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0804B1 -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804B1
KR100470804B1 KR10-2001-0062740A KR20010062740A KR100470804B1 KR 100470804 B1 KR100470804 B1 KR 100470804B1 KR 20010062740 A KR20010062740 A KR 20010062740A KR 100470804 B1 KR100470804 B1 KR 10047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exhaust gas
water
washing water
waste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408A (ko
Inventor
임호권
Original Assignee
임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권 filed Critical 임호권
Priority to KR10-2001-006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80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408A/ko
Priority to PCT/KR2002/001902 priority patent/WO200303836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8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텐터)의 가동 중에는 많은 수증기와 함께 고온의 폐열이 가스상 공해물질로 발생되고 이들은 대기 중에 그대로 방출되어서 많은 에너지 손실과 대기오염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선 발명으로서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 적용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와 이를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가 제공되었으나 부피가 크고 열교환기 전열면 세척장치의 작용이 부실하여 폐열회수율이 낮으며, 세척수의 폐수량이 많고 실용성과 경제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부피가 작아 설치가 용이하고, 열교환율이 높은 폐열회수장치와, 이 폐열회수장치에 적용되어 열교환기의 전열면을 연속적이면서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와,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세척수를 여과시켜 재활용하도록 하는 전열면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조합하여 배출가스 중의 고형물질을 분리제거하고 폐열 중의 현열 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또는 2차 폐열회수장치를 갖고 배출가스중의 잠열도 회수할 수 있으며, 또한 탈취장치를 갖고 배출가스 중의 가스상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대기오염도 낮출 수 있는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waste-heat recovering system and cleaning-water auto filtering system and exhaust-gas regenerative system for tenter}
본 발명은 섬유 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사용되는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 원단의 생산공정에 있어서 대부분의 원단은 섬유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챔버 외부에서 수분, 수지, 화공약품 등을 원단에 투입시키는 침전공정과, 맨글(mangle)에 의한 탈수공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섬유 종류와 생산량에 적합하게 수개의 (4~10개 정도) 챔버로 형성된 후가공장치(텐터)를 통과시키면서 건조공정, 열처리공정 등을 시행하여 섬유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섬유 후가공장치의 가동시에는, 챔버 내부에서 순환되고 있는 고온의 공기에 의하여 건조공정에서는 원단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발생하고, 열처리 공정에서는 수지 및 화공약품의 처리에 의한 가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후가공장치에는 원단 건조에 필요한 챔버 내부의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고 발생가스의 폭발 하한선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챔버 내부의 고온의 공기와 발생가스를 배출송풍기에 의해서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수단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챔버 전면의 원단 입구통로와 챔버 후면의 원단 출구통로를 통해서 신선한 공기가 챔버 내부로 유입되어 챔버 내부의 건조에 필요한 습도와 폭발 하한선 농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챔버 전,후면으로 찬 공기가 유입되면 챔버 내부에서 순환되고 있 는 고온의 가스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챔버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고온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챔버 내부에 부분적인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건조, 열처리하고자 하는 원단에 영향을 미쳐서 섬유원단의 가공 불량이 초래된다.
또한 챔버 전후면 원단 입,출구 통로로 저온의 찬공기가 전량 유입되므로 후가공장치를 이루는 전면의 첫 번째 챔버와 후면의 마지막 챔버에서는 다른 중간 챔버들 보다 온도 저하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배풍기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수증기는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그대로 배출되는 바, 이 배출가스와 수증기는 고온이어서 열량이 그대로 소실되는 에너지 낭비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입자상 물질인 섬유 찌꺼기의 비산 먼지와 수지 및 화공 약품으로 인한 가스상 물질이 포함되어 배출되므로 충분히 정화하지 않으면 심각한 대기오염도 유발하는 등의 공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서의 에너지 낭비 및 공해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 여러 가지 폐열회수장치 및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들이 제공되어 있고, 최근의 것으로는 공개특허 2000-30094호로 공개된 폐열가스 재처리장치가 있다.
지금까지 제공된 상기한 선 발명들은, 챔버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로에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장치한 폐열회수장치를 구비하여, 이 열교환기에 의해서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온하여 공급하는 구성과, 폐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배기관로의 끝단에 습식세정장치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선 발명들의 구성에 의하면, 이론적으로는 챔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온 할 수 있으므로서, 에너지 절감과 챔버 내부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정화시켜 공해문제도 다소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실질적으로는 폐열회수장치의 설비비, 효율, 보수성, 적용성 및 운영상의 경제성에 따라서 실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폐열회수장치의 열회수율이 높아도 설비비가 고가이거나 적용장치의 보수성이 나쁘고 유지비가 높으면 폐열회수장치의 적용이 어려운 것이다.
상기 선 발명이나 종래의 폐열회수장치들은 이론적으로는 폐열회수장치 자체의 효율은 인정되나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 선 발명을 포함한 대부분의 종래 폐열회수장치들은 핀형 또는 수평관형 열교환기를 채용하고 있는 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서의 배출가스는 고온의 수증기와 함께 입자상 물질인 섬유 찌꺼기의 비산 먼지와 수지 및 화공 약품으로 인한 가스상 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서, 핀형 또는 수평관형 열교환기에서는 이 배출가스가 진액상으로 열교환핀이나 열교환 관로의 전열면에 부착되어 단 기간내에 열교환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열교환부 전열면의 열교환율 저하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열교환부인 전열면에 대하여 정기적인 청소작업을 시행하거나, 세척장치를 부설하는 방법이 있는 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보편적인 스팀청소방법은 매우 과다한 작업공수가 요구되어 청소 비용이 많이 들고, 결정적으로는 24시간 연중 지속적으로 가동시켜야 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 등은 작동 특성상 열교환기의 청소를 위하여 후가공장치를 장시간 중단시킬 수 없으므로서 스팀청소방법의 적용이 어려웠다.
따라서 열교환부 전열면의 열교환율 저하현상을 해결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후가공장치의 가동 중에도 열교환기 전열면을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부설하는 방법이다.
종래에 수평관형 열교환기를 사용한 선 발명의 폐열회수장치에는 수평으로 설치된 전열파이프 전열면의 세척장치로써 수직 왕복이동식 세척수 자동분사장치가 적용되어 있었다.
이 수직 왕복 이동식 세척수 자동분사장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관판 측에 상하 왕복 이동식 노즐을 구비하여, 전열면인 전열파이프 내벽에 일정 주기로 압력을 갖고 세척수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직 왕복 이동식 세척수 자동분사장치에 의하면, 배출가스가 전열파이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출가스에 포함된 비산먼지와 수지 및 화공약품으로 인한 가스상 물질이 전열파이프의 내벽에 진액상으로 접착되는 현상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었으나, 전열파이프가 수평형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 왕복 이동식 세척수 자동분사장치로부터 세척수가 압력 분사되었을 때, 세척수의 압력은 전열파이프의 전방측에서는 전 내벽에 골고루 작용하나, 후방측으로 가서는 분사압력이 약해져 전열관 내벽을 골고루 세척하지 못하며, 세척수가 전열관 밑면 측에 고여 흘러 가면서 세척하게 되어 세척효과가 매우 불안정하고 미약한 단점이 있었고, 이 로 인하여 전열면 세척장치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열교환기의 열교환율이 설계치 보다 반감되어 폐열회수율이 낮아지므로서 실용성이 거의 없었던 것이다.
또한 핀형이나 수평관형 열교환기는 현재 현장에서 가동되고 있는 후가공장치의 배출가스로부터 적정의 폐열회수효율을 얻기 위하여서는 열교환기를 챔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계하여야 되는 바, 단위 챔버의 길이가 대략 3m 인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 챔버의 상단에 설치할 시에는 전체 폐열회수장치 설비가 여러 개의 챔버 전체의 상단에 일체로 많은 설치공간을 갖고 설치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배출가스 덕트 시설을 철거하고 다시 제작하여야하고, 챔버의 유지 보수작업에 간섭되며, 단위 챔버의 교환시에 폐열회수장치를 분해하거나 철거하여야되는 등의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하며, 폐열회수장치를 챔버 측방 또는 메인 배출관 상부에 설치할 시에는 별도 설치공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 발명의 전열면에 대한 세척수 분사장치를 구비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에 적용된 세척수 순환회로의 구성은,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출가스를 응축기에서 응축 집수하여 전열면을 세척하는 분사장치의 세척수로 공급하는 구성인 바,
현재의 섬유 후가공장치의 작업공정에서는 배출가스에 수분함유량이 거의 없는 마른 원단 가공공정에서는 세척수를 전부 냉수로 공급하여야하며, 기타의 건조공정에서도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는 배출되는 수증기량이 대략 300~500Kg/h 내외임을 감안 할 때 이를 전부 응축시켜 세척수로 공급할 경우에도 관형 열교환기의 전열면을 충분히 세척하기에는 매우 부족하여 별도로 저온의 냉수라인을 연결하여 보 충 급수하여야함으로, 이러한 경우에 세척수의 온도가 낮아서 전열면과 배출가스의 열을 빼앗아 열회수율을 저하시키며 또한 세척수 손실량이 많아 다량의 폐수를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출가스 중의 수증기를 응축하여 전열면을 세척할 때 배출가스에 함유된 비산먼지와 수지 및 화공약품으로 인한 가스상 물질에 의하여 생성되는 진액상의 침전물이나 고형물들이 함께 섞여서 분사 세척되므로, 노즐의 막힘을 유발하여 분사효율이 저하되고 전열면 오염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제반 종래 폐열회수장치들의 문제점들은 결론적으로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적용함에 있어서 경제성 및 유지 보수성, 열회수율, 효율성 등이 현저히 낮아서 현재까지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설치 자체를 거의 고려하지 않으므로서 전술한 후가공장치의 작동상의 문제점 및 에너지 낭비, 공해 문제점이 그대로 현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적용되는 폐열회수장치 또는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와 같이 제반 찌거기와 분진 및 화공약품들이 가스상으로 포함된 배출가스의 재처리장치에 사용하여도 전열면의 열교환 효율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보수 유지관리가 용이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판 열교환기의 상부 배기실에 설치되어 상기 판 열교환기 전열관의 전열면 전체에 대하여 세척수를 연속적이면서 고르게 분사할 수 있으며 동작부재가 없어 제작과 보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전열면 자동세척정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현재까지 제공된 섬유원단 후가공장치들에 적용할 시에 챔버의 상단에서 기존의 배출가스 덕트 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면서 나머지 빈 공간에 설치할 수 있음으로서, 기존 챔버에의 설치가 용이하고 챔버의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한 공간절약형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와 같이 배출가스에 제반 찌거기와 분진 및 화공약품들이 가스 상으로 포함된 배출가스의 폐열회수장치에 적용되는 제반 열교환기에서 배출가스 및 세척수에 함유된 고형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세척수의 리싸이클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세척수 사용량을 줄이고 세척수 연속 배출에 의한 폐수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손실도 줄일 수 있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응용하여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서 제반 섬유찌거기와 분진 및 수지, 화공약품들이 가스상으로 포함되어 배출되는 배출가스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출열을 최대로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폐수공해를 줄이며, 챔버 가동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고효율, 고품질이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성이 용이한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챔버로부터 페열회수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기회로에 대하여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배출가스 중의 고형물질과 수용성 수지를 포집함으로써 대기공해도 줄일 수 있는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챔버로부터 페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 또는 챔버로부터 페열회수장치 거치고 침전식 집진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대하여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을 실시하여 열회수율을 더욱 높이면서, 동시에 이 2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함유된 가스상 오염물질을 탈취 정화하여 적극적으로 공해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공해방지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함체 내에 수직방향으로 수열의 슬릿 장방형 전열관이 2패스 이상의 배기회로로 구성되어 공기실에 각각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가스 대 공기의 판 열교환기와, 상기 판 열교환기의 몸체 상단에 플랜지이음으로 조립되는 뚜껑체에 설치되어 상기 판 열교환기 전열관의 전열면 전체에 대하여 세척수를 연속적이면서 고르게 분사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와, 상기 판 열교환기의 1차 배기회로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단측으로는 흡기구을 구비하고 하측에 는 세척수 배수구가 하단에 설치된 1차 집수조와, 상기 판 열교환기의 2차 배기회로의 하단에서 상기 1차 집수조와 격판으로 격리되게 설치되어 후방에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세척수 배수구를 구비한 2차 집수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구성은, 상기 판 열교환기의 몸체 상단에 플랜지이음으로 조립되는 뚜껑체에 설치되어 뚜껑체의 전후단 또는 좌우단 어느 일 측으로 관통되고 상부 배기실에서 수 열의 슬릿 장방형 전열관들의 상방에 위치되게 횡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 열의 급수관들과, 상기 급수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 열교환기 전열관의 전열면 전체에 대하여 세척수를 연속적이면서 고르게 분사하는 수 십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본체와, 이 본체의 측방 또는 상방 어느 일 측에서 본체의 내부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세척수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배출수를 입수시키는 입수관과, 본체 내부에서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입수된 배출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고형물 걸름수단과, 본체의 일 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어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을 임의의 회전궤도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수부재와, 본체의 외측면 일방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수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와,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이 일정 위치에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에서 걸러진 고형물질을 탈리시키는 고형물 탈리장치와, 본체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입수관측 하단으로 입수된 배출수를 재 집수하여 배수시키는 배수조와, 본체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으로부터 고형물 탈리장치에 의하여 탈리된 고형물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구성은,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에 세척수 여과장치를 개재시켜서, 후가공장치의 챔버의 상단에서 챔버 내부의 배출가스를 모아 배출시키는 배출가스 배출관은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흡기구와 연결하고,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배기구에는 배출송풍기를 설치하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들은 각각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입수관에 연결하며,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와 세척수 여과장치의 배수조 사이에는 세척수 재공급수단용 순환펌프를 개재시켜서, 세척수 여과장치에서 정수된 고온의 세척수를 순환펌프에 의하여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 재 공급하며,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본체의 가온공기 공급회로는 공기송풍기를 개재하여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 내부에 재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구성은,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에 세척수 여과장치를 갖는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구성함 에 있어서, 세척수 여과장치의 배수조와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 사이에 유수(油水)분리장치를 개재시켜서, 유수분리장치에서 정수된 고온의 세척수를 순환펌프에 의하여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 재 공급하며,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본체의 가온공기 공급회로는 공기송풍기를 개재하여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 내부에 재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구성은, 챔버로부터 페열회수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기회로 일 측에 배출가스가 침전수를 통과하여 배출가스 중의 고형물질과 수용성 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구성은, 1차 열교환회로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대하여 핀 튜브 열교환기형 2차 열교환부에 의한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이 2차 열교환부를 통과한 배출가스 배기회로에 탈취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들을 첨부된 일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에는 본 발명들이 적용될 일 예의 4 챔버 사용식 섬유원단 후가공장치(텐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섬유직조기로부터 직조된 섬유원단(TX)은 섬유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침전조(ST)에서 수분, 수지, 화공약품 등을 원단에 투입시키는 침전공정을 거친 후, 맨글(MG)에서 원단의 탈수공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섬유 종류와 생산량에 적합하게 수 개의 챔버(CH1~CH4)들을 통과시키면서 건조공정, 열처리공정 등을 시행하여 섬유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2 는 상기한 일 예의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 종단면 구성도이고, 도3은 도2의 횡단면 구성도이다.
챔버(CH1~CH4)들의 구성은, 외체가 보온재(IS)로 보온된 몸체(CM)로 되어, 이 몸체(CM)의 내부 중간부에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중간부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섬유원단(TX)의 상,하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수 백개의 열풍노즐(HN)들이 설치된다.
상기 열풍노즐(HN)들은 열풍관(HP)에 연결된 수 개의 열풍배분박스(HD)들에 설치되고, 이 열풍관(HP)에는 히터(HT)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이 열풍송풍기(HB)에 의하여 재순환되는 구성이다.
챔버(CH1~CH4)들의 상부 일 측에는 챔버 내부의 가스(열풍) 일부를 배출하는 수 개의 가스배출관(GP)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수 개의 가스배출관(GP)들은 하나의 메인배출관(GM)에 연결되며, 메인배출관(GM)에는 하나의 배출송풍기(BW)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챔버(CH1~CH4)에 의하면, 챔버(CH1~CH4)들의 입구 및 출구 측 에서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찬 공기는 챔버 내부에서 순환되는 고온의 공기와 혼합되어 히터(HT)에 의하여 적정 온도의 열풍으로 가열되고, 이 가열된 열풍은 열풍송풍기(HB)에 의하여 열풍관(HP)과 열풍배분박스(HD)를 거쳐서 열풍노즐(HN)로 분사 시켜, 상,하 열풍노즐(HN) 사이로 통과하는 섬유원단(TX)을 건조 또는 열처리를 하게된다.
이러한 챔버(CH1~CH4)의 가동에 의한 섬유원단(TX)의 건조 또는 열처리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건조공정에서는 섬유원단(TX)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발생하고, 열처리 공정에서는 수지 및 화공약품의 처리에 의한 가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챔버(CH1~CH4)들의 가동 중에는 섬유원단(TX) 건조에 필요한 적절한 내부 습도를 유지하고 발생가스의 폭발 하한선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챔버 내부에서 순환되고 있는 고온의 공기와 발생가스의 일부를 가스배출관(GP)을 통하여 배출송풍기(BW)로 챔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챔버(CH1~CH4)의 내부에는 (-) 압력이 걸리면서 챔버 전면의 섬유원단 입구통로와 챔버 후면의 원단 출구통로들을 통해서 신선한 찬 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신선한 찬 공기는 상기 열풍노즐(HN)에서 섬유원단(TX)에 분사된 열풍과 혼합되어 온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히터(HT)에 의하여 적정의 온도로 가열된 후 열풍노즐(HN)로 재 분사된다.
도4 내지 도11에는 상기한 구성의 일 예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함체로 되어 전방측으로는 공기배출구(114)가, 후방측에는 공기필터(117)를 갖는 공기흡입구(113)가 설치된 열교환기 본체(101)와,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 내에서 수 열의 수직 판형 전열관(112)들에 의해 형성된 좌우 2패스의 1,2차 배기회로(110)(111)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의 1,2차 배기회로(110)(111)의 상방에는, 본체 (101)와 분리 가능하게 플랜지이음으로 설치되고 중간부에 좁은 폭의 요홈관(103)이 형성된 뚜껑체(102)에 의하여 일정 높이의 상부배기실(104)이 형성된다.
이 상부배기실(104)내에는 상기 수직 판형 전열관(112) 내벽 전체에 대하여 세척수를 연속적이면서 고르게 분사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의 1차 배기회로(110) 측의 하방에는 선단측으로 흡기구(11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세척수 배수구(108)를 구비한 1차 집수조(105)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의 2차 배기회로(111) 측의 하방에는 상기 1차 집수조(105)와 격판(107)으로 격리되고 후단측으로 배기구(116)를 구비하며 하측에는 세척수 배수구(109)를 구비한 2차 집수조(106)가 설치된다.
상기 일 실시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구성은, 챔버(CH1~CH4)들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열교환기의 1,2차 배기회로(110)(111)를 형성하는 판형 전열관(112)들의 내벽을 통과하는 동안에 내벽에 진액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계속적으로 세척하여 판형 전열관(112)의 전열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일 실시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구성은 세척수 분사장치와, 분사관 스윙장치로 구성된다(도9 참조).
세척수 분사장치는, 열교환기 본체(101)의 상부 일 측방 외부에 설치되는 세척수 급수주관(131)과, 상기 세척수 급수주관(131)과 일 측단이 후렉시블 연결관(132)으로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 상부배기실(104) 내부에서 뚜껑체(102)를 좌우로 관통하여 1,2차 배기회로(110)(111)의 전열면 상방으로 전열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수 개의 급수분지관(133)들과, 상기 급수분지관(133)들에서 각각 수 개의 연결관(134)들에 의하여 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1,2차 배기회로(110)(111)의 상방에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는 1,2차 노즐해더(135)(136)들과, 상기 1,2차 노즐해더(135)(136)들에 각각 설치되는 수 십개의 세척수노즐(137)들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분지관(133)들은 좌우측단이 열교환기 본체(101)의 측단에 고정된 브라켓(138)에 베어링(139)으로 지지되고, 중간부들은 상부배기실(104)의 뚜껑체 (102) 중간부에 형성한 요홈관(103)을 관통하여 베어링(139)으로 지지된다.
상기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분사관 스윙장치의 구성은, 상술한 분사장치의 급수분지관(133)들을 축으로 1,2차 노즐해더(135)(136)들을 1,2차 배기회로의 수직 전열관(112)에 대하여 일정 원호 궤적상으로 전후로 흔들어주는 장치이다.
분사관 스윙장치의 구성은, 열교환기 본체(101)의 외측방에서 각각의 급수분지관(133)들에 피봇형으로 고정되는 수개의 종동로드(122)들과, 이 종동로드(122)들의 하단들에 유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면서 동일한 각도로 연결하는 연결로드(123)와, 첫 번째 종동로드(122)를 반대편으로 연장한 회동로드(121)와, 상기 회동로드 (121)의 상단에 일 측단이 연결된 구동로드(124)와, 상기 구동로드(124)의 타 측단을 캠핀(126)으로 유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회전캠판(125)과, 상기 회전캠판(125)과 동축상으로 고정된 종동풀리(127)와, 상기 종동풀리(127)와 전동벨트(128)로 연결된 구동풀리(129)와, 상기 구동풀리(129)를 고정 축설한 기어드 구동모터(1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구성에 의하면,
세척수 분사장치의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일정 압력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이 세척수는 여러 개의 후렉시블 연결관(132)들을 통하여 각각의 급수분지관 (133)들로 공급되고, 각각의 급수분지관(133)들에서는 각각의 연결관(134)들을 통하여 1,2차 노즐해더(135)(136)들에 공급되면서 수 십개의 세척수노즐(137)들로 분사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세척수 분사작용과 동시에 분사관 스윙장치를 작동시키면, 기어드 구동모터(130)의 회전 구동력은 회전캠판(125)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캠판(125)에 캠핀(126)으로 연결된 구동로드(124)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첫 번째 급수분지관(133)에 피봇형으로 고정 축설된 회동로드(121)를 일정각으로 왕복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로드(121)가 일정각으로 왕복 회동되면, 회동로드(121)와 직선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첫 번째 종동로드(122)도 동일각으로 회동되면서, 이 첫 번째 종동로드(122)의 하단과 연결로드(123)에 의하여 동일각도로 연결된 나머지 종동로드 (122)들도 동일각으로 회동시킨다(도10 참조).
각각의 종동로드(122)들이 회동되면은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 각각의 급수분지관(133)들도 일정각으로 왕복 회동하면서, 급수분지관(133)의 하단에 연결관 (134)으로 설치된 1,2차 노즐해더(135)(136)들을 일정각으로 스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를 일 실시예의 폐열회수장치(100)의 상부배기실(104)에 설치한 상태에서 1,2차 노즐해더(135)(136)들의 스윙각도를 전체 판형 전열관(112)들을 수용하도록 설정하면, 세척수 분사장치와 세척수 스윙장치를 작동시킴에 의하여 세척수는 전체 판형 전열관(112)들의 상방에 골고루 분사되면서 각 전열관(112)들의 내벽을 타고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세척작용을 하게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는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는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의 적용성을 고려하여, 수 개의 챔버들의 상단에서 빈 공간에 설치되는 규격으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도28~29와 같이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는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서 단위 챔버의 평면상 표준규격은 대략 가로(L1)가 300Cm, 세로(L2)가 395Cm 이고, 이 단위 챔버들을 8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각각의 단위 챔버 별로 상단에 설치된 가스배출관 (GP)을 4개씩 모아서 하나의 메인배출관(GM)에 연결하고, 좌우 메인배출관(GM)들에는 각각 하나씩의 배출송풍기(BW)를 설치하여 배출가스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4번째 챔버(CH4)와 5번째 챔버(CH5) 사이의 상단에는 대략 가로(La)가 220Cm, 세로(L2)가 395Cm의 빈 면적이 형성되는 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는 상기의 4번째 챔버(CH4)와 5번째 챔버(CH5) 사 이의 상단에 형성된 빈 면적에 설치되는 규격으로 실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은, 챔버의 수량이 8개인 경우에는 4번째와 5번째 챔버 사이의 상단에 형성된 좌우 메인배출관 사이의 빈 면적에 설치하지만, 챔버의 수량이 6개인 경우에는 3번째와 4번째 챔버 사이의 상단에 형성된 좌우 메인배출관 사이의 빈 면적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챔버의 수량이 10개인 경우에는 5번째와 6번째 챔버 사이의 상단에 형성된 좌우 메인배출관 사이의 빈 면적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는 전술한 공지의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로 구성된다(도30 참조).
섬유원단 후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수 개의 챔버(CH1~CH4)들의 상단에서 챔버 내부의 배출가스를 배출시키는 수 개의 가스배출관(GP)들은 하나의 메인배출관(GM)에 연결하여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출가스 흡기구(115)에 연결하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출가스 배기구(116)에는 배출송풍기 (BW)를 설치하며, 열교환기 1,2차 집수조(105)(106)의 세척수 배수구(108)(109)들은 각각 여과망식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입수구(141)에 연결한다.
상기 열교환기 상부배기실(104)의 외측방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주관(131)에는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여과배수구(142)로부터 순환펌프(Pa)에 의하여 일정 압력을 갖고 여과된 세척수를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의 공기배출구(114)에는 공기송풍기(BA)를 개재하여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CH1~CH4)들 내부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연결된다.
미설명 부호 143은 여과망이고, 부호 Wa는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보충수 공급용 볼탑이며, 부호 Wb는 오버 플로우이고, 부호 Va는 세척수 공급량 조절밸브이며, 부호 Vb는 세척수 배수라인의 퇴수구이며, 부호 Vc는 세척수 수동여과장치 (140)의 퇴수구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와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를 적용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1 에서와 같이, 섬유직조기로부터 직조된 섬유원단(TX)은 침전조(ST)에서 수분, 수지, 화공약품 등을 섬유원단에 투입시키는 침전공정을 거친 후, 맨글(MG)에서 섬유원단의 탈수공정이 실시되고, 이어서 가동되는 수 개의 챔버(CH1~CH4)들에 통과시키면서 섬유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건조공정, 열처리공정 등이 실시된다.
이 과정에서 섬유원단(TX)은 가동되는 챔버(CH1~CH4)들의 내부 중간부를 가로 질러 통과할 때에 상하 열풍노즐(HN)들의 사이로 통과하게되어, 열풍노즐(HN)에서 분사되는 약 150~220℃ 내외의 고온의 열풍에 의하여 건조, 열처리된다.
상기한 챔버(CH1~CH4)들에 의한 섬유원단의 건조공정이 실시되면 섬유원단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고온의 수증기가 발생하고, 열처리 공정에서는 수지 및 화공약품의 처리에 의한 가스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수증기와 가스가 포함된 순환공기 중의 일부는, 폐열회수장치 (100)의 배출가스 배기구(116)에 설치된 배출송풍기(BW)에 의하여, 원단 건조에 필요한 챔버 내부의 적절한 습도를 유지시키고 발생가스의 폭발 하한선 농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각각의 챔버(CH1~CH4)들에 설치된 수 개의 가스배출관(GP)들과 메인배출관(GM)을 통하여 배출가스로 배출되며, 상술한 구성으로 가동되고 있는 폐열회수장치(100)의 열교환기 본체(101)의 하방에 설치된 흡기구(115)를 통하여 1차 집수조(105) 내부로 인입된다.
1차 집수조(105)에 인입된 배출가스는 열교환기의 1차 배기회로(110)를 형성하는 수 개의 판형 전열관(112)들을 통하여 상부배기실(104)로 상승된 후, 다시 2차 배기회로(111) 측의 판형 전열관(112)들을 통하여 2차 집수조(106)로 하향한 후에 배기구(116)를 통하여 배출송풍기(BW)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폐열회수장치(100)에서의 배출가스 배출회로에 의하면, 열교환기 본체(101)에서 후방측 공기흡입구(113)를 통하여 인입되는 공기가 판형 전열관(112)들의 외면들을 거쳐서 전방측 공기배출구(114)로 배출되는 동안에, 배출가스에 의하여 가열된 판형 전열관(112)과 상하 격리판(관판)에 의하여 배출가스 대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되어, 가열된 공기는 공기송풍기(BA)에 의하여 챔버(CH1~CH4)들의 내부에서 순환되고 있는 열풍에 신선한 공기로 공급되어 혼합됨으로서, 챔버 내부는 섬유원단 건조에 필요한 습도 및 가스 폭발 하한선 농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폐열회수장치(100)에서의 배출가스 배출회로에 의하면, 배출가스는 고온의 수증기와 함께 입자상 물질인 섬유 찌꺼기의 비산 먼지와 수지 및 화 공 약품으로 인한 가스상 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으로서, 배출가스가 1,2차 배기회로(110)(111)를 형성하는 판형 전열관(112)들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판형 전열관(112)들의 외면을 통과하는 낮은 온도의 공기에 의하여 응축되면서, 진액상으로 1,2차 배기회로의 판형 전열관(112)들의 내벽에 부착되어 전열면이 오염된다.
이러한 배출가스의 응축에 의하여 진액상으로 1,2차 배기회로의 판형 전열관(112)들의 내벽에 부착되는 오염상태는 상기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가동에 의하여 제거된다.
폐열회수장치(100)에 설치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를 가동시키면,
급수주관(131)에는 순환펌프(Pa)에 의하여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로부터 여과된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이 세척수는 급수분지관 (133)과 연결관(134)들을 거쳐서 1,2차 노즐해더(135)(136)들에서 세척수노즐(137)들로 분사된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1,2차 노즐해더(135)(136)들은 전술한 세척수 분사관 스윙장치의 가동에 의하여 세척수노즐(137)들이 1,2차 배기회로(110)(111)들의 상방에서 일정 폭으로 왕복 스윙하게되어, 각각의 판형 전열관(112)들의 내벽에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시키게 된다.
각각의 판형 전열관(112)들에 골고루 분사되는 세척수는 전열관(112)의 내벽을 타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흘러 내리면서 전열관(112)의 내벽에 응축되는 수증기 응축수와 배출가스에 의한 진액 및 고형물질을 씻어 내리게 되어, 최종적으로 각각 의 1,2차 배기회로(110)(111)의 하방에 설치된 1,2차 집수조(105)(106)에 진액,고형물질과 함께 오염세척수로 집수되며, 이 오염세척수는 각각의 세척수 배수구(108)(109)를 통하여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입수구(141)로 배출된다.
고형물질이 포함된 오염세척수가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입수구(141)로 투입되면, 오염세척수는 여과망(143)을 통과하면서 진액과 고형물질들이 걸러져서 여과된 세척수만 여과배수구(142)로 배출된 후, 순환펌프(Pa)에 의하여 상기 폐열회수장치(100)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 급수주관(131)에 세척수로 재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와, 일 실시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와, 일 예의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 및 이들을 적용한 일 실시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에 의하면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CH1~CH4)들의 가동에서 열풍노즐(HN)로 분사하는 열풍의 온도를 180℃로 가동할 경우에, 가스배출관(GP)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는 대략 160℃ 내외의 온도로 배출되는 바, 이 고온의 배출가스가 상술한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에서 1,2차 배기회로 (110)(111)를 거쳐서 배기구(116)로 배출될 때는 약 70℃ 내외로 낮출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에서 챔버(CH1~CH4)에 공급된 열량의 약 26~30% 내외의 열량을 회수하여, 이 회수열량의 대부분은 판형 열교환기에 의하여 배출가스 대 공기 열교환으로 공기흡입구(113)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 여 공기배출구(114)를 통하여 다시 챔버(CH1~CH4)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바, 챔버(CH1~CH4)들의 내부에서 섬유원단(TX)에 분사되는 열풍노즐(HN)의 열풍온도를 적어도 180℃ 내외로 가열시켜야 하는 히터(HT)의 열교환 부하율(가동율)을 대폭 낮출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뿐 아니라 현저한 에너지 절감을 하게 된다.
또한 배출가스 회수열 중에서 일부 잔열은 폐열회수장치(100)에서 전열관 (112)들을 씻어주는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에서 고형물질이 여과되어 다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에 재 공급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게됨으로, 이로 인하여 세척수로 인한 전열관(112)의 온도저하를 방지하여 2차적인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는다.
또한 챔버(CH1~CH4)들로부터의 배출가스를 공기중에 그대로 배출하던 것을, 배출가스를 폐열회수장치(100)의 1,2차 배기회로(110)(111)를 거쳐 열교환시키는 과정에서 전열관(112)들의 내벽 전열면 전체를 씻어 내리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특성에 의하여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용성가스의 제거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폐열회수장치(100)에 세척수 수동여과장치 (140)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열교환기 전열관(112)을 세척할 때 세척수에 의하여 걸러진 고형물질을 세척수와 분리시켜 처리할 수 있어서, 일차 사용한 세척수는 자연 손실분과 유분(油分) 농도가 높아져 퇴수시키는 극히 적은 량만 보충하면서 거의 그대로 재 활용하게되어 세척수의 사용량을 대폭 줄이면서, 종래에 폐 세척수를 그대로 방출하는 구성에 비하여 하천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를 구비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의 구성에서는, 상기 폐열회수장치의 가동 중에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서 분사되어 전열관(112)들의 내벽을 세척한 후 고형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척수의 재활용을 위하여, 세척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망식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과망식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는 폐열회수장치(100)의 판형 전열관(112)에서 진액과 고형물질이 많이 생성될 경우에 처리용량면에서 부족할 수 있고, 여과망을 수시로 교체하여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12내지 도16에는 상기와 같은 여과망식 세척수 수동여과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처리용량도 높고 연속적으로 고형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일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구성은, 상기 폐열회수장치의 가동 중에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서 분사되어 전열관(112)들의 내벽을 세척한 후 고형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척수의 재활용을 위하여, 세척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걸름수단을 연속 사용형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고형물을 별도로 분리 배출시켜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일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는 일정 크기의 장방형 본체(151)와, 이 본체(151)의 좌측판(151a)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폐열회수장치 (100)의 1,2차 집수조(105)(106)의 세척수 배수구(108)(109)와 연결되어 1,2차 집수조(105)(106)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입수시키는 입수구(160) 와,
본체(151)의 중간부 측방에서 본체의 전,후면판(151b,152c)을 관통하여 베어링(153)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수평축(154)과, 본체(151)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축(154)의 둘레에 고정되는 원통(155)과, 상기 원통(155)의 둘레에 날개형으로 등 간격을 갖고 부착되어 상기 입수구(160)로부터 입수된 배출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수 개의 고형물 걸름망(156)들과, 상기 걸름망(156)들의 하방에 각각 박스형으로 부착되어 후방측을 개방한 개구부(157a)를 구비한 수 개의 배출박스(157)들과,
상기 입수구(160)의 반대편에서 본체(151)의 후면판(152a)에 부착되어 상기 배출박스(157)의 개구부(157a)들의 회전 궤적내에 설치되는 배풍구(158)와, 이 배풍구(158)에 하향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걸름망(156)의 이면에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송풍기(159)와,
상기 본체(151)의 하단 좌측에서 상기 입수구(160)측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배수구(162)를 구비하여 입수구(160)로부터 걸름망(156)으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배출수를 집수하는 여과집수조(161)와, 상기 본체(151)의 우측 하방에서 상기 여과집수조(161)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형물 배출구(164)를 구비하여 상기 고형물 걸름망(156)으로부터 탈리된 고형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163)와,
상기 배출박스(157)의 개구부(157a)가 위치되는 본체(151)의 후면판(151c) 좌측면 상하에 걸쳐서 일정 폭으로 확장되는 배수함체(165)와, 상기 수평축(154)의 일 측단에 고정 축설된 종동풀리(166)와, 상기 종동풀리(166)와 전동벨트(167)로 연동되는 구동풀리(168)를 축설하여 본체(151)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되는 기어드모터(16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는 전술한 공지의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와 함께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로 구성할 수 있다(도31 참조).
섬유원단 후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수 개의 챔버(CH1~CH4)들의 상단에서 챔버 내부의 배출가스를 배출시키는 수 개의 가스배출관(GP)들은 하나의 메인배출관(GM)에 연결하여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출가스 흡기구(115)에 연결하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출가스 배기구(116)에는 배출송풍기 (BW)를 설치하며, 열교환기 1,2차집수조(105)(106)의 세척수 배수구(108)(109)들은 각각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입수관(160)에 연결한다.
상기 열교환기 상부배기실(104)의 외측방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주관(131)에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여과집수조(161)에 집수된 여과 세척수를 순환펌프 (Pa)에 의하여 일정 압력을 갖고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의 공기배출구(114)에는 공기송풍기(BA)를 개재하여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CH1~CH4)들 내부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와 일 실시예 세 척수 자동여과장치(150)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의 작동상태 중에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와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작동상태는 일 실시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와 동일하다.
단,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구성에 의하여, 폐열회수장치 (100)에 설치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전열관(112)들을 세척하면서 배출가스에 의하여 생성되는 진액과 고형물질을 포집하여 배수구로 배출되는 오염세척수를 다음과 같이 연속적으로 여과, 정수시켜서 재순환 용량을 높이고 고형물질을 분리 배출시킬 수 있다.
폐열회수장치(100)에 설치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각각의 판형 전열관(112)들에 골고루 분사되어, 전열관(112)의 내벽을 타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흘러 내리면서 전열관(112)의 내벽에 응축되는 수증기 응축수와 배출가스에 의한 진액 및 고형물질을 씻어 내리게 되고, 최종적으로 각각의 1,2차 배기회로(110)(111)의 하방에 설치된 1,2차 집수조(105)(106)에 진액,고형물질과 함께 오염세척수로 집수되며, 이 오염세척수는 각각의 세척수 배수구(108)(109)를 통하여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입수구(160)로 배출된다.
고형물질이 포함된 오염세척수가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입수구(160)로 투입되면, 오염세척수는 일차적으로 기어드 모터(169)에 의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걸름망(156)들에 투입되므로 세척수는 밑으로 빠지고 고형물질은 망에 걸러진다.
회전하는 걸름망(156)들에서 고형물질이 걸러진 세척수는 걸름망(156)의 밑 면에 일체로 설치된 배출박스(157)에서 일 측의 개구부(157a) 측으로 흘러서 배수함체(165)측으로 하향 배수되어 여과집수조(161)로 집수된 후에 배수구(162)에서 배관된 순환펌프(Pa)에 의하여 급수주관(131)에 재 공급된다.
한편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에서, 입수구(160)들에 뿌려진 오염세척수로부터 고형물질을 걸러준 걸름망(156)들은 우측으로 계속하여 회전하게됨으로, 걸름망(156)들과 일체로 고정된 배출박스(157)들의 개구부(157a)들이 우측으로 회전하여 배풍구(158)가 설치된 위치에 이르게되면,
배풍구(158)에 설치된 송풍기(159)의 풍량은 배출박스(157)에 의하여 외부로의 누설이 최대한으로 방지되면서, 배출박스(157) 내부에 풍압이 형성되어 걸름망(156)의 이면측으로만 작용되어, 걸름망(156)들에 걸러진 고형물질들을 하방으로 불어 내려서 탈리시키게 된다.
송풍기(159)의 풍압에 의하여 걸름망(156)들에서 하방으로 탈리된 고형물질들은 고형물 배출조(163)에 모아짐으로, 고형물배출구(164)로 배출시켜서 임의의 처리장치로 이송하여 폐기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와 이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재처리장치(60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폐열회수장치의 가동 중에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서 분사되어 전열관(112)들의 내벽을 세척한 후 고형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척수를 여과 정수함에 있어서, 세척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고형물질을 세척형 걸름망(156)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걸러줄 수 있으므로, 진액과 고 형물질이 많이 생성되는 고용량에 있어서도 원만하게 고형물질을 걸러줌은 물론 여과망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장시간에 걸쳐서 무정지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세척수의 재순환 용량을 늘리고, 고형물질을 세척수와 분리하여 별도로 소각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17~18에는 본 발명 중의 일 구현예인 폐열회수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다른 실시예의 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로 형성한 다른 실시예의 폐열회수장치(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폐열회수장치(200)는 전술한 일 실시예 폐열회수장치 (100)의 판형 열교환기 기본 구성은 원용하면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 구성이 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230)로 대체된 구성이다.
상기 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230)는, 세척수노즐 (237)이 전후방 간으로 수 십개 설치된 노즐해더(235)가 폐열회수장치 (200)의 뚜껑체(202)로 형성한 상부배기실(204) 내에서 좌우로 왕복 수평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배기실(204)에는 좌우측 스프라킷축(243)(244)이 뚜껑체(202)의 전후면판(202a)(202b)의 양측단을 관통하여 각각 베어링(239)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우측 스프라킷축(244)에는 종동스프라킷(246)이 축설되어 기어드 구동모 터(249)의 구동스프라킷(248)과 구동체인(247)으로 연결된다.
상기 좌우측 스프라킷축(243)(244)들에는 상부배기실(204)내에서 각각 전후방에 좌우측 스프라킷(240)들이 고정 축설되고, 이 좌우측 스프라킷(240)들에는 각각 전후 체인열(241)(242)들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 체인열(241)(242)들 간에는 체인열의 하부열에 노즐해드(235)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전후단이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안내레일(234)에 얹혀지고, 노즐해드(235)의 일 측단에는 후렉시블 급수관(232)의 끝단이 연결되며, 이 후렉시블 급수관(232)의 시작단은 뚜껑체 측면판(202c)을 관통하여 설치된 급수주관(23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 폐열회수장치(200)의 일 구성요소인 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230)는 다음과 같이 작동 제어된다.
상기 노즐해더(235)는 상부배기실(204)내에서 전열관(212)들의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왕복 수평이동하는 행정을 갖는다.
이러한 노즐해더(235)의 왕복 수평이동행정은 구동축인 우측편 스프라킷축 (244)을 구동모터(249)로 양방향 간헐 회전제어로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49)의 회전제어로 노즐해더(235)를 상부배기실(204)내에서 전열관(212)들의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왕복 수평이동시키면, 급수주관 (23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후렉시블 급수관(232)을 통하여 노즐해더(235)에 공급되고, 노즐해더(235)에서는 하단에 수 십개 형성한 세척수노즐(237)을 통하여 하방으로 분사되면서 1,2차 배기회로(210)(211)의 전열관(212)들을 세척하게된다.
이러한 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23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의 구성과 비교하여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법상의 차이는 있으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폐열회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형 열교환기의 전열관들에 대하여 연속적이면서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도19~23에는 본 발명 중의 일 구현예인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2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25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와 비교하여 걸름수단에 의하여 걸러진 고형물질을 탈리시키는 구성을 달리한 실시예이다.
상기 다른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250)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본체(251)와, 이 본체(251)의 좌측판(251a)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와 연결되어 1,2차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입수시키는 입수구(260)와,
본체(251)의 중간부에서 본체의 전,후면판(252,252a)을 관통하여 베어링 (253)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수평축(254)과, 본체(251)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축(254)의 둘레에 고정되는 원통(255)과, 상기 원통(255)의 둘레에 날개형으로 등 간격을 갖고 탄성편(257) 부착되어 상기 입수구(260)로부터 입수된 배출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수 개의 고형물 걸름망(256)들과, 상기 본체(251)의 내부 우측 하방에서 걸름망(256)들의 선단부 회전 궤적내에 원호선상으로 설치되어서 걸름망의 선단부(256a)와 일정 폭만큼 접촉되게 둘레에 로울러(259)를 갖고 설치되는 수 개의 제어봉(258)(258a)들과,
상기 본체(251)의 하단 좌측에서 상기 입수구(260)측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배수구(262)를 구비하여 입수구(260)로부터 걸름망(256)으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배출수를 집수하는 여과집수조(261)와, 상기 본체(251)의 우측 하방에서 상기 여과집수조(261)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형물 배출구(264)를 구비하여 상기 고형물 걸름망(256)으로부터 탈리된 고형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263)와,
상기 수평축(254)의 종동풀리(266)와 전동벨트(267)로 연결된 구동풀리(268)를 고정 축설하여 수평축(254)를 회전제어하는 기어드모터(26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250)는, 기어드모터(26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제어하여 걸름망(256)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서,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에서 고형물질이 포함된 세척수를 입수구(260)를 통하여 본체(251) 내부로 투입시키게 배관하고, 본체(251) 하방의 여과집수조(261)의 배수구(262)는 순환펌프(Pa)를 개재하여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연결한다.
폐열회수장치의 가동에 의하여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에서 고형물질이 포함된 오염세척수가 입수구(260)를 통하여 본체(251) 내부로 투입되면, 오염세척수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걸름망(256)들에 투입되므로 세척수는 밑으로 빠져 여과집수조(261)로 집수된 후에 배수구(262)를 통하여 다시 순환펌 프(Pa)에 의하여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공급되고, 고형물은 망에 걸러진다.
고형물을 걸러준 걸름망(256)들은 우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본체(251)의 우측에서는 뒤집히게 되어 걸러진 고형물의 일부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의 고형물배출조(263)로 낙하된다.
고형물을 걸러준 걸름망(256)이 계속하여 우측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걸름망 선단부(256a)가 첫 번째 제어봉(258)의 로울러(259)에 걸리게 되면, 도21과 같이 원통(255)은 일정 각도까지 계속 회전하여도 걸름망 선단부(256a)가 첫 번째 제어봉(258)의 로울러(259)에 걸린 하나의 걸름망(256) 전체는 탄성편(257)이 일정 각도로 휘어지면서 하방으로의 탄력을 갖고 일시적으로 회전이 제어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원통(255)이 회전하면 첫 번째 제어봉(258)의 로울러(259)에 걸려있던 걸름망 선단부(256a)는 하방으로 당겨져 벗어나게 됨으로, 걸름망 선단부(256a)가 첫번 째 제어봉(258)의 로울러(259)를 벗어나는 순간에 걸름망(256)은 휘어져 있던 탄성편(257)의 탄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튕겨지게된다 (도22 참조).
따라서 튕겨지는 걸름망(256)에 걸러져 있던 고형물은 튕김력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걸름망(256)에서 탈리되어 하방의 고형물배출조(263)로 낙하된다.
이러한 걸름망(256)들의 첫 번째 제어봉(258)과의 튕김작용은 두 번째 제어봉(259)에서도 동일하게 작용되어, 걸름망(256)에 걸러진 고형물의 강제적인 탈리작용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제어봉(258)(258a)들에 축설된 로울러(259)들은, 합성수지 나 고무류의 완충재질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어봉(258)(258a)들의 표면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는 바, 걸름망 선단부(256a)의 접속시와 이탈시에 접촉부위의 마찰을 줄여서 소음과 마모를 줄이고 부드럽고 원활한 작동을 유기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250)는 전술한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구성과 비교하여 고형물질 걸름수단과 탈리장치의 구성상 차이는 있으나, 폐열회수장치로부터 오염세척수가 투입되면 걸름수단인 걸름망(256)에 의하여 오염세척수에서 고형물질을 분리시켜 세척수로 재 공급할수 있도록 여과하고, 걸름망(256)에 걸러진 고형물질은 탈리장치인 탄성편(257)과 제어봉(258)(258a)들에 의하여 탈리시켜서 별도의 배출조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인 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형 열교환기의 전열관들에 대하여 연속적이면서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고 제반 효과를 증진시키는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도24~27에는 본 발명 중의 일 구현예인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3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또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35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와 비교하여 걸름수단에 의하여 걸러진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걸름수단과 탈리시키는 구성을 달리한 실시예이다.
상기 또 다른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350)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본체(351)와, 이 본체(351)의 상면판(35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와 연결되어 1,2차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 를 본체의 내부로 입수시키는 입수구(360)와,
본체(351)의 내부 중간 높이 좌우측에서 본체의 전,후면판(352,352a)을 관통하여 베어링(353)들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좌우측 회전축(354)(355)과, 상기 좌우측 회전축(354)(355)에 걸쳐서 무환궤도로 설치되고 상기 입수구(360)로부터 입수된 오염세척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컨베어형 걸름망(356)과, 상기 컨베어형 걸름망(356)의 우측 하방에서 본체의 전,후면판(352,352a)을 관통하여 베어링(353)들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고 외면에는 상기 컨베어형 걸름망(356)의 우측 하면에 접속되는 원통부러쉬(359)를 구비하는 부러쉬축(358)과, 상기 본체(351)의 하단 좌측에서 상기 입수구(360)측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배수구(362)를 구비하여 입수구(360)로부터 컨베어형 걸름망(356)으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배출수를 집수하는 여과집수조(361)와, 상기 본체(351)의 우측 하방에서 상기 여과집수조(361)의 우측편 원통부러쉬(359)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형물 배출구(364)를 구비하여 상기 원통부러쉬(359)로부터 탈리된 고형물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363)와,
상기 우측 회전축(355)과 부러쉬축(358)에 각각 고정 축설되는 종동스프라킷 (365)(366)들과, 상기 종동스프라킷(365)(366)들 간을 연결하는 구동체인(367)과,상기 구동체인(367)의 일 측에 접속되게 설치되는 텐션스프라킷(368)과, 상기 우측 회전축(355)에 축설되는 기어드모터(36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350)는, 기어드모터 (369)를 회전제어하여 컨베어형 걸름망(356)과 원통부러쉬(359)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서,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에서 고형물질이 포함된 오염세척수를 입수구(360)를 통하여 본체(351) 내부로 투입시키게 배관하고, 본체(351) 하방의 여과집수조(361)의 배수구(362)는 순환펌프(Pa)를 개재하여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연결한다.
폐열회수장치의 가동에 의하여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에서 고형물질이 포함된 오염세척수가 입수구(360)를 통하여 본체(351) 내부로 투입되면, 오염세척수는 좌우측 회전축(354)(355) 간에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어형 걸름망(356)의 좌측상면에 투입되므로 세척수는 밑으로 빠져 여과집수조 (361)로 집수된 후에 순환펌프(Pa)를 통하여 다시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공급되고, 고형물은 망에 걸러진다.
컨베어형 걸름망(356)에 걸려진 고형물은 컨베어형 걸름망(356)이 우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우측 회전축(355)의 수평중심선 이하의 위치에서는 고형물의 자중에 의하여 일부는 하방의 고형물배출조(363)로 낙하되고, 컨베어형 걸름망 (356)에 붙어 있는 나머지 고형물들은 계속하여 좌측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걸름망의 하부궤도열에 접속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원통부러쉬(359)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탈리되어서 하방의 고형물배출조(363)로 낙하된다.
이러한 컨베어형 걸름망(356) 하부궤도열에서의 원통부러쉬(359)에 의한 고형물의 강제적인 탈리작동은, 도27과 같이 첫 번째 원통부러쉬(359)의 좌측에 동일한 회전작동을 하는 두 번째 부러쉬축(358a)과 원통부러쉬(359a)를 추가 설치하는 구성에 의하면 탈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350)는 전술한 일 실시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250)들의 구성과 비교하여 고형물질 걸름수단과 탈리장치의 구성상 차이는 있으나, 폐열회수장치로부터 오염세척수가 투입되면 걸름수단인 컨베어형 걸름망(356)에 의하여 오염세척수에서 고형물질을 분리시켜 세척수로 재 공급할수 있도록 여과하고, 컨베어형 걸름망(356)에 걸러진 고형물질은 탈리장치인 회전형 원통부러쉬(359)에 의하여 탈리시켜서 별도의 배출조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인 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형 열교환기의 전열관들에 대하여 연속적이면서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고 제반 효과를 증진시키는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중에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구성은 종래의 폐열회수장치에 비하여 전열관에 대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전열관의 열 교환효율을 지속적이면서 일정 수준으로 유지함에 따른 상술한 여러 가지 특징은 있으나, 배출가스에 함유된 공해물질의 포집율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중에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또는 이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원용하는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출가스의 배기회로에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용성가스 및 비산먼지, 고형물질들을 포집하기 위한 침전식 집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면 공해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도32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중에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구성에, 배출가스에 함유된 입자상 공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침전식 집진장치를 배기회로에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 실시예의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의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구성을 그대로 원용하면서, 2차 집수조(106)에 침전식 집진장치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2차 집수조(106)에 형성되는 침전식 집진장치의 구성은,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2차 배기회로(111)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수중을 통과하게 유도하여 배기구(116)로 배기되도록 본체 좌측판 내벽에서부터 2차 집수조(106)의 중앙부측으로 절곡되어 설치되는 배출가스 유도판(170)과,
상기 배출가스 유도판(170)이 설치된 2차 집수조(106)의 세척수 배수구(109)의 배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구(116)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배출가스 유도판(170)의 하단 이상으로 일정 수위가 유지되도록 세척수를 충진시키는 배수트랩 (17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배출가스 집진장치를 2차 집수조(106)에 구비한 일 실시예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의 구성에 의하면,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CH1~CH4)들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1차 집수조(105)의 흡기구(115)로 인입되어 1,2차 배기회로(110)(111)을 통과한 후에, 배출가스 유도 판(170)에 의하여 하향으로 유도되면서 배수트랩(172)에 의하여 배출가스 유도판(170)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높은 수위를 갖고 2차 집수조(106)에 충진되어 있는 침전수의 수중을 거친 후 배기구(116)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가스가 2차 집수조(106)에 충진되어 있는 침전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용성가스 내지는 비산먼지, 고형물질들이 상당량 걸러지게 되어, 배기구(116)로 배기되는 배출가스를 일정 수준까지 정화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와 함께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와 같이 침전식 집진장치를 2차 집수조(106)에는 물론 1차 집수조(105)에 실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별도의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로 구성하여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기구(116)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33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는 함체(181)의 상방에는 배기구(183)가 설치되고 하방에는 하단부에 배수구(186)를 갖는 침전조(185)가 설치되며, 침전조 (185)의 상단 일 측면에는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기구(116)와의 사이에 배출송풍기(BW)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침전조 흡기구(182)가 구비된다.
상기 침전조 흡기구(182)와 침전조(185) 사이에는 폐열회수장치로부터 배기 되는 배출가스를 침전조(185)의 중앙부 하단 측으로 하향 유도하는 배출가스 유도판(184)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가스 유도판(184)이 설치된 침전조(185)의 배수구(186)의 배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조 흡기구(18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배출가스 유도판(184)의 하단 이상으로 일정 수위가 유지되도록 침전수를 충진시키는 배수트랩(17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87은 침전수 급수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의 구성은 세척수 수동여과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에 포함하여 도36과 같은 세척수 여과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a)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a)의 구성은, 상기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를 일 예 판 열교환기형 페열회수장치(100)의 배기구(116) 측 배기라인에 구비하여서,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기구(116)와 침전조 흡기구(182)의 사이에 배출송풍기(BW)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침전조 배수구(186)의 배수라인은 상기 배수트랩(172)을 개재하여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입수구 (141)에 연결하며, 침전수 급수구(187)에는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에서 순환펌프(Pa)를 통한 급수주관(131)의로의 세척수 급수라인을 분기시켜 연결하여 침전수를 급수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구성의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의 구성은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에 포함하여 도41과 같은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a)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a)의 구성은, 상기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를 일 예 판 열교환기형 페열회수장치(100)의 배기구(116) 측 배기라인에 구비하여서,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배기구(116)와 침전조 흡기구(182)의 사이에 배출송풍기(BW)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침전조 배수구(186)의 배수라인은 상기 배수트랩(172)을 개재하여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입수구 (160)에 연결하며, 침전수 급수구(187)에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에서 순환펌프(Pa)를 통한 급수주관(131)의로의 세척수 급수라인을 분기시켜 연결하여 침전수를 급수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180)를 갖는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a)(600a)들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에서의 배출가스 침전식 집진작용과 동일하게,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용성가스 내지는 비산먼지, 고형물질들을 침전식으로 걸러주어 배출가스를 일정 수준까지 정화시킬 수 있어 대기오염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
침전식 집진장치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서 챔버 위에서의 설치공간을 줄이고,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높이를 줄이며, 배출가스의 집진 처리용량을 임의적으로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들은 챔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서 열량을 회수하는 작용이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에서 배출가스중의 대부분의 현열과 일부의 수증기 증발 잠열을 회수하는 열교환 효율에 의하여 생성되는 바,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는 챔버들의 상면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출관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나머지 빈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의 규격과 시설비 및 열교환 경제성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열량 회수율 설계치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대략 26~30%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들에 의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거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여전히 높은 온도(약 70℃ 내외)의 현열과, 증발 잠열을 포함한 수증기를 갖고 배출되므로, 이러한 폐열을 회수하는 2차 폐열회수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챔버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와 침전식 집진정치를 거치는 과정에서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용성가스 내지는 비산먼지, 고형물질들은 상당량 걸러지지만 비 수용성가스와 화공약품 등의 오염물질은 여전히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기오염의 문제점도 그대로 상존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및 여러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들에 의하여서도 해결할 수 없는 배출가스중의 일부 현열과 잠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절감을 하면서, 동시에 정화매체의 탈취효율을 높여서 배출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에너지 절감과 대기오염방지형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34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만족시키는 에너지 절감과 대기오염방지형 2차 폐열회수장치(7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의 에너지 절감과 대기오염방지형 2차 폐열회수장치(700)의 구성은, 하방의 침전식 집진장치(720)와, 중간부의 핀 튜브형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기(730)와, 상단부의 탈취장치(740)로 구성된다.
하방의 침전식 집진장치(720)는 일차 폐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가 인입되는 2차 흡기구(721)를 일 측에 갖는 침수조(722)와, 이 침수조(722)의 내부에서 2차 흡기구(721)의 상단에서부터 침수조(722)의 중앙 하단부로 일정 길이로 절곡되어 고정된 배출가스 유도판(723)과, 침수조(722)에 일정 높이로 침전수를 충진시키는 급수라인으로서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세척수 급수라인에서 순환펌프(Pa)를 거쳐 조절밸브(724)를 갖고 계속적으로 일정량의 침전수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급수구(725)와, 침수조(722)의 침전수 수위를 배출가스 유도판(723)의 하단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배수트랩(727)을 개재하여 침전수를 세척수 여과장치의 입수구에 배출하도록 연결되는 배수구(726)를 구비한 구성이다.
중간부의 핀 튜브형 2차 열교환기(730)의 구성은, 핀 튜브(731)의 상부측 입구해더(732)에는 냉수공급펌프(Pb)를 개재한 냉수급수라인(733)을 연결하고, 하부측 출구해더(734)에는 온수배출라인(735)을 연결하여 온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 온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단부 탈취장치(740)의 구성은, 활성탄소 또는 활성탄소 섬유로 구성된 탈취매체(741)가 2차 열교환기(730)의 배기회로에 설치되고, 탈취매체(741)의 상방에는 배기구(701)가 구비되어 2차 배출송풍기(BW2)를 갖고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Vf 는 침수조(722)의 퇴수구이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에너지 절감과 대기오염방지형 2차 폐열회수장치 (700)의 구성에 의하면,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CH1~CH4)들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1차측 폐열회수장치(100)를 거친 후 2차 폐열회수장치(700)의 하방 침전식 집진장치(720)의 2차 흡기구(721)측으로 인입되면은, 배출가스는 배출가스 유도판(723)에 의하여 하향으로 유도되면서 배수트랩(727)에 의하여 배출가스 유도판(723)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높은 수위를 갖고 침수조(722)에 충진되어 있는 침전수를 통과하게되어, 1차측 폐열회수장치(100)의 배기회로에서 거르지 못한 배출가스에 함유된 수용성가스 내지는 비산먼지, 고형물질들이 침전식으로 걸러지면서 중간부의 핀 튜브형 2차 열교환기(730)로 상승 배기된다.
중간부의 핀 튜브형 2차 열교환기(730)로 상승 배기된 배출가스는 핀 튜브 (731)의 전열면을 거쳐 상승하면서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을 하게되어, 핀 튜브(731)의 내부로 흐르는 액체를 가열하는 바, 이 2차 열교환 과정에서 배출가스가 갖고 있는 나머지 일부 현열과 수증기가 갖고 있는 증발 잠열을 회수하게된다.
이어서 중간부의 핀 튜브형 2차 열교환기(730)를 통과한 배출가스는 낮은 온도로 형성되어 상단부의 탈취장치(740)로 상승 배출되면서, 활성탄소 또는 활성탄소 섬유로 구성된 탈취매체(741)에 의하여 배출가스 중의 비 수용성가스와 화공약품 등의 오염물질이 탈취된 후에 1차 배출송풍기(BW) 또는 배기구(701)측에 연결된 2차 배출송풍기(BW2)에 의하여 강제로 공기 중에 방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 중에서 하방 침전식 집진장치(720)의 침수조(722)에 충진 된 침전수는, 침전식 집진작용에 의하여 배출가스 중에서 걸러진 수용성가스 내지는 비산먼지, 고형물질들에 의하여 오염되나, 이 오염된 침전수는 배수구(726)와 배수트랩(727)을 거쳐서 상술한 실시예의 세척수 여과장치들의 입수구로 계속하여 배출 투입되어, 상술한 세척수 여과장치들의 여과작용에 의하여 정수된 세척수가 다시 급수구(725)로 재 순환되어 침전수의 집진효율은 항상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또한 2차 폐열회수장치(700)의 구성에서는 침전식 집진장치(720)와 2차 열교환기(730)에 의하여 탈취장치(740)로 인입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설계치에 의할 때 약 60℃ 이하로 낮출 수 있게됨으로 탈취매체(741)의 탈취성능을 한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 에너지 절감과 대기오염방지형 2차 폐열회수장치 (700)에 의하면, 챔버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대하여,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 또는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폐열회수장치(400)에서 1차로 현열과 일부의 수증기 증발 잠열을 회수하고, 이어서 2차 폐열회수장치(700)에서는 먼저 침전식 집진장치(720)에 의하여 수용성가스와 고형물을 걸러주고, 2차 열교환기(730)에서는 배출가스 중의 일부 현열과 잠열을 회수하며, 상방의 탈취장치(740)에서는 배출가스 중의 비 수용성 가스의 탈취정화를 할 수 있게됨으로서, 에너지 절감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구성은,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특성이나 규모에 따라서 또는 섬유원단의 가공방법 및 배출가스 재처리 목적에 따라서 전술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들은 물론 기타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들에 대하여 세척수 수동여과장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유수분리장치, 침전식 집진장치, 2차 폐열회수장치의 구성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다양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는 도37과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에 전술한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를 조합하여 구성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전술한 2차 폐열회수장치(700)를 조합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b)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는 도42와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에 전술한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를 조합하여 구성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전술한 2차 폐열회수장치(700)를 조합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b)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600)들에서는 판형 열교환기 전열관의 세척수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의 세척수 수동여과장치 (140) 및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를 사용하고 있으나, 챔버(CH1~CH4))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성상은 가공물인 섬유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많은 유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분은 수용성가스일 경우에 열교환기의 전열관(112)을 통과하여 배기되는 과정에서 세척수에 포집되어 배출될 수 있다.
세척수에 유분이 녹아있으면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로 재순환되는 과정에서 급수관이나 기타의 급수순환라인 및 분사라인과 장치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도38에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들을 형성할 때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와 급수주관(131) 사이에 유수분리장치(PM)를 개재시켜서 순환 세척수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c)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c)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의 구성에 추가적으로,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여과 배수구(142)를 유수분리장치(PM)의 투입구에 연결하고, 유수분리장치(PM)의 중간부에서 정수된 세척수를 열교환기 상부배기실(104)의 외측방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순환펌프(Pa)에 의하여 일정 압력을 갖고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형성한 구성이다.
도43에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들을 형성할 때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와 급수주관(131) 사이에 유수분리장치(PM)를 개재시켜서 순환 세척수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c)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c)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의 구성에 추가적으로,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여과 배수구(162)를 유수분리장치(PM)의 투입구에 연결하고, 유수분리장치(PM)의 중간부 에서 정수된 세척수를 열교환기 상부배기실(104)의 외측방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주관(131)에 순환펌프(Pa)에 의하여 일정 압력을 갖고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형성한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TM 은 유수분리장치(PM)의 유분 및 응축수를 처리하는 퇴수조이고, 부호 Vd 는 유수분리장치(PM)의 퇴수구이고, 부호 Ve 는 퇴수조(TM)의 퇴수구이다.
이러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c)(600c)들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 또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에서 고형물이 걸러진 배출수는 유수분리장치(PM)로 입수되어, 유수분리장치(PM) 내에서 비중차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유분 농도가 높은 배출수가 고이고, 중간부분에는 유분 농도가 낮은 배출수가 고이게됨으로, 상부 및 하부에 고인 유분 농도가 높은 배출수는 퇴수조(TM)에 모아 폐수처리하고, 중간부분에 고인 유분 농도가 낮은 배출수는 순환펌프(Pa)에 의하여 다시 상기 폐열회수장치(100)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 급수주관(131)에 세척수로 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폐열회수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세척수에 대하여 고형물질의 여과와 함께 유분도 걸러줄 수 있어서 세척수의 정수효과를 더욱 높이고, 급수배관라인 및 순환회로에서의 장치를 보호하고 순환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c)(600c)들에 대하여 각각 2차 폐열회수장치(700)를 추가적으로 포함시켜서 도39,도44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d)(600d)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에 대하여 세척수 수동여과장치 또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구비하여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구비하거나,
도40과 같이, 일 실시예의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에 대하여 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를 구비하면서, 전술한 2차 폐열회수장치(700)에서 침전식 집진장치가 없는 집수조(710)를 갖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 2차 폐열회수장치(700a)(도35 참조)를 추가적으로 조합하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500e)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45와 같이, 일 실시예의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400)에 대하여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를 구비하면서, 전술한 2차 폐열회수장치(700)에서 침전식 집진장치가 없는 집수조(710)를 갖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 2차 폐열회수장치(700a)를 추가적으로 조합하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e)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섬유원단 후가공장치 1 라인에 대하여 일 실시예의 폐열회수장치(100)가 1 대씩 설치되는 점을 감안할 때, 한 공장에 섬유원단 후가공장치가 여러 라인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설비와 설치면적 및 운영비에서 경제성을 얻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46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 에너지 절감과 대기오염방지형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f)와 같이, 섬유원단 후가공장치 2 라인에 설치된 각각의 2대의 폐열회수장치(100)(100a)에서의 2개의 배출가스회로를 하나의 배출가스회로로 모아 서 한 대의 2차 폐열회수장치(700)로 재처리하는 병렬식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중에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구성은, 폐열회수장치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전열관에 대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스윙식이나 수평이동식으로 형성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전열관에 대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는 고정식으로 형성 할 수도 있다.
도47~48에는 본 발명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열교환기 전열관에 대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고정식으로 형성한 일 실시예의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f)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의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f)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열교환기 구성은 그대로 구성을 원용하되, 상부의 뚜껑체와 전열면 세척장치를 변경한 구성이다.
즉, 열교환기 본체(101)는 그대로 구성하고, 이 본체(101)의 상부배기실 (104a)은 플랜지이음형의 뚜껑체(102a)로 형성하며, 상부배기실(104a) 내부에는 수 열의 슬릿 장방형 전열관(112)들의 상방에 위치되게 뚜껑체(102a)를 좌우로 관통하여 수 열의 급수분지관(133a)들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수 열의 급수분지관(133a)들에는 수 십개의 세척수 분사노즐(137a)들을 설치하며, 뚜껑체(102a)의 외부 일 측에 노출된 상기 급수분지관(133a)들의 일 측단들은 세척수 급수주관(131a)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f)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를 개재하여 도49와 같이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일 실시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800)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800)의 구성은, 섬유원단 후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수 개의 챔버(CH1~CH4)들의 상단에서 챔버 내부의 배출가스를 배출시키는 수 개의 가스배출관(GP)들은 하나의 메인배출관(GM)에 연결하여 상기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f)의 배출가스 흡기구(115)에 연결하며,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f)의 배출가스 배기구(116)에는 배출송풍기(BW)를 설치하며, 1,2차 집수조(105)(106)의 세척수 배수구(108)(109)들은 각각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입수관(160)에 연결한다.
상기 열교환기 뚜껑체(102a)의 외측방에 설치된 세척수 급수주관(131a)에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여과집수조(161)에 집수된 여과 세척수를 순환펌프 (Pa)에 의하여 일정 압력을 갖고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101)의 공기배출구(114)에는 공기송풍기(BA)를 개재하여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CH1~CH4)들 내부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f)와 일 실시예 세 척수 자동여과장치(150)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800)의 작동상태 중에서, 판 열교환기와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의 작동상태는 일 실시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600)와 동일하다.
다른 점은 판 열교환기 전열관(112)들의 전열면 세척작용이, 상부배기실 (104a) 내부 상방에 고정 설치된 수 열의 급수분지관(133a)들에서 수 십개의 세척수 분사노즐(137a)들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는 전술한 스윙식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나 수평이동식 전열면 연속세척장치(230)들에 비하여 전열면에 대한 세척수의 분사작동 만 다를 뿐, 분사된 세척수가 전열관(112)의 내벽을 타고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전열면을 세척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들은 종래의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들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는, 폐열회수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열교환기를 수직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채용한 것에 비하여 단위면적당 열전달율이 높으므로 폐열회수장치의 평면상 규격을 대폭 소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폐열회수장치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의 상단에서 기존의 배출가스 덕트에 간섭되지 않고 빈 공간에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설계 제작이 가능하여, 기존의 배출가스 덕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챔버의 교환, 유지 보수작업시에도 폐열회수장치의 철거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인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는, 폐열회수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열교환기를 수직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하면서 그 상부에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전열면 전체에 항상 수막을 형성시켜서 배출가스에 의한 오염율을 낮추어주고,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전열면에 부착되는 제반 찌거기와 분진 및 화공약품들에 의한 고형물질을 세척수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씻어주어 전열면의 열교환 효율을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며, 열교환기의 상방에 개폐식 상부배기실을 형성하여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전열면의 청소가 용이하고 연속세척장치의 보수 유지관리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폐열회수장치에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로부터 분사되어 열교환기 전열면을 세척한 오염세척수에 대하여 고형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세척수의 리싸이클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세척수 사용량을 줄이고, 세척수 연속 배출에 의한 폐수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손실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는, 상기 언급된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응용하여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서 제반 섬유찌거기와 분진 및 수지, 화공약품들이 가스상으로 포함되어 배출되는 배출가스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출열을 최대로 회수하여 챔버로 공급되는 공기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공 급함으로서, 폐열 에너지를 상당량 회수하면서, 고온의 세척수에 의하여 열교환기의 전열면을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서 배출가스 중의 유분에 대한 유동성을 높여서 전열면의 세척효율을 높이고, 열교환기의 전열면에 대한 특별한 청소가 불필요함으로서 24시간 연중 지속적으로 가동시켜야 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 등에의 적용성을 높여주며,
챔버 가동에 있어서 챔버들의 내부에서 섬유원단에 분사되는 열풍을 가열하는 히터의 열교환 부하율(가동율)을 대폭 낮출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뿐 아니라 현저한 에너지 절감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에 의하면, 챔버로부터 폐열회수장치를 거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기회로 일 측에, 배출가스가 침전수를 통과하는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배출가스 중의 고형물질과 수용성 수지를 용이하게 포집하여 대기공해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폐열회수장치에 의한 1차 열교환에 이어서 2차 열교환부재와 탈취장치를 갖는 2차 폐열회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1차 폐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의 배기회로에 대하여 2차로 기체 대 액체의 열교환을 실시하여 배출가스의 잠열까지도 회수하여 열회수율을 더욱 높이면서, 동시에 배출가스에 함유된 가스상 오염물질을 탈취 정화하여 적극적인 공해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는 물론 폐열이 발생하는 건조장치, 자동 도장 건조장치, 코팅장치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 구성개요도
도2는 일 예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구성중 요부의 계단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타측 절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종단면도
도7은 도6의 구성중 상부 배기실 부분의 평단면도
도8은 도6의 구성중 요부의 종단면도
도9는 도6의 구성중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10은 도6의 구성중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작동상태 개요도
도11은 도6의 구성중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급수장치 요부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내부 정면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내부 후면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종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중심부 평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 평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 평단면도
도21은 도19의 구성중 걸름망의 작동전 상태도
도22는 도19의 구성중 걸름망의 작동후 상태도
도23은 도19의 구성중 제어봉의 단면구성도
도2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 평단면도
도26은 도24의 구성중 구동부 구성개요도
도27은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도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3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도
도3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3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개요도
도33은 본 발명에 실시되는 일 실시예 침전식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개 요도
도3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위한 일 실시예 2차 폐열회수장치의 구성개요도
도3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를 위한 다른 실시예 2차 폐열회수장치의 구성개요도
도36~도4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47은 본 발명의 고정식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종단면도
도48은 도47의 다른 방향 종단면도
도49는 본 발명의 고정식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에 의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A:공기송풍기 BW:배출송풍기 CH1~CH8:챔버
CM:챔버의 몸체 GM:메인배출관 GP:가스배출관
HB:열풍송풍기 HD:열풍배분박스 HP:열풍관
HN:열풍노즐 HT:히터 L1:단위 챔버의 가로
L2:단위 챔버의 세로 La:챔버 상단면의 빈 면적 가로
MG:맨글 Pa:순환펌프
Pb:냉수공급펌프 PM:유수분리장치 SI:보온재 ST:침전조
TM:유수분리장치의 퇴수조 TX:섬유원단 Va:세척수 공급량 조절밸브
Vb:세척수 배수라인의 퇴수구 Vc: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퇴수구
Vd:유수분리장치의 퇴수구 Ve:퇴수조의 퇴수구
Vf:침수조의 퇴수구 Vg:침전식 집진장치의 퇴수구
Wa:세척수 수동여과장치(140)의 보충수 공급용 볼탑 Wb:오버 플로우
100:스윙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100a:두 번째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
100f:고정식 전열면 세척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101:열교환기 본체 101a:본체 좌측판 102,102a:뚜껑체
103:요홈관 104,104a:상부배기실
105:1차 집수조 106:2차 집수조 107:격판 108,109:세척수 배수구
110,111:1,2차 배기회로 112:수직 판형 전열관 113:공기흡입구
114:공기배출구 115:흡기구 116:배기구 117:공기필터
120:전열면 연속세척장치 121:회동로드 122:종동로드
123:연결로드 124:구동로드 125:회전캠판 126:캠핀
127:종동풀리 128:전동벨트 129:구동풀리
130:기어드 구동모터 131,131a:세척수 급수주관
132:후렉시블 연결관 133,133a:급수분지관 134:연결관
135,136:1,2차 노즐해더 137,137a:세척수노즐 138:브라켓
139:베어링 140:여과망식 세척수 수동여과장치
141:세척수 수동여과장치의 입수구 142:여과배수구 143:여과망
150:일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151:일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본체 151a:본체의 좌측판
151b,151c:본체의 전,후면판 153:베어링 154:수평축 155:원통
156:고형물 걸름망 157:배출박스 157a:개구부
158:배풍구 159:송풍기 160:입수구 161:여과집수조
162:배수구 163:고형물 배출조 164:고형물 배출구
165:배수함체 166:종동풀리 167:전동벨트 168:구동풀리
169:기어드모터 170:배출가스 유도판 172:배수트랩
180:일 실시예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 181:함체 182:침전조 흡기구
183:배기구 184:배출가스 유도판 185:침전조 186:배수구
187:침전수 급수구 200:다른 실시예 폐열회수장치
201:다른 실시예 폐열회수장치(200)의 본체
202:다른 실시예 폐열회수장치(200)의 뚜껑체
202a,202b:다른 실시예 폐열회수장치(200)의 뚜껑체 전후면판
202c:다른 실시예 폐열회수장치(200)의 뚜껑체 측면판
204:상부배기실 205:1차 집수조 206:2차 집수조
207:격판 208:세척수 배수구 209:세척수 배수구
210,211:1,2차 배기회로 212:배기회로 213:공기흡입구
214:공기배출구 215:흡기구 216:배기구
230: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
231:급수주관 232:후렉시블 급수관 234:안내레일
235:노즐해더 237:세척수노즐 239:베어링
240:좌우측 스프라킷 241,242:전후 체인열
243,244:좌우측 스프라킷축 246:종동스프라킷 247:구동체인
248:구동스프라킷 249:기어드 구동모터
250: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251:본체 251a:본체의 좌측판 252,252a:본체의 전,후면판
253:베어링 254:수평축 255:원통 256:고형물 걸름망
257:탄성편 256a:걸름망의 선단부 258,258a:제어봉
259:로울러 260:입수구 261:여과집수조 262:배수구
263:고형물 배출조 264:고형물 배출구 266:종동풀리
267:전동벨트 268:구동풀리 269:기어드모터
350:또 다른 실시예의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351:본체 351a:본체의 상면판 352,352a:본체의 전,후면판
353:베어링 354,355:좌우측 회전축 356:컨베어형 걸름망
359,359a:원통부러쉬 358,358a:부러쉬축 360:입수구
362:배수구 361:여과집수조 363:고형물 배출조 364:고형물 배출구
365,366:종동스프라킷 367:구동체인 368:텐션스프라킷 369:기어드모터
400:일 실시예의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500:세척수 수동여과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500a~500e:세척수 수동여과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600: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600a~600f: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700: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 2차 폐열회수장치
700a:침전식 집진장치가 없는 다른 실시예의 2차 폐열회수장치
701:배기구 710:집수조 720:침전식 집진장치
721:2차 흡기구 722:침수조 723:배기가스 유도판
724:조절밸브 725:급수구 726:배수구
727:배수트랩 730:2차 열교환기 731:핀 튜브
732:상부측 입구해더 733:냉수급수라인 734:하부측 출구해더
735:온수배출라인 740:탈취장치 741:탈취매체
800:세척수 자동여과장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Claims (19)

  1. 일정 크기의 장방형 함체 내에 수직방향으로 수열의 슬릿 장방형 전열관이 2패스 이상의 배기회로로 구성되어 공기실에 각각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가스 대 공기의 판 열교환기와, 상기 판 열교환기의 상부 배기실에 설치되어 상기 판 열교환기 전열관의 전열면 전체에 대하여 세척수를 연속적으로 분사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와, 상기 판 열교환기의 1차 배기회로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단측으로는 흡기구을 구비하고 하측에는 세척수 배수구가 하단에 설치된 1차 집수조와, 상기 판 열교환기의 2차 배기회로의 하단에서 상기 1차 집수조와 격판으로 격리되게 설치되어 후방에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세척수 배수구를 구비한 2차 집수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기실에 설치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구성은,
    세척수 분사장치의 구성으로, 열교환기 본체(101)의 상부 일 측방 외부에 설치되는 세척수 급수주관(131)과, 상기 세척수 급수주관(131)과 일 측단이 후렉시블 연결관(132)으로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 상부배기실(104) 내부에서 뚜껑체(102)를 좌우로 관통하여 1,2차 배기회로(110)(111)의 전열면 상방으로 전열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좌우측단이 열교환기 본체(101)의 측단에 고정된 브라켓(138)에 베어링(139)으로 지지되고, 중간부들은 상부배기실(104)의 뚜껑체(102) 중간부에 형성한 요홈관(103)을 관통하여 베어링(139)으로 지지되는 수 개의 급수분지관 (133)들과, 상기 급수분지관(133)들에서 각각 수 개의 연결관(134)들에 의하여 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1,2차 배기회로(110)(111)의 상방에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는 1,2차 노즐해더(135)(136)들과, 상기 1,2차 노즐해더(135)(136)들에 각각 설치되는 수 십개의 세척수노즐(137)들로 구성되고,
    분사관 스윙장치의 구성으로, 열교환기 본체(101)의 외측방에서 각각의 급수분지관(133)들에 피봇형으로 고정되는 수개의 종동로드(122)들과, 이 종동로드 (122)들의 하단들에 유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면서 동일한 각도로 연결하는 연결로드(123)와, 첫 번째 종동로드(122)를 반대편으로 연장한 회동로드(121)와, 상기 회동로드(121)의 상단에 일 측단이 연결된 구동로드(124)와, 상기 구동로드 (124)의 타 측단을 캠핀(126)으로 유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회전캠판(125)과, 상기 회전캠판(125)과 동축상으로 고정된 종동풀리(127)와, 상기 종동풀리(127)와 전동벨트(128)로 연결된 구동풀리(129)와, 상기 구동풀리(129)를 고정 축설한 기어드 구동모터(130)로 구성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1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기실에 설치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구성은,
    폐열회수장치(200)의 상부배기실(204)에는 좌우측 스프라킷축(243)(244)이 뚜껑체(202)의 전후면판(202a)(202b)의 양측단을 관통하여 각각 베어링(239)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우측 스프라킷축(244)에는 종동스프라킷(246)이 축설되 어 기어드 구동모터(249)의 구동스프라킷(248)과 구동체인(247)으로 연결되며, 상기 좌우측 스프라킷축(243)(244)들에는 상부배기실(204)내에서 각각 전후방에 좌우측 스프라킷(240)들이 고정 축설되고, 이 좌우측 스프라킷(240)들에는 각각 전후 체인열(241)(242)들이 설치되며, 상기 전후 체인열(241)(242)들 간에는 체인열의 하부열에 노즐해드(235)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전후단이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안내레일(234)에 얹혀지고, 노즐해드(235)의 일 측단에는 후렉시블 급수관(232)의 끝단이 연결되며, 이 후렉시블 급수관(232)의 시작단은 뚜껑체 측면판(202c)을 관통하여 설치된 급수주관(231)에 연결되어, 노즐해더(235)가 구동모터(249)의 회전제어에 의하여 폐열회수장치(200)의 상부배기실(204) 내에서 좌우로 왕복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식 분사노즐을 갖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2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기실에 설치되는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의 구성은,
    상부배기실(104a) 내부에서 수 열의 슬릿 장방형 전열관(112)들의 상방에 위치되게 열교환기 뚜껑체(102a)를 좌우로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수 열의 급수분지관(133a)들과, 상기 수 열의 급수분지관(133a)들에 설치되는 수 십개의 세척수 분사노즐(137a)들과, 열교환기 본체(101)의 상부 일 측방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분지관(133a)들의 일 측단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급수주관(131a)으로 구성되는 고정식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집수조에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100)의 2차 배기회로(111)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침전수의 수중을 통과하게 유도하여 배기구(116)로 배기되도록 본체 좌측판 내벽에서부터 2차 집수조(106)의 중앙부측으로 절곡되어 설치되는 배출가스 유도판(170)과, 상기 배출가스 유도판 (170)이 설치된 2차 집수조(106)의 세척수 배수구(109)의 배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구(116)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배출가스 유도판(170)의 하단 이상으로 일정 수위가 유지되도록 세척수를 충진시키는 배수트랩(172)을 갖는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6. 일정 크기의 본체와, 이 본체의 측방 또는 상방 어느 일 측에서 본체의 내부로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세척수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배출수를 입수시키는 입수관과, 본체 내부에서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입수된 배출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고형물 걸름수단과, 본체의 일 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어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을 임의의 회전궤도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수부재와, 본체의 외측면 일방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수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와,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이 일정 위치에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에서 걸러진 고형물질을 탈리시키는 고형물 탈리장치와, 본체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입수관측 하단으로 입수된 배출수를 재 집수하여 배수시키 는 배수조와, 본체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고형물 걸름수단으로부터 고형물 탈리장치에 의하여 탈리된 고형물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세척수 자동여과장치는, 일정 크기의 장방형 본체(151)와, 이 본체(151)의 좌측판(151a)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폐열회수장치(100)의 1,2차 집수조(105)(106)의 세척수 배수구(108)(109)와 연결되어 1,2차 집수조(105) (106)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입수시키는 입수구(160)와,
    본체(151)의 중간부 측방에서 본체의 전,후면판(151b,152c)을 관통하여 베어링(153)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수평축(154)과, 본체(151)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축(154)의 둘레에 고정되는 원통(155)과, 상기 원통(155)의 둘레에 날개형으로 등 간격을 갖고 부착되어 상기 입수구(160)로부터 입수된 배출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수 개의 고형물 걸름망(156)들과, 상기 걸름망(156)들의 하방에 각각 박스형으로 부착되어 후방측을 개방한 개구부(157a)를 구비한 수 개의 배출박스(157)들과,
    상기 입수구(160)의 반대편에서 본체(151)의 후면판(152a)에 부착되어 상기 배출박스(157)의 개구부(157a)들의 회전 궤적내에 설치되는 배풍구(158)와, 이 배풍구(158)에 하향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걸름망(156)의 이면에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송풍기(159)와,
    상기 본체(151)의 하단 좌측에서 상기 입수구(160)측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 에는 배수구(162)를 구비하여 입수구(160)로부터 걸름망(156)으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배출수를 집수하는 여과집수조(161)와, 상기 본체(151)의 우측 하방에서 상기 여과집수조(161)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형물 배출구(164)를 구비하여 상기 고형물 걸름망(156)으로부터 탈리된 고형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163)와,
    상기 배출박스(157)의 개구부(157a)가 위치되는 본체(151)의 후면판(152a) 좌측면 상하에 걸쳐서 일정 폭으로 확장되는 배수함체(165)와, 상기 수평축(154)의 일 측단에 고정 축설된 종동풀리(166)와, 상기 종동풀리(166)와 전동벨트(167)로 연동되는 구동풀리(168)를 축설하여 본체(151)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되는 기어드모터(169)로 구성된 세척수 자동여과장치(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본체(251)와, 이 본체(251)의 좌측판(251a)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와 연결되어 1,2차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입수시키는 입수구(260)와,
    본체(251)의 중간부에서 본체의 전,후면판(252,252a)을 관통하여 베어링 (253)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수평축(254)과, 본체(251)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축(254)의 둘레에 고정되는 원통(255)과, 상기 원통(255)의 둘레에 날개형으로 등 간격을 갖고 탄성편(257) 부착되어 상기 입수구(260)로부터 입수된 배출수 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수 개의 고형물 걸름망(256)들과, 상기 본체(251)의 내부 우측 하방에서 걸름망(256)들의 선단부 회전 궤적내에 원호선상으로 설치되어서 걸름망의 선단부(256a)와 일정 폭만큼 접촉되게 둘레에 로울러(259)를 갖고 설치되는 수 개의 제어봉(258)(258a)들과,
    상기 본체(251)의 하단 좌측에서 상기 입수구(260)측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배수구(262)를 구비하여 입수구(260)로부터 걸름망(256)으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배출수를 집수하는 여과집수조(261)와, 상기 본체(251)의 우측 하방에서 상기 여과집수조(261)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형물 배출구(264)를 구비하여 상기 고형물 걸름망(256)으로부터 탈리된 고형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263)와,
    상기 수평축(254)의 종동풀리(266)와 전동벨트(267)로 연결된 구동풀리(268)를 고정 축설하여 수평축(254)를 회전제어하는 기어드모터(269)로 구성되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2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세척수 자동여과장치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본체(351)와, 이 본체(351)의 상면판(35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와 연결되어 1,2차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입수시키는 입수구(360)와,
    본체(351)의 내부 중간 높이 좌우측에서 본체의 전,후면판(352,352a)을 관통 하여 베어링(353)들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는 좌우측 회전축(354)(355)과, 상기 좌우측 회전축(354)(355)에 걸쳐서 무환궤도로 설치되고 상기 입수구(360)로부터 입수된 오염세척수를 받아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상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컨베어형 걸름망(356)과, 상기 컨베어형 걸름망(356)의 우측 하방에서 본체의 전,후면판(352,352a)을 관통하여 베어링(353)들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고 외면에는 상기 컨베어형 걸름망(356)의 우측 하면에 접속되는 원통부러쉬(359)를 구비하는 부러쉬축(358)과, 상기 본체(351)의 하단 좌측에서 상기 입수구(360)측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배수구(362)를 구비하여 입수구(360)로부터 컨베어형 걸름망(356)으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배출수를 집수하는 여과집수조(361)와, 상기 본체(351)의 우측 하방에서 상기 여과집수조(361)의 우측편 원통부러쉬(359) 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형물 배출구(364)를 구비하여 상기 원통부러쉬(359)로부터 탈리된 고형물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조(363)와,
    상기 우측 회전축(355)과 부러쉬축(358)에 각각 고정 축설되는 종동스프라킷 (365)(366)들과, 상기 종동스프라킷(365)(366)들 간을 연결하는 구동체인(367)과,상기 구동체인(367)의 일 측에 접속되게 설치되는 텐션스프라킷(368)과, 상기 우측 회전축(355)에 축설되는 기어드모터(369)로 구성되는 세척수 자동여과장치(3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세척수 자동여과장치.
  10.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에 세척수 여과장치를 개재시켜서, 후가공장치의 챔버의 배출가스 배출관은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흡기구와 연결하고,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배기구에는 배출송풍기를 설치하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1,2차 집수조의 세척수 배수구들은 각각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입수관에 연결하며,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는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배수조로부터 세척수 재공급수단용 순환펌프를 개재시켜서 고온의 세척수를 재 공급하며,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 본체의 가온공기 공급회로에는 섬유원단 후가공장치의 챔버 내부에 가온공기를 재 공급하는 공기송풍기를 개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세척수 여과장치는 여과망식 수동여과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세척수 여과장치는 회전식 걸름수단을 갖는 자동여과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는, 1,2차 집수조의 어느 일 측 내부에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침전수 수중을 통과하게 유도하는 배출가스 유도판을 구비하고, 배출가스 유도판이 설치되는 1,2차 어느 일 측의 세척수 배수구에는 세척수를 배출가스 유도판의 하단 이상으로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배수트랩을 구비하는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 세척수 여과장치의 배수조로부터 세척수를 재 공급하는 급수라인에는 유수(油水)분리장치를 개재시켜서, 유수분리장치에서 정수된 고온의 세척수를 순환펌프에 의하여 전열면 연속세척장치에 재 공급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배기구에 연결된 배출송풍기의 배기회로 측에는, 배출가스가 침전수를 통과하여 배출가스 중의 고형물질과 수용성 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열면 연속세척장치를 갖는 열교환기와 세척수 여과장치를 갖는 1차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배기회로 측에는, 본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1차 폐열회수장치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2차 흡기구로 인입하여 침전수를 통과하게 유도하는 배출가스 유도판을 구비한 침수조와, 이 침수조의 배수구와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입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침전수를 상기 배출가스 유도판의 하단 이상으로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배수트랩을 구비하는 침전 식 집진장치와, 상기 침수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수조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대하여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을 하는 핀 튜브 열교환기형 2차 열교환기와, 상기 2차 열교환기의 상단에 설치되어 2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대하여 가스상 오염물질을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구비하는 2차 폐열회수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상기 판 열교환기형 폐열회수장치의 배출가스 배기구에 연결된 배출송풍기의 배기회로 측에는, 본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배출송풍기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2차 흡기구로 인입하여 침전수를 통과하게 유도하는 배출가스 유도판을 구비한 침수조와 이 침수조의 배수구와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입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침전수를 상기 배출가스 유도판의 하단 이상으로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배수트랩을 구비하는 침전식 집진장치와, 상기 침수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수조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대하여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을 하는 핀 튜브 열교환기형 2차 열교환기와, 상기 2차 열교환기의 상단에 설치되어 2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출가스에 대하여 가스상 오염물질을 탈취하는 탈취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독립형 침전식 집진장치 또는 침전식 집진장치를 갖는 폐열회수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 배기회로에 대하여, 본체의 하방에서 배출가스를 인입하여 상승시키고 2차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상기 세척수 여과장치의 입수구측에 연결된 배수구로 배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를 거쳐서 상승 배기되는 배출가스에 대하여 기체 대 액체의 2차 열교환을 하는 핀 튜브 열교환기형 2차 열교환기와, 이 2차 열교환기의 상방에 설치되어 2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출가스에서 가스상 오염물질을 탈취하는 탈취장치와, 상기 탈취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의 배기회로에 설치되는 2차 배출송풍기로 구성된 2차 폐열회수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19. 삭제
KR10-2001-0062740A 2001-10-11 2001-10-11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7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740A KR100470804B1 (ko) 2001-10-11 2001-10-11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PCT/KR2002/001902 WO2003038364A1 (en) 2001-10-11 2002-10-11 A waste heat recovering device, cleaning-water auto-filtering device, and exhaust gas regenerating device for ten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740A KR100470804B1 (ko) 2001-10-11 2001-10-11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076U Division KR200272553Y1 (ko) 2001-11-07 2001-11-07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08A KR20010104408A (ko) 2001-11-26
KR100470804B1 true KR100470804B1 (ko) 2005-02-21

Family

ID=1971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7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0804B1 (ko) 2001-10-11 2001-10-11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0804B1 (ko)
WO (1) WO200303836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20B1 (ko) 2009-09-11 2011-03-07 김찬호 3단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KR101056804B1 (ko) * 2009-05-21 2011-08-16 삼정보일러공업(주) 건조기의 폐열 회수방법 및 그 장치
CN109208225A (zh) * 2018-10-29 2019-01-15 江苏中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式定型机的热能环保设备
KR101928199B1 (ko) * 2017-06-26 2019-02-26 오영호 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습식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90097647A (ko) 2018-02-13 2019-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용 세정집진기
KR20190097646A (ko) 2018-02-13 2019-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버블을 이용한 세정집진기
KR102190488B1 (ko) * 2019-11-01 2020-12-11 비씨태창산업(유)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US11454466B2 (en) 2019-11-01 2022-09-27 Bc Taechang Industrial Corp.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bun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517A (ko) * 2002-11-11 2003-04-14 상원디자인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CN100501293C (zh) * 2007-07-30 2009-06-17 立信门富士纺织机械(深圳)有限公司 一种废气热回收装置及带有废气热回收装置的拉幅定形机
CN101738135A (zh) * 2008-11-07 2010-06-16 赫尔穆特巴尔兹股份有限公司 用于热能利用装置的热交换器单元
FR2968390A1 (fr) * 2010-12-01 2012-06-08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de nettoyage d'un echangeur de chaleur a circulation en u et appareil de nettoyage utilisant un tel procede
CN102330307B (zh) * 2011-06-01 2013-01-23 德清恒鑫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去集油节能装置的定型机
CN103797327B (zh) * 2011-08-08 2017-05-31 开利公司 自清洁式换热器装置
CN102410763A (zh) * 2011-11-23 2012-04-11 常熟市龙略机电有限公司 纺织物定型机换热器
KR102017543B1 (ko) * 2013-08-16 2019-09-04 인스파이론 엔지니어링 프라이빗 리미티드 직물, 셀룰로오스 및 다른 섬유 재료를 위한 유체 처리 유닛 그리고 또한 유체 처리 방법
CN106605023B (zh) 2014-05-15 2020-03-10 灵越工程私人有限公司 一种歧管
CN104315890A (zh) * 2014-10-24 2015-01-28 浙江美欣达印染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定型机高温烟气热能回收装置
CN104831552B (zh) * 2015-04-14 2017-06-20 互太(番禺)纺织印染有限公司 一种中深色涤纶织物的染色方法
KR101974939B1 (ko) * 2018-10-31 2019-05-07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오토필터장치를 구비한 섬유건조 셋팅기
CN109701965B (zh) * 2019-01-10 2021-08-31 宣城凯欧纺织有限公司 一种定型机防火系统
CN214199802U (zh) * 2020-11-29 2021-09-14 苏州比达尔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印染中定型机的余热回收装置
CN113758152B (zh) * 2021-09-13 2022-10-04 山东嘉元新能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烘干铜箔的烘干装置及其烘干方法
CN114775205B (zh) * 2022-04-20 2023-11-24 武汉军旭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防静电抗菌面料制备设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4910A1 (de) * 1982-05-17 1983-11-23 Emil Bad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Wärmetauschern
JPS5969120A (ja) * 1982-10-14 1984-04-19 Yoshinori Watanabe 液体「ろ」過装置
JPS6287720A (ja) * 1985-10-12 1987-04-22 Babcock Hitachi Kk ス−トブロワ装置
JPH06281127A (ja) * 1992-01-24 1994-10-07 Ebara Infilco Co Ltd 管外ガス式熱交換器用すす吹き装置
JPH08309131A (ja) * 1995-05-17 1996-11-26 Goto Tekkosho:Kk フィルター洗浄装置
KR20000027579A (ko) * 1998-10-28 2000-05-15 안문휘 폐열회수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535A (en) * 1979-02-07 1980-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Tenter oven
KR920001053B1 (ko) * 1990-01-31 1992-02-01 일성기계공업주식회사 텐터기의 폐열회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4910A1 (de) * 1982-05-17 1983-11-23 Emil Bad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Wärmetauschern
JPS5969120A (ja) * 1982-10-14 1984-04-19 Yoshinori Watanabe 液体「ろ」過装置
JPS6287720A (ja) * 1985-10-12 1987-04-22 Babcock Hitachi Kk ス−トブロワ装置
JPH06281127A (ja) * 1992-01-24 1994-10-07 Ebara Infilco Co Ltd 管外ガス式熱交換器用すす吹き装置
JPH08309131A (ja) * 1995-05-17 1996-11-26 Goto Tekkosho:Kk フィルター洗浄装置
KR20000027579A (ko) * 1998-10-28 2000-05-15 안문휘 폐열회수용 공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804B1 (ko) * 2009-05-21 2011-08-16 삼정보일러공업(주) 건조기의 폐열 회수방법 및 그 장치
KR101019120B1 (ko) 2009-09-11 2011-03-07 김찬호 3단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KR101928199B1 (ko) * 2017-06-26 2019-02-26 오영호 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습식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90097647A (ko) 2018-02-13 2019-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용 세정집진기
KR20190097646A (ko) 2018-02-13 2019-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버블을 이용한 세정집진기
CN109208225A (zh) * 2018-10-29 2019-01-15 江苏中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式定型机的热能环保设备
KR102190488B1 (ko) * 2019-11-01 2020-12-11 비씨태창산업(유)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WO2021085728A1 (ko) * 2019-11-01 2021-05-06 비씨태창산업(유)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US11454466B2 (en) 2019-11-01 2022-09-27 Bc Taechang Industrial Corp.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bu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08A (ko) 2001-11-26
WO2003038364A1 (en)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804B1 (ko)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CN1032495C (zh) 干洗中回收溶剂的方法和装置
KR102387292B1 (ko) 활성탄 필터부 및 회전형 세정수 공급수단을 갖는 사이클론 스크러버가 추가된 텐터후단 배기가스의 처리 공정 시스템
CN1070587A (zh) 污浊气体过滤系统
JP7145482B2 (ja) 汚泥処理用の排ガス浄化および熱回収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54113B1 (ko) 세정집진, 제습/승온 및 전기집진을 이용한 염색업종 텐터후단의 고점성 오염물질 처리공정
KR101695473B1 (ko) 배가스의 폐열회수 및 탈습겸용 장치
KR102171442B1 (ko) 배기가스의 열회수를 이용한 염색업종 텐터 후단의 고점성 오염물질 처리공정
KR101903575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의 응축가스 정제탑
KR200272553Y1 (ko)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CN112872016A (zh) 一种智慧农业的土壤有机恢复装置及土壤修复方法
WO1999046205A2 (en) Water recycling system for laundry or dish washing
CN211245985U (zh) 一种沥青烟气净化系统
CN113731084A (zh) 一种通风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和净化除湿方法
CN214270654U (zh) 一种带有喷淋除尘功能的污泥干化装置
CN2165916Y (zh) 污浊气体过滤装置
US42402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olar energy in a water and waste management system
SU1744158A1 (ru) Машина дл химической чистки текстильных изделий
CN104668090B (zh) 双区湿式静电油烟净化器
CN113603331B (zh) 一种网带清灰防堵的污泥干化机
KR100328676B1 (ko) 염색가공에 있어 텐터 배기가스처리장치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JPH06210220A (ja) ペンキスプレーブースの空気供給ハウジング装置
KR101580679B1 (ko) 슬러지 건조기용 폐열 회수장치
DE19601759A1 (de) Anlage zum Abscheiden von Schadstoffen aus der Abluft einer Schadstoffquelle, insbesondere eines Spannrahm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