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7120B1 -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120B1
KR100477120B1 KR10-1998-0706393A KR19980706393A KR100477120B1 KR 100477120 B1 KR100477120 B1 KR 100477120B1 KR 19980706393 A KR19980706393 A KR 19980706393A KR 100477120 B1 KR100477120 B1 KR 10047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portion
optometry
handle
pla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649A (ko
Inventor
기요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1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8Lens m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및 그 검안 렌즈용의 사출 성형품, 및 그 사출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장치이다. 사출 압축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로써 성형되는 사출 성형품은 렌즈부의 외주부에 손잡이부와 액체 안내 수집부가 렌즈부의 성형 시에 동시 성형된 것이다. 사출 성형품을 경질 도포액에 침지하는 디핑 처리를 하였을 때, 경질 도포액은 액체 안내 수집부에 안내되어 적하되며, 적하되지 않은 도포액은 액체 안내 수집부에 고이게 됨으로써 렌즈부에 균일한 두께의 코팅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액체 안내 수집부를 제거함으로써, 손잡이부가 일체로 설치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완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및 그 사출 성형품, 및 성형용 금형 장치
본 발명은 안경 시험틀에 장전되어서 피검자의 시력 등을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및 이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얻기 위한 사출 성형품, 및 이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안경 사용자에게 있어서 가장 적합한 렌즈를 결정하기 위한 안경 처방의 하나로서, 자각적 굴절 검사법의 하나인 검안 렌즈 교환 방법이 실행되고 있다. 이 검안 렌즈 교환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피검자에게 안경 시험틀을 장착 착용시켜, 이 안경 시험틀에 검안 렌즈 세트 중에서 꺼낸 각종 구면(球面) 도수, 난시 도수 등의 검안 렌즈를 장전하고, 이것에 의해 피검자에게 있어서 가장 적합한 렌즈를 선택한다. 이 검안 렌즈 교환 방법에서 사용되는 검안 렌즈는 렌즈부의 외주부(外周部)에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손잡이부를 잡음으로써, 검안 렌즈의 안경 시험틀에의 장전 및 이것으로부터의 꺼냄을 실행하게 된다.
종래의 검안 렌즈는 주로 유리제이며, 이 검안 렌즈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edge-filed)한 렌즈의 외주부에 손잡이부를 구비한 홀더링(holder ring)을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되고 있었다(일본국 실개평 4-22902호). 또한, 일부의 검안 렌즈에는 플라스틱제의 것도 있으나, 절단 이후의 제조 공정은 유리제의 검안 렌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검안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렌즈를 생산하는 이외에, 렌즈와는 별도 재료에 의해 손잡이부를 위한 부재를 생산하는 일이나, 이 부재를 렌즈에 부착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만큼 많은 노력과 시간이 걸렸다.
또한, 손잡이부를 위한 부재는 내구성이나 조작성의 관점에서 금속제로 되었고, 이 때문에 검안 렌즈 전체의 중량이 무거워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으며, 또한, 난시나 원근(遠近) 양용(兩用) 등의 복잡한 안경 처방의 경우에는 안경 시험틀에 복수(複數)의 검안 렌즈를 겹쳐 장전하여 검안 테스트를 실행하기 때문에, 피검자의 귀나 코에 그 큰 중량이 걸려서, 안경 시험틀이 미끄러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검안 렌즈는 렌즈 직경이 작고, 이 때문에. 가장자리 다듬질(edge-filing)이나 홀더링 부착 작업등의 후가공 작업은 어렵다. 또한, 손잡이부는 안경 시험틀에의 장전 작업 시(時)를 고려하여 렌즈의, 예컨대 우상(右上) 혹은 좌상(左上)의 소정의 각도에 설치되고, 누진 다초점 렌즈 (progressive multifocal lens)나 난시용 렌즈와 같이 상하나 좌우의 구별이 있는 검안 렌즈의 경우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홀더링을 검안 렌즈의 외주부에 부착함에 있어, 광학 중심 위치 등에 관한 렌즈 설계상의 광학적 배치에 근거하여, 이 손잡이부에 대한 정확한 상기 소정 각도의 위치 결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렌즈 직경이 작은 검안 렌즈에 있어서, 홀더링이 부착 작업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 손잡이부를 구비한 홀더링을 렌즈의 외주부에 너무 강하게 코킹시키면, 플라스틱제 렌즈인 경우에는 렌즈의 광학 표면이 변형되어, 광학전 왜곡 등의 발생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와는 별도의 재료에 의해 손잡이부를 위한 부재를 생산하는 것 및 이 부재를 렌즈에 부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렌즈부에 대한 손잡이부의 정확한 레이아웃(layout)도 얻을 수 있게 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및 이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얻기 위한 사출 성형품, 및 이 사출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화살표도.
도 3은 도 1, 도 2의 금형 장치에서 성형되는 액체 안내 수집부를 구비한 사출 성형품을 도포 처리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사출 성형품에서 액체 안내 수집부를 제거하여 생산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복수의 렌즈부가 연결부에서 연결된 사출 성형품을 도포 처리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손잡이부가 액체 안내 수집부를 겸하는 형태에 관한 검안 렌즈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검안 렌즈를 얻기 위한 사출 성형품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사출 성형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사출 성형품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사출 성형품으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도 7의 사출 성형품을 도포 처리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사출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출 압축 성형용의 금형 장치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일부 확대도로서, 캐비티를 형성하는 1쌍의 인서트 부분의 도면.
도 15는 1쌍의 인서트 중의 한쪽 인서트의 뒤쪽에 배치된 두께 조정 스페이서에 의하여, 가입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누진 다초점 렌즈를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그 스페이서와 그 주변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는 렌즈부와, 이 렌즈의 외주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안경 시험틀에의 렌즈부의 장전 시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이 손잡이부는 렌즈부의 성형 시 동시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검안 렌즈는 플라스틱제이며, 렌즈부가 성형될 때에 손잡이부도 일체로 성형된다. 렌즈부와 손잡이부는 동일한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며, 렌즈부가 성형되면 손잡이부도 동시에 성형되기 때문에, 렌즈부에 손잡이부를 위한 부재를 부착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손잡이부는 렌즈부와 동일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안 렌즈 전체는 경량으로 된다. 또한, 손잡이부는 렌즈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성형용 금형 장치 내에서 위치결정되어 렌즈부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렌즈부에 대한 손잡이부의 위치는 스스로 정확하게 레이아웃 된 소정대로의 위치로 된다.
이와 같은 렌즈부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출 성형법 또는 사출 압축 성형법을 채용하여도 좋고, 또한, 캐스팅법(casting method)(주형법(注型法)(cast molding method))을 채용하여도 좋다.
그러나, 캐스팅법은 열경화성 수지(대표적인 것은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아릴카보네이트(diethylene glycol bisuallyl carbonate))를 재료로 하며, 이 열경화성수지의 중합 수축률은 약 14 퍼센트로서 크고, 이 때문에, 설계상의 렌즈 형상과 실제 주형 전사(轉寫) 형성과의 차이가 크므로, 얻을 수 있는 성형품의 주형 전사 정밀도를 검안 렌즈에 요구되는 정도까지 고정밀도로 하기 위하여는 대단히 고도의 제조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 및 캐스팅법으로 플라스틱제 렌즈를 성형하기 위하여는 재료인 수지의 중합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성형 시간에서 12∼24 시간이 걸리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1 사이클의 렌즈 성형 시간이 길어져서, 검안 렌즈를 양산하는 것은 비교적으로 높게 되는 이유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는 사출 성형법 또는 사출 압축 성형법에 의하여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법 또는 사출 압축 성형법으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재료로서 사용되는 바, 상기 재료는 예를 들면, PMMA(polymethyl metacrylate)계 수지나 PC(polycarbonate)계 수지이다.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의 렌즈부의 외주부에는 홀더링을 부착하여도 좋으나, 렌즈부의 외주부에 홀더링 대신의 가장자리부를 일체로 설치하여, 이 가장자리부를 렌즈부의 성형 시에 동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홀더링 대신의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검안 렌즈를 한층 더 경량화 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홀더링을 위한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홀더링을 렌즈부의 외주부에 코킹시키는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렌즈부의 광학적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는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이들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 등을 구비한 누진 다초점 렌즈이어도 좋고, 난시용 렌즈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단초점 렌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근시용 부분과 원시용 부분은 구비하고 있으나, 누진 부분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다초점 렌즈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검안 렌즈가 누진 다초점 렌즈일 경우에는 이 렌즈에 수평 기준선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mark)를 설치하고, 또한, 손잡이부을 좌안용(左眼用) 렌즈와 우안용(右眼用) 렌즈에 대응해서, 렌즈부의 좌우 중심 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쪽으로 벗어나서 렌즈부의 외주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손잡이부와 마크와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누진 다초점 검안 렌즈의 좌안용과 우안용과의 구별 및 수평 방향의 향(向)이 명확하게 되며, 이 때문에, 좌안용과 우안용의 검안 렌즈를 구별하면서, 각각의 검안 렌즈의 전체가 원형으로 되어 있는 렌즈부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함으로써, 이들 검안렌즈를 안경 시험틀에 정확한 위치로 장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와 마크에 의해서, 렌즈부에 있어서의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의 도수 측정 위치나 광학 중심의 레이아웃을 간단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기준선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를 설치하는 작업은 사출성형에 의한 렌즈 성형 후에 실시하여도 좋으나, 렌즈부와 손잡이부를 성형할 때에, 마크를 동시 에 성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동시에 성형하면, 작업 공정을 삭감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마크를 렌즈부, 손잡이부와 동시에 성형하는 경우에는 이 마크는 렌즈부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서 형성되지만, 볼록부가 아니라 오목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크를 볼록부로 하면, 검안 렌즈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볼록부가 안경 시험틀에 걸린다거나 하여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마크로서의 오목부는 렌즈부의 한쪽 면보다 오목하게 된 오목부이어도 좋고, 렌즈부의 내경(內徑) 방향으로 잘린 노치(notch)부라도 좋으며, 이들이 조합된 것이라도 된다.
전술한 누진 다초점 렌즈에는 많은 종류의 도수의 것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 도수의 검안 렌즈에 적용할 수 있고, 그 한 예로는 원시용 도수가 0.00 디옵터(diopter)로, 근시용 부분에만 근시용 도수가 설정되어 있는 상평(上平) 렌즈형의 것으로서, 이 형태의 검안 렌즈는 원시 도수용이나 근시 도수용의 다초점 검안렌즈와 겹쳐져서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은 렌즈부와, 이 렌즈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코팅 처리액에의 침지로부터 끌어올릴 때에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코팅 처리액이 안내되어서 잔류되는 액체 안내 수집부와, 이 액체 안내 수집부가 제거된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이들의 액체 안내 수집부와 손잡이부는 렌즈부의 성형 시에 동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코팅 처리액에의 침지 작업(dipping 작업)은 검안 렌즈의 표면에 경질 도포액(hard coat liquid)에 의한 코팅 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고, 경질 도포막에 의해서 검안 렌즈의 내마찰손상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렌즈부를 구비한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 담그고, 끌어올렸을 때, 코팅 처리액은 렌즈부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서 적하(滴下)되지만, 렌즈부의 최하부에는 코팅 처리액이 모아지는 액체 잔류 부분이 만들어지고, 이 때문에, 이 잔류 부분에 가까운 부위와 이로부터 먼 부위에서 코팅 막의 두께에서 상위(相違)가 생김에 따라, 렌즈 표면의 곡률(曲率)이 변경되어 버리고, 그 결과, 렌즈 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이 되면, 검안 렌즈의 정밀도상,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부를 사출 성형법 또는 사출 압축 성형법으로써 성형할때, 이 렌즈부의 외주부에는 손잡이부 뿐만 아니라 액체 안내 수집부도 동시에 성형한다. 이 액체 안내 수집부는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의 침지로부터 끌어올릴 때에 렌즈부 표면에 따라서 흘러내리는 코팅 처리액을 안내시키고, 그리고 적하되지 않고 잔류된 처리액을 모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액체 안내 수집부에 액체 잔류 부분이 만들어져서, 렌즈부에 액체 잔류 부분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부 표면의 코팅 막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균일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 액체 안내 수집부를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에 설치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액체 안내 수집부를 상기 손잡이부와 마찬가지로, 렌즈부의 외주부에 동시에 성형하기 때문에, 그 성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액체 안내 수집부의 형상은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의 침지로부터 끌어올렸을 때에 렌즈부 표면에 따라서 흘러내리는 코팅 처리액을 안내하여, 적하하지 않고 잔류한 처리액을 모을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렌즈부의 외경(外經) 방향(코팅 처리액으로부터 끌어올릴 때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것이어도 좋고, 또한,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은 작고 렌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부채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그러나, 액체 안내 수집부는 검안 렌즈의 완성 후, 손잡이부를 잡아서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하는 때에는 제거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 및 코팅 처리액이 렌즈부의 표면에 따라서 흘러내림에 따라 만들어지는 액체 잔류 부분을 렌즈부로부터 가급적 멀게 하기 위해서는 액체 안내 수집부를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부의 외부주에 일체로 성형되는 손잡이부와 액체 안내 수집부는 임의의 위치 관계로서 형성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이들 손잡이부와 액체 안내 수집부를 렌즈부 외주부의 상호 반대측 위치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을 침지할 때, 액체 안내 수집부 를 하측으로 하고,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함으로써, 이 손잡이부를 클립 등의 지지구로써 지지하여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 넣을 수 있는 동시에, 코팅 처리액으로부터 끌어 올렸을 때, 하측의 액체 안내 수집부에 코팅 처리액의 액체 잔류 부분을 만들게 하여, 정하여진 대로, 렌즈부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코팅 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형태의 경우에는 손잡이부는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때의 손잡이용으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렌즈부를 구비한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 침지시킬 때에 지지구로써 지지되는 지지부로서도 사용하게 된다.
사출 성형품에는 1개의 렌즈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복수개의 렌즈부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위치 관계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환언하면, 사출 성형품은 1개의 렌즈 가공용이라도 좋고, 복수개의 렌즈 가공용이라도 좋다.
사출 성형품을 복수개의 렌즈 가공용으로 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렌즈부를 연결부로써 상호 연결하고, 이 연결부에 렌즈부를 코팅 처리액에 침지시킬 때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설치하여, 액체 안내 수집부를 이 지지부에 대하여 반대측으로 된 각각의 렌즈부 외주부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측으로 된 지지부를 지지구로써 지지하여, 각각의 렌즈부를 코팅 처리액에 담그는 작업을 실행하여, 모든 렌즈부를 동시에 코팅 처리액에 침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코팅 처리액으로부터 각각의 렌즈부를 끌어올릴 때, 액체 안내 수집부는 하측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액체 안내 수집부에 액체 잔류 부분을 만들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은 손잡이부와 액체 안내 수집부가 별도로 된 것이지만, 이들 손잡이부와 액체 안내 수집부를 동일하게 만든 사출 성형품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형태의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은 렌즈부와, 이 렌즈부의 외주부에 렌즈부 성형 시에 동시에 성형되어, 이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이 손잡이부는 렌즈부를 코팅 처리액에 침지시킬 때에 하측 방향으로 되게 함으로써, 이 코팅 처리액으로부터 끌어올릴 때에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코팅 처리액을 안내하여 모으는 액체 안내 수집부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은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이들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구비한 누진 다초점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고, 난시용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다.
또한, 단초점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고, 근시용 부분과 원시용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나, 누진 부분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다초점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다.
사출 성형품으로부터 누진 다초점 렌즈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 이 누진 다초점 렌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시용 도수가 0.00 디옵터로서, 근시용 부분에서만 근시용 도수가 설정되어, 원시 도수용이나 근시 도수용의 단초점 렌즈와 겹쳐져서 안경 시험틀에 장전되는 상평(上平) 렌즈이어도 좋다.
또한, 사출 성형품의 렌즈부가,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이들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구비한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를 원시용 부분 측과 근시용 부분 측 중, 원시용 부분 측의 렌즈부 외주부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를 근시용 측의 렌즈부 외주부의 위치에 형성하면, 렌즈부의 가장자리부와 근시용 부분 사이의 경계에 근시용 부분의 단면 형상에 상응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코팅액이 괴여 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이며, 손잡이부를 원시용 부분 측의 렌즈부 외주부의 위치에 형성하면, 이러한 일은 없으며, 렌즈부의 광학적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손잡이부가 액체 안내 수집부를 겸하고 있는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에 있어서도, 이 사출 성형품을 코팅액에 침지시킬 때에 지지구로써 지지되는 지지부가 설치된다. 이 지지부는 손잡이부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 관계에서 형성하여도 좋으나, 지지부를 렌즈부의 손잡이부와는 반대측의 외주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 침지시킬 때, 손잡이부를 하측으로 하고, 지지부를 상측으로 함으로써, 이 지지부를 클립 등의 지지구로써 지지하여 사출 성형품을 코팅 처리액에 넣을 수 있으며, 그리고, 코팅 처리액으로부터 끌어올릴 때, 하측의 손잡이부에 코팅 처리액의 액이 모아지는 부분을 만들게 하여, 정하여진 바와 같이, 렌즈부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코팅 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지지부는 렌즈부, 손잡이부의 성형 시에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 공정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지지부의 형상은 지지구로써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상으로서 좋으며, 예를 들면,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것이어도 좋고, 또한,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은 작고 렌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부채꼴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그러나, 지지부는 검안 렌즈의 완성 후, 손잡이부를 잡고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는 제거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를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시켜 렌즈부와의 접속 면적이 작은 막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성형용 금형 장치는 형(型) 분할된 2개의 형(型)과, 이들 형의 양쪽에 배치되어서 1쌍을 이루고, 이들 형이 형 체결(mold-closed)되었을 때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어서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인서트(insert)를 구비하며, 캐비티는 검안 렌즈의 렌즈부를 성형하는 렌즈부 성형부와, 이 렌즈부의 외주부에, 이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성형하는 손잡이부 성형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금형 장치에서는 1쌍의 인서트 사이의 캐비티는 렌즈부 성형부와 손잡이부 성형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티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면, 검안 렌즈의 렌즈부와 손잡이부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 금형 장치의 형 분할된 2개의 형(型)은 상형(上型)과 하형(下型)이어도 좋고, 좌형(左型)과 우형(右型)이어도 좋다. 환언하면, 금형 장치는 세로형이어도 좋고, 가로형이어도 좋다.
금형 장치에서 성형하는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은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이들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구비한 누진 다초점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고, 난시용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으며, 또한, 단초점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고, 근시용 부분과 원시용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나, 누진 부분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다초점 렌즈를 위한 사출 성형품이어도 좋다.
금형 장치는 가입도(加入度)가 상이한 복수의 누진 다초점 검안 렌즈를 동시에 성형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으며, 이를 위한 금형 장치는 1쌍의 인서트를 복수 조(組) 마련하여, 이들 복수 조의 인서트 사이에서 성형되는 상기 렌즈부를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이들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구비한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 하여서, 상호 대향하는 1쌍의 인서트 중의 한쪽의 인서트 뒤쪽에 두께 조정용 스페이서(spacer)를 배치하는 동시에, 이 스페이서의 두께를 복수 조의 인서트에서 복수의 상이한 크기로 하여, 두께가 상이한 이들 스페이서에 의해서 가입도가 상이한 복수의 누진 다초점 렌즈가 성형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로 되어 있는 누진 다초점 렌즈부의 오목면측은 구면으로 되어 있어 곡률은 일정하고, 비구면으로 되어 있는 볼록면 측의 곡률에 의하여, 렌즈 표면 형상 및 도수가 변하고, 가입도가 커짐에 따라 렌즈 중심 두께는 커지며, 렌즈 체적이 증가한다. 가입도가 상이한 복수의 렌즈부를 금형 장치에서 동시에 성형하는 경우에, 이들 렌즈부의 체적의 차(差)가 크면, 성형 조건에 영향이 발생하여, 모든 렌즈부에 대한 고도의 광학적 정밀도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렌즈부의 체적이 가입도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우선, 중간의 가입도를 결정하고, 이 중간의 가입도의 렌즈부의 렌즈 두께를 구하여, 이 렌즈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가입도가 상이한 다른 각각의 렌즈부의 렌즈 두께를 재설계(redesign)하고, 이것으로써, 가입도가 상기 중간치보다도 작은 렌즈부에 대하여는 렌즈 체적을 증가시키고, 가입도가 상기 중간치보다도 큰 렌즈부에 대하여는 이것과는 반대로 렌즈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스페이서에 대하여는 중간의 가입도 보다도 큰 가입도의 렌즈부와 작은 가입도의 렌즈부를 얻기 위하여, 상기 중간 두께의 스페이서 보다도 두께가 큰 스페이스와 작은 스페이서를 만들어, 이들 두께가 상이한 스페이서를 상기 복수 조의 인서트 중의 한쪽의 인서트의 뒤쪽에 배치함으로써, 가입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누진 다초점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캐비티 용량(즉, 렌즈부의 체적)의 차를 조정하는 것이며, 그 결과, 캐비티에의 용융 수지의 충전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검안 렌즈부의 성형 조건을 대략 동일화 할 수 있도록 되어서, 각각의 캐비티에 있어서의 형(型) 전사성(轉寫性)이 높아지고, 광학적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장치는 1쌍의 인서트 중의 한쪽의 인서트 뒤쪽에 후방 인서트(back insert)를 배치하고, 이 후방 인서트의 길이 치수에 의해 다른 쪽의 인서트에 대한 이 한쪽의 인서트의 렌즈부 성형면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다른 쪽의 인서트에 대한 한쪽의 인서트의 렌즈부 성형면의 위치는 후방 인서트의 길이로서 설정하게 되어, 한쪽의 인서트는 렌즈부 성형면 만을 고정밀도로 사상(仕上) 가공하면 되기 때문에, 이 한쪽의 인서트의 생산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쌍의 인서트 사이에 형성하는 캐비티를 이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렌즈부의 외주부에 홀더링 대신에 가장자리부를 성형하기 위한 가장자리부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사출 성형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는 렌즈부의 외주부에 홀더링을 부착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되어, 그 만큼, 이 검안 렌즈의 생산 공정을 간략화 시킬 수 있다.
렌즈부의 외주부에 손잡이부를 성형하기 위한 손잡이부 성형부는 이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상기 렌즈부 성형부에 대하여 임의의 원주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이 손잡이부 성형부를 캐비티에로의 용융 수지의 유입부인 금형 장치의 게이트(gate)와 캐비티의 렌즈부 성형부와의 사이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게이트에서 캐비티를 향하여 용융 수지가 유입될 때, 용융 수지는 손잡이부 성형부를 경유하여 렌즈부 성형부에 충전되는 것으로 되며, 게이트에 가까운 수지 부분에서는 용융 수지의 충전 시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나, 이 변형은 손잡이부 성형부에 충전된 수지 부분에서 발생하여, 렌즈부 성형부에 충전된 수지 부분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렌즈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캐비티를 형성하는 1쌍의 인서트는 형 분할하는 각각의 형틀에 각각 1개 배치된 부재로서 형성하여도 좋으나, 이들 1쌍의 인서트의 각각을 상기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내부 인서트 부재와, 이 내부 인서트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성형하기 위한 외부 인서트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렌즈부의 도수 등이 상이하고, 게다가, 렌즈부의 외주부에 이 렌즈부와 일체로 된 손잡이부를 구비한 복수 종류의 검안 렌즈를 생산할 때, 내부 인서트 만을 교환하면 되게 되고, 외부 인서트를 복수 종류의 검안 렌즈에 대하여 공통화시킬수 있게 된다.
이상의 금형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료는 금속이어도 되고, 세라믹이나, 유리라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복수의 부재에 대하여 이들 이종(異種)의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 분할선(PL)으로 형 분할되는 상형(1)과 하형(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상형(1)은 내부 인서트 부재(3)가 중앙부에 고정된 외부 인서트 부재(4)와, 외부 인서트 부재(4)가 부착된 인서트 베이스(insert base)(5)를 구비하고, 이것들은 상부 인서트 가이드(insert guide)(6)의 내부에 미끄럼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형(2)은 내부 인서트 부재(7)가 중앙부에 고정된 외부 인서트 부재(8)와, 외부 인서트 부재(8)가 부착된 인서트 베이스(9)를 구비하고, 이것들은 하부 인서트 가이드(10)의 내부에 미끄럼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형(1)의 인서트 베이스(5)에는 도시하지 않는 상부 실린더(cylinder)의 하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piston rod)(11)가 연결되고, 이 피스톤 로드(11)가 수축 이동(상승)하면, 인서트 베이스(5)는 후방 인서트(12)에 맞닿는다. 또한, 하형(2)의 인서트 베이스(9)에는 하부 실린더(13)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4)가 연결되고, 이 피스톤 로드(14)가 수축 이동(하강)하면, 인서트 베이스(9)는 형판(15)에 맞닿으며, 그 위치에서 외부 인서트(8) 등이 고정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형(1)의 내외 인서트 부재(3, 4)는 상형(1)의 인서트(1A)를 형성하고, 하형(2)의 내외 인서트 부재(7, 8)는 하형(2)의 인서트(2A)를 형성하고 있다. 상형(1)과 하형(2)이 형 체결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의 이들 상하 1쌍의 인서트(1A, 2A) 사이에는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성형용 캐비티(16)가 형성되며, 이 캐비티(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 성형부(16A)와, 손잡이부 성형부(16B), 및 액체 안내 수집부 성형부(16C)로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 성형부(16B)에 연속하여 러너(runner)(17)가 설치되고, 이 러너(17)에는 사출 성형 장치의 사출 노즐이 접속되는 스프루우(sprue)가 연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로 상호 대향하는 상형(1)의 내부 인서트 부재(3)와 하형(2)의 내부 인서트(7)로서 렌즈부 성형부(16A)가 형성되고, 동일하게 상하로 대향하고 있는 상형(1)의 외부 인서트 부재(4)와 하형(2)의 외부 인서트(8)로써, 손잡이부 성형부(16B)와 액체 안내 수집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형 체결 실린더로서 상형(1)과 하형(2)이 형 체결되어 있을 때에, 가열된 용융 수지가 사출 노즐에서 스프루우로 사출되며, 이 용융 수지는 스프루우, 러너(17), 캐비티(16)에서 충전된 후, 서서히 냉각하여 고체화된다.
그 후, 형 분할선(PL)으로부터 상형(1)과 하형(2)이 형 개방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배출 수단이 작동함으로써 도 2의 1차 사출 성형품(18)이 취출(取出)되고, 이 1차 사출 성형품(18)은 렌즈부 성형부(16A)와 손잡이부 성형부(16B)와 액체 안내 수집부 성형부(16C)와의 위치 관계대로,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상호 반대측의 위치에 손잡이부(18B)과 액체 안내 수집부(18C)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8B)에는 러너(17)로 형성된 부분(19)이 접속되고, 이 부분(19)에는 또한 스프루우로 형성된 부분이 접속되며, 이들 손잡이부(18B), 액체 안내 수집부(18C)등은 렌즈부(18A)와 동시에 성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1차 사출 성형품(18)을 손잡이부(18B)와 부분(19)과의 사이에서 절단하면, 도 3에 도시한 렌즈부(18A)와 손잡이부(18B)과 액체 안내 수집부(18C)로서 이루어진 2차 사출 성형품(18')을 얻을 수 있다. 이 2차 사출 성형품(18')을 세정 등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코팅 처리액인, 예컨대 실리콘 계통 또는 아크릴 계통의 경질 도포액(21)에 침지시키는 디핑(dipping) 작업을 실행한다. 이 코팅 처리는 손잡이부(18B)를 상측으로 하고, 액체 안내 수집부(18C)를 하측으로 하여, 상향으로 된 손잡이부(18B)를 클립 등의 지지구(20)로써 지지하여 실행한다.
적어도 렌즈부(18A)와 손잡이부(18B)와의 경계부로부터 상측 방향 위치까지를 경질 도포액(21)에 침지시킨 후, 2차 사출 성형품(18')을 끌어올린다. 이렇게 끌어올릴 때에, 렌즈부(18A)의 표면에 부착한 여분의 경질 도포액은 렌즈부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고, 또한 액체 안내 수집부(18C)에 안내되어서 적하되는 동시에, 적하되지 않고 남은 소량의 피복액에 의하여 액체 안내 수집부(18C)에 액 잔류 부분이 만들어지며, 이 액 잔류 부분은 렌즈부(18A)에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 후, 2차 사출 성형품(18')을 UV 경화(자외선 조사(照射)에 의한 경화) 및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렌즈부(18A)의 표면에 경질 도포액에 의한 코팅 막이 만들어지고,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18A)로부터 액체 안내 수집부(18C)를 절단 등으로 제거하며, 또한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홀더링(22)을 부착하여, 손잡이부(18B)에 그 검안 렌즈의 렌즈 도수 등을 표시한 라벨(label)(23)을 붙임으로써,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18")가 완성된다.
또한,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후육부(厚肉部) 등에 의한 홀더링 대신의 가장자리부를 렌즈부(18A), 손잡이부(18B), 액체 안내 수집부(18C)의 성형과 동시에 성형하도록 하여도 된다.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이와 같은 가장자리부를 형성하지 않고,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홀더링(22)을 코킹 작업으로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서도, 손잡이부(18B)는 렌즈부(18A)의 소정의 배치 위치에 일체로 성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홀더링(22)을 강하게 코킹할 필요는 없다.
또한, 손잡이부(18B)에의 렌즈 도수 등의 표시는 라벨(23)을 사용하지 않고,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에 의한 성형 시에, 금형 구성 부재에 새겨진 인각(印刻) 마크에 의해서 실행하여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안 렌즈(18")는 안경 시험틀(24)에 교환 장전되어, 피검자의 시력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검안 렌즈(18")를 안경 시험틀(24)에 장전하고, 또한, 이것으로부터 검안 렌즈(18")를 들어내는 일은 손잡이부(18B)를 잡고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검안 렌즈는 원시용 도수가 0.00 디옵터로 되어 있는 상평(上平) 렌즈형의 외경 35㎜의 누진 다초점 렌즈이다. 1차 사출 성형품(18)은 복수개의 누진 다초점 렌즈부(18A)를 구비한 복수개 취하기의 것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렌즈부(18A)를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 하는 동시에, 그 누진 다초점 렌즈부(18A)의 가입도를 필요로 하는 1.00 디옵터에서부터 3.00 디옵터까지의 0.5 디옵터 피치씩의 5종류로 하고, 사출 성형 장치의 1쇼트(shot)에서 한번에 동일 가입도의 렌즈부(18A)를 2개씩 성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쇼트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5종류의 가입도를 구비한 전체 도수 범위의 렌즈부(18A)를 합계 10개로 동시에 성형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들의 렌즈부(18A)로부터 생산되는 검안 렌즈(18")의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검안 렌즈(18")는 플라스틱제이며,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검안 렌즈(18")를 안경 시험틀(24)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18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손잡이부(18B)는 렌즈부(18A)의 성형 시에 동시에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검안 렌즈를 생산하기 위하여, 렌즈와는 별도의 재료에 의한 손잡이부를 위한 부재를 만들고, 이것을 렌즈에 부착하는 작업을 생략할수 있으며, 검안 렌즈의 생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8B)은 렌즈부(18A)와 동일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금속제가 아니기 때문에, 검안 렌즈(18")는 전체로서 경량화된 것으로 된다. 또한, 손잡이부(18B)는 렌즈부(18A)와 일체로 성형되며, 렌즈부의 외주부에 손잡이부를 구비한 홀더링을 코킹 작업으로 부착함으로써 렌즈부에 손잡이부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렌즈부(18A)의 고도의 광학적 정밀도를 확보하면서, 렌즈부(18A)에 대한 손잡이부(18B)의 정확한 배치 위치를 얻을 수 있다.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홀더링(22)을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서도, 홀더링(22)을 렌즈부(18A)에 강하게 코킹하여 부착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렌즈부(18A)의 고도의 광학적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18")는 사출 성형법 또는 사출 압축 성형법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성형 시에 고압의 사출력 또는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재료의 용융 수지가 냉각 고체화 시에 수축하여도, 형전사(型轉寫) 정밀도는 검안 렌즈에 요구되는 충분한 고정밀도로 되고, 또한, 사출 성형법 또는 사출 압축 성형법은 주조법과 비교하여 1사이클의 성형 작업 시간은 극히 짧기 때문에, 검안 렌즈를 양산할 수 있어, 그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검안 렌즈(18")를 얻기 위한 사출 성형품(18')에는 액체 안내 수집부(18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품(18')을 경질 도포액(21)에 침지하여 끌어올릴 때, 렌즈부(18A)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려 적하되는 경질 도포액을 이 액체 안내 수집부(18C)에서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적하되지 않고 남은 소량의 도포액에 의한 액 잔류 부분을 액체 안내 수집부(18C)에 만들게 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렌즈부(18A)의 표면에 형성하는 코팅 막의 두께를 액 잔류 부분에 영향 받지 않는 균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안내 수집부(18C)를 손잡이부(18B)와 마찬가지로,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일체로 성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액체 안내 수집부(18C)도 렌즈부(18A)의 성형 시에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액체 안내 수집부(18C)는 렌즈부(18A)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기 때문에, 적하되지 않고 남은 액으로 만들어지는 액 잔류 부분은 렌즈부(18A)에서 멀리 떨어진 개소에 만들어지게 되고, 이것으로써, 렌즈부(18A)에 형성하는 코팅 막의 두께를 한층 확실히 균일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사출 성형품(18')으로부터 액체 안내 수집부(18C)를 제거하여 검안 렌즈(18")를 제작하는 경우, 액체 안내 수집부(18C)는 막대 형상으로서 렌즈부(18A)와의 접속 면적은 작기 때문에, 그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8B)와 액체 안내 수집부(18C)는 렌즈부(18A) 외주부에 상호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안내 수집부(18C)를 하측으로 하면서 사출 성형품(18')을 경질 도포액(21)에 침지하여 끌어올릴 때, 상측으로 된 손잡이 부(18B)를 지지구(20)로써 지지하여 이 작업을 실행하는 것으로 되며, 이 때문에, 손잡이부(18B)는 검안 렌즈(18")를 안경 시험틀(24)에 장전할 때에 잡는 것만 아니라, 사출 성형품(18')을 경질 도포액(21)에 침지 처리할 때의 지지용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그 겸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사출 성형품(28)을 나타낸다. 이 사출 성형품(28)은 렌즈부(28A)가 2개 형성된 2개 가공용이다. 이것들의 렌즈부(28A)는 손잡이부(28B)를 사이에 끼워 연결부(29)에 연결되고, 이 연결부(29)는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 러너에 충전된 수지로서 형성된 것이며, 연결부(29)로부터는 사출 성형품(28)의 경질 도포액(21)으로의 침지 시에 상향으로 된 지지부(30)가 연장되어 있다. 이 지지부(30)는 금형 장치에 러너와 연속하여 형성된 공동부에 수지가 충전되어 형성된 것이다.
각각의 렌즈부(28A)에는 지지부(30)와는 반대측의 외주부 위치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액체 안내 수집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사출 성형품(28)을 경질 도포액(21)에 침지시킬 때에는 상향으로 된 지지부(30)를 지지구(20)로써 지지하여 이 작업을 실행한다. 이것으로써, 2개의 렌즈부(28A)를 동시에 경질 도포액(21)에 침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것으로부터 끌어 올렸을 때, 모든 액체 안내 수집부(28C)는 하측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렌즈부(28A) 표면에 따라서 흘러내리는 경질 도포액을 이들 액체 안내 수집부(28C)에 안내시켜서 적하시킬 수 있으며, 적하되지 않고 남은 소량의 액의 잔류 부분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체 안내 수집부(28C)에 만들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검안 렌즈(48")를 나타내며, 이 검안 렌즈(48")는 도 9의 1차 사출 성형품(48)으로부터 얻은 도 7의 2차 사출 성형품(48')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2차 사출 성형품(48')은 렌즈부(48A)와, 이 렌즈부(48A)의 외주부에 렌즈부(48A)의 성형 시에 동시 성형된 손잡이부(48B)과, 렌즈부(48A)의 손잡이부(48B)와는 반대측의 외주부 위치에 형성된 막대 형상의 지지부(48C)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8C)는 사출 성형품(48')을 코팅 처리할 때에 지지구로써 지지되는 부분이며, 이 지지부(48C)는 렌즈부(48A), 손잡이부(48B)의 성형 시에 동시 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48C)를 포함한 사출 성형품(48')의 성형 공정은 간단하게 되어 있다.
렌즈부(48A)는 원시용 부분(E)과, 근시용 부분(F)과, 이들 원시용 부분(E)과 근시용 부분(F) 사이의 누진 부분(G)을 갖는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도 7에 있어서, 원시용 부분(E)의 아이포인트(eye point)은 H이고, 근시용 부분(F)의 아이포인트는 I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손잡이부(48B)에는 이 사출 성형품(48')의 렌즈부(48A)가 좌안용인지 우안용인지를 나타내는 좌우 구별 표시(49)와, 이 사출 성형품(48')의 렌즈부(48A)의 가입도를 나타내는 가입도 표시(50)가 마련되고, 이들 표시(49, 50)는 손잡이부(48B)가 렌즈부(48A)와 동시에 성형될 때에, 사출 압축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에 새겨진 인각(印刻) 마크에 의해서 형성된다.
렌즈부(48A)의 외주부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48D)가 렌즈부(48A)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 가장자리부(48D)도, 손잡이부(48B), 지지부(48C)와 마찬가지로, 렌즈부(48A)의 성형 시에 동시 성형된 것이다. 가장자리부(48D)은 렌즈부(48A)의 원시용 부분(E)과 근시용 부분(F)으로부터 단부(段部)(51), 홈(52)으로서 구획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며, 근시용 부분(F) 보다도 두꺼운 두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가장자리부(48D)은 도 4에 나타낸 홀더링(22)의 대신으로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 6에 나타낸 검안 렌즈(48")는 렌즈부(18A)의 외주부에 홀더링(22)을 부착한 도 4의 검안 렌즈(18") 보다도 더욱 경량화 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7의 손잡이부(48B)는 그 사출 성형품(48')의 렌즈부(48A)가 좌안용인지 우안용인지에 상응해서 렌즈부(48A)의 좌우 중심 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쪽으로 45°벗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즉, 그 사출 성형품(48')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검안 렌즈(48")가 좌안용인 경우에는 손잡이부(48B)는 도 6의 안경 시험틀(24)을 사용하는 피검자로부터 보아서 렌즈부(48A)의 왼쪽 45°의 위치에 형성되고, 검안 렌즈(48")가 우안용인 경우에는 손잡이부(48A)는 피검자로부터 보아서 렌즈부(48A)의 오른쪽 45°의 위치에 형성된다. 도 7의 사출 성형품(48')의 렌즈부(48A)는 좌안용이다.
또한, 렌즈부(48A)의 외주부 가장자리부(48D)에는 렌즈부(48A)를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른 상하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렌즈부(48A)의 좌우 양측으로 되는 개소에 있어서, 수평 기준선(J)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마크(53)는 가장자리부(48D)의 일부를 움푹 들어가게 한 오목부로 되어 있으며, 마크(53)는 렌즈부(48A), 손잡이부(48B), 지지부(48C), 가장자리부(48D)를 성형할 때에, 금형 장치의 구성 부재에 형성된 볼록부에 의해서 동시 성형된 것이다.
마크(53)에 의해서 렌즈부(48A)의 수평 방향을 알고, 또한, 손잡이부(48B)에 의해서 렌즈부(48A)가 좌안용인지 우안용인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품(48')으로부터 얻은 검안 렌즈(48")를 도 6의 안경 시험틀(24)에 장전할 때, 각각의 검안 렌즈(48")의 전체가 원형으로 되어 있는 렌즈부(48A)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하면서, 좌안용과 우안용의 검안 렌즈(48")를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따라서 이들 검안 렌즈(48")를 안경 시험틀(24)에 정확하게 장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8B)와 마크(53)에 의하여, 렌즈부(48A)에 있어서의 원시용 부분(E)과 근시용 부분(F)의 도수 측정 위치나 광학 중심의 배치를 간단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검안 렌즈(48")는 가장자리부(48D)를 포함한 전체의 직경이 38㎜, 가장자리부(48)의 폭 치수가 1.5㎜, 렌즈부(48A)의 직경이 35㎜이고, 손잡이부(48B)의 길이가 15㎜, 손잡이부(48B)의 폭 치수는 9㎜이다.
도 9에 도시한 1차 사출 성형품(48)은 2차원적으로 상호 연결 배열된 합계 10개의 누진 다초점 렌즈용의 2차 사출 성형품(48')을 얻기 위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누진 다초점 렌즈는 가입도가 1.00 디옵터에서 3.00 디옵터까지의 0.5 디옵터 피치씩의 5종류이고, 렌즈부(48A)의 가입도가 동일하게 된 사출 성형품(48')은 2개씩 있다.
각각의 2차 사출 성형품(48')은 1차 사출 성형품(48)으로부터 손잡이부(48B)의 선단에서 절단함에 따라서 얻을 수 있으며, 그 후, 합계 5개의 2차 사출 성형품(48')을 코팅 처리하기 위해, 도 10, 도 11에서 나타낸 지지구(54)로써 매달아 내려 지지한다. 이 지지구(54)는 사출 성형품(48')의 막대 형상 지지부(48C)를 삽입할 수 있는 5개의 홈(55A)이 하면에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55)와, 이 본체(55)에 각각의 홈(55A)마다에 설치되고, 상부가 나사(56)로써 본체(55)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진 협지(挾持) 부재(5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나사(56)를 풀고 나서 각각의 홈(55A)에 사출 성형품(48')의 지지부(48C)를 삽입하고, 이어서 나사(56)를 조여 붙임으로써, 각각의 사출 성형품(48')은 지지부(48C)가 본체(55)와 협지 부재(57)로써 협지되어 달아 내려져서 지지된다.
지지구(54)는 파지(把持)기구(58)로써 파지되며, 이 상태에서 사출 성형품(48')을 코팅 처리액인 경질 도포액(21)에 침지시키고 끌어올린다. 이 디핑 작업은 지지부(48C)를 상향으로 하고, 손잡이부(48B)를 하향으로 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렌즈부(48A)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여분의 경질 도포액은 손잡이부(48B)에 안내되어서 적하되는 동시에, 적하되지 않고 남은 경질 도포액의 액 잔류 부분은 손잡이부(48B)로 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48B)가 액체 안내 수집부를 겸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사출 성형품(48')을 디핑 처리하고, 그리고 가열 건조하여, 렌즈부(48A)에 경질 도포액에 의한 코팅 막을 형성한 후, 지지부(48C)를 절단 제거하고, 또한, 손잡이부(48B)에, 이 손잡이부(48B)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표시(49, 50)와 동일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라벨을 붙임으로써, 도 6의 검안 렌즈(48")가 완성된다.
지지부(48C)를 절단 제거할 때, 이 지지부(48)는 렌즈부(48A)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렌즈부(48A)의 외주부 가장자리부(48D)와의 접속 면적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이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안내 수집부로도 되어 있는 손잡이부(48B)는 렌즈부(48A)의 원시용 부분(E) 측과 근시용 부분(F) 측 중에서, 원시용 부분(E) 측의 렌즈부(48A)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8B)를 근시용 부분(F) 측의 렌즈부(48) 외주부에 형성하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근시용 부분(F)과 가장자리부(48C)와의 사이에는 근시용 부분(F)의 단면 형상에 상응한 홈(52)이 형성되어 있어서, 경질 도포액으로부터 끌어올릴 때에 이 홈(52)에 경질 도포액이 모아져 버려서, 그 결과, 렌즈부(48A)의 광학적 정밀도에 영향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도 13에는 도 9의 1차 사출 성형품(48)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 압축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금형 장치는 형 분할선(PL)으로부터 형 분할된 상형(61)과 하형(62)을 구비하고 있다. 상형(61)은 내부 인서트 부재(63)와, 이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인서트 부재(64)와,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뒤쪽, 환언하면,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상측에 배치된 후방 인서트(6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형(62)은 내부 인서트 부재(66)와, 이 내부 인서트 부재(66)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구멍 부분(67A)에 내부 인서트 부재(66)를 수납하고 있는 외부 인서트 부재(67)와, 내부 인서트 부재(66)의 뒤쪽, 환언하면, 내부 인서트 부재(66)의 하측으로서 내부 인서트 부재(66)와 외부 인서트 부재(67)와의 사이에 배치된 살 두께 조정 스페이서(6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형(61)의 내부 인서트 부재(63)와 하형(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6)는 상하로 대향하고, 또한, 상형(61)의 외부 인서트 부재(64)와 하형(62)의 외부 인서트 부재(67)도 상하로 대향하고 있다. 상형(61)의 내외 인서트 부재(63, 64)에 의해서 상형(61)의 인서트(61A)가 형성되고, 하형(62)의 내외 인서트 부재(66, 67)에 의해서 하형(62)의 인서트(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하 1쌍의 인서트(61A, 62A)는 도 9에 나타낸 1차 사출 성형품(48)에 있어서의 2차 사출 성형품(48')과 동일한 수의 조(組) 수이고, 상형(61)과 하형(62)이 형 체결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의 각각의 조(組)에 있어서의 상하 1쌍의 인서트(61A, 62A) 사이에는 캐비티(69)가 형성되고, 이들 캐비티(69)는 렌즈부 성형부(69A)와, 손잡이부 성형부(69B), 및 지지부 성형부(69C)를 포함하고 있다.
렌즈부 성형부(69A)는 상하 형(61, 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3, 66) 끼리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손잡이부 성형부(69B)와 지지부 성형부(69C)는 상하 형(61, 62)의 외부 인서트 부재(64, 67) 끼리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형(62)의 외부 인서트 부재(67)에 있어서의 손잡이부 성형부(69B)와 대응하는 개소에는 인각(印刻) 마크 부재(70)가 배치되며, 캐비티(69)에의 용융 수지의 충전으로써 도 7의 렌즈부(48A), 손잡이부(48B), 지지부(48C)가 성형될 때, 이 인각 마크 부재(70)에 의해서 손잡이부(48B)에 상기 표시(49, 50)가 마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형(61, 62)의 외부 인서트 부재(64, 67)에는 오목부(64A, 67A)가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64A, 67A)에 의하여, 캐비티(69)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었을 때, 도 7, 도 8에서 도시되어 있는 렌즈부(48A)의 외주부에 홀더링 대신의 가장자리부(48D)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오목부(64A, 67A)의 사이가 캐비티(69)의 가장자리부 성형부(69D)로 되어 있다. 또한, 하형(62)의 외부 인서트 부재(67)에는 가장자리부(48D)에 도 7의 오목부에 의한 마크(53)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형(61)의 후방 인서트(65)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65A)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수나사부(65A)가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암나사 구멍으로 죄어 넣어짐으로써, 후방 인서트(65)와 내부 인서트 부재(63)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형(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6)는 외부 인서트 부재(67)에 볼트(71)로써 결합되어 있다.
캐비티(69)의 렌즈부 성형부(69A)에서 성형된 렌즈부(48A)는 한쪽 면이 구면에 의한 오목면으로 되어 있어서, 다른 쪽의 면이 비 구면에 의한 볼록면으로 된 메니스커스 렌즈이다. 상형(61)의 내부 인서트 부재(63)로써 형성되는 렌즈부(48A)의 오목면은 상기 가입도가 상이한 누진 다초점 렌즈에 대하여 동일한 곡면으로 되어 있으나, 하형(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6)로써 형성되는 렌즈부(48A)의 볼록면은 가입도가 상이한 누진 다초점 렌즈에 대하여 상이한 곡면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 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5종류의 누진 다초점 렌즈를 성형하기 위하여 5종류의 내부 인서트 부재(66)가 사용되며, 이들 내부 인서트 부재(66)를 외부 인서트 부재(67)에 수직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정확히 위치 결정 설치하기 위해서, 내부 인서트 부재(66)는 외부 인서트(67)에 도 13의 위치 결정 핀(pin)(72)으로써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형(61)은 형판(73)과 형판(74)과의 경계부 K-K에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형(61)과 하형(62)이 형 체결되어 있을 때, 형판(73)으로부터 하측의 부분에 대하여 형판(74)으로부터 상측의 부분은 압축 여유 분만큼 형 체결 실린더 및 다른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형(61)의 후방 인서트(65)와 내부 인서트 부재(63)는 도 1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형판(74)에 결합된 부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인서트(65)와 내부 인서트 부재(63)는 형판(74)과 일체로 되어 상하 이동한다.
상형(61)과 하형(62)이 형 체결되어 있을 때에 사출 압축성형 장치의 도 12에서 도시된 사출 노즐(80)에서 용융 수지가 사출되면, 용융 수지는 금형 장치의 내부의 스프루우(81), 러너(82), 또한 게이트(83)를 경유하여 각각의 캐비티(69)로 충전된다. 이 때에는 후방 인서트(65), 내부 인서트 부재(63)는 압축 여유 분 상승되어 있으며, 캐비티(69)에로의 용융 수지의 충전 후, 후방 인서트(65), 내부 인서트 부재(63)는 하강하고, 이것으로써, 상형(61), 하형(62)의 유체 유통 통로(84)로 통하는 온도 조절용 유체에 의해 서서히 냉각되어 고체화되는 용융 수지가 압축된다.
용융 수지의 고체화에 따라 도 9의 사출 성형품(48)이 성형된 후, 상형(61)과 하형(62)은 형 분할선(PL)으로부터 형 개방하여, 상형(61) 측에 부착되어 있는 사출 성형품(48)은 이젝팅 실린더(ejecting cylinder)의 막대(85)로써 밀려 내려지는 이젝팅 판(86)의 핀(87)에 의하여 밀려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금형 장치로부터 꺼내진 1차 사출 성형품(48)은 10개의 2차 사출 성형품(48')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2차 사출 성형품(48')은 렌즈부(48A)와, 손잡이부(48B)와, 지지부(48C)와, 가장자리부(48D)를 구비하고, 손잡이부(48B)과 지지부(48C)와 가장자리부(48D)는 렌즈부(48A)의 성형 시에 동시에 성형되어 있으며, 손잡이부(48B)에는 도 7의 표시(49, 50)가 마련되고, 가장자리부(48D)에는 마크(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비티(69)에 있어서 손잡이부(48B)를 성형하기 위한 손잡이부 성형부(69B)는 캐비티(69)에의 용융 수지의 유입부인 게이트(83)와, 캐비티(69)의 렌즈부 성형부(69A)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게이트(83)로부터 캐비티(69)로 향해서 용융 수지가 유입될 때, 용융 수지는 손잡이부 성형부(69B)를 경유하여 렌즈부 성형부(69A)에 충전되는 것으로 되어, 게이트(83)에 가까운 수지 부분에서는 용융 수지의 충전 시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나, 이 변형은 손잡이부 성형부(69B)에 충전된 수지 부분에서 발생하고, 렌즈부 성형부(69A)에 충전된 수지 부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고도의 렌즈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형(61)과 하형(62)에 배치되어서 1쌍을 이루는 상기 인서트(61A, 62A)는 내부 인서트 부재(63, 66)와 외부 인서트 부재(64, 67)로서 이루어지며, 내부 인서트 부재(63, 67)로써 렌즈부 성형부(69A)가 형성되고, 외부 인서트 부재(64, 67)로써 손잡이부 성형부(69B)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부(48A)의 종류나 그 도수, 두께 등이 상이하고, 또한, 렌즈부(48A)의 외부부에 이 렌즈부(48A)와 일체로 된 손잡이부(48B) 등을 구비한 복수 종류의 검안 렌즈를 생산할 때에는 내부 인서트 부재(63, 66) 만을 교환하면 되며, 외부 인서트 부재(64, 67)를 각종의 검안 렌즈에 대하여 공통화 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형(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6)의 뒤쪽에는 살 두께 조정 스페이서(6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8)의 일부분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캐비티(69)의 렌즈부 성형부(69A)에서 성형되는 누진 다초점 렌즈부(48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입도가 1.00 디옵터에서부터 3.00 디옵터까지 0.5 디옵터 피치로써 5종류가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실선(L)은 가입도 2.00 디옵터의 렌즈부(48A)의 볼록면 곡선이고, 2점 쇄선(M)은 가입도가 3.00 디옵터의 렌즈부(48A)의 볼록면 곡선이며, 2점 쇄선(N)은 가입도가 1.00 디옵터의 렌즈부(48A)의 볼록면 곡선이다.
이들 5종류의 렌즈부(48A)를 성형하기 위한 각각의 캐비티(69)의 용량(즉, 렌즈부의 체적)은 통상적인 렌즈 설계에 근거한 사양에서는 상위(相違)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캐비티(69)의 용량의 차(差)가 크면, 용융 수지의 충전량의 차가 크게 되어서, 각각의 캐비티에 있어서의 성형 조건에 편차가 발생하고, 그 결과, 성형되는 렌즈부(48A)의 광학적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설계 단계에 있어서, 중간의 가입도인 2.00 디옵터의 렌즈부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고, 이 체적에 일치하도록 다른 가입도의 렌즈부의 렌즈 두께를 변경하고 있다.
이것을 금형 장치 측에서 설명하면, 가입도의 종류와 동일한 5종류 두께의 살 두께 조정 스페이서(68)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중간의 두께를 갖는 살 두께조정 스페이서(68)의 그 두께 T를 1.00 디옵터로부터 3.00 디옵터까지의 가입도 중 중간의 가입도인 2.00 디옵터의 렌즈부(48A)의 두께로 설정하고, 그리고, 가입도가 2.00 디옵터보다도 큰 렌즈부(48a)의 스페이서 두께와, 가입도가 2.00 디옵터보다도 작은 렌즈부(48A)의 스페이서 두께를 두께 T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한다. 이것으로써 얻어진 5종류의 두께의 스페이서(68)를 각각의 가입도의 렌즈부(48A)를 성형하기 위한 내부 인서트 부재(66)의 뒤쪽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가입도가 상이한 5종류의 누진 다초점 렌즈부(48A)를 사출 압축 성형 장치의 금형 장치의 1쇼트로써 생산하도록 하여도, 각각의 캐비티(69)의 용량을 평균화할 수 있도록 되고, 이 때문에, 각각의 가입도의 렌즈부(48A) 성형 조건을 평균화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렌즈부(48)를 고도의 광학적 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소정대로의 두께로 된 렌즈부(48A)를 얻기 위해서는 하형(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6)에 대한 상형(61)의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렌즈부 성형면의 위치를 소정의 상하 방향 위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형(1)의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뒤쪽에 후방 인서트(65)를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길이 치수(S1)는 본래의 치수보다도 오차가 있으며, 또한, 후방 인서트(65)의 당초의 길이 치수는 본래의 치수보다도 조금 크게 되어 있다. 내부 인서트 부재(63)와 후방 인서트(65)를 상기 수나사부(65A)로써 결합시킨 후, 내부 인서트 부재(63)와 후방 인서트(65)와의 합계 길이(S2)에 의하여, 하형(62)의 내부 인서트 부재(66)에 대한 상형(61)의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렌즈부 성형면(63A)의 정확한 상하 방향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후방 인서트(65)의 상면(上面)을 절삭 가공하여, 후방 인서트(65)의 길이(S3)를 합계 길이(S2)를 얻게 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렌즈부 성형면(63A)의 정확한 상하 방향의 위치는 후방 인서트(65)의 길이로써 설정되는 것으로 되며, 내부 인서트 부재(63)는 렌즈부 성형면(63A) 만을 고정밀도로 사상(仕上)하면 되기 때문에,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생산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 인서트(65)의 길이가 S3으로 되었을 때, 후방 인서트(65)의 헤드부(65B)의 두께는 상기 형판(74)의 오목부(73A)의 깊이와 동일 하든가 이것보다도 다소 커지게 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써, 후방 인서트(65)가 형판(74)에 결합되어도, 내부 인서트 부재(63)의 렌즈부 성형면(63A)의 정확한 상하 방향의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압축 여유 분을 얻기 위한 형판(73)과 형판(74)의 분리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및 그 사출 성형품 및 그 성형용 금형 장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렌즈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하기 위하여 유용하다.

Claims (19)

  1.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경 시험틀에 상기 렌즈부를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홀더링(holder ring) 대신에 일체로 설치한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수평기준선을 나타내는 마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상기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갖는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는, 좌안용 렌즈와 우안용 렌즈에 상응해서 상기 렌즈부의 좌우 중심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쪽으로 벗어나서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부, 상기 손잡이부, 상기 가장자리부 및 상기 마크부는, 사출 압축 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때에 동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2.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코팅 처리액에 침지(浸漬)된 것에서 끌어올릴 때에 상기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코팅 처리액이 안내되어서 모아지는 액체 안내 수집부와, 상기 액체 안내 수집부가 제거된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안내 수집부와 손잡이부는 상기 렌즈부를 성형할 때에 동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성형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안내 수집부는 상기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성형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안내 수집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호 반대측의 외주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렌즈용 사출 성형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연결부로써 서로 연결된 복수 개(個)로 되어있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를 상기 코팅 처리액에 침지할 때에 지지구로써 지지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액체 안내 수집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반대측으로 된 각각의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
  6.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렌즈부를 성형할 때에 동시 성형되어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렌즈부를 코팅 처리액에 침지할 때에 하향으로 됨으로써, 상기 코팅 처리액으로부터 끌어올릴 때에 상기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코팅 처리액을 안내하여 모으는 액체 안내 수집부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상기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갖는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는, 원시용 부분 측과 근시용 부분 측 중에서, 원시용 부분 측의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상기 손잡이부와는 반대측의 외주부 위치에는, 상기 렌즈부를 상기 코팅 처리액에 침지할 때에 지지구로써 지지되는 지지부가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헝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성형할 때에 동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
  11. 형(型) 분할된 2개의 형(型)과, 상기 형들의 양쪽에 배치되어서 1쌍을 이루고, 상기 형들이 형 체결될 때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어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인서트(insert)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검안 렌즈의 렌즈부를 성형하는 렌즈부 성형부와, 상기렌즈부의 외주부에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성형하는 손잡이부 성형부를 포함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인서트는 복수 조(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조의 인서트 사이에서 성형되는 상기 렌즈부는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과, 상기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 부분을 갖는 누진 다초점 렌즈부이며, 상기 렌즈부에는 가입도(加入度)가 다른 것이 있고, 상호 대향하는 상기 1쌍의 인서트 중 한쪽의 인서트 뒤쪽에 살 두께 조정용 스페이서(spacer)가 배치되고, 상기 가입도가 다른렌즈부를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의 뒤쪽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두께를 다르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성형용 금형장치.
  12. 형(型) 분할된 2개의 형(型)과, 상기 형들의 양쪽에 배치되어서 1쌍을 이루고, 상기 형들이 형 체결될 때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어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인서트(insert)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검안 렌즈의 렌즈부를 성형하는 렌즈부 성헝부와, 상기렌즈부의 외주부에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성형하는 손잡이부 성형부를 포함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인서트 중 한쪽의 인서트 뒤쪽에는 후방 인서트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 인서트의 길이 치수에 의해 다른 쪽의 인서트에 대한 상기 한쪽의 인서트의 렌즈부 성형면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성형용 금형장치.
  13. 형(型) 분할된 2개의 형(型)과, 상기 형들의 양쪽에 배치되어서 1쌍을 이루고, 상기 형들의 형 체결될 때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어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인서트(insert)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검안 렌즈의 렌즈부를 성형하는 렌즈부 성형부와, 상기렌즈부의 외주부에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성형하는 손잡이부 성형부를 포함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 성형부는 상기 캐비티로의 용융 수지의 유입부인 게이트(gate)와, 상기 렌즈부 성헝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성형용 금형장치.
  14.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갖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에있어서,
    형(型) 분할된 2개의 형(型)에 상기 형들의 양쪽에 배치되어서 1쌍을 이루는 인서트를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1쌍의 인서트 중 한쪽의 인서트 뒤쪽에, 상기 2개의 형이 형 체결될 때의 다른 쪽의 인서트에 대한 상기 한쪽의 인서트의 렌즈부 성형면의 위치가 설정되는 길이 치수로 되어 있는 후방 인서트를 배치하고, 그 후에상기 2개의 형의 형 체결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1쌍의 인서트로 형성되는 캐비티에 충전된 용융 수지로 상기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의 제조 방법.
  15. 원시용 부분, 근시용 부분 및, 상기 원시용 부분과 근시용 부분 사이의 누진부분을 갖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에 상기 렌즈부를 안경 시험틀에 장전할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어서 가입도가 다른 복수의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설계할 때에 상기 가입도 중 소정의 가입도의 렌즈부의 체적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의 렌즈부의 체적이 평균화되도록 설계하고, 그 후에 사출 성형 장치의 2개의 형을 형 체결하여 상기 복수의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 성형품을성형하는 경우, 상기 형들 양쪽에 배치되어 1쌍을 이루는 인서트의 복수 조(組)로형성된 상기 렌즈부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의 용량을 상기 렌즈부의 체적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캐비티의 용융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복수의 플라스틱제 검안렌즈용 사출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용 사출성형품의 제조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오목부(凹部)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17. 제1항에 있어서, 메니스커스 렌즈로 이루어지는 상기 렌즈부의 블록면(凸面)은 비구면(非球面)의 누진면(累進面)이고, 오목면은 구면(球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18. 제17항에 있어서, 누진 다초점 렌즈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렌즈부의 가입도가다르더라도, 구면인 상기 오목면의 곡률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검안 렌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 측에서의 상기 렌즈부와 상기 가장자리부와의접속부는 홈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검안 렌즈.
KR10-1998-0706393A 1996-12-17 1997-12-12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77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6466 1996-12-17
JP33646696 199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49A KR19990082649A (ko) 1999-11-25
KR100477120B1 true KR100477120B1 (ko) 2005-08-04

Family

ID=182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7120B1 (ko) 1996-12-17 1997-12-12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270219B1 (ko)
EP (1) EP0972488B1 (ko)
JP (1) JP3153251B2 (ko)
KR (1) KR100477120B1 (ko)
DE (1) DE69738050T2 (ko)
WO (1) WO19980267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99B1 (ko) 2015-10-21 2016-02-24 최재권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8219B2 (en) * 2002-03-18 2006-10-10 Hoya Corporation Test tool for optometry
GB0312749D0 (en) * 2003-06-04 2003-07-09 Optime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rial lens
US8057217B2 (en) * 2004-09-30 2011-11-15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an intraocular lens device
TWI304372B (en) * 2004-12-03 2008-12-21 Hon Hai Prec Ind Co Ltd Stamper and mold for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CN100453294C (zh) * 2005-03-04 2009-0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具及其加工方法
JP4885475B2 (ja) * 2005-05-13 2012-02-29 東芝機械株式会社 ダイカストマシン等の型締装置及び同型締装置を備えた金型交換方法ならびに移動側ダイプレートの交換システム
US7763191B2 (en) * 2005-05-27 2010-07-27 Gentex Op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in-mold coining operation
US20070063386A1 (en) * 2005-09-01 2007-03-22 Seaver Richard T Mold tool having movable core
JP4979927B2 (ja) * 2005-11-25 2012-07-18 Hoya株式会社 摘み部付きプラスチック製検眼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7833442B2 (en) * 2005-12-21 2010-11-1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coating an ophthalmic lens with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0553924C (zh) * 2006-01-18 2009-10-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元件成型模具
JP4384259B2 (ja) 2007-07-23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保護膜付き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53466A1 (en) * 2007-12-14 2009-06-18 Patrick Tilley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crolling and Selection Activity
ITPD20080046A1 (it) * 2008-02-18 2009-08-19 Dale View Lic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occhiali per persone presbiti emmetropi, kit per l'attuazione di tale metodo ed occhiali cosi' ottenuti
CN101524879A (zh) * 2008-03-06 2009-09-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穴结构可抽换的模具单元
CN101544034A (zh) * 2008-03-28 2009-09-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具定位结构
CN101618589B (zh) * 2008-06-30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模具
US20100112355A1 (en) * 2008-11-06 2010-05-06 Cessna Aircraft Company Aircraft Transparency
JP5460104B2 (ja) * 2009-03-31 2014-04-02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検眼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109150A (en) * 2009-09-11 2011-03-16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Disk-shaped optical lens arr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753652B2 (ja) 2009-10-28 2015-07-22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射出圧縮成形装置
US20110159140A1 (en) * 2009-12-28 2011-06-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ld structure for injection molding
TWI483840B (zh) * 2012-03-22 2015-05-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lenses
DE102013010365A1 (de) * 2013-06-21 2014-12-24 Anke Knuth Probierbrille, Probieraufsatz, Probiersatz und Verfahren zum Einpassen von individuell angepassten Gleitsichtgläsern
NL2011765C2 (nl) * 2013-11-08 2015-05-19 Vitaplus Nederland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begrenzen van de hoeveelheid fluïdum.
FR3024026B1 (fr) * 2014-07-22 2019-08-23 Alexandre Gilbert Chouraki Systeme d'essai pour verres progressifs
EP3418042A1 (en) * 2017-06-19 2018-12-26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part and method of producing an optical part
US20190070807A1 (en) * 2017-09-01 2019-03-07 Thalmic Lab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 eyeglass lens
JP7015329B2 (ja) * 2018-02-09 2022-02-02 三井化学株式会社 検眼用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検眼用レンズセット
JP7154054B2 (ja) * 2018-07-23 2022-10-17 マクセル株式会社 浸漬用レンズ保持体、浸漬ユニット、膜付きレンズおよび成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850A (en) * 1977-01-25 1978-08-17 Pii Ueebaa Haaman Method and system of ejecting lens and lens blank
JPS6020201U (ja) * 1983-07-18 1985-02-12 平山 篤 検眼レンズ
JPH0422902A (ja) * 1990-05-18 1992-01-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ァブリ・ペローエタロンの製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4235A (en) * 1944-11-28 1947-07-22 Teksun Inc Injection mold
US3981564A (en) * 1972-02-08 1976-09-21 Gerald Hoos Lens selector
US4279401A (en) * 1980-05-30 1981-07-21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ast ophthalmic lenses
JPS6020201A (ja) 1983-07-15 1985-02-01 Hitachi Ltd 多重化励磁制御システムのパルスサプレス方式
US4540534A (en) * 1983-10-11 1985-09-10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lenses
JPS60150001A (ja) * 1984-01-17 1985-08-07 Asahi Glass Co Ltd 円形プラスチツクレンズのハ−ドコ−ト膜形成方法
US4664854A (en) 1986-01-06 1987-05-12 Neolens, Inc. Injection molding equipment and method
JPS63315216A (ja) 1987-06-18 1988-12-22 Ishida Koki Seisakusho:Kk レンズ製造方法
JPH02153709A (ja) 1988-12-05 1990-06-13 Asahi Opt:Kk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型
DE3929026A1 (de) 1989-09-01 1991-03-07 Bosch Gmbh Robert Ansteuerschaltung fuer eine getaktete last in einem fahrzeug
JPH03193332A (ja) 1989-12-22 1991-08-23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等の光学系と枠の一体成形方法、成形用金型および一体成形品
JP3109814B2 (ja) 1990-04-09 2000-11-2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
JP2522979Y2 (ja) * 1990-06-15 1997-01-22 ホーヤ株式会社 検眼レンズ
JPH04294117A (ja) * 1991-03-22 1992-10-19 Olympus Optical Co Ltd 厚肉レンズの成形金型とその成形方法
JPH0529717A (ja) 1991-06-21 1993-02-05 Fujitsu Ltd ヒートパイプを内蔵したプリント基板
JPH0529717U (ja) * 1991-09-27 1993-04-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レンズ成形用の型
US5480600A (en) 1993-03-24 1996-01-02 Inno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O1995019133A1 (en) * 1994-01-12 1995-07-20 Kelman Charles D Lens selection system
JPH07266391A (ja) 1994-03-28 1995-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5512221A (en) * 1994-12-22 1996-04-30 Galic Maus Ventures Lens thicknes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in a thermoplastic injection mold for ophthalmic finished spectacle lenses
JP3688001B2 (ja) 1995-02-17 2005-08-24 Hoya株式会社 マルチフォーカルコンタクトレンズ
JPH08309873A (ja) 1995-05-17 1996-11-26 Canon Inc 樹脂成形光学部品およびその成形金型
JP3193332B2 (ja) 1997-10-24 2001-07-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薄膜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
JP3109814U (ja) 2005-01-04 2005-06-02 充紀 青柳 位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850A (en) * 1977-01-25 1978-08-17 Pii Ueebaa Haaman Method and system of ejecting lens and lens blank
JPS6020201U (ja) * 1983-07-18 1985-02-12 平山 篤 検眼レンズ
JPH0422902A (ja) * 1990-05-18 1992-01-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ァブリ・ペローエタロンの製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99B1 (ko) 2015-10-21 2016-02-24 최재권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49A (ko) 1999-11-25
WO1998026707A1 (fr) 1998-06-25
JP3153251B2 (ja) 2001-04-03
EP0972488A1 (en) 2000-01-19
DE69738050D1 (de) 2007-10-04
US6270219B1 (en) 2001-08-07
EP0972488A4 (en) 2006-02-01
EP0972488B1 (en) 2007-08-22
DE69738050T2 (de) 2008-05-15
US6499986B1 (en)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120B1 (ko)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JP3096066B2 (ja) 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ズ成形用射出成形型およびレンズ成形品
JP3264615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射出成形方法
EP0769999B1 (en) Lens thickness adjustment in plastic injection mold
US5368790A (en) Method for making lenses
EP1248702B1 (en) Method for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KR20080046178A (ko)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MX2007007852A (es) Montaje de herramienta optica para formacion mejorada de borde lentes y pared de cilindro derecho (pcd).
CN101094755A (zh) 用于快速更换工具的非光学多件式型芯组件
KR20030046438A (ko) 열가소성수지 렌즈의 성형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되어고곡률 및/또는 얇은 두께를 갖는 렌즈
EP0955147B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plastic lens
EP0377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optical molds
CN209552371U (zh) 一种避免成型脱模时变形的光学镜片模具脱模结构
JPH0544893B2 (ko)
CN109664476A (zh) 一种避免成型脱模时变形的光学镜片模具脱模结构
JP4763350B2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953351B2 (ja) プラスチック製検眼用累進多焦点レンズ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WO2007126316A1 (en) Method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n opthalmic lens
US6451227B1 (en) Method for making eye glass lenses and preforms for use therein
US1120785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ric contact lenses
JP2002160274A (ja)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レンズの射出成形方法
CN117227043A (zh) 人工晶状体加工模具
HK1050507B (en) Method for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30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