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6990B1 -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990B1
KR100486990B1 KR1020040111223A KR20040111223A KR100486990B1 KR 100486990 B1 KR100486990 B1 KR 100486990B1 KR 1020040111223 A KR1020040111223 A KR 1020040111223A KR 20040111223 A KR20040111223 A KR 20040111223A KR 100486990 B1 KR100486990 B1 KR 10048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contact
center terminal
main body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백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1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990B1/ko
Priority to TW094110269A priority patent/TWI28219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990B1/ko
Priority to JP2005198344A priority patent/JP2006179451A/ja
Priority to US11/161,381 priority patent/US702933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 또는 기판을 인쇄회로 기판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의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삽입구를 갖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일정하게 규격화된 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일단이 제2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제1면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중앙터미널 콘택트;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를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와 이격되어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가이드면과 하측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를 감싸는 도전성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접촉부와 마주보는 면의 상기 도전성 커버는 상기 제1면쪽 단부가 상기 삽입구 안쪽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규격을 유지하면서도 플러그 커넥터와의 불필요한 접촉이 없도록 하여 불필요한 마찰이나 오작동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접촉자가 중앙터미널 컨택트에 보다 유연하고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Non-Grounded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 또는 기판을 인쇄회로 기판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의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소켓 커넥터는 전자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중앙 터미널 콘택트와 접지에 사용되는 접지터미널 콘택트를 구비하고, 이를 각각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접촉자 및 접지접촉자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소켓 커넥터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는 제1면 쪽으로 플러그커넥터(미도시)가 끼워지는 삽입구(2)를 구비하며, 삽입구(2) 안쪽에는 중앙터미널 콘택트(30)와 접지터미널 콘택트(20)가 마주보며 구비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의 본체는 삽입구(2)를 형성하며 상하의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판(12)과 하부판(14)을 구비하며, 상부판(12)의 상측, 하부판(14)의 하측 및 양 측면을 감싸는 커버(10)가 구비된다.
제1면 쪽으로는 삽입구(2)가 형성되고, 제2면 쪽으로는 본체 내에 결합된 접지터미널 콘택트(20)와 중앙터미널 콘택트(30)가 돌출되어, 회로기판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실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부를 절곡하여 평면에 일렬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터미널 콘택트(20)와 중앙터미널 콘택트(30)는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며 제2면 쪽으로 돌출되며, 본체 내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접지터미널 콘택트(20)가 하측의 하부판(14)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터미널 콘택트(30)가 상측의 상부판(12)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접지터미널 콘택트(20)와 중앙터미널 콘택트(30)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각각의 콘택트의 위치는 중간지지판(16)에 의해 고정된다. 접지터미널 콘택트(20)와 중앙터미널 콘택트(30)은 서로를 향해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그 사이에 플러그커넥터(미도시)의 접촉자가 삽입되어 접촉되게 된다.
이 때 전자기 신호를 전달하는 중앙터미널 콘택트(30)는 플러그커넥터의 중앙접촉자(미도시)와 접촉하고, 접지를 위한 접지터미널 콘택트(20)는 플러그커넥터의 접지접촉자(미도시)와 접촉하게 된다.
전기 커넥터의 접지터미널 콘택트(20)는 하측에, 중앙터미널 콘택트(30)는 상측에 구비된 것과 대응하여, 플러그커넥터의 접지접촉자는 하측을 향하여 접촉되고, 중앙접촉자는 상측을 향하여 접촉된다.
이러한 접지터미널 콘택트(20)는 제2면 쪽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데,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1개의 접지터미널 콘택트(20) 일 단부와 2개의 중앙터미널 콘택트(30) 일 단부가 반복되며 돌출된다.
도 3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접지터미널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지터미널 콘택트(20)는 하나의 금속재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제2면 쪽으로 돌출되어 납땜 등으로 실장되는 실장부(26), 내부 벽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부(24),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부분을 연결하며 연장형성되는 링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링크부(22)의 하방으로는 제1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일정 각도만큼 상방 형성되는 콘택부(28)가 형성된다. 콘택부(28)는 전기 커넥터의 하부판(14)에 위치, 지지되며 중앙터미널 콘택트(30)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플러그커넥터의 접지접촉자는 콘택부(28)와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구성은 접지터미널 콘택트(20)와 중앙터미널 콘택트(30)을 마주보게 하면서, 전기 커넥터 내부에 일렬로 접지터미널 콘택트(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접지터미널 콘택트(20)를 별도로 다량 제조하여야 하며, 내부에 일렬로 배치하여야 하는 제조상의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 개 내지는 장형의 접지터미널 콘택트(20)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됨은 물론 제작 공정상으로도 불리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접지터미널 콘택트의 형상을 단순화 하거나, 좀 더 작고 간편하게 접지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대체될 필요성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기기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LCD가 탑재되는데, SPWG(Standard Panel Working Group)는 상기한 LCD의 디멘존(Dimension)과 인터페이스 등의 규격을 공용화하는 표준안(ISP : Industrial Standard Panels)을 제정하여, 개발기간을 단축시키고, 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표준안을 권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LCD 모니터, 노트북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이러한 규격이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32개의 콘택트로 일렬 배열되어야 하며, 양단의 2개의 콘택트는 접지터미널 콘택트로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양단의 접지터미널 콘택트가 불필요한 경우에도 규격에 따라 구비하여야 하는데, 중앙터미널 콘택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은 플러그커넥터와 불필요한 접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형상으로 고안하여 플러그커넥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형상의 접지터미널 콘택트를 형성하는 것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접지터미널 콘택트의 형상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의 전기 커넥터가 개발된 바 있으며, 실용신안 제328321호로 등록되어 있다. 개선된 구조의 전기 커넥터를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00)는 외부를 금속재의 도전성 커버(110)로 감싸고 있으며, 제2면 쪽으로는 종래와 같이 접지터미널 콘택트(120)와 중앙터미널 콘택트(130)의 일 단부가 돌출되어 실장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종래와 달리 접지터미널 콘택트(120)는 양 끝에만 위치하게 되며, 그 중간에는 중앙터미널 콘택트(130)가 일렬 배치된다. 제1면 쪽으로는 플러그커넥터(미도시)가 삽입구(미도시)로 끼워진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하측에는 도전성 커버(110)가 감싸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접지터미널 콘택트(120)가 상측 커버(110)의 아래쪽을 접촉하며 구비되어 있다.
삽입구(102) 안쪽에는 상하방으로 상측 가이드면(112)과 하측 가이드면(114)이 구비되며, 하측 커버(110)는 제1면 쪽으로 하측 가이드면(114)을 감싸며 삽입구(102) 쪽으로 상방 절곡되고, 상측 커버(110)도 제1면 쪽으로 상측 가이드면(112)을 감싸며 삽입구(102) 쪽으로 하방 절곡되어 있다.
접지터미널 콘택트(120)는 제2면 쪽으로 돌출되며, 제1면쪽으로는 본체 내부로 돌출되거나 연장되지 아니하고, 단지 상측 커버(110)의 내측과 접촉하고 있을 뿐이다.
도 7은 도 5의 B-B' 선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하측에는 도전성 커버(110)가 감싸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중앙터미널 콘택트(130)가 상측 커버(110)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중앙터미널 콘택트(130)의 하측에는 별도의 접지터미널 콘택트가 존재하지 아니하며, 단지 하측 가이드면(114) 만이 존재하고 있다. 중앙터미널 콘택트(130)는 고정부(136)에 의해 본체 내에 고정되며, 제2면 쪽으로 돌출되는 실장부(134)와, 제1면 쪽의 삽입구(102)를 향하는 접촉부(132)를 구비한다.
하측 커버(110)는 제1면 쪽으로 하측 가이드면(114)을 감싸며 삽입구(102) 쪽으로 상방 절곡되어, 삽입구(102)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형성된 연장부(110a)를 구비한다. 연장부(110a)는 삽입구(102)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구(102)에 일부 걸치는 위치까지도 연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선된 전기 커넥터의 경우에도, 상측 커버(110)에 접촉되는 형상의 접지터미널 콘택트(120)을 중앙터미널 콘택트(130)와 다르게 상방으로 절곡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전성 커버(110)의 연장부(110a)가 하측 가이드면(114)을 감싸는 상태에서 약간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어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중앙터미널 콘택트(130) 쪽으로 유연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지터미널 컨택트의 형상을 개선하여, 플러그 커넥터와의 불필요한 접촉이 없으면서도, 커넥터 규격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접촉자가 중앙터미널 컨택트에 보다 유연하고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삽입구를 갖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일정하게 규격화된 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일단이 제2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제1면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중앙터미널 콘택트;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를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와 이격되어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가이드면과 하측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를 감싸는 도전성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접촉부와 마주보는 면의 상기 도전성 커버는 상기 제1면쪽 단부가 상기 삽입구 안쪽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 가이드면은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수평 위치보다 짧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전성 커버의 상면 단부가 상기 상측 가이드면의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하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 가이드면은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수평 위치보다 짧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전성 커버의 하면 단부가 상기 하측 가이드면의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렬로 배열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양측 끝에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일단이 상기 제2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면 쪽으로 돌출되지 않은 더미 콘택트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앙터미널 콘택트(130)가 본체(111)를 관통하며 결합되어 있고, 본체(111)의 상하단에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측 가이드면(112)과 하측 가이드면(114) 사이의 공간으로 접촉부(132)가 돌출된다. 중앙터미널 콘택트(130)는 본체(111)에 고정부(136)가 몰딩되어 결합되고, 바깥쪽으로는 실장부(134)가 돌출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게 된다.
상측 가이드면(112)과 하측 가이드면(114)의 상측과 하측에는 금속재의 상면 도전성 커버(110c)와 하면 도전성 커버(110d)가 감싸고 있다. 상측 가이드면(112)은 중앙터미널 콘택트(130)의 접촉부(132)보다 더욱 길게 돌출되고, 하측 가이드면(114)은 중앙터미널 콘택트(130)의 접촉부(132)보다 짧게 돌출된다.
하측 가이드면(114)이 상대적으로 짧게 돌출됨에 따라, 하측 가이드면(11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빈 공간(A)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빈 공간에는 하면 도전성 커버(110d)의 절곡부(110e)가 내측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치하게 된다. 도전성 커버(110d)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이므로, 하면 도전성 커버(110d)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며 약 150 도 이상 꺾어 절곡부(110e)를 형성하면, 판스프링과 같이 상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삽입구(102) 쪽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접촉자(미도시)가 삽입되면, 절곡부(110e)가 중앙접촉자 또는 중앙접촉자를 지지하는 구성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접촉부(132)와 중앙접촉자와의 접촉이 더욱 확고하게 된다. 아울러 절곡부(110e)의 꺾인 각도를 조절하여 절곡부(110e)가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 유연한 가압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중앙터미널 콘택트(130) 또는 중앙접촉자의 파손,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택트를 일렬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중앙터미널 콘택트 및 더미 콘택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32개의 콘택트가 본체(111) 내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30개의 중앙터미널 콘택트(130)가 구비되고, 양단에는 각각 더미 콘택트(140)가 구비된다.
중앙터미널 콘택트(130)는 실장부(134), 고정부(136) 및 접촉부(132)를 구비하며, 접촉부(132)는 본체(111)에 고정된 고정부(136)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132)를 통해 중앙터미널 콘택트(130)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의 중앙접촉자(미도시)와 접촉하게 된다.
더미 콘택트(140)는 접촉부(132)와 같이 길게 돌출된 부분이 없으며, 본체(11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46)와, 실장부(144)만을 포함하고 있다. 더미 콘택트(140)가 접촉부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의 불필요한 접촉이 없게 된다. 이와 동시에 실장부(134)(144)는 동일한 형상으로 32개를 일렬 배열할 수 있어, 규격에도 적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접지터미널 컨택트의 형상을 개선하여, 커넥터 규격을 유지하면서도 플러그 커넥터와의 불필요한 접촉이 없도록 하여 그로 인한 불필요한 마찰이나 오작동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가이드면을 짧게 형성하고, 그 부분에 도전성 커버를 절곡 형성하여 가압 기능을 갖도록 하여,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접촉자가 중앙터미널 컨택트에 보다 유연하고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접지터미널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선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택트를 일렬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중앙터미널 콘택트 및 더미 콘택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기 커넥터 102 : 삽입구
110 : 도전성 커버 110a : 연장부
110b : 경사부 110c : 상면 도전성 커버
110d : 하면 도전성 커버 111 : 본체
112 : 상측 가이드면 114 : 하측 가이드면
120 : 접지터미널 콘택트 130 : 중앙터미널 콘택트
132 : 접촉부 134 : 실장부
136 : 고정부 140 : 더미 콘택트
144 : 실장부 146 : 고정부

Claims (4)

  1. 삽입구를 갖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일정하게 규격화된 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일단이 제2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제1면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중앙터미널 콘택트;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를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와 이격되어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가이드면과 하측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를 감싸는 도전성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접촉부와 마주보는 면의 상기 도전성 커버는 상기 제1면쪽 단부가 상기 삽입구 안쪽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이드면은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수평 위치보다 짧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전성 커버의 상면 단부가 상기 상측 가이드면의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하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이드면은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수평 위치보다 짧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전성 커버의 하면 단부가 상기 하측 가이드면의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일렬로 배열된 상기 중앙터미널 콘택트의 양측 끝에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일단이 상기 제2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면 쪽으로 돌출되지 않은 더미 콘택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KR1020040111223A 2004-12-23 2004-12-23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Expired - Lifetime KR10048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223A KR100486990B1 (ko) 2004-12-23 2004-12-23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TW094110269A TWI282191B (en) 2004-12-23 2005-03-31 Non-grounded electric connector
JP2005198344A JP2006179451A (ja) 2004-12-23 2005-07-07 無接地型電気コネクタ
US11/161,381 US7029330B1 (en) 2004-12-23 2005-08-01 Non-grounded electr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223A KR100486990B1 (ko) 2004-12-23 2004-12-23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6990B1 true KR100486990B1 (ko) 2005-05-03

Family

ID=3614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223A Expired - Lifetime KR100486990B1 (ko) 2004-12-23 2004-12-23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29330B1 (ko)
JP (1) JP2006179451A (ko)
KR (1) KR100486990B1 (ko)
TW (1) TWI2821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3006C2 (nl) * 2005-12-06 2008-09-30 Japan Aviation Electron Connector met bescherming tegen elektrostatische ladingen die zijn geaccumuleerd op een bijpassende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529445S1 (en) * 2005-09-07 2006-10-03 Uju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nnector
KR100711980B1 (ko) * 2005-09-22 2007-05-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기 커넥터
JP2009193786A (ja) * 2008-02-13 2009-08-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Hdmi規格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01204279Y (zh) * 2008-05-07 2009-03-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318613B2 (ja) * 2009-02-26 2013-10-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18745B1 (ja) * 2009-12-04 2011-01-2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CN105098414B (zh) 2014-04-28 2017-12-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CN109923738B (zh) * 2016-08-23 2021-11-30 申泰公司 具有阻抗特性改进的锚固区的电接触件
USD851044S1 (en) 2016-09-30 2019-06-11 Samtec,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11152726B2 (en) * 2017-06-06 2021-10-19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system
CN109193193B (zh) * 2018-08-27 2020-09-2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7011621B2 (ja) * 2019-03-29 2022-0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1490380B (zh) * 2019-03-30 2021-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595913U (zh) * 2020-01-10 2020-05-21 啟貿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之接地片改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7029A (en) * 1969-12-04 1971-06-22 Litton Precision Prod Inc Rf connector
US4687263A (en) 1983-03-10 1987-08-18 Amp Incorporated Shielding kit for electrical connectors terminating multiconductor 360 degree shielded cable
US4623211A (en) * 1985-06-24 1986-11-1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4747787A (en) 1987-03-09 1988-05-31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US5116239A (en) 1990-06-14 1992-05-26 Amp Incorporated Multiconductor flat cable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5509827A (en) 1994-11-21 1996-04-23 Cray Computer Corporation High density, high bandwidth, coaxial cable, flexible circuit and circuit board connection assembly
JP2913156B2 (ja) 1996-02-21 1999-06-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FR2747516B1 (fr) * 1996-04-12 1998-06-05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blinde, notamment du typ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destinee a etre fixee a un support plan
JPH10255881A (ja) 1997-03-07 1998-09-25 Molex Inc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3196018B2 (ja) 1997-03-31 2001-08-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US5885100A (en) * 1997-05-12 1999-03-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ight transmission means
US6033238A (en) 1997-05-30 2000-03-07 The Whitaker Corporation Ribbon cable connector with ground bus
JP3451393B2 (ja)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120323A (en) * 1999-07-20 2000-09-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540187B (en) * 2000-09-29 2003-07-01 Tyco Electronics Amp Kk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3006C2 (nl) * 2005-12-06 2008-09-30 Japan Aviation Electron Connector met bescherming tegen elektrostatische ladingen die zijn geaccumuleerd op een bijpassend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2191B (en) 2007-06-01
TW200623537A (en) 2006-07-01
JP2006179451A (ja) 2006-07-06
US7029330B1 (en)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990B1 (ko)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US7070424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boards
US742920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97215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tacts
US761488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N2728007Y (zh) 电连接器
SG1914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624429Y (zh) 电连接器
US7393246B2 (en) Transfer card structure
US7137841B1 (en) LIF socket connector
US1062276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110044813A (ko) 마이크로 usb 소켓
US716898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inner shield
CN101473496B (zh) 同轴电缆用连接器
GB2503558A (en) USB 2.0 and 3.0 compatible electrical connector
CN101136524A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913663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iable assembly effect
CN201774000U (zh) 端子及使用该端子的电连接器
KR200358321Y1 (ko)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CN1208266A (zh) 具有遮蔽壳体的电连接器
CN201112826Y (zh) 电连接器
CN2821935Y (zh) 电连接器
CN115241675A (zh) 电连接器及其组件
CN201075493Y (zh) 电连接器
CN2360969Y (zh) 电子卡连接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20

End annual number: 20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506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