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967B1 - Table Top - Google Patents
Table To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5967B1 KR100475967B1 KR10-2002-0038333A KR20020038333A KR100475967B1 KR 100475967 B1 KR100475967 B1 KR 100475967B1 KR 20020038333 A KR20020038333 A KR 20020038333A KR 100475967 B1 KR100475967 B1 KR 100475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table top
- connecting element
- food container
- fo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47F5/0838—Rails or bars; Article supports therefor, e.g. brackets being slidably attached on the outside thereof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뷔페용으로 적합하며 그리고 뷔페의 요구에 보다 잘 적용되는 테이블 천판(1)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테이블 천판(1)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2) 및 다수의 다른 식품 용기들(3)을 포함하며, 상기 식품 용기들(3)은 제1 및 제2의 분리가능하게 상호 맞물리는 연결 요소들(4)를 통해서 상기 캐리어(2)상에 교환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table top plate 1 which is suitable for buffets and which is better adapted to the needs of the buffet. For this purpose the table top plate 1 comprises one or more carriers 2 and a plurality of other food containers 3, the food containers 3 being first and second detachably interlocked. Physics are exchangeably arranged on the carrier 2 via connecting elements 4.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뷔페(buffet)용으로 적합한 테이블 천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table top plates suitable for buffets.
예를 들면, 이른바 에타제르(etageres) 형태로 테이블 천판(table tops)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직접 작은 서비스 접시들을 고착시키는 캐리어(carrier)를 포함하며, 상기 접시들은 거리를 두고 한 접시가 다른 접시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특히 사용자가 염두에 두는 테이블 천판은 각 사용자가 자신의 특정 장소에 갖고 있으며 상기 장소로부터 테이블 천판에 닿을 수 있는 식탁 테이블용이다. 그러나, 뷔페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손님들이 몰려들어 손님들은 뷔페에서 자신이 서비스하면서 부분적으로 서로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독일특허 제296 06 699 U1호에는 평면들로 겹쳐 놓은 연장부를 포함하는 에타제르가 개시되어 있으며, 작은 서비스 접시들은 교환가능한 방법으로 상기 연장부상에 놓여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타제르는 용량이 제한되는데, 이는 상기 캐리어 주위의 공간 및 겹쳐진 평면들내의 공간이 자연히 제한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 무거운 작은 서비스 접시들이 사용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에타제르는 종류와 형상이 같은 서비스 접시만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단지 특정 식품만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For example, table tops are known in the form of so-called etazers, which include carriers that directly hold small service dishes, one plate over the other at a distance. Will be located. However, in particular, the table top plate that the user has in mind is for a dining table that each user has in his or her own particular place and can reach the table top plate from the place. However, in the case of a buffe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guests gather and the guests partly interfere with each other while serving themselves at the buffet. Further, German Patent No. 296 06 699 U1 discloses etazer, which includes an extension overlapping with planes, and small service dishes can be placed on the extension in an exchangeable manner. However, the etazer is limited in capacity because the space around the carrier and the space in the overlapping planes are naturally limited, while on the other hand, too heavy small service dishes should not be used. Moreover, the etazers can only accommodate service dishes of the same type and shape, and are therefore suitable for providing only certain food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뷔페 용도로 보다 적합한 테이블 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 top that is more suitable for buffet use.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튼튼한 테이블 천판을 형성하는데, 상기 테이블 천판은 구조적인 점에서 특히 뷔페용으로 적합하고, 다른 식품 용기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비스될 접시에 적용 가능하다.The desig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ms a sturdy table top plate,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buffets in structure and is applicable to dishes to be serviced because of the use of other food containers.
하위청구항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를 이해할 수 있다.In the subclaim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eferred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예를 들면, 청구항 2에 따른 서스펜션 연결은 특히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데, 이는 사용중에 식품 용기들이 단단히 고정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suspension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2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od containers are firmly fixed during use while on the other hand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에 따른 캐리어의 배치는 뷔페용으로 적합한데, 이는 청구항 3의 특징으로 인해 어떠한 바람직한 방향으로도 신장할 수 있고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의 특징으로 인해 식품 용기들을 나란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arrangement of the carriers according to claims 3 to 6 is suitable for buffets, which can extend in any desired direction due to the features of claim 3 and the food containers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due to the features of claims 4 to 6. Because.
특히,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8은 다른 쪽으로 동일한 것을 배치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식품 용기의 구조상의 설계를 기재하고 있으며, 따라서 부페에서 제공되는 어떠한 이용 가능한 공간에 대해서도 그리고 어떠한 식품의 형태에 대해서도 최적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claims 7 to 8 describe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preferred food container for placing the same on the other side, and thus will be the optimal solution for any available space provided in the buffet and for any type of food. Can be.
또한, 청구항 9에 따르면, 사용가능한 식품 용기의 수를 크게 증가시키는데, 이는 다수의 다르게 설계된 서비스 요소들이 한정된 수의 다르게 설계된 홀더들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claim 9, the number of usable food containers is greatly increased because a number of differently designed service elements can be combined with a limited number of differently designed holders.
특히, 청구항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천판용으로 바람직한 식품 용기를 기재하고 있다.In particular, claim 10 describes a preferred food container for a table top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특히, 청구항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천판용으로 바람직한 캐리어를 기재하고 있다.In particular, claim 11 describes a preferred carrier for the table top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천판(table top) 1을 사용하는 뷔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테이블 천판 1은 분리가능한 연결 요소들(detachable connection elements) 4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는 캐리어(carrier) 2 및 다수의 다른 식품 용기들 3을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a buffet structure using a table to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top 1 comprises a carrier 2 and a plurality of other food containers 3 interconnected via detachable connection elements 4.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2는 자립(self-standing) 형태이고, 기부(base) 5에 각각 설치된 두개의 수직 지지봉(vertical support rod) 6 및 수평봉(horizontal rod) 7, 8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봉 6을 연결하는 상기 수평봉 7, 8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수직 지지봉 6에 대해서 수직으로 겹쳐진 형태로 거리를 두고 연결된다. 위쪽으로 향한 측면에서, 상기 수평봉 7, 8은 각각 제1연결 요소들7a,8a를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 요소들7a,8a는 연결부 4의 연결 요소로 설계된 것이다.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 7, 8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다른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arrier 2 is self-standing and includes two vertical support rods 6 and horizontal rods 7 and 8 respectively installed on a base 5. The horizontal rods 7, 8 connecting the vertical rods 6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at a distance in a vertically overlapp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rods 6. On the upwardly facing side, the horizontal rods 7, 8 form first connecting elements 7a, 8a,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elements 7a, 8a are designed as connecting elements of the connecting part 4. As shown in the examples, rods 7, 8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may have other cross sections.
캐리어 2는 또한 캐리어 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 스트립(clamping strip) 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 스트립 9는 상응하는 지지봉 6의 오목한 부분 안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정보 및/또는 장식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스트립 대신에 또는 클램프 스트립에 추가하여, 위생적인 보호 덮개, 또는 유사물이 제공될 수 있다.Carrier 2 may also include a clamping strip 9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carrier 2. For example, the clamp strip 9 can act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rod 6 and can receive information and / or decorative elements. In addition,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the clamp strip, a sanitary protective cov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상기 캐리어 2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나타낸 캐리어 2’와 같이, 한 줄로 배치된 두개 이상의 캐리어 요소 2.1 및 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바람직한 어떤 각도로 배치된 두개 이상의 캐리어 요소 2.1 및 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rrier 2 may be used alone as in the form shown in FIG. 2, or may consist of two or more carrier elements 2.1 and 2.2 arranged in a row, such as carrier 2 ′ shown in FIG. 3, or in FIG. 4. As shown, it may consist of two or more carrier elements 2.1 and 2.2 arranged at any desired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다른 식품 용기들 3은 상기 캐리어 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으로 식품 용기 3.1을 나타내며, 식품 용기 3.1은 예를 들면 샐러드용의 움푹한 접시 또는 (선택적으로 금속판 덮개 또는 창유리 덮개를 구비한) 얼음 용기 또는 음식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열-물 중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다른 식품 용기 3.2는 음료수 또는 다량의 미립자 또는 페이스트와 유사한 식품, 너트 또는 뮤즐리(muesli), 또는 유사한 것을 분배하는 분배기(dispenser)로서 설계된 것이다. 제3 식품 용기 3.3은 평평한 접시로 설계된 것이다. 차례로, 제4 식품 용기 3.4는 분배기로 설계된 것으로, 여기서는 특히, 뮤즐리 또는 너트, 또는 유사물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식품 용기 3.5는, 예를 들면, 설탕 또는 슬라이스 치즈를 제공하기 위한 유리 또는 금속제의 서비스 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식품 용기 3.5는 금속판 또는 창유리를 또한 구비한 제6 식품 용기 3.6에 의해 신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st different food containers 3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rrier 2. 1 illustratively shows a food container 3.1, which is for example a recessed dish for a salad or an ice container or optionally a heat-water bath for keeping food warm. Can be used as The other food container 3.2 shown in FIG. 1 is designed as a dispenser for dispensing beverages or foods similar to large amounts of particulates or pastes, nuts or muesli, or the like. The third food container 3.3 is designed as a flat dish. In turn, the fourth food container 3.4 is designed as a dispenser, in particular for dispensing muesli or nuts, or the like. The fifth food container 3.5 comprises, for example, a glass or metal service tray for providing sugar or sliced cheese. The food container 3.5 can be stretched by a sixth food container 3.6 which is also provided with a metal plate or pane.
식품 용기들 3은 모두 훅(hook) 형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제2연결 요소1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 요소10은 연결부 4의 일부분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수평봉 7과 8에 각각 걸 수 있는 치수로 되어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연결 요소10은 U자 형의 단면을 가지나, 원형 단면을 가지는 봉 7, 8에 또한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반타원형 단면, 또는 유사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요소10이 상기 식품 용기 3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상기 봉 7, 8의 각각의 상기 제1연결 요소들7a,8a에 얹혀 있도록 그리고 상기 식품 용기 3이 끌어 당겨지는 것, 예를 들면 상기 캐리어 2에서 앞쪽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연결 요소10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food containers 3 all comprise a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comprising a hook-shaped element,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being designed as part of the connecting part 4, which can be hooked to the horizontal rods 7 and 8 respectively. It is dimension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has a U-shaped cross section, but can also be applied to rods 7, 8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r for example a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or a similar cross section. .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bears the weight of the food container 3 while being placed o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elements 7a, 8a of the rods 7, 8 and the food container 3 is pulled, eg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to prevent it from being pulled forward in the carrier 2.
모든 식품 용기들 3은 도 5 내지 도 9에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홀더(holder)를 포함하며, 그리고 예를 들면 움푹하거나 평평한 접시(덮개가 있거나 없는 것, 얼음이나 뜨거운 물의 삽입물이 있거나 없는 것), 금속, 유리, 도자기, 나무, 또는 다른 적합한 재질로 된 판, 액체 또는 고체 입자의 분배 용기, 에그컵 삽입물, 또는 유사물의 형태로 서비스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은 상기 홀더로 느슨하게 삽입되므로 떼내어 청소할 수 있다. 캐더링업계에서 사용되는 용기들은 규격화된 치수 또는 규격화된 치수 등급을 갖는 서비스 요소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럴 경우, 예컨데 크기가 반으로 준 두개의 서비스 요소를 한 홀더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All food containers 3 include a holder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S. 5-9, and for example a potted or flat dish (with or without a lid, with or without an insert of ice or hot water). Service elements in the form of plates, liquid or solid particles, distribution vessels, egg cup inserts, or the like, of metal, glass, porcelain, wood, or other suitable material. The service elements are loosely inserted into the holder so that they can be removed and cleaned. Containers used in the catering industry preferably use service elements with standardized dimensions or standardized dimensional grades, in which case it is possible to insert, for example, two service elements in half the size into one holder.
도 5에 도시된 홀더 11.1은 움푹한 접시, 물중탕 용기 또는 얼음 용기와 같은 사각형의 서비스 요소에 특히 적합하다. 홀더 11.1은 바람직한 서비스 요소가 삽입되는 사각형 프레임 12.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요소의 돌출된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놓이게 된다. 상기 프레임의 폭이 좁은 측면들 중의 한쪽에는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제2연결 요소10이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 요소10은 프레임 12.1의 전체 폭이 좁은 측면 위로 신장할 수 있으나, 상기 프레임상의 둘 이상의 지점에서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10을 상기 프레임의 세로 측면에 또한 배치할 수 있다.The holder 11.1 shown in FIG. 5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rectangular service elements such as potholes, water baths or ice containers. Holder 11.1 comprises a rectangular frame 12.1 into which the preferred service element is inserted; For example, protruding edges of the service element will lie in the frame. One of the narrow sides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along its entire length. As shown,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may extend over the narrow side of the entire width of frame 12.1, but may be provided only at two or more points on the frame. The connecting element 10 can also be arranged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 12.1의 폭이 좁은 대향 측면에서는, 또 다른 제3연결 요소10' 상에 배치된 지지 표면이 제공되나, 상기 제3연결 요소10'는 연결 요소10보다 작아서, 도 1에서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 용기 3.5 및 3.6의 경우에는, 상기 제2연결 요소10을 다른 제3연결 요소10'에 걸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10과 혼동하지 않도록, 다른 제3연결 요소10'는, 예를 들면 형상 또는 곡률을 다르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narrow opposite side of the frame 12.1 there is provided a support surface disposed on an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10 ', but the third connecting element 10' is smaller than the connecting element 10, as shown in the embodiment in FIG. As such, in the case of food containers 3.5 and 3.6,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can be hung on an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10 '. In order not to be confused with the connecting element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10 'is designed differently, for example, in shape or curvature.
상기 제2연결 요소10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12의 측면에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기부 14로 설계된 지지체 13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 기부 14을 구비한 상기 홀더 11.1은 뷔페 테이블, 또는 유사한 것의 표면에 놓이게 된다. 홀더 11.1의 제2연결 요소10을 상기 캐리어 2의 상부 봉 8에 거는 경우, 상기 프레임 12.1 및 상기 서비스 요소가 수평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지지 기부 14의 높이 치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자 형상으로 위로 향하여 구부러진 탭(tab) 16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표면 형상의 다른 제3연결 요소15가 상기 지지 기부 14상에 제공된다. 상기 제3연결 요소15 및 상기 탭 16은 다른 홀더의 제2연결 요소10을 수용할 수 있는 치수로 만들어 진다. 상기 제3연결 요소15는 상기 캐리어 2의 하부 봉 7의 제1연결 요소7a와 같은 수직 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side of the frame 12 opposite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there is provided a support 13 designed as a support base 1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lder 11.1 with the support base 14 being the surface of a buffet table, or the like. Will be placed in. When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of the holder 11.1 is fastened to the upper rod 8 of the carrier 2, it is preferable to dimension the height of the support base 14 such that the frame 12.1 and the service element 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an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15 of the support surface shape is formed on the support base 14 which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tab 16 bent upward in a U shape. The third connecting element 15 and the tab 16 are dimensioned to accommodate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of the other holder. The third connecting element 15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onnecting element 7a of the lower rod 7 of the carrier 2.
도 6에 도시된 다른 홀더 11.2는 분배 용기, 병, 또는 유사물과 같은 원통형의 서비스 요소를 수용한다. 상기 홀더 11.2에는 분배 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환상 프레임 12.2가 구비된다. 상기 환상 프레임 12.2는 지면에 서있는 웨브(web) 17 및 플렛폼(platform) 18의 형태로 지지체 13에 의해 뷔페 테이블에서 지지된다. 상기 제2연결 요소10은 상부 봉 8과 같은 높이에서 웨브 17에 배치된다.Another holder 11.2 shown in FIG. 6 houses a cylindrical service element, such as a dispensing container, a bottle, or the like. The holder 11.2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rame 12.2 into which the dispensing container can be inserted. The annular frame 12.2 is supported at the buffet table by the support 13 in the form of a web 17 and a platform 18 standing on the ground.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is arranged on the web 17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rod 8.
도 7은 사각형의 서비스 요소들을 수용하는 또 다른 홀더 11.3을 나타내며, 상기 홀더 11.3에 다시 사각형 프레임 12.3이 구비되며, 두 프레임 12.1 및 12.3으로 동일한 서비스 요소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 12.3은 홀더 11.1의 프레임 12.1과 크기 및 형상이 같다. 또한, 상기 프레임 12.3은 폭이 좁은 한쪽 측면에서 상기 제2연결 요소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대향하는 폭이 좁은 측면에서 다른 제3연결 요소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 11.3은 기부 19의 형태로 지지체 13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 19는 U-자 형상으로 위로 향하여 구부러진 탭 21의 상부 가장자리상의 지지 표면 형상의 다른 제3연결 요소20을 구비한다. 상기 제3연결 요소20 및 탭 21은 제2연결 요소10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3연결 요소20은 상기 제2연결 요소10의 평면 아래쪽 평면에 위치한다.Figure 7 shows another holder 11.3 for receiving rectangular service elements, in which the holder 11.3 is again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12.3, in order that the same service elements can be inserted into two frames 12.1 and 12.3 the frame 12.3 is a holder. Same size and shape as frame 12.1 in 11.1. The frame 12.3 may also have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on one narrow side and the 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10 ′ on the opposite narrow side. The holder 11.3 comprises a support 13 in the form of a base 19, the base 19 having an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20 in the shape of a support surface on the upper edge of the tab 21 which is bent upwards in a U-shape. The third connecting element 20 and the tab 21 are designed to receive a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which is located in a plane below the plane of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도 8은 분배 용기, 특히 상기 식품 용기 3.4의 작은 분배 용기를 수용하는 또 다른 홀더 11.4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홀더 11.4는 고리 같은 프레임 12.4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12.4의 치수는 편의상 홀더 11.2의 프레임 12.2의 치수와 동일하여, 동일한 분배 용기가 두 홀더에 들어맞는다. 상기 홀더 11.4에는 상기 프레임 12.4의 높이에서 가능한한 높게 배치되는 제2연결 요소10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 11.4는 또한 접촉 웨브 22의 형태로 지지체 1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웨브 22는 상기의 겹쳐진 봉 7, 8간의 거리를 연결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으며, 따라서 상기 제2연결 요소10이 상부 봉 8에 걸려 있으면 상기 접촉 웨브는 하부 봉 7상에서 지지된다.FIG. 8 shows another holder 11.4 which holds a dispensing container, in particular a small dispensing container of the food container 3.4. The holder 11.4 comprises an annular frame 12.4, the dimensions of which are for convenience the same as the dimensions of frame 12.2 of holder 11.2, so that the same dispensing container fits into both holders. The holder 11.4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arranged as high as possible at the height of the frame 12.4. The holder 11.4 also comprises a support 13 in the form of a contact web 22. The contact web 22 has a length sufficient to bridge the distance between the overlapping rods 7, 8, so that the contact web is supported on the lower rod 7 if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is hung on the upper rod 8.
도 9는 프레임 12.1 및 12.3에 상응하는 사각형 프레임 12.5를 구비한 또 다른 홀더 11.5를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 12.5의 폭이 좁은 측면들 중 한 측면에는 제2연결 요소10이 구비되며, 다른 측면에는 다른 제3연결 요소10’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 11.5는 어떠한 지지체도 가지지 않는다.9 shows another holder 11.5 with a rectangular frame 12.5 corresponding to frames 12.1 and 12.3. One side of the narrow sides of the frame 12.5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other third connecting element 10 '. The holder 11.5 does not have any support.
상기된 요소들은 많은 다양한 요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11.1을 구비한 상기 식품 용기 3.1은 상부 레일 8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기부 14는 움푹한 접시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한다. 운반되는 서비스 요소가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하부 기부 19를 구비한 상기 홀더 11.3을 상기 식품 용기 3.3의 경우와 같이 하부 레일 7에 걸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상기 홀더 11.3을 상기 식품 용기 3.5의 경우와 같이 상부 레일 8에 걸 수 있으며, 그 결과 그것의 서비스 요소, 편의상 접시는 경사면을 제공하게 되어 그위에 놓여진 음식이 보다 나은 방법으로 손님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11.5를 하부 레일 7 또는 상부 레일 8에 걸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더 강하게 경사진 위치가 얻어진다.The above described elements can satisfy many different need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food container 3.1 with the holder 11.1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rail 8 and the base 14 allows the recessed dish to be placed horizontally. The holder 11.3 with the lower base 19 can be hung on the lower rail 7 as in the case of the food container 3.3 so that the service element to be transported is arranged horizontally. However, the holder 11.3 can also be hung on the upper rail 8 as in the case of the food container 3.5, so that its service element, for convenience, the dish provides a slope so that the food placed thereon is provided to the guests in a better way. Can be. It is also possible to hang the holder 11.5 on the lower rail 7 or the upper rail 8, whereby a stronger inclined position is obtained.
또한, 상기 홀더들 11.1, 11.3 및 11.5은 손님들을 향해 신장될 수 있는데, 제2연결 요소10을 구비한 다른 적당한 홀더들을 각각 다른 제2연결 요소 10’또는 탭 16 및 21을 통해서 걸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holders 11.1, 11.3 and 11.5 can be extended towards the guests, since other suitable holders with the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can be hung through the other second connecting element 10 'or tabs 16 and 21, respectively. to be.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식품 용기들은 스냅(snap) 형, 로킹(locking), 클램핑(clamping) 또는 캐리어에 대한 다른 적당한 연결을 통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캐리어가 반드시 봉을 포함해야 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식품 용기를, 예컨데, 스트립의 상부 가장자리를 통해서 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천판을, 예컨데, 양측에서 접근 가능한 뷔페 테이블용으로 개장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식품 용기들이 반드시 다수의 다른 서비스 요소들 및 다수의 느슨하게 삽입된 서비스 요소에 똑같이 사용될 수 있는 홀더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홀더 및 서비스 요소와 함께 전체를, 예컨데,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정보 요소용 클램프 스트립을 생략하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홀더로 대체할 수 있다. 단순한 테이블 천판에 대해서는, 상기 캐리어가 하나의 수평면에 하나의 로드만을 포함하면 충분하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ood containers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hrough snapping, locking, clamping or other suitable connection to the carrier. For example, the carri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include a rod; The food container may, for example, be hung through the upper edge of the strip. The table top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retrofitted for example for a buffet table accessible from both sides. Moreover, the food container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holders which can be used equally in a number of different service elements and in a number of loosely inserted service elements, but together with the holders and service elements can be made entirely of, for example, plastic material. . The clamp strip for the information element may be omitted or replaced with another suitable holder. For a simple table top plate, it is sufficient for the carrier to contain only one rod in one horizontal pla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천판을 사용하는 뷔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uffet structure using a table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2 shows the carrier of FIG. 1;
도 3은 신장된 캐리어의 축소도.3 is a reduced view of the stretched carrier.
도 4는 신장된 캐리어의 축소도.4 is a reduced view of the stretched carri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용 홀더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용 홀더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6 shows an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용 홀더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용 홀더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용 홀더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1116229.4 | 2001-07-04 | ||
EP01116229A EP1273251B1 (en) | 2001-07-04 | 2001-07-04 | Table-top display unit, in particular for a buff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4140A KR20030004140A (en) | 2003-01-14 |
KR100475967B1 true KR100475967B1 (en) | 2005-03-10 |
Family
ID=817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8333A KR100475967B1 (en) | 2001-07-04 | 2002-07-03 | Table Top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1273251B1 (en) |
JP (1) | JP2003038329A (en) |
KR (1) | KR100475967B1 (en) |
CN (1) | CN1263412C (en) |
AU (1) | AU774773B2 (en) |
BR (1) | BR0202514A (en) |
DE (1) | DE50103884D1 (en) |
EG (1) | EG23142A (en) |
MX (1) | MXPA02006649A (en) |
ZA (1) | ZA200205310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49741B (en) * | 2010-05-17 | 2011-07-20 | 卢玉凤 | End table with independently separable placement surface serving as tray and using method thereof |
JP2013186625A (en) * | 2012-03-07 | 2013-09-19 | Panasonic Corp | Powder raw material supply device |
CN103414298A (en) * | 2013-07-25 | 2013-11-27 | 昆山维金五金制品有限公司 | Rotor supporting frame |
CN114604370A (en) * | 2022-04-26 | 2022-06-10 | 广船国际有限公司 | Buffet platform on boats and ship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95132A (en) * | 1947-06-23 | 1950-01-17 | Remco John Le Roy | Sectional plate |
US2672741A (en) * | 1952-11-06 | 1954-03-23 | Bernhardt Rudolph | Rotatable table caster |
US3000532A (en) * | 1958-11-18 | 1961-09-19 | Miklich Louis | Multiple tray serving device |
FR1247356A (en) * | 1959-09-29 | 1960-12-02 | Sncf | mobile storage and handling unit with removable compartments |
US3194403A (en) * | 1963-10-31 | 1965-07-13 | Jr Maurice Joseph Van Horn | Holder on upright support of detachable rotatable trays |
ES243169Y (en) * | 1979-04-18 | 1980-03-01 | EXHIBITOR FOR CONFECTIONERY PRODUCTS. | |
FR2534796B3 (en) * | 1982-10-01 | 1986-02-21 | Hoyaux Suzanne | BUFFET DISPLAY |
DE9302028U1 (en) * | 1993-02-12 | 1994-06-16 | Emsa-Werke Wulf GmbH & Co, 48282 Emsdetten | Holder for spice containers |
US5339976A (en) * | 1993-11-22 | 1994-08-23 | Thornton Danny M | Mating separable containers |
DE29606699U1 (en) * | 1996-04-12 | 1996-08-01 | Langegger, Elfriede, Maishofen | Rack for displaying cold dishes on a buffet |
DE19624105A1 (en) * | 1996-06-17 | 1997-12-18 | Albiplast Ag | Plastic tub with uni=dimensional base and upper opening |
-
2001
- 2001-07-04 EP EP01116229A patent/EP12732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7-04 DE DE50103884T patent/DE50103884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
- 2002-06-26 EG EG2002060736A patent/EG23142A/en active
- 2002-07-02 AU AU52756/02A patent/AU774773B2/en not_active Ceased
- 2002-07-03 KR KR10-2002-0038333A patent/KR10047596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7-03 ZA ZA200205310A patent/ZA200205310B/en unknown
- 2002-07-03 MX MXPA02006649A patent/MXPA02006649A/en unknown
- 2002-07-03 BR BR0202514-0A patent/BR020251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7-04 CN CNB02140626XA patent/CN126341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7-04 JP JP2002195618A patent/JP2003038329A/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G23142A (en) | 2004-05-31 |
AU774773B2 (en) | 2004-07-08 |
BR0202514A (en) | 2003-06-24 |
CN1397243A (en) | 2003-02-19 |
ZA200205310B (en) | 2003-03-25 |
EP1273251A1 (en) | 2003-01-08 |
JP2003038329A (en) | 2003-02-12 |
EP1273251B1 (en) | 2004-09-29 |
CN1263412C (en) | 2006-07-12 |
DE50103884D1 (en) | 2004-11-04 |
AU5275602A (en) | 2003-01-09 |
MXPA02006649A (en) | 2004-08-19 |
KR20030004140A (en) | 2003-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4443B1 (en) | Device for holding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 |
US8960452B2 (en) | Drying rack assembly | |
US7909181B2 (en) | Article holders | |
US3472392A (en) | Mobile food service wagon | |
US20130119005A1 (en) | Beverage service rack | |
US20120273384A1 (en) | Food and beverage tray | |
US1604608A (en) | Island | |
US6622885B1 (en) | Arm mounted transporting tray for food containers | |
EP3309092A1 (en) |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 |
KR100475967B1 (en) | Table Top | |
US6085640A (en) | Carrier for deep fat fryer | |
EP0432813B1 (en) | Device for storing dish-type containers | |
US6948626B1 (en) | Vertical utensil holder | |
US8127696B2 (en) | Block pedestal having slidably supported horizontal members | |
US20170081082A1 (en) | Beverage Carrier | |
US4413745A (en) | Tray caddy for waitresses | |
US20100181442A1 (en) | Device for placing receptacles, such as plates, provided with a product | |
WO2017062282A1 (en) | Beverage brewer with adjustable shelf | |
US6902072B2 (en) | Cooking utensil holder for preventing intermingling of cooking liquids and residue | |
US6908012B1 (en) | Beverage dispenser with an adjustable drain tray assembly | |
JP2002330880A (en) | Dish drainer basket | |
JP3013606U (en) | Basket shelf | |
KR102431168B1 (en) | Temporary base such as lids for kitchen pots, etc. | |
CN218551778U (en) | Storage basket | |
CN217013500U (en) | Dish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