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1391B1 -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 Google Patents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391B1
KR100481391B1 KR10-2002-7001599A KR20027001599A KR100481391B1 KR 100481391 B1 KR100481391 B1 KR 100481391B1 KR 20027001599 A KR20027001599 A KR 20027001599A KR 100481391 B1 KR100481391 B1 KR 10048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flator
filtration
gas generating
gener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795A (ko
Inventor
캔터베리제이비
바우어즈도날드
솔로몬다니엘스티븐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2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DMEANS FOR GENERATING SMOKE OR MIST; GAS-ATTACK COMPOSITIONS; GENERATION OF GAS FOR BLASTING OR PROPULSION (CHEMICAL PART)
    • C06D5/00Generation of pressure gas, e.g. for blasting cartridges, starting cartridges, rockets
    • C06D5/06Generation of pressure gas, e.g. for blasting cartridges, starting cartridges, rockets by reaction of two or more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10)는, 활성화된 경우, 초기에는 에어백이 서서히 전개하고, 그 뒤 지연 후 급속히 전개하도록 작동이 가능하며, 격벽(40)에 의해 분리되어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다른 적어도 제 1 및 제 2 챔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초기의 느린 에어백의 전개를 야기하는 보다 소량의 가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나의 챔버는 보다 소형이다. 제 1 챔버(30)내의 가스 발생재 충전물이 점화되며, 약간의 지연 후에, 제 2 챔버(32) 내의 가스 발생재 충전물이 점화된다. 다단계 팽창기는 충돌의 격렬함과 탑승자의 위치를 수용하도록 에어백의 팽창을 조절하는데 요구되는 가변적인 팽창 속도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VARIABLE OUTPUT AIRBAG INFLA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어백으로 알려진 차량 구속 쿠션(vehicle restraint cushion)을 팽창시키는 가스 발생기 또는 팽창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자동차의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에어백의 가변적인 팽창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팽창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팽창기에 의해 에어백 팽창 속도는 다양한 충돌 상황 및/또는 탑승자의 위치에 순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에어백 시스템에는 충돌 시 차량 탑승자에게 보호용 완충을 제공하도록 팽창되는 쿠션(cushion) 또는 백(bag)이 통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 가스를 생성하는 팽창기를 이용한다. 상이한 원리의 다양한 팽창기들이 알려져 있으며, 각각의 작동 원리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른 쿠션 내의 압력 상승 및 강하 등의 성능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이한 적용에 대해 상이한 원리로 작동하는 팽창기가 바람직하다.
에어백 시스템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충돌 순간에 작동되어야 하며 적절한 팽창 시간이 절대적인 요건이 된다. 반면, 에어백이 너무 빨리 팽창하면,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제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이러한 모순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단계 에어백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다단계 에어백 장치는 초기 충돌 단계에서 사전 설정 레벨까지 팽창되고, 짧은 간격 후에 완전히 팽창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다단계 에어백 장치로 인해, 위치를 벗어난 차량 탑승자에 대한 부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보다 광범위한 충돌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다.
초기 단계 팽창과 후속 단계 팽창 사이의 간격은 초기 단계에 사용되는 가스의 양 및 다른 요인들과 관련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부적절한 간격은 안전 장치로서의 에어백에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간격이 너무 짧으면 부상을 야기할 수 있고, 간격이 너무 길면 에어백의 충격 흡수 작용이 약화되어 차량 탑승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가스 발생재(generant)를 활성화하고, 그 뒤 제 2 및 제 3 가스 발생재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하는 지연 점화 신호 발생기에 대해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통상적인 지연 점화 신호 발생기는 복잡한 전자 회로로 구성된다. 시스템의 복잡성과 그에 수반된 고비용 때문에 에어백과 같이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에 대한 응용가능성은 제한적이다. 그러한 적합한 시스템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그것들은 팽창기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요한다. 또한 차량에 대한, 특히 운전자측과 측면 충격 적용에 대한 크기 요건에 부합하는 적합한 파이로테크닉(pyrotechnic)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운 일이다.
적합한 에어백 시스템을 위한 대단히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998,751 호는 2개의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재 베드를 분리하는 격벽이 내부에 배치된 길다란 하우징을 포함하는 2단계 자동 에어백 팽창기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4,998,751 호의 팽창기의 격벽은 천공되어 있으며, 이 팽창기는 2개의 점화기 튜브를 사용한다. 미국 특허 제 4,998,751 호는 또한 점화기들이 서로 다른 연소 속도를 가지며, 2개의 점화기 튜브 사이로 퓨즈가 지난다는 점에서 2개의 점화기가 다르다는 것을 교시한다.
미국 특허 제 5,368,329 호는 이중 기능 스퀴브(squib)를 사용하여 웨이퍼(wafer)를 분쇄함으로써 가스 발생재 웨이퍼의 표면적이 증가되는 2단계 팽창기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5,400,487 호는 탑승자에게 최적의 방호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가스 발생기 중 개별적으로 개시될 발생기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에어백용 가변 팽창 시스템을 개시한다. 가속 센서 및 탑승자 위치 센서와 협력하여 프로세서는 점화될 가스 발생재 베드의 개수 및 각각의 점화 사이의 지연을 결정한다.
미국 특허 제 5,564,743 호는 팽창기 하우징이 가스 발생 재료 및 점화 시스템을 각각 수용하는 2개의 분리된 챔버를 갖는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2개의 챔버를 분리하는 벽은, 챔버 중 하나의 사전 설정된 레벨의 가스 압력에 반응하여 파열되도록 설계되어 챔버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취약 섹션(frangible section)을 갖는다.
미국 특허 제 5,630,619 호는 에어백용으로 적합한 하이브리드(hybrid) 팽창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팽창기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이 특허는 2개의 압력 베셀(vessel)과 각각의 압력 베셀 내의 파이로테크닉 가열 장치의 활용을 교시한다. 2개의 베셀은 파열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중앙 챔버에 연결된다. 미국 특허 제 5,630,619 호는 적합한 팽창기 설계에 있어서 당해 기술분야의 상태를 대표한다.
미국 특허 제 5,765,866 호는 금속 하우징, 편직물 와이어 필터, 스테인리스 스틸 파열 포일(foil) 및 5 내지 25 중량% 운모를 함유하는 가스 발생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어백 팽창기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5,765,866 호는 상이한 용적과 양의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챔버를 수용하는 다단계 팽창기를 제안하고 있지 않다.
발명의 요약
첨부된 청구항 1과 그의 종속항들에 따르면, 광범위한 충돌 상황에 걸쳐 자동차의 에어백에 신뢰성 있게 가스를 제공하는 적응성 있는 다단계 파이로테크닉 팽창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 및 그의 작동상의 이점과, 본 발명의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한 목적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팽창기의 단면도,
도 3은 제 1 챔버의 점화와 제 2 챔버의 점화 사이의 시간 지연을 0 내지 25 ms 범위에서 변화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의 팽창기의 점화로부터 산출된 다수의 압력-시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챔버를 갖는 팽창기의 단면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팽창기(10)는 제 1 단부(12) 및 제 2 단부(14)를 포함한다. 팽창기는 구형, 입방체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대체로 원통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기는 그 외주에 방출구(16, 18)를 갖는다. 방출구(16)는 제 1 챔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관되며, 방출구(18)는 제 2 챔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관된다. 팽창기(10)는 또한 분리된 2개의 점화기(각각의 챔버에 하나씩)와 연관된 2개의 전기 커넥터를 가지며, 제 1 전기 커넥터(20)는 제 1 점화기를 위한 것이고, 제 2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는 제 2 단부(14)에 위치한다.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팽창기의 단면도로서, 제 1 단부(12) 및 제 2 단부(14)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상인 팽창기를 도시한다. 각각의 단부는 팽창기를 점화시킬 필요가 있을 때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20)를 갖는다. 커넥터(20)는 강화제 혼합물(22)을 점화하는 스퀴브(21)와 연관된다. 충돌이 발생하면, 전자 모듈(도시되지 않음)은 선택된 스퀴브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하며, 이 스퀴브는 점화열(ignition train)을 점화하고 그 뒤 가스 발생재 알갱이(pellet)(28)들을 점화한다. 커넥터(20)는 스퀴브에 전류를 공급한다. 스퀴브는 강화제 혼합물을 점화하는 필라멘트(filament)를 포함한다. 강화제(22)로는 스퀴브에 의해 쉽게 점화되어 고온 고속으로 연소하는 기존의 많은 혼합물 중 어떤 것도 가능하다. 점화된 강화제(22)로부터 발생한 가스 및 고온의 연소 입자들은 강화제 하우징(26)의 방출구(24)를 통해 빠져나간다. 그 뒤 가스 및 입자들은 제 1 연소 챔버(30) 및/또는 제 2 연소 챔버(32)내의 가스 발생재 알갱이들(28)을 점화한다. 그 뒤 연소하는 강화제 및 가스 발생재 알갱이들에 의해 생성된 가스는 알갱이 보유판(34)을 통과한다. 보유판은 드릴 가공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금속판, 차폐막(screen) 또는 망상 금속판(expanded met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유판(34)은 단순히 연소 챔버(30, 32) 내에 알갱이들을 보유하며, 연소 챔버(30, 32)로부터 제 1 여과/냉각 챔버(36) 및 제 2 여과/냉각 챔버(38)로의 본질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가스의 이동을 허용한다. 2개의 여과/냉각 챔버(36, 38)는 견고한 격벽(40)에 의해 분리된다. 격벽(40)은 팽창기(10)의 축을 따라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에 동등하거나 또는 상이한 용적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이 챔버라는 용어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연소 챔버 및 여과/냉각 챔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의 실제 작동 요건에 따라, 제 1 챔버는 총 팽창기 용적의 20 내지 80%를 차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챔버는 총 팽창기 용적의 55 내지 75%를 차지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연소 챔버는 가스 발생재 혼합물의 총량의 20 내지 8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5 내지 약 75%를 수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5 내지 약 65%를 수용할 수 있다. 3개 또는 그 이상의 챔버를 갖는 팽창기에 있어서, 가스 발생재는 팽창기의 설계 요건에 따라 챔버들 사이에 동등하게 또는 동등하지 않게 분할될 수 있다.
여과/냉각 챔버(36, 38)를 통과한 후의 가스는 제 1 챔버의 방출구(16)에서 또한 제 2 챔버의 방출구(18)에서 팽창기(10)를 빠져나간다. 방출구의 내부는 수증기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포일 등의 포일(42)로 덮여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종 "파열 포일(burst foil)"로 언급되는 이 포일(42)은 통상적으로 0.01 내지 0.20 mm의 두께를 갖는다. 포일은 통상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여과/냉각 챔버의 내측벽에 부착된다. 여과/냉각 챔버(36, 38)는 편직물 와이어, 세라믹 비드, 금속가루 등의 임의의 열 흡수 재료로 채워진다. 열 흡수 재료는 발생된 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가스 발생재(28)의 연소 중에 생성된 임의의 슬래그(slag)나 미립자들을 포획하는 작용을 한다.
팽창기(10)는 강철, 알루미늄과 같은 임의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팽창기는 강철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주조 또는 밀링(milling) 가공된 후에, 용접(46)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접부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것과 유사한 관성 용접(inertia welding)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의 일 실시예의 많은 점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 예시된 팽창기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준비되었으며, 압력 변환기가 설치된 60리터 탱크 내에서 점화된다. 실선은 작은 챔버가 먼저 점화되고, 이어서 0, 10, 15 또는 20 ms의 시간 지연 후에 큰 챔버가 점화된 실험을 나타낸다. 점선은 큰 챔버가 먼저 점화되고, 이어서 10, 15, 20 또는 25 ms의 시간 지연 후에 작은 챔버가 점화된 실험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60)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팽창기(60)는 제 1 단부(12), 제 2 단부(14) 및 제 3 단부(5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단계 팽창기는 대체로 원통형상인 각각의 챔버가 격벽(40)에서 교차하는 "T"자 형상을 갖는다. 제 3 단부(54)는 제 3 여과/냉각 챔버(50)의 외주 주위에 위치한 방출구(48)를 갖는다. 팽창기(60)는 분리되어 있는 3개의 점화기 조립체(44)(각각의 연소 챔버에 하나씩)와 연관된 3개의 전기 커넥터(20)를 갖는다.
작동 방법은 제 3 연소 챔버(52) 및 제 3 여과/냉각 챔버(50)가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소 챔버(30, 32, 52)는 동일한 양의 가스 발생재(28)를 수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지 않은 양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연소 챔버(52)는 제 1 연소 챔버(30)보다는 적고 제 2 연소 챔버(32)보다는 많은 양의 가스 발생재를 수용한다. 따라서, 제 3 여과/냉각 챔버(50)의 용적과 그 안의 매체의 양은 다른 2개의 여과/냉각 챔버(36, 38)들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여과/냉각 챔버(36, 38, 50)는 견고한 격벽(40)에 의해 분리된다.
작동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팽창기는 충돌 감지시에 적절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충돌의 격렬함, 및 좌석내 승객의 위치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제어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점화기 스퀴브가 점화되도록 한다. 또한, 챔버 간의 점화 시간 지연 및 점화 순서는 제어기에 의해 계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쿠션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은, 쿠션을 가변적인 "단단함"으로 팽창시키거나 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쿠션 내에 상이한 압력 레벨을 생성하거나 또는 "제 2 충격" 충돌 상황에 대처하도록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연소 챔버들은 동일한 양의 가스 발생재 또는 상이한 레벨의 가스 발생재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챔버는 가스의 총량의 70%를, 제 2 챔버는 총량의 30%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팽창기(10)는 다양한 응용을 위해 변형될 수 있으며, 다양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음이 명백해진다.
광범위한 충돌 상황에 걸쳐 최적으로 기능하는 새롭고 개선된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새롭고 개선된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중 레벨의 에너지 흡수 능력을 제공하도록 제어가능한 성능 특성을 갖는 개선된 새로운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과, 이점들은 팽창될 에어백과 직접 연통하는 가스 배출구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는 팽창기를 갖는 개선된 새로운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시스템을 통해 달성된다.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챔버를 구비하며, 각각의 챔버는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량의 가스 발생 재료와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시키기 위한 점화 시스템을 수용한다. 하우징은 챔버들을 분리하는 내부 불투과성 벽(격벽)을 갖는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챔버 내의 점화 시스템은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가스를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시간 지연 수단이 인식된 충돌 유형에 대응하여 다중 점화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시스템 내에 포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팽창기(10)는 통상적인 기술과 설비를 이용하여 강철로 구성되어 있다. 용접부(46)는 연소 챔버(30, 32)를 비아지드화물(non-azide) 가스 발생재 알갱이들로 충전한 후에 여러 부품들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팽창기 하우징에 유용한 대표적인 가스 발생재 혼합물은 알카리 및 알카리 토금속 질산염, 염소산염(chlorates), 과염소산염(perchlorates),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및 그것들의 혼합물 등의 산화제와 결합된, 알카리 금속 아지드화물, 아미노테트라졸(aminotetrazole), 테트라졸(tetrazole), 바이테트라졸(bitetrazole), 트리아졸(triazole), 그것들의 금속염, 질산구아니다인(guanidine nitrate), 질산아미노구아니다인 (aminoguanidine nitrate) 및 그것들의 혼합물 등의 연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가스 발생재는 니트로구아니다인(nitroguanidine)과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가스 발생재 또는 가스 생성 재료는 약 15 내지 약 70 중량%의 연료, 약 2 내지 약 80 중량%의 산화제, 약 1 내지 약 30 중량%의 냉각제 및 가공 첨가제와 같은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발생재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발생재 혼합물은 알갱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약 5.0 중량%까지, 통상적으로는 0.2 내지 5.0 중량%의 압착 보조제(pressing aid)나 바인더(binder)가 이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이러한 목적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재료들 중에서 선택되며, 이황화몰리브데늄(molybdenum disulfied), 흑연, 탄성중합체(elastomer), 폴리에스테르, 질화붕소, 이산화규소, 운모, 스테아르산칼슘 및 점토를 포함한다.
가스 발생재 혼합물은 선택적으로는 약 3 중량%까지, 통상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2 중량%의 촉매를 함유할 수 있다. 구리 크롬산염(chromate) 및 시안화철(a ferro-ferric cyanide)은 대표적인 연소 촉매이다.
이러한 시험 팽창기와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연소 챔버(30)는 35g의 발생재 알갱이(28)를 수용한다. 제 2 연소 챔버(32)는 25g의 발생재 알갱이(28)를 수용한다. 스퀴브(21)는 전기 커넥터에 의해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센서는 점화 신호를 개시하여 하나 또는 2개의 스퀴브(21)를 작동시키고, 이는 강화제 혼합물(22)을 점화하고, 강화제 혼합물이 그 뒤 가스 발생 혼합물(28)을 점화한다.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먼저 점화될 스퀴브와, 스퀴브들의 점화간의, 그에 따라 2개의 챔버들의 점화간의 시간지연(있는 경우)을 결정한다.
점화기 조립체(44)는 임의의 유용한 수단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용접(46)을 통해 팽창기 하우징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스퀴브"는 연소 순열에서 첫 번째 점화를 개시할 임의의 장치임이 이해될 것이며, 예를 들어 서로 절연되고 브리지 와이어(bridge wire)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전극을 갖는 전기 장치일 수 있다. 브리지 와이어는 강화제 혼합물(22)을 점화하기에 충분한 세기의 열의 섬광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로테크닉 재료층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들은 반도체 브리지 개시기와 같은 다양한 전기, 전자, 기계 및 전자기계적 개시기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스 발생재(28)는 강화제 혼합물(22)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어 점화기 조립체 방출구(24)로 빠져나온 고온의 가스와 입자에 의해 점화된다. 가스 발생재의 점화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고, 발생된 가스는 알갱이 보존기(34)를 지나, 그 뒤 여과/냉각 챔버(36, 38)를 통과한다. 통상적으로, 가스 발생재 알갱이(26)의 점화시 발생된 가스는 알갱이 보존기(34)를 통과하여, 여과/냉각 챔버(36, 38) 내에 수용된 여과/냉각 매체를 통과하면서 챔버의 축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격벽(40)에 충돌한 가스는 90°로 방향이 전환되어 파열 포일(42)을 찢고 구멍(16, 18)을 통해 빠져나간다.
여과/냉각 챔버(36, 38)는 세라믹 조각, 금속 조각 또는 바람직하게는 편직물 와이어와 같은 여과/냉각 매체로 채워진다. 편직물 와이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저탄소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과/냉각 재료를 통과한 연소 가스는 방출구(16,18)를 통해 팽창기 하우징(10)을 빠져나간다. 방출구(16, 18)의 수는 가변적이며, 연소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진 여과/냉각 챔버의 말단부에서 하우징 외주 주위로 이격되어 있다. 방출구(16, 18)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포일(42),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파열 포일에 의해 양호하게 밀봉된다. 챔버(36, 38) 내의 압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면, 포일이 파열되고 방출구(16, 18)를 통해 가스가 빠져나가 에어백(도시되지 않음)을 팽창시킨다.
예 I
팽창기 실험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8개의 팽창기가 구성되었으며, 보다 작은 연소 챔버는 25g의 질산암모늄/니트로구아니다인 가스 발생재 알갱이를 수용하였다. 보다 큰 챔버는 35g의 가스 발생재로 채워졌다. 압착 직조 304-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0.023")가 여과/냉각 챔버 내에 배치되었으며, 25g은 보다 작은 챔버 내에, 50g은 보다 큰 챔버 내에 배치되었다. 강화제는 각각 2g 및 4g의 통상적인 강화제 혼합물을 수용하였다. 조립된 팽창기는 압력과 시간 프로파일을 기록하는 장치가 부착된 60 리터 시험 탱크 내에서 평가되었다. 팽창기는 탱크 내에 설치되어 점화되었다. 산출된 압력 대 시간 곡선은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본 발명의 팽창기가 일정 시점에서 넓은 범위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명확히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챔버를 갖는 팽창기를 사용하여, 점화시점으로부터 20 ms 후에 125 내지 300 kPa의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 압력 범위는 125 kPa의 낮은 압력을 위해서는 작은 챔버를 먼저 점화한 뒤 20 ms 후에 큰 챔버를 점화하고, 300 kPa의 높은 압력을 위해서는 2개의 챔버를 동시에 점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 II
미립자 및 가스 분석
3개의 팽창기가 예 I에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립되었으며, 100 입방피트의 시험 챔버 내에서 평가되었다. 이 시험은 표준적인 자동차의 내부 용적을 모의 실험하도록 설계되었다. 가스 분석 및 미립자 분석이 또한 이 시험을 통해 가능하다. 시험장비는 조향장치 시뮬레이터를 수용하는 100 입방피트의 강철 챔버로 구성되었다. 챔버에는 진공 펌프, 버블 유량계(bubble flow meter), 필터 및 퓨리어 변환 적외선 분광 측정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 FTIR)가 부착되었다. 팽창기는 챔버 내의 모의 실험 조향 장치 조립체에 부착되고, 챔버가 밀봉되어, 가스 발생재가 점화되었다. 가스 샘플은 퓨리어 변화 적외선 분광 측정기(FTIR)를 사용하여 점화시점으로부터 0, 1, 5, 10, 15, 20분 구간에서 분석되었다. 또한, 100 입방피트 시험 챔버를 이용하여 점화 후에 챔버로부터 미세한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여 필터에 의해 획득된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공중 부유 미립자 발생량을 계측할 수 있다.
공중 부유 미립자는 단일 단계 수집 장치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공중 부유 미립자의 양은 분석용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분석 후의 미립자 필터는 필터 내의 수분이나 휘발성 물질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하여 104℃에서 2시간동안 건조되었다. 검출가능한 질량 손실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1은 이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2회의 25 ms 지연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1회의 15 ms 지연 시험이 실시되었다. 3회의 모든 시험에서 큰 챔버가 먼저 점화되었다.
표 1
공중 부유 미립자 유출량 데이터
예 A25 ms 지연 예 B25 ms 지연 예 C15 ms 지연
평균 유량 (리터/분) 5 5 5
샘플링 시간 (분) 20.0 20.0 20.0
온도(℃) 20 20 20
총 교정 샘플 용적(m3) 0.101 0.101 0.101
필터 1: 0-5 분 (mg) 2.8 2.6 9.4
필터 2: 5-10 분 (mg) 1.4 1.5 *
필터 3: 10-15 분 (mg) 1.9 2.8 *
필터 4: 15-20 분 (mg) 1.7 1.3 *
총 미립자량 (mg) 7.8 8.2 9.4
총 미립자 농도 (mg/m3) 78 82 93
* 이 시간 구간에는 필터가 사용되지 않음.
또한, 암모니아, 벤젠,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염화수소, 시안화수소, 메탄,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및 수증기에 대한 가스 샘플이 퓨리어 변환 적외선 분광 측정기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샘플들은 길이 6 피트의 외경 1/4 인치인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 관을 통해 퓨리어 변환 적외선 분광 측정기에 직접 이송되었다. 표 2는 가스 유출물 결과를 포함한다.
표 2. 가스 유출물 독성 결과
암모니아 벤젠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염화수소 시안화수소 메탄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수증기
분석방법감지 한도 (ppm)분석 지연 (min) FTIR50.2 FTIR50.2 FTIR500.2 FTIR100.2 FTIR20.2 FTIR20.2 FTIR20.2 FTIR50.2 FTIR20.2 FTIR0.50.2 FTIR50.2 FTIR5000.2
예A 15101520TWA 20* 688788 <5<5<5<5<5<5 129215551532152615121508 600694689683673677 <2<2<2<2<2<2 <2<2<2<2<2<2 <2<2<2<2<2<2 121515151415 23<222<2 0.81.10.90.90.90.9 <5<5<5<5<5<5 783387798828862083858599
예B 15101520TWA 20 <5<5678<5 <5<5<5<5<5<5 130815311548149914821497 614700694183675682 <2<2<2<2<2<2 <2<2<2<2<2<2 <2<2<2<2<2<2 91111111111 <2222<2<2 <0.5<0.5<0.5<0.5<0.5<0.5 <5<5<5<5<5<5 703286598485821679978238
예C 151015200TWA 20 <5<5689<5 <5<5<5<5<5<5 133315281508149314911488 645707689686692688 <2<2<2<2<2<2 <2<2<2<2<2<2 <2<2<2<2<2<2 131313131313 333433 <0.5<0.5<0.5<0.5<0.5<0.5 <5<5<5<5<5<5 611070376749662665106686
*TWA = 20분에서의 20회 중량 평균

Claims (9)

  1. 차량용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에 있어서,
    (a) 서로 인접한 불투과성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챔버로 분할된 하우징과,
    (b)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 중 하나 내에 제공된 고체상의 가스 생성 재료를 수용하는 제 1 연소 챔버와,
    (c)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 중 다른 하나 내에 제공되는 고체상의 가스 생성 재료를 수용하는 제 2 연소 챔버와,
    (d) 상기 제 1 연소 챔버 내의 가스 생성 재료를 점화하기 위한 제 1 점화 수단과,
    (e) 상기 제 1 연소 챔버와 결합된 제 1 여과/냉각 챔버와,
    (f) 상기 제 2 연소 챔버 내의 가스 생성 재료를 점화하기 위한 제 2 점화 수단과,
    (g) 상기 제 2 연소 챔버와 결합된 제 2 여과/냉각 챔버와,
    (h) 상기 제 1 및 제 2 여과/냉각 챔버에 있고 포일로 밀봉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냉각 챔버는 상기 연소 챔버와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여과/냉각 챔버, 연소 챔버 및 격벽은 상기 고체상의 가스 생성 재료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상기 격벽상에 충돌하기 전에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상기 여과/냉각 챔버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은 0.091mm 내지 0.20mm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포일이며, 상기 포일은 추가로 상기 포일의 적어도 하나의 면상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팽창기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및 상기 여과/냉각 챔버는, 상기 고체상의 가스 생성 재료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상기 구멍을 빠져나기 전에 상기 여과/냉각 챔버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KR10-2002-7001599A 1999-08-06 2000-05-10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KR100481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70,347 1999-08-06
US09/370,347 US6149193A (en) 1999-08-06 1999-08-06 Variable output inf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795A KR20020022795A (ko) 2002-03-27
KR100481391B1 true KR100481391B1 (ko) 2005-04-08

Family

ID=2345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599A KR100481391B1 (ko) 1999-08-06 2000-05-10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49193A (ko)
EP (1) EP1200288B1 (ko)
JP (1) JP2003506257A (ko)
KR (1) KR100481391B1 (ko)
BR (1) BR0011983A (ko)
DE (1) DE60015549T2 (ko)
WO (1) WO2001010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0443B2 (ja) * 1998-11-30 2001-10-2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772570B2 (ja) * 1999-02-12 2006-05-10 タカタ株式会社 ガス発生器、その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US6547277B1 (en) * 1999-02-26 2003-04-1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Two chamber gas generator
WO2000068043A1 (en) 1999-05-11 2000-11-1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Dual chamber inflator
JP2001163171A (ja) * 1999-12-10 2001-06-19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6217066B1 (en) * 2000-03-14 2001-04-17 Am-Safe, Incorporated Multiple inflator safety cushion
US6659500B2 (en) 2000-05-11 2003-12-0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inflator
ATE284328T1 (de) * 2000-05-24 2004-12-15 Seva Technologies Vorrichtung zur aktivierung eines sicherheitselementes für güter- und personenschutz
US6918611B1 (en) 2000-09-28 2005-07-19 Delph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WO2002055337A2 (en) * 2001-01-11 2002-07-18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a Delaware corporation A bumper airbag with multiple chambers
EP1470028A1 (en) * 2002-01-03 2004-10-2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irbag inflator
JP4079329B2 (ja) * 2002-02-22 2008-04-23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2005521582A (ja) * 2002-03-26 2005-07-21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チャンバを備えた2段インフレータ
JP3741075B2 (ja) * 2002-04-12 2006-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
DE60332449D1 (de) * 2002-04-19 2010-06-17 Automotive Systems Lab Aufblasvorrichtung
DE20213555U1 (de) * 2002-09-03 2003-10-16 TRW Airbag Systems GmbH & Co. KG, 84544 Aschau Gasgenerator
KR20050061472A (ko) * 2002-09-12 2005-06-22 텍스트론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다단 가스 발생기 및 가스 제너런트
US6886856B2 (en) * 2003-04-01 2005-05-03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inflator
FR2853872B1 (fr) * 2003-04-15 2006-01-13 Seva Technologies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n element de securite pour la protection des biens et/ou des personnes
US7007973B2 (en) * 2003-04-22 2006-03-07 Key Safety Systems, Inc. Tubular dual stage inflator
US20050029785A1 (en) * 2003-08-06 2005-02-10 Arc Automotive, Inc. Compact multi-level output hybrid gas generator
US7438313B2 (en) * 2003-08-06 2008-10-21 Arc Automotive, Inc. Compact multi-level output gas generator
US20050035578A1 (en) * 2003-08-14 2005-02-17 Robert Arwood Airbag module configured for low risk deployment
US6908104B2 (en) * 2003-08-27 2005-06-21 Key Safety Systems, Inc. Pyrotechnic side impact inflator
US20050098988A1 (en) * 2003-11-12 2005-05-12 Smith Bradley W. Pressure-enhanced, adaptive inflator device
US20050115721A1 (en) * 2003-12-02 2005-06-02 Blau Reed J. Man-rated fire suppression system
US7267365B2 (en) * 2004-03-10 2007-09-1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US7367584B2 (en) * 2004-04-19 2008-05-0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343862B2 (en) * 2004-05-27 2008-03-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438315B2 (en) 2004-05-28 2008-10-2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and method of assembly
US7814838B2 (en) 2004-06-28 2010-10-1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275760B2 (en) 2004-07-23 2007-10-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gas generating system
US7237801B2 (en) 2004-08-31 2007-07-0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325828B2 (en) * 2004-11-04 2008-02-0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gas generator
DE502004003639D1 (de) * 2004-12-08 2007-06-06 Delphi Tech Inc Gasgenerator
EP1669259B1 (de) * 2004-12-08 2011-06-15 Delphi Technologies, Inc. Gasgenerator
GB2422650B (en) * 2005-01-27 2007-10-0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inflator
US20060186654A1 (en) * 2005-01-28 2006-08-2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643283B2 (ja) * 2005-01-28 2011-03-0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7098991A (ja) * 2005-09-30 2007-04-1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806954B2 (en) * 2005-11-01 2010-10-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US7802812B2 (en) * 2005-11-16 2010-09-28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DE102007019755A1 (de) * 2006-04-21 2007-11-22 TK Holdings, Inc., Armada Gaserzeugungssystem
US7568728B2 (en) * 2006-05-25 2009-08-04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 having modular construction and radial inflation gas flow
JP2007331491A (ja) * 2006-06-13 2007-12-27 Toyoda Gosei Co Ltd ガス発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1098A (ja) * 2006-08-30 2008-04-1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5101923B2 (ja) * 2007-04-18 2012-12-19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用ガス発生器
JP5118917B2 (ja) * 2007-08-07 2013-01-16 日本化薬株式会社 サイドインフレータ用のガス発生装置
US8282127B1 (en) * 2008-09-03 2012-10-09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JP5770978B2 (ja) * 2010-04-19 2015-08-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967284B2 (en) 2011-10-06 2015-03-03 Alliant Techsystems Inc. Liquid-augmented, generated-gas fire suppress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5912853B2 (ja) * 2012-05-23 2016-04-2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827308B1 (en) * 2013-03-15 2014-09-09 Autoliv Asp, Inc. Filter with integrated baffle
KR20160058486A (ko) * 2014-11-17 2016-05-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전개 방법
JP6592987B2 (ja) * 2015-06-29 2019-10-2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USD805681S1 (en) * 2016-06-09 2017-12-19 Zhejiang Flymy Optoelectronic Technology Co., Ltd. Balloon connector with LED lighting arrangement
CN109177912B (zh) * 2018-10-17 2023-09-05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单向阀式多级气体发生器
CN109733557B (zh) * 2019-03-18 2024-11-12 宁波振华救生设备有限公司 一种低燃温大气量可控缓慢产气的气体发生器
CN112606792A (zh) * 2020-12-15 2021-04-06 宝能(广州)汽车研究院有限公司 用于车辆的侧安全气囊的点火策略、安全气囊和车辆
JP2024031681A (ja) 2022-08-26 2024-03-07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751A (en) 1910-12-09 1911-07-25 James L Coker Jr Centrifugal pump.
US4998751A (en) * 1990-03-26 1991-03-12 Morton International, Inc. Two-stage automotive gas bag inflator using igniter material to delay second stage ignition
JPH0459451A (ja) * 1990-06-29 1992-02-26 Nippon Kayaku Co Ltd 自動発火装置
US5221109A (en) * 1992-07-23 1993-06-22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 having vents to terminate inflation
US5346254A (en) * 1993-02-01 1994-09-13 Trw Inc. Inflator assembly
US5368329A (en) * 1993-03-03 1994-11-29 Morton International, Inc. Dual stage inflator
US5400487A (en) * 1994-01-14 1995-03-2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ariable inflation system for vehicle safety restraint
US5460405A (en) * 1994-06-28 1995-10-2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5558367A (en) * 1995-03-14 1996-09-24 Trw Inc. Dual stage augmented inflator for an air bag
US5564743A (en) * 1995-03-22 1996-10-15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system
US5799973A (en) * 1995-04-22 1998-09-01 Temic Bayern-Chemie Airbag Gmbh Pyrotechnic gas generator with two separate combustion chambers
DE19520847B4 (de) * 1995-06-08 2005-08-18 Honda Giken Kogyo K.K. Vorrichtung zur Gaserzeugung für einen Kraftfahrzeug-Airbag
US5630619A (en) * 1996-02-28 1997-05-2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daptive inflator for airbags
US5709406A (en) * 1996-02-28 1998-01-2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inflator with projectile gas release
US5582428A (en) * 1996-02-28 1996-12-1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daptive inflator for airbags
US5765866A (en) * 1997-02-19 1998-06-1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 inflator employing gas gener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ca
US5934705A (en) * 1997-03-06 1999-08-1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Two chamber inflator body
FR2763548B1 (fr) * 1997-05-23 1999-06-18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daptatif a chambres tubulair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US6019389A (en) * 1998-03-31 2000-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10686A1 (en) 2001-02-15
KR20020022795A (ko) 2002-03-27
EP1200288B1 (en) 2004-11-03
DE60015549D1 (de) 2004-12-09
DE60015549T2 (de) 2005-11-24
EP1200288A1 (en) 2002-05-02
JP2003506257A (ja) 2003-02-18
US6149193A (en) 2000-11-21
BR0011983A (pt) 200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391B1 (ko) 다단계 에어백 팽창기
EP1658204B1 (en) Pyrotechnique side impact inflator
US5845933A (en)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CA2427540C (en) Low onset dual stage hybrid inflator
US5934705A (en) Two chamber inflator body
US6199906B1 (en) Dual stage pyrotechnic inflator
EP0800964B1 (en) An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US7178831B2 (en) Gas generator
KR100669853B1 (ko) 복합 스테이지 팽창기
JPH0678052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の2段膨張装置
EP1056624A1 (en) Adaptive output inflator
US6860511B2 (en) Multiple chamber dual stage inflator
WO1996040541A1 (en) Airbag inflator system
JP2003191816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EP1243484A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JP4860809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ク装置
JP2004051076A (ja) 助手席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H0752743A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器
JP2004001613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