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3775B1 - 아스코르브산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브산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775B1
KR100483775B1 KR1019960064372A KR19960064372A KR100483775B1 KR 100483775 B1 KR100483775 B1 KR 100483775B1 KR 1019960064372 A KR1019960064372 A KR 1019960064372A KR 19960064372 A KR19960064372 A KR 19960064372A KR 100483775 B1 KR100483775 B1 KR 10048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hloride
keto
ascorbic acid
gul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536A (ko
Inventor
울리히 페흐텔
칼하인츠 벰바처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04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2Three oxygen atoms, e.g. ascorb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an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불활성 유기 용매, 지방족 케톤 및 산 염화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중에서 2-케토-L-굴론산을 수성 무기산과 반응시킴으로써 L-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방법.

Description

아스코르브산의 제조 방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SCORBIC ACID}
본 발명은 불활성 유기 용매 및 지방족 케톤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중에서 2-케토-L-굴론산을 수성 무기산과 반응시키되 산 염화물을 첨가하여 L-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2-케토-L-굴론산, 불활성 용매, 케톤 및 수성 무기산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가열하고 후속적으로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케토-L-굴론산을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1단계로 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2,185,383 호에는 2-케토-L-굴론산과 용매로서의 농축된 염산 및 아세트산의 반응이 기술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58-177,986 호에는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초기에 에탄올과 아세톤중의 소듐 2-케토-L-굴론산의 용액을 염산으로 중화시켰다. 일본 특허 공고공보 제 48-15,931 호에는 불활성 용매중에서 계면활성 물질의 존재하에 2-케토-L-굴론산을 무기산과 반응시킨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계면활성 물질의 존재하에 2-케토-L-굴론산 무수물로부터 출발된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가 WO 87/00839 호에 기술되어 있다. EP 제 0,324,261 호 및 GB 제 2,205,567 호에는, 불활성 용매의 혼합물중에서 계면활성 물질의 존재하에 2-케토-L-굴론산과 산을 반응시키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놀랍게도, L-아스코르브산의 합성 분야의 연구로 인해, 산 염화물을 첨가하면 계면활성 물질이 생략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방법에 따르면, 산 염화물을 첨가하면서 2-케토-L-굴론산을 용매 혼합물중에서 수성 무기산으로 락톤화시킴으로써, L-아스코르브산을 이미 공지된 방법의 수율 이상의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이는 GB 제 2,205,567 호에 기재된 구성성분들에 따라 수행된 비교 실시예에 의해 입증되었다.
산 염화물을 사용하면, 시스템내의 물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고, 이로써 물의 함량 및 그에 따른 아스코르브산의 수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될 수 있는 양의 관점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즉, 단위 용적당 실질적으로 보다 많은 양(2 내지 4배)의 케토굴론산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이론치의 90%를 초과하는 수율이 실현가능하다(실시예 2).
용매 혼합물은 불활성 용매 및 지방족 케톤으로 구성되고, 케톤/불활성 용매 비율은 광범위하게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케톤은 불활성 용매에 대해 동일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용매 1용적%에 대해 케톤 0.02 내지 0.3용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용적%가 첨가된다.
적합한 불활성 용매의 예로는 헥산, 헵탄, 옥탄, 석유계 에테르,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탄화수소; 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염소화된 탄화수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또는 이소프로필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가 있으며, 적절하다면 상기 용매들 서로간의 혼합물도 또한 포함된다. 지방족 케톤은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디에틸 케톤, 메틸 이소프로필 케톤 및 또한 사이클로헥실 케톤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1부의 불활성 용매에 대해 0.01 내지 1부의 산 염화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부의 불활성 용매당 0.1 내지 0.4부의 산 염화물의 비율이 특히 바람직하다. 1부의 2-케토-L-굴론산에 대해 0.01 내지 0.2부의 산 염화물의 비율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산 염화물이 탄소수 1 내지 4의 지방족 카복실산 염화물, 특히 아세틸 클로라이드,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포스겐, 디포스겐, 옥살릴 클로라이드 및 또한 말론산 디클로라이드, 숙신산 디클로라이드 또는 부티릴 클로라이드인,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 염화물은 또한 티오닐 클로라이드 및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2-케토-L-굴론산의 반응은 상술된 바와 같이 용매 혼합물중에서 수행된다. 용매 혼합물에 대한 2-케토-L-굴론산의 농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5 내지 40중량%의 2-케토-L-굴론산이 바람직하다.
수성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인산 또는 황산이다. 바람직하게는 1몰의 2-케토-L-굴론산에 대해 0.2 내지 2몰의 무기산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반응이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50 내지 80℃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고, 55 내지 70℃의 온도 범위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후처리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여과, 용매 제거, 추출 및/또는 결정화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L-아스코르브산의 수율은 일반적으로 90%를 초과하며, 따라서 이에 수반되는 정제 단계들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및 하기에서, 모든 온도는 ℃로 표시된다. 함량(순도)의 측정은 예컨대 고려되는 조 생성물중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질량을 기준으로 요오드법 적정(iodometric determination)에 의해 수행되었다.
실시예 1
30㎖의 아세톤 및 18.3㎖의 37% 염산을 575㎖의 톨루엔중 100g의 2-케토-L-굴론산 용액(97.7%, 2.3%의 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9.4㎖의 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50㎖의 아세톤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7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염산을 증류 제거한다. 생성된 고형분을 여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50㎖의 톨루엔으로 헹군 뒤 건조시킨다. 이로써 85.9g의 L-아스코르브산이 수득된다; 순도 94.6%; 수율: 이론치의 91.7%.
실시예 2
170㎖의 톨루엔, 80㎖의 아세톤 및 20㎖의 37% HCl중 200g의 2-케토-L-굴론산 용액(97.7%, 2.3%의 물)을 2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40㎖의 아세톤중 18.8g의 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40㎖의 아세톤중 16.6㎖의 37% HCl로 구성된 혼합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시간 동안 60℃에서 유지시킨다. 후처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수행한다. 이로써 170.4g의 아스코르브산이 수득된다; 순도 94.4%; 수율: 이론치의 91.4%.
실시예 3
570㎖의 톨루엔, 30㎖의 아세톤 및 10㎖의 37% HCl중 100g의 2-케토-L-굴론산 용액(97.7%, 2.3%의 물)을 1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50㎖의 아세톤중 8.8g의 티오닐 클로라이드 및 6.7㎖의 37% HCl로 구성된 혼합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60℃에서 유지시킨다. 후처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수행한다. 이로써 86.3g의 아스코르브산이 수득된다; 순도 94.4%; 수율: 이론치의 91.9%.
실시예 4
575㎖의 톨루엔, 30㎖의 아세톤 및 10㎖의 37% HCl중 100g의 2-케토-L-굴론산 용액(97.7%, 2.3%의 물)을 3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50㎖의 아세톤중 7.3g의 디포스겐 및 7.0㎖의 37% HCl로 구성된 혼합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60℃에서 유지시킨다. 후처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수행한다. 이로써 85.0g의 아스코르브산이 수득되었다; 순도 95.4%; 수율: 이론치의 91.5%.
비교 실시예
575㎖의 톨루엔, 30㎖의 아세톤 및 10㎖의 37% HCl중 100g의 2-케토-L-굴론산 용액을 3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5.4g의 증류수, 10㎖의 37% HCl, 0.117g의 N-세틸-N,N,N-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52.2g의 HCl/아세톤(22.2%)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60℃에서 유지시킨다. 후처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수행한다. 이로써 85.4g의 아스코르브산이 수득된다; 순도 93.5%; 수율: 이론치의 90.1%.
본 발명에 의해 계면활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2-케톤-L-굴론산으로부터 L-아스코르브산을 높은 수율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불활성 유기 용매 및 지방족 케톤을 함유한 용매 혼합물중에서 2-케토-L-굴론산을 수성 무기산과 반응시킴으로써 L-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불활성 용매 1부에 대해 산 염화물 0.01 내지 1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2-케토-L-굴론산, 불활성 용매, 케톤 및 수성 무기산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가열하고, 후속적으로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산 염화물이 탄소수 1 내지 4의 지방족 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산 염화물이 티오닐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산 염화물이 아세틸 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포스겐 및 디포스겐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64372A 1995-12-16 1996-12-11 아스코르브산의제조방법 KR100483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7073.7 1995-12-16
DE19547073A DE19547073C1 (de) 1995-12-16 1995-12-16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scorbinsä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536A KR970042536A (ko) 1997-07-24
KR100483775B1 true KR100483775B1 (ko) 2005-11-25

Family

ID=778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372A KR100483775B1 (ko) 1995-12-16 1996-12-11 아스코르브산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44618A (ko)
EP (1) EP0779285B1 (ko)
JP (1) JPH09176145A (ko)
KR (1) KR100483775B1 (ko)
AT (1) ATE181325T1 (ko)
DE (2) DE19547073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7073C1 (de) * 1995-12-16 1996-11-14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scorbinsäure
US5998634A (en) * 1999-03-15 1999-12-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One-step synthesis of vitamin-C (L-ascorbic acid)
DE19919203A1 (de) 1999-04-28 2000-11-0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scorbinsäure
DE19938980A1 (de) * 1999-08-19 2001-02-2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Keto-L-gulonsäureestern
DE19954511A1 (de) 1999-11-12 2001-05-1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alisalzen der L-Ascorbinsäure
DE10022518A1 (de) 2000-05-10 2001-11-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scorbinsäure durch Lactonisierung von 2-Keto-L-gulonsäure oder 2-Keto-L-gulonsäureestern
WO2002051827A1 (en) * 2000-12-22 2002-07-04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scorbic acid in the presence of a sulfit
EP1351949B1 (en) 2000-12-22 2005-05-18 Eastman Chemical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l-ascorbic acid
US6740762B2 (en) 2001-08-24 2004-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ascorbic acids using alkaline earth silicate catalysts
US6716997B1 (en) 2001-10-09 2004-04-06 Eastman Chemical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ascorbic acid with reduced color
US6476239B1 (en) 2002-02-12 2002-11-0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scorbic acid
US6872314B2 (en) * 2003-08-29 2005-03-29 Eastman Chemical Company Dewatering process
CN102424695A (zh) * 2011-10-28 2012-04-25 安徽泰格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古龙酸甲酯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5383A (en) * 1937-04-28 1940-01-02 Charles Pflzer & Company Preparation of levo-ascorbic acid
US2205567A (en) * 1938-07-15 1940-06-25 Warren Buckley Nonrefillable bottle closure
KR840004416A (ko) * 1982-04-09 1984-10-15 요시도시 가즈오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방법
JPH01213275A (ja) * 1988-01-06 1989-08-28 Pfizer Inc 2―ケト―□dl―グロン酸からの□dl―アスコルビン酸の製造法
KR910000692A (ko) * 1989-06-12 1991-01-30 쟈끄 삘라르 아스코르브산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5931B1 (ko) 1970-10-05 1973-05-18
CN86105960A (zh) 1985-08-09 1987-05-13 鲁布里佐尔公司 在基本无水条件下从2-酮-l-古洛糖酸制备l-抗坏血酸
DE3819045C2 (de) 1987-06-08 1997-06-1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Herstellung von L-Ascorbinsäure
JPH08188578A (ja) * 1994-11-11 1996-07-23 Takeda Chem Ind Ltd L−アスコルビン酸の製造方法
DE19547073C1 (de) * 1995-12-16 1996-11-14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scorbinsä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5383A (en) * 1937-04-28 1940-01-02 Charles Pflzer & Company Preparation of levo-ascorbic acid
US2205567A (en) * 1938-07-15 1940-06-25 Warren Buckley Nonrefillable bottle closure
KR840004416A (ko) * 1982-04-09 1984-10-15 요시도시 가즈오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방법
JPH01213275A (ja) * 1988-01-06 1989-08-28 Pfizer Inc 2―ケト―□dl―グロン酸からの□dl―アスコルビン酸の製造法
KR910000692A (ko) * 1989-06-12 1991-01-30 쟈끄 삘라르 아스코르브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9285A1 (de) 1997-06-18
KR970042536A (ko) 1997-07-24
EP0779285B1 (de) 1999-06-16
DE59602236D1 (de) 1999-07-22
US5744618A (en) 1998-04-28
JPH09176145A (ja) 1997-07-08
DE19547073C1 (de) 1996-11-14
ATE181325T1 (de)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775B1 (ko) 아스코르브산의제조방법
KR20070037335A (ko) 5-메틸-2-푸르푸랄의 제조방법
KR100975520B1 (ko)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의 개선된 제조방법
KR20010022595A (ko) 엘-아스코브산의 제조 방법
KR910008112B1 (ko) O²,2' - 무수-1-(β-D-아라비노푸라노실)티민의 제조방법
CN103298783A (zh) 2-(烷氧基或烷氧羰基)-4-甲基-6-(2,6,6-三甲基环己-1-烯基)己-2-烯酸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613636B1 (ko) 펜타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즈의 제조 방법
JP7622405B2 (ja) 次亜塩素酸塩を用いた2-ヨードキシ安息香酸およびデス・マーチン・ペルヨージナンの製造方法
Murai et al. One-Pot Synthesis of Selenothioic Acid S-Alkyl Esters by the Reaction of Lithium Alkyneselenolates with Thiols.
KR840000115B1 (ko)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060247457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methyl-tri-oxo-rhenium
CA2306910C (en) Synthesis of 3-carbomethoxy-4,5-dimethylthiophene
RU231574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цетилен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EP0040418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 1h-indazol-3-ylacetic acid derivative
EP0346881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furylpropargylcarbinol and a derivate thereof
KR100484265B1 (ko)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의제조방법
KR20000017154A (ko) O,s-디알킬 포스포로아미도티오에이트의 n-아실 유도체의개선된 제조방법
EP0258009B1 (en) 2,6-bis(chloromethyloxycarbonyloxymethyl)pyridine
JPS62267267A (ja) ピラゾ−ル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390549B1 (ko) 3-할로메틸-3-세펨의 제조방법
KR100454090B1 (ko) 3-클로로-2-(4-클로로-2-플루오로-5-히드록시페닐)-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의 제조방법
KR20230155447A (ko) 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Nitta et al. On the reaction of tricarbonyl (4–7-η-1 H-1, 2-diazepine) iron with activated acetylenes. Preparation of 1-vinyl-1 H-1, 2-diazepine derivatives
EP0432745B1 (en) Process for producing furylpropargylcarbinols
EP0101003B2 (en) Process for preparing 4-oxo-4,5,6,7-tetrahydrobenzofuran deriva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207

Appeal identifier: 2004101005451

Request date: 20041122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3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41231

Patent event code: PB09012E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3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1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123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