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9431B1 -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431B1
KR100469431B1 KR10-2002-0043949A KR20020043949A KR100469431B1 KR 100469431 B1 KR100469431 B1 KR 100469431B1 KR 20020043949 A KR20020043949 A KR 20020043949A KR 100469431 B1 KR100469431 B1 KR 10046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compensation
channel
transmitter power
cd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912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431B1/ko
Priority to CNA031438172A priority patent/CN1474623A/zh
Publication of KR2004001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무선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 온도에 무관하게 송신부 전력을 유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은 상온을 기준으로 설정된 채널별 송신전력 보상 테이블을 모든 동작 온도에 적용하기 때문에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소정의 온도 영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들을 작성하는 단계와; CDMA 송신부가 사용되는 온도와 채널을 판단하여 그 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온도 영역에 대한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들 중 하나로부터 보상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송신부 전력을 기준값으로 보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계절이나 사용 기후에 관계 없이 CDMA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METHOD FOR TRANSMITTER POWER COMPENSATION}
본 발명은 CDMA 무선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 온도에 무관하게 송신부 전력을 유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 무선 송신부는 사용하는 채널(사업자)에 따라 전력이 달라지며, 이를 보상하기위해 채널 주파수에 따른 보상 정도를 테이블로 만들어 참조한다. 이러한 채널 주파수에 대한 송신부 전력의 보상은 설계자가 송신부 개발 시 설정하는 것으로, CDMA 무선 송신부를 상온(25℃)에서 사용한다는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각각의 채널에 따른 송신 전력은 기준 송신 전력과 비교되어 그 차이값으로 상기 보상 테이블을 작성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채널별 송신부의 성능을 균일화 한다. 이러한 균일화를 통해서 최적의 송신부 성능을 유지하게 된다.
상온에서 사용되는 송신부 채널 보상 기준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1은 현재 CDMA 채널별 전력 보상 방법에 사용되는 보상 곡선 및 보상 테이블의 예로서, 상온(25℃)에서의 송신부 채널(주파수)별 송신 전력(dBm) 곡선과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송신부 채널별 보상 테이블을 도시한다.
상기 도시된 곡선은 CDMA 무선 송신기를 사용하는 휴대폰의 전력 측정 계측기와 전력 측정 계측기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송신부 채널별(주파수별) 전력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온에서 사용되는 상기 CDMA 송신부의 전력은 채널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지는 비직선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비직선적 특성 때문에 소정의 수식이 아닌 보상 테이블을 이용하며, 상기 보상 테이블에 특정 채널에 대한 송신부 전력을 기준치로 맞추기 위한 보상값들을 저장한다.
도 1에서, 25채널을 보면 송신 전력은 15dBm이다. 그리고, 최대치를 보면 200채널에서 18dBm이다. 이때, 소모되는 전력과 주변 상태, 그리고 송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설정한 최적의 송신 전력을 17dBm이라 가정하면, 이 값에 대한 편차들의 역을 보상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25채널에서는 15dBm이므로 2dBm이 가산되어야하고, 550채널에서는 14dBm이므로 3dBm이 가산되어야한다. 그리고, 250채널에서는 17dBm으로 기준값과 같으므로 보상 값이 없다.
현재의 CDMA 송신기는 상기와 같은 상온에서 측정된 채널별 송신 전력 보상 테이블을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휴대폰과 같은 CDMA 송신기를 적용한 제품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지역의 기후나 동작 온도가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목해야한다. 즉, 송신기의 송신 전력은 채널간의 편차만큼이나 온도에 따른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상온(25℃)에서 측정된 보상값을 모든 동작 온도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은 상온을 기준으로 설정된 채널별 송신전력 보상 테이블을 모든 동작 온도에 적용하기 때문에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온도에 따른 다수의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을 적용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송신부 전력 편차를 보상하여 최적의 송신부 전력 값을 유지할 수 있는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신부 채널별 전력 보상 기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온에서의 송신부 채널별 전력 보상 기준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온에서의 송신부 채널별 전력 보상 기준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온도 영역에 대해 측정된 송신부 채널 보상 값들을 운용 온도 영역에 대한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와; CDMA 송신부가 사용되는 온도 및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온도 영역에 대한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을 검색하여 보상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송신부 전력을 보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들 및 보상 테이블들 모두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된다. 상기 도면들은 단순한 예제이며, 개발되는 CDMA 송신기의 기종이나 종류에 따라 이와 상이한 보상 곡선들 및 보상 테이블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한다.
도 1은 상온(25℃)에서 측정된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 및 보상 테이블로, 전술된 바와 같이, 상온에 대한 송신부 전력을 보상하기위해 사용되며,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들 중 하나가 된다.
도 2와 도 3의 채널 보상 곡선들에 따라 산출된 보상 테이블들을 도 1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필요성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고온에서의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 및 보상 테이블로, 여기서는 50℃에서 CDMA 무선 송신부를 측정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즉, 한 여름에 사용되는 CDMA 무선 송신부는 자체의 발열과 외부 온도에 의해 50℃ 이상이 되며, 이때의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은 도 1에 도시된 상온(25℃)에서의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과는 완전히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연히, 고온에서의 채널 보상 곡선 및 보상 테이블은 50℃라는 온도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설계자가 의도하는 적절한 온도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테이블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만일 CDMA 무선 송신부가 열대지방에서 사용되거나 고온의 기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고온에 대한 채널 보상 테이블을 좀더 정밀하게 만드는 것으로 CDMA 송신부는 보다 균일한 최적의 송신 전력을 유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필요성을 확인하기위해, 도 2의 채널별 송신 전력에 도 1의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을 적용해 보도록 하자. 50℃에서 동작하는 CDMA 송신기에서 25채널을 사용하면, 도 1의 보상 테이블을 기준으로 한 보상값은 +2dBm이 된다. 그러나 도 2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부 전력은 22dBm이므로 보상된 값은 24dBm이 되어 기준값인 17dBm보다 무려 7dBm이 크게 된다. 이런 경우라면 오히려 보상하지 않는 편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24dBm의 큰 송신 전력을 사용하면 전력의 소모가 커지고고, 자체적인 발열이 많아지며, 인접한 다른 CDMA 송신부와 간섭할 가능성이 커지게된다. 특히, 휴대용 전화기에 사용되는 CDMA 송신부에서는베터리 소모와 송신 신호 강도에 의한 간섭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만일 550채널을 사용한다면, 도 1의 보상 테이블을 기준으로 한 보상값은 +3dBm이 된다. 그러나 도 2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부 전력은 23dBm이므로 보상된 값은 26dBm이 되어 기준값인 17dBm보다 무려 9dBm이 크게 된다. 역시 전술한 문제점이 더욱 악화되어 나타나게된다.
만일 200채널을 사용한다면, 도 1의 보상 곡선에서는 18dBm이므로 보상값이 -1dBm이 되지만, 도 2의 보상 곡선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부 전력은 16dBm이므로 보상된 값은 15dBm이 되어 기준값인 17dBm보다 2dBm이 작아진다. 이 경우 송신 출력이 작게되어 통화 품질이 저하되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더운 여름에 사용하는 CDMA 송신기는 성능이 저하되므로, CDMA 송신기를 고온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측정된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을 이용한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을 통해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의 보상 값은 전술한 50℃에서 측정된 각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계자가 정한 소정의 값(여기서는 17dBm)이 되도록 하는 편차의 역이 되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보상 테이블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3은 저온에서의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 및 보상 테이블로, 여기서는 -5℃에서 CDMA 무선 송신부를 측정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즉, 한 겨울에 사용되는 CDMA 무선 송신부에 대한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은 도 1에 도시된 상온(25℃)에서의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과는 완전히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연히, 저온에서의 채널 보상 곡선 및 보상 테이블은 -5℃라는 온도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설계자가 의도하는 적절한 온도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테이블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만일 CDMA 무선 송신부가 극지방에서 사용되거나 저온의 기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저온에 대한 채널 보상 테이블을 좀더 정밀하게 만드는 것으로 CDMA 송신부는 보다 균일한 최적의 송신 전력을 유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필요성을 확인하기위해, 도 3의 채널별 송신 전력에 도 1의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을 적용해 보도록 하자. -5℃에서 동작하는 CDMA 송신기에서 25채널을 사용하면, 도 1의 보상 테이블을 기준으로 한 보상값은 +2dBm이 된다. 그러나 도 3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부 전력은 18dBm이므로 보상된 값은 20dBm이 되어 기준값인 17dBm보다 3dBm이 크게 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의 소모가 크고, 자체적인 발열이 많아지며, 인접한 다른 CDMA 단말기와 간섭할 가능성이 커지게된다.
만일 550채널을 사용한다면, 도 1의 보상 테이블을 기준으로 한 보상값은 +3dBm이 된다. 그러나 도 3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부 전력은 21dBm이므로 보상된 값은 24dBm이 되어 기준값인 17dBm보다 7dBm이 크게 된다. 역시 전술한 문제점이 더욱 악화되어 나타나게된다.
만일 200채널을 사용한다면, 도 1의 보상 곡선에서는 18dBm이므로 보상값이 -1dBm이 되지만, 도 3의 보상 곡선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부 전력은 16dBm이므로 보상된 값은 15dBm이 되어 기준값인 17dBm보다 2dBm이 작아진다. 이 경우 역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품질이 저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운 겨울에 사용하는 CDMA 송신기는 성능이 저하되므로, CDMA 송신기를 저온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측정된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을 이용한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을 통해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의 보상 값은 전술한 -5℃에서 측정된 각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계자가 정한 소정의 값(여기서는 17dBm)이 되도록 하는 편차의 역이 되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보상 테이블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3가지 보상 테이블들을 구성한 후 상온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보상 테이블을 이용하고, 고온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보상 테이블을 이용하며, 저온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보상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채널별 송신 전력의 보상 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른 송신 전력의 편차 역시 보상할 수 있게된다. 여기서는 단순히 3개의 보상 테이블들 만을 이용했지만, 다수의 세분화된 보상 테이블들을 이용하면 보다 정밀한 보상이 가능해진다.
요약하자면, CDMA 송신기의 동작 온도에 따른 다수의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을 작성한 후, 이를 CDMA 송신기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다음, CDMA 송신기가 사용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때의 주파수 채널에 대한 보상을 상기 보상 테이블에서 획득하여 송신 출력을 기준 송신 전력이 되도록하면, CDMA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전력 보상 방법은 CDMA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으며, 논리회로나 다른 유사한 형태의 하드웨어로도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온도 영역마다 CDMA 송신기에 대한 송신부 채널 보상 테이블 작성한 후, CDMA 송신 전력을 사용 온도와 채널에 맞추어 보상하도록 함으로써, 계절이나 사용 기후에 관계 없이 CDMA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온도 영역에 대해 측정된 송신부 채널 보상 값들을 운용 온도 영역에 대한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와;
    CDMA 송신부가 사용되는 온도 및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온도 영역에 대한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을 검색하여 보상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송신부 전력을 보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온도 영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채널별 송신부 전력 보상 테이블들은 저온, 상온, 그리고 고온에서 측정된 송신부 채널 보상 곡선들을 토대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KR10-2002-0043949A 2002-07-25 2002-07-25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KR10046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49A KR100469431B1 (ko) 2002-07-25 2002-07-25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CNA031438172A CN1474623A (zh) 2002-07-25 2003-07-25 用于补偿移动通信终端的传输单元的功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49A KR100469431B1 (ko) 2002-07-25 2002-07-25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912A KR20040010912A (ko) 2004-02-05
KR100469431B1 true KR100469431B1 (ko) 2005-02-02

Family

ID=3419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949A KR100469431B1 (ko) 2002-07-25 2002-07-25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69431B1 (ko)
CN (1) CN14746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197B1 (ko) * 2005-04-14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출력 보상 방법
CN101309099B (zh) * 2008-07-10 2012-05-0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射频功率控制方法
CN101610528B (zh) * 2009-07-23 2012-04-25 华为终端有限公司 测试无线通讯装置温升的方法
CN102149178A (zh) * 2010-02-08 2011-08-10 联芯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功率的温度补偿方法和装置
CN106468601A (zh) * 2016-09-14 2017-03-01 上海为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校准的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653A (ja) * 1996-09-30 1998-04-24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67174A (ko)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페이징송신기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무선신호 전력 제어방법
KR20000060876A (ko) * 1999-03-20 2000-10-16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온도보상에 따른 전력제어를 위한 코드 값 계산 방법
KR20010027307A (ko) * 1999-09-13 2001-04-06 박종섭 Cdma 단말기에서의 온도보상 장치를 구비한 송신장치
KR20030049729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커브 피팅을 이용한 최적의 온도보정 값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653A (ja) * 1996-09-30 1998-04-24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67174A (ko)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페이징송신기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무선신호 전력 제어방법
KR20000060876A (ko) * 1999-03-20 2000-10-16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온도보상에 따른 전력제어를 위한 코드 값 계산 방법
KR20010027307A (ko) * 1999-09-13 2001-04-06 박종섭 Cdma 단말기에서의 온도보상 장치를 구비한 송신장치
KR20030049729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커브 피팅을 이용한 최적의 온도보정 값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912A (ko) 2004-02-05
CN1474623A (zh)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5788B1 (en) Wireless transceiver with amplifier bias adjusted based on modulation scheme and transmit power feedback
Deruyck et al. Modelling and optimiza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access networks
TWI234945B (en) Bias error compensated initi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data services
EP2974006B1 (en) Envelope tracking system with internal power amplifier characterization
JP3712160B2 (ja) 無線装置、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131669B1 (ko) 이동국의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결합형 개방 루프/폐쇄 루프 방법
US9634695B1 (en)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transmit chains with predistortion circuitry
US82338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 and efficient transmit power control
Coupechoux et al. How to set the fractional power control compensation factor in LTE?
RU2539330C2 (ru)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каналов, передаваемых в разных частотных областях
US2010006279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00144286A1 (en) Wireless transmitter calibration using device receiver
JPH11234202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US9190959B2 (en) Circuit,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1902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stant linearity for a power amplifier over varying load conditions
KR20010029804A (ko) 전력 증폭기의 온도 보상 바이어스 네트워크와 그 동작 방법
WO2013134025A1 (en) Noise optimized envelope tracking system for power amplifiers
KR100469431B1 (ko) 송신부 전력 보상 방법
EP2512192A1 (en) Multi-carrier closed-loop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8517506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限界パワー調整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381783B2 (ja) セルラ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基地局装置、制御局、および移動局
JP2005244996A (ja) 送信器の電力効率を最適化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8260226B1 (en) High-accuracy transmit power control with high-efficiency power amplifier operation
US2007028738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0582395B1 (ko) 송수신 파워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