0704697A KR19980704697A KR100487289B1 KR 100487289 B1 KR100487289 B1 KR 100487289B1 KR 19980704697 A KR19980704697 A KR 19980704697A KR 100487289 B1 KR100487289 B1 KR 10048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rigger
arm
nozzle
nozzle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604A (ko
Inventor
노리토시 와타나베
카쯔히토 쿠와하라
요시유키 카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1999007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2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29Valves not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용기의 목부에 감합되는 장착통(2)과, 본 장착통(2)에서 수직으로 뻗은 수직통(2a)과, 본 수직통(2a)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출통(3)과, 상기 수직통(2a)의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실린더(4)와, 본 실린더(4)내에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감합되고,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 플런저(6)와 그 상부 뒷면이 본 플런저(6)의 전단부에 계합하는 상기 사출통(3)의 앞부분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트리거(5)와, 상기 사출통(3)의 전단부에 부착된 노즐 감합통(7)과, 노즐구멍(10)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감합통(7)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노즐헤드(8)로 이루어진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노즐헤드(8)의 외면에서 후방으로 아암(21)이 돌출되고, 상기 트리거(5)의 상부에 제 1 계합부(23)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4)의 하부 앞면에 제 2계합부(26)가 설치되고, 트리거(5)가 최전방 위치에 위치하여 노즐헤드(8)를 회전시켰을 때 아암(21)의 일부가 자유롭게 탈착되어 상기 제 1계합부(23)에 계합하고, 아암(21)의 다른 부분이 상기 제 2계합부(26)에 자유롭게 탈착하여 계합하고, 그로 인해 설령 사용자가 트리거(5)를 당기려고 해도 플런저(6)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Description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본 발명은 트리거(trigger)식 액체 분출기에 관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공지의 액체분출기(1)는 장착통(2)과, 수직통(2a)과, 사출통(3a)과, 실린더(4)와, 트리거(5)와, 플런저(6)와, 노즐감합통(7)과, 노즐헤드(8)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본체(도 12에 도시하지 않음)의 목부 외면에 감합되는 장착통(2)의 상부 내부에서 수직통(2a)을 세운다. 상기 수직통(2a)의 상단에서 사출통(3)을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상기 사출통(3)의 앞부분(30)에 트리거(5)를 원추형 접합(추착)시켜 늘어뜨린다. 또는, 상기 수직통(2a)에서 실린더(4)를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실린더(4)내에 플런저(6)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배치하고, 상기 플런저(6)의 전단을 상기 트리거(5)의 상부 뒷면에 계합시킨다. 사출통(3)전단에 노즐 감합통(7)을 통하여 노즐헤드(8)를 감합시키고, 노즐헤드(8)에는 노즐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트리거를 당기면 실린더(4)내의 액체가 노즐구멍(10)에서 분출되고, 트리거(5)를 놓으면 플런저(6)가 전진하여 트리거(5)를 복귀시키고, 이때 용기내 액체가 실린더(4)내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27)은 노즐헤드 앞면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덮개이다.
상기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는 부주의로 트리거(5)를 당기는 경우라도 액체가 분출해버린다. 따라서, 사출통(3)의 전단에 감합시킨 노즐 감합통(7)과 노즐헤드(8)에 설치된 액체 토출로(11)를 전반부(11b)와 후반부(11a)로 나누어 노즐감합통(7)에 대하여 노즐헤드(8)를 회전시키면 상기 액체 토출로(11)의 연통이 차단되고, 노즐헤드(8)를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리지 않으면 액체를 분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즐 감합통(7)에 대하여 노즐헤드(8)를 회전시켜 액체 토출로(11)를 개폐하도록 제조된 상기 액체분출기에 있어서도 액체 토출로(11)가 폐쇄상태인 채로 여러번 트리거(5)를 당기면 상기 트리거(5)가 휘고, 탄성복원하여 플런저(6)가 다소 후퇴하거나 또는 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4)내의 비정상적인 고압화로 토출밸브(40)를 통하여 상기 토출밸브(40)와 상기 노즐 감합통(7)등이 형성하는 액체토출로 부분 사이인 사출통(3)의 앞부분내에 고압 액체가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노즐헤드(8)를 액체 토출로 연통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그 사출통(3)의 앞부분내에 저장되어 있던 고압액체가 트리거 조작을 행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즐구멍(10)에서 분출하는 일이 발생한다. 또는, 트리거(5)를 강하게 당기면 사출통(3)내부가 고압이 되어 노즐헤드가 노즐감합통(7)에서 떨어질 우려도 있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 액체분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에 도시한 액체분출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잠김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도시한 액체분출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액체분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액체분출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제 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 액체분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잠김상태를 나타내는 도 6에 도시한 분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분출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분출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 3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 액체 분출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분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종래기술의 액체분출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노즐헤드 내지 상기 노즐헤드 외면에 감착시킨 복합통부(覆合筒部)에서 아암을 후방으로 돌출하고, 노즐 감합통에 대하여 노즐헤드를 액체 토출로 폐쇄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 그 아암의 일부분이 트리거상부에 계합하고, 다른 일부분이 수직통과 사출통과 실린더가 형성하는 분출기 본체의 하부 앞면 또는 분출기 본체 외면에 복합고착시킨 본체커버의 하부 앞면에 계합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당김조작에 의해 트리거가 휘어도 플런저가 전혀 후퇴하지 않아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목부분에 감합된 장착통(2)과, 본 장착통(2)에서 세워된 수직통(2a)과, 상기 수직통(2a)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출통(3)과, 상기 수직통(2a)의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실린더(4)와, 상기 실린더(4)내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감합되어,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플런저(6)와, 그 상부 뒷면이 상기 플런저(6)의 전단부에 계합하는 상기 사출통(3)의 앞부분에 요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즐헤드(8)로 이루어지고, 트리거(5)를 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흡입상승하여 상기 노즐구멍(10)을 통하여 분출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8)의 외면에서 후방으로 아암(21)이 돌출되고, 상기 트리거(5)의 상부에 제 1계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4)의 하부 앞면에 제 2계합부(26)가 설치되고, 트리거(5)가 최전방에 위치하여 노즐헤드(8)를 회전시켰을 때, 아암(21)의 일부가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계합부(23)에 계합하고, 아암(21)의 다른 부분이 상기 제 2계합부(26)에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계합하고, 그로 인해 설령 사용자가 트리거(5)를 당기려고 해도 플런저(6)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통부(29)를 노즐헤드(8)의 외면에 회전할 수 없도록 계합시켜, 아암(21)이 상기 복합통부(29)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하면 트리거(5)의 상부 측면에서 계합판(24)을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계합판(24)에는 수직방향으로 뚫어 제 1계합판(23)으로서 작용하는 투공(透孔)이 형성되고, 아암(21)의 중간부에서 제 1계합돌기(22)를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하여 상기 제 1계합돌기(22)가 상기 계합판(24)의 투공에 계합한다. 상기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는 수직통(2a)과 사출통(3)과 실린더(4)를 커버하는 본체커버(25)를 갖고, 상기 본체커버(25)의 전단면이 제 2 계합부(26)로서 작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트리거(5)의 상부 뒷면이 제 1계합부(23)로서 작용하고, 상기 실린더(4)의 하부 앞면이 제 2계합부(26)로서 작용하고, 상기 아암(21)의 뒷부분에서 제 2계합돌기(28)를 가로 바깥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2계합돌기(28)가 상기 제 1계합부(23)와 제 2계합부(26)사이에 위치하거나 계합한다.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타입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로 도 12와 함께 설명한다. 상기 액체 분출기(1)는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장착통(2)과 수직통(2a)과, 사출통(3)과, 실린더(4)와, 트리거(5)와, 플런저(6)와, 노즐감합통(7)과, 노즐헤드(8)로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도12에 도시하지 않음)의 목부분 외면으로 감합되는 장착통(2)의 상부 안쪽에서 수직통(2a)을 세운다. 용기본체의 목부외면으로 나사결합하는 장착통(2)의 상부 안쪽에서 수직통(2a)을 세우고, 본 수직통(2a)의 상단에서 사출통(3)을 전방으로 돌출하고, 수직통(2a)의 중간부 앞면에서 실린더(4)를 전방으로 돌출한다. 사출통(3)의 앞부분(30)에 상단부를 원추형 접합시켜 트리거(5)를 비스듬하게 아랫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4)내에 전방으로 힘을 가해 감합시킨 플런저(6)를 배치하고, 상기 플런저(6)의 전단부를 트리거(5)의 상부 뒷면에 계합시킨다. 트리거(5)를 당기면 실린더(4)의 액체가 사출통(3)내를 통하여 분출되고, 트리거(5)를 복귀시킴으로서 실린더(4)내가 부압화(負壓化)하여 용기본체 내의 액체를 실린더(4)내로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출통(3)의 앞부분에는 노즐 감합통(7)을 통하여 노즐헤드(8)를 감합시키고 있다. 노즐헤드(8)의 앞벽(9)중앙에는 노즐구멍(10)이 뚫려있다. 노즐 감합통(7)과 노즐헤드(8)에는 사출통(3)과 노즐구멍(10)을 연통하는 액체분출로(11)가 뚫려있다. 노즐헤드(8)의 앞벽(9) 중앙부에서는 밸브축(7b)의 외면에 밀접하게 감합시켜 후방으로 돌출한 감합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토출로(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감합통(7)의 기판(7a)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밸브축(7b)외면과 감합통(12)내면에 형성한다. 즉, 토출로(11)는 상기 감합통(12)의 뒷부분 내면으로 통방향에 뚫려있는 제 1토출로(11a)와, 상기 밸브축(7b)의 앞부분 외면으로 모선방향에 뚫려있는 제 2토출로(11b)로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한 토출로(11)의 연통상태에서 노즐감합통(7)에 대하여 노즐헤드(8)를 회전시키면 제 1토출로(11a)가 밸브축(7b)의 별도 위치로 이동하여 제 2토출로(11b)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노즐헤드(8)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다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토출로(11a)와 제 2토출로(11b)가 연통한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공지이고, 도 12의 것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헤드(8)의 외주면에서 아암(21)을 사출통(3)의 외주면 후방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아암(21)의 중간부에서 제 1계합돌기(22)를 노즐헤드(8)의 원주방향에 돌출하여 설치한다. 또한, 노즐헤드(8)의 상부측면에서 계합판(24)을 돌출한다. 상기 계합판(24)에는 제 1계합돌기(22)와 상기 축선둘레의 회전궤적에 합치하는 투공을 뚫어 설치하고, 본 투공은 상하방향으로 제 1계합부(23)로서 작용한다. 아울러 수직통(2a)과 사출통(3)과 실린더(4)에 복합고정된 본체커버(25) 하반부의 전단면을 제 2계합부(26)로 한다. 상기 노즐헤드(8)를 돌려 상기 제 1계합부(23)내로 제 2계합돌기(22)를 감합시켰을 때, 아암(21)후단면이 상기 본체커버(25)의 하반부 전단면이 형성하는 제 2계합부(26)로 계합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 트리거(5)를 당기더라도, 플런저(6) 전단이 계합하는 트리거(5)상부는 전혀 후퇴하지 않는다. 또는, 실린더(4)의 전단면을 제 2계합부(26)로 하여도 좋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아암(21)의 중간부 좌우에서 각각 제 1계합돌기(22,22)를 돌출하거나 트리거(5)상부의 좌우에서 각각 투공형 계합판(24,24)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지만, 어느 한 경우만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21)이 노즐헤드(8)의 윗면쪽에 위치할 때, 도 12와 같이 제 1, 제 2액체토출로(11a,11b)가 연통하고 있다. 도 12의 상태에서 덮개(27)를 들고 트리거를 당기는 것으로 액체를 분출시킬 수 있다. 도 3, 도4, 도5가 도시하는 위치에 노즐헤드(8)를 회전시켜, 아암(21)의 제 1계합돌기(22)를 제 1계합부(23)인 투공내로 계합시키거나 아암(21)후단면을 본체커버 하반부 전단면이 형성하는 제 2계합부(26)로 계합시켰을 때, 제 1, 제 2 액체토출로(11a,11b)의 연통은 차단된다.
도 6 내지 도 9가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헤드(8)의 윗면에서 옆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a)를 통하여 아암(21)을 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아암(21)의 후단부에서 옆 바깥방향으로 제 2계합돌기(28)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도7, 도8, 도9에 도시한 위치에 노즐헤드(8)를 회전하고, 트리거(5)의 상부 뒷면이 형성하는 제 1계합부(22)와 실린더(4)의 전단면 하부가 형성하는 제 2계합부(26) 사이에 제 2계합돌기(28)를 끼우면 트리거(5)를 후방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결국 플런저(6)가 후방으로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미 설명한 제 1, 제 2액체토출로(11a,11b)의 연통이 차단된다.
도 10, 도 11이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헤드(8)외면으로 복합통부(29)를 회전할 수 없게 감합시킨다. 상기 복합통부(29)에서 제 2실시태양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아암(21)을 돌출부(21a)를 통하여 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제 2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1과 같이 트리거(5)의 상부뒷면이 형성하는 제 1계합부(23)와 실린더(4)의 전단면 하부가 형성하는 제 2계합부(26)사이에 제 2계합돌기(28)가 끼워졌을 때, 제 1, 제 2액체토출로(11a,11b)의 연통이 차단된다. 복합통부(29)를 통하여 노즐헤드(8)를 회전하고, 아암(21)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도 12와 같이 제 1, 제 2액체통로(11a,11b)는 연통가능하게 된다.
이미 상술한 제 1실시형태에서는 노즐헤드(8)에서 직접 아암(21)을 돌출하여 설치하였다. 제 3실시형태와 같이 제 1실시형태의 노즐헤드(8)외면으로 아암(21)형의 복합통부(29)를 감합시키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아암(21)을 돌출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제 3실시형태는 제 2실시형태의 노즐헤드(8)에서 간접적으로 아암(21)을 돌출시킨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은 노즐감합통(7)과 노즐헤드(8)가 액체토출로(11)의 개페기구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미 설명한 아암(21)에 의한 트리거 잠금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그 잠김에 의해 액체 분출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미 상술한 트리거 잠금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토출로(11)의 개폐기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본 발명 제 1실시형태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종래예의 경우와 같이 트리거를 당길 때 트리거가 휘고, 그로 인해 플런저가 후퇴할 우려가 전혀없고, 노즐구멍에서 액체누수등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계합부(23)와 제 1계합돌기(22)의 계합 및 그의 제거, 또는 아암(21)의 후단면과 제 2계합부(26)의 계합 및 그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계합돌기(28)를 상기 트리거(5)의 상부 뒷면과 실린더(4)의 하반부 전단면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구조 및 그 제 2계합돌기의 탈착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목부분에 감합되는 장착통(2)과,
    상기 장착통(2)에서 세워진 수직통(2a)과,
    상기 수직통(2a)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출통(3)과,
    상기 수직통(2a)의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실린더(4)와,
    상기 실린더(4)내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감합되고,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플런저(6)와,
    그 상부 뒷면이 상기 플런저(6)의 전단부에 계합하는 상기 사출통(3)의 앞부분에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된 트리거(5)와,
    상기 사출통(3) 전단부에 부착된 노즐감합통(7)과,
    노즐구멍(10)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감합통(7)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노즐헤드(8)로 이루어지고,
    트리거(5)를 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흡입상승되어 상기 노즐구멍(10)을 통하여 분출되는 트리거식 액체분출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8)의 외면에서 후방으로 아암(21)이 돌출되고,
    상기 트리거(5)의 상부에 제 1 계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4)의 하부 전면에 제 2 계합부(26)가 형성되고,
    트리거(5)가 최전방 위치에 위치하여 노즐헤드(8)을 회전시켰을 때, 아암(21)의 일부가 자유롭게 탈착하도록 상기 제 1계합부(23)에 계합하고, 아암(21)의 다른 부분이 상기 제 2계합부(26)에 자유롭게 탈착하도록 계합하고, 그로인해 사용자가 트리거(5)를 당기려해도 플런저(6)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액체분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복합통부(29)를 노즐헤드(8)의 외면에 회전할 수 없도록 계합시키고, 아암(21)이 상기 복합통부(29)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트리거식 액체분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트리거식(5) 상부의 측면에서 계합판(24)를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하고, 상기 계합판(24)에는 수직방향으로 뚫려 제 1 계합부(23)로 작용하는 투공이 형성되고,
    아암(21)의 중간부에서 제 1 계합돌기(22)를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 1 계합돌기(22)가 상기 계합판(24)의 투공에 계합하는 트리거식 액체분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식 액체분출기가 수직통 (2a), 사출통(3), 실린더(4)를 커버하는 본체커버를 갖고,
    상기 본체커버(25)의 전단면이 제 2 계합부(26)로서 작용하는 트리거식 액체분출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5)의 상부 뒷면이 제 1 계합부(23)로 작용하고,
    상기 실린더(5)의 하부 앞면이 제 2 계합부(26)로 작용하고,
    상기 아암(21)의 뒷부분에서 제 2 계합돌기(28)를 가로 바깥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2 계합돌기(28)가 상기 제 1 계합부(23)와 제 2 계합부(26)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계합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KR10-1998-0704697A 1996-10-22 1997-10-22 트리거식액체분출기 Expired - Lifetime KR100487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942096 1996-10-22
JP8/299420 1996-10-22
PCT/JP1997/003817 WO1998017399A1 (fr) 1996-10-22 1997-10-22 Pulverisateur pour liquides, de type a det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604A KR19990076604A (ko) 1999-10-15
KR100487289B1 true KR100487289B1 (ko) 2005-08-30

Family

ID=1787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97A Expired - Lifetime KR100487289B1 (ko) 1996-10-22 1997-10-22 트리거식액체분출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06950A (ko)
EP (1) EP0868945B1 (ko)
JP (1) JP3243743B2 (ko)
KR (1) KR100487289B1 (ko)
CN (1) CN1078498C (ko)
AU (1) AU737064B2 (ko)
CA (1) CA2241158C (ko)
DE (1) DE69732283T2 (ko)
ID (1) ID18608A (ko)
MY (1) MY117865A (ko)
NZ (1) NZ331061A (ko)
TW (1) TW355148B (ko)
WO (1) WO1998017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945A (ja) * 1998-03-31 1999-10-12 Toyo Seikan Kaisha Ltd トリガー式ディスペンサーの安全装置
JP3730027B2 (ja) * 1998-08-27 2005-1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3770445B2 (ja) * 1998-08-28 2006-04-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ロック装置
JP3730029B2 (ja) * 1998-08-31 2005-1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3808220B2 (ja) * 1998-11-06 2006-08-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751459B2 (ja) * 1999-01-25 2006-03-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3805566B2 (ja) * 1999-06-22 2006-08-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4198272B2 (ja) * 1999-06-29 2008-12-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4123645B2 (ja) * 1999-06-30 2008-07-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883164B2 (ja) * 1999-06-30 2007-0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US6286723B1 (en) * 2000-03-06 2001-09-11 Saint-Gobain Calmar Inc. Self-resetting child-resistant trigger sprayer
JP3884283B2 (ja) * 2001-12-20 2007-02-21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Mri装置
JP3904918B2 (ja) * 2001-12-26 2007-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854163B2 (ja) * 2002-01-31 2006-12-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4025083A (ja) * 2002-06-27 2004-01-29 Toyo Seikan Kaisha Ltd トリガーディスペンサのレバーストッパ機構
US6669058B1 (en) 2002-10-29 2003-12-30 Saint-Gobain Calmar Inc. Trigger sprayer with nozzle trigger lock
JP4170104B2 (ja) * 2003-01-31 2008-10-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5008171A (ja) * 2003-06-17 2005-01-13 Toyo Seikan Kaisha Ltd トリガーディスペンサのレバーストッパ機構
JP4281906B2 (ja) * 2003-09-29 2009-06-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US7032777B2 (en) * 2003-10-16 2006-04-25 Saint-Gobain Calmar, Inc. Child-resistant trigger sprayer
US20050133525A1 (en) * 2003-12-23 2005-06-23 Lewis Richard P. Lockout device for viscous liquid dispenser
EP1577227B1 (en) * 2004-03-11 2006-06-07 3M Espe Ag Capsule for storage, mixing and dispensing materials
JP4607570B2 (ja) * 2004-12-20 2011-01-05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噴出器
CN1315580C (zh) * 2005-01-26 2007-05-16 袁建军 一种枪式喷头
GB2436350A (en) 2006-03-22 2007-09-26 Shield Medicare Ltd Multi compartment dispenser with gas cartridge activator and dispensing inhibitor
EP1923140B1 (en) * 2006-11-16 2009-10-14 Guala Dispensing S.P.A. Trigger sprayer provided with actuation locking means
JP4925855B2 (ja) * 2007-02-19 2012-05-09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5025279B2 (ja) * 2007-02-14 2012-09-12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TWI414461B (zh) * 2007-02-14 2013-11-11 Kao Corp Trigger type liquid ejector
US8684235B2 (en) 2007-02-14 2014-04-01 Kao Corporation Trigger-type liquid sprayer
TWI576158B (zh) * 2007-02-19 2017-04-01 Kao Corp Trigger type liquid ejector
USD628898S1 (en) * 2010-02-19 2010-12-14 Medtech Products, Inc. Spray nozzle
USD628901S1 (en) * 2010-02-19 2010-12-14 Medtech Products, Inc. Spray nozzle
USD628900S1 (en) * 2010-02-19 2010-12-14 Medtech Products, Inc. Spray nozzle
USD628899S1 (en) * 2010-02-19 2010-12-14 Medtech Products, Inc. Spray nozzle
GB201110250D0 (en) * 2011-06-16 2011-08-03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trigger pump dispenser
BR112015000511B1 (pt) * 2012-07-11 2021-01-19 Syngenta Participations Ag pulverizador de bomba de líquido acionado por gatilho
JP6456687B2 (ja) * 2014-06-30 2019-01-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CN105642472B (zh) * 2015-12-30 2018-04-20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手枪喷盖装置
JP6789111B2 (ja) * 2016-12-28 2020-11-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器
US10441963B2 (en) * 2018-01-30 2019-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ispensing product having a spray dispenser having a trigger lock
DE102018002101A1 (de) * 2018-03-15 2019-09-19 Aptar Dortmund Gmbh Abgabespeicher und Spen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8424B (zh) * 1986-01-18 1990-06-20 多田笃 一个手工操纵的扳机式喷枪
DE3778441D1 (de) * 1986-07-21 1992-05-27 Yoshino Kogyosho Co Ltd Fluessigkeitsspender mit handausloesung.
US4971252A (en) * 1987-12-24 1990-11-20 Yoshino Kogyosho Co., Ltd. Nozzle cap
US4946074A (en) * 1989-06-15 1990-08-07 Calmar, Inc. Tamper evident manually actuated pump sprayer
US5114049A (en) * 1990-10-31 1992-05-19 Calmar Inc. Child-resistant trigger sprayer
US5207359A (en) * 1992-02-24 1993-05-04 Afa Products, Inc. Tamper evident cover for sprayer nozzle
EP0616127B1 (en) * 1992-09-03 1999-03-10 Yoshino Kogyosho Co., Ltd. Piston of pump of trigger type liquid discharger
DE69536103D1 (de) * 1994-10-26 2010-10-21 Yoshino Kogyosho Co Ltd Flüssigkeitsentladungsvorrichtung mit Auslöser
US5560545A (en) * 1994-10-31 1996-10-01 Calmar Inc. Dual in-line trigger sprayer
JPH09299838A (ja) * 1996-05-13 1997-11-25 Kao Corp 内容物放出機構
DE69600294T2 (de) * 1996-10-24 1998-12-24 Calmar-Albert Gmbh, 58675 Hemer Kindergesichertes Verriegelungselement für Spray-Gerät mit Drücker
US5823395A (en) * 1997-04-24 1998-10-20 Continental Sprayers International, Inc. Child-resistant pump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8945A4 (en) 2004-06-16
AU4722297A (en) 1998-05-15
KR19990076604A (ko) 1999-10-15
EP0868945A1 (en) 1998-10-07
TW355148B (en) 1999-04-01
JP3243743B2 (ja) 2002-01-07
ID18608A (id) 1998-04-23
AU737064B2 (en) 2001-08-09
CN1078498C (zh) 2002-01-30
MY117865A (en) 2004-08-30
US6006950A (en) 1999-12-28
CA2241158A1 (en) 1998-04-30
NZ331061A (en) 2000-01-28
CA2241158C (en) 2006-10-03
DE69732283D1 (de) 2005-02-24
DE69732283T2 (de) 2006-02-16
CN1206359A (zh) 1999-01-27
WO1998017399A1 (fr) 1998-04-30
EP0868945B1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289B1 (ko) 트리거식액체분출기
JP647605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58324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805549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2000070777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2002326680A (ja) 液体噴出器
JP2000070780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3883164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2020082040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0210601A (ja) トリガ―式液体噴出容器
JP2001009331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583243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476060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958498B2 (ja) トリガ式液体噴出器
JP2004089806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80556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2025007374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780443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ポンプ
JPH0646847Y2 (ja) 液体射出装置
JP2001322661A (ja) トリガ式液体噴出器
JP2024122590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3720594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H10146545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H1018015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TWI414461B (zh) Trigger type liquid e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0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4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