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907B1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6907B1 KR100476907B1 KR10-2003-0065993A KR20030065993A KR100476907B1 KR 100476907 B1 KR100476907 B1 KR 100476907B1 KR 20030065993 A KR20030065993 A KR 20030065993A KR 100476907 B1 KR100476907 B1 KR 1004769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pulsion
- pipe
- soil
- excavation
- grav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70708 Testudin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919 seques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6 hydr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8—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 E21D9/087—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21—Shield advanc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1—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에 있어서,제1공정(제1추진공정)토양(I)에 내부 최전방에 형성된 커터헤드부(K)와,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이동회전삽부(L)의 후방에 형성된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가 내장된 추진선도관(F)을 설치하고,상기 추진선도관(F)의 후면에 내부에 중압잭 및 2번관 철판보강부(N) 및 토사배출장치부(O)가 내장된 추진관(G)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추진관(G)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추진관(G)의 하부면의 레일(26)의 상부에 형성된 추진보조관(25)을 밀착시킨 다음, 유압유니트(27)와 유압유니트(27)에 연결된 유압잭(23)을 작동시켜, 실린더(24)에 의해 밀대(추진보조관)(25)에 강압이 전달되어 전방에 있는 추진관(G) 및 추진선도관(F)을 전방으로 약간 추진시킨 다음,제2공정(굴착공정)추진선도관(F)의 상부에 일측에 설치된 조명등 및 패쇄회로카메라(41)에 의해 지상부에서 모니터 및 조정장치(30)를 통하여 추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커터헤드부(K)에 의해 굴착하고,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배출장치부(O)에 의해 굴착된 토사를 제거하여 굴착하는 것으로서,유압구동기(13)의 전면에 연결된 로드(7)의 끝단에 설치된 굴착헤드(2)를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세팅한 후에, 상기 로드(7)의 일측에 설치된 가변식커터헤드지지대 길이조절장치(8)를 전후진시키면, 상기 가변식커터헤드지지대길이조절장치 (8)에 일측이 부착된 가변식카터지지대(5)가 동시에 전후진하면서, 상기 가변식카터지지대(5)의 다른 일측에 부착된 가변식커터(3)가 부착된 스포크형의 3개의 가변식헤드(4)의 각도(반경)를 조절한 다음,지상의 에어콤퓨레서(미도시)와 고압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고압에어를 고압공기이송관(69)을 통해 공급하고, 고압수를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을 통해 공급한 후에,유압구동기(13)를 작동시키면, 로드(7)가 회전됨과 동시에 로드(7)의 전면 끝에 형성된 굴착헤드(2)와, 상기 굴착헤드(2)의 전면에 설치된 굴착비트(1)의 분당 5~10회전에 의해 토사를 굴착하고,이때, 로드(6)내의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을 통해 굴착비트(1)의 굴착작업시 냉각수를 살포하고, 굴착된 토사가 추진선도관(F)의 내로 쌓이면,제3공정(토사처리공정)상기 로드(7)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9)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토사를 이동시키면, 상기 추진선도관(F)의 중간일측 하부에서부터 추진관(G)의 전면 일측까지 상부로 경사져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의 상부에 토사가 위치되며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에 의해 이동되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의 후면에 설치된 토사배출신축콘베어벨트(52)에 위치되어 이동된 토사를 후방으로 배출시킨 후에,제4공정(제2추진공정)상기와 같이 굴착된 지반에 틈새가 생성되면, 지상의 유압유니트(27)를 작동시켜 유압을 유압호스(31)를 통해 선도중압잭(20)을 작동시켜 제2추진하는 것으로서,추진선도관(F)의 후미 내부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추진선도관지지벽(17)과, 상기 추진선도관지지벽(17)의 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상하좌우에 위치된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를 각각 작동시켜 지반의 사정에 따라 상하 좌우로 방향을 수정하면서, 추진선도관(F)을 2차 전진시킨 후에, 제2공정으로 돌아가 제2공정과 같은 작동을 반복하여 굴착한 다음에,제4공정인 제2추진공정으로 더 이상 굴착헤드를 굴착하고자 하는 토사에 밀착시키기 어려우므로, 제1공정으로 돌아가 추진선도관(F) 및 추진관(G)을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강관을 추진하여 굴착헤드(2)를 위치시켜 상기공정을 반복하여 굴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KY-12추진공법).
- 삭제
- 삭제
- 추진관경 800~1800mm, 추진거리 40m이상에 적용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에 있어서,제1공정(제1추진공정)토양(I)에 내부 최전방에 형성된 커터헤드부(K)와,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이동회전삽부(L)의 후방에 형성된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가 내장된 추진선도관(F)을 설치하고,상기 추진선도관(F)의 후면에 내부에 중압잭 및 2번관 철강보강부(N) 및 토사배출장치부(O)가 내장된 추진관(G)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추진관(G)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추진관(G)의 하부면의 레일(26)의 상부에 형성된 추진보조관(25)을 밀착시킨 다음, 유압유니트(27)와 유압유니트(27)에 연결된 유압잭(23)을 작동시켜, 실린더(24)에 의해 밀대(추진보조관)(25)에 강압이 전달되어 전방에 있는 추진관(G) 및 추진선도관(F)을 전방으로 약간 추진시킨 다음,제2공정(굴착공정)추진선도관(F)의 상부에 일측에 설치된 조명등 및 패쇄회로카메라(41)에 의해 지상부에서 모니터 및 조정장치(30)를 통하여 추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커터헤드부(K)에 의해 굴착하고,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배출장치부(O)에 의해 굴착된 토사를 제거하여 굴착하는 것으로서,유압구동기(13)의 전면에 연결된 로드(7)의 끝단에 설치된 굴착헤드(2)를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세팅하고, 상기 굴착헤드(2)의 일측에 설치된 스포크형의 3개의 가변식헤드(4)의 각도를 로드(7)의 중간 일측에 설치된 가변식커터헤드지지대 길이조절장치(8)로 조절한 다음,지상의 에어콤퓨레서(미도시)와 고압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고압에어를 고압공기이송관(69)을 통해 공급하고, 고압수를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을 통해 공급한 후에, 유압구동기(13)를 작동시키면, 로드(7)가 회전됨과 동시에 로드(7)의 전면 끝에 형성된 굴착헤드(2)와, 상기 굴착헤드(2)의 전면에 설치된 굴착비트(1)의 분당 5~10회전에 의해 토사를 굴착하고,이때, 로드(6)내의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을 통해 굴착비트(1)의 굴착작업시 냉각수를 살포하고, 굴착된 토사가 추진선도관(F)의 내로 쌓이면,제3공정(토사처리공정)상기 로드(7)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9)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토사를 이동시키면, 상기 추진선도관(F)의 중간일측 하부에서부터 추진관(G)의 전면 일측까지 상부로 경사져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의 상부에 토사가 위치되며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이동된 토사를 자갈을 분리하는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이 진동기(64)의 작동에 의해 진동되어 토사와 물은 하강하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 (63)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에 수집되고, 자갈은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의 경사도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다가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 (63)의 후면에 설치된 자갈이동수레(73)에 수집되어 자갈이동수레(73)를 이동시켜 자갈을 제거하고,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에 수집된 토사와 물은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스크류펌프 형태인 소용량의 토사이송용모노펌프(67)에 의해 토사배출파이프(68)를 통해 토사분리 및 용수재순환장치(Q)로 이송되며, (이때, 토사배출파이프(68)의 일측에 설치된 고압공기이송관(69)에 의해 지상의 콤퓨레샤(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고압공기를 불어넣어 토사의 이동을 원할히 하였다.)토사배출파이프(68)를 통해 유입된 토사와 물은 바닥에 여과망(86)으로 형성된 토사운반박스(80)로 수집되어 물은 여과망(86)을 통해 하부의 재순환용수저장박스(83)에 수집되어 재순환용수저장박스(83)에 위치된 수중펌프(84)에 의해 재순환수관(85)을 통해 재사용하며,상기 토사운반박스(80)에 수집된 토사는 토사운반박스(80)의 상부에 형성된 토사운반후크(82)에 의해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반출하여 처리한 다음,제4공정(제2추진공정)상기와 같이 굴착된 지반에 틈새가 생성되면, 지상의 유압유니트(27)를 작동시켜 유압을 유압호스(31)를 통해 선도중압잭(20)을 작동시켜 제2추진하는 것으로서,추진선도관(F)의 후미 내부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추진선도관지지벽(17)과, 상기 추진선도관지지벽(17)의 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상하좌우에 위치된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를 각각 작동시켜 지반의 사정에 따라 상하 좌우로 방향을 수정하면서, 추진선도관(F)을 2차 전진시킨 후에, 제2공정으로 돌아가 제2공정과 같은 작동을 반복시켜 굴착한 다음에,제4공정인 제2추진공정으로 더 이상 굴착헤드를 굴착하고자 하는 토사에 밀착시키기 어려우므로, 제1공정으로 돌아가 추진선도관(F) 및 추진관(G)을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강관을 추진하여 굴착헤드(2)를 위치시켜 상기공정을 반복하여 굴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KY-12추진공법).
- 추진관경 1900~3400mm, 추진거리 40m이상에 적용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에 있어서,제1공정(제1추진공정)토양(I)에 내부 최전방에 형성된 커터헤드부(K)와,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이동회전삽부(L)의 후방에 형성된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가 내장된 추진선도관(F)을 설치하고,상기 추진선도관(F)의 후면에 내부에 중압잭 및 2번관 철강보강부(N) 및 토사배출장치부(O)가 내장된 추진관(G)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추진관(G)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추진관(G)의 하부면의 레일(26)의 상부에 형성된 추진보조관(25)을 밀착시킨 다음, 유압유니트(27)와 유압유니트(27)에 연결된 유압잭(23)을 작동시켜, 실린더(24)에 의해 밀대(추진보조관)(25)에 강압이 전달되어 전방에 있는 추진관(G) 및 추진선도관(F)을 전방으로 약간 추진시킨 다음,제2공정(굴착공정)추진선도관(F)의 상부에 일측에 설치된 조명등 및 패쇄회로카메라(41)에 의해 지상부에서 모니터 및 조정장치(30)를 통하여 추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커터헤드부(K)에 의해 굴착하고,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배출장치부(O)에 의해 굴착된 토사를 제거하여 굴착하는 것으로서,유압구동기(13)의 전면에 연결된 로드(7)의 끝단에 설치된 굴착헤드(2)를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세팅하고, 상기 굴착헤드(2)의 일측에 설치된 스포크형의 3개의 가변식헤드(4)의 각도를 로드(7)의 중간 일측에 설치된 가변식커터헤드지지대 길이조절장치(8)로 조절한 다음,지상의 에어콤퓨레서(미도시)와 고압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고압에어를 고압공기이송관(69)을 통해 공급하고, 고압수를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을 통해 공급한 후에,유압구동기(13)를 작동시키면, 로드(7)가 회전됨과 동시에 로드(7)의 전면 끝에 형성된 굴착헤드(2)와, 상기 굴착헤드(2)의 전면에 설치된 굴착비트(1)의 분당 5~10회전에 의해 토사를 굴착하고, 이때, 로드(6)내의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 (11)을 통해 굴착비트(1)의 굴착작업시 냉각수를 살포하고, 굴착된 토사가 추진선도관(F)의 내로 쌓이면,제3공정(토사처리공정)상기 로드(7)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9)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토사를 이동시키면, 상기 추진선도관(F)의 중간일측 하부에서부터 추진관(G)의 전면 일측까지 상부로 경사져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의 상부에 토사가 위치되며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이동된 토사를 자갈을 분리하는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이 진동기(64)의 작동에 의해 진동되어 토사와 물은 하강하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 (63)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에 수집되고, 자갈은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의 경사도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다가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 (63)의 후면에 설치된 자갈이동수레(73)에 수집되어 자갈이동수레(73)를 이동시켜 자갈을 제거하고,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에 수집된 토사와 물은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대용량의 모래 펌프(Sand Pump)(66)에 의해 토사배출파이프(68)를 통해 토사분리 및 용수재순환장치(Q)로 이송되며, (이때, 토사배출파이프(68)의 일측에 설치된 고압공기이송관(69)에 의해 지상의 콤퓨레샤(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고압공기를 불어넣어 토사의 이동을 원할히 하였다.)토사배출파이프(68)를 통해 유입된 토사와 물은 바닥에 여과망(86)으로 형성된 토사운반박스(80)로 수집되어 물은 여과망(86)을 통해 하부의 재순환용수저장박스(83)에 수집되어 재순환용수저장박스(83)에 위치된 수중펌프(84)에 의해 재순환수관(85)을 통해 재사용하며,상기 토사운반박스(80)에 수집된 토사는 토사운반박스(80)의 상부에 형성된 토사운반후크(82)에 의해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반출하여 처리한 다음,제4공정(제2추진공정)상기와 같이 굴착된 지반에 틈새가 생성되면, 지상의 유압유니트(27)를 작동시켜 유압을 유압호스(31)를 통해 선도중압잭(20)을 작동시켜 제2추진하는 것으로서,추진선도관(F)의 후미 내부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추진선도관지지벽(17)과, 상기 추진선도관지지벽(17)의 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상하좌우에 위치된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를 각각 작동시켜 지반의 사정에 따라 상하 좌우로 방향을 수정하면서, 추진선도관(F)을 2차 전진시킨 후에, 제2공정으로 돌아가 제2공정과 같은 작동을 반복시켜 굴착한 다음에,제4공정인 제2추진공정으로 더 이상 굴착헤드를 굴착하고자 하는 토사에 밀착시키기 어려우므로, 제1공정으로 돌아가 추진선도관(F) 및 추진관(G)을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강관을 추진하여 굴착헤드(2)를 위치시켜 상기공정을 반복하여 굴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KY-12추진공법).
- 삭제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에 있어서,도로(H)하부의 기반(토양)(I)에 강관을 압입하기 위하여, 최전방에 형성된 추진선도관(F)과, 상기 추진선도관(F)의 후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추진선도관을 추진시키는 추진관(G)과 ,상기 추진관(G)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들을 앞으로 강압에 의해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장치(E)와 상기 전진장치(E)의 하부에 설치된 토사분리 및 용수재순환장치부(Q Zone)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추진선도관(F)의 내부 최전방에 형성된 커터헤드부(K)와, 상기 커터헤드부(K)의 후방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토사이동회전삽부(L)의 후방에 형성된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가 내장되어 있으며,상기 추진관(G)의 내부에는 중압잭 및 2번관 철강보강부(N) 및 토사배출장치부(O)가 내장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추진관(G)의 전면에 설치된 추진선도관(F)은 내부 테두리의 최전면에 위치되어 자갈 또는 토사를 격리하는 토사격리 및 유도벽(100)이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추진선도관(F)의 내부에 형성된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와, 상기 유압구동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의 전면에 형성된 로드(7)에 형성된 토사이동회전삽부(L)와, 상기 로드(7)의 최전면에 형성되어 토사를 굴착하는 커터헤드부(K)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최전면에 형성된 커터헤드부(K)는 후방의 유압구동기(13)에 연결된 로드(7)의 최전방에 형성된 굴착헤드(2)와, 상기 굴착헤드(2)의 전면에 다수개 형성된 굴착비트(1)와, 상기 로드(7)의 내부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며 공급되는 냉각수를 굴착비트(1)에 공급하는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과, 상기 굴축헤드(2)의 후면에 스포크형으로 3방향으로 연장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3개의 가변식헤드(4)와, 상기 3개의 가변식헤드(4)의 전면에 다수개 형성된 가변식커터(3)와, 상기 가변식헤드(4)의 후면 중간 일측과 로드(7)에 형성된 가변식커터헤드지지대 길이조절장치(8)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식커터(3)를 지지하는 가변식카터지지대(5)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드(7)의 중간 일측에 형성된 가변식커터헤드지지대제2길이조절장치(8)는 로드(7)의 중간에 고정된 고정크랭크(8-1)와, 상기 고정크랭크(8-1)에 일측에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볼트(8-3)와, 상기 고정볼트(8-33)의 다른일측에 형성된 가변크랭크(8-2)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토사이동회전삽부(L)는 로드(7)의 후면 일측에 하부가 후면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날개 형상된 토사이동회전삽(9)과, 상기 토사이동회전삽(9)의 상하 중간부에 토사이동회전삽(9)의 길이를 조절하는 토사이동회전삽길이조정장치(10)와, 상부에 형성된 조명등 및 패쇄회로카메라(41) 및 패쇄회로지지대(4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압구동기 및 지지용 수동유압잭부(M)는 추진선도관(F)의 후면일측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구동기(13)와, 상기 유압구동기(13)의 전면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로드(7)와, 상기 유압구동기(13)의 전면에 형성되며 로드(7)내에 관통된 굴착비트냉각수공급관(11)에 연결된 냉각수유입구(12)와, 상기 유압구동기(1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구동기(13)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유압구동기지지수동유압잭(14)과, 상기 유압구동기(13)의 후방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구동기(13)를 추진선도관 지지벽에 밀착시키는 다수개의 추진선도관 지지벽 밀착용 수동유압잭(15)과, 상기 추진선도관지지벽밀착용유압잭(15)의 말단 끝에 형성된 유압구동기지지받침대(16)와, 유압구동기지지받침대(16)의 후면에 형성되며 추진선도관(F)의 후미 내측테두리에 설치된 추진선도관지지벽(17)과, 상기 유압구동기(13)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압잭 및 2번관 철판보강부(N)는 추진선도관(F)과 추진관(G)사이에 설치되며, 추진선도관(F)의 후미 내부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추진선도관지지벽(17)과, 상기 추진선도관지지벽(17)의 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와, 상기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과 그 실린더(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잭의 실린더를 지지하여 추진선도관(F)을 전진시키며 추진관(G)의 최전면에 설치된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 반발벽(19)과, 추진선도관(F)의 후미와 추진관(G)의 전면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53)과, 상기 선도중압잭 및 방향수정용 유압잭반발벽(19)의 후미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리벳(47) 으로 이음된 철판보강층(45)과, 상기 철판보강층(45)의 후미에 형성된 삼각지지벽(46)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사배출장치(O)는 추진관경 800~3,400mm이며 추진거리 40미터 이내에 사용되며, 추진관(G)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추진선도관(F)의 중간일측하부에서부터 추진관(G)의 중간 일측까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를 구동시키는 콘베어벨트구동장치(51)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1)의 후방에 하부에 설치된 콘베어벨트하부바퀴(50-1)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이동된 토사를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토사배출신축콘베어벨트(52)와, 상기 토사배출용신축콘베어벨트(52)를 구동시키는 콘베어벨트구동장치(51-1)와, 상기 토사베출용신축콘베아벨트(52)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 및 이동바퀴(53)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토사배출장치(O)는 추진관경 800~1800mm, 추진거리 40미터 이상되는 곳에 사용되며, 추진관(G)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추진선도관(F)의 중간일측하부에서부터 추진관(G)의 중간 일측까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를 구동시키는 콘베어벨트구동장치(51)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1)의 후방하부에 설치된 콘베어벨트하부바퀴 (50-1)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이동된 토사를 자갈을 분리하는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과,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진동기(64)와,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4)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와,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소용량의 토사이송용모노펌프(67)와, 상기 소용량의 토사이송용모노펌프(67)와 연결된 토사배출파이프(68)와, 상기 토사배출파이프(68)의 중간 일측에 설치된 고압공기이송관(69)과,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의 후면에 설치되어 분리된 자갈을 수집하는 자갈이동수레(73)와, 상기 자갈이동수레(73)의 하부에 형성된 자갈이동수레바퀴(74)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토사배출장치(O)는 추진관경 1900~3400mm, 추진거리 40미터 이상되는 곳에 사용되며, 추진관(G)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추진선도관(F)의 중간일측하부에서부터 추진관(G)의 중간 일측까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사콘베어벨트(50)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를 구동시키는 콘베어벨트구동장치(51)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1)의 후방하부에 설치된 콘베어벨트하부바퀴 (50-1)와, 상기 토사콘베어벨트(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이동된 토사를 자갈을 분리하는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과,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진동기(64)와,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4)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와,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 및 물교반박스바퀴(72)와, 상기 토사 및 물교반박스(6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대용량의 모래 펌프(Sand Pump)(66)와, 상기 대용량의 모래 펌프(Sand Pump)(66)와 연결된 토사배출파이프(68)와, 상기 토사배출파이프(68)의 중간 일측에 설치된 고압공기이송관(69)과, 상기 자갈토사분리진동스크린(63)의 후면에 설치되어 분리된 자갈을 수집하는 자갈이동수레(73)와, 상기 자갈이동수레(73)의 하부에 형성된 자갈이동수레바퀴(74)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사분리 및 용수 재순환장치(Q)는 전진장치(E)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토사배출장치(O)의 토사배출파이프(68)의 말단 끝에 형성된 토사운반박스(80)와, 상기 토사운반박스(80)의 바닥를 형성하는 여과망(86)과, 상기 토사운반박스(80)의 하부에 형성된 재순환용수저장박스(83)와, 상기 재순환용수저장박스(83)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수중펌프(84)와, 상기 수중펌프(84)와 연결된 재순환수관(85)과, 상기 토사운반박스(80)의 양단 끝에 형성된 토사운반후크구정구(81)와, 상기 토사운반후크구정구(81)에 연결되는 토사운반후크(8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장치(KY-12추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5993A KR100476907B1 (ko) | 2003-09-23 | 2003-09-23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5993A KR100476907B1 (ko) | 2003-09-23 | 2003-09-23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1261A KR20030081261A (ko) | 2003-10-17 |
KR100476907B1 true KR100476907B1 (ko) | 2005-03-18 |
Family
ID=3238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59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6907B1 (ko) | 2003-09-23 | 2003-09-23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690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189B1 (ko) | 2018-07-26 | 2019-10-01 | 주식회사 진평 | 소구경 추진공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942B1 (ko) * | 2006-11-13 | 2007-05-16 | 이창원 | 연약지반 강관 압입용 터널굴착기 및 굴착시공 방법 |
KR100869932B1 (ko) * | 2007-02-05 | 2008-11-24 | 건양씨엔이 (주) | 가변식 워터제트 마이크로 쉴드 추진장치와 그를 이용한관로추진공법 |
KR100988205B1 (ko) * | 2010-03-11 | 2010-10-18 | 박기운 | 암거박스를 이용한 선단 추진 장치 |
-
2003
- 2003-09-23 KR KR10-2003-0065993A patent/KR10047690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189B1 (ko) | 2018-07-26 | 2019-10-01 | 주식회사 진평 | 소구경 추진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1261A (ko) | 2003-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4278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 |
US5765965A (en) | Apparatus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 |
US692933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ining hydrocarbon-containing materials | |
US595762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 |
CN108386608A (zh) | 小管径塑料排水管顶管机具及塑料排水管顶管施工方法 | |
KR100869932B1 (ko) | 가변식 워터제트 마이크로 쉴드 추진장치와 그를 이용한관로추진공법 | |
US9039330B1 (en) | Pipe boring shield | |
KR20040096473A (ko) |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 |
US8608410B2 (en) |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curved multisectional wall and stratum | |
KR100476907B1 (ko) | 가변식 보링 머신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
KR100831404B1 (ko) | 소구경 관로 굴착용 굴진장치 | |
JP4625815B2 (ja) | 地下構造物の非開削構築工法 | |
CN109441355A (zh) | 粉土或沙层管井高压水冲快速成孔施工方法 | |
KR100457905B1 (ko) | 대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 및 그 장치 | |
KR100538400B1 (ko) | 중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 및 그 장치 | |
KR102045174B1 (ko) |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 |
KR100758502B1 (ko) |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0457906B1 (ko) | 중소구경 강관압입 추진 공법 및 그 장치 | |
KR101237749B1 (ko) | 쉴드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장치의 헤드 | |
JP3931123B2 (ja) | 地下構造物の非開削構築工法 | |
JP3604209B2 (ja) | トンネル内における配管施工法 | |
KR100476906B1 (ko) | 대수층 유동사 지반 강관압입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
KR100632971B1 (ko) | 자주식 선단부 추진형 장거리 흄관 추진공법 및 그 장치 | |
KR102695990B1 (ko) | 추진관 추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진관 지오공법 | |
KR102755909B1 (ko) | 지중 압입월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직구 굴착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추진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3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