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4019B1 -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019B1
KR100474019B1 KR10-2002-7013714A KR20027013714A KR100474019B1 KR 100474019 B1 KR100474019 B1 KR 100474019B1 KR 20027013714 A KR20027013714 A KR 20027013714A KR 100474019 B1 KR100474019 B1 KR 10047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m groove
support frame
connector assembly
card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976A (ko
Inventor
히라따히데유끼
사사오마사미
다나까미끼지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0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카드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는 방출 장치가 커넥터 조립체의 지지 프레임 내에 직접 조립되어 부품 수, 조립 단계의 수 및 결과적인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카드 커넥터 조립체는 카드 안내부(5a), 카드 부재에 연결된 커넥터부(9), 카드 안내부와 커넥터부 둘 다와 연속인 지지 프레임(3), 및 방출 장치(2)를 포함한다. 방출 장치(2)는 지지 프레임(3)을 따라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한 활주 부재(22), 카드 커넥터(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활주 부재(22)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하는 가동 레버(35), 활주 부재(22)의 활주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캠 기구(10)를 포함한다. 캠 기구(10)의 일부는 지지 프레임(3) 상에 직접 구비된다.

Description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EJECTION DEVICE}
본 발명은 PC 카드와 같은 카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방출 장치가 커넥터 조립체의 지지 프레임 내에 직접 조립되어 커넥터 조립체의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조립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일례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평11-2197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카드 커넥터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300)는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장전되고 장전해제된다. 결합해제 레버(301)로 연결된 방출 장치는 카드가 방출될 때 실행된다. 도11은 방출 장치(302)의 개요를 도시하면서 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방출 장치(30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방출 장치(302)는 카트리지 안에 형성되고 따라서 방출 장치(302)가 카트리지로서 조립된 후에 커넥터의 지지 프레임(304)에 고정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장치(302)는 케이스(305), 커버(306), 방출 레버(307), 푸시 버튼(308), 코일 스프링(310), 스프링(311) 및 접촉 플레이트(309)로 구성된다. 푸시 버튼(308)을 위한 수용 홈(312) 및 프레임(304)를 지지하는 케이스(30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313)이 케이스(305)에 구비된다. 푸시 버튼(308)을 포함하는 부품의 나머지는 케이스(302)에 조립된다. 조립된 후에, 방출 장치(305)는 고정 홈(313)을 사용하여 프레임(304)을 지지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카드 커넥터에서, 방출 장치(302)는 카트리지 형이고, 분리 조립체 처리로서 분리 단계에서 방출 장치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방출 장치가 필요하면 그리고 필요할 때 프레임(304)을 지지하기 위해 방출 장치(302)를 조립하거나 또는 개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이러한 공지된 방출 장치(302)가 분리 카트리지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많은(7개) 부품이 사용되고, 이것은 그것을 함께 조립하는 데 요구되는 노동뿐 아니라 이 구조물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커넥터 조립체의 부분 상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 조립체에서 사용된 캠 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캠 기구의 동작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캠 기구의 동작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캠 기구의 동작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캠 기구의 동작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캠 기구의 동작도이다.
도10은 공지된 카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공지된 카드 커넥터 상에 사용된 방출 장치의 개관도이다.
도12는 도10의 공지된 카드 커넥터 방출 장치의 상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 목적은 방출 장치가 지지 프레임 상에 직접 조립될 수 있는 카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재고 및 조립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그에 상응하여 커넥터 조립체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PC 카드와 같은 카드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는 카드 안내부, 카드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카드 안내부와 커넥터부 둘 다와 연속된 지지 프레임, 및 방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 장치는 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식으로 구비된 활주 부재, 카드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활주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하는 가동 레버, 활주 부재의 활주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캠 기구를 포함하고, 캠 기구의 일부는 지지 프레임 상에 직접 구비된다.
지지 프레임은 활주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활주 부재에 대한 안내 홈과 카드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카드 안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방출 장치에서 지지 프레임을 일체식 부품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캠 기구는 지지 프레임에 직접 구비된 캠 홈, 캠 홈 내에서 이동을 위한 핀을 구비한 핀 플레이트, 캠 홈을 향한 핀 플레이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 및 후퇴된 위치에 활주 플레이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로, 캠 기구의 구조물을 간단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부는 핀 플레이트가 한정된 범위에서 캠 홈 내에 각지게 이동가능할 정도로 핀 플레이트를 보유한다. 이러한 장치는 핀 플레이트와 활주 기구 사이의 연결을 제거하여 캠 기구의 구조물을 더 간소화한다.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리세스는 활주 부재에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는 코일 스프링의 조립체를 활주 부재 안으로 용이하게 하고 전체적으로 방출 장치를 비교적 조밀한 조립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삽입된 카드의 표면과 사실상 평행한 표면을 갖는 리브부는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고, 캠 홈은 리브부의 표면에 구비된다. 캠 홈은 카드 커넥터 조립체가 감소된 부품 수를 갖고 또한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도록 리브부의 표면에 구비된다.
방출 장치는 핀 플레이트가 활주 부재의 후퇴 및 전진에 따라 이동하는 기능을 하고, 캠 홈은 핀 플레이트의 전진 위치를 한정하기 제1 캠 홈, 핀 플레이트의 후퇴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제2 캠 홈, 및 핀 플레이트의 잠금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캠 홈과 연속하는 제3 캠 홈을 포함한다. 핀 플레이트의 잠금 위치는 방출한 후에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하도록 카드가 방출된 후에 설정된다.
활주 부재용 안내 홈 및 카드 안내부가 주형 공정동안 지지 프레임의 일부로서 형성되기 위해 지지 프레임은 주조된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지지 프레임이 수지로 구성되므로, 커넥터부용 전도성 단자는 지지 프레임 상에 직접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제조 효율성을 또한 강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매우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종래 방출 장치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질적인 구성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방출 장치는 지지 프레임의 아암부 내에 직접 조립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개수는 감소되고, 이에 상응하여 조립체 단계의 수 및 커넥터 조립체 합성물 제조 비용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 조립체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신규하다고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서 목적 및 이점을 갖는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도면에서의 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다음 설명을 참조하면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C와 같은 카드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2-스테이지 PC 카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에서 도시되고 카드 방출 장치(1)가 구비된다. 도2는 카드 커넥터 조립체(1)의 기본 구조의 상세 사시도이다.
카드 커넥터 조립체(1)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직사각형이다. 커넥터 조립체(1)는 2-스테이지 또는 이중 포트 타입이고 따라서 두 가지 카드 방출 장치(2)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 또는 상부 및 하부 포트에서 유사하게 배열된다. 커넥터 몸체는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U자형 지지 프레임(3)을 포함한다. 금속 쉘(4, 도1에서 도시된 단 하나)은 지지 프레임(3)의 상부 및 하부를 덮기 위해 제공된다. 지지 프레임(3)은 주형된 플라스틱 수지로 양호하게 제조된다.
지지 프레임(3)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아암부(3a 및 3b)와 그들 사이의 만곡부(3c)를 포함한다. 카드 안내부(5 및 6)는 카드를 카드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아암부(3a 및 3b)의 대향 내부측 표면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카드 안내부(5 및 6)는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고 아암부(3a 및 3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커넥터부(9)는 각각의 카드의 대응 접점(도시 안됨)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7)를 포함하고, 기판(도시 안됨)에 연결된 기판 커넥터(8)가 만곡부(3c)내로 직접 장착된다.
방출 장치(2)가 지지 프레임(3)의 아암부(3a)중 하나의 외측부상으로 직접 조립된다. 방출 장치(2)는 지지 프레임의 아암부(3a)의 안내 홈(23 및 24) 내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활주 부재(22)와, 활주 부재의 일단부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푸시 버튼(21)과, 활주 부재(22)의 작동 및 운동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 커넥터(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카드를 이동시키고 카드를 방출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가동 레버(35)와, 활주 부재(22)의 활주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캠 기구(10)를 포함한다. 안내 홈(23 및 24)이 활주 부재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획 리브(25)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제공된다. 캠 기구(10)의 일부가 아암부(3a)상에 직접 제공된다.
명확성을 위하여, 단일 방출 장치(20)가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활주 부재(22)는 일체형 푸시 버튼(21)를 가지는 장방형 부재이고 안내 홈(23) 내부에서 화살표(A)(도1)에 의해 지시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활주 부재(22)가 측방향으로 탈착되거나 안내 홈(23)으로부터 결합해제(disengage)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아암부(3a)의 측부와 활주 부재(22) 사이에 안내 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획 리브(25)의 상부 및 하부 표면상에 형성된 레일형 볼록부(25a 및 25b)의 형태로 제공되며, 활주 부재(22) 상에 제공된 돌출편(22a)이 볼록부(25a)와 결합한다.
활주 부재(22)를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26)이 활주 부재(22)와 아암부(3a) 사이에 조립된다. 코일 스프링(26)은 활주 부재(22) 내에 제공된 수납 리세스(22b) 내에 수납된다. 코일 스프링(26)의 일단부는 수납 리세스(22b)의 벽면에 인접하고 타단부는 아암부(3a)에 제공된 스토퍼(27)에 인접한다. 따라서, 활주 부재(22)가 내부로 가압될 때, 코일 스프링(26)은 압축되고, 따라서, 대향 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이제 도2와 관련해서, 도3 내지 도9를 보면, 캠 기구(10)는 지지 프레임(3)의 아암부(3a)에 제공된 캠 홈(28)과, 캠 홈(28) 내로 삽입되고, 그 내부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핀(31)을 가지는 핀 판(30)과, 한정된 범위 내에서 각운동가능하게 핀 판(30)을 유지하기 위해 활주 부재(22) 내에 제공된 홀더 또는 리세스부(22c)와, 핀 판(30)을 캠 홈(28)을 향해 가압하기 위해 홀더부(22c) 내에 장착된 판 스프링(29)으로 구성된다. 헤드부(32)는 핀(31)에 근접한 핀 플레이트(3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핀 플레이트(30)의 헤드부(3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22d)는 홀더부의 전방에 위치된다.
홀더부(22c)의 크기 및 형상은 핀 플레이트(30)의 핀(31)이 캠 홈(28)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활주 부재를 활주 플레이트에 일체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캠 홈(28)의 위치는 카드 커넥터 조립체의 전체적으로 얇은 프로파일에 기여한다. 즉, 삽입된 카드의 표면에 사실상 평행한 평평면을 갖는 리브부(33)는 아암부(3a)의 측면 상에 구비되고, 캠 홈(28)은 리브부(33)의 표면 상에 구비된다. 상부 스테이지 캠 홈(28)은 도2에 도시된다. 또한, 캠 홈(28)은 리브부(33)의 하부면 상에 구비된다.(도3)
캠 홈(28)은 핀 플레이트(30)의 전진 위치를 한정하는 제1 캠 홈(281)과, 핀 플레이트(30)의 후퇴 위치를 한정하는 제2 캠 홈(282)과 핀 플레이트(30)의 임시 고정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캠 홈에 연속적인 제3 캠 홈(283)을 포함한다. 제3 캠 홈은 핀 플레이트(30)의 고정 위치가 카드의 방출 후에 설정되게 허용한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캠 홈(281) 및 제2 캠 홈(282)은 각각 진행로(GO path; L1) 및 복귀로(RETURN path; L2)에 상응한다. 핀 플레이트(30)의 핀(31)은 진행된 위치에서 활주 플레이트의 후퇴 위치의 제1 캠 홈(281)의 개시 단부(28a)에서 유지되도록 설정된다.
핀 플레이트(30)가 활주 부재(22)의 홀더부(22c) 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핀 플레이트(30)은 활주 부재의 후퇴 및 전진과 함께 이동한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가능 레버(35)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34)는 핀 플레이트(30)의 이동에 대해 이동하도록 아암부(3a) 내에 배치된다. 로드(34)의 일단부(34b)는 힌지에 의해 이동가능 레버(35)에 결합된다. 레버(35)는 피봇부(35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3) 내에 조립된다. 핀 플레이트(30)의 핀(31)이 캠 홈(28)의 전진 위치에 있을 때, 로드(34)의 타단부(34a)는 헤드부(32)의 조오부(jaw portion) 주위에 설정된다. 활주 부재(22)에 의한 활주 이동량은 어느 지점에서 인접이 발생하는 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에서 몇 몇의 슬랙(slack)을 제공하도록, 활주 부재(22)가 후퇴 위치(도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공차의 작은 양은 헤드부(32)의 조오부(32a)와 로드(34)의 단부(34a) 사이에 구비된다.
방출 장치(2)에 의한 카드의 방출 작동을 설명하다. 도5 내지 도9에는 카드 방출 작동 중에 일련의 캠 기구(10)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5는 카드가 삽입되기 전 또는 삽입되자마자 활주 부재(22)의 초기 위치에 상응한다. 이러한 경우, 활주 부재(22)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 후퇴 위치로 이동된다.
카드가 삽입된 후, 카드 커넥터(7)의 카드 및 단자(9a)의 접점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 버튼(21)이 푸싱되고 활주 부재(22)가 전진될 때, 핀 플레이트(30)은 활주 부재(22)의 이동에 따라 대응하여 전진한다. 이 때 코일 스프링(26)이 압축된다. 또한, 핀 플레이트(30)의 핀(31)은 계단식 표면의 존재로 인해 제2 캠 홈(28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국, 핀(31)은 제1 캠 홈[281; 즉 진행로(GO path; L1)]을 따라 이동하고, 헤드부(32)의 조오부(32a)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로드(34)의 단부(34a)에 인접한다.
활주 부재(2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코일 스프링(26)이 압축될 때, 핀 플레이트(30)의 핀(31)은 도7에 도시된 것처럼 푸시 로드(34)까지 제1 캠 홈(281)을 따라 이동한다. 결국, 이동가능 레버(35)는 피봇부(35a)를 중심으로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카드의 단부는 자유 단부(35b)에 의해 푸싱되어 카드는 방출된다. 이때, 핀(3)은 핀의 복귀를 방지하도록 계단식 표면(28c)을 통과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드와 카드 커넥터(7)의 단자(9a)의 접점은 전기 접촉이 끊기게 이동하고 카드는 방출된다.
활주 부재(22)의 이동이 정지될 때, 활주 부재(22)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26)의 힘에 의해 핀 플레이트(3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계단식 표면(28c)은 핀(31)의 복귀를 방지하고, 핀(31)이 제1 캠 홈(281)으로부터 제3 캠 홈(283; 도8)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핀 플레이트(30)의 헤드부(32)의 조오부(32a)와 로드(34)의 단부(34a) 사이의 결합은 해제된다. 따라서, 이것이 카드의 방출 또는 해제 상태이다.
활주 부재(22)가 (도1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될 때, 활주 부재(22)는 다시 푸싱되어 진행된다. 이것은 활주 부재(22) 및 핀(31)이 제3 캠 홈(283)의 복귀-방지 계단부(28d)를 통해 제2 캠 홈(282)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 부재(22)가 정지될 때, 활주 부재(22)는 코일 스프링(26)의 항력 또는 반박력에 의해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핀(31)은 제2 캠 홈[282; 즉, 복귀로(RETURN path) L2]을 통해 (도5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로부터 카드를 방출시키기 위한 간단하고 기계적 효율성을 갖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즉, 방출 장치(2)는 활주 부재(22)가 커버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3)의 아암부(3a) 상에 직접 조립된다. 따라서, 케이스 또는 커버와 같이 카트리지형 방출 장치용으로 이전에 요구되어 오던 요소들은 제거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 구성 요소의 갯수는 조립 단계의 수에 따라 감소되어 결국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캠 기구(10)의 캠 홈(28)은 캠 기구의 부품의 개수 및 조립 단계의 수를 감소시키는 데 더 기여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3)의 아암부(3a)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 홈(23, 24) 및 카드 안내부(5, 6)는 지지 프레임이 방출 기구에서 효과적으로 비용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3) 상에 구비된다. 캠 기구(10)는 지지 프레임(3) 상에 구비된 홈(28)과, 캠 홈(28)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핀 플레이트(30) 및 핀(31)과, 캠 홈(28) 방향으로 핀 플레이트(30)를 푸싱하기 위한 리프(leaf) 스프링(29; 스프핑 부재)과, 복귀 방향에서 활주 부재(22)를 후퇴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26)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3)은 안내 홈(23, 24) 및 카드 안내부(5, 6)가 프레임의 성형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도록 성형 수지로 제조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3)이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카드 커넥터(7) 및 기판 커넥터(8)를 포함하는 커넥터부(9)의 도전성 단자(9a)는 지지 프레임(3) 안으로 직접 조립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방출 장치는 지지 프레임에 직접 조립되어 부품수, 조립 단계의 수를 감소시키고 결국 전체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 및 재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기술 사상 또는 중심 특성의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예 및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측면에서 고려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2)

  1. 일반적으로 두 개의 평평하게 삽입되는 카드 부재를 수용 및 방출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이며, 카드 부재를 카드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의 대향 측면 상에 제공된 두 개의 아암부를 포함하는 U자형 지지 프레임과, 상기 카드 부재의 대응 접점과 접촉하기 위한 접점을 구비한 커넥터부와, 상기 카드 부재를 방출하기 위한 두 개의 방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방출 장치는 지지 프레임의 아암부들 중 하나의 일부분 상에 조립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한 활주 부재와, 상기 활주 부재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푸시 버튼과,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카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 프레임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가동 레버와, 상기 지지 프레임 내에서 활주 부재의 이동을 한정하는 캠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캠 기구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직접 제공된 카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아암부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캠 홈과, 상기 캠 홈 내에서 이동가능한 제1 핀을 갖는 제1 핀 플레이트와, 상기 캠 홈에 대해 핀 플레이트를 보유하기 위한 제1 스프링 부재와, 활주 부재를 후퇴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1 핀 플레이트를 캠 홈 내로 보유하기 위한 활주 부재의 리세스 내에 형성된 제1 홀더부를 포함하고, 삽입된 카드 부재에 사실상 평행한 일반적으로 두 개의 대체로 평행한 면을 갖는 리브부는 상기 아암부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캠 홈이 삽입된 카드 부재의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캠 홈이 리브부 면들 중의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부재는 제1 코일 스프링을 사실상 둘러싸고 유지하기 위해 활주 부재 내의 리세스에 형성된 제1 수용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캠 홈이 제1 캠 홈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캠 홈은 리브부의 타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2-7013714A 2000-04-12 2001-04-12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474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0703A JP2001307825A (ja) 2000-04-12 2000-04-12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00-00110703 2000-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976A KR20020087976A (ko) 2002-11-23
KR100474019B1 true KR100474019B1 (ko) 2005-03-10

Family

ID=1862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7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4019B1 (ko) 2000-04-12 2001-04-12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1307825A (ko)
KR (1) KR100474019B1 (ko)
CN (1) CN1269267C (ko)
AU (1) AU2001253433A1 (ko)
TW (1) TW492587U (ko)
WO (1) WO20010803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4545B2 (ja) * 2002-12-27 2010-01-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I283500B (en) * 2005-11-14 2007-07-01 Fci Asia Technology Pte Ltd Mechanism for ejecting a ca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458B2 (ja) * 1997-06-03 2003-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1146083C (zh) * 1997-10-15 2004-04-14 姚立和 一种记忆卡匣插座
JP3701792B2 (ja) * 1998-04-10 2005-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53433A1 (en) 2001-10-30
JP2001307825A (ja) 2001-11-02
WO2001080373A3 (en) 2002-03-21
TW492587U (en) 2002-06-21
WO2001080373A2 (en) 2001-10-25
CN1269267C (zh) 2006-08-09
KR20020087976A (ko) 2002-11-23
CN1423851A (zh)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890B2 (en)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ejection device
US6162075A (en) PC card connector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US4887188A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KR100414847B1 (ko) 배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US6319028B1 (en)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EP1160931B1 (en) Card connector device
KR20030063172A (ko) 카드 커넥터
US20040043664A1 (en) Card connector
JP3896078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6142801A (en) PC card connector
US7329134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246312B1 (en) Card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first accommodating position and second accomodating position
US6379167B1 (en) Multimedia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US20030151901A1 (en) Card connector
CN101447613B (zh) 可通过简单的构造进行卡的保持状态的切换的卡连接器
CN110518382A (zh) 卡连接器
KR100679441B1 (ko) 카드의 튀어 나감과 배출 실패를 동시에 방지하는 카드커넥터
CN100449878C (zh) 记忆卡连接器
CN107636912B (zh) 卡连接器
KR100474019B1 (ko)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US5975930A (en) Slide fit connector
JP3935830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7086882B2 (en) Card connector having a retarding mechanism for retarding an ejecting operation of a card
JP3836979B2 (ja) カード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90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2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