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8820B1 -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 Google Patents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820B1
KR100468820B1 KR1019970037195A KR19970037195A KR100468820B1 KR 100468820 B1 KR100468820 B1 KR 100468820B1 KR 1019970037195 A KR1019970037195 A KR 1019970037195A KR 19970037195 A KR19970037195 A KR 19970037195A KR 100468820 B1 KR100468820 B1 KR 10046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antenna
antenna
unit
weight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228A (ko
Inventor
임규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3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820B1/ko
Priority to DE19834920A priority patent/DE19834920A1/de
Priority to FR9810003A priority patent/FR2766994B1/fr
Priority to US09/129,172 priority patent/US6049307A/en
Priority to JP10220880A priority patent/JPH11127019A/ja
Priority to GB9816829A priority patent/GB2328320B/en
Publication of KR1999001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2Antenna units of the array energised non-uniformly in amplitude or phase, e.g. tapered array or binomial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중치를 미리 계산하여 기억해 두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가중치 계산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빔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안테나 배열소자를 사용가능하게 하며, 이득이 높고 해상도가 높은 빔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본 안테나들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부; 안테나와 송수신 회로부를 연결하는 급전부; 계산된 가중치 값을 합하기 위한 전력 결합부; 각 기본안테나에 송수신기의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검사하여 빔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크기 검출부; 수신 회로부; 송신 회로부; 안테나의 빔 방향을 조절하고 각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계강도를 비교하여 최적 경로를 찾아내는 빔 제어 유닛 및 배열 안테나의 빔의 각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가중치의 값이 미리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중치 값을 미리 계산하여 기억하고 있으므로, 가중치 계산을 위한 행렬 계산이 필요없어 고가의 DSP 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둘째, 가중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으므로 계산량이 크게 줄어들어 더 많은 안테나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득이 높고 해상도가 높은 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셋째, 가중치를 미리 계산하기 때문에 배열 안테나의 물리적인 특성(커플링이나 손실 등)을 고려한 최적의 빔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위치 빔 안테나보다 훨씬 다양한 빔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안테나{Adaptive phased array antenna using weight memory unit}
본 발명은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Adaptive Phased Array Antenna)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의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배열의 가중치를 미리 계산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있다가, 빔의 위치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안테나 소자에서 송수신 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도록 한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빔의 방향을 전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안테나에는 스위치 빔 안테나(Switched Beam Antenna)와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Adaptive Phased Array Antenna)가 있다.
스위치 빔 안테나는 지향성 안테나를 여러개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들 안테나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 빔을 향하게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스위치 빔 안테나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의 빔의 특성을 갖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110)와; 원하는 방향의 빔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20) 및 송수신 회로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수신부(130)에서 상기 스위치(120)을 이용해, 원하는 안테나 소자(110)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안테나 소자만이 빔을 송수신하게 된다.
즉, 여러 방향으로 안테나빔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개의 지향성 안테나를 배열하여, 송수신부에 스위치를 달아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지향성 안테나 하나를 스위치로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스위치 빔 안테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꾸밀 수 있지만, 한정된 빔의 특성을 얻을 수 밖에 없다.
스위치 빔 안테나를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게 되면, 각 안테나 소자들은 수평방향으로는 빔 폭이 좁고 수직방향으로는 빔폭이 넓은 안테나를 선택하여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전계가 불규칙해지는 현상인]에 대하여 다중경로 페이딩(fading)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는 여러 개의 안테나 소자를 공간적으로 배열한 안테나를 말한다. 배열 안테나의 빔 패턴은 각 안테나 소자들로부터 수신 또는 송신되는 신호의 합에 의해 구해지므로, 안테나 소자의 패턴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각 안테나 소자로부터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임의의 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각 소자에 공급되는 위상과 크기의 변화량을 가중치(Weight)라고 한다.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Adaptive Phased Array Antenna)는 실시간으로 각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수신되는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인다.
이때, 각 안테나에 공급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의 가중치는 가중치 계산 알고리즘에 의하여 계산된다.
도 2 는 일반적인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가)는 수신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나)는 송신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수신 배열 안테나는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안테나 소자(210a~210n)와; 송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제어하는 급전부(220); 각 안테나 소자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합하기 위한 전력 결합부(combiner)(230) 및 수신 회로(240)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들(210a~210n)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급전부(220)에서 각 안테나 소자별로 가중치(W1~Wn)가 계산된다. 계산된 가중치는 전력 결합부(230)에서 결합된 후 수신 회로로 전해진다.
송신 배열 안테나는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안테나 소자(215a~215n)와; 송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제어하는 급전부(225); 각 안테나 소자들에 송신되는 신호를 나누어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divider)(235) 및 송신 회로(245)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회로(245)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가중치는 전력 분배부(235)에서 각 급전부(225)로 전해진다. 각 급전부(225)에서는 해당 가중치(W1~Wn)에 따라 각 안테나 소자들(215a~215n)에서 복사될 빔 패턴을 결정한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동작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안테나 소자(210a~210n)와; 송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제어하는 급전부(220); 각 안테나 소자들로부터 전해지는 신호를 합하기 위한 전력 결합부(230); 계산된 가중치별로 빔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빔 조정 프로세서(250) 및 수신 회로부(240)로 구성되어 있다.
배열 안테나의 각 소자들(210a~210n)은 급전부(220)의 증폭기(또는 감쇄기) 및 위상 조절기와 연결되어 있다.
각 소자에 연결된 급전회로(220)들은 전력 조합기(220)를 거쳐 수신 회로에 연결된다. 빔 조정 프로세서는 각 안테나 소자별 가중치 값(W1~Wn)을 계산하여 각 안테나 소자에 공급함으로써 빔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는, 가중치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빔의 형태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적응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는 배열 소자의 숫자가 많은 경우에는 계산량이 많아져,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신호에 빔의 조정이 어렵게 된다. 또한, 가중치 계산 알고리즘으로 인해 고가의 DSP칩을 사용하여 가격도 매우 비싸기 때문에 일반 상용 시스템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중치를 미리 계산하여 기억해 두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가중치 계산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빔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안테나 배열소자를 사용가능하게 하며, 이득이 높고 해상도가 높은 빔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안테나들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부(510); 송신 회로부(560); 수신 회로부(570); 시스템의 구동시 빔의 각도별로 수신되는 전계를 스캐닝하여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의 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중치의 값을 미리 계산되어서 상기 계산된 가중치 값이 저장되어 있는 가중치 기억장치(580); 상기 가중치 기억장치로부터 상기 계산된 가중치 값을 수신하며,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와 상기 송신 회로부(560)를 연결하고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와 상기 수신 회로부(570)를 연결하는 급전부(520); 상기 수신 회로부(570)와 상기 급전부(5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계산된 가중치 값을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부(530); 상기 송신 회로부(560)와 상기 급전부(5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계산된 가중치 값을 합하기 위한 전력 결합부(540); 상기 전력 분배부(530)와 상기 수신 회로부(57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급전부(5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검사하는 크기 검출부(550); 및 상기 크리 검출부(550)로부터 신호의 크기를 입력받고,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에 있는 다수개 안테나들의 빔 방향을 조절하고 각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계강도를 비교하여 최적 경로를 찾아내는 빔 제어부(5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찾아서 배열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기존의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와는 달리, 배열의 가중치를 미리 계산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안테나의 빔의 위치를 바꿀때에는 기억장치에 있는 가중치를 읽어들여, 각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 또는 송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수신용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안테나부(410)와; 급전부(420); 전력 결합부(430); 크기 검출부(440); 수신 회로부(450); 빔 제어부(460) 및 가중치 기억장치(4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열 안테나부(410)는 기본 안테나 소자들이 공간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신되는 신호를 급전부에 전달한다. 이때 사용되는 안테나는 어떤 안테나도 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안테나부(410)를 이루고 있는 각 안테나 소자들(410a~410n)은 급전부(420)의 증폭기(또는 감쇄기) 및 위상 조절기와 연결되어 있다.
급전부(420)의 급전회로들은 각각 상기 배열 안테나부(410)의 안테나 소자들(410a~410n)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급전회로들은 증폭기 또는 감쇄기 및 위상 변이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안테나 소자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빔 제어 유닛(460)에 의해 정해진 대로 크기와 위상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력 결합부(430)에서는 각 안테나의 급전부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들을 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든 다음, 수신 회로부(450)로 공급한다. 전력 결합부(430)의 구조는 급전부의 전송선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수신 회로부(450)와 전력 결합부(430)의 사이에는 크기 검출부(440)가 있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한다. 크기 검출부(440)에서는 합해진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빔 제어 유닛(460)으로 전달한다.
빔 제어 유닛(46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DSP 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방향으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빔 제어 유닛(460)은 가중치 기억장치(470)이 그 방향에 맞는 가중치를 급전부에 공급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하며, 신호의 크기가 갑자기 감쇄할 경우 새로운 수신방향을 찾도록 한다.
가중치 기억장치(47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그밖의 기억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테나의 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미리 계산된 가중치를 기억하고 있다.
상기 가중치 기억장치(470)는 빔 제어 유닛의 명령에 의해 선택된 가중치(W1~Wn)를 급전부에 전달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안테나는 수신용 안테나이나, 송신용 안테나의 구조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송신용 안테나의 경우는,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신방향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크기 검출부(440)가 필요 없으며, 전력 결합부(430) 대신에 전력 분배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급전부(420)에는 반드시 증폭부가 존재한다.
송신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는 전력 분배기에 의해 각 급전회로에 동일한 전력으로 공급되며, 빔 제어 유닛은 가중치 기억장치에 저장된 가중치에 따라 적절한 증폭과 위상 이동을 수행한 후 신호를 안테나 소자들로 전달한다.
각 안테나 소자들은 공급된 전력을 그대로 복사하게 되며, 동일한 가중치가 주어진 경우, 송신과 수신 안테나의 패턴은 동일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겸용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안테나부(510)와; 급전부(520); 전력 분배부(530); 전력 결합부(540); 크기 검출부(550); 송신 회로부(560); 수신 회로부(570); 가중치 기억장치(580) 및 빔 제어부(590)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하단에는 써큘레이터(Circulator) 또는 OMT가 연결되어 있어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 쪽으로 보내고, 송신기로부터 공급된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복사시킨다. 이때 빔 제어부(590)와 가중치 기억장치(580)는 하나만 필요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610)에서, 안테나 시스템이 구동되면, 단계(620)에서, 빔 제어부(590)는 가중치 기억장치(580)에 저장되어 있는 가중치를 급전부의 위상변이기와 전체 크기 조절기에 제공함으로써 정해진 순서에 따라 빔의 방향을 이동시킨다.
이때 단계(630)에서, 크기 검출부(550)는 빔의 각도별로 수신되는 전계의 세기를 구하여, 별도의 기억장치(580)에 저장시킨다.
초기의 빔 스캐닝(Scanning)이 끝나면, 빔 제어부(590)에서는, 상기에서 스캐닝한 값을 기초로 하여, 여러 방향의 수신전계강도를 비교한다.
단계(640)에서, 여러 방향의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 하여, 스캐닝된 빔 중 수신강도가 가장 큰 각도를 선택한다.
그러면, 단계(650)에서, 상기의 단계(640)에서 선택된 방향으로 빔을 이동시키고, 단계(660)에서 선택된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빔 제어부(590)에서는 크기 검출기(550)에서 얻어지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계속 관측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에 변화에 따라 새로운 최대 빔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통신을 항상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즉, 단계(670)에서는, 안테나의 수신강도가 갑자기 작아질 경우는 블로킹(Blocking)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620)으로 돌아가 다시 빔을 스캐닝하여 최대 수신 전계를 가지는 새로운 빔의 방향을 찾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안테나를 여러개 결합하면, 다중 빔 안테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중치 값을 미리 계산하여 기억하고 있으므로, 가중치 계산을 위한 행렬 계산이 필요없어 고가의 DSP 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둘째, 가중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으므로 계산량이 크게 줄어들어 더 많은 안테나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득이 높고 해상도가 높은 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셋째, 가중치를 미리 계산하기 때문에 배열 안테나의 물리적인 특성(커플링이나 손실 등)을 고려한 최적의 빔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위치 빔 안테나보다 훨씬 다양한 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스위치 빔 안테나의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배열 안테나의 구성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블록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지향성 안테나 120 : 스위치
130 : 송수신부
210a~210n : 배열 안테나부 220 : 급전부
230 : 전력 결합부 240 : 수신 회로부
215a~215n : 배열 안테나부 225 : 급전부
235 : 전력 분배부 245 : 송신 회로부
W1-Wn : 가중치
250 : 빔 조정 프로세서
410a~410n : 배열 안테나부 420 : 급전부
430 : 전력 결합부 440 : 크기 검출부
450 : 수신 회로부 460 : 빔 제어부
470 : 가중치 기억장치
510 : 배열 안테나부 520 : 급전부
530 : 전력 분배부 540 : 전력 결합부
550 : 크기 검출부 560 : 송신 회로부
570 : 수신 회로부 580 : 가중치 기억장치
590 : 빔 제어부

Claims (10)

  1. 다수개의 안테나들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부(510);
    시스템의 구동시 빔의 각도별로 수신되는 신호를 스캐닝하여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의 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중치 값이 미리 계산되어서 저장되어 있는 가중치 기억장치(580);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의 다수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가중치 기억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가중치 값에 의해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는 급전부(520);
    상기 급전부(5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을 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들어 수신회로로 보내는 전력 결합부(540);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검사하는 크기 검출부(550); 및
    상기 크기 검출부(550)로부터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입력받아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에 있는 다수개의 안테나들의 빔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배열 안테나부의 다수개의 안테나들의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계강도를 비교하여 최적 경로의 방향에 맞는 가중치 값을 상기 급전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빔 제어부(5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는, 모든 종류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단에 써큐레이터 또는 OMT를 가지고 있어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수신 회로부 쪽으로 보내고, 송신 회로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복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520)는, 감쇄기 또는 증폭기와, 위상 변이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중치 기억장치로부터 전달된 가중치에 의해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기억장치(580)는 상기 빔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급전부(520)로 상기 계산된 가중치 값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기억장치(580)는, 블로킹의 발생시 다시 빔을 스캐닝하여, 최대 수신 전계를 가지는 새로운 빔의 방향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빔 제어부(59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DSP 칩으로 구성되며, 안테나의 빔 방향을 조절하고 각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최대 수신방향으로 빔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빔 제어부(590)는, 수신 전계가 갑자기 일정치 이하가 될 경우, 다시 빔을 스캐닝하여 새로운 최적 경로를 찾아내고 찾아낸 가중치 값을 가중치 기억장치에 다시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크기 검출부(550)는, 상기 배열 안테나부(5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의 크기를 검사하여 빔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송신회로를 통하여 상기 배열 안테나부의 다수개의 안테나들로 출력되는 신호를 나누어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5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회로 또는 수신회로로는, 모든 종류의 송수신기가 채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송신회로를 통하여 상기 배열 안테나부의 다수개의 안테나들로 출력되는 신호를 나누어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5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테나는 상기 수신회로와 결합하면 수신 전용 안테나로, 상기 송신회로와 결합하면 송신 전용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 기억장치를 이용한 적응 위상 배열 안테나.
KR1019970037195A 1997-08-04 1997-08-04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KR10046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195A KR100468820B1 (ko) 1997-08-04 1997-08-04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DE19834920A DE19834920A1 (de) 1997-08-04 1998-08-03 Adaptives phasengesteuertes Array-Antennensende- und Empfangssystem , das eine Wichtungsgrößenspeichereinheit nutzt
FR9810003A FR2766994B1 (fr) 1997-08-04 1998-08-04 Antenne reseau a phases adaptatives utilisant un bloc de memoire de poids
US09/129,172 US6049307A (en) 1997-08-04 1998-08-04 Adaptive phased array antenna using weight memory unit
JP10220880A JPH11127019A (ja) 1997-08-04 1998-08-04 適応位相配列アンテナシステム
GB9816829A GB2328320B (en) 1997-08-04 1998-08-04 Adaptive phased array antenna using weighting memor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195A KR100468820B1 (ko) 1997-08-04 1997-08-04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28A KR19990015228A (ko) 1999-03-05
KR100468820B1 true KR100468820B1 (ko) 2005-03-16

Family

ID=1951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195A KR100468820B1 (ko) 1997-08-04 1997-08-04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49307A (ko)
JP (1) JPH11127019A (ko)
KR (1) KR100468820B1 (ko)
DE (1) DE19834920A1 (ko)
FR (1) FR2766994B1 (ko)
GB (1) GB23283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909B1 (ko) * 2018-01-04 2019-06-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 배열 안테나의 초고속 원거리장 보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0158961A1 (ko) * 2019-01-28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327211B1 (ko) * 2020-08-12 2021-11-15 국방과학연구소 배열 안테나 장치, 빔 조향 장치 및 빔 조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416B2 (ja) * 1998-10-30 2002-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ダプティブアレー装置
JP3641961B2 (ja) * 1999-02-01 2005-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を使用した無線通信装置
JP2000332666A (ja) * 1999-05-24 2000-11-30 Toshiba T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89398B1 (ko) * 1999-10-09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폐루프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장치 및 방법
US6819243B2 (en) 2000-04-03 2004-11-16 Mikko Keskilammi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bulk goods, preferably roll-like bulk goods
FI20000851L (fi) 2000-04-10 2001-10-11 Nokia Networks Oy Tiedonsiirto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JP4502291B2 (ja) 2000-04-17 2010-07-14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基地局
US8363744B2 (en) 2001-06-10 2013-01-29 Aloft Media, Llc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secure, and high-efficiency voice and packet transmission over ad-hoc, mesh, and MIMO communication networks
US6369758B1 (en) 2000-11-01 2002-04-09 Unique Broadband Systems, Inc. Adaptive antenna array for mobile communication
US6999796B2 (en) * 2000-12-29 2006-02-14 Nokia Corporation Base station, base station module and method for estimating parameters of uplink signals
GB0102384D0 (en) * 2001-01-31 2001-03-14 Secr Defence Signal detection using a phased array antenna
JP2002237766A (ja) * 2001-02-08 2002-08-23 Nec Corp 適応アンテナ受信装置
JP3558053B2 (ja) * 2001-06-06 2004-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適応アンテナ受信装置
GB2376568B (en) * 2001-06-12 2005-06-01 Mobispher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mart antenna arrays
KR100433152B1 (ko) * 2001-08-01 2004-06-04 알트론 주식회사 중계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GB0126256D0 (en) * 2001-11-01 2002-01-02 Antenova Ltd Adaptive radio antennas
US20050159187A1 (en) * 2002-03-18 2005-07-21 Greg Mendolia Antenna system and method
US7062296B2 (en) * 2002-11-04 2006-06-13 Vivato, Inc. Forced beam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smart antennas
AU2003285138A1 (en) 2002-11-04 2004-06-07 Vivato Inc Directed wireless communication
JP4186627B2 (ja) * 2003-01-22 2008-11-26 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指向性アンテナ制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ビーム選択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WO2004082173A1 (ja) * 2003-03-12 2006-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ビーム制御方法、適応アンテナ送受信装置及び無線基地局
JP3933597B2 (ja) * 2003-03-27 2007-06-20 三洋電機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US7312750B2 (en) * 2004-03-19 2007-12-25 Comware, Inc. Adaptive beam-forming system using hierarchical weight banks for antenna arr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14579B2 (en) * 2004-09-23 2008-08-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Blind signal separation using correlated antenna elements
JP4138825B2 (ja) * 2006-07-26 2008-08-27 株式会社東芝 ウェイト算出方法、ウェイト算出装置、アダプティブアレーアンテナ、及びレーダ装置
CN101227214B (zh) * 2007-01-15 2011-04-20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码分多址系统的智能天线设置方法
KR101067367B1 (ko) * 2009-02-27 2011-09-23 한국과학기술원 빔 스캐닝 기법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US8044857B2 (en) * 2009-08-26 2011-10-25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pseudorange measurements in receivers having controlled reception pattern antennas
US8089402B2 (en) * 2009-08-26 2012-01-03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arrier phase measurements in receivers having controlled reception pattern antennas
US8154445B2 (en) 2010-03-30 2012-04-10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domain correction of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pseudorance measurements in receivers having controlled reception pattern antennas
US9184829B2 (en) 2010-05-02 2015-11-10 Viasat Inc. Flexible capacity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US8218476B2 (en) 2010-05-02 2012-07-10 Viasat, Inc. Flexible capacity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with dynamic distribution and coverage areas
US10511379B2 (en) 2010-05-02 2019-12-17 Viasat, Inc. Flexible beamforming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US9121943B2 (en) * 2011-05-23 2015-09-01 Sony Corporation Beam forming device and method
US20120326942A1 (en) * 2011-06-21 2012-12-27 Broadcom Corporation Sectorized Antenna
ES2429416B1 (es) * 2012-05-10 2014-11-21 Vodafone España, S.A.U. Controlador de antena activ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misma
RU2518428C2 (ru) * 2012-06-26 2014-06-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плекс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сервис" Фазовый способ пеленгации и фазовый пеленгат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519593C2 (ru) * 2012-08-15 2014-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инжене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г. Воронеж)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азовый пеленгатор
CN104685843B (zh) * 2013-09-30 2018-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和通信设备
CN105099495B (zh) * 2015-08-06 2018-05-0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收发共用天线的同时同频全双工终端及其通信方法
US9973291B2 (en) * 2016-02-18 2018-05-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mbined signal produced from signal copies
ES2901210T3 (es) 2017-04-10 2022-03-21 Viasat Inc Ajuste de zonas de cobertura para adaptar comunicaciones vía satélite
JP7087742B2 (ja) * 2018-07-06 2022-06-21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給電装置及び無線給電システム
KR101958163B1 (ko) 2019-01-02 2019-07-04 알에프코어 주식회사 웨이트들의 보정을 위한 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는 빔포머, 빔포머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빔포머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및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544835B (zh) * 2019-09-02 2021-01-1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用于超视距无线通信的有源平面角分集天线
CN113037318B (zh) * 2021-02-25 2023-03-14 成都老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低成本小型化动中通天线及基于该天线的相控阵系统
US20240266757A1 (en) * 2023-02-08 2024-08-08 Matsing, Inc. Array Fed RF Lens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9348B (en) * 1979-05-23 1988-04-2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Adaptive antenna arrays for frequency hopped systems
US4280128A (en) * 1980-03-24 1981-07-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aptive steerable null antenna processor
US4490721A (en) * 1980-11-17 1984-12-25 Ball Corporation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with integral array antenna
US4489325A (en) * 1983-09-02 1984-12-18 Bauck Jerald L Electronically scanned space fed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R2560447B1 (fr) * 1984-02-24 1988-04-08 Thomson Csf Antenne reseau et radar de sensibilite reduite au brouillage
US4670756A (en) * 1986-04-07 1987-06-02 Hazeltine Corporation Phase shifter control
US5036333A (en) * 1990-06-21 1991-07-30 Hughes Aircraft Company Antenna-rotation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hased array antennas
JP2684888B2 (ja) * 1991-08-06 1997-12-03 国際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制御方式
GB2265053B (en) * 1992-03-11 1995-11-01 Roke Manor Research Digital signal receiver and communications systems
US5327143A (en) * 1992-06-22 1994-07-05 Trw Inc. Multiple arm spiral antenna system with multiple beamforming capability
US5243354A (en) * 1992-08-27 1993-09-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icrostrip electronic scan antenna array
US5471220A (en) * 1994-02-17 1995-11-28 Itt Corporation Integrated adaptive array antenna
WO1996029836A1 (de) * 1995-03-20 1996-09-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funkfeststation mit veränderbarer antennencharakteristik
GB2309616B (en) * 1996-01-27 2000-05-17 Motorola Ltd 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s therein
US5917447A (en) * 1996-05-29 1999-06-2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beam forming
US5754138A (en) * 1996-10-30 1998-05-19 Motorola, Inc. Method and intelligent digital beam forming system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5856804A (en) * 1996-10-30 1999-01-05 Motorola, Inc. Method and intelligent digital beam forming system with improved signal quality communic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909B1 (ko) * 2018-01-04 2019-06-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 배열 안테나의 초고속 원거리장 보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0158961A1 (ko) * 2019-01-28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327211B1 (ko) * 2020-08-12 2021-11-15 국방과학연구소 배열 안테나 장치, 빔 조향 장치 및 빔 조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34920A1 (de) 1999-03-04
JPH11127019A (ja) 1999-05-11
GB2328320B (en) 2000-03-15
GB2328320A (en) 1999-02-17
GB9816829D0 (en) 1998-09-30
FR2766994B1 (fr) 2006-07-07
FR2766994A1 (fr) 1999-02-05
US6049307A (en) 2000-04-11
KR19990015228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820B1 (ko) 가중치기억장치를이용한적응위상배열안테나
US6314305B1 (en) Transmitter/receiver for combined adaptive array processing and fixed beam switching
JP446252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用のアンテナシステム
KR100594962B1 (ko) 위성통신용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성신호 추적방법
US5592179A (en) Frequency-hopping array antenna system
EP0766414B1 (en) Radio station
EP1942554A1 (en) Antenna system
CA2181282A1 (en) Directive Beam Selectivity for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H07249938A (ja) 基地局アンテナ構成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動作させる方法
US6453150B1 (en) Maximum-ratio synthetic transmission diversity device
US6295026B1 (en) Enhanced direct radiating array
US20040063467A1 (en) Antenna arangements for flexible coverage of a sector in a cellular network
CN112234343B (zh) 一种适用于高铁的有源相控阵车载天线系统
JP5796759B2 (ja) アクティブ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装置
US20070087787A1 (en) Antenna and signal-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822619B2 (en) Antenna system
JP7175347B2 (ja) ビームフォーミング装置、ビームフォーミングシステム及びビーム発生器
EP1109247B1 (e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adiation sent into the body of a user
US6832099B2 (en) Antennas
US6441785B1 (en) Low sidelobe antenna with beams steerable in one direction
JP2001298388A (ja) 指向性制御無線通信装置
JPH03254207A (ja) アンテナ装置
KR200323265Y1 (ko) 기지국용 멀티 빔 안테나
JP3374750B2 (ja) 移動通信用基地局アンテナ
WO2003038949A1 (en) Adaptive radio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