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7227B1 -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227B1
KR100477227B1 KR10-2003-0006740A KR20030006740A KR100477227B1 KR 100477227 B1 KR100477227 B1 KR 100477227B1 KR 20030006740 A KR20030006740 A KR 20030006740A KR 100477227 B1 KR100477227 B1 KR 10047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bar code
product
products
re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572A (ko
Inventor
임송암
Original Assignee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주) 현암바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주) 현암바씨스 filed Critical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2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65C9/42Label feed control
    • B65C9/44Label feed control by special means responsive to marks on labe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65C2009/402Controls; Safety devices for detecting properties or defects of labels
    • B65C2009/407Controls; Safety devices for detecting properties or defects of labels after labelling

Landscapes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릴 및 제품 입, 출고시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처리하던 업무를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성한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첫째, 형상 및 크기가 다른 릴 및 제품들을 카세트 방식으로 적재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자들이 손쉽게 릴 및 제품을 일괄적재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적재된 릴 및 제품을 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하나씩 컨베이어상으로 토출시키도록 하였다.
둘째, 본 발명을 거치지 않은 컨베이어상에 놓여져 이동되는 릴 및 제품은 그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바코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를 2차원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360°전방형에서 한번에 모두 판독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셋째, 판독된 기초정보는 상위 컴퓨터에 전송되어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비교검색 한 후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로 다시 변환하고 이를 바코드 라벨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신규 발행된 바코드 라벨은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에 의하여 제품의 표면중앙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넷째, 새로운 바코드 라벨이 부착된 릴 또는 제품은 다시 이동하면서 바코드 스캐너에 의하여 다시 한번 판독되고 이 판독된 정보는 상위 컴퓨터로 전송되어 입,출고 실적으로 정상 처리되며 릴 및 제품의 분류를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된다.
다섯째, 정상 처리된 릴 또는 제품의 분류수단 부분에 이동되면 세 종류의 분류방법에 의하여 릴 배출 적재수단으로 자동으로 적재되게 하였다.
여섯째, 이러한 모든 진행과정은 모니터링 컴퓨터에 의하여 화면에 표시되어 릴 또는 제품의 이상투입 및 설비의 작동시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Automatio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 of labeling and sorting out the goods}
본 발명은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Reel)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부품들의 포장 및 크기, 형상, 두께와 관계없이 일괄 적재한 후 자동으로 이동하게 하여 포장 또는 제품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며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로 변환하고 다시 바코드 라벨을 자동으로 발생 및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신규로 부착된 바코드 라벨의 검증 및 정보확인과 분류를 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대부분 그 부품들이 릴(Reel) 또는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부품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제품의 특성상 부품의 크기가 적고 자동으로 부품을 장착하는 칩 마운터(chip mounter)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부품을 조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릴 및 다양한 형태의 포장된 부품들에는 각각의 부품 제조업체마다 고유의 상품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 라벨들이 부착되어 있고, 그 종류 및 수량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 제품을 취급하는 사용자들은 항상 혼란과 정보검색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모양 및 크기가 같은 릴 및 동일한 형태로 포장된 부품들은 사용자의 잘못된 정보검색으로 인하여 조립공정에 오투입되어 압대한 생산오류 및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별도로 이 부품들을 검색 및 분류를 위하여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라벨을 별도로 발행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모두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시간적인 손실 및 관리상의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릴(Reel)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부품들의 포장 및 크기, 형상, 두께와 관계없이 일괄 적재한 후 자동으로 이동하게 하여 포장 또는 제품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며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로 변환하고 다시 바코드 라벨을 자동으로 발생 및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신규로 부착된 바코드 라벨의 검증 및 정보확인과 분류를 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을 위한 자동화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입고되는 릴 또는 제품에 부착된 다수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해당업체의 바코드 고유 라벨을 자동으로 인쇄, 부착 및 분류하기 위한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신기능과 메모리 기능 및 화면 표시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의 제어 및 검증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니터링 컴퓨터와;
다수의 릴 또는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을 비스듬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재하게 되는 적재함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로딩유니트에 의해 그 릴 또는 제품을 하나씩 컨베이어로 토출시키는 카세트 적재수단과;
상기 카세트 적재수단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이미지 판독방법을 이용하여 360°전 방향에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릴 또는 제품들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일괄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모니터링 컴퓨터에 전송하는 1차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라벨이나 상표 등을 인쇄하는 바코드 프린터와;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를 통과한 릴 또는 제품의 직경 및 두께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과;
상기 바코드 프린터에 의해 발행된 라벨을 릴 또는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표면 중앙에 부착하는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과;
상기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의 후단에 설치되어, 릴이나 다양한 제품들에 부착되어지는 라벨의 바코드 심볼을 재판독하여 모니터링 컴퓨터가 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2차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컨베이어상에서 이동되는 릴 및 다양한 제품들의 이동 및 정지, 각 해당위치별 작동 등을 센서 및 접점신호에 의해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컨베이어 제어수단과;
상기 2차 바코드 스캐너에 의하여 판독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릴이나 다양한 제품들을 2가지 이상으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릴이나 다양한 제품들을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적재함에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된 릴 배출 적재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카세트 적재수단,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 컨베이어 제어수단, 분류수단, 릴 배출 적재수단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을 위한 자동화장치의 전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우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 자동화장치의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에서 릴 또는 제품의 크기를 감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 자동화장치의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에서 릴 또는 제품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 자동화장치의 릴 배출 적재수단의 상세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그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대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모니터링 컴퓨터(10)를 중심으로 데이터의 정보교환 및 비교검색을 위한 상위 컴퓨터(11)와는 이더넷(ETHER-NET) 통신방식에 의하여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술되어지는 하부의 장비 즉 콘트롤러(120), 1차 바코드 스캐너(30), 바코드 프린터(50), 2차 바코드 스캐너(80)들과는 통신중계기(15)를 통하여 시리얼(Serial Interface)방법에 의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제공된다.
또한 통신중계기(15)에 연결된 콘트롤러(120)는 본 발명의 핵심부분인 각종 제어 및 구동계통의 장치들, 즉 카세트 적재수단(20),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 컨베이어 제어수단(90), 분류수단(100), 릴 배출 적재수단(110) 등을 접점신호(Digital in-put/out put)에 의하여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의 모니터링 컴퓨터(10)는 통신기능과 메모리 기능 및 화면 표시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종합적인 제어 및 검증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위 컴퓨터(11)와는 기본적으로 이더넷(ether-net)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위 컴퓨터(11)는 이더넷 통신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랜(LAN)이나 무선방식, 시리얼통신 및 기타의 통신방법으로도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모니터링 컴퓨터(10)는 상위 컴퓨터(11)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독자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축적된 정보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식의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인쇄기능도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10)는 키보드 및 마우스에 의하여 운영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공지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대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 컴퓨터(11)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서버(웹서버 포함), 통신용 단말기 및 기타의 통신장비를 의미하며, 데이터의 정보교환 및 검색기능과 메모리 기억장치 등이 포함 구성된다.
이 상위 컴퓨터(11)는 모니터링 컴퓨터(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자체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 베이스에서 이용 및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시 각각의 사용자에게 필요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상기의 통신중계기(15)는 모니터링 컴퓨터(10)와 콘트롤러(120) 및 1차 바코드 스캐너(4), 바코드 프린터(50), 2차 바코드 스캐너(80)의 통합적인 연결을 위한 통신중계장치로 시리얼 통신방식에 의하여 각각의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사용자 환경에서 통신중계기(15)를 통한 유선방식의 사용이 곤란할 때는 이더넷 방식 및 무선방식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컴퓨터(10)와 상기 각종장비들을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방법을 변경하는 것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콘트롤러(120)는 통신중계기(15)를 통하여 모니터링 컴퓨터(10)와 통신을 하여 카세트 적재수단(20),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 컨베이어 제어수단(90), 분류수단(100), 릴 배출 적재수단(110)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때 사용되는 통신방법은 접점방식(Digital in-put/out put)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의 카세트 적재수단(20)은 크기 및 두께, 형상이 다른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및 적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로딩 유니트(Loading Unit)로서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경사각을 이용한 적재함과 물체 감지센서(도시안됨)에 의하여 적재된 릴 또는 제품이 정해진 일정한 순서흐름에 의해 자동으로 컨베이어(3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이 카세트의 적재수단(20)은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그 적재함의 간격 및 폭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40)는 이미지 판독방법을 이용하여 360°전 방향에서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일괄 판독한 후 통신중계기(15)를 통하여 모니터링 컴퓨터(10)에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40)는 특수하게 제작되어 컨베이어(30)에 부착된 엔코딩 유니트(Encoding unit)를 통하여 동기신호를 부여받아 카메라 촬영방식에 의하여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표면에 부착된 여러 개의 바코드 라벨 및 하나의 라벨에 여러 단계로 인쇄된 바코드 심볼을 오류없이 판독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해독프로그램에 의하여 데이터로 해석되어진다.
이 때 판독되어지는 바코드 심볼은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를 모두 포함하여 판독될 수 있도록 전용 프로그램에서 제공되어진다.
또한 상기의 바코드 프린터(50)는 모니터링 컴퓨터(10) 또는 상위컴퓨터(11)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라벨이나 상표 등을 인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바코드 프린터(50)는 열 전사방식 및 감열식에 의하여 바코드 심볼 및 이미지, 숫자 및 문자들을 포함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라벨의 크기에 맞게 바코드 프린터(50)의 구성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물체감지수단(60)은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40)를 통과한 릴 또는 제품의 직경 및 두께를 감지하여 바코드 프린터(50)에서 발행된 라벨을 후술되는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으로 하여금 릴 또는 제품의 표면 정중앙에 부착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를 참조하여 보면, 컨베이어(30)를 타고 이동하는 릴 또는 제품의 최초 감지시간과 최후 감지시간을 결정하는 제 1 감지로드(62)와 제 2 감지로드(63)가 서로 반대되는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컨베이어(30)와 대향하여 고정된 고정프레임(61)상에 유기적으로 힌지(64)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 2 감지로드(63)의 단부에는 그 제 2 감지로드(63)의 위치변화에 따른 온/오프동작에 의해 감지신호를 콘트롤러(120)로 송신하는 감지센서(6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은 바코드 프린터(50)에 의해 발행된 라벨을 에어실린더(Air Cylinder)방식에 의해 하나씩 자동으로 릴이나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표면에 부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 장치는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또는 제품을 감지하는 상기 장치에 근접되는 위치에, 고정브래킷(7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 에어실린더(72)와, 상기 수평 에어실린더(72)의 케이싱 상에 습동결합되고 그 수평 에어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단에 고정되어 직선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74)와, 상기 슬라이더(74)의 하부에 위치되고 그 수평 에어실린더(72)와 직교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수직 에어실린더(75) 및 상기 수직 에어실린더(75)의 피스톤로드(76)단에, 바코드 프린터(50)에서 발행된 이형지가 탈거된 바코드를 에어의 흡입에 의해 흡착시키는 흡착단(77)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단(77)의 하부에는 릴 또는 제품의 표면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바코드 라벨 부착시 릴 및 제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부착거리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콘트롤러()에서는 수신된 최종 감지시간을 산출하여 릴 또는 제품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고, 이는 다시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으로 입력된다.
또한 2차 바코드 스캐너(80)는 바코드 프린터(50)에 의하여 인쇄된 바코드 심볼의 정상인쇄 여부확인 정상으로 판독된 정보를 다시 통신중계기(15)를 통하여 모니터링 컴퓨터(10)에 송신하여 상위 컴퓨터(11)나 모니터링 컴퓨터(10)가 인쇄되도록 전송한 정보와 비교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2차 바코드 스캐너(80)에 의하여 판독된 정보는 후술되는 분류수단(100)에 신호를 인가하여 릴 및 다양한 종래의 포장된 제품들이 각각의 고유의 제품들로 적재될 수 있도록 분류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주게 된다.
상기의 컨베이어 제어수단(90)은 컨베이어(30)상에서 이동되는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이동 및 정지, 각 해당위치별 작동방법 등을 센서 및 접점신호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 제어수단(90)은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크기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기능도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의 분류수단(100)은 2차 바코드 스캐너(80)에 의하여 판독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릴 및 제품들이 세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 기능은 모양이나 크기, 형태가 동일하여도 그 제품의 정보가 서로 상이한 것들을 자동으로 분류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분류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제공한다.
즉 상기 분류수단(100)은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에서의 수행이 완료된 다음의 공정의 장치로서, 본 자동화장치의 가장 후단측에 구성된다. 즉 본 자동화장치의 후단에는 장치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01)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101)에 습동결합되어 임의 범위에서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슬라이더(102)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101)의 내측면에 위치 고정되는 한편 작동로드(104)가 슬라이더(102)의 일측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02)에 수평이동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수평 공압실린더(103)와, 상기 슬라이더(102)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공압실린더(105)와, 상기 수직 공압실린더(105)의 작동로드(106)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공압실린더(103)(105)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로딩(loading)시 컨베이어(30)를 통해 배출되는 릴 및 제품들을 본 자동화장치의 마지막 공정인 다수의 릴 배출 적재수단(110)으로 선택적인 안내를 수행하는 릴 가이드 바(10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릴 배출 적재수단(110)은 도면에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류된 릴 및 제품이 파손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통상의 물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릴 및 제품의 감지와 적재되는 양을 감지하여 그 적재수단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사용자가 손쉽게 적재된 모든 릴 및 제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기능이 제공된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장비와 장치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자동화하여 사용자들의 손쉬운 사용 및 정보획득을 구현한 장비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을 수작업 또는 운반기구를 통하여 이동하는 단계를 거친 다음 카세트방식으로 된 적재수단(20)을 선택하여 본 장치의 선단에 연결하고 릴 및 제품을 투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때 상기 카세트 적재수단(20)은 릴 및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의 두께와 크기에 알맞게 적재할 수 있는 칸수 및 폭으로 여러 종류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카세트 적재수단(20)은 제품의 무게에 따라 경사각을 주어 제품이 적재함에 걸리거나 파손되지 않고 손쉽게 이탈되도록 다양한 각도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적재수단(20)은 장착시 한번에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두 가지의 유형을 장착할 수 있으며, 제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여러 개를 장착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카세트방식의 적재수단(20)에 릴 및 제품의 투입이 완료되면 자동로딩장치의 센서의 감지작동에 의해 적재함을 컨베이어(30)의 중앙부분에 이르게 되고, 제어방식에 의해 릴 및 제품이 하나씩 컨베이어(30)로 토출된다.
한편 카세트 적재수단(20)으로부터 이탈된 릴 및 제품은 컨베이어(30)의 중앙에 위치 이동되는데 이 때 컨베이어의 후면에 부착된 엔코딩 유니트(Encoding Unit; 도시안됨)가 컨베이어(3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1차 바코드 스캐너(40)에 동기신호를 부여하면 상기 바코드 스캐너(40)는 자동적으로 물체의 이동속도와 판독시간을 결정한다.
이 후 릴 및 제품이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40)의 판독범위 내로 이동되면 카메라 방식에 의하여 릴 및 제품의 표면에 부착된 여러 종류의 바코드 심볼을 이미 형태로 일괄 판독한 후 디코딩(Decoding)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로 해독되어진다.
한편 해독된 바코드 정보를 모두 집계하여 모니터링 컴퓨터(10) 또는 상위 컴퓨터(11)로 전송하고 이미 사용자가 등록한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와 비교검색을 통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짐은 물론이다. 이 때 등록되지 않은 정보나 판독되지 않은 정보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비상정지가 되도록 한 기능도 함께 제공된다.
이 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선택되면 이 정보와 사용자 고유의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된 정보는 사용자 고유의 바코드 라벨 인쇄정보로 이용되며, 모니터링 컴퓨터(10) 또는 상위 컴퓨터(11)가 바코드 프린터(50)에 인쇄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고유의 정보로 변환된 바코드 라벨이 발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발행되는 사용자의 고유 라벨에는 다른 종류의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거래처로부터 입고되는 바코드 라벨의 심볼 종류가 3 of 9이면 사용자 고유의 라벨 인쇄시에는 code 128 또는 다른 종류의 바코드를 인쇄하여 이후 사용자 조립공정이나 다음공정에서는 오류를 방지하거나 손쉽고 표준화된 정보관리를 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와 크기가 다른 릴 및 제품의 중앙에 사용자 고유의 바코드 라벨을 정확히 부착하기 위해서는 릴 및 제품의 크기와 형상을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60)이 이용된다.
상기 물체감지수단(60)은 터치식으로서 제 1 감지로드(62)에 의해 최초에 릴 또는 제품의 감지시점과 물체의 형상 위를 지나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감지로드(62)와 유기적으로 힌지(64)결합된 제 2 감지로드(63)의 연동에 의해 감지센서(65)에서 감득되는 물체의 두께 및 형상의 파형분석, 그리고 물체의 감지가 완료된 시점을 콘트롤러(120)에서 시그널로 변환하여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의 부착시기 및 부착높이 등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이용된다.
이 후 릴 및 제품은 컨베이어(30)에 의해 바코드 부착위치로 이동되면 동기신호를 콘트롤러(120)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에 따라 바코드 프린터(50)에서 새로이 인쇄 발행된 라벨을 장치의 고정브래킷(71)에 설치된 수평 에어실린더(72)와 이와 연동하는 슬라이더(74), 수직 에어실린더(75)의 유기적인 2축 이동작동과 에어의 흡입에 의해 인쇄 발행된 라벨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단(77)의 작동에 의해 라벨을 릴 또는 제품의 중앙 표면에 허용 오차범위 이내에서 부착하게 된다.
다음 상기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에 의해 정상적으로 처리된 릴 및 제품이 컨베이어(30)에 의해 다음 단계로 이동되면 새로이 발행 부착된 사용자 고유의 정보로 변환된 바코드 심볼을 다시 한번 확인하기 2차 바코드 스캐너(80)의 촬상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판독된 정보는 상위 컴퓨터(11)로 전송되어 입고(또는 출고)정보로 정상 처리된다. 또한 이 정보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릴 또는 제품이 다양한 종류로 처리될 때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류하거나 하나의 적재함에 적재가 완료되면 다른 적재함으로 변경을 지시하는 정보로도 이용된다.
이 후 릴 또는 제품의 분류위치가 결정되면 분류수단(100) 즉 수평 공압실린더(103)와 수직 공압실린더(105)의 2축 작동에 의해 좌우의 릴 배출 적재수단(110)으로 릴 또는 제품을 안내하여 적재하게 되고, 직진방향의 릴 배출 적재수단(110)에는 컨베이어(30)의 작동에 의해 적재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류수단(100)의 하단부에는 분류시 릴 및 제품에 손상이나 충격을 주지 않고 이동시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고무패드 및 안전장치 기구물에 의하여 분류된다.
또한 분류된 릴 또는 제품이 분류수단(100)에 의하여 릴 배출 적재수단(11)으로 이동되면 분류된 순서대로 단계별로 적재될 수 있도록 감지센서(도시안됨)를 이용하여 하나의 릴 및 제품이 적재된 후 그 두께만큼 한단계씩 하강하면서 적재된다. 이것은 제품의 손상 및 충격을 방지하고 적재된 릴 및 제품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적재함에 릴 및 제품이 모두 적재되면 일괄배출할 수 있는 기능에 의해 릴 배출 적재수단(110)의 릴 및 제품을 회수한다.
이 때 작업자는 손쉽게 조작판넬의 배출버튼을 계속 누름과 멈춤으로써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양의 적재물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사용되는 릴 및 제품들의 관리 및 정보처리에 있어 업무의 자동화 및 모니터링을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세트방식의 적재로 소형, 중형 및 대형의 릴 및 제품들을 손쉽게 분류하고 투입하며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릴 및 제품들을 자동으로 취급할 수 있게 지원되고 다양한 유통경로를 거치면서 계속적으로 부착된 외부거래선의 상이한 제품관리 정보들을 바코드 심볼의 종류와 정보의 내역에 관계없이 모두 일괄 판독하게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육안판독의 불편함과 인식오류, 수작업 정보취득으로 인한 업무의 지연과 기재오류 등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거래처의 정보를 사용자 고유의 정보로 자동변환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의 제품정보로 변환된 바코드 라벨을 자동으로 인쇄하고 부착하며 단계별로 확인하고 분류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착오류, 정보변환의 기재오류, 반복적인 정보집계와 보고서 작성, 과다인원의 작업, 업무영역의 분산 및 작업장의 넓은 영역사용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제품의 이동 및 분류, 적재, 배출 등을 모두 자동화하여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실수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작업현장의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의 오류를 사전에 미리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끝으로 본 발명은 국내에서 최초로 발명된 것임을 자부하며, 향후 해외수출 및 국내의 전자제품 조립에 있어 부품의 장착오류를 방지하고 자동화와 신속성을 확보함으로서 생산성 효율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을 위한 자동화장치의 전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 자동화장치의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에서 릴 또는 제품의 크기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 자동화장치의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에서 릴 또는 제품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 자동화장치의 릴 배출 적재수단의 상세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흐름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모니터링 컴퓨터,11: 상위 컴퓨터,
20: 카세트 적재수단,30: 컨베이어,
40: 1차 바코드 스캐너,50: 바코드 프린터,
60: 물체감지수단,70: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
80: 2차 바코드 스캐너,90: 컨베이어 제어수단,
100: 분류수단,110: 릴 배출 적재수단,
120: 콘트롤러,

Claims (5)

  1. 컨베이어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입고되는 릴 또는 제품에 부착된 다수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해당업체의 바코드 고유 라벨을 자동으로 인쇄, 부착 및 분류하기 위한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신기능과 메모리 기능 및 화면 표시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의 제어 및 검증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니터링 컴퓨터(10)와;
    다수의 릴 또는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을 비스듬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재하게 되는 적재함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로딩유니트에 의해 그 릴 또는 제품을 하나씩 컨베이어(30)로 토출시키는 카세트 적재수단(20)과;
    상기 카세트 적재수단(2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이미지 판독방법을 이용하여 360°전 방향에서 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릴 또는 제품들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일괄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모니터링 컴퓨터(10)에 전송하는 1차 바코드 스캐너(40)와;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4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사용자 고유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라벨이나 상표 등을 인쇄하는 바코드 프린터(50)와;
    상기 1차 바코드 스캐너(50)를 통과한 릴 또는 제품의 직경 및 두께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60)과;
    상기 바코드 프린터(50)에 의해 발행된 라벨을 릴 또는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제품들의 표면 중앙에 부착하는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과;
    상기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의 후단에 설치되어, 릴이나 다양한 제품들에 부착되어지는 라벨의 바코드 심볼을 재판독하여 모니터링 컴퓨터(10)가 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2차 바코드 스캐너(80)와;
    상기 컨베이어상에서 이동되는 릴 및 다양한 제품들의 이동 및 정지, 각 해당위치별 작동 등을 센서 및 접점신호에 의해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컨베이어 제어수단(90)과;
    상기 2차 바코드 스캐너(80)에 의하여 판독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릴이나 다양한 제품들을 2가지 이상으로 분류하는 분류수단(100)과;
    상기 분류수단(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릴이나 다양한 제품들을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적재함에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된 릴 배출 적재수단(110); 및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1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카세트 적재수단(20),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 컨베이어 제어수단(90), 분류수단(100), 릴 배출 적재수단(110)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 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10)를 중심으로 데이터의 정보교환 및 비교검색을 위해 이더넷(ether-net)통식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상위컴퓨터(11)를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 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수단(60)은, 컨베이어(30)를 타고 이동하는 릴 또는 제품의 최초 감지시간과 최후 감지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서로 반대되는 경사각을 갖고 컨베이어(30)와 대향된 고정프레임(61)상에 유기적으로 힌지(64)결합되는 제 1 감지로드(62) 및 제 2 감지로드(63)와; 상기 제 2 감지로드(63)의 단부에 설치되고, 그 제 2 감지로드(63)의 위치변화에 따른 감지신호를 콘트롤러(120)로 송신하는 감지센서(6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라벨 부착수단(70)은,
    고정브래킷(7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 에어실린더(72)와; 상기 수평 에어실린더(72)의 케이싱 상에 습동결합되고 그 수평 에어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3)단에 고정되어 직선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74)와; 상기 슬라이더(74)의 하부에 위치되고 그 수평 에어실린더(72)와 직교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수직 에어실린더(75) 및 상기 수직 에어실린더(75)의 피스톤로드(76)단에 바코드 프린터(50)에서 발행된 이형지가 탈거된 바코드를 에어의 흡입에 의해 흡착시키는 흡착단(7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 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100)은,
    장치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01)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102)에 습동결합되어 임의 범위에서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슬라이더(102)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101)의 내측면에 위치 고정되는 한편 작동로드(104)가 슬라이더(102)의 일측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02)에 수평이동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수평 공압실린더(103)와; 상기 슬라이더(102)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공압실린더(105)와; 상기 수직 공압실린더(105)의 작동로드(106)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공압실린더(103)(105)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로딩(loading)시 컨베이어(20)를 통해 배출되는 릴 및 제품들을 릴 배출 적재수단(110)으로 선택적인 안내를 수행하는 릴 가이드 바(10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 Reel)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KR10-2003-0006740A 2003-02-04 2003-02-04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7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740A KR100477227B1 (ko) 2003-02-04 2003-02-04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740A KR100477227B1 (ko) 2003-02-04 2003-02-04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572A KR20040070572A (ko) 2004-08-11
KR100477227B1 true KR100477227B1 (ko) 2005-03-18

Family

ID=3735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7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7227B1 (ko) 2003-02-04 2003-02-04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45B1 (ko) 2008-05-30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자동 프린팅 수단을 갖는 카톤 테이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톤 자동 프린팅 방법
KR101451484B1 (ko) * 2009-06-05 2014-10-15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용 라벨링 기기
KR101713057B1 (ko) 2015-09-08 2017-03-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자동 적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42B1 (ko) * 2008-05-23 2011-07-26 이창범 라벨부착장치
JP5855646B2 (ja) * 2010-06-14 2016-02-09 トルタグ・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Trutag Technologies Incorporated 識別子を伴うパッケージング商品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商品のパッケージ、及び商品
KR101537744B1 (ko) * 2014-11-05 2015-07-20 이지아이텍 주식회사 유통 관리용 코드 인쇄장치
CN108945688B (zh) * 2018-09-06 2023-12-19 深圳市博视科技有限公司 产品编码自动绑定设备
CN113879748B (zh) * 2021-10-27 2023-09-01 山东玉马遮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立体仓库系统的管理方法
CN114889913B (zh) * 2022-05-31 2024-07-19 东莞市宏昌荣机械有限公司 一种手机sim卡封装设备及封装方法
KR102690831B1 (ko) * 2022-06-03 2024-07-31 김명훈 테이프릴의 바코드라벨 부착장치
CN115027776B (zh) * 2022-07-18 2024-09-13 浙江佳鹏电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递分拣贴单方法及系统
CN115231082B (zh) * 2022-08-04 2023-07-18 苏州派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物料同步移载模组及基于工业视觉的高速列印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45B1 (ko) 2008-05-30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자동 프린팅 수단을 갖는 카톤 테이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톤 자동 프린팅 방법
KR101451484B1 (ko) * 2009-06-05 2014-10-15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용 라벨링 기기
KR101713057B1 (ko) 2015-09-08 2017-03-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자동 적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572A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227B1 (ko) 릴의 바코드 라벨 부착과 분류를 위한 자동화장치
CN202655249U (zh) 设有称重传感器和条码扫描机的货物自动分拣系统
CN108351637B (zh) 用于识别和处理各种物体的机器人系统和方法
CN108700869B (zh) 用于识别和处理各种物体的感知系统和方法
CN202700831U (zh) 可识别无标识货物的货物自动分拣系统
CN107458796B (zh) 用于传送托盘的托盘发动机
CN202700830U (zh) 设有称重传感器和摄像系统的货物自动分拣系统
CN108045682B (zh) 一种自动贴标分拣装置
US201700665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11182574B2 (en) Extensible machine workflow and event reporting protocol
CN102147888A (zh) 一种智能仓库管理系统及其方法
JP2008179450A (ja) タグ読み取り装置
JP2009075941A (ja) 工程管理方法、工程管理システムおよび工程管理装置
JP5971694B2 (ja) 荷物仕分システム
US20220113384A1 (en) LiDAR BASED MONITORING IN MATERIAL HANDLING ENVIRONMENT
CN113884801A (zh) 一种通信模块检测系统
CN111126097A (zh) 自动钉牌方法和装置
CN110909837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生产线物流系统
CN108993906B (zh) 一种智能快递分拣装置
CN104475345A (zh) 一种货物高速自动分拣方法
CN111974711B (zh) 一种工件尺寸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20050066789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KR102091853B1 (ko)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CN217731046U (zh) 一种贴标机
CN115196308B (zh) 基于机器识别工装流水线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3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