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5168B1 -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168B1
KR100485168B1 KR10-2002-0060304A KR20020060304A KR100485168B1 KR 100485168 B1 KR100485168 B1 KR 100485168B1 KR 20020060304 A KR20020060304 A KR 20020060304A KR 100485168 B1 KR100485168 B1 KR 10048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layer
film
tio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866A (ko
Inventor
박건욱
Original Assignee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10D1/696Electrodes comprising multipl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8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titanium, e.g. TiO2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금속/ 절연체/ 금속 (MIM) 구조의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대하여 사용가능한 교류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고, 특히 RF를 이용할 수 있는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유전체층으로서 유전상수가 114인 티타늄옥사이드(TiO2)를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 ALD)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Thin film capacitor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절연체/ 금속 (MIM) 구조의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 동작을 요구하는 아날로그 회로에서는 고용량의 커패시터를 구현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커패시터가 다결정실리콘(polysilicon), 절연체(insulator), 및 다결정실리콘(polysilicon)이 적층된 PIP 구조일 경우에는 상부전극 및 하부전극을 도전성 다결정실리콘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하부전극과 유전체 박막 계면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연산화막이 형성되어 전체커패시턴스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패시터의 구조를 금속/절연체/실리콘 (metal/insulator/silicon : MIS) 또는 금속/절연체/금속(metal/insulator/metal : MIM)으로 변경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MIM 구조의 커패시터는 비저항이 작고 내부에 공핍(deplection)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가 없기 때문에 고성능 반도체 장치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면, 종래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따라 MIM 구조의 박막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 방법에 따라 박막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의 상부에 통상의 반도체 소자 공정을 진행하고 피에스지(PSG : phosphosilicateglass) 등의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하부절연막(2)을 형성한 다음, 하부절연막(2) 상에 Ti 베리어층(3), Cu가 함유된 Al으로 이루어진 AlCu 하부배선(4), Ti 글루층(5) 및 TiN 반사방지막(6)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어서, TiN 반사방지막(6) 상에 제1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하여 상면이 노출된 TiN 반사방지막(6) 및 그 하부의 Ti 글루층(5), AlCu 하부배선(4), Ti 베리어층(3)을 소정부분을 식각함으로써, TiN 반사방지막(6), Ti 글루층(5), AlCu 하부배선(4), 및 Ti 베리어층(3)을 소정폭으로 남긴 후, 제2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세정공정을 수행한다.
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 플라즈마(HDP:hight density plasma) 공정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금속배선 간 갭을 매립하도록 HDP 산화막(7)을 증착한 후, 일반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하여 HDP 산화막(7) 상에 TEOS막(8)을 증착하고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상면을 평탄화한다.
이어서, 커패시터 형성을 위한 사진식각공정으로서, 평탄화된 TEOS막(8)의 상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커패시터로 예정된 TEOS막(8) 상면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제2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면이 노출된 TEOS막(8) 및 HDP 산화막(7)을 건식식각하여 TiN 반사방지막(6)의 표면을 개방하는 소정폭의 커패시터구(100)를 형성한 다음, 제2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세정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커패시터의 크기인 TEOS막(8)의 노출면적은 소자가 요구하는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10㎛×10㎛이 되도록 한다.
다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구(100)의 내벽을 포함하여 TEOS막(8)의 상부 전면에 커패시터의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체층으로서 SiO2 유전체층(9) 및 SiN 유전체층(10)을 차례로 형성한다.
다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N 유전체층(10) 상에 제1베리어금속막(11)을 증착하고, 제1베리어금속막(11) 상에 텅스텐(12)을 증착하여 커패시터(100)의 내부를 완전히 매립한 다음, TEOS막(8)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상면을 평탄화시킨다.
이어서, TEOS막(8) 및 HDP 산화막(7)을 선택적으로 건식식각하여 비아(200)를 형성한 후, 비아(200)의 내벽에 제2베리어금속막(11')을 증착하고, 제2베리어금속막(11') 상에 텅스텐(12')을 증착하여 비아(200)의 내부를 완전히 매립한 다음, TEOS막(8)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상면을 평탄화시킨다.
다음, 평탄화된 상면에 Ti 베리어층(13), AlCu 상부배선(14), Ti 글루층(15), 및 TiN 반사방지막(16)을 차례로 증착하고 이들을 패터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유전체층으로서 유전상수가 7인 SiO2막과 유전상수가 4인 SiN막을 이중증착하였는데, 이 경우의 커패시턴스값으로는 사용가능한 교류의 주파수 대역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라디오주파수(radio frequency : RF)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대하여 사용가능한 교류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고, 특히 RF를 이용할 수 있는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유전체층으로서 유전상수가 114인 티타늄옥사이드(TiO2)를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 ALD)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는 상면에 커패시터의 제1전극층 및 하부절연막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 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제1전극층을 노출시키는 커패시터구를 가지는 층간절연막; 커패시터구의 내벽에 형성된 TiO2 유전체층; 및 TiO2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고 커패시터구의 내부를 매립하는 제2전극층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상면에 커패시터의 제1전극층 및 하부절연막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층간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전극층을 노출시키는 커패시터구를 형성하는 단계; 커패시터구의 내벽에 TiO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TiO2 유전체층 상에 전극구를 매립하도록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소자는 도 2d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개별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101) 상에 형성되는데,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101)의 상면에는 제1전극층(23) 및 하부절연막(22)이 노출되어 있다.
하부절연막 상에는 제1전극층을 노출시키는 커패시터구를 가지는 층간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커패시터구의 내벽에는 TiO2 유전체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TiO2 유전체층 상에는 커패시터구의 내부를 매립하도록 제2전극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TiO2 유전체층은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oin : ALD)에 의해 200 내지 8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TiO2 유전체층 상에는 티타늄 및 티타늄나이트라이드로 이루어진 베리어금속막이 200 내지 500Å의 두께로 형성되고, 베리어금속막 상에 제2전극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층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가 함유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전극층은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통상의 반도체 소자 공정을 진행하고 개별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101)을 형성하고,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101) 상에 피에스지(PSG : phosphosilicateglass) 등의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하부절연막(102)을 형성한 다음, 하부절연막(102) 상에 Ti 베리어층(103), Cu가 함유된 Al으로 이루어진 AlCu 하부배선(104), Ti 글루층(105) 및 TiN 반사방지막(106)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 때, Ti 베리어층(103)은 대략 140Å의 두께로, AlCu 하부배선(104)은 대략 4500Å의 두께로, Ti 글루층(105)은 대략 200Å의 두께로, TiN 반사방지막(106)은 대략 275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배선(104)은 커패시터의 제1전극층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AlCu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Al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TiN 반사방지막(106) 상에 제1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하여 상면이 노출된 TiN 반사방지막(106) 및 그 하부의 Ti 글루층(105), AlCu 하부배선(104), Ti 베리어층(103)을 소정부분을 식각함으로써, TiN 반사방지막(106), Ti 글루층(105), AlCu 하부배선(104), 및 Ti 베리어층(103)을 소정폭으로 남긴 후, 제2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세정공정을 수행한다.
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 플라즈마(HDP:hight density plasma) 공정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금속배선 간 갭을 매립하도록 HDP 산화막(107)을 증착한 후, 일반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하여 HDP 산화막(107) 상에 TEOS막(108)을 증착하고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상면을 평탄화한다.
이 때, HDP 산화막(107)은 대략 60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TEOS막(108)은 대략 140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커패시터 형성을 위한 사진식각공정으로서, 평탄화된 TEOS막(108)의 상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커패시터로 예정된 TEOS막(108) 상면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제2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면이 노출된 TEOS막(108) 및 HDP 산화막(107)을 건식식각하여 TiN 반사방지막(106)의 표면을 개방하는 소정폭의 커패시터구(100)를 형성한 다음, 제2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세정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커패시터의 크기인 TEOS막(108)의 노출면적은 소자가 요구하는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10㎛×10㎛이 되도록 한다.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구(100)의 내벽을 포함하여 TEOS막(108)의 상부 전면에 커패시터의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체층으로서 TiO2 유전체층(109)을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하여 350℃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대략 5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원자층증착법에 의해 TiO2 유전체층(109)이 형성되는 반응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다.
TiCl4 + H2O → TiO2 + HCl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TiO2 유전체층(109) 상에 제1베리어금속막(110)을 증착하고, 제1베리어금속막(110) 상에 텅스텐(111)을 증착하여 커패시터구(100)의 내부를 완전히 매립한 다음, TEOS막(108)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상면을 평탄화시킨다.
이 때, 제1베리어금속막(110)으로는 대략 200Å 두께의 Ti막과 대략 100Å 두께의 TiN막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으며, 텅스텐(111)은 커패시터의 제2전극층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대략 35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TEOS막(108) 및 HDP 산화막(107)을 선택적으로 건식식각하여 비아(200)를 형성한 후, 비아(200)의 내벽에 제2베리어금속막(110')을 증착하고, 제2베리어금속막(110') 상에 텅스텐(111')을 증착하여 비아(200)의 내부를 완전히 매립한 다음, TEOS막(108)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상면을 평탄화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베리어금속막(110')으로는 대략 200Å 두께의 Ti막과 대략 100Å 두께의 TiN막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으며, 텅스텐(111')은 대략 35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평탄화된 상면에 Ti 베리어층(112), AlCu 상부배선(113), Ti 글루층(114), 및 TiN 반사방지막(115)을 차례로 증착하고 이들을 패터닝한다.
이 때, Ti 베리어층(112)은 대략 140Å의 두께로, AlCu 하부배선(113)은 대략 4500Å의 두께로, Ti 글루층(114)은 대략 200Å의 두께로, TiN 반사방지막(115)은 대략 275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패시터의 유전체층으로서 유전상수가 큰 TiO2막을 형성하므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대하여 사용가능한 교류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RF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 방법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1)

  1. 상면에 알루미늄 및 구리가 함유된 알루미늄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의 제1전극층 및 하부절연막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
    상기 제1전극층 및 하부절연막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층을 노출시키는 커패시터구를 가지는 층간절연막;
    상기 커패시터구의 내벽에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oin : ALD)에 의해 200 내지 800Å의 두께로 형성된 TiO2 유전체층;
    상기 TiO2 유전체층 상부에 형성되고 200 내지 500Å 두께의 티타늄 및 티타늄나이트라이드로 이루어진 베리어금속막; 및
    상기 베리어금속막을 포함한 커패시터구의 내부를 매립하는 텅스텐으로 형성되는 제2전극층을 포함하는 박막 커패시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면에 알루미늄 및 구리가 함유된 알루미늄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의 제1전극층 및 하부절연막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의 구조물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전극층을 노출시키는 커패시터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구의 내벽에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하여 200 내지 800Å의 두께로 TiO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TiO2 유전체층 상에 티타늄 및 티타늄나이트라이드로 이루어진 베리어금속막을 200 내지 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리어금속막 상에 상기 커패시터구를 매립하도록 텅스텐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텅스텐, 베리어금속막 및 TiO2 유전체층을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커패시터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2-0060304A 2002-10-02 2002-10-02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85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304A KR100485168B1 (ko) 2002-10-02 2002-10-02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304A KR100485168B1 (ko) 2002-10-02 2002-10-02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866A KR20040029866A (ko) 2004-04-08
KR100485168B1 true KR100485168B1 (ko) 2005-04-22

Family

ID=3733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3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5168B1 (ko) 2002-10-02 2002-10-02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631B1 (ko) 2004-12-28 2007-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티타늄산화막의 증착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캐패시터의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301A (ja) * 1999-12-09 2001-06-22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68315A (ko) * 2000-01-04 2001-07-23 윤종용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US6313003B1 (en) * 2000-08-17 2001-11-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Fabrication process for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with low gate resistance
US6458650B1 (en) * 2001-07-20 2002-10-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U second electrode process with in situ ashing and oxidation proc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301A (ja) * 1999-12-09 2001-06-22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68315A (ko) * 2000-01-04 2001-07-23 윤종용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US6313003B1 (en) * 2000-08-17 2001-11-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Fabrication process for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with low gate resistance
US6458650B1 (en) * 2001-07-20 2002-10-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U second electrode process with in situ ashing and oxidation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631B1 (ko) 2004-12-28 2007-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티타늄산화막의 증착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캐패시터의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866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7125B2 (en) Interdigitated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7897454B2 (en)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5744790B2 (ja) 集積回路とその方法
CN1221985A (zh) 集成电路上薄膜层中分布的去耦电容器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809321B1 (ko) 다중 mim 캐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US6999298B2 (en) MIM multilayer capacitor
US6391713B1 (en) Method for forming a dual damascene structure having capacitors
US6410386B1 (en) Method for forming a metal capacitor in a damascene process
US6512260B2 (en) Metal capacitor in damascene structures
KR100865944B1 (ko) Mim 구조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485168B1 (ko)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6312985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bottom electrode
US7018903B2 (en)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capacitor
CN112259520B (zh) Mim电容的形成方法
KR100515378B1 (ko) 박막 커패시터 제조 방법
US6417065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bottom electrode
CN100394545C (zh) 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
JP200303166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03350B1 (ko)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90836B1 (ko)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67781B1 (ko)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651481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polysilicon capacitor
KR100527868B1 (ko) 고용량 엠아이엠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724B1 (ko) 고용량 mim 구조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53285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