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5972B1 -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972B1
KR100475972B1 KR10-2002-0065049A KR20020065049A KR100475972B1 KR 100475972 B1 KR100475972 B1 KR 100475972B1 KR 20020065049 A KR20020065049 A KR 20020065049A KR 100475972 B1 KR100475972 B1 KR 10047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liquid
heat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temperature re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006A (ko
Inventor
야마자끼시구마
에노모또에이이찌
후루까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구우쵸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구우쵸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3/00Details of 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F25B2333/003Details of boilers; Analysers; Rectifiers the generator or boiler is heated by combustion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배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기구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 및 제2 열회수기(23, 24)를 설치하는 동시에, 저온 열교환기(9)를 나온 희박 흡수액이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여 유동되는 흡수액 측로관(11B)을 설치하고, 이 흡수액 측로관(11B)에 유량 제어 밸브(25)를 설치하고, 또한 온도 센서(26)가 배가스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온도(예컨대 100 ℃)를 계속해서 검출하도록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7)를 설치하도록 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ABSORPTION REFRIGERATOR}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재생기(1)의 희박 흡수액을 가열 비등시키는 가스 버너(2)로부터 배출되는 배(排)가스를, 저온 열교환기(9)와 고온 열교환기(10)의 사이에 설치한 열회수기(24X)로 이송하고, 흡수기(7)로부터 고온 재생기(1)로 이송되고 있는 희박 흡수액의 온도를 상승시켜, 가스 버너(2)에 의해 필요한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연료의 소비량을 삭감하도록 고안한 흡수식 냉동기가, 예컨대 특허 공고 평6-63672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저온 재생기로부터 이송되고 있는 농축 흡수액과 저온 열교환기에서 열교환하여 온도가 70 ℃ 정도까지 밖에 상승되지 않은 희박 흡수액과 배가스가 열교환하고, 배가스의 온도는 80 ℃정도까지 저하하고,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저류되고, 열교환기와 배기관을 부식하는 일이 있어서, 이들의 부품에 내식성이 우수한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소 장치에서 가열 비등시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희박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중간 흡수액을 얻는 고온 재생기와, 이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중간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한 냉매 증기로 가열하여 한층 더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중간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농축 흡수액을 얻는 저온 재생기와, 이 저온 재생기에서 중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응축한 냉매액이 공급되는 동시에 저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냉매액을 얻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액이 전열관 위에 산포되고 전열관 내를 유동하는 유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저온 재생기로부터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공급되는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켜 희박 흡수액으로 하고 고온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기와, 이 흡수기에 출입하는 희박 흡수액과 농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저온 열교환기와, 고온 재생기에 출입하는 중간 흡수액과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고온 열교환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연소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와 고온 열교환기를 통과한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제1 열회수기와, 이 제1 열회수기를 통과한 배가스와 저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고온 열교환기로 들어가기 전의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제2 열회수기와, 이 제2 열회수기를 우회하는 배가스관 또는 흡수액관에 설치된 밸브와, 이 밸브의 개폐를 배가스의 온도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제1 구성의 흡수식 냉동기와,
연소 장치에서 가열 비등시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희박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중간 흡수액을 얻는 고온 재생기와, 이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중간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한 냉매 증기로 가열하여 한층 더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중간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농축 흡수액을 얻는 저온 재생기와, 이 저온 재생기에서 중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응축한 냉매액이 공급되는 동시에 저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냉매액을 얻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액이 전열관 위에 산포되고 전열관 내를 유동하는 유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저온 재생기로부터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공급되는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켜 희박 흡수액으로 하고 고온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기와, 이 흡수기에 출입하는 희박 흡수액과 농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저온 열교환기와, 고온 재생기에 출입하는 중간 흡수액과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고온 열교환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연소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와 고온 열교환기를 통과한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제1 열회수기와, 이 제1 열회수기를 통과한 배가스와 저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고온 열교환기로 들어가기 전의 희박 흡수액이 복수의 유로로 분기하여 열교환하는 제2 열회수기와, 복수의 유로의 적어도 1 개 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이 밸브의 개폐를 배가스의 온도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제2 구성의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물을 냉매로 하고, 브롬화 리튬(LiBr)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한 흡수식 냉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를 도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도면 부호 1은, 예컨대 도시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버너(2)의 화력에 의해 흡수액을 가열하여 냉매를 증발 분리하도록 구성된 고온 재생기, 도면 부호 3은 저온 재생기, 도면 부호 4는 응축기, 도면 부호 5는 저온 재생기(3)와 응축기(4)가 수납되어 있는 고온 본체, 도면 부호 6은 증발기, 도면 부호 7은 흡수기, 도면 부호 8은 증발기(6)와 흡수기(7)가 수납되어 있는 저온 본체, 도면 부호 9는 저온 열교환기, 도면 부호 10은 고온 열교환기, 도면 부호 11 내지 13은 흡수액관, 도면 부호 14는 흡수액 펌프, 도면 부호 15 내지 18은 냉매관, 도면 부호 19는 냉매 펌프, 도면 부호 20은 냉수관, 도면 부호 21은 냉각수관, 도면 부호 22는 가스 버너(2)로부터 나온 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관, 도면 부호 23은 제1 열회수기, 도면 부호 24는 제2 열회수기, 도면 부호 25는 유량 제어 밸브, 도면 부호 26은 배기관(22)의 하류부를 유동하고 있는 배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도면 부호 27은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온도, 예컨대 100 ℃를 계속하여 검출하도록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이다.
또한, 흡수기(7)로부터 고온 재생기(1)에 희박 흡수액을 반송하기 위한 흡수액관(11)은 상류 부분에 흡수액 펌프를 구비하고, 저온 열교환기(9)와 고온 열교환기(10)의 사이의 일부분에서는 분기하고, 분기한 한편의 흡수액관은 제2 열회수기(24)를 경유하고,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고 있는 다른 쪽 흡수액관의 도중에는 유량 제어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제2 열회수기(24)를 경유하고 있는 흡수액관을 흡수액 열교환관(11A),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고 있는 흡수액관을 흡수액 측로관(11B)라 한다.
상기 구성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가스 버너(2)에서 도시 가스를 연소하여 고온 재생기(1)에서 희박 흡수액을 가열 비등시키면, 희박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한 냉매 증기와,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흡수액의 농도가 높아진 중간 흡수액이 얻어진다.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된 고온의 냉매 증기는, 냉매관(15)을 통해 저온 재생기(3)로 들어가고,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되어 흡수액관(12)에 의해 고온 열교환기(10)를 경유하여 저온 재생기(3)로 들어간 중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방열 응축하고, 응축기(4)로 들어간다.
또한, 저온 재생기(3)에서 가열되어 중간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한 냉매는 응축기(4)에 들어가고, 냉각수관(21) 내를 유동하는 물과 열교환하여 응축액화하고, 냉매관(16)으로부터 응축하여 공급된 냉매와 함께 냉매관(17)을 통해 증발기(6)로 들어간다.
증발기(6)에 들어가서 냉매액 저류부에 고인 냉매액은, 냉수관(20)에 접속된 전열관(20A) 위로 냉매 펌프(19)에 의해 산포되고, 냉수관(20)을 거쳐 공급된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하고, 전열관(20A)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한다.
증발기(6)에서 증발한 냉매는 흡수기(7)로 들어가고, 저온 재생기(3)에서 가열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흡수액의 농도가 한층 높아진 흡수액, 즉, 흡수액관(13)에 의해 저온 열교환기(9)를 경유하여 공급되고, 상방으로부터 산포되는 농축 흡수액에 흡수된다.
그리고, 흡수기(7)에서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희박해진 흡수액, 즉, 희박 흡수액은 흡수액 펌프(14)의 운전에 의해, 저온 열교환기(9), 제2 열회수기(24), 고온 열교환기(10), 제1 열회수기(23)에서 각각 가열되고, 고온 재생기(1)로 흡수액관(11)으로부터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이 행해지면, 증발기(6)의 내부에 배관된 전열관(20A)에 있어서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냉수관(20)을 거쳐서 도시되지 않은 공조 부하에 순환 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방 등의 냉각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흡수기(7)로부터 나온 흡수액 펌프(14)에 의해 고온 재생기(1)로 반송된 희박 흡수액은, 저온 열교환기(9), 제2 열회수기(24), 고온 열교환기(10), 제1 열회수기(23) 각각에 있어서 가열되므로, 고온 재생기(1)에 유입할 때의 희박 흡수액의 온도는 제1 열회수기(23), 제2 열회수기(24)가 없는 경우보다 상승하고, 가스 버너(2)에서 소비하는 연료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어기(27)의 제어 기능에 의해,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조여 흡수기(7)로부터 고온 재생기(1)로 이송되고 있는 희박 흡수액의 보다 많은 양을 제2 열회수기(24)에 공급하여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크게 하여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여 유동하는 희박 흡수액의 양을 보다 많게 하여 배가스로부터 회수하는 열량을 억제하므로,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도시 가스, 즉, 천연 가스를 연료로 했을 때의 연소 배가스의 이슬점 온도는 60 내지 70 ℃) 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drain)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한 부식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없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를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도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가 흡수액 측로관(11B)에 구비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25)를 제2 열회수기(24)를 경유하는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제2 열회수기(24) 입구측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고, 그 외의 배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제어기(27)가 흡수액 열교환관(11A)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크게 하여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조여서 배가스의 보다 많은 양이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여 유동하도록 하므로, 이 경우도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 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한 부식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제2 열회수기(24)에 대하여 희박 흡수액이 아래로부터 들어와서 위로 빠지도록 흡수액 헤더를 설치할 때에는, 제2 열회수기(24)의 희박 흡수액 입구측, 즉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하측 부분에 유량 제어 밸브(25)를 설치함으로써, 제2 열회수기(24)에 있어서 배가스에 의해 가열된 희박 흡수액 중에 기포가 형성되어도, 그 기포를 헤더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를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도2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가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제2 열회수기(24) 입구측에 구비된 유량 제어 밸브(25)를, 제2 열회수기(24) 출구측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고, 그 외의 배관 구성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3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도, 제어기(27)가 흡수액 열교환관(11A)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크게 하여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조여서 배가스의 보다 많은 양이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여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이 경우도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 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한 부식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25)를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제2 열회수기(24) 출구 측에 설치함으로써, 배가스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2 열회수기(24) 내의 희박 흡수액 중에서 기포가 형성될 만한 온도로 희박 흡수액이 가열되어도, 이 부분에는 흡수액 펌프(14)의 압력이 걸려 있으므로 기포가 생성되기 어렵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를,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도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 흡수식 냉동기가 구비되어 있는 흡수액 측로관(11B) 대신에, 제2 열회수기(24)를 통과하는 흡수액 열교환관(11A)을 2 개 설치하고, 그 한 쪽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제2 열회수기(24) 입구측에 유량 제어 밸브(25)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고, 그 외의 배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4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제어기(27)가 한 쪽 흡수액 열교환관(11A)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크게 하여 외관상의 전열 면적을 확대하여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조여서 외관상의 전열 면적을 축소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해 부식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제2 열회수기(24)에 대하여 희박 흡수액이 아래로부터 들어와서 위로 빠지도록 흡수액 헤더를 설치할 때에는, 제2 열회수기(24)의 희박 흡수액 입구측, 즉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하측 부분에 유량 제어 밸브(25)를 설치함으로써, 제2 열회수기(24)에 있어서 배가스에 의해 가열된 희박 흡수액 중에 기포가 형성되어도, 그 기포를 헤더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를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5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도4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가 한 쪽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제2 열회수기(24) 입구측에 구비된 유량 제어 밸브(25)를, 제2 열회수기(24) 출구 측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고, 그 외의 배관 구성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5 실시 형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도, 제어기(27)가 한 쪽 흡수액 열교환관(11A)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크게 하여 외관상의 전열 면적을 확대하여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조여서 외관상의 전열 면적을 축소함으로써, 이 경우도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 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한 부식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25)를 한 쪽 흡수액 열교환관(11A)의 제2 열회수기(24) 출구 측에 설치함으로써, 배가스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2 열회수기(24) 내의 희박 흡수액 중에 기포가 형성될 만한 온도로 희박 흡수액이 가열되어도, 이 부분에는 흡수액 펌프(14)의 압력이 걸려 있으므로 기포가 생성되기 어렵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를, 도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6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도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 흡수식 냉동기가 구비되어 있는 흡수액 측로관(11B) 대신에,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는 배기 측로관(22B)을 설치하고, 그 곳에 유량 제어 밸브(25)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고, 그 외의 배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6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제어기(27)가 배기 측로관(22B)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5)의 개방도를,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조여서 배가스의 보다 많은 양이 제2 열회수기(24)에 공급되어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크게 하여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여 유동되는 배가스의 양을 보다 많게 하여 배가스로부터의 열회수를 억제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해 부식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없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를, 도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7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상기 도6에 도시된 제6 실시 형태 흡수식 냉동기가 배기 측로관(22B)에 구비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25)를, 제2 열회수기(24)를 경유하는 배기 열교환관(22A)과,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는 배기 측로관(22B)과의 분기부에 설치된 3 방 절환 댐퍼(25A)로 대체한 것이고, 그 외의 배관 구성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7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는, 제어기(27)가 3 방 절환 댐퍼(25A)를, 온도 센서(26)가 100 ℃보다 높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보다 많은 양의 배가스가 배기 열교환관(22A)의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의 회수를 촉진하고, 온도 센서(26)가 소정의 100 ℃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제2 열회수기(24)를 우회하여 유동되는 배가스가 많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배기관(22)을 거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온도는 이슬점 온도보다 높은 100 ℃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배가스 온도가 낮은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도,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해 부식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3 방 절환 댐퍼(25A)는, 배기 열교환관(22A)과 배기 측로관(22B)과의 합류뷰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것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유량 제어 밸브(25) 대신에 저가의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그 개폐를 온도 센서(26)가 검출하는 배가스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밑돌지 않도록 제어기(27)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는, 상기와 같은 냉방 등의 냉각 운전을 전용으로 행하는 것이어도 좋고, 고온 재생기(1)에서 가열 생성한 냉매 증기와, 냉매 증기를 증발 분리한 흡수액이 저온 본체(8)에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 접속하고, 냉각수관(21)에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일 없이 가스 버너(2)에 의한 희박 흡수액의 가열을 행하고, 증발기(6)의 전열관(20A)에서 예컨대 55 ℃ 정도로 가열한 물을 냉수관(온수가 순환하는 경우는 온수관으로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20)을 거쳐서 부하로 순환 공급하여 난방 등의 가열 운전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증발기(6)에서 냉각 등을 하여 공조 부하 등에 공급하는 유체로서는, 물 등을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상변화시키지 않고 공급하는 외에, 잠열을 이용한 열 반송이 가능하도록 프론 등을 상변화시켜서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가스가 보유하는 열을 효율 좋게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배가스 온도가 저하되는 기동시와 부분 부하 운전시에 있어서는 열회수를 억제하여 배가스 온도의 이상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 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드레인 수에 의한 부식 문제를 일으키는 일도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 재생기
2 : 가스 버너
3 : 저온 재생기
4 : 응축기
5 : 고온 본체
6 : 증발기
7 : 흡수기
8 : 저온 본체
9 : 저온 열교환기
10 : 고온 열교환기
11 내지 13 : 흡수액관
11A : 측로 흡수액관
14 : 흡수액 펌프
15 내지 19 : 냉매관
19 : 냉매 펌프
20 : 냉수관
21 : 냉각수관
22 : 배기관
22A : 측로 배기관
23 : 제1 열회수기
24 : 제2 열회수기
25 : 유량 제어 밸브
25A : 3 방 절환 댐퍼
26 : 온도 센서
27 : 제어기

Claims (2)

  1. 연소 장치에서 가열 비등시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희박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중간 흡수액을 얻는 고온 재생기와, 이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중간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한 냉매 증기로 가열하여 한층 더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중간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농축 흡수액을 얻는 저온 재생기와, 이 저온 재생기에서 중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응축한 냉매액이 공급되는 동시에 저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냉매액을 얻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액이 전열관 위에 산포되고 전열관 내를 유동하는 유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저온 재생기로부터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공급되는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켜 희박 흡수액으로 하고 고온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기와, 이 흡수기에 출입하는 희박 흡수액과 농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저온 열교환기와, 고온 재생기에 출입하는 중간 흡수액과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고온 열교환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연소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와 고온 열교환기를 통과한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제1 열회수기와, 이 제1 열회수기를 통과한 배가스와 저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고온 열교환기로 들어가기 전의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제2 열회수기와, 이 제2 열회수기를 우회하는 배가스관 또는 흡수액관에 설치된 밸브와, 이 밸브의 개폐를 배가스의 온도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2. 연소 장치에서 가열 비등시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희박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중간 흡수액을 얻는 고온 재생기와, 이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중간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에서 생성한 냉매 증기로 가열하여 한층 더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중간 흡수액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농축 흡수액을 얻는 저온 재생기와, 이 저온 재생기에서 중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응축한 냉매액이 공급되는 동시에 저온 재생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냉매액을 얻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액이 전열관 위에 산포되고 전열관 내를 유동하는 유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저온 재생기로부터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공급되는 농축 흡수액에 흡수시켜 희박 흡수액으로 하고 고온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기와, 이 흡수기에 출입하는 희박 흡수액과 농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저온 열교환기와, 고온 재생기에 출입하는 중간 흡수액과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고온 열교환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연소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와 고온 열교환기를 통과한 희박 흡수액이 열교환하는 제1 열회수기와, 이 제1 열회수기를 통과한 배가스와 저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고온 열교환기로 들어가기 전의 희박 흡수액이 복수의 유로로 분기하여 열교환하는 제2 열회수기와, 복수의 유로의 적어도 1 개 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이 밸브의 개폐를 배가스의 온도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KR10-2002-0065049A 2001-10-25 2002-10-24 흡수식 냉동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75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8273A JP3883838B2 (ja) 2001-10-25 2001-10-25 吸収式冷凍機
JPJP-P-2001-00328273 200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006A KR20030034006A (ko) 2003-05-01
KR100475972B1 true KR100475972B1 (ko) 2005-03-16

Family

ID=1914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5972B1 (ko) 2001-10-25 2002-10-24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8762B2 (ko)
JP (1) JP3883838B2 (ko)
KR (1) KR100475972B1 (ko)
CN (1) CN11791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77021A0 (en) * 2006-07-23 2006-12-10 Totec Ltd Top Technologies Working fluids for an absorption cooling system
IL177020A0 (en) 2006-07-23 2006-12-10 Totec Ltd Top Technologies Absorption cooling system
CN100445670C (zh) * 2006-09-11 2008-12-24 东南大学 一种介于单效与两级之间的热水型溴化锂吸收式制冷机
WO2008109718A1 (en) * 2007-03-07 2008-09-12 University Of New Orleans Research & Technology Foundation Integrated cooling, heating, and power systems
JP5261111B2 (ja) * 2008-09-29 2013-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US20100140286A1 (en) * 2008-12-08 2010-06-10 Michael Christopher Quinn Portable beverage machine
CN102335521B (zh) * 2010-07-16 2015-05-20 杰智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溶剂降温核凝回收净化装置及方法
WO2012048445A1 (zh) * 2010-10-14 2012-04-19 Li Huayu 双吸收-双发生系统与多端供热第三类吸收式热泵
US9228773B2 (en) * 2011-03-08 2016-01-05 Dometic Sweden Ab Tilt monitor and stress controller for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JP2012202583A (ja) * 2011-03-24 2012-10-22 Union Sangyo Kk 吸着式冷凍機のダンパ構造
EP2562408A1 (en) * 2011-08-25 2013-02-27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for handling fuel vapors onboard a hybrid vehicle
CN102997480A (zh) * 2012-12-06 2013-03-27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烟气热水单双效复合型溴化锂吸收式制冷机组
CN105409341B (zh) * 2012-12-18 2018-05-04 施耐德电气It公司 冷却单元和冷却方法
CN102997482B (zh) * 2012-12-19 2015-03-11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采暖工况回收烟气余热的直燃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CN102997496B (zh) * 2012-12-19 2014-11-12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带烟气阀回收烟气余热的直燃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CN102997483B (zh) * 2012-12-27 2014-08-20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回收烟气余热的直燃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CN103542593A (zh) * 2013-09-28 2014-01-29 昆山市周市溴化锂溶液厂 烟气热量回收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CN103542592A (zh) * 2013-09-28 2014-01-29 昆山市周市溴化锂溶液厂 带热量回收的直燃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JP6320958B2 (ja) * 2015-03-18 2018-05-09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吸収式冷温水機、熱交換器、吸収式冷温水機の制御方法
CN105352079B (zh) * 2015-11-24 2018-02-06 东南大学 一种低位热能驱动的温湿度独立处理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672A (ja) 1992-08-11 1994-03-08 Hokkaido Concrete Kogyo Kk コンクリートポール用鉄筋の製作方法および装置
US6003331A (en) * 1998-03-02 1999-12-21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Recovery of flue gas energy in a triple-effect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JP2001174100A (ja) * 1999-12-21 2001-06-29 Takuma Co Ltd 排熱回収型吸収式冷温水機
JP2002147885A (ja) * 2000-11-08 2002-05-22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48762B2 (en) 2004-06-15
US20030079494A1 (en) 2003-05-01
CN1414325A (zh) 2003-04-30
JP2003130487A (ja) 2003-05-08
CN1179171C (zh) 2004-12-08
KR20030034006A (ko) 2003-05-01
JP3883838B2 (ja) 200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972B1 (ko) 흡수식 냉동기
KR100445616B1 (ko) 흡수식 냉동기
JP4287705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0441923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
KR100512827B1 (ko) 흡수식 냉동기
JP2012202589A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KR101045440B1 (ko) 흡수액 재순환 기구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KR100493598B1 (ko) 흡수식 냉동기
JP4390267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3245116B2 (ja) 負荷変動制御機能を備えた廃熱利用吸収式冷温水機・冷凍機
JP4090262B2 (ja) 吸収式冷凍機
KR101045463B1 (ko) 용액가열응축기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JP3889655B2 (ja) 吸収式冷凍機
JP4315855B2 (ja) 吸収冷凍機
JP6364238B2 (ja) 吸収式冷温水機
JP2005300047A (ja) 熱交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冷凍機
JP4107582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4334319B2 (ja) 吸収冷凍機の運転方法
JP2001124429A (ja) 吸収式冷凍機
WO2004046622A1 (ja) 吸収冷凍機
JP2001311569A (ja) 吸収式冷凍機
JP2006170569A (ja) 吸収式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0304370A (ja) 吸収式冷凍機
KR20080001998U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농흡수액펌프 결정방지장치
JP2003302132A (ja) 吸収式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