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9849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849B1
KR100479849B1 KR1019980003829A KR19980003829A KR100479849B1 KR 100479849 B1 KR100479849 B1 KR 100479849B1 KR 1019980003829 A KR1019980003829 A KR 1019980003829A KR 19980003829 A KR19980003829 A KR 19980003829A KR 100479849 B1 KR100479849 B1 KR 10047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heat exchange
tank
tub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524A (ko
Inventor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0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84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8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를 개시한다. 이 열교환기는 양단부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탱크형성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1탱크형성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 통로 형성부를 갖는 제1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튜브부재의 탱크형성부들과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상기 판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2탱크형성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타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2탱크형성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매체 통로형성부를 갖는 제2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제2열교환부를 가지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각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포함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두 종류의 열교환 매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기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이의 내부에서 열교환 매체를 증발시켜 증발잠열을 흡수함으로써 자동차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열교환 매체를 응축시키기 위한 콘덴서와, 엔진의 냉각수를 열교환 매체로 하여 자동차 실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코어와 엔진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가 이용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열교환 매체의 특성 및 사용 압력에 따라 휜 튜브 타입, 서펜틴타입(serpentine type), 드론 컵 타입(drawn cup type), 패러렐 플로우 타입(parallel flow type)등 여러 종류의 것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는 단일의 열교환 매체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두 종류의 열교환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열교환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두 종류의 열교환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두 개의 열교환기를 공기조화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열교환기들의 설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고 이들을 통과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장치가 복잡하여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두 종류의 열교환 매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부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탱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1탱크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 통로 형성부를 갖는 제1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튜브부재의 탱크부들과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상기 판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2탱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타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2탱크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매체 통로형성부를 갖는 제2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제2열교환부를 가지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각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제1,2튜브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딤플이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인접하는 튜브의 판부재와 교호적으로 탱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 단부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탱크부들과 제2탱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1탱크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통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부재를 갖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판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각각 대응되는 제3탱크부들과 제4탱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타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4탱크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 통로부를 형성하는 제2튜브부재를 갖는 제2열교환부를 가지며, 상호 적층되는 열교환매체 입출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각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튜브의 제1,2열교환부의 열교환 체적이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면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두 개의 열교환 매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튜브(100)가 상호 적층되며 각 튜브(100)의 사이에는 방열휜(140)이 설치 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브(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재(110)의 양단부에 각각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111)(111')(112)(112')가 형성되고, 이 양측면에는 제1,2 열교환부를 형성하는 제1,2튜브부재(120)(130)가 접합된다. 상기 판부재(110)의 일측면에 접합된 제1튜브부재(120)는 상기 판부재(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111)(111')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판부재(110)와 더블어 각각 제1탱크형성부(121)(122)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110)과 접합시 이들 제1탱크형성부(121)(122)들을 상호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통로부(12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튜브부재(120)는 상기 판상의 부재가 성형되어 제1탱크형성부(121)(122)들과 열교한 매체 통로부(1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탱크형성부(121)(122)는 판상의 부재가 판부재(110) 일측면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비딩가공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 매체 통로부(123)는 상기 판상 부재가 판부재(1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면에 인입부(123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탱크형성부(121)(122)들의 사이에는 판부재(110)와 접합되어 상기 인입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격벽(123b)이 소정길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110)의 타측면에 접합되는 제2튜브부재(130)는 상기 판부재(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112)(112')와 대응되는 부위에 즉, 상기 제1탱크형성부(121)(122)와 반대되는 측에 상기 판부재(110)와 더블어 각각 제2탱크형성부(131)(132)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110)과 접합시 이들 제2탱크형성부(131)(132)들을 상호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통로부(13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튜브부재(130)는 상기 판상의 부재가 성형되어 제2탱크형성부(131)(132)들과 열교한 매체 통로부(1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탱크형성부(131)(132)는 판상의 부재가 판부재(110) 일측면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비딩가공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131a)(132a)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 매체 통로부(133)는 상기 판상부재가 판부재(1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면에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탱크부(131)(132)들의 사이에는 판부재(110)와 접합되어 상기 인입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격벽(133b)이 소정길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1,2튜브부재(120)(130)에 의해 형성된 제1,2탱크형성부(121)(122)(131)(132)와 대응되는 판부재(110)의 관통부(111)(111')(112) (112')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2 탱크부와 동일한 비드부(111a)(112a) 를 형성하여 상호 접합되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매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탱크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부재(110)와 제1,2튜브부재(120)(130)의 적어도 일측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수의 딤플(150)이 형성되는데, 이 딤플(150)의 밀도는 열교환 매체의 특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딤플(150)의 형성부위를 한정할 수 도 있다. 즉, 열교환 매체로서 엔진의 냉각수와,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열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냉각수가 통과하는 측의 튜브부재와, 판부재에 형성 된 딤플(150)의 수를 줄이거나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딤플(150)의 형성밀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냉매가 통과하는 측의 튜브부재와 판부재측에 다수의 딤플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 매체에 따른 표면적의 조절은 딤플의 크기를 조정하여 조절할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매체 통로부의 딤플밀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딤플에 의한 표면적의 조절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딤플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 및 형성함으로써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2튜브부재와 판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열교환 매체 통로부에는 인너휜(1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부재(110)와 제1,2튜브부재(120)(130)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복수개의 튜브(100)의 적층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부(121)(122)는 인접하는 튜브(100')의 제1탱크부가 접합되고, 튜브(100)의 제2탱크부(131)(132)가 인접하는 튜브(100')의 제2탱크부와 연통되도록 접합되어 열교환 매체의 공급 및 배출통로(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열교환 매체의 공급 및 배출통로에는 하나 이상의 배플이 설치되어 열교환 매체를 우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열교환 매체의 공급관과 배출관이 접속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열용량이 적은 열교환 매체가 사용되는 측의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호 접합되어 탱크부와 열교환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 튜브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에 탱크부가 형성되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개의 튜브(200)와, 이 적층된 튜브(200)의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방열휜(300)을 포함하는데,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브(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재(210)의 양단부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211)(211')(212)(212)가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21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1튜브부재(220)와, 제2튜브부재(230)가 각각 접합되어 제1,2열교환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판부재(210)의 일측면에 접합된 제1탱크부재(220)는 상기 판부재(2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211)(211')(212)(212')와 각각 대응되는 제1탱크부(221)(222)들과 제2탱크부(223)(224)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210)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1탱크부(221)(222)들을 연결하는 제1열교환 매체 통로부(223a)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탱크부와 열교환 매체 통로부는 제1탱크부재(220)를 이루는 판상부재가 성형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탱크부(221)(222)들은 판상부재가 판부재(210) 일측면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비딩가공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 매체 통로부(223a)는 상기 판상의 부재가 판부재(2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면에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탱크부(221)(222)들의 사이에는 판부재(210)와 접합되어 상기 인입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격벽(123b)이 소정길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부는 상기 제2탱크부와는 연통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210)의 타측면에 접합되는 제2튜브부재(230)는 상기 판부재(2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211)(211')(212)(212')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판부재(210) 및 제1,2탱크부와 더블어 열교환 매체의 입출탱크를 형성하는 제3,4탱크부(231)(232)(233)(234)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210)와 접합시 이들 제4탱크부(233)(234)들을 상호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통로부(23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튜브부재(23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3,4탱크부 및 열교환 매체 통로부(236)는 제2탱크부재(220)를 이루는 판상의 부재가 성형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3,4탱크부(231)(232)(233)(234)들은 판상의 부재가 판부재(210) 일측면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비딩가공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 매체 통로부(236)는 상기 판상부재가 판부재(2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면에 인입부(236a)가 형성되고, 상기 제4탱크부(233)(234)들의 사이에는 판부재(210)와 접합되어 상기 인입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격벽(236b)이 소정길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부(236a)는 상기 제3탱크부와는 연통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판부재(210)과 제1,2튜브부재(220)(230)의 적어도 일측에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수의 딤플(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딤플의 밀도는 열교환 매체의 특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딤플의 형성부위를 한정할 수 도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딤플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매체 통로부(223)(236)에는 인너휜(250)이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부재(210)와 제1,2튜브부재(220)(230)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복수개의 튜브(200)의 적층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탱크부는 인접하는 튜브의 제1탱크부가 접합되고, 튜브의 제2탱크부가 인접하는 튜브의 제2탱크부와 연통되도록 접합되어 열교환 매체의 공급 및 배출통로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 각각의 열교환 매체의 공급 및 매출통로에는 하나 이상의 배플(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열교환 매체를 우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열교환 매체의 공급관과 배출관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작용을 두 열교환 매체인 냉각수와 냉매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부인 각 튜브(100)를 이루는 제1튜브부재(120)의 제1탱크형성부(121)(122)들과 판부재(1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탱크부로 열교환 매체가 공급됨과 아울러 제2열교환부인 각 튜브(100)를 이루는 제2튜브부재(130)의 제2탱크형성부(131)(132)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의 제3탱크부로 각각 열교환 매체인 엔진의 냉각수와 냉매가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먼저 상기 일측의 제1탱크부(121)로 공급된 냉각수는 각 튜브의 열교환 매체 통로(123) 즉, 상기 판부재(110)와 제1튜브부재(120)가 접합되어 형성된 열교환 매체 통로(123)를 통하여 흐르면서 열교환 이루어진 후 제1튜브부재(120)와 판부재(110)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의 제1탱크부(122)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탱크부가 적층되어 형성된 통로에 이 통로를 차단하는 배플이 선택적으로 설치된 경우 열교환 매체는 우회하여 흐르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판부재(110)와 제1튜브부재(120) 사이에는 다수의 딤플(15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열교환 매체 통로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난류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딤플에 의해 각 튜브의 표면적이 넓어져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110)와 제2열교환부인 각 튜브(100)를 이루는 제2튜브부재(130)의 일측 제2탱크형성부(131)로 공급된 냉매는 튜브의 열교환 매체통로(133) 즉, 상기 판부재(110)와 제2튜브부재(130)가 접합되어 형성된 열교환 매체 통로를 통하여 흐르면서 열교환 이루어진 후 타측의 제2탱크형성부(132)를 통하여 배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3,4통로에 이 통로를 차단하는 배플이 선택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하는 냉각수와 같이 우회시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튜브의 제1,2 열교환부를 열교환 매체가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매체의 특성에 따라 딤플의 밀도 및 형성부위 등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제1,2열교환부를 통과하는 열교환 효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작용은 상술한 열교환기의 작용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두 종류의 열교환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각각의 열교환 매체마다 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둘째; 두 개의 열교환기 설치 영역에 하나의 열교환기만을 사용하여도 되므로 열교환기의 설치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종래 두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대폭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공기조화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넷째; 각 튜브에 형성되는 딤플의 수 또는 크기를 열교환 매체의 종류에 따라 조절하고 두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 효율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으며 방열휜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튜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튜브가 접합된 상태의 열교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튜브에 딤플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튜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튜브 110; 판부재
120;제1튜브부재 121,122; 제1탱크 형성부
130;제2튜브부재 131,132;제2탱크 형성부

Claims (11)

  1. 양단부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탱크형성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1탱크형성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 통로 형성부를 갖는 제1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튜브부재의 탱크형성부들과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상기 판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2탱크형성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타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2탱크형성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매체 통로형성부를 갖는 제2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제2열교환부를 가지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각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판부재의 관통부에 상기 제1,2탱크 형성부와 대응되는 탱크 형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제1,2튜브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딤플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제1,2 튜브부재에 형성된 딤플의 밀도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제1,2튜브부재에 형성된 딤플의 크기가 부분적으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열교환 매체 통로부의 U 턴부에 딤플의 형성밀도가 상대적으로 적으로 조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의 체적이 상호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매체 통로 형성부에 인너휜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양단부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탱크부들과 제2탱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1탱크부들을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부재를 갖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판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각각 대응되는 제3탱크부들과 제4탱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타측면에 접합되어 상기 제4탱크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열교환 매체 통로부를 형성하는 제2튜브부재를 갖는 제2열교환부를 가지며, 상호 적층되는 열교환매체 입출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와;
    상기 각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제1,2튜브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딤플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고환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제1,2튜브부재에 형성된 딤플의 밀도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19980003829A 1998-02-10 1998-02-10 열교환기 Expired - Lifetime KR10047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829A KR100479849B1 (ko) 1998-02-10 1998-02-10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829A KR100479849B1 (ko) 1998-02-10 1998-02-10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524A KR19990069524A (ko) 1999-09-06
KR100479849B1 true KR100479849B1 (ko) 2005-07-12

Family

ID=3730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829A Expired - Lifetime KR100479849B1 (ko) 1998-02-10 1998-02-10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8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524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482A (en) Laminated evaporator
JP3960233B2 (ja) 熱交換器
KR101090225B1 (ko) 열교환기
JP4047891B2 (ja) 熱交換器
EP1114974B1 (en) Plate for stack type heat exchangers and heat exchanger using such plates
JP2000346568A (ja) 熱交換器
JP2001059420A (ja) 熱交換器
JP3947931B2 (ja) 積層型熱交換器
US7174953B2 (en) Stacking-type, multi-flow, heat exchanger
JPH11192833A (ja) 熱交換器組み合わせ構造及び一体型熱交換器
KR100479849B1 (ko) 열교환기
KR100389699B1 (ko) 수냉식 열교환기
CN100513964C (zh) 热交换器
KR100545576B1 (ko) 열교환기의튜브
KR100759792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2941768B1 (ja) 積層型熱交換器
JP3218053B2 (ja) 凝縮器
KR100531016B1 (ko) 냉매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플레이트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KR100243247B1 (ko) 열교환기
KR100596012B1 (ko)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KR100858094B1 (ko) 열교환 플레이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형 열교환기
JP7576944B2 (ja) 熱交換器
KR20240164295A (ko) 판형 열교환기
KR100350949B1 (ko) 적층형 열교환기
KR101067248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