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9576B1 - ε-카프로락탐,6-아미노카프로산및6-아미노카프로산아미드의혼합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ε-카프로락탐,6-아미노카프로산및6-아미노카프로산아미드의혼합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576B1
KR100469576B1 KR10-1998-0706757A KR19980706757A KR100469576B1 KR 100469576 B1 KR100469576 B1 KR 100469576B1 KR 19980706757 A KR19980706757 A KR 19980706757A KR 100469576 B1 KR100469576 B1 KR 10046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rolactam
ammonia
aminocapronic acid
aminocapronic
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348A (ko
Inventor
빔 부이즈스
헨리쿠스 프란시스쿠스 빌헬무스 볼테르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두퐁 드 느무르 앤드 컴퍼니
코닌클리즈케 디에스엠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두퐁 드 느무르 앤드 컴퍼니, 코닌클리즈케 디에스엠 엔.브이. filed Critical 이. 아이. 두퐁 드 느무르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1999008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1/00Preparation, separation, purification or stabilisation of unsubstituted lactams
    • C07D201/02Preparation of lactams
    • C07D201/12Preparation of lactams by depolymerising poly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모니아와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을 가열시킴으로써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성 혼합물은 0.5 중량% 내지 7 중량%(NH3로서 계산된 값임)의 당량 암모니아["당량 암모니아(equivalent ammonia)"라 함은 유리(遊離) 암모니아, 및 수성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들 중 하나의 말단 아미드기 형태로 존재하는 암모니아를 의미함]를 함유하고, 온도는 280℃ 내지 3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혼합물의 제조 방법{PROCESS OF THE PREPARATION OF A MIXTURE OF ε-CAPROLACTAM, 6-AMINOCAPROIC ACID AND 6-AMINOCAPROIC AMIDE}
본 발명은 암모니아와 6-아미노카프론산(6-aminocaproic acid)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6-aminocaproic amide)의 올리고머(oligomer)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을 가열시킴으로써,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JP-B-72010715에는 200~380℃의 온도에서 5-30 중량%의 암모니아의 존재하에 수중에서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가열시킴으로써, ε-카프로락탐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반응 후, ε-카프로락탐은 추출 또는 증류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ε-카프로락탐의 분리 후에도 추출 또는 증류 잔사(殘渣)는 미반응의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및 상기 두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여전히 함유한다.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는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고리화 반응 기간 중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JP-B-72010715의 실시예에는 28중량% 농도의 암모니아와 배합하여 380℃에서 ε-카프로락탐을 고수율로 생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높은 수율은,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전술한 수성 추출물 또는 증류 잔사를 반응기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공지 방법의 단점은,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 물질에 비하여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총 수율이 낮다는 것이다. ε-카프로락탐의 제조시에는, 6-아미노카프론산과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화합물은 바람직하지 않은 생성물이다. 왜냐하면, 이미 공지된 것이지만, 상기 화합물들은 상당한 수율로 ε-카프로락탐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또한 ε-카프로락탐 전구체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 공지 방법의 추가의 단점은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ε-카프로락탐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인데, 이는 아마도 소량의 부산물이 상기 제조방법으로 형성되기 때문인 것 같다.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상기 부산물을 ε-카프로락탐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그 결과, 최종 생성물을 산업적인 규모로 나일론-6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된 올리고머가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로 고수율로 전환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성 혼합물은 0.5-7 중량%(NH3로서 계산된 값임)의 당량 암모니아(equivalent ammonia)를 함유하며, 온도가 280 내지 330℃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당량 암모니아(equivalent ammonia)"라 함은 유리(遊離) 암모니아, 및 수성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들 중 하나의 말단 아미드기 형태로 존재하는 암모니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ε-카프로락탐 생성물 스트림 내의 부산물의 양은 공지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된 것보다 상당히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점은 고수율의 ε-카프로락탐 및 ε-카프로락탐 전구체가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유리점은 ε-카프로락탐이 고순도로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의 유리점은 ε-카프로락탐 및 ε-카프로락탐 전구체의 총량에서 ε-카프로락탐 분획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JP-B-72010715의 더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가 280-330℃에서 사용되면, 상당히 낮은 ε-카프로락탐 분획이 수득된다. ε-카프로락탐의 분획이 높다는 것은, 연속 단계로 ε-카프로락탐으로 전환되어야 할 ε-카프로락탐 전구체의 양이 적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는 소규모의 제조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US-A-3485821은 올리고머없이 260℃의 온도, 1 중량%의 암모니아 수용액내에서 6-아미노카프론산이 고리화되는 ε-카프로락탐의 제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US-A-3485821은 또한 암모니아가 없다면 동일한 온도(260℃)에서 고수율의 ε-카프로락탐이 수득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당량의 암모니아 존재시 6-아미노카프론산의 올리고머가 ε-카프로락탐 및 6-아미노카프론산으로 되는 반응을 기술하고 있지 않다.
US-A-4730040은 6-아미노카프론산의 고리화 반응이 암모니아 없이 물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ε-카프로락탐의 수율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특허는 암모니아의 존재시 6-아미노카프론산의 올리고머를 ε-카프로락탐 및 6-아미노카프론산으로 반응시키는 것을 기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올리고머는 6-아미노카프론산의 직쇄형 올리고머,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직쇄형 올리고머 및/또는 상기의 고리형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6-아미노카프론산의 직쇄형 올리고머는 일반식 H[NH(CH2)5CO]nOH 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보통 2 내지 10이다.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직쇄형 올리고머는 일반식으로 H[NH(CH2)5CO]nNH2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 내지 10이다. 대부분의 올리고머는 이량체 및 삼량체이다.
수성 혼합물에서 올리고머의 양은 보통 1 중량%를 초과한다. 올리고머의 양은 보통 2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중량% 미만이다.
암모니아는 수성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거나 반응 혼합물내에 이미 존재할 수 있는데, 상기 반응 혼합물은 앞의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를 또한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혼합물내 (당량) 암모니아의 양은, 0.5 내지 7 중량%(NH3로서 계산된 값임)의 당량 암모니아이다. 여기서 "당량 암모니아"란 유리 암모니아, 및 수성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들 중 하나의 말단 아미드기 형태로 존재하는 암모니아를 의미한다. 말단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더 큰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이다. 말단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다른 화합물은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 예를 들면, H2N(CH2)5C(O)NH(CH2 )5C(O)NH2(이량체) 및 H2N(CH2)5C(O)NH(CH2)5C(O)NH(CH2) 5C(O)NH2(삼량체)이다. 당량 암모니아의 몰량은 보통 유리 암모니아 몰량의 합 및 보통 하나의 말단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몰량이다. 예를 들면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이량체 1 몰은 당량 암모니아의 1 몰과 같다. 2개의 말단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1 몰은 2 몰의 당량 암모니아를 나타낸다. 당량 암모니아의 중량%는 NH3의 분자량을 사용하여 당량 암모니아의 몰량으로 출발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당량 암모니아의 존재 때문에 반응 혼합물내 ε-카프로락탐 및 ε-카프로락탐 전구체의 양이 증가한 것처럼 보인다. 당량 암모니아의 양은 가능한 낮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당량 암모니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ε-카프로락탐 및 ε-카프로락탐 전구체, 즉,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총량 중 ε-카프로락탐의 분획이 감소함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당량 암모니아 농도는 3 중량% 미만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량 암모니아 농도는 암모니아를 첨가하거나 암모니아를 제거함으로써, 예를 들면, 스트리핑(stripping)에 의하여 상기의 일반적이고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소망값으로 유지하고/유지하거나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는 당량 암모니아가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로서 존재하는 방법이며, 이는 유리 암모니아를 따로 첨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하다.
상기 이론에 따라 특별한 제한이 없다면, 상당부의 유리 암모니아가 아미드 화합물로서 결합되고,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및 잔류하는 유리 NH3와 같은 화합물이 증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효과는 5~40 중량%의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존재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성 혼합물의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농도가 8~20 중량%일 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6-아미노카프론산은 수성 혼합물에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수성 혼합물 중의 6-아미노카프론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15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ε-카프로락탐이 또한 수성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수성 혼합물 중의 ε-카프로락탐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앞선 공정 단계에서 수득된 수성 혼합물을 사용하여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혼합물은 이미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바람직하게는 또한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및 선택적으로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ε-카프로락탐의 올리고머를 함유한다. 상기 올리고머,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은 예를 들면 5-포르밀발레르산 또는 그 에스테르를 환원적 아민화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및 선택적으로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ε-카프로락탐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도는 15 중량% 초과이다. 상기 고농도는 더 작은 규모의 제조 장비가 필요하고, 그 결과 낮은 투자 비용을 가져오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유리하다.
고리화 반응시 압력은 실행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액체 반응 혼합물의 평형 압력과 동일하거나 더 높아야 한다. 상기 압력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반응 혼합물이 액체로서 수득되게 하는 압력이어야 한다.
고리화는 일괄처리 또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업적인 공정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이 적당한 반응기내에서 연속 모드로 수행된다. 적당한 반응기의 예로는 관형 반응기, 연속적으로 혼합되는 반응기 또는 일련의 몇가지 혼합 반응기가 있다.
반응 후 ε-카프로락탐이 풍부한 혼합물이 수득되고, 수득된 ε-카프로락탐은 당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분리기술 중 하나를 사용하여 회수될 수 있다. 적당한 분리 기술의 예로는 결정법, (진공)증류법 및 추출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ε-카프로락탐은 유기 추출 시약을 사용하여 추출법에 의하여 분리된다. 적당한 유기 추출 시약의 예로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시클로헥산, 클로로포름, 톨루엔, 벤젠, 테트라클로로에탄 및 트리클로로에텐이 있다. 바람직한 추출 시약으로는, 추출 조건하에서 액체이고 실제로 물과 섞이지 않는, 한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고리형)지방족 유기화합물이다. 이러한 (폴리)알콜은 바람직하게는 5-1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이러한 추출 시약은 앞서 기술된 염소화 유기 화합물보다 양호한 추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 시약은 또한 사용할 때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둘,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직 하나의 히드록시기가 존재하도록 한다. 두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헥산디올, 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메틸-메틸프로판디올, 에틸-메틸프로판디올 또는 부틸-메틸프로판디올이 있다.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시클로헥산올, 4-메틸-2-펜탄올, 2-에틸-1-헥산올, 2-프로필-1-헵탄올, n-옥탄올, 이소-노닐알콜, n-데실알콜 및 직쇄형 및 분지쇄형 C8-알콜의 혼합물, 직쇄형 및 분지쇄형 C9-알콜의 혼합물 및 직쇄형 및 분지쇄형 C10-알콜의 혼합물이 있다. 상기 언급된 알콜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ε-카프로락탐이 증류에 의하여 회수된다면, ε-카프로락탐의 전부가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 잔사가 소량의 ε-카프로락탐을 함유하고 있을 때, 6-아미노카프론산 및/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올리고머가 덜 고체화될 것이다. 증류 잔사는 5 내지 50 중량%의 ε-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량의 ε-카프로락탐을 함유하고 있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얻은 증류 잔사는 일반적으로 또한 비전환된 올리고머,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함유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ε-카프로락탐이 수성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되고, 수득된 ε-카프로락탐-제거 혼합물(이 혼합물은 적어도 상당량의 비전환된 올리고머,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함유하고 있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ε-카프로락탐 제조방법으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재순환이 사용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행시 거의 100%인 고수율의 ε-카프로락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이후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나 꼭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약어가 사용될 것이다 : 6-ACA = 6-아미노카프론산, 6-ACAM =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및 CAP = ε-카프로락탐. "Mol 올리고머"란 당량 ε-카프로락탐의 농도를 mol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올리고머의 양에 의하여 가설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단량체 수율(몰%)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 반응기를 떠나는 혼합물내 존재하는 6-ACA, 6-ACAM 및 CAP의 총량(몰)을 반응기로 공급되는 혼합물내 존재하는 6-ACA, 6-ACAM, CAP 및 올리고머의 총량(몰)으로 나눈다. 이 값에 100%를 곱한다.
실시예에서 ε-카프로락탐 수율(몰, %)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 반응기를 떠나는 혼합물내 존재하는 ε-카프로락탐의 양(몰)을 반응기로 공급되는 혼합물내 존재하는 6-ACA, 6-ACAM, CAP 및 올리고머의 총량(몰)으로 나눈다. 이 값에 100%를 곱한다.
수성 혼합물 및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분리할때는 많은 기법중에서도 HPLC(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GLC(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NMR(핵 자기 공명법)을 사용한다.
실시예 I
0.03 중량%의 6-아미노카프론산, 0.39 중량%의 ε-카프로락탐, 0.5 중량%의 올리고머 및 6 중량%의 NH3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을 고리화 반응기로 공급했다. 고리화 반응기는 2 리터 부피의 연속 혼합 반응기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오일 배쓰의 도움으로 290℃로 유지했다. 압력은 10MPa 이었다. 60분의 방치후, 단량체 수율(한번 통과)은 95.8 몰%였고 ε-카프로락탐의 수율은 77.1 몰%였다.
비교 실험 A
이번에는 수성 혼합물이 0 중량 % 의 NH3를 함유하게 하면서 실시예 I을 반복했다. 단량체 수율은 91.0 몰%였고 ε-카프로락탐의 수율은 83.6 몰%였다.
실시예 II
14.2 몰%의 6-아미노카프론산, 39.9 몰%의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 33.9 몰%의 ε-카프로락탐 및 12.0 몰%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22.1 중량%의 유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수성 혼합물이 742 g/hour(상기 화합물의 1.33 몰/hour)의 유속으로 고리화 반응기에 연속모드로 공급되었다. 85 g/hour(대략 0.715 몰/hour)의 증류 잔류물 및 314 g/hour의 물을 또한 고리화 반응기로 공급하였다. 총 1141 g/hour의 생성 혼합물(21.8 중량%의 혼합물)이 고리화 반응기(249 g/hour의 ε-카프로락탐, ε-카프로락탐 전구체 및 올리고머, 그리고 892 g/hour의 물)로 공급되었다.
상기 고리화 반응은 관형 반응기에서 오일 배쓰에 의하여 300 ℃의 온도를 유지하고, 10 MPa의 압력으로 대략 30분정도 유지시키면서 수행되었다.
냉각 및 감압 후, 고리화 반응기의 유출물을 분석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0.5 몰%의 ε-카프로락탐, 10.8 몰%의 6-ACA(M) 및 18.7 몰%의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있었다.
고리화 유출 혼합물이 연속 모드로 일련의 2개의 진공 증류 컬럼으로 공급되었다. 첫번째 컬럼에서는, 용매(물)가 제거되었다. 두번째 컬럼에서는 ε-카프로락탐이 150 g/시간(1.33 몰/시간)의 속도로 분리되었다.
두번째 증류 컬럼내 바닥류로서 수득된 증류 잔류물(0.715 몰/hour의 ε-카프로락탐, ε-카프로락탐 전구체 및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있음)을 85 g/hour의 속도로 상기 고리화 반응기에 연속 모드로 재순환시켰다.
ε-카프로락탐 부분이 제거된 후 증류 잔사를 재순환시킴으로써 100 % 수율의 ε-카프로락탐이 수득될 수 있었다.
연속 공정이 안정화된지 3시간 후 상기 결과가 수득되었다.

Claims (6)

  1. (i) 암모니아, (ii) 6-아미노카프론산, 및 (iii) 6-아미노카프론산의 직쇄형 또는 고리형 올리고머,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직쇄형 또는 고리형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리고머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고 (iv) 6-아미노카프론산, 또는 ε-카프로락탐, 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및 ε-카프로락탐을 임의 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성 혼합물은 0.5~7 중량%(NH3로서 계산된 값임)의 당량 암모니아["당량 암모니아(equivalent ammonia)"라 함은 유리(遊離) 암모니아, 및 수성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들 중 하나의 말단 아미드기의 형태로 존재하는 암모니아를 의미함], 1~20 중량%의 상기 올리고머 및 5~40 중량%의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함유하고,
    상기 수성 혼합물 중의 상기 올리고머와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의 농도, 또는 상기 수성 혼합물 중의 상기 올리고머와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와 6-아미노카프론산, 또는 ε-카프로락탐, 또는 6-아미노카프론산 및 ε-카프로락탐의 농도는 10~40 중량%이며,
    온도는 280~3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혼합물은 0.5~3 중량%의 당량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혼합물은 8~20 중량%의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수성 반응 혼합물로부터 ε-카프로락탐을 분리하고, 그 결과로 수득된, ε-카프로락탐이 결핍된 혼합물로서 적어도 일정량의 비전환된 올리고머, 6-아미노카프론산 및 6-아미노카프론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ε-카프로락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유기 추출제(organic extraction agent)를 사용하는 추출에 의하여 ε-카프로락탐의 분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추출제는 5~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폴리)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6757A 1996-02-23 1997-02-12 ε-카프로락탐,6-아미노카프로산및6-아미노카프로산아미드의혼합물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69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2429A NL1002429C2 (nl) 1996-02-23 1996-02-23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en mengsel van epsilon-caprolactam, 6-aminocapronzuur en 6-aminocapronzuuramide.
NL1002429 1996-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348A KR19990087348A (ko) 1999-12-27
KR100469576B1 true KR100469576B1 (ko) 2005-05-16

Family

ID=1976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7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9576B1 (ko) 1996-02-23 1997-02-12 ε-카프로락탐,6-아미노카프로산및6-아미노카프로산아미드의혼합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011153A (ko)
EP (1) EP0882018B1 (ko)
JP (1) JP2000504744A (ko)
KR (1) KR100469576B1 (ko)
CN (1) CN1085203C (ko)
AU (1) AU1676197A (ko)
CA (1) CA2247459C (ko)
DE (1) DE69712869T2 (ko)
ES (1) ES2177931T3 (ko)
ID (1) ID16033A (ko)
MY (1) MY122033A (ko)
NL (1) NL1002429C2 (ko)
TW (1) TW499424B (ko)
WO (1) WO1997030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7712A1 (en) 1998-02-18 1999-08-25 Dsm N.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caprolactam
US6660857B2 (en) 2000-02-03 2003-12-09 Dsm N.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ε-caprolactam
EP1122241A1 (en) * 2000-02-03 2001-08-08 Dsm N.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psilon-caprolactam
WO2001056984A1 (en) * 2000-02-03 2001-08-09 Dsm N.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ε-CAPROLACTAM
BRPI0908941A2 (pt) * 2008-03-11 2018-02-27 Dsm Ip Assets Bv preparação de ácido 6-aminocapróico a partir de ácido a-cetopimélico
CN111122720B (zh) * 2019-12-11 2022-09-02 湖北三宁碳磷基新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己内酰胺、6-氨基己酰胺和6-氨基己腈的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5821A (en) * 1967-05-29 1969-12-23 Techni Chem Co The Process for preparing caprolactam and its alkyl substituted derivatives
JPS4710715B1 (ko) * 1968-08-26 1972-03-30
US3845821A (en) * 1972-09-21 1974-11-05 Texaco Inc Recovery of oil by a vertical miscible flood
DE3403574A1 (de) * 1984-02-02 1985-08-08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gewinnung von caprolactam aus (epsilon)-aminocapronsaeure
DE3602377A1 (de) * 1986-01-28 1987-07-3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prolactam
US5395974A (en) * 1994-01-21 1995-03-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ewis acid catalyzed ammonolysis of nyl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6033A (id) 1997-08-28
ES2177931T3 (es) 2002-12-16
JP2000504744A (ja) 2000-04-18
KR19990087348A (ko) 1999-12-27
CA2247459A1 (en) 1997-08-28
EP0882018B1 (en) 2002-05-29
CA2247459C (en) 2005-04-19
TW499424B (en) 2002-08-21
EP0882018A1 (en) 1998-12-09
US6011153A (en) 2000-01-04
CN1216529A (zh) 1999-05-12
WO1997030974A1 (en) 1997-08-28
MY122033A (en) 2006-03-31
AU1676197A (en) 1997-09-10
DE69712869D1 (de) 2002-07-04
NL1002429C2 (nl) 1997-08-26
CN1085203C (zh) 2002-05-22
DE69712869T2 (de) 200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857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ε-caprolactam
KR100469576B1 (ko) ε-카프로락탐,6-아미노카프로산및6-아미노카프로산아미드의혼합물의제조방법
KR100518073B1 (ko) ε-카프로락탐과 ε-카프로락탐 전구물질의 수성 혼합물의 연속제조방법
EP0882017B1 (en) Process to prepare epsilon-caprolactam from 6-aminocaproic acid
EP0891327B2 (en) Recovery of epsilon-caprolactam from aqueous mixtures
KR20000052696A (ko) 락탐 처리 방법
KR101155354B1 (ko) ε-카프롤락탐의 제조방법
US6683178B2 (en) Preparation of cyclic lactams
EP0826665A1 (en) Recovery of epsilon-caprolactam from aqueous mixtures
EP154609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CAPROLACTAM FROM A MIXTURE COMPRISING 6-AMINOCAPROAMIDE AND/OR OLIGOMERS
EP125753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e)-CAPROLACTAM
WO2001056984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ε-CAPROLACT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