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3030B1 -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 Google Patents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030B1
KR100483030B1 KR10-2002-0072909A KR20020072909A KR100483030B1 KR 100483030 B1 KR100483030 B1 KR 100483030B1 KR 20020072909 A KR20020072909 A KR 20020072909A KR 100483030 B1 KR100483030 B1 KR 10048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rown
head band
sewing
fab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4742A (en
Inventor
박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다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다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다실업
Priority to KR10-2002-007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030B1/en
Publication of KR2004004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03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의 사이즈 수용 범위 확대를 돕도록 제작된 모자와 그 봉제 방법에 개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in a hat and a sewing method thereof made to help expand the size accommodation range of the hat.

본 발명의 모자는 모자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을 연결, 봉제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일반 직물사를 이용하는 것 대신에 고무사(rubber thread)를 이용하며 나일론 스트레치사(nylon stretch thread)와 체인식으로 봉제하여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The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ewing a chain with a nylon stretch thread and using a nylon thread instead of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weaving thread in connecting and sew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at. It is characteristic.

Description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와 그 봉제 방법{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본 발명은 하나의 모자의 사이즈 수용 범위 확대를 돕도록 제작된 모자와The present invention is a hat made to help expand the size range of one hat and

그 봉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the sewing method.

일반적으로, 모자는 복수 개의 직물원단으로 구성되는 모자의 본체부인 크라운부와 크라운부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된 챙부와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부착되는 헤드 밴드와 크라운부 후면 하단부에 부착되는 사이즈 조절 장치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사이즈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할 때마다 별도로 사이즈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별도의 사이즈 조절 장치를 제거하고 스판사가 포함된 직물 원단의 신축성 밴드를 부착하여 헤드 밴드가 신축성을 갖게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시 머리 사이즈에 따라 별도로 사이즈를 조절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사이즈가 조절되는 모자가 개발되었다.In general, the cap is a size adjustment device attached to the crown portion and the head band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and the crown portion and the crown rear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row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abric fabric It consists of. By the way, the size adjustment device has a hassle to adjust the size separately each time the user wears a hat. So, to eliminate this hassle, separate size control device is removed, and elastic band of fabric fabric including span yarn is attached to make headband elastic. A hat that is regulated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판사가 포함된 직물원단의 신축성 밴드를 가진 모자는 사용자가 어느 정도 장시간 착용시 머리에 심한 압박감을 주는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났으며, 사이즈 조절에 영향을 주는 크라운과 헤드 밴드의 연결 부분과 헤드 밴드 자체 봉제를 위해 사용되는 봉제사가 신축성을 갖지 못함으로 인해 모자의 사이즈 수용 범위를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었다.However, the hat with the elastic band of the fabric fabric containing the span yarn as described above was found to be a problem that the user puts a lot of pressure on the head when worn for a long time,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rown and the headband that affects the size adjustment The sewing thread used to sew the headband itself has become a factor that hinders the size range of the hat.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따라 별도의 사이즈 조절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사이즈가 조절되는 기능을 가진 모자에 있어서 하나의 모자의 사이즈 수용 범위를 저해시키는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사이즈 수용 범위 확대를 돕는데 주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n the hat having a function of naturally adjusting the siz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iz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ead to accommodate the size range of one hat The main objective is to help expand the size range by eliminating the detrimental facto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자연스럽게 사이즈가 조절되는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는데 있어서 느끼는 압박감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essure that is felt when wearing a hat that is naturally siz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for a long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모자는 한 개 이상의 직물 원단으로 제작되는 모자의 본체부인 크라운부와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부에 부착되는 헤드 밴드부와 크라운부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되는 챙부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 밴드부 위에 사용되는 봉제사는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로 구성되며, 서로 체인식으로 연결, 봉제되어 제작되고, 상기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를 연결하는 봉제사는 고무사와 나일론사로 구성되며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서로 맞물려 연결, 봉제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rown portion that is a main body portion of the hat made of one or more fabric fabric and a head band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and a visor portion attach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The sewing thread used on the head band portion is composed of a rubber yarn and nylon stretch yar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hain type and made of sewing, the sewing thread connecting the crown portion and the head band portion is composed of a rubber yarn and nylon yarn and each other by a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terlocked and connect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i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모자 스타일 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크게 복수 개의 직물 원단으로 제작되는 모자의 본체부인 크라운부(1)와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부착된 헤드 밴드부(3)와 크라운부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된 챙부(2)로 구성되었다. 상기 크라운부(1)는 모든 직물 원단이 스판사를 포함하지 않은 통상적인 직물 원단으로 구성되거나 직물 원단중 한 개 이상이 스판사를 포함한 직물 원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챙부(2)의 내부에는 연질, 혹은 경질의 챙싱(4)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헤드 밴드부(3)는 스판사를 포함하지 않는 직물 원단으로 형성되거나 스판사를 포함한 직물 원단으로 형성되고 헤드 밴드부(3) 위에는 복수 개의 봉제라인(5)이 형성되었다. 상기 헤드 밴드부(3) 위의 봉제 라인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 봉제와는 다르게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가 체인식으로 연결 봉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봉제로 인해 기존의 헤드 밴드부가 일반 봉제사로 봉제됨으로써 발생했던 사이즈 수용 범위의 저해 문제가 해소됨과 동시에 헤드 밴드부의 사이즈 수용 범위를 더욱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크라운부(1)와 헤드 밴드부(3)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고무사와 나일론사를 이용하여 체인식이 아닌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서로 맞물려 봉제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크라운부(1)와 헤드 밴드부(3)를 연결한 봉제라인(22)이 크라운부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크라운부의 둘레 부분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가 추가로 한번 더 봉제된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seball cap styl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head portion (3)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attached to the crown portion (1) and the inner bottom circumference of the crown portion of the cap made of a plurality of fabric fabrics largely It was composed of visors (2). The crown portion 1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fabric fabric in which all fabric fabrics do not include a span yarn or at least one of the fabric fabrics is composed of a fabric fabric including a span yarn. The inside of the visor 2 is a soft or hard sagging 4 is inserted, the head band portion 3 is formed of a woven fabric not including a span yarn or a woven fabric including a span yarn and the head A plurality of sewing lines 5 were formed on the band portion 3. The number of sewing lines on the head band portion 3 may vary as needed. Unlike the general sewing, the rubber yarn and the nylon stretch yarn are connected and sewn in a chain type. Due to the sewing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inhibiting the size accommodating range caused by the sewing of the conventional head band part with a general sewing thread is solved, and the size accommodating range of the head band part can be further expanded. In addition, in connecting the crown portion 1 and the head band portion (3) by using a rubber yarn and nylon yarn to sew each other by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rather than a chain type, the crown portion (1) and the head band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crown part and the head band part are further sewn once more so that the sewing line 22 connecting (3) is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crown part so as to keep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part of the crown part consta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저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햇(Hat) 스타일 모자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사를 이용한 봉제는 상기 야구모자 스타일 모자뿐만 아니라, 바이저나 햇(Hat) 형태의 모자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이저는 크게 크라운부(6)와 크라운부의 전면 하단부에 연결된 챙부(7)와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부에 연결된 헤드 밴드부(8)로 구성되었다. 상기 헤드 밴드부(8)의 봉제라인(9)은 상기 야구 모자 스타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를 체인식으로 연결, 봉제되어 있으므로 봉제사로 인한 바이저의 사이즈 수용범위 저해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사이즈 수용범위를 더욱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상기 크라운부(6)와 헤드 밴드부(8)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고무사와 나일론사를 사용하여 체인식이 아닌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연결, 봉제하도록 했다. 또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햇(hat) 스타일 모자는 일반적으로 한 개 이상의 직물 원단으로 제작되는 크라운부(10)와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부에 부착된 헤드 밴드부(12)와 크라운부의 외부 하단 둘레부에 부착된 챙부(11)로 구성되었다. 햇(Hat)도 상기 바이저와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 밴드부(12) 위의 봉제라인(13)이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를 체인식으로 연결, 봉제되었으며, 상기 크라운부(10)와 헤드 밴드부(12)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고무사와 나일론사가 사용되어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봉제되었다. 2 is a bottom view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ottom view of a hat styl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wing using a rubber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baseball cap style hat, but also for the hat of the visor or hat ty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visor is composed of a crown 6, a visor 7 connect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crown and a head band 8 connected to the inner lower end of the crown. The sewing line 9 of the head band part 8 is connected and sewn with a rubber thread and a nylon stretch yarn in a chain type as in the case of the baseball cap styl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inhibiting the size range of the visor caused by the sewing thread,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further expand the receiving range, the crown part 6 and the head band part 8 were connected and sewn in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using a rubber yarn and a nylon yarn rather than a chain type. Also, as shown in the figure, the hat style hat generally includes a crown portion 10, which is made of one or more woven fabrics, and a head band portion 12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and an outer bottom circumference of the crown portion. It was composed of the visor 11 attached. Hats, like the visor, the sewing line 13 on the head band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rubber yarn and nylon stretch yarn in a chain form, sewn, the crown portion 10 and the head band portion 12 In the connection, rubber yarn and nylon yarn were used to sew by conventional sewing method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사를 이용하여 봉제된 헤드 밴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사를 이용하여 봉제된 헤드 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 밴드부(14)에는 일반적으로 4개의 봉제라인(15)이 형성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봉제라인(15)의 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헤드 밴드부(14) 위의 봉제라인(15a)은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가 체인식으로 연결, 봉제되어 형성되었으며, 외부에서 볼 때는 기존의 일반 봉제 형태와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상기 봉제라인의 내부(15b)는 2개의 실이 체인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일반 봉제와는 전혀 다른 형태를 갖게 된다.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band sewn using the rubber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band sewn using the rubber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four headlines 15 are generally formed in the head band portion 14, and the number of the sewing lines 15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The sewing line 15a on the head band part 14 is formed by connecting and sewing a rubber yarn and a nylon stretch yarn in a chain form,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sewing form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inside of the sewing line (15b) has a completely different form from the normal sewing as the two threads are connected in a chain.

도 6은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봉제된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체인식 봉제 방법으로 봉제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6은 기존의 일반 봉제 방법에 의하여 봉제된 형태로서, 윗실(16)은 아랫실(17)과 동일한 형태로 서로 맞물려 봉제되며, 상부 직물(18)과 하부 직물(19)이 접하는 부분을 사이로 윗실(16)과 아랫실(17)이 맞물려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는 상기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연결된 것으로써 윗실(16)은 나일론사에 해당되며, 아랫실(17)은 고무사에 해당된다. 도 7은 체인식 봉제 방법 형태로서, 상기 기존 일반 봉제 방법과는 달리 윗실(20)이 상부 직물(18)과 하부 직물(19)를 통과하게 되며, 통과된 윗실(20)을 사이로 아랫실(21)이 이중구조의 체인식으로 연결되도록 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 밴드부 위의 봉제 라인은 상기 체인식 봉제 방법으로 봉제된 것으로써 윗실(20)은 나일론 스트레치사(nylon stretch thread)에 해당되며, 아랫실(21)은 고무사(rubber thread)에 해당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 sewn by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 sewn by the chain type sew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Figure 6 is a form sewn by a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the upper thread 16 is sewn in the same form and sewn together with the lower thread 17, the upper fabric 18 and the lower fabric 19 The upper thread 16 and the lower thread 17 are engaged between the contacting por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wn part and the head band part are connected by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and the upper thread 16 corresponds to nylon yarn, and the lower thread 17 corresponds to rubber yarn. 7 is in the form of a chain sewing method, unlike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the upper thread 20 will pass through the upper fabric 18 and the lower fabric 19, the lower thread through the upper thread 20 ( 21) are connected in a double chai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ing line on the head band portion is sewn by the chain sewing method so that the upper thread 20 corresponds to a nylon stretch thread, and the lower thread 21 is a rubber thread. Corresponds to

본 고안은 상기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자의 사이즈 수용범위를 극대화시키도록 제작된 모자와 그 봉제 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모자를 구성하는 각 부분 구성품들을 연결할 때 기존의 일반 봉제방법을 이용하는 것 대신에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를 체인식으로 봉제하여 제작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모자의 사이즈 수용 범위 확대를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사이즈 수용 범위를 더욱 확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모자의 압박감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압박감을 느끼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hat and a sewing method of the hat manufactured to maximize the size accommodation range of the hat, when connecting the components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hat instead of using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rubber yarn and nylon stretch yarn It is produced by sewing the chain to remove the factor that hinders the expansion of the size accommodation range of one hat to further expand the size accommodation range, even if the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or a long time 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sure of the hat The effect of giving a comfortable fit without feeling the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모자 스타일 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seball cap styl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저의 저면도이다.       2 is a bottom view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햇(Hat) 스타일 모자의 저면도이다.       3 is a bottom view of a hat styl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사를 이용하여 봉제된 헤드밴드의 전면 사시도이다.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headband sewn using a rubber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사를 이용하여 봉제된 헤드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band sewn using the rubber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기존 일반 봉제 방법으로 봉제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m sewn by the conventional general sewing method.

도 7은 본 발명의 체인식 봉제 방법으로 봉제된 형태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 sewn in the chain sew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한 개 이상의 직물 원단으로 제작되는 크라운부와,         Crown portion made of one or more woven fabrics,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부착된 헤드 밴드부와,A head band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circumference of the crown portion, 크라운부의 하단부에 부착된 챙부로 구성되며,Consists of the viso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rown, 상기 헤드 밴드부는 스판사가 포함되지 않은 직물 원단이며, 헤드 밴드부 위에 형성된 봉제라인은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가 체인식으로 연결되어 제작되었으며, 상기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고무사와 나일론사가 일반 봉제 방법으로 서로 맞물려 연결 봉제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The head band portion is a fabric fabric that does not include a span yarn, the sewing line formed on the head band portion is made of a rubber yarn and nylon stretch yarn is connected in a chain form, in connecting the crown portion and the head band portion, rubber yarn and nylon yarn general sewing method Cap using a rubber yar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ew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는 스판사를 포함한 직물 원단이 한 개 이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wn portion is a hat using a rubber yar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abric fabric including a span ya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는 스판사를 포함하지 않은 직물 원단     The fabric 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crown portion does not include a span yarn.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Cap using rubber yar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를 추가로 한번 더 봉제함으로써 봉제라인이 크라운부의 외부에 보여지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     According to claim 1, Cap by using a rubber yar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line is made to be visible on the outside of the crown by sewing the crown portion and the head band portion further once more. 삭제delete 한 개 이상의 직물 원단으로 제작되는 크라운부와,         Crown portion made of one or more woven fabrics,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부착된 헤드 밴드부와,A head band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circumference of the crown portion, 크라운부의 하단부에 부착된 챙부로 구성되며,Consists of the viso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rown, 상기 헤드 밴드부는 스판사가 포함된 직물 원단이며, 헤드 밴드부 위에 형성된 봉제라인은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가 체인식으로 연결되어 제작되었으며, 상기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고무사와 나일론사가 일반 봉제 방법으로 서로 맞물려 연결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The head band portion is a fabric fabric including a span yarn, the sewing line formed on the head band portion is made of a rubber yarn and nylon stretch yarn is connected in a chain form, in the rubber yarn and nylon yarn in the normal sewing method to connect the crown portion and the head band portion Cap using a rubber yarn,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는 스판사를 포함한 직물 원단이 한 개 이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   7. The cap of claim 6, wherein the crown part comprises at least one woven fabric including a span yar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는 스판사를 포함하지 않은 직물 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   7. The cap using a rubber yarn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rown part is made of a fabric fabric that does not include a span yarn. 한 개 이상의 직물 원단으로 제작되는 크라운부와,    Crown portion made of one or more woven fabrics, 크라운부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부착된 헤드 밴드부와,A head band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circumference of the crown portion, 크라운부의 하단부에 부착된 챙부로 구성되는 모자에 대하여About the hat consisting of the viso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rown 상기 헤드 밴드부는 직물 원단으로서 헤드 밴드부 위에 고무사와 나일론 스트레치사가 체인식으로 봉제된 봉제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크라운부와 헤드 밴드부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고무사와 나일론사가 일반 봉제 방법으로 서로 맞물려 연결, 봉제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사를 이용한 봉제 방법The head band portion is a fabric fabric so that a sewing line of a rubber thread and a nylon stretch yarn is sewn on the head band portion is formed in a chain type, and in connecting the crown portion and the head band portion, the rubber yarn and the nylon yar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 general sewing method. Sewing method using a rubber yar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ed
KR10-2002-0072909A 2002-11-22 2002-11-22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Expired - Fee Related KR100483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09A KR100483030B1 (en) 2002-11-22 2002-11-22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09A KR100483030B1 (en) 2002-11-22 2002-11-22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42A KR20040044742A (en) 2004-05-31
KR100483030B1 true KR100483030B1 (en) 2005-04-18

Family

ID=3734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3030B1 (en) 2002-11-22 2002-11-22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03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2722U (en) * 1977-05-02 1978-12-01
KR900004333Y1 (en) * 1987-04-27 1990-05-19 이주형 Packing for connecting screw-threaded joints
JPH0469415U (en) * 1990-10-23 1992-06-19
KR950005224A (en) * 1993-08-14 1995-03-20 조병우 Free size cap
KR200272718Y1 (en) * 2002-01-22 2002-04-18 박흥영 Spandex yarn cap
KR200292780Y1 (en) * 2002-08-05 2002-10-25 주식회사 다다실업 Cap with tunnel shape ban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2722U (en) * 1977-05-02 1978-12-01
KR900004333Y1 (en) * 1987-04-27 1990-05-19 이주형 Packing for connecting screw-threaded joints
JPH0469415U (en) * 1990-10-23 1992-06-19
KR950005224A (en) * 1993-08-14 1995-03-20 조병우 Free size cap
KR200272718Y1 (en) * 2002-01-22 2002-04-18 박흥영 Spandex yarn cap
KR200292780Y1 (en) * 2002-08-05 2002-10-25 주식회사 다다실업 Cap with tunnel shape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42A (en)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42B2 (en) Headwear and sweatband with stretch stitch line
US7966671B2 (en) Headwear
US5862520A (en) Hat brim
US7159247B2 (en) Cap having a flexible headband
US7676849B2 (en) Free-size headwear
US20050223475A1 (en) Adjustable baseball cap
US20070056078A1 (en) Adjustable cap seamed with silicon tape(s)
US7213270B2 (en) Headband with inserted lining tape for headwear
US20050155135A1 (en) Elastic headwear
US20030093851A1 (en) Cap with two visors
US6895601B2 (en) Headwear and sewing method therefor using rubber thread
KR200292780Y1 (en) Cap with tunnel shape band
US20050081279A1 (en) Elastic headwear
KR100691901B1 (en) Cap that keeps crown shape
AU671359B2 (en) Free size cap
KR100311638B1 (en) Free Size cap with size adjustable band
US20050235396A1 (en) Sweatband using mono filament yarn for a cap
US20050028246A1 (en) Sweatband for a cap
US20080235852A1 (en) Headwear having flexible headband
US20080109939A1 (en) Cap combined with assistant tapes
US7127746B2 (en) Pressure resolving cap and headband thereof
KR100483030B1 (en) Headwear and its sewing method using rubber thread
KR200314989Y1 (en) Headwear using rubber thread
KR102528551B1 (en) A hat that does not come off easil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251941Y1 (en) Sweat-absorbing head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