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9707B1 -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707B1
KR100469707B1 KR10-2001-0085812A KR20010085812A KR100469707B1 KR 100469707 B1 KR100469707 B1 KR 100469707B1 KR 20010085812 A KR20010085812 A KR 20010085812A KR 100469707 B1 KR100469707 B1 KR 10046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network
public
premises
wireless
rela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741A (ko
Inventor
우무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7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707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중 BSC 와 BTS사이에 중계선을 직접 또는 공중망 무선사설교환기를 통해 연결하여 기지국 방향의 중계선에 대해 공중망 호와 구내 무선 호를 같이 사용토록 하되, 구내 중계선을 공중망 호를 위한 중계선과 구내호를 위한 중계선으로 구분되어 사용되도록 맵핑시킨다. 상기 맵핑은 공중망호를 위한 구내 중계선과 공중망 중계선과는 1:1로 사용토록 맵핑을 하고서 여기서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서는 구내호를 위해서만을 위해 사용토록 하여 과도한 중계선 임대료에 대한 낭비를 줄이도록 한다.

Description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 효율적 사용방법 {METHOD FOR USING THE PUBLIC E1 LINK EFFICIENTLY IN WIRELESS PABX SYSTEM}
본 발명은 구내무선망의 CDMA 공중망과 연동시 공중망 중계선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내 중계선에서 공중망 호를 위한 중계선과 구내 호를 위한 중계선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되, 공중망 중계선과 구내 중계선을 1:1로 대응되도록 맵핑한후 상기 맵핑하고 남은 공중망 중계선이 있을 경우 구내 호를 위해서만 사용토록 하는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을 효율적 사용방법에 관한것이다.
도 1는 종래의 공중망 연동 유.무선 그리고 IP단말을 이용한 각종 통신서비스를 제공키 위한 망 구성도로서,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제어서비스를 위한 MSC, BSC, HLR/VLR를 포함하는 공중 무선망(141)과, 상기 공중무선망(141)으로 부터 무선단말기(MT)가입자 서비스를 위한 BTS를 포함하는 공중전용셀(151)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공중무선망(141)을 위하여 공중용 및 사설용 공유 통신서비스 영역으로 공중/사설 공유셀(14)을 가진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셀(14)은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셀(14)은 특정 한정된 영역이 될수 있다. 예컨대, 특정 회사가 하나의 빌딩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빌딩이 속한 영역(Area)을 공중/사설 공유 셀(14)로 정할 수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 셀(14)을 정하는 것은 사전에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와의 협의 하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무선통신의 서비스 관점에서 공중/사설 공유셀(14)에 있는 사설기지국(BTS)(205)은 공중무선망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공중기지국(BTS)과 대응되며, 또한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는 공중 무선망의 무선교환제어장치(MSC)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공중/사설 공유 셀(14)의 구내에서 등록된 동일 사업자의 무선단말기들(MT)들 사이의 통화를 할수 있다. 즉, 기존 공중 무선망(141)에 무선 교환기에 해당하는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를 연결(마치 공중망에서는 기지국으로 인식)하여 구내전화를 사용할때는 호 관리부에서 등록된 무선단말기들(MT)에 대해서는 구내전화처럼 사용할수 있게 하고, 등록되지 않은 무선단말기(MT)일 경우는 호 관리부의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의 제어에 따라 바이패스 시켜서 기지국만 공유하게 된다. 상기 등록된 무선단말기(MT)인 경우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구내유선단말과 통화하는 경우와 둘째로 구내무선단말과 통화 할 경우로 나눌수 있다. 상기 구내유선단말과 통화할 경우는 호 메세지에서 LAN을 통해서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와 통화하고자 할시 제어부는 타임스위치를 연결하여 해당 단말기와 통화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서 구내 유무선 통합 및 공중무선망과 공용하도록 하나의 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존 공중망의 전파도 빌딩내에 들어 오게 되므로 이와 구별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구내 무선단말기(MT)는 구내 기지국을 잡도록 중계기를 빌딩의 각층 또는 적절한 곳에 설치되며, 파이롯트(Pilot)의 세기를 옥내에서는 더 크게 되도록한다.따라서 구내단말기는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서 제공하는 사설 MSC, 사설 BSC, 사설BTS기능에 의하여 공중무선망 또는 구내에서 무선단말기들(MT)간에 통신을 할수 있다. 이에 대해 본건특허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10-2000-28087호에서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그러나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를 이용한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서 사설기지국(BTS)(205)방향의 중계선(170)은 공중망 호와 구내 무선호 모두를 사용한다. 즉,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서는 사설기지국(BTS)(205)방향의 중계선(170)의 트래픽과 BSC(201)로 부터 공중망 중계선(178)의 트래픽을 비교해 보면, 사설기지국(BTS)(205)방향의 중계선(170)에 더 많은 트래픽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망호를 위한 구내 중계선은 공중망 중계선과 1:1로 사용하도록 맵핑을 하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서는 구내호를 위해서만 사용하도록 트래픽 부하를 줄이고 과도한 중계선 임대료의 낭비를 막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서 기지국(BTS)과 연결된 구내 중계선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의 수를 M개를 가지되, N이 많도록(N≥M)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N가 M을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 호를 사용토록 구분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BTS)과 연결된 무선단말(MT)이 공중망 호 설정을 요구하면 공중망 제어국(BSC)에서는 트래픽을 위해 공중망 중계선 중 한 개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알려주는 값으로부터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는 선택된 공중망 중계선에 해당하는 구내 무선 중계선을 맵핑정보로 부터 얻어 트래픽경로를 선택하여 공중 호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서 기지국(BTS)과 연결된 구내 중계선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의 수를 M개를 가지되나 N이 보더 많게 되며(N≥M), 상기 N과 M을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위해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 호를 사용토록 구분시키며, 구내 무선망의 기지국(BTS)과 연결된 무선단말(MT)이 공중망 호 설정을 위해 요구하면 공중망 제어국(BSC)에서는 트래픽을 위해 공중망 중계선 중 한 개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알려주고, 이때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는 선택된 공중망 중계선에 해당하는 구내 무선 중계선을 맵핑정보로 부터 얻어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여 공중 호가 설정될수 있도록 한다.
도 1는 종래의 공중망 연동 유.무선 그리고 IP단말을 이용한 각종 통신서비스를 제공키 위한 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중계선을 효율적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중계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맵핑테이블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을 효율적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시스템도로서,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서 기지국(BTS)과 연결된 구내 중계선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의 수를 M개를 가지(N≥M)도록 하는 정과,
상기 N가 M을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 호를 사용토록 구분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BTS)과 연결된 무선단말(MT)이 공중망 호 설정을 요구하면 공중망 제어국(BSC)에서는 트래픽을 위해 공중망 중계선(178) 중 한 개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알려주는 값으로부터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는 선택된 공중망 중계선(178)에 해당하는 구내 무선 중계선을 맵핑정보로 부터 얻어 트래픽경로를 선택하여 공중 호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중계선의 사용은 BSC에서 구내 무선기지국(BTS)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계선과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서 구내 무선기지국(BTS)과 연결된 중계선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178)의 수를 M개 가지되, 상기 N이 M보다 많게 가진다(N≥M). 그런데 상기 N과 M은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170)에 대해 구내 호를 사용토록 구분시키며, 구내 무선망의 기지국(BTS)과 연결된 무선단말(MT)이 공중망 호 설정을 요구하면 공중망 제어국(BSC)에서는 트래픽을 위해 공중망 중계선(178) 중 한 개를 선택하여 구내 무선기지국(BTS)에 알려주고, 이때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서는 선택된 공중망 중계선(178)에 해당하는 구내 중계선을 맵핑정보로 부터 얻어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여 공중호가 설정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P1,P2,P3,P4,P6,P7,P8,P9는 맵핑시 포트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중계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맵핑테이블도이다.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기 도1 에서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서 구내 무선기지국(BTS)과 연결된 중계선(170)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178)의 수를 M개 가지되, N이 보다 많게 가진다(N≥M). 상기 N과 M을 1:1로 대응시켜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호를 사용토록 구분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에서 구내 중계선(170)의 포트(P6,P7)과 공중망 중계선(178)의 포트(P3,P4)를 기준으로 맵핑된 예를 설명하면, 포트(P3)는 BSC(201)의 포트(P1)과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의 포트(P6)와 BTS(205)측 포트(P8)을 연결토록 하고, 포트(P4)는 BSC(201)의 포트(P2)과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의 포트(P7)와 BTS(205)측 포트(P9)을 연결토록 하며, 포트(P6)는 BSC(201)측의 포트(P1)과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의 포트(P3)와 BTS(205)측의 포트(P8)을 연결토록 하고, 포트(P7)는 BSC(201)의 포트(P2)과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의 포트(P4)와 BTS(205)측의 포트(P9)을 연결토록 맵핑한다. 따라서 N과 M을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됨을 알수 있으며,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 호를 사용토록 한다. 그런데 상기 BSC(201)이 알고 있는 중계선의 정보와 기지국(BTS)(205)이 알고 있는 중계선의 정보는 일치하지 않지만,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는 구내 중계선(170)과 공중망 중계선(178)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도 3의 예와 같이 구내 중계선(170)을 공중망 중계선(178)과 1:1로 맵핑시킬수 있다. 즉, 도 2의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는 구내 중계선(170)의 전체 N개중 M개를 공중망 중계선(178)과 1:1이 되도록 맵핑시키고, 상기 맵핑을 하고 남은 중계선을 구내 호에 대해서만 사용하도록 한다. 만일, 구내 무선망의 BTS(205)과 연결된 무선단말(MT)이 공중망 호 설정을 요구하면 BSC(201)에서는 트래픽을 위해 공중망 중계선 중 한 개를 선택하여 BTS(205)에게 알려 준다. 이때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100)는 선택된 공중망 중계선(178)에 해당하는 구내 중계선(170)을 맵핑정보로 부터 얻어와 트래픽 경로를 설정, 공중망 호가 설정 될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중망 호를 위한 구내 중계선은 공중망 중계선과 1:1로 사용하고서 남은 구내 중계선으로 구내호를 위해 사용하므로 여유가 있게 되어 트래픽 부하를 줄일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서 기지국(BTS)과 연결된 구내 중계선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의 수를 M개를 가지되(N≥M), 상기 N가 M을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 호를 구분시켜 사용토록 하므로 결국, 기지국 방향의 중계선의 수에 비해 공중망 중계선의 수는 작게 사용하여 과도한 중계선 임대료의 낭비를 막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서 기지국(BTS)와 공중 제어국(BSC)와의 중계선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서 기지국(BTS)과 연결된 구내 중계선의 수를 N개, 공중 제어국(BSC)과 연결된 공중망 중계선의 수를 M개라 할때 N을 더 많이 가지도록(N≥M)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N가 M을 1:1로 대응하여 공중망을 사용토록 맵핑을 시키고, 상기 M과 N을 1:1로 대응시키고 남은 구내 중계선에 대해 구내 호를 사용토록 구분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BTS)과 연결된 무선단말(MT)이 공중망 호 설정을 요구하면 공중망 제어국(BSC)에서는 트래픽을 위해 공중망 중계선 중 한 개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알려주는 값으로부터 상기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는 선택된 공중망 중계선에 해당하는 구내 무선 중계선을 맵핑정보로 부터 얻어 트래픽경로를 설정하여 공중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중망 연동 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중계선을 효율적 사용방법.
KR10-2001-0085812A 2001-12-27 2001-12-27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KR10046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812A KR100469707B1 (ko) 2001-12-27 2001-12-27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812A KR100469707B1 (ko) 2001-12-27 2001-12-27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741A KR20030055741A (ko) 2003-07-04
KR100469707B1 true KR100469707B1 (ko) 2005-02-02

Family

ID=3221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812A KR100469707B1 (ko) 2001-12-27 2001-12-27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50B1 (ko) * 2002-08-19 2005-0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인포모바일 시스템 링크 구성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0588A1 (en) * 1995-06-16 1997-01-03 Nokia Telecommunications Oy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establishment methods
JPH11289382A (ja) * 1998-04-01 1999-10-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公専統合型交換機
KR20000021665A (ko) *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설교환기를 비동기전송모드망에 접속시키기위한 장치
KR20010106965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유.무선 복합구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2721A (ko) * 2001-11-23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무선망 및 사설 유무선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43418A (ko) * 2001-11-28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이동통신망 및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망과 그를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0588A1 (en) * 1995-06-16 1997-01-03 Nokia Telecommunications Oy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establishment methods
JPH11289382A (ja) * 1998-04-01 1999-10-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公専統合型交換機
KR20000021665A (ko) *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설교환기를 비동기전송모드망에 접속시키기위한 장치
KR20010106965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유.무선 복합구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2721A (ko) * 2001-11-23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무선망 및 사설 유무선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43418A (ko) * 2001-11-28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이동통신망 및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망과 그를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741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2727B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09503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in a wireless office network
US5771275A (en) Use of ISDN to provide wireless office environment connection to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JP3514458B2 (ja) 通話を確立する方法
CA2044436C (en) Mobile communications
US5887256A (en) Hybrid cell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A2253501C (en) Process for integrating cordless telephone networks into cellular mobile telephone networks
FI116353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jotka liittyvät solukkoteleliikenteeseen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US70432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7103360B2 (en) Switching telephone calls between wireline and cellular telephones
CA2137136A1 (en) Subscriber services arrange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pabx access
US7224975B2 (en) Procedure and system for setting up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AU714073B2 (en) Hybrid cell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336971B2 (en) System for providing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eparately from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processing call using the same
CN1158207A (zh) 通信系统和呼叫建立方法
KR100469707B1 (ko) 공중망연동무선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중계선의효율적 사용 방법
JP2000299884A (ja) 第2の規格の構内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第1の規格の移動電話端末の使用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
US20040235500A1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using a home cell
CA2353898C (en) Cellular-fixed call completion and call transfer service from a cellular network provider
EP14967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oaming and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
US7139577B1 (en) Method for call control of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wirelessly connected to communication networks
JP4037487B2 (ja) セルラー無線システム
KR20010046159A (ko) 패킷 기반의 이동전화 구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KR100603425B1 (ko) 공중이동전화망에서의 무선구내전화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